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潛在된 無意識의 갈등표현 연구 : 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이은송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의 기본개념을 정립하고, 내면에 잠재된 무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자기인식을 해나가는 과정에 대해 탐구하였다. 자기자신을 인식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소로서 비가시적 세계인 무의식에 집중하여, 근원이 될 수 있는 내면세계를 통찰하고 의식의 표면위로 드러내고자 한것이다. 이에 잠재된 무의식속을 탐구하는데 있어서 갈등이 되는 요인과, 현대사회속 인간과 연구자의 갈등원인을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그안에 내재되어 있는 갈등요소를 정신분석학적으로 풀어내어 의식함으로써 정신적 균형과 마음의 안정을 도모한것이다. 그 과정에 있어서 얻어진 것들은 분석, 정리함으로 인해 구축하고 그러한 표현들을 시각화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심리적, 정신적으로 영향을 받은 부분들이 어떻게 해체되고 재조립되어 원하는 모습을 갖춰가는지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해 보았다. 더 나아가 개인의 독창적인 언어로서 표현된 조형성이 전체에 이르러 소통되기 까지의 과정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에 관해 연구, 자각함으로써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 담배에서 잎 생산성 증진을 위한 줄기마디길이 조절인자 분리연구

        이은송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식물에서는 백신과 항체 같은 의료용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식물은 동물 또는 미생물보다 손쉽게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인수공통병원으로 부터 안전하고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있다. 뿐만 아니라 쉽고 빠르게 생산 규모를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식물 중에서도 특히 담배는 유전자 변형이 쉽고, 잎이 많은 식물로써 의료용 단백질 생산에 필요한 높은 조직생산성을 가진다. 하지만 담배는 키가 크기 때문에 실내에서 재배하기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줄기마디길이가 짧고 잎 생산량을 늘린 실내재배에 이상적인 형태의 담배를 개발하기위해서, 활발히 성장하는 줄기마디 조직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를 전사체분석을 통해 분리하였으며, 식물 성장조절 호르몬인 지베렐린(GA)과 브라시노스테로이드(BR) 생합성 유전자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서 키가 작은 돌연변이체를 얻었다. 우리는 담배의 전사체 분석을 통해서 줄기마디 길이의 신장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유전자를 선별할 수 있었다. 담배종자가 발아한 후 30일과 50일에 잎, 줄기생장점, 줄기마디 등의 조직에서 RNA를 분리하여 RNA-seq을 진행하였다. 총 6개의 조직에서 11,703개의 조직 특이적 유전자(DEG)를 분리하였고, Hierarchical clustering heatmap을 만들어 총 3개의 DEG cluster를 얻을 수 있었으며, 하위 유전자 cluster 분석을 통해 줄기마디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두개의 유전자 그룹을 분리하였다. 그 이후 GO enrichment analysis를 통해서 줄기마디 특이적 발현 유전자들을 기능별로 세분화하여 밝혔다. 줄기마디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그룹에서는 Ntknotted-1-like1, NtORR26, NtERF3, NtWOX4, NtWRKY13 같은 전사인자가 많이 확인이 되었고, 줄기마디 신장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그룹에서는 NtLACCASE-17, NtCOBL4, NtTPX2 같은 세포분열과 세포벽 합성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유전자가 많이 확인이 되었다. 따라서 해당 유전자들이 줄기마디 신장에 특이적으로 관여하는 유전자임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키가 작은 담배를 얻기 위해서 식물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GA와 BR 호르몬의 생합성 유전자를 유전자가위 시스템을 사용하여 돌연변이체를 유발하였다. BR은 발현값이 높으면서도 활성형 BR을 직접적으로 생합성하는 NtCYP92A6 와 NtCYP85A1을 타겟으로 선정하였다. GA는 발현값이 높으면서도 활성형 GA를 직접적으로 생합성하는 Nt3OH와 발현값이 높고 생합성 경로 상위에 존재하는 NtKS1를 타켓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전자에는 각각 2개의 sgRNAs를 제작하여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형질전환을 진행하였다. BR 생합성 유전자 돌연변이는 키가 작고, 잎이 작으며 쭈글쭈글하고 짙은 녹색을 띄는 표현형을 보였다. GA돌연변이는 잎은 거의 그대로이고, 야생형보다 상대적으로 키가 작아졌으며, 우리가 원하는 키가 작은 담배의 형태에 가장 가까운 표현형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 줄기마디 특이적 발현체를 개발해서 줄기마디 신장에 기여하는 유전자 정보를 확립했고, 식물 성장호르몬 생합성 유전자 조작을 통해서 줄기마디길이를 조절하는 유전자 조작기법을 확립하였다. 따라서 이들 유전정보와 돌연변이 제작 기법을 이용하여 줄기마디가 짧고 잎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식물체를 개발하여 의료용 단백질 생산에 필요한 유전자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Plants can produce therapeutic proteins such as antibodies or vaccines against human disease. Plants can produce higher amounts of the proteins than other kingdom. The proteins obtained by plant are safe to human and relatively inexpensive. We also can scale up easily and quickly plant tissue productions with less labors and cost. N. tabacum is an efficient crop to introduce transgene into genome. Therapeutic protein can produce from transgenic leaves. However, N. tabacum is too tall to grow indoors. Here, we conducted to develop N. tabacum mutants producing short internodes and increased leaf yield in a space unit. First, transcriptome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genes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internode elongation of N.tabacum. Second, brassinosteroid (BR) and gibberellic aicd (GA) plant growth hormone biosynthesis genes were edited using CRISPR/Cas9 genome editing system to obtained mutants showing dwarf growth. N. tabacum transcriptome analysis allowed us to identify genes that specifically express internode elongation. The 5thleaf, shoot apex, 3th-5thinternodes of N. tabacum 30 Day After Germination (DAG) and 50DAG were subjected to RNA-sequencing. A total of 11,703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were isolated. Using Hierarchical clustering, two clusters were isolated which are indicating internode and elongating internode specific expression. GO enrichment analysis classified functioner groups using the internode and the elongating internode specific cluster. Transcription factors (TF) was significantly enriched in the internode specific cluster. Representative TFs such as knotted-1-like 1, ORR26, ERF3, WOX4 and WRKY13 were highly expressed in the both internodes of 30DAG and 50DAG. The terms of a cell division, cell wall biosynthesis were highly enriched in the elongating internode cluster. A typical cell division gene, TPX2 and two cell wall biosynthesis genes LACCASE-17, COBL4 are highly and specifically induced in the internodes of 50DAG. Thus, we isolated 87 genes specifically expressed in internode and 61 genes expressed elongating internode, which could be useful molecular informations to regulate internode elongation by engineering specific functional group and genes. The biosynthesis genes of BR and GA, major plant growth hormo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plant growth. We isolated xx BR biosynthesis genes and xx GA biosynthesis genes using highest blastp and OMA analysis to identify N. tabacum orthologs of tomato BR and GA biosynthesis genes. NtCYP92A6, NtCYP85A1-1 and NtCYP85A1-2 catalyze castasterone (CS), bioactive BR, and the three genes are highly expressed in both meristem and internode. We engineered the three genes by multi-target CRISPR/Cas9 system. Seventeen T0 transgenic lines carrying multi-target CRISPR/Cas9 show dark-green, round, and curled leaves. Interestingly, four of them showed extremely short internode with dark-green, round, and curled leaves. NtKS1 biosynthesize ent-kaurene. Nt3OH-1 and Nt3OH-2 catalyze GA4 and GA1, bioactive GAs. The three genes are expressed in both meristem and internode. We also edited the three genes by multi-target CRISPR/Cas9 system. Seven T0 transgenic plants showed short internode with relatively reduced height but almost intact leaves compare to wild type. A typical short internode plant have 100% indel mutation in both NtKS1 and Nt3OH-1 indicating ntks1-cr nt3oh-1-cr knock-out because 100% indels result frameshift mutation. We isolated molecular informations that contributes to internode growth through profiling tissue specific transcriptoms. In addition, we genetically engineered GA or BR biosynthesis genes that regulates internode length using multi-target genome edition system. Therefore, we propose that internode specific genes and GA biosynthesis genes could be useful candidates to manipulate stem internode length without any defect on leaf production for increment of leaf yield.

      • 일당귀 종자의 발아 특성 및 종자 살균제 선발

        이은송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First study aimed to analyze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allelopathic effects of seed extrac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The seed material was harvested in the field of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in 2017, divided into 6 sections from 1 to 1.13 according to specific gravity, to investigate germination rate, emergence rate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shoot length. Germination test was carried out on a 90 × 15 mm petri dish with 2 filter papers, 5 mL of sterilized water, and then placed with 50 seeds and 4 replicates. The seeds were irradiated by light (12 h / 1 day) at 20°C for 30 days. Seed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harvesting days and umbel orders. The germination rates of six medicinal crops, including Angelica acutiloba Kitagawa, were measured at 15, 20, 25, and 30℃. Six seeds extract of medicinal plants were made to 20 g/L and extracted for 48 hours on 50℃ water bath and filtered for bioassay. The seeds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were divided into two parts of seed coat and inside of seed coat, and each part was made to seed extract. As a result, the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ed of SG≥1 than SG<1. The seeds harvested in early August and from first inflorescence were heaviest. Seed germin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harvested in mid-July and late August, and the germination rate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low temperature treatment, and the seeds from first floret was the biggest and heaviest. Comparing the germination rate of six medicinal crops, the rate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was the lowest at each optimum temperature, and the seed extrac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had the highest allelopathic effect on lettuce germination, further the seed coat extract showed higher allellopathic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by controlling the seed selection and harvesting period according to the ripening of seed,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seed coa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has some kind of phytochemicals which can inhibit germination and are not found in other plants. The aim of second study was to select seed disinfectants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cultivation environment because the fungi on the seed surface can disturb germination and should be controlled for introduction into the plant factory for mass production. The seed material was harvested in the field of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in 2017. 2 pieces of filter paper were placed in 9 cm Petri dish and 5 mL of sterilized water was supplied, and near ultraviolet light (375 nm) was irradiated 25℃ incubator for 2 days. The fungi formed on the seeds were isolated and grown on PDA medium, and the most vigor area of mycelial growth was cut and stored at -70℃ freezer. 10 kinds of seed disinfectants such as tebuconazole EC, which is registered for domestic cultivation, and 1% NaOCl 1%, 4% (v/v) solution were used. The control value (%) was calculated as efficacy effect and germination rate (%) was calculated as harm effect. As a result, the treatments recognized as excellent in efficacy with a control complex+tebuconazole SC, prochloraz EC, hymexazol+metalaxyl-M SL and NaOCl 4% (v/v) treatment. And the treatments recognized that the harm effect is low so that germination rate is statistically higher or equal to that of the non-treated was thiophanate-methyl+triflumizole WP, prochloraz EC, hymexazol+metalaxyl-M SL and ipconazole SC.Thus, prochloraz EC and hymexazol+metalaxyl-M SL, which have passed both the efficacy effect and harm effect, were selected as seed disinfectan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and further in-vivo experiment would be conducted. 첫 번째 실험은 뿌리는 약용으로, 어린 잎은 채소로 주목 받고 있는 일당귀의 등숙에 따른 종자 발아율을 알아보고 종자 추출물의 알레로파시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인삼특작부 약용작물과 시험포장에서 ‘17년에 채종한 일당귀 종자를 벼의 염수선(塩水選)을 이용하여 비중(specific gravity, SG) 1부터 1.13까지 6구간으로 분류하여 발아율∙출아율과 초장 등의 초기생장 조사를 하였다. 발아는 90 x 15 mm 페트리디시에 2장의 여과지를 깔고 멸균수를 5mL씩 적신 다음 50립 4반복으로 파종하여 광이 12시간/1일 조사되는 20℃ 생장상에서 30일간 조사하였으며, 채종시기와 화서별로 종자를 채종하여 종자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당귀 포함 약용작물 6종의 발아율을 15, 20, 25, 그리고 30℃에서 비교하였고, 6종의 약용작물은 추출물의 생물학적 검정을 위하여 종자를 분쇄하여 20 g/L농도로 만든 후 50℃에서 48시간 추출∙여과하여 상추 발아의 알레로파시 효과를 비교하였고, 일당귀 종자는 종피와 종피 안쪽 2부분으로 분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일당귀 종자는 SG≥1인 구간이 SG<1인 구간에 비해 유의적으로 발아와 초기생장이 높았으며 채종시기별로는 8월 상순이, 화서별로는 첫번째 화서에서 채종한 종자가 가장 충실하였다. 종자의 발아율은 7월 중순과 8월 하순에 채종한 종자의 발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종자는 저온처리를 통하여 발아율이 유의적으로 향상하였다. 약용작물 6종의 최적온도에서의 발아율은 일당귀가 가장 낮았으며, 일당귀 종자 추출물이 다른 종자보다 상추 발아에 대한 알레로파시 효과가 가장 컸고, 일당귀 종자 부위별로는 종피 추출물이 효과가 컸다. 따라서 일당귀는 종자의 등숙에 따라 정선과 채종시기를 조절하여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당귀 종자 추출물은 다른 작목에는 없는 발아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이 종피에 집적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실험은 일당귀 종자 표면에 묻어 있는 균이 발아 억제에 일조할 수 있으며 시설 내 도입 시 반드시 균을 방제해야 하므로, 발아율 향상 및 재배환경 개선을 위하여 종자의 균을 저감하는 종자 소독 약제를 선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인삼특작부 약용작물과 시험포장에서 ‘17년에 채종한 일당귀 종자를 9 ㎝ 페트리디시에 2장의 여과지를 깔고 멸균수를 5mL 공급하고 종자 20립 파종 후 근자외선광(375 nm)이 12시간/1일 조사되는 25℃ 항온기에서 2일간 배양 후 종자에 형성되는 균을 분리하여 PDA 배지에서 생장시켜 균사의 생육이 가장 왕성한 외곽 부위를 잘라 -70℃ 초저온 냉동고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일당귀 종자에서 분리한 균은 Alternaria 속 진균과 Fusarium 속 진균이었으며, 살균을 위하여 국내 재배 작물에 종자소독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테부코나졸 유제 등 10개 품목과 NaOCl 1%, 4% (v/v) 용액을 사용하였다. 약효 검정으로 방제가(%)를 산출하였고, 약해 검정으로 실내 발아율(%)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방제가가 90% 이상으로 약효가 우수하다고 인정된 처리는 테부코나졸 유제, 프로클로라즈코퍼클로라이드·테부코나졸 액상 수화제, 프로클로라즈 유제, 하이멕사졸·메탈락실-엠액제 약제 및 NaOCl 4% (v/v) 처리였다. 또한 실태 발아율이 무처리 대비 통계적으로 높거나 같아서 약해가 낮다고 인정된 처리는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 수화제, 프로클로라즈 유제, 하이멕사졸·메탈락실-엠액제, 그리고 이프코나졸 종자처리 액상 수화제처리였다. 따라서 약효검정과 약해검정을 모두 통과한 항목인 프로클로라즈 유제, 하이멕사졸·메탈락실-엠액제 두 가지 약제를 실내 선발하였고, 추후 기외실험을 실시하여 일당귀 종자소독약제로 등록하고자 한다.

      •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초음파 시험 기반 볼트/너트 체결부의 축력 측정

        이은송 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ltrasonic testing method is a prospective technique adopted for measuring the axial force acting on a bolt; the method is a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 employed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In ultrasonic testing, the ultrasonic time-of-flight (ToF) is obtained, and the axial force is computed using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ultrasonic ToF and the axial force acting on the bolt.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ccurately compute the axial force from the ToF. However, existing theoretical equations do not reflect actual scenarios that bolt/nut assemblies may encounter under mechanical and thermal conditions. Therefor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method in engineering practices is limited. Establishing a mathematical relationship by considering mechanical and thermal deformation could serve as a fundamental solution for providing more accurate axial force measurement results in ultrasonic testing. In this study, we proposed calibration equations that could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bolts, which are primarily used in mechanical components. The calibration coefficien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were substituted into the theoretical equations to improve the estimation accuracy of the ultrasonic ToF. Additionally, we compared the experimental results acquired using various types of bolts: M8, M10, M12, and M14,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theoretical equations using the calibration coefficients. It was verified that it could make the axial force acting on the bolt accurately within an 8% error by calibrating the ToF change under various mechanical and thermal deformation of the bolt. We expect that the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verified calibration equations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robustness of mechanical components.

      •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의 수업만족이 여가만족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송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여가활용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점차적으로 높아지면서 여가 수요가 높아지고 단순히 여가시간을 즐기는 것에서 벗어나 여가활동을 통하여 만족을 얻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의 수업만족이 여가만족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통해 대학 교양체육이 대학의 수업중 하나로 끝나는 것이 아닌 평생체육으로 이어져 교양체육을 통해 국민적 여가문화를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한 Y대학교 교양체육 수업을 받는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 하고 비확률 표본 추출법 중 임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수업 만족이 여가만족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성별에 따른 수업만족은 신체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이 모든 요인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에 따른 수업만족은 신체적 만족, 교육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서는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검증 결과 모든 요소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력에 따른 수업만족은 신체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 사회적 만족 모두에서 학년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여가만족은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이 모든 요인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여가만족은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에서 연령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서는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후검증 결과 모든 요소에서도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여가만족은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모두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연구 대상 대학생들의 성별, 연령, 학년, 수강횟수에 따른 운동지속의도 차이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경향성에서 연령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가능성, 강화성에는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후검증 결과 모든 요소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경향성, 가능성에서 학년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강횟수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경향성, 가능성에서 수강횟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강화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사후검증 결과 모든 요소에서도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수업만족, 여가만족, 운동지속의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신체적 요인에 따른 여가만족의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가능성에서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교육적 요인에 따른 여가만족의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과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가능성 그리고 환경적 요인에 따른 여가만족의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가능성의 모든 요인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 요인, 휴식적 요인에 따른 여가만족의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과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가능성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여가만족의 심신적 만족에 따른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교육적 만족에 따른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환경적 만족에 따른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사회적 만족에 따른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In modern society, as people’s interest in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eisure activities gradually rises, demand for leisure increases and the will to obtain satisfaction through leisure activities beyond simply enjoying leisure hours is becoming strong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to establish their relationship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nhancing national leisure culture through general physical education that leads to lifetime physical education beyond simple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at Y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the parent population,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class satisfaction on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1.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relaxation satisfaction and in all the other factors. And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physical satisfac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relaxation satisfac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post verification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among the groups. And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school year in all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relaxation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2.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in all the factors.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age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And i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ag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and the results of post verification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all the factors.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chool years in all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gender, age, school year, frequency of taking class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on whom this research was conducted showed that, i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tendency,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I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age in tendenc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in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and the results of post verification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all the factors. I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school year in tendenc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school year in possibility. I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aking clas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requencies of taking classes in tendency and possibilit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inforcement, and the post verification showed that in all the fa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4.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class satisfac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showed that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hysical factors,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nd tendency,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And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factors,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nd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s,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nd in tendency and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al factors and relaxation factors,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nd in tendency and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nd in tendenc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in tendenc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endenc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satisfaction, in tendenc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social satisfaction,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양육참여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은송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조절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매개하는가?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매개효과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국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응답자 418명 중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383명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 Hayes의 부트스트랩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아버지의 양육참여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사이를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의해 조절된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아버지의 양육참여 수준이 낮은 경우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따라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의 스마트폰에 대한 과의존을 예방하기 위해 어머니는 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하고,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법을 익힐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어머니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한 방안으로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o analyze whether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is moderated. Based on the study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Second, does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Third, does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significantly moderate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To answer these questions, an online survey targeting mothers of young children was conducted across the country and data obtained from 383 people who faithfully responded to the survey among 418 respon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d Hayes' bootstrap verification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Second,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directly on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moderated by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confirmed. In particular, when the level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is low, it was found the level of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increas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Mother's smartphone addction tendency.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This result suggests mothers need to properly relieve parenting stress and learn healthy smartphones usage in oder to prevent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addit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s a way to reduce mother's influence on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 수은 오염 폐기물의 열적처리 및 안정화기술 개발

        이은송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Minamata Convention on Mercury was adopted in October 2013, after a UNEP agreement was proposed and government. Since the Minamata Convention proposed on August 16, 2017, a management system for mercury waste is needed to implement for Convention. The mercury was analyzed based on wastes generated by Korea industrial facilities. As a result, high and low mercury contaminated waste can be classified as 150 mg-Hg/kg. In this study, an appropriate treatment technologies are developed for each mercury waste. A thermal processing technology was developed for the disposal of high mercury waste. And Stabilization technology was developed for the low mercury waste. High mercury waste contained about 3,300 mg-Hg/kg and are 0.150 mg-Hg/L according to KSLT. After 10 minutes of thermal treatment under a temperature of 600 ℃, the mercury content decreased 25.27 mg-Hg/kg and the KSLT result was 0.002 mg-Hg/L. However, during thermal processing, yellow condensed matter were generated and mercury content was 3%, KSLT 0.021 mg-Hg/L. Thermal processing techniques are effective in reducing volume and can concentrate mercury through a condensed matter. The application of SEP to assess the stability of a condensed matter resulted in F1 0.30 ㎍-Hg(0%), F2 140.71 ㎍-Hg(1.22%), F3 2,589. ㎍-Hg(22.21%), F4 2.12 ㎍-Hg(0.02%), F5 8,854 ㎍-Hg(76.55%) respectively. Although the concentration value of mercury is not satisfied the KSLP standard limit, the ratio of F5 is high which suggests that mercury is stabilized through thermal processing. Low mercury waste was stabilized using chelate and sulphu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wo types of samples, municipal solid waste and hospital waste incinerator fly ash as low mercury waste. The mercury content of F/A(M.S.W) was found to be 5.26 mg-Hg/kg F/A(H.W) was 43.61 mg-Hg/kg, respectively. And results of KSLT 0.004 mg-Hg/L and 0.008 mg-Hg/L. Stabilization using EDTA and Na2S at the same time resulted in F1 1.24 ㎍-Hg(3.34%), F2 1.03 ㎍-Hg(2.77%), F3 3.42 ㎍-Hg(9.20%), F4 21.11 ㎍-Hg(56.74%), F5 10.40 ㎍-Hg(27.95%) respectively. The stabilization process reduced the ratio of F1 to F2 by 44.39 to 61.81% and the ratio of F4 to F5 increased by 34.98 to 72.17%. This results suggest that unstable mercury species may be converted to stable form and disposed of in landfill.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mercury is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in waste,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air pollution control device. An unstable mercury compound has been converted to Schuetteite through stabilization process and is present in a very stable form. This reaction is known to ‘Secondary Mineral Reaction’ harmful material convert into the minerals pesent on Earth. Therefore, it is most efficient to use the added sulfur or polymer for stabilization of low mercury wastes. 국제사회에서는 수은으로부터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국제수은협약을 채택하였다. 협약은 ‘17년 8월 16일 발효되었으며 우리나라는 협약 비준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에 있다. 그 간 수은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기로 배출되는 수은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최근 대기오염방지시설의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개발로 인하여 대기로 배출되던 수은이 비산재, 슬러지 등 폐기물을 통해 배출되고 있다. 산업시설로부터 발생된 수은 폐기물을 대상으로 협약에서는 수은 오염 폐기물로 분류하고 있으며 국내 폐기물관리법 등 관계법령에 따라 지정폐기물로 분류되어 매립지에 최종 처분되고 있다. 매립된 수은 오염 폐기물은 강수 시 빗물에 의하여 폐기물로부터 수은이 유출되어 수계나 토양에 심각한 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여 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된 수은 오염 폐기물을 대상으로 처리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처리되지 않은 폐기물의 무분별한 매립을 금지하기 위하여 수은 오염 폐기물의 관리를 위한 법을 제정 중에 있다. 수은 폐기물의 관리를 위한 법 제정과 동시에 처리 및 처분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수은 오염 폐기물을 대상으로 한 열적처리 및 안정화처리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수은 오염 폐기물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두 가지 종류의 기술이 있다. 열적처리 및 안정화 처리기술로서 각 기술은 장단점을 갖고 있다. 과거 선행연구에 의하면 일정 수준의 수은을 포함한 폐기물을 대상으로 안정화 처리기술을 적용할 경우 매립된 폐기물로부터 수은이 재유출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수은의 함량 별 적용 가능한 기술을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고농도 수은 오염 폐기물의 경우 열적처리기술을 적용하였고 저농도 수은 오염 폐기물을 대상으로 킬레이트 및 황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안정화처리를 진행하였다. 열적처리 기술의 최적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각 온도조건 별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600 ℃의 온도조건에서 10분간 열처리를 진행할 경우 원시료의 수은함량이 3,300 mg-H/kg에서 25.27 mg-Hg/kg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원시료(20 g) 대비 약 50%의 무게가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의 수은이 노란색 비산재에 응축되어 99% 이상 분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란색 비산재는 1.82 g으로 원시료에 비하여 1/10 정도의 무게를 차지한다. 단계별용출법을 통해 안정도를 평가한 결과 F1, F2 단계에서 용출되던 수은이 대부분 열적으로 탈착되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열적처리 기술을 통해 폐기물의 부피 및 무게 감량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형태로 존재하는 수은을 제거할 수 있다. 저농도 수은 오염 폐기물 대상 안정화처리 기술적용 결과 우선적으로 국내 폐기물관리법 공정시험방법에서 지정하고 있는 용출시험 수은항목 기준치를 만족하였고 지정폐기물로 분류되던 폐기물을 사업장일반폐기물로 처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용출법과 XRF, XRD 분석을 통해 처리 전과 후의 시료에 대한 수은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F1 ~ F2 단계의 비율이 59.89 ~ 67.92%에서 15.5 ~ 6.11% 까지 감소하였으며, F4 ~ F5의 비율이 12.52 ~ 19.24%에서 54.22 ~ 84.69%까지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 불안정한 형태의 수은화합물이 안정한 형태로 전환된 것을 예측해볼 수 있었고 화학적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은화합물과 안정화제만을 이용하여 검증실험을 진행하였다. 처리 후 발생 화합물을 대상으로 XRD 분석을 진행한 결과 Schuetteite(Hg3O2(SO4))라는 결정체의 광물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수은을 자연상에 존재하는 광물로 전환시키는 Secondary Mineral Reaction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안정화 처리 기술을 통해 불안정한 형태의 수은화합물을 황계열의 수은화합물로 전환시켜 적정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은 오염 폐기물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한 기술 중 수은의 함량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은 열적처리기술 뿐이다. 향후 추가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고농도 수은 오염 폐기물로부터 발생되는 비산재로부터 원소수은의 형태로 수은을 회수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 소아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 경험

        이은송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아암 병동의 간호사들은 소아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발달 단계에 따른 간호를 제공해야함은 물론 암 환자를 돌보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에도 함께 노출된다. 소아암 병동 간호사들은 소아암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과정, 임종 등 상황을 함께 하며 여러 가지 간호 경험을 하게 된다. 소아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간호사 자신 뿐 아니라 환자의 돌봄의 질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소아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 경험의 본질과 의미의 구조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들을 위한 지지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소아암 병동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중 연구 참여에 지원한 14명의 소아암 병동 간호사로 자료 수집은 2021년 1월부터 3월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개별 심층 면담으로 반 구조화되고 개별적인 질문을 통해 이루어졌고, 면담은 1회~2회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근거로 자료수집과 분석의 순환적 구조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의미 있는 문장은 153개, 69개의 하위 주제, 18개의 주제,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5개의 범주는 ‘소아암 환자를 처음 마주하면서 느낀 두려움과 기대’, ‘한계적 간호업무상황’, ‘간호과정에서 느끼는 안타까움과 버거움’, ’소아암 병동 간호사로 단단해져감’, ‘소아암 병동 간호사로서 의미와 가치를 깨닫고 자리매김함’이다. 소아암 병동 간호사들은 소아암 환자를 간호하는 것이 미래의 희망을 위한 것이라는 보람과 의미를 찾고 소아암 병동 간호사로 단단해져갔다. 본 연구 결과로 소아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의 의미와 가치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근거로 소아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를 위한 교육과 지지방안, 관리 중재를 위한 기초중재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