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입체선형의 시거와 주행속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이정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시거는 안전한 도로의 설계와 운영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설계기준의 하나이다. 특히 정지시거는 운전자가 진행방향의 전방에 있는 장애물 또는 위험요소를 인지하고 제동을 걸어 정지할 수 있는 길이를 말하는데, 도로선형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도로 전 구간에 걸쳐 정지시거가 확보되도록 설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도로의 선형을 결정 지우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도로의 안전성 평가는 Leisch(1977)에 의하여 시작된 방법으로 ‘△V=10mph법칙’으로 불리는 ‘속도차(△V)’를 이용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속도차와 시거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시거와 안전성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향후 도로 안전 문제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도로의 안전성을 분석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주행 안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도로의 선형과 노면 상태에 대한 안전성 분석이 시급한데 그 중 선형 조건에 따른 시거와 그에 따른 안전성 분석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며 시거와 속도와의 관계가 명확하게 분석된 자료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7월에서 8월까지 전남지역의 지방부 2차로 도로 인 국도 15, 24, 29호선의 입체 선형 구간의 기하구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하구조 요소 및 유형을 구분하여 교차로, 횡단보도 등과 같은 각종 교통통제 시설의 영향이 최소화된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지점에서 실제 도로의 주행속도를 조사하고 시거를 산정한 후, 도로의 선형조건에 따라 계산된 시거가 주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도로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술개발 및 도로 안전성 평가지표 개발 등의 연구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Sight distance is an indispensable design element for design and operation of safety highway. Driver's sight do not have to obstruction by highway alignment. Sight distance must ensured on road. Sight distance is a important standard to determine highway alignment. Speed difference have application to evaluation of safety. relationship between sight distance and safety can understand by correlation analysis sight distance and Speed difference. We collect geometric element of two lane rural highway in 2005. Collected data is divided geometric element of road type. Investigation point is selected minimum of traffic control facilities effect such intersection and crosswalk. Operate speed of investigation point is measured and sight distance is calculated. sight distance effect to operate speed is analyzed on road types. This study contribute technical development of highway safety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highway safety evaluate standard.

      • 자율신경계 작용 평가를 위한 심박변동 신호의 시주파수 분석 시스템의 설계

        이정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자율신경 작용을 비관혈적인 방법으로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하여 고성능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시주파수 분석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분석 시스템의 평가를 위하여 정상인 29명을 대상으로 직립부하에 대한 자율신경 작용 및 적응성 실험, 정상인 19명과 68명의 실신환자를 대상으로 isoproterenol 정주 기립경사 실험을 실시하여 심박변동신호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심박변동신호를 FFT, AR 모델링에 의한 주파수 분석과 평활화된-의사 위그너-빌(smoothed-pseudo wigner-ville) 함수에 의한 시주파수 분석을 행하였다. 심박변동신호의 시주파수 분석을 통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리 변화하는 자율신경계 작용을 관찰하고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시주파수 분석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시간으로 많은 양의 심전도 데이터로부터 심박변동신호를 유도하기 위하여 위상학적 맵핑을 이용한 심전도 QRS군을 검출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전도의 QRS파 검출을 위한 위상궤적을 재구성함에 있어 지연시간은 20ms로 설정하였을 때 가장 좋은 검출능력을 보였으며, 이는 Fill-factor법에 의해 추정된 지연시간 20.76ms와 일치하였다. (2)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MIT/BIH 부정맥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 결과, 잡음이 심하게 혼재되었을 뿐만 아니라 심실조기수축(PVC), 기이한 파형의 왜곡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방법보다 0.12 % 향상된 99.58 %의 높은 검출률을 얻었다. (3) 기존의 QRS 검출방법보다 단순화된 과정으로 구성된 본 알고리즘은 소형의 심박동 검출기나 홀터 분석장치와 같이 단시간 내에 많은 QRS군을 검출해야만 하는 경우에 더욱 효율적이다. (4) 정규화된 전력스펙트럼 상의 교감신경계의 작용(LF_(N)성분)과 부교감신경의 작용(HF_(N)성분)은 직립부하에 대한 자율신경계 작용을 잘 반영하였으며, 직립부하시 LF_(N)성분은 교감신경의 작용을 반영하는 지표로, HF_(N)성분은 부교감신경(vagal)의 작용을 나타내는 지표로 유용하다. (5) head -up tilt와 같은 직립부하는 자율신경계의 불균형(교감신경계의 증가와 부교감신경계의 감소)을 초래하였으며, 틸트테이블의 각도의 증가에 따른 혈압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서 작용하는 심혈관계 제어시스템의 활동을 교감신경계의 활동증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6) 심박변동신호에 대한 CDM과 시주파수 분석 방법은 시간에 따른 자율신경계 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교감신경의 작용은 분석구간을 통하여 계속적인 우위를 지키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부교감신경(vagal)은 호흡중추의 간섭으로 인하여 분석구간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AR 모델에 의한 분석 구간의 전체 전력스펙트럼은 교감신경의 간헐적인 작용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평활화된-의사 위그너-빌 함수에 의한 심박변동신호의 시주파수 분석에 있어서 주파수 경계특성(marginal properties)은 전력의 정규화(normalization)을 통하여, 자율신경계 작용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가 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주파수 분석을 통한 자율신경계 작용의 평가는 분석구간 동안의 자율신경계 작용의 평가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자율신경계 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방법이다. (8) 실신환자의 기립 경사도 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인 환자들은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들과는 달리 실신이나 실신 전 단계의 증상이 유발되지 않기 때문에 LF_(N)성분의 큰 변화가 없으며, HF_(N)성분이 감소하는 경향으로,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나타내는 LF_(N)/HF_(N) 비에는 별다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9) 실신환자의 기립 경사도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들은 실신이 일어나기 직전에 교감신경의 작용이 감소하고 부교감신경(vagal)의 작용이 항진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10) 실신환자의 기립 경사도 검사에서 정상인의 경우, 음성 반응 환자와 마찬가지로 4단계에서 LF_(N)성분은 항진되고 HF_(N)성분은 감소하며, 그 결과 4단계에서의 LF_(N)/HF_(N) 비가 명확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1) 실신환자와 정상인의 아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 정주 기립검사를 통하여, 미주 신경성 실신 환자들의 경우에는 일상 생활에서는 정상인과 다른 중요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지만 기립 경사도 검사와 같은 직립부하의 자극에 대한 자율 신경계의 반응이 정상인 혹은 음성 반응을 보인 환자 군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기립검사를 통한 자율신경계의 활동 평가함으로써 미주신경성 실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본 논문에서 제작한 분석 시스템은 자율신경계의 작용을 잘 평가하고 있으며, 특히, 심박변동신호에 대한 시주파수 분석은 아직 까지 규명이 되어지지 않은 자율신경계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작용을 관찰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그러나, 외적인 환경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자율신경계의 생리학적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피검자에게 심리적 부담감을 전혀 주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심혈관 신호의 측정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진보적인 심혈관 신호측정 장치의 연구가 지속된다면, 기존의 접촉식 전극을 이용한 자율신경계의 작용을 새로운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으며, 기존의 알려진 자율신경계의 역할과 작용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autonomic function analysis system was developed to measure non-invasively and to assess the autonomic function effecting on cardiovascular system. Head-up tilt test for 29 normal subjects to assess the autonomic adaptation to orthostatic stress, and for 19 normal subjects and 68 patients with vasovagal syncop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signals were performed, and the cardiac event series obtained during test, were analyzed using FFT, AR power spectrum and time-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Wigner-Ville distribution derivatives. From the time-frequency analysis, new indexes of autonomic function was proposed and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To process lots of ECG signals from experiments, the new real-time QRS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topological mapping method was propo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reconstructing phase portrait to detect QRS complex in ECG singnal, the time-delay of 20 ms was best matched the result of estimation 20.76 ms using fill-factor algorithm, which showed the best detection rates. 2.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posed real-time QRS detection algorithm to MIT/131H arrhythmia database, although severe noise contamination and wave distortion, the proposed algorithm produce 99.58 % detection rates, which is 0.12 % higher than existing methods. 3. More simplified processing steps in the proposed real-time QRS detection algorithm, It is more efficient to apply the proposed algorithm for small cardiac event detector or holter analysis system, which requires a lots of QRS detection process in a moments. 4. LF_(N) and HF_(N) in a normalized power spectrum reflect the predominanc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ies, and are useful indexes of the sympathetic and the parasympathetic activities, respectively. 5. Orthostatic stress like a head-up tile test, caused the unbalanc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s the tilt-table angle increased, the activity of cadiovascular system to sustain the homeostasis observed by the increase of the sympathetic activity. 6. Complex demodulation method and time-frequency analysis of the HRV signals, showed dynamic activiti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ccording to time elapse. From these observation, the fact that the sympathetic activity was not predominant during the observation, but, it was intermittently predominant. As a result, the power spectrum of analyzing HRV signal segment using existing AR modeling, was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intermittent sympathetic activity. 7. The frequency marginal property in time-frequency analysis of HRV signal was useful index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Thus, time-frequency analysis of HRV signals is a useful method to assess the autonomic function and to observe the dynamic chang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ccording to the time elapse. 8. In tilt-test of patient with syncope, the positive response group showed a decrease of the sympathetic activity(LF_N portion) immediately after isoproterenol injection and a increase of the parasympathetic activity(HF_(N) portion)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e LF/HF ratio decreased immediately before syncope. 9. In tilt-test of patient with syncope, the negative response group showed a increase of the sympathetic activity(LF_(N) portion) immediately after isoproterenol injection and a decrease of the parasympathetic activity(HF_(N) portion)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e LF/HF ratio did not changed too immediately after isoproterenol injection. 10. In tilt-test of patient with syncope, the normal subject group, similar to the negative response group, showed a increase of the sympathetic activity (LF_N portion) and a decrease of the parasympathetic activity(HF_(N), portion) immediately after isoproterenol injection. As a result, the LF/HF ratio increased immediately after isoproterenol injection. 11. Through the isoproterenol provocation tilt-test of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syncope, patients with vasovagal syncop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life, but, the response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o orthostatic stress was different from the normal or negative response subjects. From these result, it is useful method to examine the origin of vasovagal syncope by assessing the autonomic function through head-up tilt test. In conclusion, the developed autonomic function analysis system using time-frequency method well accesses non-invasively the ANS's role in regulation of cardiovascular control system. Especially, it is expected to elucidate the unknown ANS's role which is changing dynamically by using time-frequency method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ime-frequency analysis in heart rate variability signals may provides a very powerful non-invasive tool for assessing cardiovascular regulation in health and disease.

      • 에어컨 실내기의 음질 평가 프로세스 정립에 관한 연구

        이정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전제품은 현대 사회의 생활에 흡수되어 생활 필수품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전제품의 소음은 소비자들에게 반응과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가전제품의 소음 데이터만으로 소음 및 음질을 평가 할 수 있는 인덱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상태 운전 중 발생하는 에어컨 실내기의 진동 및 소음원 파악과 이러한 소음원에 대한 정략적 기여도 분석을 위해 음향 인텐시티 및 전달경로해석 법을 적용하였다. 에어컨 전방 및 후방의 음향 인텐시티를 통해서 진동 소음원 등의 위치를 판별하고, 전달경로 해석을 이용하여 출력소음에 대한 내주에 존재하는 다양한 소음, 진동원에 대한 기여도를 정략적으로 분석하였다. 에어컨 소음의 음질 인덱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에어컨 소음의 객관적, 주관적 음질 평가를 수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상관분석, 주성분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하여 에어컨 출력소음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 있는 음질 평가 프로세스를 구축한다.

      • 저탄소 녹색도시 정량평가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이정환 강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Korea, the low carbon green city is defined as the city leading green growth by reducing greenhouse gas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rough the reform of urban infrastructure and life style for low carbon emission and by creating new growth power and jobs. To achieve the goal of economic growth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Korea is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various plans to actualize low carbon cities. In the pas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many planning items and evaluation technologies to accomplish low carbon green cities. But they tend to be ambiguous in the use of determining political decisions for the development of cities with a quantitative goal because only qualit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main objective to develop an evaluation indicator that can present a quantitative goal i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low carbon green cities. We attempted to provide municipalities with an objective standard for political decision making to set and evaluate the level of low carbon green cities with a quantitative indicator. Major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described below. 1. Based on candidate indicators derived after review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examples for low carbon green cit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literatures, actual planning items for low carbon green cities, on low carbon green cities were analyzed, and the final 12 indicators including new &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index, carbon sink improvement index, and carbon neutral index were derived. The indicat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was set to indicate the level of environmental response in % compared to the current level of environmental pressure for each indicator. We are verifying and discussing the possibility and application of the indicator for a total of 163 municipalities including Metropolitan cities having 69 units of autonomous districts, and other local governments in the nation. 2.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indicator for the municipalities in the nation showed a minimum of 0.62, a maximum 67.40, and an average of 41.59 (±14.92). The top three municipalities were Yeongdeok-gun (63.67), Injae-gun (62.78), and Shinan-gun (60.95). Among them, Yeongdeok-gun showed distinguished numbers in the new &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index (53.68) and carbon sink improvement index (100). In particular, the new &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index (53.68) was extremely high compared to other areas because it is generating power sufficient for 20,000 households per year with the construction of a large scale offshore wind power complex. Environment Conservation Index Results showed a minimum of 65.26, a maximum of 99.70, and an average of 90.84 (±5.62). The top three municipalities included Injae-gun (99.70), Donghae City (99.39), and Andong City (99.32). In case of Injae-gun, 99.70% (1,225.97km2)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Reserve, Seoraksan National Park, and the Mt. Daeamsan Yongnup Conservation Area is conserved, compared to the required ecosystem conservation area (1,229.62km2). Water Circulation Index Analysis showed a minimum of 38.83, a maximum of 99.52, and an average of 85.18 (±10.84), and the top three were Gapyeong-gun (99.52), Chuncheon City (98.00), and Injae-gun (97.97). In Gapyeong-gun, permeable areas including streams, forest, and agricultural areas were 828.33 km2, accounting for 99.52% of the administrative boundary area (832.33km2). Carbon Sink Index Analysis showed a minimum of 0, a maximum of 4,234.30, and an average of 191.53 (±585.46), and municipalities including Guryae-gun (4,234.30), Yeongyang-gun (2,580.15), and Jinan-gun (2,263.67) exceeded 100. In case of Guryae-gun, 339,217 tons of carbon were emitted, which means 100% is stored by the carbon sink which has a carbon storage capacity of 14,363,480.00 tons. Green Transportation Index Analysis showed a minimum of 7.85, a maximum of 63.94, and an average 26.37 (±14.78), and top three metropolitan areas were Daegu Metropolitan City (63.94), Seoul Metropolitan City (51.68), and Gyeongki-do (40.16). Daegu Metropolitan City reduced 58 diesel buses from 109 units in 2009 to 51 units 2010. The replacement and operation of diesel buses with CNG buses, which emit less carbon, reduced 63.94% of carbon from the previous carbon emission of 2,177,000 tons. Green Network Index Analysis showed a minimum of 2.70, a maximum of 93.50, and an average of 22.10 (±17.24), and the top three were Ulleung-gun (93.50), Sogcho City (84.95), and Pyeongchang-gun (83.81). In case of Ulleung-gun, the required network area is 60.93 km2, and the maximum network area is 56.97km2, indicating 93.50% of green areas are connected. Natural Environmental Capacity Index Analysis showed a minimum of 0.08, a maximum of 100, and an average of 19.27 (±23.57), and 22 municipalities including Jinan-gun (100), Goheung-gu (100), and Sunchang-gun (100) exceeded 100. In case of Jinan-gun, the number of ecological footprints was 2.21 ha/person, which is lower than per capita land area of 2.88 ha/person. This means citizens of Jinan-gun are using 0.67ha/person less land than given. Green Business Process Index Analysis showed a minimum of 0, a maximum of 100, and an average of 12.76 (±25.76), and top three included Changwon City (68.57), Yesan-gun (59.31), and Hwasun-gun (58.72). Changwong City emitted 66,055.48 tons of carbon from major processes in 2009, and reduced 68.57% or 45,294.67 tons of carbon in 2010 through improvements of the steel production process. New &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Index Analysis showed a minimum of 0, a maximum of 53.68, and an average of 1.15 (±5.53), and top two municipalities were Yeongdeok-gun (53.68) and Hwasun-gun (43.51). Hwasun-gun ranked high as it utilizes the new & renewable energy by constructing wind power and solar power generation complexes which supply power to residents, then selling spare power to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Low Carbon Resource Circulation Index Results showed a minimum of 0, a maximum of 99.56, and an average of 18.31 (±27.31), and top three municipalities were Shinan-gun (99.56), Injae-gun (94.92), and Donghae City (94.44). In case of Donghae City, the amount of incinerated domestic wastes was 3,394.55 tons in 2009 but reduced by 3,205.60 tons in 2010, resulting in decrease of 30,309.49 tons (94.44%) of carbon. Green Air Purifying Capacity Index Analysis showed a minimum of 0.19, a maximum of 100, and an average of 72.14 (±38.54), and 94 municipalities including Pyeongchang-gun (100), Jeonseon-gun (100), and Changnyeong-gun (100) exceeded 100. In case of Changnyeong-gun, the emission of SO2 and NO2 was 294.89 tons and the purification of SO2 and NO2 by green area was 837.59 tons, which was total amount of SO2 and NO2 purified. Carbon Neutral Index Analysis showed a minimum of 0, a maximum of 100, and an average of 67.99 (±43.01), and 98 municipalities including Yangku-gun (100), Yangyang-gun (100), and Injae-gun (100) had 100. In case of Yangku-gun, the carbon reduction by the carbon sink (483,987.93 tons) exceeded the carbon emission (215,769.25 tons), meaning the carbon neutral is exceeding the goal of carbon sink. On the other hand, the new &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0.44) and the low carbon resource circulation index (12.08) were evaluated as low, suggesting a need for improvement to increase the overall evaluation results. 4.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was applied for the Gangneung Low Carbon Green Demonstration City, which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The resul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for the current indicators was 25.59, which is lower than that of Gangneung City (36.22). Other indicators were also found low: new &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0.08), low carbon resource circulation (-10.42), natural environmental capacity (1.56), green network (26.97). In particular, the low carbon resource circulation index showed a negative value due to the increase of domestic wastes each year. The results of the indicator application for the Gangneung Low Carbon Green Demonstration City showed that the overall average was 82.95 with new &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index (88.53), green transportation index (83.33), low carbon resource circulation index (84.90), and water circulation index (81.69).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low carbon green cities, we were able to diagnosis the status of the low carbon green cities, to support setting the quantitative goal for each index, and to assist establishing plans for achievement of quantitative goal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for low carbon green cities are effective to analyze the achievement level of municipalities for low carbon green cities. This study can provide municipalities with useful information in the diagnosis of vulnerable areas, planning,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low carbon green cities. For instance, if there is an area with the achievement level of 20% for the low carbon green city, the area belongs to Class 4 and must set the goal to achieve Class 2 or higher. It must increase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low carbon green city by more than 40% and should establish a quantitative improvement strategy for each index. In addition, it can make a decision to check any unsatisfactory areas and to establish plans for investment in the area by priority. 우리나라에서 저탄소 녹색도시는 도시인프라와 생활양식을 저탄소형으로 개편하여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이고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여 녹색성장을 견인하는 도시로 정의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저탄소형 도시 실현을 목표로 각종 계획을 수립·실천하고 있다. 그동안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각종 계획항목이나 평가기법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그 성과를 주로 정성적으로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정량적 목표를 가지고 도시 발전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을 하기에 모호한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도시를 조성·관리함에 있어 정량적인 목표를 제시할 수 있는 평가지표 개발에 주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기초자치단체가 저탄소 녹색도시 수준 달성목표를 설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정량지표로써 유관한 정책적 의사결정을 정량화 기준으로 객관적으로 지원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1. 국내외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사례와 평가사례, 저탄소 녹색도시 관련 연구문헌, 실제 저탄소 녹색도시 사례 계획요소 등을 검토하여 도출한 후보지표들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하여 신·재생에너지 활용 지표, 탄소흡수원 지표, 탄소중립 지표 등 총 12개의 지표를 최종 도출하였다. 각 지표별 현재 상태의 환경압력수준 대비 환경대응수준을 %로 나타낼 수 있도록 지표 측정과 평가체계를 설정하고 자치구 단위 69개소를 포함하고 있는 특별시, 광역시와 그 외 전국 각 기초자치단체, 총 163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표적용 가능성과 활용방안을 검증·고찰하였다. 2.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표를 적용하여 종합평가한 결과, 최소 0.62에서 최대 67.40, 평균 41.59(±14.92)를 나타내었고, 상위 3개 기초자치단체는 영덕군(63.67), 인제군(62.78), 그리고 신안군(60.95)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영덕군은 신·재생에너지 활용 지표(53.68), 탄소흡수원 지표(100)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대규모 해상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여 연간 약 2만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활용 지표값(53.68)이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환경보전 지표 최저 65.26에서 최대 99.70, 평균 90.84(±5.62)로 나타났다. 상위 3개 기초자치단체는 인제군(99.70), 동해시(99.39), 그리고 안동시(99.32) 순으로 분석되었다. 인제군의 경우 생태계 보전필요면적(1,229.62km2) 대비 백두대간보호구역, 설악산 국립공원, 대암산용늪 습지보호구역 등 99.70%(1,225.97km2)를 보전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물순환 지표 최저 38.83에서 최대 99.52, 평균 85.18(±10.84), 가평군(99.52), 춘천시(98.00), 그리고 인제군(97.97) 순으로 분석되었다. 가평군은 하천, 산림, 경작지 등 투수면적이 828.33km2로 행정경계 면적(832.33km2)의 99.52%를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탄소흡수원 지표 최저 0에서 최대 4,234.30, 평균 191.53(±585.46)으로 구례군(4,234.30), 영양군(2,580.15), 진안군(2,263.67) 등 80개 기초자치단체가 100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례군의 경우 339,217톤의 탄소가 배출되며, 14,363,480.00톤의 탄소저장능력이 있는 탄소흡수원에 의해서 100% 저장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녹색교통 지표 최저 7.85에서 최대 63.94, 평균 26.37(±14.78)으로 분석되었고, 상위 3개 광역지자체는 대구광역시(63.94), 서울특별시(51.68), 그리고 경기도(40.16) 순으로 평가되었다. 대구광역시는 경유 버스를 전년도(2009년) 109대에서 2010년 51대로 58대 감축하고, 경유 버스보다 탄소가 적게 배출되는 CNG 버스로 모두 교체·운영함에 따라 전년도 탄소배출량 2,177,000톤 대비 63.94%의 탄소를 감축하였다. 녹지네트워크 지표 최저 2.70에서 최대 93.50, 평균 22.10(±17.24), 울릉군(93.50), 속초시(84.95), 그리고 평창군(83.81) 순으로 분석되었다. 울릉군의 경우 네트워크 필요면적 60.93km2, 최대 네트워크 면적 56.97km2으로 93.50%의 녹지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자연환경용량 지표 최저 0.08에서 최대 100, 평균 19.27(±23.57)로 나타났으며, 진안군(100), 고흥군(100), 순창군(100) 등 22개 기초자치단체가 100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안군의 경우 생태발자국 지수는 2.21ha/인으로 1인당 토지면적 2.88ha/인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진안군 시민에게 주어진 자원(토지)을 1인당 0.67ha 덜 소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녹색산업공정 지표 최저 0에서 최대 100, 평균 12.76(±25.76), 창원시(68.57), 예산군(59.31), 그리고 화순군(58.72) 순으로 분석되었다. 창원시의 경우 탄소를 배출하는 주요 산업공정에서 2009년 66,055.48톤의 탄소가 배출되었고, 2010년 철강 생산공정 개선을 통해 전년도 탄소배출량의 68.57%인 45,294.67톤을 감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재생에너지 활용지표 최소 0에서 최대 53.68, 평균 1.15(±5.53)를 나타내었고, 상위 2개 기초자치단체는 영덕군(53.68), 화순군(43.51)으로 분석되었다. 화순군은 산간지역에 풍력발전과 태양열 발전단지를 조성하여 지역민에게 공급하고 여유분은 한국전력에 판매하는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있어 상위 순위로 나타났다. 저탄소자원순환 지표 최저 0에서 최대 99.56, 평균 18.31(±27.31)으로 나타났다. 상위 3개 기초자치단체는 신안군(99.56), 인제군(94.92), 그리고 동해시(94.44) 순으로 분석되었다. 동해시의 경우 2009년 생활폐기물 소각량은 3,394.55톤이었으나 2010년에 3,205.60톤을 감축시켜 30,309.49톤(94.44%)의 탄소를 저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대기정화능 지표 최저 0.19에서 최대 100, 평균 72.14(±38.54)로 나타났다. 평창군(100), 정선군(100), 그리고 창녕군(100) 등 94개 기초자치단체가 100으로 분석되었다. 창녕군의 경우 SO2와 NO2의 배출량 294.89톤, 녹지의 SO2, NO2 정화량 837.59톤으로 녹지로써 SO2와 NO2 전량을 정화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탄소중립 지표 최저 0에서 최대 100, 평균 67.99(±43.01)로 나타났다. 양구군(100), 양양군(100), 인제군(100) 등 98개 기초자치단체가 100으로 분석되었다. 양구군의 경우 탄소흡수원에 의한 탄소저감량(483,987.93톤)이 탄소배출량(215,769.25톤)을 초과하고 있어 탄소흡수원에 의한 탄소중립을 초과 달성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신·재생에너지 활용(0.44), 저탄소자원순환 지표(12.08)는 낮게 평가되고 있어 이를 제고함으로써 종합 평가결과 향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4. 현재 추진 중인 강릉 저탄소 녹색 시범도시를 대상으로 저탄소 녹색도시 정량평가지표 적용결과, 현재 지표의 종합평가 결과는 25.59로, 강릉시(36.22)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재생에너지 활용(0.08), 저탄소자원순환(-10.42), 자연환경용량(1.56), 녹지네트워크(26.97) 등의 지표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저탄소자원순환 지표의 경우 매년 생활폐기물 배출량 증가로 인해 음의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강릉 저탄소 녹색 시범도시 기본계획을 토대로 지표 적용결과, 종합평점 82.95로 분석되었으며, 신·재생에너지 활용 지표(88.53), 녹색교통 지표(83.33), 저탄소자원순환 지표(84.90), 그리고 물순환 지표(81.69)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저탄소 녹색도시 정량평가 지표를 통해서 저탄소 녹색도시를 조성하고자 하는 도시의 현 수준을 진단하고 지표별 정량목표치 설정을 지원하고, 정량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 수립을 지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저탄소 녹색도시 정량평가지표를 이용함으로써 기초자치단체의 저탄소 녹색도시 달성 수준을 진단하는 데 유효함을 시사하고 있다. 기초자치단체가 저탄소 녹색도시를 조성함에 있어 취약한 분야를 진단하고 계획 및 정책 목표를 의사결정하는 데 유효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현재 저탄소 녹색도시 달성 수준이 20%인 지역이 있다면, 이 지역의 저탄소 녹색도시 달성 수준은 4등급에 속하며 2등급 이상을 목표로 설정하고 저탄소 녹색도시 종합평가값을 약 40% 이상 증가시켜야 하고 세부지표별로 정량적 개선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부문별 미흡한 부문을 점검하고 그 부문에 우선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자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하천과 연안 지형측량 DB구축 및 활용

        이정환 조선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Decades later, many countries in the world will be expected to be ones with water shortages. These days, the need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is getting much higher every day and stream, coast, dam, river, and reservoir are to be one of the main infrastructures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For example, river has positive roles for damage prevention and nature protection, so it is very important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e of water resources. Especially, surveying techniques which furnish the basic data of current state of water resources are significantly importan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atest techniques of river topography data sounding operation technique for the construction of stream and coastal topographical data which is a base of hydrological investigation, and set the direction available to apply the sounding operational techniques for the practical usages. Accordingly, the methodology and range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below. a) The accuracy and economic efficiency is analyzed after conducting investigations such as the current state of sounding techniques and domestic examples which utilized those techniques. b) The desirable optimum operational technique is proposed for water resources such as stream, coast, river, dam and reservoir. c) The direction of database construction of topographical data is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and security. This research drew som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state-of-practices and the principles of surveying techniques and made some conclusions as follows. a) Single Beam Eco Sounder (SBES) which has been generally used is efficient from the equipment’s economic feasibility and operational availability perspectives especially for the cases of stream and coast, the availability of running ship and the necessity of lateral-profile. b) The use of Multi Beam Eco Sounder (MBES), a precise terrain observation equipment that has higher point density than plane unit, is a reasonable technique for the precise grasp of topographical state of deep level water resources such as reservoir, and etc. c) The use of total station is an efficient way, if water level is partially low. Total station can also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in precise terrain observations in small areas, such as lateral-profile outcome on each certain section, installation of water intake station, and aggregate extraction. d) A connecting process between water flow rate and topography survey is required to observe the rate of flow.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ADCP) is a representative survey technique to observe those two at the same time. When the equipment is operated properly after considering the work field conditions and the state of flow, ADCP will be a very efficient survey method as the river topography survey for the river flow rate measurement. e) Land topography data are dependent on a digital topographic map or a leveling outcome, but there is a limit. The water level survey could furnish only rough topographic cross-section but could not reflect the frequently changeable river topography after flood.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make a connection to the water level topography by making an aerial laser scanning survey (LiDAR) for topography data construction on surrounding area. f) Scanning Hydrographic Operational Airborne Lidar Survey (SHOALS) makes it possible to have coherence in the data by obtaining topography data of land and river in large area at once. SHOALS is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than MBES. Also, SHOALS is to make it possible to obtain uniform topography data even in the large area where it has big topographic undulating of water level. Therefore, in an area whose river topography has big undulating like lakes and marshes or where has a low water level, a water flow rate and a high transparency of water.

      • 친환경절연가스 중의 연면방전특성에 관한 연구

        이정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SF6용 GIS를 대체할 친환경가스절연개폐장치(EGIS)의 절연매질 중 질소(N2) 및 산소(O2)의 혼합비에 따른 테플론 수지에서의 연면방전특성을 구명하여 SF6가스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모의 GIS내 질소(N2)와 산소(O2)의 체적혼합비율이 각각 100[%]:0[%]인 (N2), 80[%]:20[%]인 (I-Air), 60[%]:40[%]인 (M-AirⅠ) 및 40[%]:60[%]인 (M-AirⅡ)의 압력 및 갭 변화에 따른 연면방전특성을 구명하였다. 그 결과 Knife-Knife형 전극 하에서 절연내력은 SF6 > I-Air > M-AirⅠ > M-AirⅡ > N2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친환경가스 중 가장 절연내력이 좋은 I-Air와 SF6 가스의 절연내력을 비교한 결과 연면절연파괴전압 및 연면방전전계강도가 SF6의 약 50%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논문은 I-Air의 절연특성을 평가함으로서 각종 전력응용 설비의 절연설계에 SF6 대신 친환경가스의 대체가능성을 평가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Surface Discharge characteristic at the Teflon resin according to the mixture gas of the nitrogen (N2) and oxygen (O2) in which it includes in insulator of the Environment-Friendly Gas Insulated Switchgear (EGIS) in order to replace SF6 the use of GIS and it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 of the SF6 gas. Also this paper studied the Surface Discharge characteristic at the volume mixture ratio of the nitrogen (N2) and oxygen (O2), as 100[%]:0[%] (N2), 80[%]:20[%] (I-Air), 60[%]:40[%] (M-AirⅠ) and 40[%]:60[%] (M-AirⅡ) according to the gas pressure and gap change in the experimental GIS. As a result, the dielectric strength under the Knife-Knife electrode was evaluated as SF6 > I-Air > M-AirⅠ > M-AirⅡ > N2. The Surface Discharge voltage and Surface Discharge electric field intensity were evaluated about 50% of SF6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nsulation strength of the I-Air in which the dielectric strength is the best among the environment-friendly gas. Moreover, the insulation property of the I-Air was evaluated, this paper evaluated the interchange possibility of the environment-friendly gas at the insulation design of all kinds of power application facility instead of SF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