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준 대학원 졸업공연 '우리의 계절' 소논문

        이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공연 <우리의 계절>에서 연주된 곡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작곡된 곡들과, 편곡된 곡들의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석사과정 재학 중 학습했던 이론과 방법들 그리고, 필드에서 음악 활동 및 공연 등을 바탕으로 곡의 의도, 형식, 밴드 편성, 베이스 라인 바레이션 등을 편곡 구조에 따라 각각 분석하여 작품의 음악적 의도와 특징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졸업 작품은 총 7곡으로 4곡의 자작곡과 3곡의 기존 곡을 재 편곡하였는데, 각 곡에서의 <우리의 계절> 주제에 맞는 의도에 따라 곡의 리듬과 다이내믹, 악기 편성 등과 화성 등을 표현해 내었다. 특히 이 주제에서 연주자가 갖고 있는 경험으로서 함께 느끼고 공감하는 무대로 표현하였고, 악기 편성은 드럼, 베이스, 기타, 피아노 1,2, 보컬로서 리듬 섹션에 스트링과 패드, 신스 등을 추가해 나가는 형태를 가져갔다. 또한 MTR 을 이용해 리얼 브라스와 보컬 코러스 등의 사운드로 도움을 받았다. 이로써 각 계절을 더욱 느낄 수 있는 사운드로 표현해 나갔고, 각 곡마다의 베이스 연주 기법을 통해 공연의 주제로써 더욱 조화를 이루는데 중점을 두었다.

      • 산림토목사업 감리제도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준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2006년 8월 6일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산림분야의 사업에도 감리제도가 도입되어 실행되고 있다. 감리제도는 사업의 질적 향상과 투명성의 확보 등을 목적으로 실행되어 지는 제도로서 산림토목분야에 감리제도가 실행됨으로서 사업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오고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감리제도는 건설분야 등의 감리제도를 참고하므로서 산림토목사업이 갖는 사업지의 분산과 공사비 규모에 비해 과다한 사업기간 그리고 사업지의 분산 등 여러 특수성에 대한 고려없이 시행됨으로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제도의 시행 초기로서 감리원 업무범위의 사업적 특성의 미반영, 산림사업법인과 1급 산림공학기술자 자격만으로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원의 자격에 대한 문제점, 또한 감리의 업무에 비해 과소하게 책정된 감리비용 및 감리현장의 개소수에 대한 제한 등 여러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산림토목사업의 감리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첫 번째 사례인 2006년 집중호우피해복구공사에 대한 감리에서 나타났고 현재도 이러한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림토목사업이 갖는 특성을 고려하여 첫째, 감리메뉴얼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고 산림토목사업의 특성과 현실에 부합하는 감리의 업무범위 조정이 필요하며, 둘째, 감리업무의 전문화와 질적 향상을 위한 산림토목감리 전문업체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사업기간의 산정에 있어 사업비의 규모에 부합하는 적정 사업기간의 산정이 필요하고, 넷째, 감리대가의 산정에 있어서 감리업무내용에 부합하는 객관적인 감리대가산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방사업시공감리업무지침에서 규정한 3개소 계약초과 금지 규정에 대해서는 사업비와 사업 개소수에 대한 연동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산림토목사업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설 등의 타분야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는 분야로서 감리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산림토목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고 현행의 불합리한 제도에 대한 수정 및 보완으로 감리제도가 사업의 질적 수준 향상이라는 본연의 목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산림토목사업 감리제도의 효율화를 이루고 감리제도의 발전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산림사업의 감리제도의 정착과 발전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upervis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and carried out in the forest work since 'Law of Forest Resource Preparation and Management' came into effect in August 6, 2006. As supervision system enhances a work quality and transparency, the introduction of the supervision system in the forest work enhanced a forest work quality and transparency. However, the supervision system in the forest work brought about several problems because it referred to the one in the civil engineering without considering such facts as dispersion of work places and size of working expense. As the enforcement of the system is at the beginning, the problems were caused that characteristics within the affair of supervisor were not considered, a forest corporation or a first rated forest civil engineer can carry out the supervision, the supervision coat is too low relative to the heavy work, and the number of supervision fields is limited. These problems came out first in supervision the repair work of the area damaged by heavy rain in 2006 when the system came into effect, and still can be happened in the work. For solving these problems, at first there need the preparation of the supervision manual and the adjustment of the supervision scop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forest civil engineering, Secondly a special supervision corporation of forest civil engineering should be introduced for advancing the speciality and quality of the supervision. Thirdly the work period should be calculated suitably to the work size and fourthly the supervision cost should be assessed considering the content of supervision work. Fifthly the prohibition over three contracts in the guideline of erosion control supervision needs to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cost and the number. As the forest civil engineering is different with other civil engineering as mentioned above, its supervision need special knowledge and experience on forest civil engineering. Considering this, the improvement of work quality will be acquired through the revision and repletion of the system. I hope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and advancement of supervision system of forest civil engineering and more studies and reviews are needed for the firm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 高麗時代 石棺 硏究

        이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ulture of graves is relatively less volatile culture among the diverse cultures which human made, and it has obvious regionality and contemporary characteristic. The sort of tombs in Goryeo period is classified as pit burial, stone-lined chamber, stone chamber tombs, and stone-cist tomb(sarcophagus), and only sarcophagus was made by clay slate. Sarcophagus were used after secondary burial(洗骨葬) or cremation. Sarcophagus in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was built by assembling six slates and was embossed or engraved with the patterns of the Four Deities(四神),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peony, lotus, and Flying Apsaras(Flying Deva, 飛天) and the record of the owner of the tomb. In this sense, sarcophagus is the most outstanding material among art history, costume history, folklore, and funeral arts including epitaph related to history, literature, and caligraphy. Nevertheless, it hasn't received attention yet from the art history. Existing research results show the method of funeral or ideological foundations about sarcophagus, or deal with only one example individually.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lluminate the art-historical value of sarcophagus, examining the origin of sarcophagus and the position of the owner of the tomb who chose the sarcophagus and analyzing the structures and motifs of sarcophagus. First, about the origin of sarcophagus, stone-cist tombs and cremation tombs which existed before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sacrophagus in China were examined. Cremation tombs in the period of Unified Silla were chosen by the part of ruling class such as the royal family, Buddhist monks, and the Yookdoopoom(六頭品) mainly in the royal district, and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burial urn, stone case, stone-lined chamber, and stone cist. Burial accessories were the earthen image of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bronze ingots, scraps of iron, and so on. On examination of Chinese stone cist, funeral arts on a variety of subjects such as the Four Deities(四神),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procession had already been developed since the Han period, and the form that the pattern of the Four Deities(四神) and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are engraven was not changed though the expressions were differen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epitaphs of Goryeo made of the same quality of the material of sarcophagus was produced before the period when sarcophagus of Goryeo was emerged, and among those epitaphs, the oldest things which inherited until now are the epitaphs of Chae In-beom and Yu Ji-seong who were naturalized from China. In addition to them, some naturalized people were engaged in ritual work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fact that the regulations about funeral in Goryeo were organized at that time can be found in the records. Through this, the origin of sarcophagus is assumed that it was developed from the cremation tomb chosen by some ruling class of Unified Silla and changed to ornament the Four Deities(四神) or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on the four wall stones by emboss or petrogram under the Chinese influence. Also, the status of the owner is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sarcophagus or the epitaph produc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sarcophagus. In the case of 23 examples of 45 sarcophagi which have examined until now, the owner of sarcophagus can be identified. On investigation of the owners focused on the process of holding the government position, final position, and the family, they held the government position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s, the protected appointments, or making a contribution, and stayed over the fifth grade of office. Most of them belonged to hereditary aristocracy including famous royal in-law families. Judging from this, the fact that cremation tomb of Unified Silla was turned into the way of culture which was enjoyed by hereditary aristocracy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in the period of Goryeo. The evidence of this is the similar periods in which hereditary aristocracy was built and in which sarcophagus emerged. The structure of sarcophagus consist of the foundation stone which plays a role of floor, wall stones which compose the four sides with four slates, and cover stone. The assembling method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methods: the structure style and the joint style. The structure style is inserting the part of wall stones into the ring or hole made in each other, and the joint style is interlocking the long wall stones into the shallow grooves which is cut on the short wall stones vertically. Images are generally ornamented o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four wall stones and cover stone as the raised carving or the petrogram. On the outside of wall stones are mainly decorated the Four Deities(四神) and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and on the inside of wall stones are the peony motifs. The images of lotus, Flying Apsaras(Flying Deva, 飛天) and constellations are carved on the cover stone. These images are only different in terms of forms, and similar to general subject decorated on burial system in Korea or on Goryeo Celadon and the object of metal craft at that time. In this respect, sarcophagus shows simultaneously universal arts and funeral arts of Goryeo. Sarcophagus was produced actively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the twelfth century, and the appearance of style and shape was somewhat multiple. However, the amount of sarcophagus was definitely decreased since Goryeo military regime. In this regard, the estimation can be arised that there were two backgrounds. First, because hereditary aristocracy which mainly selected sarcophagus loose their footing at the central government, their culture changed. Second,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Buddhist funeral system was prohibited and burial place was also changed from temple to one's own house. This seemed to cause sarcophagus to decline and moreover become extinct. This is in the same vein of trend of thrifty tombs rather than lavish tombs in East Asia in the fourteen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t burial system inherited from the period of Unified Silla and of foreign culture, the only prefabricated tomb type of Goryeo formed, and due to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ism, the tomb type disappeared. In this sense, the sarcophagus style is a typical example to demonstrate the process where material culture is built and disappears naturally in human living..

      • 통일교 대학생을 위한 비전홈그룹 프로그램 개발

        이준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생들에게 인생을 살아갈 비전과 사명을 갖게 하는 교육이 미치는 영향은 다른 어느 시기 때보다 강력하다. 비전홈그룹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게 된 배경은 (1) 통일교 대학생의 신앙과 진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2) 기존의 자아성장프로그램과 진로탐색프로그램의 한계인 영성에 대한 배제를 극복하고, (3) 통일교의 진리체계에 따른 진로상담프로그램이 필요하고, (4) 개인의 비전을 넘어선 공동체의 비전을 함께 성취해 나가는 훈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비전홈그룹프로그램의 목적은 (1) 통일교 대학생으로서의 명확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2) ‘하나님의 자녀’라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개인의 비전과 사명을 수립하고, (3) 홈그룹의 비전과 사명을 수립하는 훈련을 통해 교회나 사회공동체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비전홈그룹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주요 인간발달이론을 정리하여 대학생 교육에 적용할 내용을 추출하였다.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주요 발달이론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자아정체성의 기반 위에 세워진 삶의 비전과 목표는 대학생에게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삶의 비전과 목표는 자신이 속한 신앙공동체나 사회공동체와 조화되는 방향으로 이끌고 나가야 한다. 둘째, 자아정체감에 대한 이해와 통일원리적 관점에서의 자아정체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아만의 독특성에 대한 자기이해와 수용이 필요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성 속에서 자아를 개방하면서 인간관계 속에서 자아의 역할에 대한 책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통일교 대학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아정체감은 “하나님의 자녀”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자녀이기 때문에 자신은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목적의식이 생기게 된다. 셋째, 개인의 비전과 사명의 중요성과 그것을 수립하고 성취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통일원리적 관점에서는 3대축복을 완성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고, 3대축복을 완성한 본연의 인간이상이 바로 우리의 비전이다. 3대축복 중에서 제3축복인 주관성완성을 개인의 비전과 사명으로 범위를 제한해 보았다. 넷째, 개인을 넘어선 홈그룹의 비전과 사명을 수립하고 성취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통일교의 비전과 사명은 ‘하나님의 참사랑’을 상속받아 ‘한 하나님 아래 인류한가족’을 이루는 것이다. 홈그룹의 비전과 사명은 통일교의 비전과 사명을 이루기 위한 세부적인 내용이 되어야 한다. 비전홈그룹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라 크게 3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명확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으로 1회기는 하나님을 느껴보기, 2회기는 나의 인생속에 역사하시는 하나님 발견하기, 3회기는 참사랑의 하나님 발견하기, 4회기는 하나님께서 주신 나의 장점과 가치 발견하기로 구성하였다. 2단계는 개인의 비전과 사명을 수립해서 도전해 나가는 훈련을 하는 과정으로 5회기는 내 삶의 핵심가치를 발견하기, 6회기는 나의 사명발견하기, 7회기는 사명성취를 위한 미래계획세우기, 8회기는 비전을 이루는 미래상상하기로 구성하였다. 3단계는 비전홈그룹의 공통목표를 세워서 훈련해 나가는 것으로, 9회기는 홈그룹의 비전과 핵심가치를 만들기, 10회기는 비전을 이루는 과정을 연극대본화하기, 11회기는 비전성취연극 상영하기, 12회기는 마무리프로그램으로 후회하지 않은 인생을 살기 위한 다짐하기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비전홈그룹프로그램을 통일교 대학생들에게 적용할 경우 예상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 대학생으로서 ‘하나님의 자녀’라는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게 될 것이다. 둘째, ‘하나님의 자녀’로서 자신의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스스로 결정하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게 될 것이다. 셋째, 통일교 식구공동체로서 하나님의 나라인 천일국을 창건하는데 필요한 자질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프로그램의 발전과 대학생목회에 적용하기 위해 다음의 3가지를 제언한다. 첫째, 본 프로그램이 실제 대학생 목회현장에 적용되어 수정보완되어야 한다. 비전홈그룹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직접 발견하여 개선발전하지 못한 것이 아쉬운 점이다. 둘째, 본 프로그램을 목회현장에 원활히 적용하기 위해서 목회자나 홈그룹리더는 집단상담능력을 갖추고 있고, 비전과 사명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이 현장에 적용된 뒤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보아야 한다. 프로그램의 목적이었던 자아정체감은 얼마나 확립되었고, 자신의 사명과 비전은 얼마나 발견되었으며, 공동의 비전을 성취해 나가는데 필요한 자질은 얼마나 향상되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이 되어야 한다.

      • 팔봉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조사 연구

        이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충남 서산에 위치하고 있는 팔봉산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관속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지조사는 2012년 3월부터 2013년 8월까지 17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58속 372종 2아종 40변종으로 총 37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374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병꽃나무, 가는장구채, 옥년꽃대, 벌개미취, 산비장이, 둥근이질풀, 신이대, 털중나리, 개나리, 수수꽃다리, 오동나무, 흰바디나물 12분류군이었으나 개나리는 식재종으로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두루미천남성, 망개나무 2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V등급은 자리공, 망개나무 2분류군, IV등급은 왜갓냉이, 측백나무, 산복사 3분류군, Ⅲ등급은 단풍나무, 호랑가시나무, 꽝꽝나무, 긴병꽃풀, 낭아초, 왕초피나무, 참당귀 7분류군, Ⅱ등급은 곰취, 주목 2분류군, I등급은 두루미천남성, 오갈피나무, 왜박주가리, 반디지치, 울괴불나무, 사철나무, 뻐국채, 돌외, 대극, 굴참나무, 금낭화, 조개나물, 천문동, 흰여로, 이팝나무, 까치수염, 투구꽃, 백선, 동백나무, 거지덩굴을 비롯한 2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Ⅲ등급 꽝꽝나무 그리고 I등급에 속하는 오갈피나무, 사철나무, 금낭화, 이팝나무, 동백나무는 식재종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귀화식물은 11과 26속 30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UI) 9.3%, 귀화율(NI) 80.2%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에서는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두루미천남성, 망개나무 2종이 확인되었다. 도시의 발달과 인구유입에 의한 귀화식물 비율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계획이 가시화 되면서, 그 결과 기존 식물상 조성에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생태계교란야생식물에 포함되며, 왕성한 번식력으로 식생을 황폐화시키는 애기수영이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되었기에 앞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분포 범위가 확산되지 않도록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was based on the survey of Mt.Palbong in Seo-san in Chungnam.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2 to August, 2013 with total 17 times. As the result of this survey, The vascular plants were verified as total 374 taxa of 91 families, 258 genera, 332 species, 2 subspecies 40 varieties. Korean endemic plants of surveyed 328 taxa were 12 taxa calle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Melandrium seoulensis Nakai, Chloranthus japonicus var. koreanus (Nakai) T.B.Lee, Aster koraiensis Nakai, Serratula coronata var. insularis Kitam., Geranium koreanum Kom., Sasa coreana Nakai, Lilium amabile Palib.,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Syringa dilatata Nakai, Paulownia coreana Uyeki, 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var. distans (Nakai) Kitag. but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was identified as planting specie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Korean Forest Service were 2 taxa called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ino) Koidz. ClassⅤ includes 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ino) Koidz. 2 taxa, and classⅣ includes Cardamine yezoensis Maxim., Thuja orientalis L., Prunus davidiana (Carri?). 3 taxa, class Ⅲ was verified as 7 taxa including Acer palmatum Thunb., classⅡ includes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2 taxa, classⅠ was verified as 20 taxa including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Of them as belonging to the grade class Ⅲ Ilex crenata Thunb. and class I belonging to the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 Euonymus japonicus Thunb., Dicentra spectabilis (L.) Lem.,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Camellia japonica L. was identified as planting species. Naturalized plants proved as 11 families 26 genera 30 species, in addition to indices called (UI) 9.3% , (NI) 8.1%. Within this investigated area,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ino) Koidz. in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Korean Forest Service. Due to development of town and the influx of the population, existing flora are expected to appear on the changes, because of the tidal power generation in Garorimman, the rate of naturalized plants will increase gradually in the future. As the result of this, it will bring about changes in creation of existed flora. From now on, under consecutive monitoring for not proliferating scope of distribution, it will be thought to carry out systematic management.

      • 고려 무신정권기 환관의 정치적 역할과 의미

        이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무신정권기를 기점으로 하여 고려시대 환관의 활동과 역할에 대해 살펴 본 연구이다. 한국사에서 환관의 존재는 신라시대부터 찾아진다. 하지만 신라시대의 환관에 대한 기록이 소략하여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환관의 구성과 역할에 대한 내용은 고려시대에 들어 확인된다. 무신정변 이전 환관은 적은 숫자로 유지되면서 궁중잡역에 한정된 역할만을 수행했다. 문종대 환관의 숫자가 10여 명으로 구성되었고 궁내의 간단한 업무만을 맡았음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한편 문종대 액정국 남반직이 정비된 것에 영향을 받아 점차 환관의 활동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특히 예종~인종대를 거치면서 환관의 규모가 크게 확장되었으며, 정치 문제에 관여하거나 국왕에게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이는 의종대 환관이 국왕의 측근세력으로 등장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한편 환관은 의종대 왕권 강화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총애와 권력을 획득할 수 있었다. 하지만 환관의 권력 획득은 의종대 정치적 파행의 한 요소가 되어 무신정변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무신정변이 일어나면서 환관의 정치적 영향력은 급감했다. 무신정변으로 인해 의종이 폐위되고 많은 수의 환관이 주살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의종의 실정이 부각되면서 환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왕인 명종은 환관과 일정한 거리감을 두었다. 명종은 의종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어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명종 후반부 이의민이 집권하면서 환관은 다시금 국왕의 측근세력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최충헌 집권 이후 국왕이 ‘木偶人’이라 불린 정도로 왕권이 축소되면서 환관의 활동이 다시 감소했다. 한편 최항이 집권할 때에는 김준을 통해 환관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만큼 집권자와 환관이 밀접한 관계를 맺기도 했다. 무오정변이 일어나면서 환관의 활동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특히 김준 제거에 참여하면서 환관은 국왕의 핵심적인 측근세력이 되었다. 또한 몽골의 군사력에 힘입어 무신정권기가 종식되고 왕정복고가 이루어지면서 환관의 홛동과 정치적 영향력이 증가했다. 원종~충렬왕대 국왕과 환관 사이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환관의 신분을 뛰어넘는 권력을 누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충렬왕대에는 국왕이 자신의 목적에 따라 환관이 치부한 재산을 압류한 정황이 찾아진다. 이러한 모습은 국왕이 환관을 확실하게 통제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국왕과 환관 사이의 관계는 왕권이 사유화·상대화되는 과정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The existence of eunuchs in Korean history dates back to the Silla Period. However,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unuchs of the Silla period is not known because the records of the eunuchs were summarized. Information on the composition and role of eunuchs was found during the Goryeo Period. Previously a political excitement about Military official, the eunuchs were kept in small numbers and played only a simple role in the palace. The reign of King Munjong the eunuch system was overhauled, the activity of eunuchs began to increase.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eunuch was greatly expanded through the passing of King Yejong and Injong, and eunuch was involved in political affairs or exerted political influence on the king. As military coup detat took place, the political influence of eunuchs plummeted. This is because King Uijong was deposed and a large number of eunuchs were killed. In particular, negative perceptions of eunuchs prevailed as the actual situation of Uijong’s maladministration was highlighted. However, as Lee Eui-min came to power, eunuch again emerged as a close ally of the king. However, after Choi Chung-hun's reign, the royal authority was reduced, and the activities of eunuchs declined again. Meanwhile, when Choi Hang was in power,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uling party enough to exert influence on the eunuch through Kim Jun. With the political change taking place under the leadership of Kim Jun, the activities of eunuchs began to increase. In particular, eunuchs became a key aide to the king as he participated in the elimination of Kim Jun. Also, thanks to Mongol military power, the royal authority was restored, increasing the power of the eunuchs and political influence. This is becaus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eunuch became closer, they were able to enjoy power beyond the status of the eunuch.

      • 甘松香이 HL-60 세포의 세포자별사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이준 圓光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마타리과에 속하는 甘松香은 전통의학에서 건위와 진정작용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甘松香 물추출물의 인간 전골수구성 백혈병세포주인 HL-60세포에 대한 아폽토시스와 분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甘松香 물추 출물의 세포독성효과는 HL-60세포의 생존율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 다. 甘松香 물추출물 200 ㎍/mL의 농도에서 HL-60세포는 아폽토시스가 유도되었고, caspase-3, 8, 9활성을 시간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PARO 분절도 증가시켰다. 甘松香 물추출물은 Bid 단백질의 절편화를 통하여 미 토콘드리아로부터 세포질로 시토크롬 C의 방출을 유도하였다. 그렇지만 Bcl-2와 Bax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100 ㎍/mL의 농도에서 HL-60세포는 세포분화가 유도되었다. 甘松香 물추출물에 의해 분화된 HL-60세포는 CD11b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NBT활성도 증가하였다. 甘松 香 물추출물은 HL-60세포의 G1기 정지를 유도하였고, CDK inhibitor인 p27Kip1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甘松香 물추출물은 HL-60세포 를 caspase활성과 Bid 절편화, 시토크롬 C방출을 통하여 아폽토시스를 유도하였고, p27Kip1 발현증가에 의한 G1기 세포주기 정지를 경유한 세 포증식억제를 통하여 과립성백혈구 분화를 유도하였다. Nardostachys chinensis belonging to the family Valerianaceae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elicit stomachic and sedative effects. It was reported that the water extract of N. Chinensis induced the apoptotic cell death and differentiation in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s. The cytotoxic activity of N. Chinensis in HL-60 cells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Several methods were used for the detection of apoptosis to determine which reactions were involved in N. Chinensis-induced apoptotic cell death. The high-dose of 200 ㎍/mL of N. Chinensis to HL-60 cells showed cell shrinkage, cell membrane blebbing, apoptotic bodies, and the fragmentation of DNA. The treatment of HL-60 cells with N. Chinensis time-dependently induced the activation of caspase-3, caspase-8, and caspase-9 and the proteolytic cleavage of poly(ADP-ribose) polymerase. N. Chinensis also effectively cleaved Bid protein and induced the subsequent release of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into the cytosol. However, it did not affect Bcl-2 and Bax expression. The effect of N. Chinensis on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HL-60 cells was determined through the expression of CD11b and CD14 surface antigens using flow cytometry and nitroblue tetrazolium (NBT) assay, and through the analysis of cell cycle using propidium iodide assay, respectively. N. Chinensis induced the differentiation of HL-60 at the low-dose of 100 ㎍/mL treatment, as shown by increased expression of differentiation surface antigen CD11b, but the expression of CD14 did not increased. The activity of NBT was also increased. The analysis of cell cycle using flow-cytometry indicated that N. Chinensis markedly induced the arrest of G1 phase in HL-60 cells. It was examined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lated proteins in G1 phase, p27Kip1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HL-60. The expression of CDK inhibitor p27Kip1 were markedly increased by N. Chinen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N. Chinensis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through activating caspases, Bid cleavage, and Cytochrome c release and potently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HL-60 cells via the G1 phase cell cycle arrest in association with p27Kip1 and granulocytic differentiation in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