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f Osci Uatory Thermocapillary Convection in Circular Containerswith CO₂ Laser Heating : 이정현

        이정현 Case Western Reserve Univ 1994 해외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최근 첨단 기술 산업에서 필요하는 고도의 순수한 양질의 결정을 얻기 위하여 결정의 성장 과정중 일어날 수 있는 전달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시작하였다. 특히 우주선의 등장으로 우주 공간의 과학적 이 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미세 중력장 하에서의 열 및 물질 전달과 관련되어 활 발히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미세 중력장 하 유동의 특이한 점은 1-g중 력장내에서 일반적으로 자연 대류에 눌려 있던 표면 장력 유동이 그와 연관된 열 및 물질 전달이 지배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표면 장력은 온도, 농도 그리고 전기 포텐셜에 연관되어 있다. 유체간의 계면에 이들로 인한 구배가 주어지면 표면 장력 구배가 생기고 이로 인하여 유동이 발생한다. 표면 장력 유동에 대하여 많은 수치 해석과 이론 및 실험 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열에 의한 표면 장력 유동에 대하여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작은 원통형 용기들 내의 액적의 표면 중앙을 CO₂레이저로 가열 하여 표면 장력 구배로 인한 진동형 열 표면 장력 유동을 여러 천이 시작 조 건들을 통하여 실험 및 수치 해석적으로 조사하였다. 진동형 열 표면 장력 유동에 자유 표면 면적, 종횡비, 가열 면적비 그리고 점성비의 영향에 대하여 도 연구하였다. 정상 유동으로부터 비정상 유동 (진동형 열 표면 장력 유동) 으로의 천이 시작은 흐름 가시화와 열전대와 자외선 열 측정 장치로 구해진 온도 분포도로 흐름 구조를 관측함으로써 판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유 표면에 가해진 열유속이 일 정한 임의 값을 초과하면 유동은 정상에서 비정상 유동으로 나타난다. 이 비 정상 유동은 진동형 표면 장력 유동으로 판명되었으며 유동의 구조는 등온 가 열에 의한 열 표면 장력 유동과 유사하다. 진동형 유동으로의 천이 시작은 Critical Marangoni 수 (Ma)만으로는 정의하지 못하며 새로운 무차원 수인 Surface Deformation Parameter(S)도 만족되어야 된다. S는 큰 면적의 용기 에서 일어나는 진동형 열 표면 장력 유동을 정의하는데에 더욱 적합하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American businesses have strategically responded to NAFTA and why businesses have reacted differently. NAFTA calls for a drastic change in the regulation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It serves as one of the major driving forces toward a highly integrated economy and consequently, more efficient cross border operations of business in North America. Therefore, a significant change in business operations in response to a macro environmental change should be observed. Previous studies in the literature focus on the diverse effects of a free trade agreement on macro economic variables such as G.D.P, employment, etc. They generally concentrate on how a free trade agreement affects economies of the U.S., Canada, Mexico, and deal with pros and cons, opportunities and costs of NAFTA. studies of firms' strategic behavior with regard to NAFTA are largely neglected in the literature. For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through a mail survey and explored through a variety of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to examine strategies land determining factors.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a few meaningful dimensions where firms' strategic responses to a free trade agreement take plac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some evidence that more internationalized firms/businesses, relatively larger in size, tend to focus on the restructuring/reorganization dimension of their business operations by reorganizing their manufacturing activities and/or by creating a new structure: regional unit (i.e., North American Division in charge of North America as a whole).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relatively small sized firms/businesses tend to depend on the integration/coordination dimension of their business operations. They rely heavily on strategic alliances. A few implications for both academicians and practicing managers are also suggested. Using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the strategic response process to a free trade~agreement, this study furthers our knowledge of firms' behavior and the I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response and macro environmental change due to a free trade agreement. Some of our findings discovery of a North American focus in Strategy/Structure) fertile ground for future research. Although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its findings suggest some tentative (i.e., open a implications for practicing managers. For example, the perception factor was found as the most powerful discriminator for group differences. They can use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research as useful reference material. Finally, this study is considered the first one which deals with a comprehensive framework to cover the strategic response process and systematically analyze firms' strategic behavior responding to a free trade agreement in their home market. Therefore,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ndeed, make a useful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상적 전환에 의한 영어 진행상 습득 연구

        이정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Most research on the English progressive aspect until now has studied the acquisition of the unmarked progressive. But it is hard to find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the aspect-shifted marked progressive. By the marked progressive, it refers to the usage of predicates in the progressive aspect that are generally not used in the progressive aspect in a particular context or situation. Lee (2006), Jeon and Oh (2008), and Hong (2013) studied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of stative verbs and the progressive aspect. And Lee (2013) and Song (2013) studied the acquisition of the progressive aspect of stative verbs by Korean English learners. But they did not approach the aspectual shift in the acquisition of the progressive aspect by Korean English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with English native speakers and Korean English learners as subjects studied and analyzed the aspect-shifted marked progressive in more depth. Specifically, the aspect-shifted progressiv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lexical types, stages of event structure, aspectual semantic features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s. First, in terms of lexical types, we are concerned with the progressive of state, the resultative progressive of accomplishment, and the progressive of achievement. To investigate the marked progressive in English, an acceptability judgment task comprised of questions related to the aspect-shifted marked progressive was implemented,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following four significant finding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First, English native speakers and Korean English learners showed different usage patterns of the progressive aspect. English native speakers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acceptability rates of the progressive between the two groups of the unmarked progressive (progressive of activity) and the marked progressive, whe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rms of the marked progressive. However, Korean English learners not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nmarked and marked progressive but even within the marked progressiv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acceptability rates of the progressive. According to the Aspect Hypothesis, progressive forms are acquired in the order of activity verbs, accomplishment verbs or achievement verbs, and stative verbs. Korean English learners showed high acceptability of the progressive in the order of progressive of activity, progressive of achievement, resultative progressive of accomplishment, progressive of state, showing a pattern similar to the one predicted by the Aspect Hypothesi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event structure, Korean English learners showed high acceptability rates of the progressive in the order of culminating point stage, preparatory stage, resultative stage. Even for the lexical semantic aspect of the progressive related to each stage of the event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high acceptability of the progressive in the order of progressive of activity (culminating point stage), progressive of achievement (preparatory stage), resultative progressive of accomplishment (resultative stage). It appeared that the order of acceptability of the progressive in each stage of the event structure also follows the acquisition pattern predicted by the Aspect Hypothesis. Third, the role of aspect semantic feature shift were investigated through Korean English learners' acceptability rates of the aspect-shifted progressive.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aspect shift of aspectual semantic features through acceptability rates of the progressive, among three aspectual semantic features of [stativity], [telicity], and [duration], Korean English learners had the most difficulty converting the aspectual semantic feature of [stativity], and thus the aspectual semantic feature of [stativity] was the most influential in their L2 English progressive acqusition. La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Korean English learners' usage patterns of the progressive according to lexical types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s, acceptability rate of the progressive of activity was higher with higher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However, a unique pattern showed lower acceptability rates of the progressive with higher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in terms of the progressive of achievement, resultative progressive of accomplishment, and progressive of state.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main reason why the Korean English learners have difficulties using the aspect-shifted marked progressive is the education method on the progressive form in Korea. In other words, it indicated that the problem lies in the tendency in English education to treat the aspect-shifted progressive as ungrammatical rather than properly teaching it. To improve this phenomen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Korean English learners should recognize the marked progressive through aspect shift as a grammatical usage under the English education system in Korea.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aspect shift, it is suggested that the English learning can be more effective by providing specific examples containing the concept of aspect-shifted progressive at the high school or university by means of the explicit instructional metho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s with the general progressive, the aspect-shifted progressive is frequently used by native English speakers, and by inducing interest and diversifying learning methods, it will lead to the effective acquisition of the various uses of the progressive in Korea. 지금까지의 영어 진행상에 대한 연구는 무표적 진행상(unmarked progressive)에 대한 습득 연구가 대부분이고, 상적 전환에 의한 유표적 진행상(marked progressive)에 대한 습득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의 대상인 유표적 진행상은 일반적으로는 진행상으로 쓰이는 않는 술어들이 특정한 문맥이나 환경에서 진행상으로 쓰이는 경우이다. Lee(2006), Jeon과 Oh(2008), 홍기선(2013)은 영어와 한국어 간 상태동사와 진행상의 의미적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송은정(2013)과 이정현(2013)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상태동사의 진행상 습득 양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하지만,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진행상 습득에 대하여 상적 전환(aspectual shift) 접근의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상적으로 전환된 유표적 진행상(aspect-shifted progressive)에 대해 학습자의 사용 양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영어의 어휘상 유형, 사건구조의 단계, 상적 자질, 영어 수준에 따른 상적 전환 진행상의 사용 양상을 조사하였다. 우선 어휘상 유형에 있어서 어휘상 술어 중 무표적 진행상의 대상 유형이 아닌 상태술어, 결과상태의 의미를 갖는 성취술어, 순간술어들의 진행상이 본 연구의 대상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상적으로 전환된 유표적 진행상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된 수용성 판단 과업(Acceptability judgement task)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에서 다음의 주요한 네 가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로, 영어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서로 다른 진행상 사용 양상을 보였다. 영어 원어민은 무표적 진행상과 유표적 진행상 두 그룹 사이에만 유의미한 진행상 허용도 평균값의 차이를 보인 반면에, 유표적 진행상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무표적 진행상과 유표적 진행상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유표적 진행상 내에서도 유의미한 진행상 허용도 평균값의 차이를 보였다. 상가설(Aspect Hypothesis)의 무표적 진행상 습득 양상에 따르면, 행위동사를 가장 먼저 습득하고 그 다음에 성취동사나 순간동사, 그리고 가장 늦게 상태동사의 순서로 진행형을 습득하는데, 이와 아주 유사하게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행위동사의 진행상, 순간동사의 진행상, 결과상태 성취동사의 진행상, 상태동사의 진행상의 순서로 높은 진행상 허용도를 보였다. 두 번째로 영어 사건구조의 관점에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정점단계(culmination point stage), 준비단계(preparatory stage), 결과단계(resultative stage)의 순서로 높은 진행상 허용도 평균값을 보였다. 그리고, 영어 사건구조의 각 단계에 관련된 어휘상의 진행상을 대상으로도 실험을 한 결과 행위동사의 진행상(정점단계), 순간동사의 진행상(준비단계), 결과상태 성취동사의 진행상(결과단계)의 순서로 높은 진행상 허용도를 보였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 사건구조의 각 단계별 진행상 허용도의 순서에서도 상가설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상적 자질 전환의 난이도와 역할을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상적 전환 진행상 허용도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세 상적 자질인 [상태성], [종결성], [지속성] 중에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상적 자질의 전환은 [상태성]이고 상적 전환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적 자질도 [상태성]이라는 것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어휘상 유형과 영어 수준에 따른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진행상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행위동사의 진행상에서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수준이 높아질수록 진행상 허용도 평균값도 높아졌다. 하지만, 순간동사의 진행상, 결과상태 성취동사의 진행상, 상태동사의 진행상에서는 영어 수준이 높아질수록 진행상 허용도 평균값이 낮아지는 특이한 양상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상적 전환에 의한 유표적 진행상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주요 원인이 진행형에 관한 한국의 영어교육 방식에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영어교육에서 상적 전환에 의한 진행형을 제대로 교육하기보다는 비문법적으로만 취급하는 경향에 문제점이 있다고 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적 전환을 통한 유표적 진행상이 사용 가능한 용법이라는 것을 영어교육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상적 전환은 쉽지 않은 현상으로 고등학교나 대학교 정도의 수준에서 명시적(explicit) 교수법으로 상적으로 전환된 진행상의 개념을 예를 들어 설명함으로써 영어학습 효과를 제고할 수 있음을 제언한다. 본 연구가 한국의 영어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일반적인 진행상과 마찬가지로 상적 전환의 진행상도 영어 원어민들은 빈번하게 사용하는 용법으로 이에 대한 관심의 유도와 학습방식을 다양화함으로써 영어 진행상의 다양한 사용에 관한 습득을 효율적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 국내 조선족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이정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2019年,在韩外国人口数达到约178万人。这是比2007年度的外国人口数增加约114万人。而且,这个外国人口数的增加在空间格局上显出。但是,这个外国人集团一般在首都圈的大城市和中小城市分布。特别是首尔市,在这座城市上成长着发达国家移居民的娶居地区和发展中国家移居民的娶居地区。其中后者是在韩国被社会地排除的少数人。不过该人口集团除了首尔市以外,还让韩国各地区的自国人的娶居地区或同族的娶居地区成长和分化。 因此,本研究分析发展中国家移居民的娶居地区,它是韩国社会该包容的。具体的研究目的是对在韩朝鲜族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过程的查明,他们虽然是韩国人的同胞,但是仍在韩国社会受着空间的排除的。因而,本研究特别分析在韩国各地区的主要朝鲜族娶居地区。具体的研究地区是首尔市的九老区加里峰洞和永登浦区大林洞,也是京畿道水原市八达区的高等洞和梅山洞。就是把这四个行政洞的各个朝鲜族娶居地区比较分析。为仔细分析它,首先对中国人(朝鲜族和汉族)移居加里峰洞,大林洞,高等洞和梅山洞的情况考察。然后,还把该人口集团在当地形成的居住空间,商业空间和劳动空间考察。 分析结果如下。第一,该四个行政洞的朝鲜族娶居地区共同靠着便宜的居住费,交通接近性,同族的交流和求职网来成长。第二,这个朝鲜族娶居地区通过多数朝鲜族和少数汉族移居韩国各地区的现象,来分化成加里峰洞的原形,大林洞的扩张形,高等洞和梅山洞的再入地形。第三,在这个朝鲜族娶居地区上,朝鲜族的移居路线和求职网比汉族的移居路线和求知网更发达。第四,在水源市梅山洞上,韩国人的商业街,朝鲜族的商业街和其他国家人的商业街之间形成着多文化石画的景观。 因此,本研究呈现出的含义如下。第一,以从发展中国家移居韩国的人口形成娶居地区的事例,朝鲜族娶居地区给包容城市谈论带来一些启示。就是,本国人和外国人作为同等的城市成员该和好相处,才达到包容城市的正确目标。所以,对于在韩外国人当中占多数的朝鲜族形成的娶居地区的考察,是给韩国的包容城市提示前进方向。第二,以同国籍人和同族形成的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的事例,对韩国各地区的朝鲜族娶居地区分析。本研究把中国人移居韩国各地区的现象当作其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的背景。因此考察其移居。还把该人口集团在当地形成的居住空间,商业空间和劳动空间考察。总而言之,对有系统地查明韩朝鲜族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过程一切,有着本研究的含义。 2019년 현재, 국내 외국인 수는 약 178만 명에 달한다. 이는 2007년과 비교하면 114만여 명이 증가한 것이다(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외국인주민현황」, 2019). 그리고 이러한 외국인 수의 증가는 공간상으로도 나타난다. 단, 이들은 주로 수도권의 대도시와 중소 도시에 분포한다. 특히 서울시에는 선진국 출신 이주민의 집중거주지와 함께 개발도상국 출신 이주민의 집중거주지가 성장해있다. 이 중 후자는 국내에서 사회·공간적으로 배제되는 소수자이다. 하지만 이들은 서울시 이외에도 국내 각지에 자국민 또는 동족의 집중거주지를 성장 및 분화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사회가 포용해야 할 개발도상국 출신 이주민의 집중거주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에서 동포이지만 소수자로서 사회·공간적으로 배제되는 조선족이 형성한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과정에 대한 규명을 연구 목적으로 했다. 이에 국내의 지역별 조선족 집중거주지가 성장한 사례로서 서울시의 가리봉동 및 대림동과 수원시의 고등동 및 매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분석하고자 가리봉동, 대림동, 고등동 및 매산동으로의 중국 국적인(조선족 및 한족)의 이주를 고찰하고, 이로 인해서 현지에 형성된 이들의 주거 공간, 상업 공간, 노동 공간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조선족 집중거주지는 공통적으로 저렴한 주거비, 교통 접근성과 동족 교류 및 취업망으로서 성장하고 있다. 둘째, 이들 집중거주지는 국내 각지로의 중국 국적인 이주에 의해서 원형(原形, 가리봉동) → 확장형(대림동) → 재입지형(고등동 및 매산동)으로 분화하고 있다. 셋째, 이들 집중거주지에서 조선족의 이주 경로와 동족 취업망이 한족보다 발달하였다. 넷째, 수원시의 매산동에서 내국인, 조선족, 기타 국적인의 상업 거리가 혼재하면서 다문화 모자이크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로 이주한 개발도상국 출신 이주민 집중거주지의 사례로서 조선족 집중거주지가 포용도시 담론에 주는 시사점이다. 즉 올바른 포용도시상이 내국인과 외국인 이주민이 동등한 도시 구성원으로서 상생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다수인 조선족이 형성한 집중거주지에 대한 고찰은 국내 포용도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둘째, 동일한 국적 및 민족의 이주민이 형성한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사례로서 국내의 지역별 조선족 집중거주지를 분석한 점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이들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배경으로서 중국 국적인의 현지 이주를 고찰하고, 이로 인해서 각 집중거주지에 형성된 주거 공간, 상업 공간, 노동 공간을 고찰하였다. 이에 국내 조선족 집중거주지가 성장 및 분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규명한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As of 2019, the number of foreigners in Korea has reached about 1.78 million. That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1.14 million compared to 2007. Moreover, this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also appears spatially. However, these foreigners mainly distributed in large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In particular, in Seoul city,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ed countries and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are growing. Of these, the latter is a minority that socially and spatially excluded in Korea. However, in addition to Seoul city, these foreigners have growing and diverging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the same nationality and same ethnic in various regions of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that Korean society should be embracing.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growth and divergence of residential concentrations shaped by Korean-Chinese (Chosonjok). They are the same as Korean but who is excluded socially and spatially as a minority in Korea. Accordingly, as examples of the growth of local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 Garibong-dong and Daerim-dong in Seoul city and Godeung-dong and Maesan-dong in Suwon city were analyzed. In addition, for analyzing this matter, considered the migration of Chinese nationality(Chosonjok and Han Chinese) to Garibong-dong, Daerim-dong in Seoul, Godeung-dong, and Maesan-dong in Suwon. Furthermore, it examed the residential spaces, commercial spaces, and labor spaces formed in the field by these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 are growing in common: low housing costs, accessibility of transportation, and the exchange network and employment network of the same ethnic. Secondly, thes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are divergence in proto-type(Garibong-dong) and expanded type(Daerim-dong) and relocation-type(Godeung-dong and Maesan-dong) due to the migration of Chinese nationality to various places in Korea. Thirdly, the migration routes and the same ethnic employment networks in these residential concentrations, the Chosonjok developed than the Han Chinese. Fourthly, the Korean commercial streets, the Chosonjok(Chinese nationality) commercial streets, and the other nationality's commercial streets formed a multicultural mosaic by mixing in Maesan-dong, Suwon city.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mplications for the discourse of inclusive cities as an example of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In other words, the correct image of an inclusive city is the coexistence of residents and foreign immigrants as equal city members. Thus, considering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can suggest that the direction for an inclusive city in Korea. Secondly, it analyzed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s various regions as an example of the growth and divergence of residential concentrations shaped by the same nationality and same ethnic.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Chinese nationality's local migration as the background of growth and divergence of these residential concentrations. Moreover, it considered the residential spaces, commercial spaces, and labor spaces formed in the field by these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t systematically identified the series of processes of growth and divergence of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

      • 할렘 르네상스와 『술라』, 그리고 밑바닥 공동체

        이정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t is widely known that Toni Morrison is a distinguished writer who won the 1993 Nobel Prize in Literature. It is even more honorable since she is the first female laureate ever existed in Nobel Prize history. Morrison pours out unremitting efforts to make readers perceive the harsh times that African-Americans went through. Even though she usually reflects themes like love, beauty, and death by making an African-American woman appear as a main character, the themes above would not be limited in a boundary of African-American women's life. Instead, the women's particular situation becomes a good medium to generalize the lives of African-Americans in that there are several similarities like oppression from Whites/male and class occupancy as a minor group in the society. Her effort to Portray the painful lives of African-Americans can be considered as a characteristic of Harlem Renaissance. Harlem Renaissance is a magnificent movement that made people in the United States recognize the values of the Black people. In the movement, many Black writers and the intellectuals emphasized the Africa-rooted tradition. The cohesive power was an indispensible condition for them to stand as unified community. They knew well that the more they gather power of their own, the better and freer situation they could lay on. Morrison does not physically belong to the era of Harlem Renaissance.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she shows the same values in the sense of community and nostalgia for Africa-rooted tradition that the Harlem Renaissance writers strived to verify.

      • 중학교 디자인 교육에서 체험 영역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체험 교육 분석과 방향제시를 중심으로

        이정현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order to adapt actively to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respond actively to the fu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ability to utilize diverse knowledge information in the right place and recreate it by combin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various fields is required. This creative and integrate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emerged as a core task in the national education process, and the need for design experience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ever. Design-experience education is a valuable education that acts as a power necessary for human life to foster creative thinking ability to create new things with diverse ideas and challenges, to develop and develop one's career by acquiring qualification as a citizen of world culture, and to make one's life beautiful and prosperous. At this 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iddle school design experience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iddle school design experience education and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design experience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a big framework for this study by explaining its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In Chapter 2, we looked at the purpose of the art education that currently serves as the basis for the design education of middle schools and the details of the design education of middle schools, and the direct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design education of middle schools by looking at the details of the significance and curriculum. As a result, art classes were compil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ed at fostering the "Creative and Converged Talent" award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was also able to identify experiences, expressions, and self-directed art learning skills with the goal of developing visual communication skills, creativity, aesthetics, understanding, and self-directed art and learning skills. In Chapter 3, we looked at the present state of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and problems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purpose and intent of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As a result, most middle school design classes are focused on creative activities, but they do not even have the basic tools necessary for design practices such as computer graphics, and especially, the 'experience education' is inevitably poor due to construction problems centered on 'expression education' in the art textbook. In addition, we analyzed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existing design experience section of the art textbook through the survey and found that the current middle school design experience education lacked data, including lack of drawing board, in terms of content, and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insufficient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4, we conducted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develop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current middle school design experience education through real-life classes and examined the responses to them through the survey to see if they could be an alternative, and in the process, we could obtain meaningful data that can help us understand how middle school design experience education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e future.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emphasized that design experience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in school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logical thinking and analytical skills to cope with the upcoming future society, and argued that the beginning of this paper stems from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appropriate design experience teaching materials and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this end, we requested that the design audit training materials presented as examples in this study can be a milestone and that continuous atten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should be undertaken. Research has shown that current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has insufficient educational effects to develop students' design skills, and that institutional efforts are needed to expand the experience unit and to improve it, and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the laboratory, as follows. First, design education should be centred on the area of experience so that it can be meaningful not only to talented students but also to general students considering the future value and social needs of design education. Second, because there is an absolute shortage of design experience training units, the education community needs to pay attention and support to the expansion of the content and the availability of quality learning materials.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latest materials with detailed production processes attached to the learning content so that young students can develop their design skills and future visions, and this requires full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relevant industries. Fourth, since textbooks are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for classes,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create effective textbooks through intensive discussions and opinions, including participation of experts in the areas of design experience. Fifth, budget support should be actively provided for purchasing various equipment and materials, such as computer graphic lab, so that optimal environment can be created for smooth design education.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faced by design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search and consideration of design experience education will be a flower pot that will enhance the design ability and thinking ability of our students, who will be the main players of the future society, and will further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오늘날 급변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며 다가올 미래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정보를 적재적소에 활용하고 여러 분야의 특징을 융합하여 새롭게 재창조해낼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며, 이러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은 현재 국가교육과정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었으며 이에 따른 디자인 체험 교육의 필요성도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디자인 체험 교육은 인간의 삶에 필요한 동력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 역량을 함양시키고 세계문화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어 자신의 진로를 개척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진로역량을 신장시켜 주며, 개인의 삶을 아름답고 윤택하게 만들 수 있는 가치 있는 교육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중학교 디자인 체험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서 디자인 체험 교육을 통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배경과 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을 설명하여 본 연구의 큰 틀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현재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기반이 되는 미술 교육의 목적과 의의 및 교육과정의 세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방향과 현주소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미술 교과가 편찬되었고 중학교 디자인 교육도 이에 맞춰 교과 역량으로서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적 감수성, 미술 문화 이해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신장을 목표로 내용 체계가 체험, 표현, 감상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목적과 의의 등 이론적 배경에 대한 고찰과 함께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중학교 디자인 수업이 창작활동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컴퓨터 그래픽 등 디자인 실습에 필요한 기본적인 도구조차 갖추지 못하였으며 특히 수업 교재인 미술 교과서의 디자인 단원 내용이 ‘표현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진 구성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체험 교육’이 부실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미술 교과서의 디자인 체험 단원을 실제 수업으로 실시하여 보고 이에 대한 반응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해당 내용의 장․단점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현행 중학교 디자인 체험 교육이 내용면에서 도판의 부족 등 자료가 부실하고, 직관적인 표현 실습에 치우쳐 있어 학생들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기에는 교육적 효과가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중학교 디자인 체험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체험 교육 자료를 실제 수업으로 실시하여 보고 이에 대한 반응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실제로 대안이 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고, 그 과정에서 중학교 디자인 체험 교육이 앞으로 어떻게 연구되고 개발 되어야 할지 참고가 될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론에서는 학생들이 다가오는 미래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과 분석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디자인 체험 교육이 학교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며, 그 시작은 체계적이고 적합한 디자인 체험 교육 자료의 개발과 교육 환경의 조성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사례로 제시한 디자인 감상 교육 자료가 하나의 이정표가 될 수 있으며 계속해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당부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현행 중학교 디자인 교육은 학생들의 디자인 역량을 길러내기에 교육적 효과가 미흡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체험 단원의 확대 및 내실 있는 관련 자료의 구성 그리고 실습실 환경 정비 등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교육의 미래적 가치와 사회적 필요성을 고려하여 재능 있는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에게도 의미 있는 교육이 되도록, 체험 영역 중심으로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디자인 체험 교육 단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내용의 확충과 질적으로 우수한 학습 자료가 탑재될 수 있도록 교육계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기 학생들이 디자인 역량을 기르고 미래의 비전을 키울 수 있도록 학습 내용에 구체적인 제작 과정 등이 첨부된 최신 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관련 업계의 전폭적인 지원과 협조가 요구된다. 넷째, 교과서는 일차적으로 가장 중요한 수업 자료가 되기 때문에 집필 시 디자인 체험 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참여 등 집중적인 논의와 의견 수렴을 거쳐 효과적인 교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원활한 디자인 교육을 위해 최적의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컴퓨터 그래픽 실습실 등 다양한 기자재 구입에 대한 예산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라는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현재 디자인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자인 체험 교육에 대한 고찰과 연구는 앞으로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우리 학생들에게 디자인 역량과 사고력을 키워 줄 수 있는 화수분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 李陸史 詩의 이미지의 象徵性 硏究

        이정현 西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志節詩人, 抵抗詩人으로 불리우는 이육사의 시를 대상으로 한다. 이육사의 시에는 여러 가지 題材들이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이미지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 보고 그의 시적 특질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고는 이미지는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개개의 독립된 형태로서의 이미지군을 숙고함으로써 그 의미를 추적하고 시의 한 특질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육사 시에 나타난 상징적 이미지의 분석을 통하여 그의 시에 본질에 접근하고 시 전편에 산재한 상징적 이미지들을 보다 선명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고는 이육사 시에 나타난 이미지 분석을 통해 그 상징적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크게 보편적 상징의 결합과 개인정 상징의 창조로 연구방향을 설정하였다. 먼저 2장 시의 이미지와 보편적 상징의 결합에서는 다음과 같은 체계를 세우고 연구하였다. 첫째는 밤, 洞窟, 섬, 골방, 沙漠, 무덤, 겨울의 시어를 통해 형상화되는 어둠과 단절의 이미지로 시인이 인식한 절망적 현실인식의 표상을 고찰하였다. 암담한 시대상황에 대한 인식은 밤, 洞窟, 섬, 골방, 무덤, 겨울의 이미지를 통해 표상되고 있다. 곧 ‘밤’은 절망의 시간 상태를 드러내고 ‘洞窟, 섬, 골방’은 절망적 현실인식에 근거하여 시적 자아의 은폐와 고립의 공간을 상징한다. 그리고 ‘무덤’은 시인이 처한 비극적 현실의 상징이다. 이러한 절망적 현실에 대한 총체적 인식은 ‘겨울’의 이미지를 통해 잘 드러나고 있는데 특히 이는 이육사의 시 전편을 흐르는 상황적 이미지가 된다. 둘째는 새벽, 봄, 별, 하늘, 바다 등의 시어를 통해 형상화되는 밝음과 구원의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시어들은 대체로 시에서는 꿈과 희망을 표상하는 의미로 작용한다. 여기서는 시인이 처한 절망적 현실을 딛고 밝은 미래를 준비하는 정신적 포용력을 나타내는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새벽, 봄-희망과 탄생’, ‘별-시대의 인도자’, ‘하늘, 바다-광활한 理想’의 상징적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셋째, 이육사 시의 제목이면서 동시에 독특한 상징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황혼’, ‘교목’, ‘광야’에 대해 이것들은 하나의 이미지가 시 전체의 유기적인 통일성에 기초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형상화되었다고 보고 이것을 초월과 해방의 이미지로 포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육사는 <黃昏>을 초월과 확장의 架橋로 삼아 <喬木>에서 현실대결의 단호한 결의를 다져 자신의 존재를 확인한 다음 드디어는 민족의 터전인 신성한 <曠野>에서 ‘超人’을 기대하며 시의 의미를 완성해 간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논의한 이미지와 보편적 상징의 결합을 토대로 하여 이육사만의 독특하고도 신선한 시적 이미지를 통해 시인이 창조한 개인적 상징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동굴 속의 박쥐, 눈 속 깊은 곳에서 움직이는 꽃 맹아리, 강철로 된 무지개, 7월의 청포도를 중심에 놓고 이러한 이미지가 어떻게 개인적 상징으로 창조, 발전하는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동굴 속의 박쥐에서 육사는 ‘洞窟’의 암흑 속에서 무력하게 쇠잔해가는 민족적 현실을 ‘박쥐’를 통해 탄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눈 속 깊은 꽃 맹아리에서는 척박한 땅, 참 생명이 부정되는 현실에서 오히려 끈질긴 비장한 생명에의 열망을 노래함으로써 새로운 삶의 지평을 열고 있다. 셋째, 강철과 무지개에서는 ’겨울‘의 비정 속에서도 미래를 믿었던 이육사의 신념이 결집된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7월의 <靑葡萄>는 ‘靑袍’를 입고 찾아오는 손님을 내세워 시인 자신을 代理하고 나아가서는 조국을 수탈당한 사람에게 고향과 조국을 다시 찾게 할 미래의 超人을 약속해주고 예언해 주는 자기확인을 느끼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상징적 이미지의 유형은 단계적으로 上昇하는 連續性을 보이고 있다. 이육사 시 작품의 분석에 있어서 이미지의 상승적 연속성은 물론 통시적 관점에서 일괄하여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공시적 관점에서 모든 텍스트를 펼쳐 놓고 보았을 때 작품 속에 형상화된 이미지는 일정한 길을 형성하며 발전한다. 이를 종합하여 시간, 공간, 인간적 관점에서 정리해 본다. 먼저 시간적으로는 현실인식의 역사적 시간에서 밝은 미래를 지향하는 초월과 해방과 신화적 시간으로 상승하는 연속성을 보인다. 공간적으로는 밀폐, 단절되고 닫힌 공간에서 曠野로 표상되는 광활하고도 열린 공간으로의 지향을 보인다. 닫힌 현실을 회피하기보다는 자아의 문제로 인식하고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적인 면에서 이미지의 연속성은 囚人에서 손님, 巨人을 거쳐 超人으로의 연결을 보이고 있다. 어둠에서 밝음으로 옮겨 가려는 것은 인간의 보편적 의식이기도 하지만 이육사의 시에서는 이것이 시어로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어 시적 특질의 한 전형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이육사의 시는 문학적으로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어두운 현실에서 우리 민족의 정신사를 이어준 교량의 역할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저항성’과 ‘순수 서정성’을 다양한 이미지로 형상화하였다는 점에서 보다 가치 있는 것으로 評價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oems of Yuk-sa Lee, a so-called faithful, resistant poet. A number of themes are represented by various images in his poems. This study will figure out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images and the main features of his poems. Based on the view that an image plays a part in communicating a meaning, this study will think about separate groups of images and their meanings, and thereby dig out main features of his poems. This study will also think of his efforts to combine general symbols and to create personal symbols to understand symbolic images more clearly and get closer to his poetic nature. Part Two, which focuses on images and their general symbols, will be considered as follows. To begin with, this study deals with his recognition of desperate reality symbolized by images of darkness and separation: nights, caves, islands, small rooms, deserts, graves and winters. All of the images stand for his recognition of dark times. For example, 'night' means desperate time; 'cave','island', and 'small room' the separation of his poetic ego from the outside world, based on his sensing of desperate situation; 'grave' his tragic conditions. This general realization of the desperate situation is described with the image of winter, which is the background of his whole poems. Next, this study looks into images of brightness and salvation, such as dawn, spring, star, sky and ocean. The images generally symbolize dream and hope. Images, such as 'dawn'(hope), 'spring'(hope and birth), 'star' (forerunner), 'sky and ocean'(idea) will be taken out from his works which show his spiritual tolerance to get over the frustrating situation and wait for the bright future. Finally, 'dusk', 'a tall tree', 'a flower' and 'a field', which are the titles of his poems, constitute his unique system of symbols. Seeing that an image is embodied as a work on the basis of organic unity of the whole poem, this study views the images as symbols of transcendence and liberation. Lee makes a dusk in Dusk a medium for transcendence and expansion, and he decides to cope with reality for his self-identification in A Tall Tree. Growing a flower to bloom in A Flower, he waits for the superman to return in A Field, our holy habitat, whereby he completes the meaning of his poem. Part Three analyzes the personal symbols that he creates through unique and fresh poetic images, based on combination of general symbols. This study considers images, such as 'a bat in a cave', 'a bud in snow' 'a rainbow of steel' and 'blue grapes in July' and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ly, the poet deplores the trying situation of the nation through the image, 'a bat in a cave'. Secondly, he aspires after die-hard life in a barren land through 'a bud in snow'. Thirdly, he shows his belief in bright future in hard winter. Finally, In Blue Grapes in July a visitor in blue attire takes the place of the poet and predicts the advent of superman, who will return the lost country to the people. The afore-mentioned types of symbolic images develop step by step. The gradual development of images cannot be considered from the historic view in the analysis of Lee's poems. But all texts considered from the spatial view, the images represented in his works proceed in a coherent way, which can be concluded from the standpoint of time, space and human as indicated hereunder. First of all, images develop from the historic time of facing the reality to the time of transcendence, liberation and mythology that leads to bright future. In addition, they advance from the closed, separated space to the broad, open one symbolized as 'a field'. The poet does not avoid his closed reality, realizes that it is from his ego, and symbolizes it. Finally, images change from a poor man through a great man to a superman in view of human. His poetic tendency to move from darkness to brightness, though it is the general consciousness of human, is clear enough to form his poetic model. Therefore, his poems serve to maintain our national spirits in hard times in terms of literature and history, in addition to coating his resistance and pure sentiment with various images - the reason why his poems deserve favorable opinions.

      •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공익광고 표현연구 : BTL매체를 중심으로

        이정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이혼율의 급격한 증가와 가족해체의 심화로 인해 아동학대에 대한 방임이 늘고 있다. 더 이상의 개인적인 차원이 아닌 사회적 문제임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동학대 문제해결을 위한 예방의식과 신고의식이 미약한 편이다. 사회문제로의 대두와 의식변화를 위해 최근에는 아동학대가 공익광고의 주제로 채택되면서 많은 이들의 의식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하루에도 수천개의 광고를 접하는 우리의 생활에서 공익광고는 더 이상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4대 매체 ATL-Above the Line (TV, 라디오, 신문, 잡지)는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여 공익광고의 주된 매체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4대 매체 외 BTL-Below the Line (DMB. 모바일, 스크린도어, 인터넷, 랩핑 등)의 빠른 등장과 범위확장으로 새로운 매체로의 전환을 바라보아야 한다. 익숙한 광고매체에 표현된 공익광고는 더 이상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광고시장의 매체 변화를 예측한 사람들은 새로운 것에 대한 기대와 함께 새로운 광고 표현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모바일을 통해 통화는 물론 게임, 금융서비스, 정보 찾기 외에 지하철에서 TV 정규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등 모바일은 생각하지도 못했던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인 지하철, 버스등은 기다리는 3,4분의 시간동안 최소 3개 이상의 광고를 접하게 된다. 이것은 이동을 위한 수단이 아닌 광고매체로써 새롭게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다. 즉 우리의 생활환경이 바로 새로운 광고 매체로 변화되고 있다. 공익광고도 이러한 매체 형태의 변화 과정에 발맞추어 새로운 매체의 활용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이를 좀더 효과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뉴미디어로 떠오르는 BTL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각 매체에 따른 표현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기존 국내 공익광고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매체와 표현방식에서 벗어나 새롭게 등장하는 뉴미디어와 표현방식을 이용하여 실제 아동학대 방지 공익광고를 제작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1. 메시지를 수용하는 수용자들에게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을 새로운 시각으로 접할 수 있게 하여 관심을 유발하고 이에 따라 적극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도록 하였다. 2. 뉴미디어와 새로운 표현전략으로 기존 광고와 차별화되어 주목성을 높였다. 3. 쌍방향의 광고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매체를 중심으로 활용하여 개인의 참여성과 행동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중점을 두었다. 4. 기존 실시되고 있는 아동학대 예방 공익광고가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법으로 다가감으로써 수용자들의 행동과 인식변화에서 더 나아가 사회변화로 까지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With the rapidly increasing divorce rate and deepening of family disassembly, the child abuse in the modern society is getting increasing. It is not the personal problem anymore but the social one. In case of Korea, however, we have very weak awareness of the preventive and reporting for solving the child abuse problem. Currently, as the ‘Child Abuse’ becomes the theme of the public service advertising to change the way of people’s thinking and arises as the social problem, a lot of people are changing their ways of thinking. But it is difficult for these public service advertisings to draw people’s attention among other thousands of advertisings. The four main ATLs-Above the Line media (television, newspapers, radio, magazines) are currently used for the public service advertisings to have great influences. However, except these four, BTLs-Below the Lines (such as DMB, mobile, screen door, internet, wrapping etc.) are rapidly spreading, so we should look at the conversion to the new media. Public Service Advertising which expresses with the familiar advertising media can’t draw people’s attention any more. People who predict the changes of media in the advertising market are very interested in the new expressions of advertising in expectation of new things. With a cellular phone, people not only can talk to each other, but also play games, find out information and financial services, and watch TV at the subway stations. While we’re waiting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subway and bus, we can find out more than three advertisements for 3-4 minutes. Transportations also become new advertising media as well. That means out living environment itself changes into new advertising media. So, the public service advertising needs to study more about utilizing new media. To realize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and to advertise it more effectively, this thesis studies about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BTLs (DMB, mobile, internet, screen door, wrapping, etc.) and the ways of expressing with each media. q By being free from the fixed media and expressions of existing domestic public service advertisings, we produces real public service advertising with new media and expressions in this thesis, and we are looking forward to the effects below: 1. Draw consumer’s positive reaction approaching with new media and expression. 2. Raise the attention by differentiating with existing advertising media. 3. By using media which can realize the interactive advertising effect, increase the personal participation and behavioral changes. 4. Free from the existing four media, find out the way of utilizing and expressing new advertising media, we’ve talked before, to use them affirmatively.

      • 인공지능을 이용한 주택가격 변동성 예측 모델 연구 : 전통통계모형과 인공지능학습모형 융합을 중심으로

        이정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동산 가격 예측과 그 변동의 원인을 ‘인공지능학습모형’을 통해 찾아내 정책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미 부동산 ‘가격’ 예측 모형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다. 본 연구는 단변량 시계열 분석에서 많이 사용되는 ARIMA과 VAR모형 등의 기법을 이용해 부동산 가격을 예측하는 전통적 시계열 분석법과 최근 주목받는 LSTM 기법을 통해 가격 예측력을 비교 분석한다. 부동산 시장은 대내외적 상황으로 변동성이 올라가는 시기를 맞이한다. 일반적인 추세를 이어가는 시기보다, 변동성이 높아지는 시기의 부동산 가격의 흐름을 예측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본 연구는 부동산 시장 사이클을 바탕으로 유독 변동성이 컸던 3번의 시기에 주목한다. 변동성이 유독 컸던 해당 시점의 매매가격지수를 예측한 결과 LSTM, VAR, ARIMA 순으로 예측력이 높다는 것이 확인됐다. 본 연구는 전통적 통계 예측모형과 인공지능 학습모형을 하이브리드로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방법론은 높은 예측력은 장점이지만, 인과관계 규명은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인공지능 학습모형을 통한 분석은 그 결과를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설명가능 인공지능(Explainable AI, XAI) 연구를 부동산학에 적용했다. 그 결과 SHAP 기법을 통해 각각의 부동산 사이클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를 확인해서 정책 수단을 강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real estate price predictions and their changes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and utilize them as reference data for policies. There are already diverse amounts of research to make a prediction model for real estate price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raditional time series analysis technique to predict real estate prices with the ARIMA and VAR model techniques used a lot in univariate time series analyses and the LSTM technique, which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for its price prediction power. The real estate market faces a time of higher variability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It is more difficult to predict the flow of real estate prices in a time of higher variability than a time of a general trend.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ree periods of particularly high variability based on the real estate market cycle. It examined the prediction of sales price indexes during the periods and found that LSTM recorded the highest predictive power and was followed by VAR and ARIMA, in that order. The study searched for a way to promote mutually supplementary utilizations between the traditional statistical prediction model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s based on their hybrid forms.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ethodology has an advantage of high predictive power, but it has limitations with identifying causal relations. An analysis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has limitations as it cannot explain results. Trying to overcome them, this study applied explainable AI (XAI) findings to the real estate studies and found that the SHAP technique could be used to confirm the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each real estate cycle and find methods of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