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학교 디자인 교육에서 체험 영역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체험 교육 분석과 방향제시를 중심으로
In order to adapt actively to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respond actively to the fu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ability to utilize diverse knowledge information in the right place and recreate it by combin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various fields is required. This creative and integrate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emerged as a core task in the national education process, and the need for design experience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ever. Design-experience education is a valuable education that acts as a power necessary for human life to foster creative thinking ability to create new things with diverse ideas and challenges, to develop and develop one's career by acquiring qualification as a citizen of world culture, and to make one's life beautiful and prosperous. At this 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iddle school design experience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iddle school design experience education and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design experience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a big framework for this study by explaining its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In Chapter 2, we looked at the purpose of the art education that currently serves as the basis for the design education of middle schools and the details of the design education of middle schools, and the direct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design education of middle schools by looking at the details of the significance and curriculum. As a result, art classes were compil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ed at fostering the "Creative and Converged Talent" award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was also able to identify experiences, expressions, and self-directed art learning skills with the goal of developing visual communication skills, creativity, aesthetics, understanding, and self-directed art and learning skills. In Chapter 3, we looked at the present state of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and problems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purpose and intent of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As a result, most middle school design classes are focused on creative activities, but they do not even have the basic tools necessary for design practices such as computer graphics, and especially, the 'experience education' is inevitably poor due to construction problems centered on 'expression education' in the art textbook. In addition, we analyzed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existing design experience section of the art textbook through the survey and found that the current middle school design experience education lacked data, including lack of drawing board, in terms of content, and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insufficient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4, we conducted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develop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current middle school design experience education through real-life classes and examined the responses to them through the survey to see if they could be an alternative, and in the process, we could obtain meaningful data that can help us understand how middle school design experience education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e future.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emphasized that design experience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in school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logical thinking and analytical skills to cope with the upcoming future society, and argued that the beginning of this paper stems from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appropriate design experience teaching materials and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this end, we requested that the design audit training materials presented as examples in this study can be a milestone and that continuous atten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should be undertaken. Research has shown that current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has insufficient educational effects to develop students' design skills, and that institutional efforts are needed to expand the experience unit and to improve it, and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the laboratory, as follows. First, design education should be centred on the area of experience so that it can be meaningful not only to talented students but also to general students considering the future value and social needs of design education. Second, because there is an absolute shortage of design experience training units, the education community needs to pay attention and support to the expansion of the content and the availability of quality learning materials.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latest materials with detailed production processes attached to the learning content so that young students can develop their design skills and future visions, and this requires full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relevant industries. Fourth, since textbooks are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for classes,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create effective textbooks through intensive discussions and opinions, including participation of experts in the areas of design experience. Fifth, budget support should be actively provided for purchasing various equipment and materials, such as computer graphic lab, so that optimal environment can be created for smooth design education.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faced by design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search and consideration of design experience education will be a flower pot that will enhance the design ability and thinking ability of our students, who will be the main players of the future society, and will further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오늘날 급변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며 다가올 미래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정보를 적재적소에 활용하고 여러 분야의 특징을 융합하여 새롭게 재창조해낼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며, 이러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은 현재 국가교육과정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었으며 이에 따른 디자인 체험 교육의 필요성도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디자인 체험 교육은 인간의 삶에 필요한 동력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 역량을 함양시키고 세계문화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어 자신의 진로를 개척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진로역량을 신장시켜 주며, 개인의 삶을 아름답고 윤택하게 만들 수 있는 가치 있는 교육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중학교 디자인 체험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서 디자인 체험 교육을 통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배경과 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을 설명하여 본 연구의 큰 틀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현재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기반이 되는 미술 교육의 목적과 의의 및 교육과정의 세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방향과 현주소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미술 교과가 편찬되었고 중학교 디자인 교육도 이에 맞춰 교과 역량으로서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적 감수성, 미술 문화 이해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신장을 목표로 내용 체계가 체험, 표현, 감상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목적과 의의 등 이론적 배경에 대한 고찰과 함께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중학교 디자인 수업이 창작활동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컴퓨터 그래픽 등 디자인 실습에 필요한 기본적인 도구조차 갖추지 못하였으며 특히 수업 교재인 미술 교과서의 디자인 단원 내용이 ‘표현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진 구성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체험 교육’이 부실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미술 교과서의 디자인 체험 단원을 실제 수업으로 실시하여 보고 이에 대한 반응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해당 내용의 장․단점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현행 중학교 디자인 체험 교육이 내용면에서 도판의 부족 등 자료가 부실하고, 직관적인 표현 실습에 치우쳐 있어 학생들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기에는 교육적 효과가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중학교 디자인 체험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체험 교육 자료를 실제 수업으로 실시하여 보고 이에 대한 반응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실제로 대안이 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고, 그 과정에서 중학교 디자인 체험 교육이 앞으로 어떻게 연구되고 개발 되어야 할지 참고가 될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론에서는 학생들이 다가오는 미래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과 분석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디자인 체험 교육이 학교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며, 그 시작은 체계적이고 적합한 디자인 체험 교육 자료의 개발과 교육 환경의 조성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사례로 제시한 디자인 감상 교육 자료가 하나의 이정표가 될 수 있으며 계속해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당부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현행 중학교 디자인 교육은 학생들의 디자인 역량을 길러내기에 교육적 효과가 미흡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체험 단원의 확대 및 내실 있는 관련 자료의 구성 그리고 실습실 환경 정비 등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교육의 미래적 가치와 사회적 필요성을 고려하여 재능 있는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에게도 의미 있는 교육이 되도록, 체험 영역 중심으로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디자인 체험 교육 단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내용의 확충과 질적으로 우수한 학습 자료가 탑재될 수 있도록 교육계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기 학생들이 디자인 역량을 기르고 미래의 비전을 키울 수 있도록 학습 내용에 구체적인 제작 과정 등이 첨부된 최신 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관련 업계의 전폭적인 지원과 협조가 요구된다. 넷째, 교과서는 일차적으로 가장 중요한 수업 자료가 되기 때문에 집필 시 디자인 체험 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참여 등 집중적인 논의와 의견 수렴을 거쳐 효과적인 교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원활한 디자인 교육을 위해 최적의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컴퓨터 그래픽 실습실 등 다양한 기자재 구입에 대한 예산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라는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현재 디자인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자인 체험 교육에 대한 고찰과 연구는 앞으로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우리 학생들에게 디자인 역량과 사고력을 키워 줄 수 있는 화수분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이정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It is widely known that Toni Morrison is a distinguished writer who won the 1993 Nobel Prize in Literature. It is even more honorable since she is the first female laureate ever existed in Nobel Prize history. Morrison pours out unremitting efforts to make readers perceive the harsh times that African-Americans went through. Even though she usually reflects themes like love, beauty, and death by making an African-American woman appear as a main character, the themes above would not be limited in a boundary of African-American women's life. Instead, the women's particular situation becomes a good medium to generalize the lives of African-Americans in that there are several similarities like oppression from Whites/male and class occupancy as a minor group in the society. Her effort to Portray the painful lives of African-Americans can be considered as a characteristic of Harlem Renaissance. Harlem Renaissance is a magnificent movement that made people in the United States recognize the values of the Black people. In the movement, many Black writers and the intellectuals emphasized the Africa-rooted tradition. The cohesive power was an indispensible condition for them to stand as unified community. They knew well that the more they gather power of their own, the better and freer situation they could lay on. Morrison does not physically belong to the era of Harlem Renaissance.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she shows the same values in the sense of community and nostalgia for Africa-rooted tradition that the Harlem Renaissance writers strived to verify.
A Study of Osci Uatory Thermocapillary Convection in Circular Containerswith CO₂ Laser Heating : 이정현
이정현 Case Western Reserve Univ 1994 해외박사
본 연구는 최근 첨단 기술 산업에서 필요하는 고도의 순수한 양질의 결정을 얻기 위하여 결정의 성장 과정중 일어날 수 있는 전달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시작하였다. 특히 우주선의 등장으로 우주 공간의 과학적 이 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미세 중력장 하에서의 열 및 물질 전달과 관련되어 활 발히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미세 중력장 하 유동의 특이한 점은 1-g중 력장내에서 일반적으로 자연 대류에 눌려 있던 표면 장력 유동이 그와 연관된 열 및 물질 전달이 지배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표면 장력은 온도, 농도 그리고 전기 포텐셜에 연관되어 있다. 유체간의 계면에 이들로 인한 구배가 주어지면 표면 장력 구배가 생기고 이로 인하여 유동이 발생한다. 표면 장력 유동에 대하여 많은 수치 해석과 이론 및 실험 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열에 의한 표면 장력 유동에 대하여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작은 원통형 용기들 내의 액적의 표면 중앙을 CO₂레이저로 가열 하여 표면 장력 구배로 인한 진동형 열 표면 장력 유동을 여러 천이 시작 조 건들을 통하여 실험 및 수치 해석적으로 조사하였다. 진동형 열 표면 장력 유동에 자유 표면 면적, 종횡비, 가열 면적비 그리고 점성비의 영향에 대하여 도 연구하였다. 정상 유동으로부터 비정상 유동 (진동형 열 표면 장력 유동) 으로의 천이 시작은 흐름 가시화와 열전대와 자외선 열 측정 장치로 구해진 온도 분포도로 흐름 구조를 관측함으로써 판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유 표면에 가해진 열유속이 일 정한 임의 값을 초과하면 유동은 정상에서 비정상 유동으로 나타난다. 이 비 정상 유동은 진동형 표면 장력 유동으로 판명되었으며 유동의 구조는 등온 가 열에 의한 열 표면 장력 유동과 유사하다. 진동형 유동으로의 천이 시작은 Critical Marangoni 수 (Ma)만으로는 정의하지 못하며 새로운 무차원 수인 Surface Deformation Parameter(S)도 만족되어야 된다. S는 큰 면적의 용기 에서 일어나는 진동형 열 표면 장력 유동을 정의하는데에 더욱 적합하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American businesses have strategically responded to NAFTA and why businesses have reacted differently. NAFTA calls for a drastic change in the regulation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It serves as one of the major driving forces toward a highly integrated economy and consequently, more efficient cross border operations of business in North America. Therefore, a significant change in business operations in response to a macro environmental change should be observed. Previous studies in the literature focus on the diverse effects of a free trade agreement on macro economic variables such as G.D.P, employment, etc. They generally concentrate on how a free trade agreement affects economies of the U.S., Canada, Mexico, and deal with pros and cons, opportunities and costs of NAFTA. studies of firms' strategic behavior with regard to NAFTA are largely neglected in the literature. For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through a mail survey and explored through a variety of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to examine strategies land determining factors.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a few meaningful dimensions where firms' strategic responses to a free trade agreement take plac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some evidence that more internationalized firms/businesses, relatively larger in size, tend to focus on the restructuring/reorganization dimension of their business operations by reorganizing their manufacturing activities and/or by creating a new structure: regional unit (i.e., North American Division in charge of North America as a whole).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relatively small sized firms/businesses tend to depend on the integration/coordination dimension of their business operations. They rely heavily on strategic alliances. A few implications for both academicians and practicing managers are also suggested. Using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the strategic response process to a free trade~agreement, this study furthers our knowledge of firms' behavior and the I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response and macro environmental change due to a free trade agreement. Some of our findings discovery of a North American focus in Strategy/Structure) fertile ground for future research. Although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its findings suggest some tentative (i.e., open a implications for practicing managers. For example, the perception factor was found as the most powerful discriminator for group differences. They can use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research as useful reference material. Finally, this study is considered the first one which deals with a comprehensive framework to cover the strategic response process and systematically analyze firms' strategic behavior responding to a free trade agreement in their home market. Therefore,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ndeed, make a useful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상적 전환에 의한 영어 진행상 습득 연구
Most research on the English progressive aspect until now has studied the acquisition of the unmarked progressive. But it is hard to find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the aspect-shifted marked progressive. By the marked progressive, it refers to the usage of predicates in the progressive aspect that are generally not used in the progressive aspect in a particular context or situation. Lee (2006), Jeon and Oh (2008), and Hong (2013) studied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of stative verbs and the progressive aspect. And Lee (2013) and Song (2013) studied the acquisition of the progressive aspect of stative verbs by Korean English learners. But they did not approach the aspectual shift in the acquisition of the progressive aspect by Korean English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with English native speakers and Korean English learners as subjects studied and analyzed the aspect-shifted marked progressive in more depth. Specifically, the aspect-shifted progressiv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lexical types, stages of event structure, aspectual semantic features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s. First, in terms of lexical types, we are concerned with the progressive of state, the resultative progressive of accomplishment, and the progressive of achievement. To investigate the marked progressive in English, an acceptability judgment task comprised of questions related to the aspect-shifted marked progressive was implemented,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following four significant finding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First, English native speakers and Korean English learners showed different usage patterns of the progressive aspect. English native speakers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acceptability rates of the progressive between the two groups of the unmarked progressive (progressive of activity) and the marked progressive, whe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rms of the marked progressive. However, Korean English learners not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nmarked and marked progressive but even within the marked progressiv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acceptability rates of the progressive. According to the Aspect Hypothesis, progressive forms are acquired in the order of activity verbs, accomplishment verbs or achievement verbs, and stative verbs. Korean English learners showed high acceptability of the progressive in the order of progressive of activity, progressive of achievement, resultative progressive of accomplishment, progressive of state, showing a pattern similar to the one predicted by the Aspect Hypothesi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event structure, Korean English learners showed high acceptability rates of the progressive in the order of culminating point stage, preparatory stage, resultative stage. Even for the lexical semantic aspect of the progressive related to each stage of the event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high acceptability of the progressive in the order of progressive of activity (culminating point stage), progressive of achievement (preparatory stage), resultative progressive of accomplishment (resultative stage). It appeared that the order of acceptability of the progressive in each stage of the event structure also follows the acquisition pattern predicted by the Aspect Hypothesis. Third, the role of aspect semantic feature shift were investigated through Korean English learners' acceptability rates of the aspect-shifted progressive.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aspect shift of aspectual semantic features through acceptability rates of the progressive, among three aspectual semantic features of [stativity], [telicity], and [duration], Korean English learners had the most difficulty converting the aspectual semantic feature of [stativity], and thus the aspectual semantic feature of [stativity] was the most influential in their L2 English progressive acqusition. La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Korean English learners' usage patterns of the progressive according to lexical types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s, acceptability rate of the progressive of activity was higher with higher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However, a unique pattern showed lower acceptability rates of the progressive with higher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in terms of the progressive of achievement, resultative progressive of accomplishment, and progressive of state.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main reason why the Korean English learners have difficulties using the aspect-shifted marked progressive is the education method on the progressive form in Korea. In other words, it indicated that the problem lies in the tendency in English education to treat the aspect-shifted progressive as ungrammatical rather than properly teaching it. To improve this phenomen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Korean English learners should recognize the marked progressive through aspect shift as a grammatical usage under the English education system in Korea.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aspect shift, it is suggested that the English learning can be more effective by providing specific examples containing the concept of aspect-shifted progressive at the high school or university by means of the explicit instructional metho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s with the general progressive, the aspect-shifted progressive is frequently used by native English speakers, and by inducing interest and diversifying learning methods, it will lead to the effective acquisition of the various uses of the progressive in Korea. 지금까지의 영어 진행상에 대한 연구는 무표적 진행상(unmarked progressive)에 대한 습득 연구가 대부분이고, 상적 전환에 의한 유표적 진행상(marked progressive)에 대한 습득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의 대상인 유표적 진행상은 일반적으로는 진행상으로 쓰이는 않는 술어들이 특정한 문맥이나 환경에서 진행상으로 쓰이는 경우이다. Lee(2006), Jeon과 Oh(2008), 홍기선(2013)은 영어와 한국어 간 상태동사와 진행상의 의미적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송은정(2013)과 이정현(2013)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상태동사의 진행상 습득 양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하지만,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진행상 습득에 대하여 상적 전환(aspectual shift) 접근의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상적으로 전환된 유표적 진행상(aspect-shifted progressive)에 대해 학습자의 사용 양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영어의 어휘상 유형, 사건구조의 단계, 상적 자질, 영어 수준에 따른 상적 전환 진행상의 사용 양상을 조사하였다. 우선 어휘상 유형에 있어서 어휘상 술어 중 무표적 진행상의 대상 유형이 아닌 상태술어, 결과상태의 의미를 갖는 성취술어, 순간술어들의 진행상이 본 연구의 대상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상적으로 전환된 유표적 진행상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된 수용성 판단 과업(Acceptability judgement task)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에서 다음의 주요한 네 가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로, 영어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서로 다른 진행상 사용 양상을 보였다. 영어 원어민은 무표적 진행상과 유표적 진행상 두 그룹 사이에만 유의미한 진행상 허용도 평균값의 차이를 보인 반면에, 유표적 진행상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무표적 진행상과 유표적 진행상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유표적 진행상 내에서도 유의미한 진행상 허용도 평균값의 차이를 보였다. 상가설(Aspect Hypothesis)의 무표적 진행상 습득 양상에 따르면, 행위동사를 가장 먼저 습득하고 그 다음에 성취동사나 순간동사, 그리고 가장 늦게 상태동사의 순서로 진행형을 습득하는데, 이와 아주 유사하게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행위동사의 진행상, 순간동사의 진행상, 결과상태 성취동사의 진행상, 상태동사의 진행상의 순서로 높은 진행상 허용도를 보였다. 두 번째로 영어 사건구조의 관점에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정점단계(culmination point stage), 준비단계(preparatory stage), 결과단계(resultative stage)의 순서로 높은 진행상 허용도 평균값을 보였다. 그리고, 영어 사건구조의 각 단계에 관련된 어휘상의 진행상을 대상으로도 실험을 한 결과 행위동사의 진행상(정점단계), 순간동사의 진행상(준비단계), 결과상태 성취동사의 진행상(결과단계)의 순서로 높은 진행상 허용도를 보였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 사건구조의 각 단계별 진행상 허용도의 순서에서도 상가설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상적 자질 전환의 난이도와 역할을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상적 전환 진행상 허용도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세 상적 자질인 [상태성], [종결성], [지속성] 중에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상적 자질의 전환은 [상태성]이고 상적 전환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적 자질도 [상태성]이라는 것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어휘상 유형과 영어 수준에 따른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진행상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행위동사의 진행상에서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수준이 높아질수록 진행상 허용도 평균값도 높아졌다. 하지만, 순간동사의 진행상, 결과상태 성취동사의 진행상, 상태동사의 진행상에서는 영어 수준이 높아질수록 진행상 허용도 평균값이 낮아지는 특이한 양상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상적 전환에 의한 유표적 진행상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주요 원인이 진행형에 관한 한국의 영어교육 방식에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영어교육에서 상적 전환에 의한 진행형을 제대로 교육하기보다는 비문법적으로만 취급하는 경향에 문제점이 있다고 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적 전환을 통한 유표적 진행상이 사용 가능한 용법이라는 것을 영어교육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상적 전환은 쉽지 않은 현상으로 고등학교나 대학교 정도의 수준에서 명시적(explicit) 교수법으로 상적으로 전환된 진행상의 개념을 예를 들어 설명함으로써 영어학습 효과를 제고할 수 있음을 제언한다. 본 연구가 한국의 영어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일반적인 진행상과 마찬가지로 상적 전환의 진행상도 영어 원어민들은 빈번하게 사용하는 용법으로 이에 대한 관심의 유도와 학습방식을 다양화함으로써 영어 진행상의 다양한 사용에 관한 습득을 효율적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정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2019年,在韩外国人口数达到约178万人。这是比2007年度的外国人口数增加约114万人。而且,这个外国人口数的增加在空间格局上显出。但是,这个外国人集团一般在首都圈的大城市和中小城市分布。特别是首尔市,在这座城市上成长着发达国家移居民的娶居地区和发展中国家移居民的娶居地区。其中后者是在韩国被社会地排除的少数人。不过该人口集团除了首尔市以外,还让韩国各地区的自国人的娶居地区或同族的娶居地区成长和分化。 因此,本研究分析发展中国家移居民的娶居地区,它是韩国社会该包容的。具体的研究目的是对在韩朝鲜族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过程的查明,他们虽然是韩国人的同胞,但是仍在韩国社会受着空间的排除的。因而,本研究特别分析在韩国各地区的主要朝鲜族娶居地区。具体的研究地区是首尔市的九老区加里峰洞和永登浦区大林洞,也是京畿道水原市八达区的高等洞和梅山洞。就是把这四个行政洞的各个朝鲜族娶居地区比较分析。为仔细分析它,首先对中国人(朝鲜族和汉族)移居加里峰洞,大林洞,高等洞和梅山洞的情况考察。然后,还把该人口集团在当地形成的居住空间,商业空间和劳动空间考察。 分析结果如下。第一,该四个行政洞的朝鲜族娶居地区共同靠着便宜的居住费,交通接近性,同族的交流和求职网来成长。第二,这个朝鲜族娶居地区通过多数朝鲜族和少数汉族移居韩国各地区的现象,来分化成加里峰洞的原形,大林洞的扩张形,高等洞和梅山洞的再入地形。第三,在这个朝鲜族娶居地区上,朝鲜族的移居路线和求职网比汉族的移居路线和求知网更发达。第四,在水源市梅山洞上,韩国人的商业街,朝鲜族的商业街和其他国家人的商业街之间形成着多文化石画的景观。 因此,本研究呈现出的含义如下。第一,以从发展中国家移居韩国的人口形成娶居地区的事例,朝鲜族娶居地区给包容城市谈论带来一些启示。就是,本国人和外国人作为同等的城市成员该和好相处,才达到包容城市的正确目标。所以,对于在韩外国人当中占多数的朝鲜族形成的娶居地区的考察,是给韩国的包容城市提示前进方向。第二,以同国籍人和同族形成的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的事例,对韩国各地区的朝鲜族娶居地区分析。本研究把中国人移居韩国各地区的现象当作其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的背景。因此考察其移居。还把该人口集团在当地形成的居住空间,商业空间和劳动空间考察。总而言之,对有系统地查明韩朝鲜族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过程一切,有着本研究的含义。 2019년 현재, 국내 외국인 수는 약 178만 명에 달한다. 이는 2007년과 비교하면 114만여 명이 증가한 것이다(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외국인주민현황」, 2019). 그리고 이러한 외국인 수의 증가는 공간상으로도 나타난다. 단, 이들은 주로 수도권의 대도시와 중소 도시에 분포한다. 특히 서울시에는 선진국 출신 이주민의 집중거주지와 함께 개발도상국 출신 이주민의 집중거주지가 성장해있다. 이 중 후자는 국내에서 사회·공간적으로 배제되는 소수자이다. 하지만 이들은 서울시 이외에도 국내 각지에 자국민 또는 동족의 집중거주지를 성장 및 분화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사회가 포용해야 할 개발도상국 출신 이주민의 집중거주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에서 동포이지만 소수자로서 사회·공간적으로 배제되는 조선족이 형성한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과정에 대한 규명을 연구 목적으로 했다. 이에 국내의 지역별 조선족 집중거주지가 성장한 사례로서 서울시의 가리봉동 및 대림동과 수원시의 고등동 및 매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분석하고자 가리봉동, 대림동, 고등동 및 매산동으로의 중국 국적인(조선족 및 한족)의 이주를 고찰하고, 이로 인해서 현지에 형성된 이들의 주거 공간, 상업 공간, 노동 공간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조선족 집중거주지는 공통적으로 저렴한 주거비, 교통 접근성과 동족 교류 및 취업망으로서 성장하고 있다. 둘째, 이들 집중거주지는 국내 각지로의 중국 국적인 이주에 의해서 원형(原形, 가리봉동) → 확장형(대림동) → 재입지형(고등동 및 매산동)으로 분화하고 있다. 셋째, 이들 집중거주지에서 조선족의 이주 경로와 동족 취업망이 한족보다 발달하였다. 넷째, 수원시의 매산동에서 내국인, 조선족, 기타 국적인의 상업 거리가 혼재하면서 다문화 모자이크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로 이주한 개발도상국 출신 이주민 집중거주지의 사례로서 조선족 집중거주지가 포용도시 담론에 주는 시사점이다. 즉 올바른 포용도시상이 내국인과 외국인 이주민이 동등한 도시 구성원으로서 상생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다수인 조선족이 형성한 집중거주지에 대한 고찰은 국내 포용도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둘째, 동일한 국적 및 민족의 이주민이 형성한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사례로서 국내의 지역별 조선족 집중거주지를 분석한 점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이들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배경으로서 중국 국적인의 현지 이주를 고찰하고, 이로 인해서 각 집중거주지에 형성된 주거 공간, 상업 공간, 노동 공간을 고찰하였다. 이에 국내 조선족 집중거주지가 성장 및 분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규명한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As of 2019, the number of foreigners in Korea has reached about 1.78 million. That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1.14 million compared to 2007. Moreover, this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also appears spatially. However, these foreigners mainly distributed in large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In particular, in Seoul city,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ed countries and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are growing. Of these, the latter is a minority that socially and spatially excluded in Korea. However, in addition to Seoul city, these foreigners have growing and diverging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the same nationality and same ethnic in various regions of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that Korean society should be embracing.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growth and divergence of residential concentrations shaped by Korean-Chinese (Chosonjok). They are the same as Korean but who is excluded socially and spatially as a minority in Korea. Accordingly, as examples of the growth of local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 Garibong-dong and Daerim-dong in Seoul city and Godeung-dong and Maesan-dong in Suwon city were analyzed. In addition, for analyzing this matter, considered the migration of Chinese nationality(Chosonjok and Han Chinese) to Garibong-dong, Daerim-dong in Seoul, Godeung-dong, and Maesan-dong in Suwon. Furthermore, it examed the residential spaces, commercial spaces, and labor spaces formed in the field by these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 are growing in common: low housing costs, accessibility of transportation, and the exchange network and employment network of the same ethnic. Secondly, thes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are divergence in proto-type(Garibong-dong) and expanded type(Daerim-dong) and relocation-type(Godeung-dong and Maesan-dong) due to the migration of Chinese nationality to various places in Korea. Thirdly, the migration routes and the same ethnic employment networks in these residential concentrations, the Chosonjok developed than the Han Chinese. Fourthly, the Korean commercial streets, the Chosonjok(Chinese nationality) commercial streets, and the other nationality's commercial streets formed a multicultural mosaic by mixing in Maesan-dong, Suwon city.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mplications for the discourse of inclusive cities as an example of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In other words, the correct image of an inclusive city is the coexistence of residents and foreign immigrants as equal city members. Thus, considering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can suggest that the direction for an inclusive city in Korea. Secondly, it analyzed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s various regions as an example of the growth and divergence of residential concentrations shaped by the same nationality and same ethnic.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Chinese nationality's local migration as the background of growth and divergence of these residential concentrations. Moreover, it considered the residential spaces, commercial spaces, and labor spaces formed in the field by these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t systematically identified the series of processes of growth and divergence of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
악성림프종 환자의 MGMT(O6-Methlguanine DNA Methyltransferase)기시부 메틸화와 생존율에 관하여
이정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DNA 복제 오류 교정유전자 O6-methylguanine DNA methyltransferase (MGMT)는 암 발생과 연관되어 유전자 기시부에서 과 메틸화가 일어나면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게 된다. MGMT 단백질발현은 임상예후 추정에 유용한 표지자가 되며, 그것은 기시부의 과 메틸화와 상호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R-CHOP (rituximab,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prednisone) 치료한 44 DLBCL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MGMT 발현상태를 면역염색으로 확인하였고, 그 결과 44 DLBCL환자 중 MGMT 단백질 발현이 59.1%(26)에서 음성소견을 보였다. 면역염색의 결과는 기시자의 메틸화 상태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MGMT 면역염색에 양성소견을 보인 18예중 14예(77.8%)가 기시부 메틸화에서 음성을 보였고, MGMT 면역염색에 음성소견을 보인 26예 중 2예(7.7%)에서 기시부 메틸화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MGMT 메틸화를 보이는 군의 1년 장기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근 연구결과들에서 보면 MGMT의 발현이 소실된 경우 좋은 임상 양상과 상관이 있으며, 이것은 시클로포스파미드를 포함한 멀티약제를 사용하는 환자에 있어 임상인자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MGMT 메틸화는 R-CHOP으로 치료한 DLBCL환자의 임상인자와의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Rituximab의 치료로 메틸화가 없는 군의 예후가 좋아졌을 것이라 생각되며, 또한 그 기전은 보고한 예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차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골프장 서비스품질이 골프장 이미지,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장 서비스품질이 골프장 이미지,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고, 서울 경기도 지역 골프장의 내장객 400명 중 유효하지 않은 표본 11명을 제외한 389명을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PASW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골프장 서비스품질은 골프장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장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장서비스품질은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장 이미지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골프장 이미지는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골프장 고객만족은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golf course service quality on the golf course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golf course on the image of the golf cours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ith the 400 subjects who used membership and public golf course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chose 389 questionnaires excluding 11 unsuitable for the data. These data were processed using PASW 18.0. After test of verifying individual hypothe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golf course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olf course image. Second, golf course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rd, golf course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loyalty. Fourth, golf course im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Fifth, golf course im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loyalty. Sixth, custo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loyalty.
가야금곡의 종지선율에 관한 연구 : 정악, 산조, 창작곡 중심으로
음악에서 악곡의 구조적인 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음악의 형식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 음악의 형식을 결정짓는 핵심적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종지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가야금으로 연주되는 전 장르의 악곡들의 종지선율을 분석하여 가야금곡을 통해 나타나는 한국음악의 형식적 특성을 파악하고 한국음악 전반을 포괄하는 일반화된 논리로서의 종지이론을 정립하는데 그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가야금 정악곡과 가야금산조, 12현 가야금 창작곡의 종지선율의 범위를 각 종지각(장단) 또는 종지 마디의 최종 세 음으로 규정하고 이를 계이름으로 제시하여 음정관계와 최종음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장르별 종지형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는 방법을 택하였다. 또한 전통음악에 해당하는 정악과 산조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종지형을 ‘완전종지’로 정의하고, 완전종지의 종지음 이 외 다른 음을 종지음으로 삼는 것을 ‘반종지’, 완전종지를 이룬 후 음악적 연결을 위해 경과음을 사용하여 종지하는 것을 ‘연결형종지’로 정의하여 종지선율의 역할에 따른 유형화를 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가야금 창작곡이 전통음악의 종지형을 따랐는지 그 연관성을 알아보고 기존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종지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가야금 정악곡은 전 악곡에 걸쳐 ‘솔’로 종지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며 대체로 완전4도 상행 또는 장2도 하행으로 종지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가야금 정악곡의 완전종지가 ‘솔’로 종지하는 유형이라면 반종지의 대표적인 것은 ‘라’로 종지하는 유형으로 주로 단3도 하행, 장2도 상행, 완전4도 하행하는 형태로 나타나 종지선율 진행에 있어서 완전종지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영산회상 수록곡들과 가곡 중 계면조에서는 ‘레’로 종지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黃(e♭), 仲(a♭), 林(b♭) 중심의 3음 계면조를 사용하는 악곡들로 5음 평조와의 선법적 구분이 사실상 사라짐에 따라 종지음인 ‘레’의 역할이 ‘솔’이나 마찬가지가 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가야금 정악곡의 종지형은 완전4도 상행 또는 장2도 하행하여 ‘솔’로 종지하는 ‘완전종지’와 단3도 하행, 장2도 상행, 완전4도 하행하여 ‘라’로 종지하는 ‘반종지’, 완전종지 후 다음 장이나 다음 악곡으로의 연결을 위해 경과음 또는 경과구를 사용하는 ‘연결형종지’로 집약될 수 있다. 한편, 가곡은 우조와 계면조로 나뉘어 각각의 구성음에도 차이가 있고 선율의 진행 또한 서로 다르나 종지선율에 한해서는 최저음인 僙(E♭)으로 하행하여 종지하는 특수한 종지 형태를 보인다. 또한, 파생곡들로 구성된 모음곡 형식이 많은 정악곡의 특성상 파생곡들이 그 모체가 되는 악곡과 서로 장단형이 달라도 종지선율 또는 종지형은 일치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흔히 발견된다. 둘째, 가야금산조의 종지형은 기준음이 되는 ‘청’으로 회귀하는 성격이 강하며 이는 평조 선법의 경우 ‘도’, 계면조 선법의 경우 ‘라’에 해당된다 하겠다. 산조의 종지음은 결국 g음(징), a음(땅), d음(찡)으로 집약될 수 있으며, 가야금산조는 독주곡의 특성상 완전종지 유형이 정악곡에 비해 산조에서 그 비중이 월등히 높게 나타나는 것은 다시 말해, 가야금정악보다 가야금산조가 종지감이 더 뚜렷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13곡의 각기 다른 작곡가의 가야금 창작곡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전통음악의 종지형을 수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작곡에서 새롭게 도입된 종지형도 확인되었다. 먼저, 가장 많이 사용된 전통음악의 종지형으로는 완전4도 상행 또는 장2도 하행하여 종지하는 완전종지 유형으로 g음이나 d음을 종지음으로 삼는 경우가 다수를 이뤄 가야금산조의 종지형을 답습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겠다. 이는 본고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12현 가야금 창작곡이 모두 산조가야금으로 연주하도록 작곡됨에 따라, 조현법 및 구성음들의 역할 또한 산조음악의 방식을 취한 것에서 영향을 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한편, 창작곡에서 새롭게 나타난 종지형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둘 이상의 음을 동시에 연주하여 화음을 이용한 화성적 종지로 음악을 마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새로운 주법이나 극적인 다이내믹을 이용하여 음향적 효과로 종지감을 형성하는 경우이며, 세 번째는 작곡자가 의도적으로 한 개 이상의 쉬는 마디를 제공함으로써 ‘쉼’종지를 하는 경우이다. 가야금 창작곡에 새롭게 출현한 다양한 양식의 종지형은 가야금에 현대적 기법의 도입이라는 측면을 나탐냄과 동시에, 창작자와 연주자가 이분화되지 않고 오랜 기간 전승되면서 집단의 산물로 관습화된 전통음악과는 달리 창작곡에서는 연주자와 분리된 창작자가 악보를 통해 개인의 음악적 의도를 분명하게 제시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 다양한 개성의 표출이 가능하게 된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창작곡의 특성상 전통음악적 배경을 가진 작곡자일수록 그리고 발표연도가 과거로 갈수록 전통음악의 종지형을 수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서양음악적 배경을 가진 작곡자의 작품과 발표연도가 최근에 이를수록 새로운 종지형의 사용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한국음악의 종지형이 시대별 음악적 감수성의 변화 및 작곡가의 성향을 반영함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