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중 대역 단말기용 내장형 모노폴 안테나에 관한 연구

        이정관 광운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에서는 최근 다중 대역 단말기를 요구하는 시장의 환경에 맞추어 GSM/DCS/US-PCS 단말기용 삼중 대역 내장형 모노폴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최근 국내의 휴대폰 시장에서는 내장형 안테나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이미 해외 시장에서는 디자인을 고려한 내장형 안테나의 이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내장형 안테나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전기적 소형 안테나의 효과적인 구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PIFA(Planar Inverted-F Antenna)는 단락 회로와 접지면 효과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안테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점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PIFA는 성능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좁은 임피던스 대역폭, 낮은 효율 및 단락 회로의 영향으로 인한 방사 패턴의 왜곡 등으로 인한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다 개선된 성능을 가진 안테나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제작 및 측정한 결과, 제안된 안테나는 전 대역에서 정재파비 3:1이하의 대역폭을 거의 만족하였으며, 방사패턴 또한 수평면에서 전방향성 패턴을 가짐으로서 상용 안테나와 비교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In this thesis, a triple hand internal monopole antenna for GSM, DCS/ US-PCS bands mobile terminals is analyzed to meet the specific requirement as the demand of markets. Recently, an internal antenna becomes a matter of concern in the design of mobile handsets. In many countries, considering a feature of the handset, it is common to use an internal antenna in practical cases. In designing internal antenna, it is the most important to efficiently realize an electrically small antenna. Due to this, PIFA is often used for an internal antenna. It can efficiently reduce the size of the antenna with a short circuit and ground effects. Although there has been studies on improvement of PIFA, it still has some disadvantages such as narrow bandwidth, low efficiency and distortion of radiation patterns. Therefore, in this work, an antenna is designed to improve these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manufacture and measurement, the proposed antennas show satisfactory bandwidth ( VSWR < 3: 1 ) in every band and the antennas also show omnidirectional pattern on the horizontal plane which is as good as commercial antennas.

      • 동중국해 수산자원 분포와 현존량 추정에 관한 기초 연구

        이정관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동중국해 해역의 효율적인 수산자원관리와 지속적인 어획량 유지를 위하여 실시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전남대학교 실습선 새동백호(GT: 2,996 ton, HP: 3,500 kw)의 최첨단 조사 장비를 이용하여 이 해역의 해양 환경 특성과 수산 자원량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저층트롤 조사를 통해 어류의 종과 분포 정보를 파악하였고, 해수에서 eDNA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어종을 식별하고, 과학어군탐지기(Scientific fish finder, EK80, Simrad, Norway)를 이용한 조사 방법을 통해 계절별(월별)로 2022년 4월, 7월, 8월, 11월에 과학적 수산자원 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양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동중국해 해역의 수산자원 분포와 밀도를 파악하고,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해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어종, 분포 위치, 분포 밀도 등 현존하는 수산 자원량의 평가 및 추정 기술을 발전시키고, 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수층별 수온·염분 측정기(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with water sample, Sea bird SBE 911 Plus, Otronix, USA)를 이용한 해양 환경조사 결과, 해양 환경 변화에 따라 소해면적법을 이용한 저층트롤 조사에서 계절별(월별)로 어획된 출현종과 출현 밀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저층트롤을 이용한 수산자원 조사 결과, 동중국해 조사해역에서 계절별(월별)로 어획된 생물의 총 출현 종수는 어류 21종, 갑각류 6종, 두족류 6종, 극피동물류가 2종 출현하였다. 8월에 생물의 출현 종수는 22종으로 가장 많았고, 4월에는 생물의 출현 종수가 9종으로 가장 적었다. 분류군별 개체수는 갑각류가 전체의 50.4 %로 최우점하였고, 어류가 42.7 %, 두족류가 4.4 %, 극피동물류가 2.6 %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생체량은 어류가 전체의 52.4 %로 최우점하였고, 갑각류가 29.3 %, 극피동물류가 13.5 %, 두족류가 4.8 %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동중국해 조사해역에서 어획된 갑각류의 출현 개체수를 파악한 결과, 깨다시꽃게(Ovalipes punctatus)와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가 우점하였다. 두족류의 출현 개체수를 살펴보면, 반원니꼴뚜기(Loliolus japonica)와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매오징어(Watasenia scintillans)가 우점하였다. 어류의 출현 개체수를 파악한 결과,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와 갈치(Trichiurus lepturus), 민어(Sciaenidae), 성대(Chelidonichthys spinosus) 순으로 우점하였다. 소해면적법을 이용한 계절별(월별) 총 단위 면적당 평균 개체수 밀도는 4월에 84.8 (inds./km2)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11월에 809.0 (inds./km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계절별(월별) 총 단위 면적당 평균 생체량 밀도는 동일하게 4월에 7,516.7 (g/km2)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11월에 52,057.4 (g/km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학어군탐지기의 38 kHz와 120 kHz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어류의 음향자료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의 우점종에 대한 계절별(월별) 수산자원의 시․공간분포를 면적 산란계수(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nmi2)로 나타낸 결과, 7월에 65.80 m2/nmi2, 11월에 70.10 m2/nmi2로 높게 나타났으며, 4월에 6.63 m2/nmi2, 8월에 0.23 m2/nmi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NASC 값을 이용하여 계절별(월별) 우점종의 음향 분포 밀도를 추정한 결과, 4월에 꽃게(P. trituberculatus)가 0.021 g/m2로 나타났고, 7월에 갈치(T. lepturus)가 0.007 g/m2, 고등어(Scomber japonicus) 0.451 g/m2, 전갱이(T. japonicus) 0.335 g/m2로 나타났다. 또한, 8월에 갈치(T. lepturus)가 0.001 g/m2, 고등어(S. japonicus) 0.255 g/m2, 전갱이(T. japonicus) 0.248 g/m2로 나타났으며, 11월에는 병어(Pampus argenteus)가 1.709 g/m2로 나타났다. eDNA를 이용한 메타바코팅 분석 기술로 어종을 식별한 결과, 계절별(월별) 우점종은 4월에 고등어(S. japonicus), 날개다랑어(Thunnus alalunga), 멸치(Engraulis japonicus),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로 나타났고, 7월에는 날개다랑어(T. alalunga), 멸치(E. japonicus)로 나타났다. 또한, 8월에는 다랑어(Thunnini), 멸치(E. japonicus)로 나타났으며, 11월에는 참다랑어(Thunnus orientalis), 날개다랑어(T. alalunga), 멸치(E. japonicus)로 나타났다. eDNA와 과학어군탐지기를 결합한 계절별(월별) 우점종의 평균 밀도는 4월에 고등어(S. japonicus) 0.043 g/m2, 날개다랑어(T. alalunga) 0.085 g/m2, 멸치(E. japonicus) 0.020 g/m2, 쥐노래미(H. otakii) 0.173 g/m2로 나타났다. 7월에는 날개다랑어(T. alalunga) 0.085 g/m2, 멸치(E. japonicus) 0.020 g/m2로 나타났고, 8월에는 다랑어(Thunnini) 0.085 g/m2, 멸치(E. japonicus) 0.020 g/m2로 나타났다. 또한, 11월에는 참다랑어(T. orientlis) 0.057 g/m2, 날개다랑어(T. alalunga) 0.057 g/m2, 멸치(E. japonicus) 0.013 g/m2로 나타났다. 저층트롤 어구를 이용한 어획 조사 결과, 계절별(월별)로 어획된 출현종과 밀도가 다르게 나타났고, 어획 자료를 기반으로 한 우점종의 음향 분포 밀도와 과학어군탐지기 및 eDNA를 결합한 밀도도 계절별(월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eDNA를 이용한 메타바코딩 분석 기술로 어종을 식별한 결과, 계절별(월별) 우점종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동중국해 해역에 있어서 해양의 물리화학적 요소, 해류, 서식종 등이 다양하게 변화함과 동시에, 수산 자원량 추정 방법 그리고 식별된 우점종이 상이함에 따라 분포 특성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중국해 해역에서 해양 환경 변화에 따른 어류의 출현종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수산자원의 밀도 추정 기술, eDNA를 이용한 어류의 식별 기술 등과 함께,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음향 조사에서 물리적 제약에 의해 발생하는 저층 음향 불능 구간(해저 데드존, Bottom Dead Zone)에서 수산 자원량 추정을 저층트롤 어구의 소해면적법으로 추정하여 조사대상 해역의 수산 자원량 평가 기술을 개선하는 기초 연구로 활용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최근에 새로 도입된 최첨단 트롤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은 최첨단 장비는 보다 정확한 자원량 추정을 가능하게 하여, 해양에서의 수산자원평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추정한 수산 자원량 정도의 신뢰도가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As part of the basic research conducted to efficiently manage fishery resources and maintain sustainable catch in the East China Sea,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 distribution of fishery resources in this area using state-of-the-art research equipment of T/S SAEDONGBAEK (GT: 2,996 tons, HP: 3,500 kw,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istributions of fish species were confirmed using bottom trawl and scientific fish finder (EK80, Simrad, Norway). Each species was identified using the eDNA method in seawater. We conducted seasonal (monthly) surveys (April, July, August, and November 2022) using these methods.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marine survey, we tri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fishery resources in the East China Sea, develop technologies for evaluating and estimating existing fishery resources such as fish species, distribution location, and density in the survey area, and improve the degree. Results of the marine environment survey using a 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profile with water sampler (CTD, Sea bird SBE 911 Plus, Otronix, USA) showed different occurrence densities compared to those of the seasonal (monthly) caught species in the bottom-trawl survey using the swept area method. The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caught seasonally (monthly) in the East China Sea was 21 teleosteis, 6 crustaceans, 6 cephalopods, and 2 echinoderms. In August,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the most with 22 species, and in April,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the least, with 9 species. As for individuals by taxon, crustacean ranked first with 50.4 % of the total, followed by teleostei with 42.7 %, cephalopods with 4.4 %, and echinodermata with 2.6 %. As for biomass by taxon, teleostei ranked first with 52.4 % of the total, followed by crustacean with 29.3 %, echinodermata with 13.5 %, and cephalopods with 4.8 %. Furthermore, as a result of occurrence individuals of crustaceans caught in the survey area, Ovalipes punctatus and Portunus trituberculatus dominated. As a result of the occurrence individuals of cephalopods, Loliolus japonica, Todarodes pacificus, and Watasenia scintillans dominated. And as a result of the occurrence individuals of teleosteis, the dominant position was in the order of Trachurus japonicus, Trichiurus lepturus, Sciaenidae, and Chelidonichthys spinosus. The average density of individuals per seasonal (monthly) total unit area using the swept area method was the lowest at 84.8 (inds./km2) in April, and the highest at 809.0 (inds./km2) in November. The average density of biomass per seasonal (monthly) total unit area was similarly the lowest at 7,516.7 (g/km2) in April, and the highest at 52,057.4 (g/km2) in November. Using the 38 kHz and 120 kHz frequency differences of the scientific fish finder, the sound data of teleostei was extracted, an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easonal (monthly) aquatic resources for the dominant species of the extracted data was calculated as the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nmi2). The NASC results were high at 65.80 m2/nmi2 in July and 70.10 m2/nmi2 in November, while relatively low at 6.63 m2/nmi2 in April and 0.23 m2/nmi2 in August. Also,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ound distribution of seasonal (monthly) density of dominant species using NASC, P. trituberculatus was found to be 0.021 g/m2 in April, T. lepturus was found to be 0.007 g/m2, Scomber japonicus was 0.451 g/m2, and T. japonicus was 0.335 g/m2 in July. In August, T. lepturus was found to be 0.001 g/m2, S. japonicus was 0.255 g/m2, T. japonicus was 0.248 g/m2, and Pampus argenteus was found to be 1.709 g/m2 in November.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fish species using eDNA, the seasonal (monthly) dominant species were S. japonicus, Thunnus alalunga, Engraulis japonicus, Hexagrammos otakii in April, and T. alalunga and E. japonicus in July, Thunnini and E. japonicus in August, and Thunnus orientalis, T. alalunga and E. japonicus in November. The average density of seasonal (monthly) dominant species combined with eDNA and scientific fish finder was 0.043 g/m2 for S. japonicus, 0.085 g/m2 for T. alunga, 0.020 g/m2 for E. japonicus, and 0.173 g/m2 for H. otakii. In July, the average density of the species was 0.085 g/m2 for T. alunga, 0.085 g/m2 for E. japonicus, and 0.020 g/m2 for Thunnini, and 0.020 g/m2 for E. japonicus in August. In addition, in November, the average density of T. alunga was 0.057 g/m2 for T. alunga, and 0.013 g/m2 for E. japonicus. As a result of the catch survey using bottom-trawl gear, the seasonal (monthly) occurrence of species and caught density were different, and the sound distribution density of dominant species using catch data, as well as the density combining scientific fish finder and eDNA method, were also different by season (month). Additionally, fish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metabarcoding analysis technology using eDNA revealed that seasonal (monthly) dominant species differed.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various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factors, currents, and habitat of species in the ocean in the East China Sea, as well as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estimating fishery resources and the identified dominant spe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dentify the fish species occurring in the East China Sea due to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and furthermore, together with the technology to estimate and identify the density of fishery resources using scientific fish finder and eDNA. Also,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study to improve the assessment technology of fishery resources in the study area of the bottom dead zone caused by physical constraints in the acoustic survey using scientific fish finder. And cutting-edge equipment, such as the recently introduced state-of-the-art trawl monitoring system, is expect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estimated amount of fishery resourc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fishery resource evaluation technology in the ocean.

      • 북한의 사이버심리전 위협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이정관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ed by humans have brought about tremendous changes in overall life in addition to specific fields and specialized technology areas. Especially, the internet has a great effect on almost every area by providing new communication methods and space.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range of the national defense field is also expanded into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rather than staying in the conventional military power of the past. The concept of the existing battleground was also changed into new war paradigm including cyber space. Most advanced countries pursue network-centric warfare, and various weapon systems including command and control system constitute a cyber space. This system exerts its own ability in cyber space.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with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of military, North Korea is aggressively using the internet as a tool to propagate socialist ideology and system. Since 1990s, when the internet became prevalent, North Korea has used internet sites to propagate its system and ideology aggressively developing propagand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effective countermeasures by analyzing North Korea's propaganda activities in cyber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space. The situation is changed into psychological warfare in cyber space, which is recognized as a new battlefiel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lso known as cyber psychological warfare. The cyber psychological warfare refers to the planned use of propaganda and all other activities in cyber space that affect other countries and political groups' opinions, emotion, attitudes and behaviors for effective accomplishment of the nation's policy. This cyber psychological warfare can be developed with low cost without restriction of locations by a small number of skilled individuals or groups. It also can inflict confusion and damages as deadly as nuclear weapon with elementary level of skills. Besides, it can be applied beyond time and space, and it has anonymity, the feature of cyber space, so countries that are in poor economic situation like North Korea can utilize it as a very effective new weapon. Therefore, to block the increasing North Korea's cyber psychological warfare and to contribute to the victory of war, our military needs a great transition of thinking in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s of cyber psychological warfare, and response organization and performance system of national defense level should be completed. Based on this, the ability and threat of North Korea's cyber psychological warfare should be analyzed, and cyber psychological strategy development direction as the method of military attacks should be prepared, so absolute superiority in psychological warfare can be established. For this, specialized manpower should be fostered,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at guarantees psychological warfare should be developed. 인류가 발전시켜온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특정분야나 전문적인 기술적 영역 외 전반적인 삶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인터넷은 새로운 소통방식 및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분야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국가 안보영역 역시 과거 재래식 군사력 위주에서 탈피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으로 안보의 영역이 확대되었으며 육상, 해상, 공중 등 기존 전장의 개념 또한 사이버공간을 포함 하는 새로운 전쟁 패러다임으로 발전시켰다. 대부분의 선진국 군대가 네트워크 중심전을 추구하고 있으며 아군의 지휘통제 시스템을 비롯한 각종 무기체계들은 하나의 사이버공간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체계는 사이버공간에서 제 능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인터넷의 발달과 군사적 변화에 따라 북한은 사회주의 이념과 체제를 선전하기 위한 도구로서 인터넷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인터넷이 활성화된 90년대 이후 북한은 체제와 이념을 선전하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를 운용하며 선전활동을 적극 전개 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의 특성을 활용한 북한의 선전활동과 사이버공간의 특성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북한은 정보통신기술 발달에 의해 새로운 전장으로 인식되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심리전, 즉 사이버심리전이라는 양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사이버심리전은 사이버공간에서 국가 정책의 효과적 달성을 목적으로 주체가 되는 국가 이외에 모든 국가 및 정치집단의 견해, 감정, 태도, 행동에 영향을 주는 선전 및 기타 모든 활동의 계획적 사용을 말한다. 이러한 사이버심리전은 소수의 숙련된 개인이나 집단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저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고 초보적인 기술로 핵무기에 버금가는 치명적인 혼란과 손해를 가할 수 있는 파급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시·공간을 초월하여 적용이 가능하고 누가 공격했는지 모르는 익명성 등 사이버공간의 특성에 기인하여 북한과 같이 열악한 경제적 여건에 처해있는 국가들에게도 상당히 효과적인 신무기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주요 군사 선진국을 제외하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다수의 국가가 완벽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심리전이 이뤄지는 사이버공간 및 사이버심리전의 개념과 특성을 연구하고 북한의 사이버심리전의 위협과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북한의 사이버심리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전쟁승리에 기여하기 위해서 우리 군이 사이버심리전의 본질과 특성 등에 대한 사고의 전환을 통해 중요성을 인식하며 역량을 강화하고 대응방안의 방향을 제시하여 효과적으로 적국의 사이버심리전에 대응하고 공세적 수단의 사이버심리전 발전 방향을 마련하여 사이버심리전의 우위 선점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 품질 속성이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정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O2O(Online to Offline) service could b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many products and services that have existed online and offline. Customers initially ‘purchase products or services online and then use them offline’(Yang et al., 2015). Nowadays, however, there is no distinct order between online and offline, leading to a new industr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customers have an easy access to buying products and services, showing a large growth rate around the world and establishing itself as an industry. O2O platform services are gaining popularity recently by applying the convenience benefits of online services to the offline reality. With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devices, online-ordering is available anytime and anywhere. Accordingly, the services that closely connect convenience with daily life are gradually increasing and becoming popular with the public. Many O2O platforms are emerging by complementing each other’s disadvantages. The limitations, such as restrictive access, derived from an offline system is offset by online services providing customers with a variety of experiences like seeing products’ pictures or reading comments by other users who have already purchased. With these advantages, the O2O service has gradually grown up even in food industry. O2O services are also growing due to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ncome. Among O2O services, the delivery service is remarkable. Delivery O2O service is growing significantly with the attention of young consumers, which is changing the purchasing pattern of consumers who ordered food over the phone through flyers and general advertisements into orders through mobile platforms. Even in South Korea, O2O services are already involved in the reality. When riding a taxi or reserving accommodations, people use KAKAO taxi application or Airbnb. In the food industry, customers have limited options because only major companies provide delivery services. A delivery application service, however, enable small food shops to send out their food to consumers despite lacking a delivery system. The advent of delivery application services makes it possible for customers to enjoy various choices. The paper delves into the success factors of delivery application services and what kinds of factors satisfy customers, presenting solutions for service suppliers in delivery application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defines as continuous usage intention as customers’ satisfaction(a dependent variable) and empirically tests how the dependent variable is affected by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a system quality as information system quality, perceived us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First, among the O2O delivery platform service quality variables,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food quality, delivery quality, and staff qual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sability. Second, among the quality variables,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taff qual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the effect of usefulness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was positive(+). In this process, the effect of user 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to use continued was positive(+). To sum up, O2O delivery platform service users think that it is useful if they recognize that the quality of O2O delivery platform service is high in the O2O delivery platform service use environment, and users are satisfied, which is for the continued use of O2O delivery platform service. It is possible that this fact is related with continuous usage of the delivery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study, O2O delivery platform service should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he platform for the success and competitiveness. Through this, the O2O platform would be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delivery and the food.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usage environment of O2O delivery platform service and strategic directions for service providers through O2O delivery platform service.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는 기존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많은 상품 및 서비스를 결합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처음에는 고객들의 정보 탐색이 용이한 ‘온라인에서 구매를 진행하고 오프라인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형태’(Yang et al., 2015)를 보이고 있었지만 이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어느 것이 먼저가 아닌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새로운 하나의 산업이 되어가고 있다. 이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인하여 많은 부분이 모바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큰 성장률을 보이며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O2O 플랫폼 서비스는 최근 온라인 서비스의 편리성 혜택을 오프라인 현실에 적용해 인기를 얻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를 통해서 언제 어디서나 접속 및 주문이 가능한 상황이 되면서 편의성과 일상생활을 밀접하게 연계한 서비스들이 점차 늘어나고 대중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많은 O2O 플랫폼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서로 보완하며 생겨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직접 체험해보지 못하는 것을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연결로 직접 체험하게 하고, 오프라인에서는 한정적인 고객의 접점을 온라인을 통하여 크게 확산 시켰다. 이러한 보완에 가장 밀접한 것은 식생활과 관련된 O2O 서비스에서 두드러지게 보이고 있다. O2O 서비스는 1인 가구의 증가, 소득수준의 상승으로 인하여 두드러지게 성장하고 있고 그 시장 중에는 단연 배달 플랫폼을 통한, 배달시장의 성장이라고 할 수 있다. 배달 O2O 서비스는 젊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크게 성장하고 있고, 이는 기존의 전단지와 일반광고 등을 통한 전화로 음식을 주문하던 소비자들의 구매패턴을 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주문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도 굉장히 많은 실생활 속에 이미 O2O 서비스는 연관이 되어 있다. 택시를 탈 때에 카카오택시와 같은 모빌리티 서비스를 사용하고, 숙박을 원할 때 에어비앤비나 호텔스닷컴과 같은 앱을 통하여 예약을 한다. 기존에는 일부 프랜차이즈에 국한되던 배달도 이제는 배달 앱을 통하여 다양한 음식을 주문하여 집에서 식사가 가능하다. 심지어 비대면 시장이 확산됨에 따라서 음식배달에 대한 관심도는 점점 높아지고, 공급자들 역시도 오프라인에만 국한되던 음식을 배달을 통해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변화하는 공급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2O 배달 플랫폼이 성공하게 된 요인들과 그에 따른 근거들을 밝히고, 이를 기준으로 어떤 요인들에 의하여 고객이 만족하게 되었는지를 찾아 기업 및 공급자 입장에서 고객만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O2O 배달 플랫폼의 성공을 지속이용의도로 보고 정보시스템 품질과 관련된 품질, 그리고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자 만족을 변수로 제시하여 결정변수로 지속이용의도를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 품질 변수 중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음식 품질, 배달 품질, 직원 품질은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품질 변수 중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직원 품질은 만족에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용성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주는 영향은 정(+)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 만족도 지속이용의도에 주는 영향은 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는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 사용 환경에서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의 품질이 높다고 인식하면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이용자는 만족하게 되며, 이는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 지속이용에 연결된다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의 성공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 품질을 증대하고, 이를 통해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의 플랫폼, 제품, 배송 품질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의 사용 환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O2O 배달 플랫폼 서비스를 통한 공급자의 성공과 사업의 확장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BASINS/HSPF와 FCP를 연계한 수질개선대안 효과분석 방법 개발

        이정관 全南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역오염부하량, 유역내 하천의 수질농도 및 강우유출량을 예측하는 BASINS/HSPF, 호소수질을 예측하는 WASP, 환경 · 기술 · 경제 · 사회성을 고려하는 다기준의사결정모델(FCP)를 연계하여 수질개선대안 효과분석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질개선대안 효과분석 방법의 적용사례연구는 이 방법이 수질관리대책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BASINS/HSPF는 현재 미국에서 수질오염총량 부하량 예측모델로 사용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장래 호소유역의 오염부하/수리 · 수문 하천수질을 예측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BASINS/HSPF모델은 시간 · 일 · 월 · 년별로 수질을 동적으로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모델의 결과는 호소수질예측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동적자료를 요구하는 WASP모델의 적절한 입력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BASINS/HSPF모델을 이용하여 사례연구 대상지역인 장흥댐 유역의 대안별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오염부하량은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우유출량과 T-N은 증가하였으나 BOD는 감소하였고 T-P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5) 수질개선대안들의 환경 · 기술 · 경제 · 사회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대안을 선정하기 위한 의사결정모델로서 FCP(Fuzzy Compostie Programing)를 도입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장흥호 수질개선대안들을 평가한 결과 대안 Ⅲ이 최적대안으로 나타났다. 이 대안은 장흥댐 유역에 신풍, 유치, 옴천유역에 하수처리장를 설치하여 BOD를 감소시키고,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의 제거를 위해 하수처리장 방류수에 인공습지를 조성하고, 총 용량 285㎥/일의 마을하수도(정화조 포함)들을 설치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f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water quality improvement alternatives in combination with BASINS/HSPF and FCP. The BASINS/HSPF predicts the pollutant load(outflow), water quality and rain outflow of a watershed, and the FCP is a multicriterion decision-making model that can evaluate various water quality improvement alternatives and then select the optimum alternative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case study on effect analysis method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lternatives shows that the method can usefully use in establishing and evaluating various water quality management countermeasures. (2) The BASINS/HSPF model is currently used for predicting total pollutant load discharged from a watershed in U.S.A., and this study shows that the model can also be applied in Korea. (3) Because the BASINS/HSPF is a dynamic model that can predict water quality in time series such as hour, day, month and year, the result values calculated from the model can effectively be provided as input values of WASP model, which requires dynamic input data changed in length of time and is commonly used for predicting water quality of lakes in time series. (4) The results of BASINS/HSPF modeling in the case study show that rain outflow and T-N increase but BOD decrease and T-P is similar or lower as the amount of rain increases. (5) FCP is applied in the case study for evaluating various water quality improvement alternatives of Jang-Heung lake based on the sides of environment, technique, economy and sociality,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shows that the optimum alternative is Ⅲ, which includes the establishments of sewage treatment plants in Sin-Poong, Yu-chi, Om-chon areas, artificial wetlands for additional treatment of sewage treatment effluent, and small sewage treatment plants to each of many small villages (total 285m3/day).

      • 體育敎師의 敎授法과 學習者의 成就度와의 相關關係

        이정관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e proc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en we wants to obtain results about teach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valuation. So, I'd like to analyze the accomplishment degree of learners who are 500students in Gwang Dek high school, where I'm serving in Gwang Ju. In how to teaching, " A " class was put first game forces, and " B " class was put first personal skills in classes. Afterwards, as a result of grouping evaluation, they were resulted that the soccer and the basket ball were had to play after mastering of personal ability, the volley ball was had to play by the prim object of game forces, the 100M race and the discusthrow were had to effort for the timer, after mastering of pose, and the horizontal bar was had to guide the harmony between division actions and sequence actions. In conclusion, the evaluation was executed by presenting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degree to learners and put in various items.

      • 토양피복형 연속회분식 오폐수처리 공정개발

        이정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오폐수 내의 BOD 뿐만 아니라 질소와 인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연속회분식(SBR)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실험장치는 아파트 근방에 설치하며 실제하수를 유입수로 사용하였으며, SBR 반응조의 상부는 토양으로 덮고 그 위에 잔디를 식재 하였다. 또한 토양피복형 SBR 반응조의 자동운전을 위하여 PLC를 정착하였으며,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장 실험장치의 화상감시 및 운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한 본 연 구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토양피복형 SBR공정으로 유입된 COD, T-N, T-P, SS의 평균 유입수 농도는 각각 260mg/L, 57mg/L, 5mg/L, 116mg/L이며, 유출수의 농도는 각각 16.8mg/L, 15.0mg/L, 0.8mg/L, 6mg/L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각의 제거율은 94%, 74%, 80%, 95%로써 오폐수 처리장 방류수 기준보다 훨씬 낮았다. 그러나 N의 처리효율을 더 높일수 없었던 이유는 탄소원 부족 때문이었다. 한편, 본 연구의 토양핍복형 SBR 반응조 상부에 여재층을 설치함으로서 유출수 배출장치인 디켄터을 장착하지 않고도 다른 SBR 공법들과 유사한 SS 제거효율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SCSBR, for treating BOD, T-N and T-P in wastewater efficiently, To use real wastewater, the pilot plant was placed near apartment complex. The top of plant was covered by soil, and grass was placed on the top of soil layer. Also, PLC was installed for automatic operation and a remote monitoring system was develped to see operation status of the plant in real time.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plant's operation are as follows. The COD, T-N, T-P and SS concentrations of influent were 260mg/L, 57mg/L, 5mg/L and 116mg/L, respectively, and COD, T-N, T-P and 88 concentrations of effluent were 16Smg/L, 15.0mg/L, 0.8mg/L and 6mg/L respectively, Thus the removal effiiencies of COD, T-N, T- P and SS were 94%, 74%, 80% and 95,% respectively, Which are lower than the water quality standard of effluent. The removal rate of N cannot be improved clue to the organics used as a carbon source not the problem of the SCSBR process The SS removal efficiency of SCSBR operated with without decantor was similar with that other SBR with decantor, since the effluent of the SCSBR was passing through soil lay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