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 경험이 빈곤계층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재은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문화예술 경험이 빈곤계층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재은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문화콘텐츠개발학과 문화콘텐츠개발전공 본 연구는 문화예술 활동 참여 및 감상경험이 빈곤계층 아동들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 거주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빈곤계층 아동 2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경험이 빈곤계층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 경험이 있는 아동이 문화예술 경험이 없는 아동에 비해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문화예술 활동참여가 빈곤계층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 활동참여 상 집단이 활동참여 하 집단에 비해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문화예술 감상경험이 빈곤계층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 발달에서는 문화예술 감상경험 상 집단이 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사회성 발달에서는 문화예술 감상경험 상 집단이 중 집단과 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빈곤계층 아동들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은 활동(참여)과 감상이라는 영역을 균형 있게 제시하지 못한 편중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향후 정부차원의 빈곤계층 아동들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이 배우기(참여)와 감상이라는 균형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참여와 감상경험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fluence of Art and Culture Experience on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Jae Eun Lee Major in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Dept. of Education and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The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e and art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A survey based on the North Jeolla Province has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aim of the study 286 young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has been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the regular experience of culture and art has been positively affected to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The participants who have regular culture and art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level to compare that of those who do not much involved in the experience. Secon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who are more involved in learning culture and art have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status. Third, 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who are more involved in appreciating culture and art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statu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balanced governmental support on culture and art experience for young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has been suggested.

      • 감성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 : 상사신뢰의 조절효과

        이재은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한 경쟁시대에 따른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의 등장, 기술 혁신 등 기업의 환경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다른 기업 간의 경쟁에서 조직성과를 높이고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조직 구성원의 역할이 중요하다. 상사의 감성리더십을 통해 긍정적 심리상태에서 형성된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가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사와 부하와의 위계적인 관계 속에서 관리자의 감성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이끌어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검증 결과 감성리더십은 조직내 구성원들의 혁신관련 행동에 긍정적 관계를 확인 하였고, 이 관계에서 구성원들의 상사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도 함께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혁신지향적인 조직은 조직내 리더십들의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상사에 대한 신뢰를 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및 관련 인사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한 음파추출이 뇌파변화와 심리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재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한 음파추출이 뇌파변화와 심리기술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레저스포츠학과 체육학전공 이 재 은 본 연구는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음파를 추출하여 뇌파변화와 심리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선수경력이 5년 이상으로 전국체전에서 3위 이내 입상경력이 있는 K대학 소속의 검도선수 총 32명을 실험 집단 16명과 통제 집단 16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음파추출을 위하여 패널리스트를 구성하여 음파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음파를 적용하여 뇌파변화를 측정하였다. 뇌파검사는 Laxtha에서 개발한 PC연결(USB) 방식의 디지털 8채널 유선 뇌파측정기를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한 추출음파에 따른 심리기술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박진성, 김성현(2007)에 의해 개발된 스포츠 집중력 검사지와 유진, 허정훈(2002)에 의해 개발된 스포츠 심리기술 검사지 및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확보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한 음파추출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한 음파추출을 위하여 검도선수의 안정 시 사전 뇌파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알파파 및 베타파를 적정 수준 유지 및 향상과 SMR파의 상승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 및 음원추출 전문가를 통하여 Sony Sound Forge 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뇌 구조와 활성 요소를 기반으로 추출하였다. 둘째,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한 음파추출이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추출된 음파를 적용하여 집단별 뇌파 측정 결과, 실험집단의 알파파가 통계적으로 유의수준에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타파의 경우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한 음파추출이 검도선수의 심리기술에 미치는 영향 집중력 검사지 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동기/목표설정, 주의집중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 동기/목표설정, 주의집중, 자신감 요인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기술 검사지 결과에서도 실험집단의 불안조절, 집중력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선수들의 심리적 변화에서도 음파추출 프로그램이 검도선수들의 심리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진술하였다.

      • 점토작업에 의한 정신질환자의 미술치료와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성인 정신분열증 환자를 중심으로

        이재은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신병’이란 의미가 우리나라 사람들에겐 유난히 두렵고 피하고만 싶은 말인 듯 하다. 술을 많이 마시는 것이 때론 자랑거리가 되기도 하며, 노인성 치매도 노망이라는 이름으로 관대하게 대하는 사람들이 유독 정신병에 걸린 사람이라면 마치 죄인을 상대하듯 행동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일부 영화나 소설, 그리고 매스컴이 정신병에 대한 일반인의 그릇된 편견을 더욱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정신질환자들은 폭력적이지 않으며 단지 사회적으로 위축되고 소외되어 있을 뿐이다. 또 그들의 인격 전체가 잘못된 것은 더욱 아니다. 정신병도 다른 신체질환처럼 꾸준한 약물치료와 재활치료, 그리고 따뜻한 보살핌이 제공되면 병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또 얼마든지 증세를 호전시킬 수 있다. 환자를 치료하는 여러 가지 재활치료에서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겠으나, 그 중 미술치료는 인간의 시각본능을 자극하여 환자의 치료를 돕는다는 점에서 그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미술치료는 심신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내적 세계의 이미지 표출과정에 있어서 비언어적인 방법에 의한 시각예술을 통해 ‘진단과 치료’에 모두 활용할 수 있다. 미술치료에 활용되는 매체는 환자가 자기표현을 가능하게 돕는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에 점토는 그 특유의 성질로 인하여 치료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다. 점토는 어떠한 형태든지 조형할 수 있으며, 부착과 제거가 용이하여 실험적 자세로 수정을 거듭하면서 진지하게 추구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재료로 교체할 수 있어 표현 양식이 광범위하고 작품형태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개성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특별한 시설이나 기술이 필요 없으며, 재료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연구는 점토의 이러한 장점을 살려 성인 남녀 정신질환 환자들에게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남자환자의 경우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나 희망사항에 대한 표현이 주를 이루었으며, 여자환자의 경우는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한 표현이 많았다. 둘째, 자신을 표현함에 있어 남자환자는 주로 현재와 미래의 모습으로 나타내고, 긍정적인 미래상으로 강한 치료의지를 보였다. 반면에 여자환자의 경우 지금보다 나아지기를 희망하는 바램을 주로 과거와 미래의 모습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셋째, 결혼 경험이 있는 여자환자들은 이혼의 여부와 관계없이 남편이 생략된 자신과 자녀, 그리고 친정식구의 표현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경향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병력과 나이에 관계없이 미래에 함께 할 가족과의 관계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점토작업을 통한 이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남자환자에 비하여 여자환자가 사고표현력과 상상력, 창조력, 성실도 등에서 월등하였다. 남자환자는 질문에도 다소 방어적인 모습을 보이며 자신의 이성상이 드러나는 것에 소극적이었다. 다섯째, 점토작업에 의한 연상작업을 함에 있어 환자들의 결혼 유무가 작품의 형태와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점토작업은 알콜중독증 환자와 치매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도 효과를 보여 보다 장기적인 계획에 의한 치료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알베르토 자코메티Alberto Giacometti의 후기 인체 조각에 표현된 공간 연구 : 1948~50년 작품 중심으로

        이재은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알베르토 자코메티(Alberto Giacometti: 1901-1966)의 후기 인체 조각 가운데 1948년부터 1950년 사이에 제작된 인물구성 조각에 표현된 공간에 관한 연구이다. 그에게 개개의 인체 조각을 제작함에 있어서 공간은 비가시적인 대상이 아니라 인체의 모습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였다. 그는 모델 자체의 재현에 관심을 둔 것이 아니라, 모델을 둘러싼 공간의 표현에 역점을 두고 인체 조각을 제작했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 그는 기존의 조각가들이 인체 조각 제작 과정에서 유지해왔던 모델과의 거리에서 벗어나 모델의 전신을 관찰할 수 있는 거리두기를 통해 인체 조각을 제작했다. 전신을 포착할 수 있는 간격만큼의 거리두기를 통해 대상을 바라보면, 가까이에서 본 그것의 너비보다는 좁아 보인다. 그는 이러한 현상학적 비례를 인체 조각에 적용하여 수직선이 강조된 메마른 인체를 제작함으로써 공간에 둘러 쌓여 있는 듯한 환영을 지닌 인체 조각을 제작 할 수 있었다. 이 같은 특징을 가진 개개의 인체조각들이 한 기단 위에 놓여진 인물구성 조각에는 가공의 공간이 연출된다. 이 가공의 공간은 작가가 실제의 생활에서 직접 몸으로 또는 시선으로 체험한 상황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 결과 그의 조각은 관람객이 서 있는 공간의 연장에 놓여있는 것이 아니라 조각가가 대상을 경험한 공간에 있다. 이 논점에서 본문의 첫째장에서는 자코메티의 미술관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되는 그의 생애를 다루었고, 2장에서는 "자코메티 공간"의 형성배경과 특징을 3개의 절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1절에서는 자코메티가 회화 매체의 특징들 가운데 거리에 따라서 변화하는 대상의 모습을 조각에 적용한 결과 표현된 공간의 특징을, 2절에서는 그가 개개의 조각들을 기단이라는 3차원에 배치함으로써 연출한 가공의 공간의 성격을 그리고 3절에서는 작가가 가공의 공간에 자신이 경험한 실제의 상황을 부여함으로써 표현된 상황으로서의 공간의 성격을 조명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인물 구성 작품인 <도시 광장 City Square>(1948), <숲 The Forest>(1950)의 분석을 통하여 자코메티의 공간에 대한 태도를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필자는 자코메티가 바라보는 대상인 여인들이 놓여져 있는 공간의 표현에는 정면성과 원근법이라는 회화 매체의 특징이 적용된 반면에, 작가의 몸이 개입되어 경험된 공간은 3차원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주목 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the spatial study on Alberto Giacometti s Compositions with figures between 1948 and 1950. In his sculpture, space is not a invisible element but a meaningful one that decides the appearance of a- figu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a human figure is distance between a sculptor and a model. The distance enables him to make the sculpture surrounded by the space. So the space became an attribute of the objects, own world rather than part of the space occupied by the viewer. The result was to bring sculpture closer to painting, which always creates its own space. In favor of expressing the space, he made figures as a stick. This long slender figures with its broken surface clearly bears no relation to the real volume of a human body. There is a kind of core a suggestion of mass dissolving into space. In this arguing point, Chapter I introduces a brief biography of his life, and the next Chapter provides a formative back ground and distinctive feature of "Giacometti's space". This chapter is divided into three branches about his space which are the pictorial space, fictional space and space as a situation. And finally, the last Chapter tells about how the space surrounding the objects applied in his Compositions with figures as <City Square>(1948), <The Forest>(1950) and <The Glade>(1950). As the result to have studied like this, it can be said that Giacometti did not start from the representation of a thing but from bodies in space appreared to a beholder. Here, Giacometti is the beholder. So a expression of space is based on his actual experience. Under the experience the representation of it is different. For example, the space in which stands woman as an object of his gaze is connected in 'pictorial' traits and the space involved his body as in <Walking man>(1947) is represented in the three-dimensional sculpture.

      • 성경에 바탕을 둔 교회음악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이재은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가 항해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목표지를 설정하고, 현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래서 본 연구는 교회음악이란 큰 배가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목표를 향하여 바른 항해를 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작은 나침반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성경의 바탕을 둔 교회음악의 방향성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교회 음악인들과 목회자들 그리고 교회음악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은 교회음악에 대한 바른 이해가 우선 필요하다. ‘교회음악은 예배에 있어서 말씀과 동일시한다.’는 말처럼 교회음악은 말씀만큼 중요한 위치에 있다. 교회음악은 작은 의미로는 예배음악으로, 근원적으로는 기독교적인 색채를 가졌다 하더라도 교회 공동체 속에서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 하겠다. 우리는 신구약의 성경을 통해 예배와 찬양의 어원을 살펴봄으로 기독교의 예배는 다른 종교와 달리 인간에게 예배의 기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 중심임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교회음악은 세속음악과 달리 많은 능력과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음악은 변화하는 시대적 언어이다’란 말처럼 사도시대가 끝나고 중세와 종교개혁 시대, 그리고 계몽주의 시대의 유럽과 미국의 개혁주의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교회음악도 음악이 변화하듯 시대적인 영향을 받아왔다. 또한 많은 신학자들의 주장과 교리에 따라 교회음악은 침체기와 활성화시기를 거듭해 왔다. 100여 년 전 한국에도 선교사들에 의해 복음의 씨앗이 들어오면서 교회음악도 같이 들어오게 되었다. 초기 교회음악은 서양의 찬송가와 복음 성가의 영향을 그대로 받았지만, 한국교회가 점점 부흥하고 전 세계가 하나가 되면서 현대음악이 교회음악에 미치는 여러 영향들에 대해 진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대 교회음악은 기독교 청소년 문화를 만들 수 있는 매체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찬양 예배의 동기 부여와, 복음 전도의 활성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모든 일에 양면성이 있듯 현대 교회음악이 풀어나가야 할 과제들에 직면하게 되었다. 교회음악의 무분별한 수용, 교회음악을 하위 개념으로 생각하는 인식의 문제, 세상음악을 유행을 쫓는 모습이나, 교회음악 교육의 부재 등은 현대 교회음악의 발전에 장애요소들이 되었다. 교회음악의 발전을 위해 현대 교회음악의 문제를 인식에 그칠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그 방향성을 설정하고자 한다. 첫째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해 말씀으로 돌아가야 하며, 둘째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동시대적인 찬양이 성령의 역사인지 음악의 역사인지 구별할 수 있는 힘을 길러서, 교회음악이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교회음악의 존재 이유를 더 명확히 할 수 있게 되고, 그렇게 될 때, 우리는 이 세대를 살아가는 그 어떤 역경 속에서도 매일의 삶을 승리의 찬양으로 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셋째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하나님의 지상 명령을 지키기 위해 교회음악을 복음을 전하는 씨앗으로 하나님의 나팔의 역할을 감당하는 매체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음악 그 자체가 영을 살리거나 우리의 신앙을 새롭게 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음악이 도구요 매개라는 점에서 좋은 매개는 본질을 더 명확하게 한다.” 헤롤드 베스트의 말처럼 음악 자체는 영을 살리거나 능력을 가지지 않지만, 교회음악이 하나님을 찬양하는 바른 도구로 사용될 때 주의 백성들이 하나님을 찬미하고 잃어버린 많은 영혼들이 주께로 돌아오는 일을 감당하게 될 것이다.

      • Functional study of serotonin receptor type 3A regulation by chanoclavine

        이재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rritable bowel syndrome is a chronic disease that causes abdominal pain and an imbalance in the defecation pattern due to gastrointestinal dysfunction. The caus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s unclear, but intestinal-brain axis problems, gut motility disorders, and neurotransmitter have been suggested as factors. Serotonin of neurotransmitters can act on the serotonin receptors in the intestine to improve gastrointestinal motility. 5-HT3 receptors are mainly present in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and gut, and the released serotonin is recognized by the 5-HT3 receptor locat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e serotonin-bound 5-HT3A receptor depolarizes afferent neurons to signal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at regulates vomiting reflex. In particular, chemotherapy and radiation can cause vomiting reflex in anticancer patients with sequelae. Since 5-HT3 receptor antagonists suppress the activity of the receptor, it can be applied as a targeted therapeutic agent for over-expression 5-HT3 receptors. In this study, chanoclavine was proposed as an antagonist of 5-HT3A receptor. Chanoclavine is one of ergot alkaloids and it has a ring structure similar to 5-HT. Unlike what is known that its derivatives are involved in neurotransmitter receptor, the molecular physiological mechanism of chanoclavine remained unclear. In electrophysiological experiments, inhibition effects of chanoclavine were observed using Xenopus oocytes in which the m5-HT3A receptor was expressed. Co-applied chanoclavine with 5-HT was inhibited in concentration-dependent, reversible, voltage-independent, and competitive manner. The 5-HT3A response induced by 5-HT was blocked with IC50 values of 107.2 µM for chanoclavine. It was confirmed that the docking of chanoclavine on a 5-HT3A receptor is positioned between F130 and N138. Double mutation of F130A and N138A was more attenuated than a single mutation or wild type. These data suggest that F130 and N138 are important sites for ligand binding and receptor activity action. Chanoclavine and ergonovine were similar in structure, but the opposite effects appeared, suggesting that specific amino acid residues may specifically bind to the 5-HT3A receptor. The results of these electrophysiological and molecular simulation approaches show that chanoclavine has the potential as an inhibitor of hypergastric stimulation of gut by inhibiting the stimulation signal transduction by 5-HT3A activity. It also offer possibility as anti-emetic agent of chanoclavine for excessive stimulation and insights into 5-HT3A receptor inhibition mechanisms. 과민성대장 증후군은 위장 내 기능장애로 인한 복부통증과 배변 패턴의 불균형을 일으키는 만성질환이다. 과민성대장 증후군의 원인은 불분명 하지만 장과 뇌 축 문제, 장 운동 장애, 신경 전달 물질 등의 오류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신경전달 물질 중 세로토닌은 장 내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해 장운동을 개선시킬 수 있다. 5-HT3 수용체는 말초신경계와 장에 주로 존재하며 방출되는 세로토닌은 위장관에 위치한 5-HT3 수용체에 의해 인지된다. 세로토닌이 결합된 5-HT3A 수용체는 구심성 뉴런을 탈분극화 하여 구토반사를 조절하는 중추신경계로 신호전달을 하는데 특히 화학 요법 및 방사선으로 유발된 후유증이 있는 항암환자에게서 구토반사를 유발할 수 있다. 5-HT3 수용체 길항제는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는 과도하게 활성된 5-HT3 수용체의 표적치료제로써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Chanoclavine은 5-HT3A 수용체의 길항제로 제안되었다. Chanoclavine은 맥각균에 의해 생성된 알칼로이드 중의 하나로, 세로토닌과 비슷한 고리구조를 가지고 있다. 신경전달 수용체에 대한 Chanoclavine의 유도체들의 상호작용이 보고된 것과 달리 Chanoclavine의 분자적 생리학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다. 전기생리학이 적용된 실험에서 Chanoclavine의 억제효과가 m5-HT3A 수용체가 발현된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의 알을 통해 관찰되었다. 세로토닌에 의해 유도된 5-HT3A 수용체의 전류는 Chanoclavine에 의해 억제되었고 IC50 값이 107.2 µM으로 나타났다. 세로토닌과 함께 동시 처리된 Chanoclavine은 농도 의존적이고 가역적이며 전압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활성 되었고 경쟁적인 방식으로 억제하였다. 5-HT3A 수용체로의 Chanoclavine 도킹은 F130과 N138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130A와 N138A의 이중 돌연변이는 단일 돌연변이나 기존의 수용체보다 억제활성이 더욱 완화되었고 이러한 데이터는 F130과 N138이 리간드 결합과 수용체 활성에 주요 위치라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Ergonovine과 Chanoclavine은 구조는 비슷하나 정반대의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특정 아미노산의 잔기에 의해 5-HT3A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같은 전기생리학적이고 분자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접근의 결과는 5-HT3A 활성에 의한 자극신호전달을 억제함에 따라 Chanoclavine의 위장 내의 과도한 자극에 대한 억제제나 구토 방지제로서의 가능성과 5-HT3A 수용체 억제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