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되돌이 후두신경을 침범한 갑상선 유두상암의 임상적 고찰

        이정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Vocal cord paralysis i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surgery for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And, identific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RLN) is of major concern in surgery of the thyroid gland. Sometimes, if thyroid cancer invades RLN, it need to undergo resection or postoperative I-131 ablation therapy following shaving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 of the thyroid cancer invading RLN and to find the predictive factor of the invasion of the RL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3 and June 2005, 850 patie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thyroid papillary carcinoma at the Department of Endocrine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mong of them, we reviewed clinicopathologic features in 31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invading the RLN. We analyzed patient's age, gender, presence of hoarseness or vocal cord paralysis, mass size, mass location, proportion of the tumor in thyroid lobe, distance between the tumor and the RLN, distant metastasis, lymph node metastasis, operative method,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each variable by Pearson correlation, One-way ANOVA or Kruskal-Wallis test. The cases were classified in five groups by proportion and distance between tumor and tracheoesophageal groove. The proportion and distance was measured on transverse plane of neck CT or neck ultrasonogram. The cases that the tumor occupy above quater of the thyroid lobe were classified in group 1, and the case that the tumor occupy below quater of thyroid lobe were classified in group 2 to 5 by the location (posteromedial, that attach to TE groove, in group 2 , posterolateral in group 3, anterolateral in group 4, anteromedial and isthmus in group 5). Results Statis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tumor in thyroid lobe and the distance between tumor and RLN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In 21 of 31 (67%), the tumor occupied almost of the thyroid lobe (group 1), and they had nearly no space between the tumor and TE groove. 7 of 31 (22%) were classified in group 2, they also had no space between tumor and TE groove. 2 cases were classified in group 3, only one case was classified in group 4, and no case belonged in group 5. So to speak, in 28 of 31 (90%), the tumor was adjacent to the RLN. Because of variable size of thyroid, the tumor sized was not relate to the incidence of invasion. In distribution of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invading the RLN, patients of from 40th to 70ths was 80.7%, female was 83.9%, no preoperative symptom was 77.4%, RLN invaded tumor originated from original thyroid carcinoma was 77.4%, none of distant metastasis was 93.5%, Cervical LN invasion was 58.1%,and shaving method in operation was used slightly more(61.3%) than resection methods. but we had difficulty to find the relatives in tumor size and site. nerve shaving was predominantly done in patients with no symptom(70.8%), but nerve resection method was predominantly done in patients with symptom(71.4%).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is was all over 70th's. Conclusions Factors related to Invasion of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by thyroid papillary carcinoma was age, gender, absence of preoperative symptom, origin of nerve invasion in thyroid carcinoma, absence of distance metastasis and groups by proportion and distance between tumor and tracheoesophageal groove(TE groove). Factors correlated with one another were gender and preoperative symptom, gender and location of cancer, age and preoperative symptom, age and distant metastasis, size and group of cancer, size and location of cancer, preoperative symptom and operative methods. So, factors mentioned above will be useful to expect RLN invasion preoperatively and to give the patients knowledge about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prognosis. 배경 : 성대마비는 갑상선암 환자들에게 있어 가장 심각한 문제들 중 하나이며, 되돌이 후두신경을 확인하고 보존하는 것은 수술시 가장 주의해야 할 부분 가운데 하나이다. 갑상선암이 되돌이 후두신경을 침범한 경우 신경을 절제하거나 보존 수술 후 방사능 요오드 갑상선 용해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런 경우 수술 후 성대마비에 의한 목소리 변성, 짧은 발성, 기도 흡인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저자는 되돌이 후두신경을 침범한 갑상선 유두상암의 임상적 특성을 고찰하고, 신경침범의 예견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내분비외과에서 갑상선 유두상암으로 수술을 받은 850명의 환자 중 되돌이 후두신경에 침범소견을 보인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나이, 성별, 수술 전 성대마비 증상의 유무, 종양의 크기, 종양의 위치, 원격전이의 유무, 경부 림프절 전이 유무, 수술 중 되돌이 후두신경의 처리방법, 종양의 갑상선엽 내 점유율과 종양에서 기도식도고랑까지의 거리에 따른 형태 등을 One-way ANOVA와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은 경부 전산화단층촬영과 경부 초음파를 검토하여 종양의 갑상선엽 내 점유율과 종양에서 기도식도고랑까지의 거리에 따라 다섯 형태로 분류하였다. 종양이 갑상선엽 횡단면의 2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를 제1형, 종양의 점유율이 갑상선엽 횡단면의 25% 미만을 차지하면서 후방내측, 후방외측, 전방외측, 전방내측(갑상선협부 포함)에 위치한 경우를 각각 제2, 3, 4, 5형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갑상선 유두상암에서 되돌이 후두신경을 침범한 경우는 전체 850례 중 31례(3.6%)였으며, 이 중 7례(22%)에서 수술 전 증상을 호소하였다. 되돌이 후두신경의 침범한 경우 종양의 점유율과 기도식도고랑까지의 거리에 따른 형태별로 31례 중 21례(67%)가 제1형, 그리고 7례(22%)가 제2형에 해당하였다. 또한 제3형에 2례, 제4형에 1례가 있었으며, 제5형에는 단 한례도 없었다. 되돌이 후두신경을 침범한 환자의 분포를 보면 40~70세가 80.7%, 여성이 83.9%, 수술 전 증상이 없는 경우가 77.4%, 신경침범의 기원이 암 자체인 경우가 77.4%, 원위부 전이가 없는 경우가 93.5%, 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가 58.1%, 수술 중 되돌이 후두신경의 처리 시 신경보존술을 시행한 경우가 61.3%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원위부 전이의 경우는 모두 70세 이상에 해당하였다.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는 주로 신경보존술(70.8%)을 시행하였으며, 증상이 있는 환자는 주로 신경절제술(71.4%)을 시행하였다. 결론 : 갑상선 유두상암으로 수술을 받는 환자에서 되돌이 후두신경의 침범과 관련된 인자는 나이, 성별, 수술 전 증상의 유무, 신경침범의 기원, 원위부 전이 유무, 경부 전산화단층촬영과 경부 초음파 등 영상검사에서 종양의 갑상선엽 내 점유율, 그리고 종양의 기도식도고랑과의 인접소견 등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인자들 상호간의 연관성이 있는 경우는 성별에 따른 수술 전 임상증상 유무, 성별에 따른 암의 위치, 연령에 따른 수술 전 증상의 유무, 연령에 따른 원위부 전이 유무, 수술 전 증상의 유무와 수술 방법, 암의 크기와 형태, 암의 크기와 위치 등이다. 이는 갑상선 유두상암 환자에 있어서 되돌이 후두신경 침범을 예견하고, 수술 후 성대마비에 따른 합병증 발생 가능성에 대해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地方化 時代의 地域 老人 福祉에 관한 硏究 : 京畿道 陽平君 事例를 中心으로

        이정삼 漢陽大學校 行政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95년 6월 4일 전국 동시 지방 선거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농촌 지역에서의 사회 복지 분야 중 특히 지역 노인 복지에 초점을 맞추어 조명해 보는 것이었다. 특히 농촌 지역의 인구 분포는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를 지나 고령 사회(aged society)로 접어든 시점에서 지방 자치제를 중심으로 노인들의 사회․환경적 요인을 파악하여 지역 사회의 노인 문제를 지역 특성에 맞는 복지 서비스 프로그램을 구상해 보는 것이었고 특히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를 통해서 노인 유권자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과 관선․민선 단체장의 복지 마인드 변화 실태를 검증해 보는 것이기도 하다. 이에 경기도 양평군을 모델로 전국 동시 지방 선거 투표 결과 및 관선․민선 단체장의 복지 예산 운용 실태 등을 세부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의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에서 노인 유권자의 투표율은 평균 투표율을 크게 상회하였고 특히 전체 유권자 대비 60세 이상의 노인 인구비는 약 1/4 정도로 나타났다. 즉 지방 선거에서 노인 유권자의 투표 성향 및 투표 결과는 선거의 향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선․민선 단체장의 노인 복지 예산 집행 및 복지화 마인드는 재정 자립도에 크게 좌우됨을 알 수 있었으나 반면에 지방 자치 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많은 부분이 지역 특성과 노인들의 니드에 따라 융통성 있는 복지 대책 수립 및 시행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복지 관련 행정담당 공무원 및 지역사회 유지들과의 인터뷰에서는 노인 복지 분야 활성화 대책과 노인 복지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농촌 노인 복지 서비스의 발전 방향으로 크게 전체적인 지방화 시대에 지역 노인 복지 발전 시스템과 농촌 노인 복지 시설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농촌 지역 경로당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방화 시대의 노인 복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 노인 복지의 이론을 재정립하고 실천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겠다. 지방화 시대에 부합된 지역별 특색 있는 지역 노인 복지의 발전 과제가 염출되고 이론적 틀 속에서 실천 체계가 현실성 있게 구축되어야 하겠다. 둘째, 다양한 노인 복지 공급 체계가 구축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중산층, 상류층 등 새로운 노인 복지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표준화되고 전문화된 원리와 지침이 필요하며 정책적인 차원에서 다양한 노인 복지 서비스 공급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 노인 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여야겠다. 농촌 노인들의 기초 소득 보장을 위해서 노인 복지 공장 설치, 의료 복지 서비스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보건소 인력 보완, 농촌형 노인 복지관에 물리 치료 능력 확충, 방문 간호 서비스 등의 제도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 단독 또는 노인 부부에 대한 재가 노인 복지 서비스로 가정 봉사원 파견 센터, 주간 및 단기 보호 시설도 농촌 지역에 시급히 확대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 노인 복지 환경 조성과 지역 복지의 조직화가 필요하겠다. 지방화 시대에 맞게 지역 노인의 요구에 따라 복지 정책과 프로그램을 지역적 특수성을 살려 효과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지방 자치 단체가 중심이 된 지역 노인 복지 지표를 설정 주기적인 시행 및 평가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농촌 지역 경로당을 노인 복지 시스템을 갖춘 운영 체계로 만들어야겠다. 우선적으로 기존의 사랑방 개념의 경로당에서 복지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곳으로 새로운 이미지 개선을 해야겠고 경로당 특성별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경로당도 지역 사회 주민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경로당과 지역 사회, 지역 사회와 경로당의 연결 고리를 만들어 노인 자원 봉사자라는 매개체를 적용, 노년의 삶을 보람으로 승화시킬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표본 수와 조사 방법에서 나타나는 한계와 가치 문제를 접근하는데서 오는 논리의 한계를 인정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한계는 연구자 관점의 한계에서 올 수도 있고, 가치를 주제로 하는 연구에서의 보편적인 한계이기도 하다. 비록 본 연구가 위와 같은 연구 한계를 지녔지만 앞으로 지방화 시대에서 농촌 지역의 노인 복지 개발 측면에서의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2007년에 인천광역시에서 발생한 삼일열 말라리아의 역학적 특성 분석

        이정삼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천광역시는 전국의 대도시 중에서도 가장 북한과 인접하여 북한으로부터의 영향을 많이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이다. 인천광역시의 여러 하부 지자체 중 강화군은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하는 북한 지역과 인접해 있어 재출현 초기부터 많은 환자가 발생해 왔다. 인천광역시는 전국의 광역시 중 면적이 가장 넓으며 행정구역이 한 군데 모여 있지 않고 넓게 산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중 대부분이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이어서 효과적인 방역사업 수행에 매우 어려운 조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에서 2007년에 발생한 삼일열 말라리아 환자의 자료를 분석하여 이 기간 동안 인천광역시에서의 말라리아 감염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7년도에 인천광역시에서는 총 474건의 삼일열 말라리아가 발생하였다. 강화군이 219명으로 46.6%를, 서구가 79명으로 16.6%를 차지하였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40-60대 환자들이 많았고 그 외 20대와 30대 환자도 많았다. 전체 환자의 67%가 남자 환자였으며 시기별로는 7, 8월에 환자 발생이 가장 많아 두 달 모두 120명 이상이 발생하였다. 2000년 이전만 하더라도 남한의 말라리아 발생은 북한의 영향을 받고 있는 일시적인 현상일 것으로 이해되었으나 최근의 역학 자료를 분석하면 인천시를 비롯한 많은 지역에서 활발한 지역 내 전파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토착화 예방 및 다른 지역으로의 확산 방지라는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 방식으로 방역대책의 초점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Incheon Metropolitan City is most adjacent to the western part of the Demilitarized Zone among the Metropolitan Ci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Many vivax malaria cases have occurred in Ganghwa County since the re-emergence. Incheon is one of the most wide cities in ROK, and many of its areas belong to malaria-revalent areas. This situation have made it difficult to perform malaria eradication project effectively. In this study, we collected various informations about vivax malaria cases that occurr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2007, and analyzed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In 2007, 474 cases of vivax malaria occurred, which was similar to the incidence in 2006. More than 200 cases occurred in Ganghwa County, which is adjacent to North Korea. Most cases which occurred in Seo-Gu, the Yeongjong Island of Joong-Gu and Ohngjin County might be attributed to the local transmission. Out of total cases which occurr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2007, approximately two-thirds were male patients. Monthly incidence reached its peak in July and August. Local transmission might occur constantl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2007. More active eradication projec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infection from re-expanding and to eliminate local transmission.

      • 외근형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정삼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많은 외상 사건에 노출되고 격무에 시달리는 외근형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외근형사의 근무 특성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와 외상 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소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외근형사의 근무특성과 직무 스트레스, 외상 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 동대문경찰서, 경기도 의정부경찰서, 양주경찰서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외근형사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181부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통계기법은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근형사의 근무특성(경력, 직급, 승진횟수)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와 외상 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소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외근형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근무 특성과 직무 스트레스, 외상 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근무 특성은 외근형사의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직무 스트레스와 외상 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근형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에서는 직무 스트레스,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외상 후 스트레스, 소망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근형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은 높아지며,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이나 소망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심리적 소진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근형사가 일선현장에서 경험하는 직무 스트레스와 외상사건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위험한 환경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경찰서 외근형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켜서 개인적인 삶의 질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경찰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트레스 대처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psychological burnout of detectives who are constantly exposed to numerous traumatic events and are swamped with heavy workload. First, job stress, post-traumatic stress, stress coping style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detectives were investigated to see if there is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work characteristics. Then, relative effects of detectives’ work characteristics, job stress, post-traumatic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on psychological burnout were explored. For this, 190 detectives working at the police stations located in Dongdaemun of Seoul, Uijeongbu and Yangju in Gyeon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survey. Of these, data from 181 surveys were analyzed. Analyses were done on SPSS 18.0 for Windows, an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reliability test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post-traumatic stress, stress coping styles, and psychological burnout according to the work characteristics (years of experience, position, number of promotions) of the detectives. Second, as for the relative effects of detectives’ work characteristics, job stress, post-traumatic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on psychological burnout, work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while all other variables did.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variables that affect psychological burnout of these detectives was in the order of job stress as th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problem-centered stress coping style, post-traumatic stress, wishful stress coping styl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and post-traumatic stress of detectives, the greater their psychological burnout. Moreover, the more they use problem-centered or wishful stress coping styles, the lower their psychological burnout.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the job stress detectives experience at the front lines of traumatic events and the subsequent post-traumatic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all affect their psychological burn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serve as the basis for developing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s for detectives. Utilizing these findings will help decrease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detectives working at stress-inducing, high-risk environment, thereby enhancing the quality of detectives’ personal lives and enabling them to perform their police duties more effectively.

      • 노숙인 자활근로참여자의 자립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숙인자활근로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정삼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숙인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자립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일자리부족, 취업기회감소, 국제적 금융위기, 개인파산신청 등의 원인으로 점차 증가하는 노숙인을 사회구성원으로 자립시키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프로그램(SPSS 12.0 Version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서울시 노숙인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하는 노숙인 150명을 대상으로 노숙인 자립향상과 영향요인에 관하여 분석·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참여동기가 자립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자립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동료지지가 자립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가 자립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직무량에 대한 만족도가 자립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보수만족도가 자립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성별 나이, 학력, 결혼상태, 종교, 참여기간이 자립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 지속가능발전 구성요소에 대한 입장차이 분석 및 환경요소 강화방안 연구

        이정삼 전남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환경보전과 경제성장, 그리고 사회통합 및 형평성의 조화와 균형을 지향하는 지속가능발전 개념은 21세기 인류의 보편적 발전전략의 핵심일 뿐만 아니라 국가와 지역발전의 중심개념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을 바라보는 시각은 주변 환경여건과 개개인의 시각에 따라 인식차이를 나타내게 되므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대와 더불어 이에 대한 지역구성원들의 인식과 입장차이를 명확하게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의 의지와 일치하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 구성원들을 직업군별, 활동분야별, 그리고 선호분야별 그룹 등 세 그룹으로 구분하여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입장차이 분석과 더불어 지속가능발전의 제약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였고, 활동분야 및 선호분야별 환경에 대한 입장차이 분석과 함께 지속가능발전정책 제고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역할 제고방안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으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안의 생태근대화론과 사회생태론, 성장지상주의와 좌파사회주의, 그리고 지속가능발전영역에의 분포실태를 실증적 경험을 통해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속가능발전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Connelly의 분포도(mapping)상 삼각형의 중앙인 지속가능발전 영역에 전체구성원의 84.2%가 분포하였고, 9.3%가 좌파사회주의를, 6.5%가 성장지상주의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태근대화론 지지자가 사회생태론 지지자보다 현저히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에서 시민단체 활동가는 Adams의 반주류적 성향을, 기업체 종사자는 가장 큰 주류적 성향을 보여 시각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가능발전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에서도 경제성장에는 경제분야 종사자가, 환경보전에는 환경분야 종사자가, 그리고 사회통합 및 형평성에는 사회분야 종사자가 1순위로 응답함으로써 자신의 활동분야에 대한 사회적 중요성을 크게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3대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 수준이 매우 높아 원활한 지속가능발전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으나 정부차원의 지속가능발전정책 추진 수준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35.1%에 머무는 상황이므로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와 함께 행정에 지속가능발전정책 도입이 필요하다. ? 지속가능발전정책의 도입을 위한 방안으로는 조직 구조론적 측면에서 부처(부서) 간 소통과 협력, 전담조직 등 제도추진체계의 마련, 조직 행태론적 측면에서 관료적 타성을 극복하기 위한 정보제공과 대안마련, 최고정책결정자의 정책의지 제고를 위한 사회전반의 인식확대가 필요하며, 조직 환경론적 측면에서 지난 2009년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이 제정되면서 지속가능발전법으로 격하된 지속가능발전기본법의 복원 등 법적근거의 마련과 정치적지지(대통령, 국회 등)와 관련이해집단의 협력(기업, 시민단체 등), 그리고 주민의 공감과 협력 촉진을 위한 홍보와 교육이 요구된다. ? 자본주의 구조 속에서 타 분야 종사자에 비해 사회에 대한 영향력이 큰 경제분야 종사자 및 경제성장 선호집단은 환경 및 사회분야 종사자와 선호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모든 설문에서 상대적으로 큰 비율로 경제성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과 환경산업 육성이 경제성장의 신성장 동력이 된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환경규제를 비용측면에서 소극적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환경을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삼는 안목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경제분야 종사자와 선호집단의 환경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환경과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분야의 역할 제고를 위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전국적 조직인 ‘지방의제 21’의 기능과 역할을 확대하고, 환경분야 종사자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선도적 노력, 그리고 경제나 사회분야보다 기회가 많은 환경교육을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확대함으로써 사회 전 분야의 지속가능발전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주파수 분석 기법을 이용한 마취심도 파라미터 추출

        이정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취 중 심박동 변이율 신호을 이용하여 다양한 파라메터을 적용하여 자율신경계 활성도를 알아내어 마취 심도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흡입마취제인 enflurane으로 마취하는 수술환자에서 수술전후를 통하여 중요한 과정마다 10분간의 심박동 변이률 신호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각 파라메터 값을 나타내었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술 중 심박도 변이율 신호를 이용한 주파수 영역 분석에서 LF, HF는 수술중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잘 나타내었으나 LF/HF와 1/f 잡음은 수술 전후 뿐만 아니라 수술 중의 마취 심도를 판정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 DFA를 이용한 프랙탈 분석에서 얻어진 스케일링 지수 α1, α2도 마취심도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지표가 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심박동 변이율 신호를 이용하여 수술 중 자율 신경계 변화를 잘 반영하는 파라메터를 관찰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심박동 변이율 뿐만이 아니라 뇌파 등의 인체의 여러 신호를 이용한 다양한 파라메터를 측정 분석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The evaluation of the anesthetic depth by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and so, evaluating the activity of autonomic nervous system was tried. Under general inhalational anesthesia with enflurane, 10-minutes EKG was acquired perioperatively during main incidents. Heart rate variability was analyzed and 5-minutes signal was expres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analysis of frequency area adopting heart rate variability, low frequency and high frequency represented the effect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but the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low frequency/high frequency and 1/f noise were not valuable in estimating the depth of anesthesia before, during and after the operation. The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also defined not suitable for the estimation of anesthetic depth during operation. The signal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reflect the parameter of autonomic nervous system during operations. Utilizing and analyzing many other parameters like EEG from human body as well as the heart rate variabiliy should be followed to develop the real-time anesthetic depth monitor.

      • 핵염색법을 이용한 열원충 감염 혈액에서의 원충수 정량 방법 개발

        이정삼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매년 3-5억 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매년 1-3백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 사망자의 대부분이 5세 미만의 소아로서 가장 많은 소아 사망자를 유발하는 질환 중의 하나이다. 이 때문에 말라리아는 UN이 정한 인류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새천년 개발목표 10개 항 중 6번째 항목에 오를 만큼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이다. 말라리아의 진단 뿐 만 아니라 원충의 증식을 확인하기 위해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혈액 도말 슬라이드를 Giemsa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는 방법이다. 이제까지 이 방법은 말라리아 진단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Giemsa 염색에 의한 현미경 검경법은 그동안 말라리아 진단을 위한 표준 진단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검사자의 주관이나 숙련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뿐 만 아니라 낮은 원충 농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로 검경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세포 측정기 등의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원충수를 정량화 방법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그동안 계속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열원충이 감염시키는 적혈구에는 핵이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핵염색 시약인 피코그린을 이용한 핵염색법에 의한 원충수 정량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피코그린을 이용한 핵염색법에 의한 원충농도 측정은 현미경 검경법과 그 판독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짧은 시간에 대량의 시료를 처리할 수 있어서 대규모 스크리닝 시스템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Malaria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vector-borne diseases that have threaten human beings. Approximate 300-500 million people are living in malaria-risk areas, and 1-3 million people die from malaria every year. Malaria control is a item of the Millenium Development Goal determined by United Nations since the most victims of malaria are children under five years old. Microscopic examination has been traditional gold standard to diagnose malaria and to determine parasitemia. However, it is labor-intensive, time-consuming, and dependent on the experience of examiner. To overcome the weakness of microscopic examination, development of high-throughput assay system has been steadily demanded.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utomatic parasitemia assay system using nuclear staining by PicoGree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utomatic parasitemia assay system using nuclear staining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sults of microscopic examination. This system is adequate for high-throughput assay since it is less labor-intensive and less time-consu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