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햄스터 담관암 발생과정에서 AP-1 구성 단백질의 발현양상

        이정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Jun과 Fos단백질로 구성된 전사인자 activator protein-1(AP-1)은 세포의 증식, 분화, 세포자멸사와 관련된 유전자들을 조절하여 세포의 기본 생리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유방암, 대장암, 전립샘암 등의 종양에서 세포의 생·사와 종양성 변이를 조절함으로써, 종양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담관암에서 이상발현이 보고된 여러 유전자들이 AP-1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는 유전자들로서 AP-1이 다른 종양에서처럼 담관암 발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관암 발생의 단계별 AP-1의 발현양상을 살펴보았다. 햄스터 담관암 모델 및 담관결찰모델을 이용하여 정상담관 및 증식성담관, 비종양성병변인 이형성담관, 담관암조직을 얻었으며, ABC 방법을 이용하여 c-Jun, JunB, JunD, c- Fos, Fra-1, Fra-2에 대한 면역염색을 실시하였다. 면역염색 결과, c-Jun, JunB, JunD와 c-Fos, Fra-2는 담관상피세포의 핵에서 발현되었다. c-Fos는 정상 담관과 비교하여 증식성 담관, 이형성 담관과 종양에서 각각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다(P<0.01). c-Jun은 정상 담관에서 다소 높이 발현되었으나, 증식성 담관부터는 이보다 더 증가되었으며, 이형성 담관특히 종양에서는 정상담관과 비교하여 유의차있게(p<0.01) 과발현되어 c-Fos와 상관계수 0.92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었다. JunD는 정상담관상피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증식성 담관부터 발현이 증가되어 담관암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보여, c-Fos와는 상관계수 0.88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Fra-2와 JunB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며(r=0.93)비슷한 발현 양상을 보였는데, 정상담관과 이형성 담관에서는 극 소수의 담관상피세포에서 발현되었고, 이형성이 심한 비종양성 이형성 담관에서 강력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종양에서는 이형성 담관에서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Fra-1은 정상부터 종양에 이르기까지 모든 담관상피세포의 세포질과 막에서 동일하게 강력하게 발현되었다. 따라서 담관암 발생 단계에서 AP-1단백질들이 다양하게, 유의하게 발현되는 것을 토대로, 담관암 발생 단계에 있어서 AP-1 단백질이 중요하게, 그리고 다양하게 관계될 것으로 사료된다. Transcription factor AP-1 consisting of Fos and Jun proteins plays a critical role in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by regulating related genes. Furthermore, AP-1 has been strongly suggested to be implicated in carcinogenesis of breast cancer, colorectal cancer, prostate cancer and etc. by specifically regulating cell life, death and oncogenic transformatio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hich showed alterations of various genes modulated by AP-1 in cholangiocarcinoma, we could hypothesize that AP-1 plays important roles in cholangiocarcinogenesi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explored the expression pattern of each component of AP-1 at the serial cellular stages in cholangiocarcinogenesis. We obtained hyperplastic bile ducts(HBD) from hamster bile duct ligation model and dysplastic bile ducts(DBD) and primary cancers from hamster cholangiocarcinoma(ChC)model. And then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c-Jun, JunB, JunD, c-Fos, Fra-1 and Fra-2 using ABC method. As results, c-Jun, JunB, JunD, c-Fos and Fra-2 were expressed in the nucleus of billiary epithelium. The immunoreactivity of c-Fos was increased gradually during cholangiocarcinogenesis from normal bile duct(NBD) to ChC. Although the expression of c-Jun was also a little high in NBD, it was gradually more increased in HBD, DBD and especially in ChCs having high correlation with c-Fos(r=0.92). JunD was highly expressed in ChCs, which contrasted with DBD and HBD indicating low frequency of positivity and negative NBD. The immunoreactivity of Fra-2, JunB was shown positive in severe DBD with maintenance in ChC and rarely expressed in NBD and HBD with high correlation(r=0.93). In case of Fra-1 was strongly expressed in cytoplasm and cell membrane of all biliary cell populations including normal and ChC. Our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AP-1 proteins are significantly and differentially implicated at any cellular stage during biliary carcinogenesis.

      •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이정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등학교는 모든 학생들이 체계적인 진로지도를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관문으로 가장 중요한 진로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이다.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학교교육은 자신의 미래를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진로 학습의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가정의 경제적 지원과 자녀에 대한 무관심 즉, 교육적 지원이 낮은 중소도시의 학교는 누적된 학습결손과 학습된 무력감으로 교실의 자발적인 낙오자를 방임하는 곳이 아니다. 부모의 소득과 학력이 하위이고 그 하위계층이 밀집된 중소도시 지역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이 학교를 배움과 소통의 공간으로 여기고 자존감과 진로성숙도를 성숙시켜서 상위권 학생들 뿐 아니라 중․하위권 학생들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배려와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근본적으로 교육격차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격려하는 곳이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학교현장에 맞게 구안하고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앞으로 하고자 하는 직업을 중심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직업에 도움이 되는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자신의 진로문제를 직업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둔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이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동두천시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 1개교의 1학년 2개 학급(학급당 남 18명, 여 15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파악을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에 있어서 동질집단으로 확인되었다(p > .05). 이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한 정철영 외(2005)의 고등학생을 위한 직업지도 프로그램(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CDP-H): 진로모의주행을 기초하여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과정을 거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CDP-H는 총34차시의 프로그램으로 학교현장에서 34차시는 현실적으로 연구의 어려움이 있고, 2004년에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2012년 학교 현장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의 조언을 최대한 반영하여 압축․수정․변경하여 프로그램을 8차시 50분 수업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자신의 강점을 찾아내고 그에 맞는 희망직업을 선택한 후 그에 따른 정보를 찾는 것을 전제로 시작하였으며, 장래진로와 대학의 전공 선택을 고려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관련된 계열 및 학과 선택과 희망대학교 선택, 그에 따른 학습계획 설정에 중점을 두었다. 학생들이 앞으로 하고자 하는 직업을 중심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직업에 도움이 되는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자신의 진로문제를 직업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실험집단에는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의 수준에 알맞게 구안된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주 1회씩 8주간에 걸쳐 총 8차시(1회기 50분 기준)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피험자들에겐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이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와 김용래(2000)가 제작한 ‘학교학습동기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 = 8.360, p < .01). 각 하위영역별로는 진로태도(F = 24.940, p < .001)와 진로능력(F = 10.045, p < .005), 그리고 진로행동(F = 16.354, p < .001) 영역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에 비해 학습동기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 = 11.808, p < .005).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 적용이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했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줌으로써 졸업 후 대학에 진학할 것인지 취업할 것인지 결정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이른 고등학생에게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맞는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구안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개발된 지 오래된 진로지도 프로그램(CDP-H)을 적용하여 학교현장에서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연구의 어려움이 있었다. 그런데 이 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함으로써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의 질적 수준제고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적용은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 향상을 돕는 프로그램으로 활용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진로지도를 더욱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향후 인문계 고등학교뿐만 아니라 특성화된 고등학교에 학교 급 단위에 맞게 수정․보완해서 사용한다면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효용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High school students usually need systematical career guidance and explore their own career. So, school education in the stage of high school should giv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repare self initiated career exploration to make their career suitable to their own aptitude. Recently, Korean education labors for systematical career guid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focuses on the effectiveness of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e by applying career guidance program transformed to the school system for each class to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Some hypotheses go like this for this study; First, How does the career guidance program influence the career maturity of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Second, How does the career guidance program influence a learning motive of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two classes(18 boys and 15 girls in a class) of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located in Dongducheon were chosen; one class for control group and the other class for experimental group. To check homogeneity of two classes, t-test was applied to two classes after preliminary test. The result was that two classes were homogeneous groups in all variables by t-test(p > .05). In this study,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CDP-H) developed by KEIS is used. CDP-H is composed of 34 periods, but 8 periods(50 minutes per period) was performed. Because 34 periods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school system and by the expert's advice that the program made in 2004 is not suitable to the school in 2012, the program was designed to fit on total 8 periods(50 minutes per period). This program starts to find the information of students' strengths and careers for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To make students study concerning their careers and majors they want to study in a university, this study places emphasis on the choice of the university and department they want to enter and their design for studying. Students was stirred up and got a motivation to study for the job they want to get. So students was made to connect their careers and vocations. Career guidance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CDP-H)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by modified program for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This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e time per week for 8 weeks(50 minutes for one time) and nothing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Preliminary and post test were performed to all subjects. The measuring devices are career maturity inventory(CMI) developed by Krivet(2001) and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 made by Kim, Yongrae(2000). The data process is used by SPSS 12.0. Homogeneity test was used by t-test and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like this; First,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career guidance program w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F = 8.360, p < .05). Also, career attitude(F = 24.940, p < .05), career competency(F = 10.045, p < .05) and career behavior(F = 16.354, p < .05) were improved much more. Second, The learning motiv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career guidance program w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control group(F = 11.808, p < .05). In conclusion, the career guidance program influences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e of high school students positively. So, it will be effective to apply the career guidance program to high school students to help improvement of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e in school. Also, if this program modified for each class is used not only high schools but also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effectiveness of this career guidance program for each class will be increased.

      • SLIM-PCV법을 이용한 TiO2 나노입자 사이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특성 비교

        이정연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echnique of stepped light-induced transient measurements of photocurrent and voltage (SLIM-PCV)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electron diffusion coefficients (D_(e)) and electron lifetimes (τ) for the dye- sensitized solar cells (DSSC) fabricated from several TiO₂ nanoparticles indifferent sizes. TiO₂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hydrothermal reaction, and their sizes were 7nm, 15nm and 25nm, respectively. These three TiO₂ nanopaticles were applied as nanoporous electrode of DSSC,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cell as a function of particle size was studied in this work. Determined De and τ were measured by SLIM-PCV to investigate the particle size effect.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 increases and τ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particle size. This increase was related to the decrease of grain boundaries that was efficient transport of electr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ptimized TiO₂ particle size is required for the efficient transport of electrons in DSSC. TiO₂ 나노입자 크기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전자확산계수(D_(e))와 머무름 시간 (τ)을 측정하기 위해 SLIM-PCV(stepped light-induced transient measurements of photocurrent and voltage)법을 도입하였다. 수열합성법에 의해 7nm, 15nm, 25nm의 TiO₂나노입자를 준비하였다. 이 세가지 TiO₂나노입자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으로써 적용하였고, 입자크기에 따른 태양전지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SLIM-PCV 법에 의해 TiO₂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전자의 확산계수와 머무름 시간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grain boundary가 적어지고, 이에 따라 전자의 전달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효과적으로 전자를 전달하기 위한 최적의 TiO₂ 나노입자 크기를 제안하였다.

      • 동시대 미국미술비평을 통한 아쉴 고르키의 작업 고찰

        이정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ill examine the art world of Arshile Gorky (1904-1948) based on the historical, soci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at the time period in which Gorky was alive, and connect it with the artist’s life, while reconsidering the artist’s view art. Furthermore, in order to reveal a critical context I will investigate Gorky’s evaluation by Clement Greenberg (1909-1994), critic with formalism and Harold Rosenberg (1906-1978), and Meyer Schapiro (1904-1996), an art historian who lived in the same period as Gorky.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se three critics enables us to reconsider the discussion on criticism that used to dominate the time period in which Gorky was alive. In order to reconsider the artistic criticism of Gorky, I will return to the periodical and philosophical situation of the US after the Great Depression. During this period, European artists were exiled to the US, and surrealism officially became an important form. At the same time. the US was more focused on existentialism which emphasized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work. This served a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Surrealism that used to be the main art form at the time. Gorky, also influenced by existentialism, worked in an alliance of left-wing intellectuals and participated in the murals conducted as part of the New Deal of Franklin D. Roosevelt (1882-1945). Gorky made a public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by making an abstract form in public places. Through this way and also during the process of finding his identity as an artist, Gorky developed his world of art by realizing his individual work while performing the social role as an artist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established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Gorky’s world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berg, Rosenberg and Schapiro, the major contemporary critics at the time. Greenberg evaluated Gorky’s art world in terms of the media used in his work and the purity of painting. Relying on the stylistic part only when making an explanation may mean a formative contribution to modernist art. Thus, I will reconsider the life of Gorky based on Rosenberg’s behavioral theory, which focused on an individual artist rather than his work. Rosenberg’s concept of ‘behavior’ focuses on the behavior of establishing an artist’s identity, beyond the visual image of an artist performing one’s artwork. In addition, Schapiro, as an art historian, analyzed Gorky’s work from an existential point of view and focused on Gorky’s way of expressing the emotions in his work. He also recognized Gorky’s ‘originality’ that distinguished him from other painter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ociety and Gorky’s position in it. This study focuses on individual life of an artist, rather than restricting Gorky’s world of art based on a stylistic analysis, which was used to mainly discuss the abstractness of the artwork. Gorky’s process of constantly seeking his identity as an artist is similar to that of abstract expressionist painters who also were trying to find their identity as artists. That is to say, They found themselves struggling between the roles imposed by society, and the self of the individual. Gorky’s individual life was obscured by an analysis on the abstraction of his work. However, Reconsidering the entirety of his life based on the periodical, social and philosophical context, while looking at it from the views of critics, provides a extended view of his world of art. Keywords: Arshile Gorky, Surrealism, Existentialism, Abstract Expressionism, Clement Greenberg, Harold Rosenberg, Meyer Schapiro. 본 연구는 아쉴 고르키(Arshile Gorky, 1904-1948)의 예술세계에 대해서 시대적·사회적·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화가 개인의 삶과 연결짓고 예술에 대한 작가 개인의 입장을 재고한다. 이와 더불어 그가 살았던 동시대 형식주의 비평 이론가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 1909-1994)와 해롤드 로젠버그(Harold Rosenberg, 1906-1978), 그리고 미술사학자인 마이어 샤피로(Meyer Schapiro, 1904-1996)의 고르키에 대한 평가를 고찰하여 비평적인 맥락을 드러낸다. 이렇게 세 비평가들의 평가를 통해 고찰해보는 것은 당시를 지배하던 비평 담론에 대한 재고이기도 하다. 고르키에 대한 예술 비평을 돌아보기 위해서 대공황 이후 미국의 시대적·철학적 상황을 돌아본다. 이 시기에는 유럽의 예술가들이 미국으로 망명을 한때였고 초현실주의가 형식적으로 중요한 양식이 되었다. 이때 미국에서는 작품보다는 예술가 개인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실존주의가 대두되었는데 당시 주요 예술 양식이었던 초현실주의의 철학적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고르키도 실존주의에 영향을 받아 좌파 지식인들의 연합에서 활동하며 루즈벨트 대통령(Franklin D. Roosevelt, 1882-1945)의 뉴딜정책 일환으로 실시된 벽화작업에 참여하였다. 벽화작업에서 고르키는 공공의 장소에서 추상 형식을 구현하여 외부와 공적인 소통을 하였다. 이렇게 고르키는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개인의 작업을 구현하고 동시에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방식으로 작품 세계를 전개해 나갔다. 이를 바탕으로 고르키의 예술 세계를 그가 활동했던 동시대의 주요 비평가인 그린버그, 로젠버그 그리고 샤피로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린버그는 그의 예술세계를 작품에 사용된 매체와 회화의 순수성의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형식적인 부분에만 기대어 설명하는 것은 모더니스트 미술을 위한 양식적인 기여에만 머무를 수 있다. 이에 작품보다는 예술가 개인에 주목한 로젠버그의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고르키의 삶을 재고한다. 로젠버그의 ‘행동’ 개념은 단순히 시각적으로 비춰지는 작가의 작업을 하는 모습을 넘어서 작가가 정체성을 수립해가는 행위에 주목한다. 또한, 미술사학자로서 샤피로도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고르키의 작업을 분석하며 고르키가 작품에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그리고 다른 화가들과 구분되는 고르키의 ‘독창성(originality)’을 인정하며 이를 통해 예술과 사회의 관계와 그 안에서 예술가의 위치에 대해서 고찰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로 작품의 추상성에 대해 논의되었던 고르키의 작품세계를 양식적 분석에 제한하지 않고 예술가 개인의 삶에 주목하여 살펴본다. 그가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며 부단히 노력하는 과정은 사회에서 부과된 역할과 개인의 자아 사이에서 고민하며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모색해 나가던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의 모습과 유사하다. 이렇게 시대적·사회적·철학적 맥락을 바탕으로 고르키 개인의 삶을 돌아보며 이를 비평가들의 관점으로 재고함으로써 작업의 추상성에 대한 분석에 의해 가려졌던 그의 예술세계를 비평적으로 확장하려고 한다.

      • 생활체육 지도자의 직무만족 및 불만 요인 탐색

        이정연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활체육지도자들이 현장에서 경험하는 있는 직무만족과 직무불만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크게 2가지 연구문제가 분석되었다. 첫 번째는 200명(남자 113명과, 여자 87명)의 생활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지도자들의 직무만족 요인을 도출하였고, 두 번째는 직무불만 요인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반응들은 3단계 범주화 방법을 통하여 귀납적 내용분석 되었다. 또한 직무만족과 불만요인에 대해 성 차와 경력에 따른 차의 관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 요인은 대인관계, 근무여건, 직무특성, 급여, 후생복지 등 5개의 일반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 요인은 남자와 여자간에 반응 빈도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초임지도자와 경력지도자 간 직무만족에 관한 반응은 전반적인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불만 요인은 근무여건, 급여, 대인관계, 직무특성, 후생복지 등 5개의 일반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넷째,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불만 요인은 남자와 여자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초임지도자와 경력지도자의 직무불만에 관한반응은 전반적인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As for this study, we have a purpose that recognize the characteristic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the duty that Sports for all Leaders are experiencing in the spot. Two study problems were analyzed greatly for this. First, we found out the factors that a duty was satisfactory, with the object with 200 (113 men and 87 women) Sports for all Leaders,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a duty was unsatisfactory second times. Contents analysis was inductively worked through a way of categorization in three phases with responses from this study. Also, we did analysis about th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the duty in a viewpoint of a sexual difference and a difference along a career more concretely. A conclusion got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ory factors of the duty of a Sports for all Leaders were categorized to five general scopes such as personal relations, working conditions, duty characteristic, a salary, public welfare, and so on. Second, the satisfactory factors of the duty of a Sports for all Leaders had a bit difference between response frequency between men and women Third, the unsatisfactory factors of the duty of a Sports for all Leaders were categorized to five general scopes such as personal relations, working conditions, duty characteristic, a salary, public welfare, and so on. Fourth, the dissatisfactory factors of the duty of a Sports for all Leaders did not have a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The response about duty dissatisfaction of a first appointment leader and a career leader did not have a difference of general recognition.

      • 2030대 젊은 청년층의 우울감 및 불안감 완화를 위한 챗봇 유미의 효과성 연구

        이정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with the increase of depression and anxiety of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e need for improving their mental health is emerging. However, due to one’s concerns about social stigma, burden of economic costs, and disadvantages of employment, it is difficult for one to seek mental health aid; therefore, preventing one to receive proper care in timely manner. As a solution to these limitations, the use of chatbot is drawing attention. The chatbot has the advantage of proving high quality information as it is easily accessible, inexpensive, and able to actively interact with the user.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hatbot UMe through the three-week field test by developing chatbot that provide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and self-talk training to alleviate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young ad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chatbot U-Me had a greater positive effect on lessening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practiced self-help book on ACT. These results can b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presented a practical utility of using chatbots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최근 우울감과 불안감을 겪고 있는 2030대 청년층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정신 건강 증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낙인, 경제적 비용의 부담감, 취업 불이익에 대한 우려와 함께 자기 혼자의 힘으로 정신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에 따라 아직까지 적기에 제대로된 관리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한계점의 해소 방안으로 챗봇의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챗봇의 경우 접근성이 뛰어나고 저렴하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함에 따라 양질의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30대 청년층의 우울감과 불안감 경감을 위하여 수용전념치료와 자기대화 훈련을 제공하는 챗봇 유미를 개발하고 3주 간의 필드 테스트를 통하여 챗봇 유미의 효과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챗봇 유미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 집단과 비교하여 챗봇 유미를 사용한 실험 집단에서 우울감과 불안감 완화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도 높아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 건강 분야에서 챗봇 활용의 실증적 효용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조셉 스텔라(Joseph Stella, 1877-1946)의 '성(聖)과 속(俗)의 합일' 연구: 1910-192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이정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study on Joseph Stella's ‘The Coincidentia oppositorum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Stella is an American immigrant raised in Muro Lucano, southern Italy, and came to the United States in 1896. Stella is well known for his works, which depict New York City, Battle of Lights, Coney Island, Mardi Gras(1913-1914) and The Voice of the City of New York(1920-1922), these are evaluated as a pioneer of American Futurism. Stella has created various subjects and styles, including female nude, Madonna, flora as well as the theme of an industrialized city. Most of Stella's work, however, has been studied mainly from a viewpoint of Futurism, and sometimes Stella's name is mentioned in Precisionism but the relationship is very small. Stella had witnessed the Futurism and the European avant-garde movement in Europe before and after 1910 and back in the United States, produced a very rare female nude and Madonna painting in his work from 1922, while depicting the peak of New York's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Many researchers have tended to see Stella's paintings as a time when the Futuristic characteristics exploded in the 1910s, and religious features emerged in the 1920s. Nonetheless, Stella has been showing a religious spirit since the 1910s when his masterpieces were produced. Stella moved to the United States in 1896 and was overwhelmed by the appearance of the metropolitan New York. He felt the aesthetic and great beauty in industrial landscape but soon began to express the inner emotions and admiration of the industry, experiencing the laborers and immigrants around him. While Stella was attracted to the metropolis, the loneliness and tragedy that lurked behind the industrialization had caused increasingly deep nostalgia for his homeland and made him constantly reflect on his Catholic legacy from his homeland in his work. Stella's Italian hometown and the church bell tower of the village led him to cross art and religion as he longed to dominate his subconsciousness. Therefore, Stella was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feelings generated in the vertical space in New York with the heavens when he first introduced the futurism style on the canvas, more than anyone in the United States. When Stella saw the Brooklyn Bridge, he could recall the essential function (passage) of the bridge and looked at it as a symbol of the modern machinery age, just as in the past the Cathedral was the symbol of that era. Stella used the Futuristic style to express modernity in his first bridge theme Brooklyn Bridge(1919-1920), but combined a meditative image of the Sacred Heart of Jesus,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ground and underground dichotomous structure and red right. This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light extended to the Brooklyn Bridge in a more sacred and spiritual space, and by reflecting the praise of modernity and the situation of living in the society, he was able to sublimate the bridge itself into a religious object. Unlike other artists who used the Brooklyn Bridge as a side role in the background, Stella used it as a way to connect the earth and the heaven, and he could express the sacred and holy feelings inherent in religious art, as the viewer was in the presence of a new deity. Thus, it attempts to give religious spirituality to paintings have been further strengthened while depicting a typical modern city: New York. In The Voice of the City of New York, Stella visualized Manhattan's iconic places on polyptych form, leading to a spiritual experience of moving to that world. This experiential space was good way to reflect his identity into painting and was suitable to add spiritual value to American material. From 1922, Stella produced a typical religious subject: Madonna. When his Madonna was the sacred, his nude was the profane, and used as a prelude to Madonna's painting. Stella depicted the nudes as mythical subjects –Leda and the Swan, Undine, Birth of Venus- with narrative description, re-inventing it as a holy female nude with modernistic freshness, using sensual and decorative colors while utilizing the mystery and sensuality of traditional nude. Such purity and coexistence of eroticism reminds me of the Neo-Platonism thought of Florence in the 15th century, in which Platonism and Christianity are united and is later linked to Madonna's painting. Stella produced five images of Madonna: a sacred mother, a human mother, a queen of heaven, flower, etc. Through changes in form, composition, and color, Stella wanted to reach the religious spirit of painting which expressed the inner spirit, not the religious painting in religion bound. Stella's diverse paintings of Madonna are influenced by Italian art traditions and religious images, which he described as a combination of Italian roots and his second hometown, American industrialization. The change in Stella's work of 1910-1920s was not sudden, but the Catholic legacy inherent in him was revealed throughout his oeuvre and gradually promoted spiritual unity in paintings from Coney Island to Madonna. Stella, who has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has sublimated painting into spiritual touch by combining religion with his identity in a secular, subject praising, machine civilization. It is based on a modernist style, but also expressed visually by expressing mental values.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union (The Coincidentia oppositorum)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was expressed in Stella's work of 1910-1920s, which were mainly drawn by Stella's representative works. It was the link of Catholic legacy and religiosity inherited in Stella and ultimately to approach the sacred. Given that the existing research on Stella is focused on the aspect of futurism and there is not much subject-specific research, this study is intended to have new implications in that it has expanded its perspective and scope. 본 논문은 이탈리아 태생의 미국화가 조셉 스텔라의 ‘성(聖)과 속(俗)의 합일’에 대한 연구이다. 스텔라는 뉴욕 도시 풍경을 묘사한 대표작 <빛의 전쟁, 코니아일랜드, 마디 그라 Battle of Lights, Coney Island, Mardi Gras>(1913-1914)와 <해석된 뉴욕 도시의 음성 The Voice of the City of New York Interpreted>(1920-1922) 등으로 잘 알려져 미국의 미래주의 선구자로 평가된다. 스텔라는 산업화된 도시를 주제로 삼는 이외에도 여성 누드, 마돈나, 식물 등으로 다양한 주제와 양식으로 풍성한 다작을 남겼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텔라 작품 연구는 미래주의적 관점에서 주로 수행되었고, 간혹 정밀주의에서 스텔라의 이름이 언급되지만 그 관계는 매우 미미하다. 스텔라는 1910년 전후에 유럽에서 유럽 아방가르드의 움직임과 더불어 미래주의를 목도하고 미국에 돌아와 현대화·산업화의 절정인 뉴욕을 묘사하다가, 1922년부터 그의 작품에서 매우 드문 여성 누드와 마돈나 회화를 8점 제작했다. 스텔라의 회화는 1910년대를 미래주의적 특성이 폭발하는 시기로, 1920년대에 접어들면서 종교적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크다. 그러나 스텔라는 대표작들이 제작된 1910년대부터 종교적 정신을 회화에 드러내고 있었다. 스텔라는 1896년에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대도시 뉴욕의 모습에 압도되었고 산업적 풍광에서 심미적이고 위대한 미(美)를 느꼈으나, 그는 곧 주변의 고단한 노동자와 이민자들을 경험하면서 인간 내면의 감정과 산업에 대한 찬미를 동시에 작품에 투영하기 시작했다. 스텔라에게 대도시가 매력적이었던 반면, 산업화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고독과 비극은 고향에 대한 향수를 점점 깊어지게 했고 고향 이탈리아에서 비롯된 가톨릭 유산을 꾸준히 작품에 반영하게 하였다. 스텔라가 간직한 고향과 마을의 교회 종탑은 스텔라에게 그리움처럼 그의 무의식을 지배하면서 예술과 종교를 교차하게 했다. 따라서 스텔라는 뉴욕의 수직적 공간에서 발생한 감정을 천상과 소통하려고 했고, 이것은 그가 미국에서 누구보다 먼저 미래주의 양식을 캔버스에 도입할 때 종교적 정신까지 융합하게 하였다. 스텔라는 브루클린 다리를 본 순간, 다리의 본질적 기능인 통로를 떠올림과 동시에 과거의 대성당이 그 시대의 상징물이었던 것처럼 현대 기계시대의 상징물로 보았다. 스텔라는 처음으로 다리를 주제로 <브루클린 다리 Brooklyn Bridge>(1919-1920) 작품에서 미래주의 양식을 이용하여 현대성을 표현하면서도 지상과 지하의 이분법적 구도와 붉은 빛의 표현을 통해 예수성심의 명상이미지를 접목시켰다. 이러한 구도와 빛의 표현은 브루클린 다리를 보다 신성하고 정신적인 공간으로 확장시킬 수 있었다. 스텔라는 현대성을 찬미함과 동시에 그 사회를 살아가는 자신의 상황을 투영시켜서 다리 자체를 종교적 대상으로 승화시켰다. 스텔라는 브루클린 다리를 배경 속 부수적인 역할로 등장시킨 다른 예술가들과 달리 지상과 천상을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했고 감상자를 새로운 신성의 면전에 세우는 것처럼 종교미술에 내포된 신성함과 경건함 등의 감정을 드러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스텔라가 회화에 종교적 정신성을 부여하려는 시도는 전형적인 현대 도시, 뉴욕을 묘사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스텔라는 <해석된 뉴욕 도시의 음성>에서 제단화 구조 위에 맨해튼을 상징하는 장소들을 가시화하여 저 편의 세계로 나아가는 정신적 체험을 유도했다. 이러한 체험적 공간은 자신의 정체성을 회화에 투영하는 좋은 방법이자 미국적 소재들에 정신적 가치를 덧입히기에 적합했다. 스텔라는 1922년부터 전형적인 종교화의 주제인 마돈나를 화폭에 등장시켰는데, 마돈나가 종교적인 성(聖)의 것이라면 관련 작품이 되는 여성 누드는 비종교적인 속(俗)의 것이 되어 마돈나 회화로 나아가는 전조로 사용했다. 먼저, 스텔라는 암묵적 서술이 가능한 신화 주제인 레다와 백조, 물의 요정, 비너스의 탄생을 누드로 묘사하면서 전통적인 누드화의 특징인 신비와 관능미를 살리면서도 감각적이고 장식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모더니즘적인 신선함이 부여된 성스러운 여성 누드로 재탄생시켰다. 이와 같은 순결과 에로티시즘의 공존은 플라톤 철학과 그리스도교의 일치를 담은 15세기 피렌체의 신플라톤적 사상을 떠올리게 하고, 이후에 그려진 마돈나 회화로 연결된다. 스텔라는 마돈나를 소재로 성스러운 어머니, 인간적인 어머니, 천상의 여왕, 꽃 등의 이미지 5점을 제작했고, 형식, 구성, 색채 등의 변화를 통해 종교에 얽매인 종교화가 아니라 내적 정신을 표현하는 회화의 종교성에 도달하고자 했다. 스텔라가 이렇게 다양한 모습의 마돈나를 그린 것은 이탈리아의 미술 전통과 종교적 이미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그의 뿌리인 이탈리아와 제 2의 고향인 미국의 산업화의 결합 등으로 표현한 것이다. 1910-1920년대 스텔라의 작품 속 변화는 갑작스러운 것이 아니라 그에게 내재되어 있는 가톨릭 유산이 그의 전작(全作)에 걸쳐 나타난 것이며, 특히 코니아일랜드부터 마돈나에 걸쳐 회화에서 점진적으로 정신적 통합을 고취시킨 것이다. 스텔라는 기계문명을 찬미하는 세속적 주제에서도 그의 정체성이 내포된 종교성을 결합하여 회화를 정신적 감동으로 승화시켰고, 이것은 모더니즘 양식에 기초하면서도 정신적 가치를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표현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텔라의 대표작이 주로 그려진 1910-1920년대 작품을 통해 성과 속의 합일이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텔라의 작품에 대한 기존 연구가 미래주의 측면에 집중되어 시기별, 주제별 연구가 많지 않은 것을 고려할 때, 연구의 관점과 영역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의의를 가지는 것이라 하겠다.

      • 초등학생의 문화포용성 분석을 통한 반편견교육 방안

        이정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문화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주된 요소 중 하나는 타문화에 대한 편견이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이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서로 다른 것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차별하지 않는 문화포용성을 바탕으로 하는 반편견적인 태도이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반편견교육의 필요성은 논의되었지만, 초등학생들의 문화포용성 수준을 고려한 반편견교육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문화포용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반편견교육에 활용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반편견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문화포용성 수준을 측정하여 문화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학년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문화포용성은 서울시 강북구 S초등학교의 초등학생 3∼6학년을 대상으로 검사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문화포용성 수준 측정 검사지는 초등학교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사한 후 사용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문화포용성 수준에 맞는 반편견교육 방안을 개발 및 적용한 후 문화포용성 수준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초등학생의 문화포용성 분석을 통한 반편견 교수·학습 활동은 서울 시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업은 총 10차시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교육과정 영역 중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으로 실시하였다. 수업 내용은 문화포용성의 모든 영역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였으나, 특히 학생들의 문화포용성 수준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취약한 부분인 ‘다문화에 대한 흥미 및 개방성 향상’, ‘다문화에 대한 편견 및 고정관념 감소’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반편견교육 실시 후 사례군의 문화포용성(지식)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검증 결과,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화포용성(태도)에 대한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다문화학습에 대한 관심 및 호감도, 편견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은 반편견교육 실시 전에 비해 교육 후에 향상되었고, 외국문화와의 접촉에 대한 불안도 및 타문화 학습 시 자문화 상실에 대한 염려도, 동일 국적 내의 결혼에 대한 동의 정도, 흑인국가는 빈국이라는 편견, 흑인친구보다 백인친구가 좋다는 편견은 낮아짐으로써 반편견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던 편견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학교교육에의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반편견 교육활동 계획 시 학습자들의 문화포용성을 분석하여 교육활동의 목표 및 내용에 반영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학생의 문화포용성은 다문화에 대한 개인의 직접적·간접적 경험에 영향을 받으므로 학생의 문화포용성을 증진하기 위한 반편견교육 활동은 학생의 직접적·간접적 경험을 촉진해야 한다. 셋째, 반편견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문화포용성을 증진하는 반편견교육에 대한 체계적 접근과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 문화포용적인 태도는, 많은 문화가 공존하는 지구촌에서 서로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자질이다. 편견은 개인의 사고과정과 지식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반편견교육은 특정 교과영역을 떠나 유아교육부터 초등교육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문화포용성을 바탕으로 한 반편견교육이 확대 실시되어야 한다. 주요어 : 다문화교육, 문화포용성, 문화포용성 척도, 반편견교육, 편견

      • 자기개념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분석

        이정연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Self-concept Meaning on their own perception and evaluation is to be a circular which leads a life acting human thinking, feelings and behavior. Also views about the future of their own is an important mechanism in the life of the current acting. So the study is started because they think both Self-concept and viewing about the future are important factors in career. The study is processed to consult the career through verifying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in the relationship of Self-concept and career aspirations of characterization of high-school students, to take advantage of teaching and to use this for the purpose of program of career development materials. Questionnaire consists of total of 46 questions about self-concept and career aspirations, future prospect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ub-concept of self-concept consists of appearance, and the physical, emotional,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Future prospects consist of Future orientation, future scalability, future concreteness. Finally sub-factors of career aspiration was named to the pursuit of the career and the pursuit of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self-concept of career aspirations, the impact of self-concept of future outlook,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career aspir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ree specialized high schools 500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for research. And using th SPSS 18.0, validity,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Through Sobel-test tested the mediating effect. this process conducted research controlling gender, grade, and career prior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concept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spirations. When viewed by the sub-factors of self-concept , physically self-concept and social self-concep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spirations. Second, Self-concep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spects for a future time. Among sub-concept of the self-concept, Physical, emotional, and academic self-concep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spects for a future time. Third. Prospect of a future time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spirations. Future orientation : Sub-factors of the Future Time Perspectiv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spiration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career aspirations,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tested. Fifth, Physically self-concept of boy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irls, career aspirations and future scalability to boys als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s. As a result, need education, counsel and programs that have forward-thinking which outlook the future to specialized high schools students positively. Need of social skills program also is suggesting research. In addition, management to follow worthy effort as a career aspirations is needed, and the importance of fitness management also should be emphasized. Finally, I tries a few suggestions that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o develop the theme. First, This study are not compared with high school students.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dings grasp a phenomenon only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tudents . For accurate analysis, comparative studie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general are needed. Second. The subject are concentrated in one area. Because a series of studies characterizing high school did not work out, there are a bunch of generalization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hird, Redefine the concept of career aspirations and need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to fit the reality of our country, a longitudinal study of which the results also applies to real life would be needed. 자신에 대한 지각과 평가를 의미하는 자기개념은 인간의 감정과 사고, 행동에 작용하여 삶을 이끌어가는 나가는 원형이 된다. 또한 자신의 미래에 대한 전망은 현재의 삶에도 작용하는 중요 기제가 된다. 따라서 자기개념과 미래시간전망은 진로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므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생들의 자기개념과 진로포부와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진로상담에 활용하고, 진로프로그램의 개발 자료로 사용함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자기개념과 진로포부, 미래시간전망, 개인특성을 묻는 문항으로 총 46문항이며, 자기개념의 하위개념을 외모적, 체력적, 정서적, 학문적, 사회적 자기개념으로 구성하였고, 미래시간전망은 미래지향성, 미래시간확장성, 미래구체성으로 구성하였으며, 진로포부의 하위변인은 출세추구와 영향력추구로 명명하였다. 자기개념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개념이 미래시간전망에 미치는 영향, 미래시간전망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자기개념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3개의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444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PSS 18.0을 사용하여 타당도 검증, 신뢰성 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Sobel-test를 통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성별, 학년, 진로우선순위를 통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개념은 진로포부에 정적영향을 미친다. 자기개념의 하위개념별로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체력에 자신이 있을수록, 사회성이 높을수록 진로포부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통계적 유의수준은 아니었으나 외모적 자기개념, 학문적 자기개념, 정서적 자기개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개념은 미래시간전망에 정적영향을 미친다. 자기개념 하위개념 중에서는 정서적, 학문적, 체력적 자기개념 순으로 미래시간전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그 다음으로 통계적 유의수준은 아니었으나, 사회적 자기개념과 외모적 자기개념이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미래시간전망은 진로포부에 정적영향을 미친다. 미래시간전망 하위변인 중 미래지향성은 진로포부에 강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미래구체성도 진로포부에 정적영향을 나타냈으나, 미래시간확장성은 정적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체력적 자기개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진로포부와 미래시간확장성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다섯째, 자기개념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낮은 자기개념을 갖고 있는 특성화고등학생들의 진로포부를 높여주려면 미래지향적 사고를 갖도록 하는 진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