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영리 문화예술 임의단체의 사회적경제 조직 전환유형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찬영 인천대학교 문화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비영리 문화예술 임의단체의 사회적경제 조직 전환유형 연구 이 연구는 문화예술단체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간 비영리 문화예술 임의단체가 활동을 지속 할 수 있는 방법 가운데 하나가 ‘사회적경제 조직으로의 전환이 아닐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의 심화와 확장을 위해 현재 인천시에서 활동하면서 비영리 문화예술 임의단체에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 조직으로 전환한 네 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민간문화예술단체가 사회적경제 조직으로 전환하면 어떠한 장단점이 있는지 고찰해 보고, 그 과정을 통해 향후 민간 비영리 문화예술 임의단체가 지속 가능한 운영과 활동을 위해서는 사회적경제 조직으로의 전환이 매우 필요하다는, 애초 문제의식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문에서는 비영리 문화예술 임의단체에 대한 개념과 현황, 문제점을 운영, 인력, 재원, 사업 등의 항목으로 구분해서 고찰했고,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경제 조직을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으로 구분하여 현황을 파악했다. 인천에서 비영리 문화 예술단체로 활동하다가 사회적경제 조직으로 전환한 분석 대상은, 먼저 장르예술단체에서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한 전통연희단 잔치마당’(이하 ‘잔치마당’)과 일반 예술단체에서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한 ‘인천 자바르떼’, 협동조합인 ‘모씨네 사회적협동조합’ (이하 ‘모씨네’), 마을기업인 ‘협동조합 꿈꾸는 문화놀이터 뜻’(이하 ‘문화놀이터 뜻’) 등 4개 단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단체가 사회적경제 조직으로 전환한 후 정부의 지원 규모와 인력, 재정구조 등이 어떻게 변했는가를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조사한 네 가지 유형은 공익 목적의 비영리 활동으로 각기 청년, 노동, 시민, 문화 분야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회적 가치를 가진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각 조직은 사회적경제로 전환한 경로나 방식은 다양하고 그 유형도 달랐다. 연구 결과 이들 조직은, 전환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내부갈등은 물론 인건비 지원의 지속성 여부 등 다양한 불안감을 극복하고 조직 운영의 안정화, 민주적 의사결정 체제의 확립, 사회적경제 분야의 직·간접 지원 및 사회적경제 조직간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모델로 성장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향후 비영리 문화예술 임의단체가 지속 가능한 운영과 활동을 위해 사회적경제 조직으로 전환을 고민할 때 이 연구가 참고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제어 : 비영리 문화예술단체, 문화예술 임의단체,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 인천광역시 문화예술 사회적기업, 문화예술단체 지속가능성

      • 현대 한국어 혼성어 연구

        이찬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o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Korean blends, and to verify the significance for word-formation discussion. Blend is one of the neologisms appearing actively today, and blending is a complex process that includes clipping more than two words and combining them. So far, blends have not been considered as grammatical phenomenon from previous studies. In this regard, our discussion is invaluable, because we highlighted that formation of blends reflects human cognitive processes and possibility of having relationship with word-formation system. The methodology to figure out the notion and characteristics of blends is collection and analyses for the neologism sourcebooks from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Also, given that blends can be originated from speaker's onomasiological desire, we consider blends have prototypicality. Based on these point of view, the list and characteristics of typical blends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clipped words, compounds and acronyms in chapter 3. In chapter 4, the characteristics of blends are examined from the aspects of phonology, form, and semantics. It is noteworthy that the tendency of maintaining number of syllables is violated when phonemes are overlapped, although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are rarely revealed due to the properties of Korean. The clipping process in forming words is carried out regardless of the internal composition. There are tendency of maintaining the number of syllables, so blends tend not to be formed longer than the forming words. The main semantic characteristic is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two forming words. The most common type is endocentric, and there are also exocentric, appositional and coordinative relations. In chapter 5, we discussed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blends especially on the aspect of formation and change. Blends are formed to effectively fulfill the three purposes; meaning interpretability, language economy, and wordness. Since the status of the components is not consistent and there is not a single morphological operation on that, blending cannot be located in the existing word-formation system. But some of the components are engaged in blending so that type frequency increases. Accordingly, they form the structural schema and accompany specialization of meaning and independence in formation. Words including these components show relative regularity, so they can be considered shifting to the word-formation system. We call these components as 'Pseudo-suffix', and some of them acquire the status of suffix so that form derivatives. Therefore, by explaining such process of change on blends within the grammaticalization theory, these process can be understood as general and universal.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 혼성어의 개념 및 특성, 그리고 혼성어의 형성 동기와 변화 양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것이 단어형성론적으로 어떠한 의의를 가지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혼성어는 최근 신어에서 활발히 나타나는 유형의 단어로 혼성에 의하여 형성된 단어를 일컫는데, 두 단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절단 과정을 거친 후 이들을 결합하여 단어를 만드는 과정을 혼성이라고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를 문법적인 현상이 아니라고 본 반면 본고에서는 혼성어의 형성이 인간의 인지 과정을 반영하고 있으며 단어 형성 체계와도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혼성어의 개념과 특성을 다양한 각도로 파악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국립국어원의 신어 자료집과 선행 연구, 인터넷 용례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또한 혼성어의 형성이 화자의 명명 욕구와 표현 효과에 의해 다양한 양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형적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전형적인 혼성어의 목록과 특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인접 범주인 절단어, 절단형 합성어, 음절어와 비교하였다. 4장에서는 혼성어의 특성을 음운적 측면, 형태적 측면, 의미적 측면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한국어의 특성상 혼성어에서 음운적 특성은 두드러지게 드러나지 않지만, 음소의 중복이 나타날 때에는 음절 수 유지 경향을 지키지 않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혼성어 형성어는 내부 구성이 고려되지 않은 채로 절단이 이루어진다. 또한 혼성어에서는 두 단어가 결합하되 그 결과로서 도출되는 단어는 혼성어 형성어보다 길지 않도록 절단 과정이 나타나는 ‘음절 수 유지’ 경향을 보인다. 한편 혼성어의 의미적 특성은 구성 단어의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내심적 혼성어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한편 외심적 혼성어와 동격·대등 혼성어 역시 발견되었다. 5장에서는 혼성어의 형성과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하여 혼성어의 단어형성론적 지위와 의의에 대해 논하였다. 혼성어는 ‘의미 해석성’과 ‘언어 경제성’, ‘단어성’ 모두를 만족시킴으로써 표현론적 명명 욕구를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형성된다. 혼성어의 형성은 구성 요소의 지위가 일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에 수반되는 형태론적 과정 또한 단일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단어 형성 체계 내에 위치하지 못한다. 다만 일부 혼성어 구성 요소는 혼성어 형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유형빈도가 높아지고, 그에 따라 구조적 틀을 형성함으로써 의미의 특수화를 수반하는 동시에 단어형성적 독자성을 획득한다. 이들 구성 요소와 결합하여 형성된 단어들은 비교적 규칙적인 모습을 보이므로 단어 형성 체계 내로 이행해 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요소들에 대해 ‘의사 접사’라 하고, 이들 중 일부 요소는 접사의 지위를 획득하여 파생어 형성에 참여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혼성어의 변화 양상을 문법화 이론 내에서 설명함으로써 일반성과 보편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 Development of Integrated Suite of Codes and its Applications to Various Devices

        이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in-depth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ewly developed integrated suite of codes, TRIASSIC (tokamak reactor integrated automated suite for simulation and computation), are reported. The suite comprises existing plasma simulation codes, including equilibrium solvers, 1.5D and 2D plasma transport solvers, neoclassical and anomalous transport models, current drive and heating (cooling) models, and 2D grid generators. The components in TRIASSIC could be fully modularized, by adopting a generic data structure as its internal data. Due to a unique interfacing method that does not depend on the generic data itself, legacy codes that are no longer maintained by the original author were easily interfaced.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he parallel computing of the framework and its components are also addressed. The verification of TRIASSIC in terms of equilibrium, transport, and heating is also shown. Following the data model and definition of the data structure, a declarative programming method was adopted in the core part of the framework. The method was used to keep the internal data consistency of the data by enforcing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the data nodes, contributing to extra flexibility and explicitness of the simulations. TRIASSIC was applied on various devices including KSTAR, VEST, and KDEMO, owing to its flexibility in composing a workflow. TRIASSIC was validated against KSTAR plasmas in terms of interpretive and predictive modelings. The prediction and validation on the VEST device using TRIASSIC are also shown. For the applications to the upcoming KDEMO device, the machine design parameters were optimized, targeting an economical fusion demonstration reactor. 본 연구에서는 TRIASSIC (tokamak reactor integrated automated suite for simulation and computation) 코드의 자세한 디자인과 실행 결과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 시뮬레이션 코드는 기존에 존재하던 플라즈마 평형, 1.5차원 및 2차원 플라즈마 수송, 신고전 및 난류 수송 모델, 전류 구동 및 가열 (냉각) 모델, 그리고 2차원 격자 생성기 등의 코드를 구성하여 만들어졌습니다. 프레임워크 내 데이터 구조로써 일반 데이터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TRIASSIC의 코드 구성요소들은 완전한 모듈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었습니다. 일반 데이터 구조에 의존하지 않는 독특한 코드 결합 방식으로 인해, 더 이상 유지보수되지 않는 레거시 코드들 또한 쉽게 결합될 수 있었습니다. 본 코드의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와 코드 구성 요소들의 병렬 컴퓨팅에 관한 내용도 다뤄집니다. 평형, 수송, 그리고 가열 측면에서의 TRIASSIC 시뮬레이션의 검증 내용도 소개됩니다.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내 일반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 정의를 만족시키기 위해, 데이터를 관리하는 프레임워크의 중심부에는 선언적 프로그래밍이 도입되었습니다. 선언적 프로그래밍을 통해 일반 데이터의 데이터 노드 간 관계식을 만족시킴으로써 데이터 간 내부 일관성을 확보하고, 코드의 유연성과 명시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TRIASSIC은 해석적, 예측적 모델링 측면에서 KSTAR 플라즈마를 대상으로 검증되었습니다. VEST 장치를 대상으로 한 예측 및 이에 대한 검증 내용 또한 서술됩니다. 경제적인 핵융합 실증로 건설을 목표로 KDEMO 장치에 대한 적용 및 장치 설계 최적화 연구도 소개됩니다.

      • 한국어 합성명사의 형성과 해석 연구 : 'N+N'형 임시어를 중심으로

        이찬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nonce nominal compounds, which are newly formed by speakers, and to reveal the principle of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m. In this study, we sought to solve unaddressed problems from previous studies, and revealed the principles of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by systematizing the types of semantic relationships seen in nominal compounds. We highlighted the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aspects of "nonce words," "interpretation," and "context information" in word-formation studies, and presented a reasonable and systematic explan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overall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words. Chapter 2 discussed the theoretical premise and perspective based on this study. Section 2.1 demonstrates a perspective on the scope of the object and approach required for word-formation research. Section 2.2 discusses the two aspects of operating words: the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process. In section 2.3 we viewed the role and influence of context information in the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nominal compounds. Finally, in section 2.4, we presented our opinions on determining compounds and noun phrases. Chapter 3 consists of a discussion on the "formation" of nominal compounds. Section 3.1 presents the structural and semantic strategies considered when coining a nonce nominal compounds from the speaker's viewpoint; based on this, section 3.2 specifically deals with the formation patterns of each type and its characteristics. Semantic strategies are largely divided into "relational meaning" based on the predicate structure, and "figurative meaning" based on the metaphor and metonymy, which are used in combination when coining nominal compounds. In addition, the subcategories of each strategy tend to be realized with a specific semantic property or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ther strategies. Section 3.3 discusses the specific role of "context information" in the "external knowledge" dimension in nominal compounds formation. Chapter 4 discusses the "interpretation" of nominal compounds. In particular, psycholog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form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formation strategy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process. In section 4.1,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retation of words" and "experimental-based methodology" was detailed. Subsequently, the design, process, and results of three experiments related to "relational meaning" (4.2), "figurative meaning" (4.3), and "context information" (4.4)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Through this, we confirmed a mutua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nominal compounds. Chapter 5 clarifies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nominal compounds based on previous discussions (5.1), and confirms the implications of our study for the overall word-formation system (5.2). In this study, "word schema" as an intrinsic principle and "providing and referring to context information" as an external principle are considered the principles for the operation of nominal compounds. To this end, section 5.1.1 critically reviewed the principle of word-formation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y and, alternatively, presented a "word schema." Based on this, section 5.1.2 presented specific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the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nominal compounds. Meanwhile, to confirm the universality and expandability of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the aspects and factors of "institutionalization" were examined in section 5.2.1 and applied to other word categories such as acronyms, blends, and derivatives in section 5.1.2. Chapter 6 concludes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and presents the remaining problems. 이 연구는 화자에 의해 새롭게 형성된 'N+N' 구성의 임시어 합성명사를 대상으로 하여 그 형성과 해석의 과정 및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성명사가 형성되고 해석되는 원리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N+N'형 임시어 합성명사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지 못하였거나 쟁점이 되어 왔던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합성명사가 보이는 다양한 의미 관계의 유형을 체계화하고 형성 및 해석의 원리를 밝히는 데에 중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고에서는 단어 형성 연구에서 '임시어'와 '해석', 그리고 '맥락 정보'의 측면에 대한 고찰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데에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해 'N+N'형 합성명사를 포함한 단어의 형성 및 해석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도 체계적인 설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이 연구에서 기반으로 하는 이론적 전제 및 관점에 관련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2.1에서는 단어 형성 연구에 있어서 요구되는 대상의 범위와 접근법에 대한 입장을 제시하고, 2.2에서는 단어 운용의 두 측면인 형성과 해석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2.3에서는 합성명사의 형성 및 해석에 있어서 맥락 정보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2.4에서는 그동안 쟁점이 되어 온 합성어와 구의 판별 문제와 관련한 본고의 입장을 밝혔다. 3장은 합성명사의 '형성'에 관한 논의로 구성된다. 3.1에서는 화자의 관점에서 새로운 합성명사를 형성할 때 취하는 구조적‧의미적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3.2에서는 각 유형별 형성 양상과 그로부터 발견되는 특징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룬다. 의미적 전략은 크게 서술 구조를 기반으로 한 '관계 의미'와 은유와 환유를 기반으로 한 '비유 의미'로 나뉘는데, 이들은 합성명사를 형성할 때 복합적으로 활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각 전략의 하위 범주들은 구성성분 명사가 특정한 의미 속성으로 실현되는 경향을 보이거나 다른 전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3.1과 3.2의 논의가 합성명사의 구성성분을 중심으로 한 '내적 지식' 차원에 해당한다면, 3.3에서는 '외적 지식' 차원에 해당하는 '맥락 정보'가 합성명사 형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4장에서는 합성명사의 '해석'에 관한 논의로 구성된다. 특히 개별 형성 전략에 따른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해석 과정에서도 적용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심리학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4.1에서는 우선 단어의 의미 해석이라는 연구 대상과 실험 기반 연구 방법론 간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관계 의미'(4.2), '비유 의미'(4.3), '맥락'(4.4)과 관련된 세 가지 실험의 설계와 수행 과정, 그리고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합성명사의 형성과 해석 간에 상호 영향 관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5장은 앞에서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하여 합성명사의 형성과 해석 과정을 관장하는 원리를 밝히고(5.1), 본고의 논의가 단어 형성 체계 및 분류 전반에 있어서 어떠한 지위를 차지하는지에 대해 확인하였다(5.2). 본 연구에서는 내재적 원리로서의 '단어 틀', 외재적 원리로서의 '맥락 정보 제공 및 참조'가 합성명사의 운용에 대한 원리가 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5.1.1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논의된 단어 형성 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대안으로 '단어 틀'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5.1.2에서는 합성명사의 형성과 해석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원리와 절차를 제시하였다. 한편 본고에서는 '임시어 합성명사'를 대상으로 하여 형성과 해석의 전략과 원리를 밝히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논의가 단어 형성 체계 전반에서 지니는 지위와 의의를 확인하기 위하여 5.2.1에서는 공인화의 양상과 요인을 살펴보고 5.1.2에서는 두음절어, 혼성어, 파생어 등 다른 단어 부류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6장은 결론으로서 본고의 논의를 종합하여 정리하고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

      • 강교 도장의 열화도 평가 및 수명예측 기법에 관한 연구

        이찬영 부경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강교의 부식방지를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강교 도장의 유지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한 본 연구에서는 강교 주변 대기의 부식도 고찰, 강교 현장조사 데이터에 근거한 도막수명 예측, 화상처리기법을 이용한 강교 도막열화도 평가, 도막 외관 열화정보와 임피던스 측정값 간의 상관관계 등 총 4가지 세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강교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가장 기본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강교 주변 대기부식도 시험을 수행하였고, 최적 보수도장 시기 예측을 위해 기존에는 흔히 시도하지 않았던 현장 데이터에 근거한 강교도장 도막수명 예측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화상처리기법에 의한 평가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을 이용하여 화상처리에 의한 평가방법의 적정성을 검증하고, 도막 외관과 임피던스 측정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이 상관관계는 향후 도막의 외관에 대한 육안관찰만으로도 도막하의 수분축적 상태, 부식 진행상태 등의 세부정보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carried out to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of steel bridge coating, 4 detailed studies were executed, that is, atmospheric corrosivity around steel bridges, coating lifetime prediction based on data investigated in steel bridge field, evaluation of deterioration degree of steel bridge coating using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lationship between deterioration information of exterior view of coating and parameters measured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In order to acquir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maintenance of steel bridge coating, atmospheric corrosivity around 31 steel bridges located at marine, industrial, urban, mountainous, and rural districts was investigated. Coating lifetime prediction method, that have been rarely tried to apply, for decision of optimum maintenance time based on data collected in steel bridge field was suggested. Evaluation of deterioration degree of steel bridge coating using image processing method as a tool of reliability improvement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verify suitableness of image processing method, impedance of coated steel specimens was measured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relationships between deterioration information of exterior view of coating and parameters measured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were derived. It is expected that such relationships will be important means that detail electrochemical informations can be estimated just from visual imaging of exterior view of coating.

      •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들의 체육수업 참여 실태와 체육수업 만족도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이찬영 한국체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들의 체육수업 참여 실태와 체육수업 만족도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본 연구는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들의 체육수업 참여 실태와 체육수업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체육수업 참여 확대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서울시 초등학교 운동부에 소속된 학생 2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또한,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걸쳤으며, 수집 된 자료들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t-test, F검정, 사후검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유의수준 p<.05, p<.01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부 참여 동기, 체육수업 참여, 체육수업 만족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들이 체육수업의 중요도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타 교과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신체활동의 측면에서 학생들이 체육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운동부 참여 동기는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들의 성별, 학년, 참여 종목, 참여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 참여는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들의 성별, 참여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과 참여 종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학년이 다른 학년보다, 육상부 학생들이 수영부 학생들보다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수업 만족도는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들의 성별, 학년, 참여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 종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육상부 학생들이 수영부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부 참여 동기, 체육수업 참여, 체육수업 만족도간에 상관관계분석 결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의 운동부의 참여 동기가 높을수록, 체육수업 참여도가 높고, 체육수업 만족도 역시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