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디자인 감리제도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철용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지속가능한 도시디자인은 자연환경을 고려하면서 그 안에 어떠한 콘텐츠를 담을 것인지 숙고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은 물론,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인 가치를 극대화하는 도시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공공 디자인(public design)’은 ‘공공성(public character)’을 표현하는 디자인이다. 여기서 공공성이란 ‘한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일반 사회 구성원 전체와 두루 관련되는 성질’을 말한다. 공공디자인은 문명의 발달과 함께 도시화가 진행되고, 기능이 한층 분화된 다세포(多細胞) 사회가 발생되면서 개인적인 생활의 장(場)과 병행하여 공공장소에서의 여러 장치나 장비를 보다 합리적으로 계획해야만 하였다. 여기에서 공공디자인의 개념이 생겼다 공공디자인 분야가 일반적인 디자인 분야에서 벗어나 건축물과 도로·주거환경에 필요한 공원이나 산책로, 각종 공공 상징물 등의 ‘환경적 시설’ 등의 분야로 점차 확대되어 감에 따라 시민들의 만족도가 보장되는 공공성이 더욱 중요해져 가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산업으로의 발전가능성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4차 산업의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혀 가고 있다. 이러한 공공디자인시설물들의 사용자 또는 소비자인 시민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확한 평가지표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공공디자인 예산의 투명성과 공공디자인시설물들의 소비자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척도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공익적인 평가기준인 공공디자인 감리제도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 건설, 건축, 토목 관련 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감리제도는 동산업 분야에서는 표준화된 검사제도이지만 공공디자인분야가 이제 산업분야에 이를 정도로 확산되어 가고 현대사회에서의 공공디자인 감리제도 도입은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공공디자인산업의 현황을 정리, 고찰해보며 이러한 공공디자인산업분야에 건설건축 감리제도와 같은 공공의 감리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도입 후 산업분야의 경쟁력 제고에 의한 효과성을 증명하면서 공공디자인산업의 감리제도 도입에 대하여 각 계층별 설문조사를 통한 서베이법 분석을 통해 검증하여 공공디자인산업 감리제도 도입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이러한 감리제도의 시행에 따른 기본방안을 고찰해보며 추가적으로 공공디자인 감리제도 도입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학문적인 논점을 재기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 독일의 이주민 통합정책과 사회통합 교육

        이철용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Zusammenfassung Dieses Papier befasst sich mit der Integrationspolitik von Migranten und der "Integrationskurs" im Rahmen der Integrationsbildung in Deutschland, was die deutsche Regierung seit der Erlass des Zuwanderungsgesetzes von 2004 treibte. Das Zuwanderungsgesetz verfolgt eine Reihe von Maßnahmen und Projekten zur Integration von Zuwanderern und wird nun die Wende in der Ausländerpolitik und Einwanderungspolitik ausgewertet. Die Bundesregierung akzeptierte die Einwanderer als Teil der Gesellschaft, und war aktiv zur Förderung der Integrationspolitik. Um den Dialog mit Migraten zu den drängender werdenden Integrationsfragen zu suchen, hat Bundesregierung neue Wege beschritten. Zum “Integrationsgipfel", der auf Einladung von Bundeskanzlerin im Juli 2006 erst stattfand, kamen Vertreter von Bund, Länder, Kommunen, Arbeitsgeberschaft und Gewerkschaft, Medien, Religions- gemeinschaften, Wissenschaft und Migratenorganisation zusammen. Im 2007 angekündigten ”Nationalen Integrationsplan(NIP)" sind zahlreiche Maßnahmen etwa zur Integration in Ausbildung bzw. Erwerbsleben, in der Wissenschaft, durch Sport, Medien und bürgerschaftliches Engagement, für Frauen sowie im Bereich kultureller Integration gebündelt. Die dabei Beteiligten vereinbarten, die Fortschritten bei der Umsetzung des Plans im laufenden Jahren zu überprüfen. Neben der Entwicklung des NIP zielte ein zweiter, neuer Schwerpunkt der Integrationspolitik seit 2006 auf einen Dialog mit der muslimischen Bevölkerung, der im “Deuschen Islamkonferenz(DIK)” organisiert wurde. DIK erarbeitete in den kom- menden Jahren Maßnahmen, die das Verhältnis von Staat und Islam klären sowie die Integration von Muslimen verbessern sollten. Als zentrales Element der Integrationsförderung wurden im Zuwanderungsgesetz die Integrationskurse eingeführt. Sprachkenntnisse sind unerläßliche Voraussetzung für eine berufliche und soziale Integration von Migraten. Seit 2005 müssen Neu- Einwanderer aus Nicht-EU-Staaten integrationskurse besuchen. Dieser Kurs besteht aus einem 600 Stunden umfassenden Deutschkurs, dazu kommt ein Orientierungs- kurs von 45 Stunden, in dem die Kursteilnehmer mit der deutschen Rechtsordnung, Geschichte und Kultur kennengelernt werden sollten. Kursteilnehmer sind einerseits berechtigt und andererseits verpflichtet, sich in Integrationskurse einzuschrieben. Das Motto der deutschen Einwanderungspolitik ist "Fördern" und "Fordern". Bundesregierung ist für die Integration von Migranten, mehr als je zuvor, die finanzielle Unterstützung verpflichtet. Aber sie forderte, dass Einwanderer erhebliche Anstrengungen gezeigt werden sollten. Es erfüllt nicht, die deutsche Regierung für Einwanderer Sanktionen der Legitimität und Rechtfertigung gewährleisten soll. Jetzt hängt der Erfolg der sozialen Integration auf der individuellen Verantwortung der Einwanderer. In diesem Zusammenhang richtete sich die Integrationspolitik der deutschen Regierung auf den Prinzip der "Inklusion" und des "Ausschlusses".

      • 항공사 정비분야 안전성 평가(M-LOSA) 적용과 분석에 관한 연구

        이철용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공기의 비약적인 발달과 항공기를 둘러싼 운항 환경의 급격한 변화, 그리고 이를 운용하는 인간의 세대 간 인식의 차이와 행동양식의 변화는 정비 현장에서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항공기는 더욱 첨단화되고 정교해지면서 한 사람의 기량으로만 정비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정비를 수행하는 현장이나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관련 조직의 체계적인 활동과 팀워크가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정비 부실은 곧바로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정 조직이나 조직원들이 갖고있는 성향과 문제를 정확히 찾아내고 이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이러한 정비 현장에서의 인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MEDA, HFACS 등의 인적 요인 분석 기법을 활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자료 분석 기법은 과거 발생 된 사건을 수집·분석하여 사후적 안전조치를 취하는 것이라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 운항 분야에 적용된 LOSA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항공 정비 분야에 적용한 M-LOSA 프로그램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그리고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수집한 M-LOSA 데이터를 실증적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고 정비분야의 예방적 안전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개선사항을 식별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127건의 불만족사항 중 108건이 Violation으로 전체 Human Error 발생 건수의 85%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러한 주요 원인으로는 안전 규정을 소홀히 하는 안전 경시 경향과 정비지식 부족으로 인한 에러, 시간 부족으로 인한 압박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정비사의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위험 경시 문화를 제거하는 노력과 정비사들이 시간 부족으로 인한 압박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적정한 인력 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비지식을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정보 전달체계 마련, 지속적인 보수교육 실시 및 교육에 대한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The rapid development of aircraft, rapid changes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surrounding aircraft,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behavior among the generations that operate them a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aintenance site. As aircraft become more advanced and sophisticated, maintenance cannot be performed only with one person's skills, so systematic activities and teamwork of the site of maintenance or related organizations to support it are further needed. Since poor maintenance leads directly to major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and improve the tendencies and problems of certain organizations or members. Currently, human factor analysis techniques such as MEDA and HFACS are used to analyze human factors at the maintenance site, but there is a limit to collecting and analyzing past events and taking post-safety measures. In this study, the M-LOSA program applied to the aviation maintenance field was introduced based on the LOSA program applied to the aviation operation field. In addition, M-LOSA data collected from November 2021 to November 2022 were empirically analyzed to derive the results and identify improvements that could contribute to preventive safety activities in the maintenance field. Overall, 108 out of 127 complaints were analyzed to account for 85% of the total number of human errors due to violations, and the main reasons were the tendency to neglect safety regulations, errors due to lack of maintenance knowledge, and pressure due to lack of tim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reduce errors of technicians, efforts to eliminate the culture of risk neglect and appropriate manpower placement are needed so that technicians can relieve the pressure caused by lack of tim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system, continuously conduct maintenance education, and improve education so that maintenance knowledge can be learned repeatedly.

      • 흑미 추출물(DA-9201)을 이용한 천식 치료제 개발

        이철용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incidence of asthma has rapidly increased in modern society and causes huge socioeconomic losses in various ways. In respon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pose "black rice extract"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asthma treatment drugs. The anti-asthma drug based on black rice, a kind of rice, is simple to administer and more inexpensive than conventional drugs. If its efficacy is proven, the black rice extract-based anti-asthma drug will likely be a viabl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ones in terms of cost and effectiveness. This study tested the anti-asthma activity of a 70% ethanol extract of DA-9201 after undergoing a toxicity test of it. First, the author compared the effect of DA-9201 with that of dexamethasone (DEXA) in an ovalbumin (OVA)-induced asthma model. Seco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DA-9201 was analyzed by assessing its binding to and effects on gene regulatory protein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kB) activity. Third, the author also tested the impact of DA-9201 on mucus secretion, which is a major cause of asthmatic suffocation. Fourth, the potential improvement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by DA-9201 was assessed. Fifth, the impact of DA-9201 on airway remodeling, generation of cytokine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histamine secretion, and leukocyte count was investigated. Sixth, a test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impact on histamine secretion. Seventh, an in vivo assay was performed to tes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A-9201. Eighth, the author evaluated the experiment results by comparing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DA-9201 and those of ferulic acid and protocatechuic acid. The variety of test results on the 70% ethanol extract of DA-9201 as abov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abnormal toxicological change or target organ toxicity were detected as a result of toxicity testing using rats in terms of mortality rate, general health symptom, and weight change, as well as post-mortem reports and histopathological opinions. Second, after comparing DA-9201 and DEXA in terms of anti-asthma effects it was found that the 70% cold-brewed ethanol extract has reduced the level of eosinophils, which is a major indicator of asthma. Third, it was reported that the nuclear and cytoplasmic levels of NF-kB, which increased in the asthma-induced untreated control group, markedly decreased in the DA-9201-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levels in the DEXA-treated positive controls. Fourth, the results show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DA-9201 in an OVA-induced murine asthma model and it is thought that this effect might result from the suppression of hyperplasia in mucin-containing goblet cells. Fifth, the results showed that methacholine-induced AHR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treatment with a dose of 300 mg/kg DA-9201. Sixth, DA-9201 had a major impact on eosinophil activation and extravasation as well as IgE induction. Seventh, after investigating the result of effects on histamine secretion, the author found that DA-9201 affected mast cells directly and suppressed histamine secretion. Eighth, based on the in vivo assay results it is speculated that DA-9201 suppresses inflammation and reduces oxidative burst simultaneously, which lowers oxidative stress. Ninth, the author showed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mparing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DA-9201 and those of FA and PCA. The results suggest that DA-9201, FA, and PCA all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ascorbic acid did.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icacy of DA-9201 as a non-toxic anti-asthma drug based on various experiments as performed above. However, because asthma is caused by multiple factors, comprehensive validation is required to confirm the potential of DA-9201 as an anti-asthma drug. 현대 사회에서 천식의 발병률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며, 이는 다양한 측면에서 사회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천식에 대한 치료 대안으로 ‘흑미’를 활용한 천식 치료제를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쌀의 일종인 흑미를 활용한 천식 치료제는 용법이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따라서 그 효능이 원활히 입증된다면 경제성과 유용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흑미의 70% 에탄올 추출물 DA-9201을 실험 재료로 사용해 독성시험을 거친 후 새로운 천식 치료제로서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난백 알부민(ovalbumin) 유발 천식모델에서 흑미의 효과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과 비교·평가하였다. 둘째, DA-9201의 메커니즘을 파악하고자 유전자 조절 단백질 Nuclear Factor-kappaB(NF-kB)의 단백질 발현 변화와 결합 활동(binding activity)을 실험하였다. 셋째, 천식 질식사의 가장 큰 원인인 점액분비(mucus secretion)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넷째, 기도과민성(airway hyperresponsiveness)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다섯째, 기도개형(airway remodeling), cytokine과 matrix metalloproteinase(MMP) 생성, 백혈구(leukocyte) 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여섯째, 히스타민(histamine)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일곱째, 항산화 효과를 in vivo에서 측정하였다. 여덟째, DA-9201과 DA-9201 내 함유성분인 ferulic acid(FA) 및 protocatechuic acid(PCA)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평가하였다. 이상과 같이 흑미의 70% 에탄올 추출물(DA-9201)에 대한 다양한 실험 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랫드를 이용한 독성시험 결과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 변화 등과 부검 소견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에서 독성학적 이상 변화 및 표적장기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둘째, 흑미 추출물과 덱사메타손의 천식치료 효과를 비교 결과 흑미 추출물 중 에탄올 70% 냉침 추출물이 천식의 핵심 지표 중의 하나인 eosinophil 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천식 유도군에서 증가한 nuclear NF-kB와 cytoplasmic NF-kB가 DA-9201을 투여한 군에서 대조 약물인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군만큼 상당히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다. 넷째, 흑미 추출물이 점액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DA-9201은 OVA-induced murine asthma model에서 mucin을 함유하는 goblet cell의 hyperplasia를 억제함으로써 anti-asthmatic effect를 나타냈다. 다섯째, DA-9201의 기도과민성 개선 효과를 관찰한 결과 DA-9201은 300 mg/kg 용량에서 methacholine에 의한 기도과민성을 억제하였다. 여섯째, DA-9201가 호산구의 활성화와 extravasation 및 lgE 생성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히스타민 분비를 측정한 결과 DA-9201이 mast cell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histamine 분비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in vivo에서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한 결과 DA-9201은 oxidative stress를 낮추었고, anti-oxidant potential 자체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아홉째, DA-9201를 FA 및 PCA의 항산화 활성과 비교한 결과 DA-9201은 FA, PCA와 함께 ascorbic acid 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DA-9201이 독성 없는 천식 치료제로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천식의 병인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기 때문에 천식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 판단 여부는 추후 다양한 평가계에서 시험을 진행한 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 사회적경제를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지속가능성 연구 : 캠프의 필리핀 사회적기업 익팅 봉제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이철용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변화하는 국제개발협력의 패러다임에서는 전통적인 ODA 지원형식이 아닌 지속가능한 발전을 고려한 개발협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유엔은 시민사회를 포함한 다중 이해관계자 개념과 경제성장, 사회발전, 그리고 환경보호를 함께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지난 2015년 발표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사회적경제는 SDGs에서 제시하는 가치를 지키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등장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 또한 사회적연대경제라는 이름으로 해외 현장을 사업들을 시작하였으나, 아직까지 많은 사례와 성과지표가 수립되지 않았다.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단체인 사단법인 캠프는 국제개발협력 현장에서 사회적경제 모델이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이전부터 필리핀 빈민지역에서 봉제센터 ‘익팅’ 사회적기업을 설립하고 자립시켰다. 그리고 ‘익팅’은 한국과 필리핀에서 국제개발의 성공적인 사례로 소개되고 있으며 코로나와 같은 위기 상황에도 긴급지원사업에 협력하는 등 큰 역할을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익팅’의 사례를 분석하여 국제개발협력 현장에서 캠프의 사회적경제 모델이 SDGs 가치 달성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살펴보고, 어떠한 요인이 지속가능한 성장에 작용했는지 평가해보고자 했다. 익팅은 설립단계부터 성장과 자립의 단계까지 사회적경제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요건인 공공성 중심의 목표 설정, 자율적인 경영, 민주적인 의사결정구조, 사람과 노동이 중시되는 운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요건들과 함께 참여, 연대와 혁신, 자율성이라는 가치를 실현시킴으로서 SDGs 달성에 이바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익팅은 사회적경제의 구조적 모델만을 적용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경제의 기본 요건을 충족하고 중요한 가치를 실현시킴으로써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운영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익팅 모델은 앞으로 국제개발현장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사회적경제 모델을 적용하는데 유의미한 참고 사례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로 설계되었으며, 기존에 발간된 캠프와 익팅에 대한 내부문서 및 연구자료를 검토하고 심층 면접과 설문조사를 통해 결론을 구체화하였다.

      • 물순환 건전성 평가를 위한 GIS 기반의 불투수율 산정방법론 개발

        이철용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불투수면은 도시의 성장관리 및 유역계획 등에 있어서 주요 고려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물순환 건전성 평가에 있어 중요 고려 지표 중의 하나이다. 불투수면은 도로, 주차장, 보도, 지붕 및 기타 도시경관에서 물이 잘 침투하지 못하는 공간 면으로, 불투수면의 증가는 수환경 및 생태계 변화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불투수면의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불투수면의 정확한 규모 및 분포 파악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대축척 불투수면지도 및 정확한 불투수율 통계는 부재하다. 본 연구는 물순환 건전성 평가를 위한 GIS기반의 불투수율 산정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를 조사 및 분석하여 대축척 불투수면지도의 제작 및 불투수율 산정 방법의 개발 방향을 정의하였다. 기존의 다양한 지도 제작 방안 중 환경부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갱신주기, 공간해상도 등의 문제로 인해 이를 즉시 활용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여 우선 효율적으로 토지피복지도를 갱신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공간자료 전처리 과정 외 총 3단계의 중첩분석 및 스크린 디지타이징을 거치는 토지피복지도 갱신 제작 방법을 새롭게 정의하였으며, 인천시 부평구에 적용하여 세분류 공간해상도 수준의 최신 토지피복지도의 갱신 제작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이후 물순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대축척 불투수면지도 제작 방법을 개발하였다. 최적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토지피복지도 속성 재분류 방안, 수치지형도 추출 변환 방안, 항공사진 디지타이징 방안을 고찰하여 각 방안의 상세한 지도 제작 방법을 정의하였다. 이를 인천시 부평구에 적용하여 지도를 제작하고 비교하여 각 공간자료가 서로 보완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 가지 공간자료를 GIS에서 통합 활용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최적 방법은 세분류 공간해상도의 최신 토지피복지도를 속성 재분류 과정을 거쳐 최초의 불투수면지도를 제작하고, 이를 수치지형도 및 정사항공사진과 중첩한 후 육안 판독하여 피복 속성이 다른 객체를 찾아 이들을 편집하며, 만약 피복 속성 및 경계 확인이 어려운 경우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지도에 반영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최적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불투수면지도를 제작하였다. 결과에서 Kappa 값이 0.99인 것이 확인되었고, 폴리곤 및 버텍스의 개수도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어 정확하고 정밀한 불투수면지도의 제작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불투수면지도를 이용한 GIS기반 불투수율 산정방법을 제시하였고, 용도지역별 및 필지별 불투수율 통계를 자동 산정하였다. 결과에서 인천시 부평구의 총 불투수율은 약 64%인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모두 불투수율이 80% 이상인 것으로 확인하여 물순환 건전성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필지별로는 주거지역 중 아파트단지의 불투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상가 및 공장은 필지 면적과 상관없이 대부분 100%에 이르러 이들에 대한 불투수면 관리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GIS기반 불투수율 산정방법론은 물순환 건전성 평가에 필요한 표준화된 대축척 불투수면지도를 최초로 제작하고, 정확한 불투수율 통계를 자동 산출 및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경제적 타당성 검토, 연구대상지역 확대적용 검증, 자동화 기법 개발, 물순환 건전성 평가 활용 및 전국 확대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물순환 및 수환경 개선에 기여토록 하여야 한다.

      • 한우 쇠고기 유통구조의 개선 방안

        이철용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세계는 자유무역협정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자유경쟁 체제인 개방화 물결이 일고 있다. 비단 주변국가의 상황이아니라 당장 우리나라에 직면한 한·미 FTA등 거의 모든 나라가 개방화를 전개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개방화에 따른 많은 이점들도 있겠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한·미 FTA를 체결해나가면서 많은 피해가 예상되면서 미국이 거세게 개방을 촉구하는 쇠고기 시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현재 뉴스나 언론매체를 통하여 “한우가격이 너무 높다, 유통과정에 거품이 너무 많다”는 방송과 기사가 보도되고 있다. 한·미 FTA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축산인들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 일수 있는 쇠고기 시장의 유통과정의 문제점을 찾아내서 한우산업이 수입육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개선점을 찾고자 이 논문을 쓰게 되었다. 먼저 현재 우리나라의 쇠고기 수급현황 및 전망을 통하여 현 우리나라 축산업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유통구조의 현황 및 각 유통단계별 문제점을 도출하고 안성시의 한우 사육농가께 출하처 결정, 출하시기 결정 등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농가가 느끼는 유통구조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