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및 실업팀 여자 태권도 선수의 성역할 정체감과 사회적 적응

        이은미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Gender Role Identity and Deep Adaptive Relationship of Female Taekwondo Players in the University & Business Tea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and social adaptation of female taekwondo players in the university and business teams. The purpose of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identity of female athletes to the social adaptation also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to form the gender role identity for the female athletes. The female players of university and business teams registered in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have been selected for the study. After selecting players as populatio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various games from end of Jun to end of Oct in 2010, 300 players were selected wit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258 questionnaires have been used as final research data, excluding 42 questionnaires that were inadequate as for the research data or not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om 258 players,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extracted after the frequency analysis, technolog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SPSS WIN 18.0 Program.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identity to home adaptation of female taekwondo players, it shows that androgyny has positive impact and femininity has negative impact to the home adaptation among the factors of gender role identity. Second, regarding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identity to future adaptation of female taekwondo players, it shows that androgyny has positive impact and femininity has negative impact to the future adaptation among the factors of gender role identity.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identity to personal adaptation of female taekwondo players, it shows that androgyny has positive impact and femininity has negative impact to the personal adaptation among the factors of gender role identity. Fourth, regarding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identity to environmental adaptation of female taekwondo players, it shows that androgyny has positive impact and both masculinity & femininity have negative impact to the environmental adaptation among the factors of gender role identity. Fifth, regarding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identity to school adaptation of female taekwondo players, it shows that androgyny has positive impact to the school adaptation among the factors of gender role identity. Sixth, regarding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identity to opposite gender adaptation of female taekwondo players, it shows that femininity has positive impact to the opposite gender adaptation among the factors of gender role identity. It has shown that the female taekwondo players think androgyny is advantageous for the social adaptation. It is judged that such result has brought up because masculinity has been concealed and femininity has been embossed for the female taekwondo players. It can be understood that androgyny has appeared through theneutralization of masculinity. As a conclusion, the gender role identity of female taekwondo players can be regarded as a important aspect of their lives, which can be said to influence their overall livelihood. In other words, the gender role identity can be said to have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social adaptability. The fact that femininity has positive impact to the opposite gender adaptation means, particularly, that female taekwondo players also recognize that femininity will play a role in the relationship with opposite gender.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y have expressed the individuality of female taekwondo players only for the social adaptation except for opposite gender adaptation, which shows that such point does not have irrationality for the social adaptation. Following proposal can be brought about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 First, as the androgyny expressed by female taekwondo players is to conceal the femininity, it is required to make social environment for them to express femininity positively also the transition of recognition will be necessary for them to express femininity without prejudice. Second, the fact that female taekwondo plays think that femininity will be helpful for the relationship with opposite gender means that they want to clarify own gender identity in the emotion with opposite gender even they are athletes. In the event, forced restriction or control over the relationship with opposite gender may influence negatively to the performance in the games or social adaptation, so leader's positive intervention and effort will be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rejudice on female athletes, ie. masculinity that is recognized to be in the female athletes. It is not desirable to identify the sport entry and its characteristics with female athletes, and the transition of recognition of society level and the effort of media will be necessary. 국문초록 대학 및 실업팀 여자 태권도 선수의 성역할 정체감과 사회적 적응 우석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이은미 본 연구는 대학 및 여자 실업팀 태권도 선수의 성역할 정체감과 사회적 적응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들의 관계를 규명은 여성 운동 선수들의 성역할 정체감이 사회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여성 운동선수들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대학 및 실업팀 여자선수를 대상으로 선정한 후 2010년 6월말부터 2010년 10월말까지 각종 대회에 참가 한 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00명을 선정하였고, 연구의 자료로 부적절한 설문지와 미회수 설문지 등 42부를 제외한 258부를 최종 연구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25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자태권도 선수의 성역할 정체감이 가정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은 가정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태권도 선수의 성역할 정체감이 장래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은 장래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태권도 선수의 성역할 정체감이 개인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자태권도 선수의 성역할 정체감이 환경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은 환경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성과 여성성은 부정적인 여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자태권도 선수의 성역할 정체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은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자태권도 선수의 성역할 정체감이 이성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여성성은 이성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태권도 선수들의 경우 양성성이 사회적응에 유리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태권도 선수에서 나타나는 남성성을 감추고, 여성성을 부각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남성성의 중화를 통하여 양성성이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국 여자 태권도 선수들에게 성역할 정체감은 선수들의 생활에 중요한 측면으로 볼 수 있으며,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즉 성역할 정체감과 사회적 적응력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이성 적응에 있어서 여성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은 여자 태권도 선수들도 이성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여성성이 역할을 할 것이라고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성 적응 이외의 사회적 적응에서는 여자 태권도 선수들 만의 개성을 표출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러한 부분이 사회 적응에 무리가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여자 태권도 선수들이 표출한 양성성은 여성성을 감추기 위한 것으로 여성성을 적극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만들고, 여성 운동 선수들에게 여성성을 편견 없이 표출할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여자 태권도 선수들도 이성간의 관계에서는 여성성이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하는 것은 운동선수라 하더라도 이성적 감정에는 자신의 성 정체성을 명확하고 싶다는 것이다. 결국 이성 간의 관계를 강압적으로 억제하거나 통제하는 것은 경기력이나 사회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도자의 적극적 개입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여자 운동선수들에 대한 편견, 즉 사회적으로 인식되는 여자 운동선수들에 대한 남성성을 변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운동 종목과 종목에 대한 특성을 여자 운동선수들과 동일화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사회적으로의 인식전환과 미디어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숨 쉬게 하셨네

        이은미 서울장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어릴 때부터 피아노를 쳤고 자연스레 교회의 반주 자리가 익숙했다. 자라면서 피아노에 대해선 계속 공부를 하게 되었지만, 예배에 대한 배움은 한 번도 없었다는 생각에 예배찬양사역대학원으로 오게 되었다. 대학원에서 보낸 3년의 시간을 통해 그동안 분리되어있던 음악과 삶이 연결됨을 느꼈다. 이전엔 소리만 듣고 이론에 따라 연주했던 습관들이 전공 실기 시간을 통해 가사와 의미를 묵상하고 그것이 나의 언어로 어떻게 표현되면 좋을지 고민하며 연주하게 되었다. 그리고 피하기만 했었던 작곡을 송라이팅 수업을 통해 편안한 마음으로 접하게 되었고, 그때의 곡들로 이 앨범을 준비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곡들이 앨범으로 담겨지기까지 포기하고 싶거나 다음 학기로 미뤄두고 싶은 순간들이 많았다. 밴드 녹음에 참여하여 내가 맡은 부분을 녹음한 경험은 있으나, 작곡, 연주, 스트링 편곡 및 총보 준비, 보컬 섭외, 녹음 일정 등 모든 과정에 관여해본 것은 처음이었고 과정 하나하나 지날 때마다 ‘못 할 수도 있을 것 같다’라는 생각이 수없이 찾아왔다. 하지만 하나님은 때마다 ‘지금 계속해 나가렴’하시는 것처럼 도우셨다. 그렇게 한 장의 종이 악보였던 곡이 소리로 노래가 되었고 생기가 생겨났다. 나의 노래를 준비한다는 기쁨이 이렇게 큰 줄 미처 몰랐었다. 준비하는 과정은 힘들었지만 너무 귀한 배움의 시간이었다.

      • 자폐스펙트럼장애 고위험군 아동 선별을 위한 사회성 척도개발 : 교사·부모 평정용

        이은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Development of Sociality Inventory Scale for screening children at high-risk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Teacher and parent rating scale by Eunmi Le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Department of Education Counseling Psychology Advised by Dr. Jisu H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ociality Inventory Scale(SIS) assessed by both teachers and parents to screen children at high risk for Autism Spectrum Disorder(ASD). Sociality is fundamentally an attribute of humans trying to live in groups within a community called society, and refers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a child's ability to appropriately adapt to their environment(Kang, 2022). This is an ability inherent in most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is a necessary skill in society(Locke, 2010). In contrast, according to APA(2022), children with ASD have abnormal limitations in communication, language, social reciprocity, and experience repetitive difficulties. In addition, due to limited and repetitive behavior and interests that can appear in the behavioral area,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stereotyped repetitive behaviors, insistence on sameness, and over-or under-reaction to sensory information. These difficulties may hinder children with ASD's ability to explore social interactions and negatively affect their ability to form and maintain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limiting them from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ppropriately.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from the first half of 2020 to the first half of 2023, children have been exposed to an environment where they were deprived of opportunities to form peer relationships. COVID-19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children's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and the results of a complete survey of 25 district daycare centers in Seoul showed that about 50% of children need professional intervention due to suspected social development delays(Park, 2023). Therefore, this researcher developed the SIS to select children aged 4 to 7 at high risk for ASD and confirm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accordingly. The concept of sociality was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on the sociality of neurotypic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atypical development, which can represent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SD. Among a total of 86 studies, 9 previous studies that were related to ASD social scale development, behavioral scale, social skills, or ASD screening tools were selected. In addition, by referring to the ASD diagnostic criteria of DSM-5-TR(APA, 2022), this researcher extracted the part about sociality and organized the SIS questions to identify the specific sociality of individuals at high risk for ASD. Moreover,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generate a list of behaviors and contexts mentioned in theoretical or empirical studies that are important in terms of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The final 74 questions were selected, including questions representing social interaction, restricted·repetitive behaviors and interests, emo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s. Content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wo stages of Delphi technique, and 60 questions were ultimately listed. Afterwards, 39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y verifying the internal consistency of all questions, the Cronbach’s α value was .987, confirming significant reliability results. Cronbach'α of each component was proven to be a tool that ensures reliability, with a minimum of .942 and a maximum of .972.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through the testing procedure of this research tool, the 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17 children, including 83 children with ASD and 134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Looking at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suitability of this research model, root mean square error approximation was .074, comparative fit index was .914, Tucker-Lewis index was .903, and incremental fit index was .914, which were all confirmed to be good levels. Convergent validity was test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derived from AMOS.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was .559~.934, meeting the standard of .50 or higher. The result value of calculating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 index was .514~.619, which satisfied the standard of .50 or higher, and the concept reliability construct reliability value was .901~.936. Therefore, convergent validity was secured by meeting the standard of .70 or higher. To check public validity,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Yoo, 2007, Trans. Rutter et al, 2003) and the SIS result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at-.913.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communication factor of the SCQ and the four SIS factor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with a minimum of -.563 for the emotion factor and a maximum of -.787 for the social interaction factor. 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spectrum bias appears in general children in the SIS results,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confirmed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s t test. Additionally, the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ROC)-curve analysis results were verified to confirm the discriminant accuracy of this research model. Recording an area under the ROCcurve value of .742 with standard error of .039 and a p value of <.001, the 95%confidence interval ranged from .674 to .827. This value exceeding the .70 threshold confirms the scale’s robust discriminatory ability. The cutoff value extracted through the ROC-curve results was 146.5, with a sensitivity of 100%and specificity of 49.2%. The SI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a tool that not only evaluates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the high-risk for ASD based on both parents and teachers’ rating through verifica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but also screens children at high-risk for ASD. In addition, SIS was more meaningful in that it could be used as data for intervention at the same time. The need for SIS to screen children at high risk for ASD in educational settings and differences from existing studie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Keywords: sociality, social interaction, restricted·repetitive behaviors and interests, emotio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자폐스펙트럼장애 고위험군 아동 선별을 위한 사회성 척도개발: 교사·부모 평정용 이은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지도교수 한지수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고위험군 아동 선별을 위한 교사·부모가 평정하는 사회성 척도(Sociality Inventory Scale, 이하 SI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사회성이란 근본적으로 사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집단생활하려는 인간의 속성으로,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해가는 아동의 능력 으로 대인관계를 의미한다(강진령, 2022). 이는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아동 대부분에 게 내재하는 능력으로 사회에서 필요한 기술이다(Locke, 2010). 이와는 대조적으로 APA(2022)에 의하면, ASD 아동은 의사소통 및 언어·사회적 상호성 등이 비정상적 으로 제한되고, 반복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한다. 뿐만 아니라 행동 영역에서도 나타 날 수 있는 제한적·반복적 행동 및 관심으로 상동증적 반복적 행동, 동일성에 대한 고집, 그리고 감각 정보에 대한 과대·과소 반응으로 어려움을 경험한다. 이러한 어 려움들은 ASD 아동에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능력을 방해하고, 타인과의 관계 형성 및 유지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쳐 대인관계를 적절하게 형성하지 못하 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하여 2020년 상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아동들은 또래 관계 형성의 기회를 박탈당하는 환경 속에 노출되어왔다. COVID-19는 아동의 언어와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이 결과는 서울시 25개의 구 어린 이집 전수조사를 통하여 약 50%의 아동이 사회성 발달지연 의심으로 전문적 개입 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박원석, 2023). 이에 본 연구자는 4~7세의 ASD 고위험 군 아동을 선별하기 위한 SIS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ASD 아동의 사회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신경형 아동과 비정형 발달 아동의 사회성에 관한 선행연구 문헌을 통하여 사회성에 대한 개념을 도출하고, 구성개념 과 요인을 도출하였다. 총 86편 중 ASD 사회성 척도개발, 행동 척도, 사회기술, 사 회성 혹은 ASD 선별도구와 연계성이 있는 선행연구 9편을 선정하였다. 또한 DSM-5-TR(APA, 2022)의 ASD 진단기준을 참고하여 사회성에 관한 부분을 추출 하여 ASD 고위험군 아동 개인의 특정 사회성을 식별하기 위하여 SIS 문항을 정리 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헌 검토를 통해 아동의 사회적 기능 측면에서 중요한 이론 적 연구 또는 경험적 연구에서 언급된 행동 및 맥락의 목록을 생성하였다. 이는 사 회적 상호작용, 제한적·반복적 행동 및 관심, 정서, 그리고 대인관계 요인을 는 74문항이 포함되었다. 두 차례의 델파이 기법을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0문항을 선정하였다. 그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39문항이도출되었고, 총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여 Cronbach’s α값은 .987로 유의미한신뢰도 결과를 확인하였다. 각 구성 요인의 Cronbach’α는 최소 .942~최대 .972로신뢰도를 확보하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 도구의 검정 절차로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ASD 아동 83명과전형적으로 발달하는 아동 134명을 포함하여 총 217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모형의 적합도 확인 결과를 살펴보면, RMSEA는 .074, CFI는 .914, TLI는 .903, IFI는 .914로 모두 양호한 수준임이 확인되었다. AMOS에서 도출된상관관계의 결과를 통하여 수렴타당도를 검정하였다. 표준화계수는 .559~.934로 .50 이상의 기준에 부합하였고, 평균분산추출지수 산출 결과 그 값이 .514~.619로 .50 이상기준에 만족하였고, 개념신뢰도 CR값이 .901~.936이므로 .70 이상의 기준에 부합하여 수렴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공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유희정 역, 2007, SCQ) 총점 결과와 SIS 결과와의 Pearson 상관계수를 살펴본바,-.913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고, SCQ의 의사소통 요인과 SIS 4개 요인과의 상관 분석에서도 정서 요인이 최소로 -.563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이최고로 -.787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SIS 결과에서 일반아동에게서 스펙트럼 편향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하여두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모형의 판별 정확도를 확인하기위하여 ROC-curve 분석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 도출된 AUC값은 .742, SEa=.039, p<.001(95% 신뢰구간 .674~.827의 범위)이고, AUC가 .70 이상으로 척도의 양호한 판별력을 확보하였다. ROC-curve 결과를 통해 추출된 절단값은 146.5이며, 이에 대한 민감도는 100%이고, 특이도는 49.2%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SIS는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부모·교사의 평정으로 ASD 고위험군 아동의 사회성 특성을 평가할 뿐 아니라, 고위험군 아동을선별하고, 동시에 개입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라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있다. 교육 현장에서 ASD 고위험군 아동 선별을 위한 SIS의 필요성과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는 점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주제어: 사회성, 사회적 상호작용, 제한적·반복적 행동 및 관심, 정서, 대인관계,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 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이은미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은미 프로젝트경영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영유아 교육기관에서는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 보육교사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며, 보육서비스의 질과 영유아의 삶의 질에 큰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감관심, 상 상하기, 관심취하기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놀이교 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의 매개 효과 검증을 통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향상을 돕는 보육서비스 질 향상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영유아 중 심의 질 높고 새로운 교육 돌봄 시스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 공함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울산,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 교사를 대상으로 2023년 5월 6일부터 2023년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총 450부 중에서 불성실한 사례를 제외한 428부를 분석대상으 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 하였고, 정규성 검증과정을 거친 후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측정모 형 검증, 구조모형 검증, 가설검증 및 매개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감관심, 상 상하기, 관심취하기는 놀이교수효능감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감관심, 상상하기, 관심 취하기는 교수창의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교수창의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교 수창의성은 간접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감관심, 상상하기, 관 심취하기는 놀이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과 더불어 교사-영유아 상호 작용에 간접 매개하여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보육 교사의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감관심, 상상하기, 관심취하기와 더불어 놀이교수효능감 그리고 교수창의성의 향상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여 영유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영유아교육기관의 보육서비스 질이 향상됨을 시사한다. 또, 본 연구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첫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감관심, 상 상하기, 관심취하기가 놀이교수효능감에 직접적 영향 관계가 있음을 밝 힌 연구이고, 관심취하기가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총 효과가 가장 높게 나 타났음을 확인하여 학문적 의의가 있다. 둘째, 공감능력의 공감관심, 상상하기, 관심취하기가 교수창의성에 모두 직접적 영향 관계가 있음을 밝힌 연구이고, 상상하기가 교수창의성에 미치 는 총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여 학문적 의의가 있다. 셋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영향 관계 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간접 매개효과를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넷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영향 관계 에서 교수창의성의 간접 매개효과를 밝힌 연구이기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다섯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영향 관 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의 이중매개로 부분 매개효과를 밝 힌 연구이고, 그중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총 효과가 가장 높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힌 연구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감관심, 상 상하기, 관심취하기와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은 교사-영유아 상호 작용을 활발하게 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힌 본 논문이 기초 자료가 되 어 영유아 교육기관의 보육의 질 향상에 기여되리라 시사한다. 둘째, 유보통합 교육정책의 핵심과제인 영유아 중심의 질 높고 새로운 교육 돌봄 시스템 구축의 체계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 교육정책 및 행정 활동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 시사한다. 셋째,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을 증진 시키려면 보육교사의 공감능 력의 공감관심, 상상하기, 관심취하기와 더불어 놀이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넷째,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을 증진 시키기 위해 보육교사의 공감 능력의 공감관심, 상상하기, 관심취하기와 더불어 교수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주요 용어: 공감능력,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교사-영유아상호작용 As women's participation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has expanded and the amount of time young children st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has increased due to childcare service tuition support policies, the function of child rearing and education has become an urgent task that must be carried out by the state and society, and demands for the quality of childcare are increasing gradually. Therefore, with a view to constructing a new, high-quality education and care system centered on young children, the government is promoting a responsible education and care system while announcing a plan to promote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3).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childcare,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educational programs and social systems is important, bu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role of childcare teachers who determine the quality of childcare is the most important, and a factor that greatly affects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and the lives of young children is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reativity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a empathic interest, imagining, and interest-taking, which are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with a view to providing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that help improv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and for the development of new, high-quality education and care system programs centered on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Ulsan, and Gyeonggi region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6, 2023 to May 30, 2023, and 428 out of a total of 4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collected excluding unfaithful cases were us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SPSS 22.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after going through the normality verification proces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hypothesis verification, and mediation effect were empirically analyz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l of an empathic interest, imagining, and interest-taking, which ar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play teaching efficacy. Second, all of an empathic interest, imagining, and interest-taking, which ar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teaching creativity. Third,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pathic abilit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reativity.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was empirically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pathic abilit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was empirically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pathic abilit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Sixth,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reativity were found to have indirec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factors of empathic abil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seen that empathic interest, imagining, and interest-taking, which are subfactors of empathic ability, indirectly mediate to affect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along with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reativity. This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reativity, along with empathic interest, imagination, and interest-taking, which are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pathic ability,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children and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y activating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presents basic data that can increas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hat it is a study that revealed that empathic interest, imagining, and interest-taking, which are the subfactors of emphatic ability, have direct influencing relationships with play teaching efficacy, and it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it revealed that interest-taking had the largest total effect on play teaching efficacy.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at all of empathic interest, imagining, and interest-taking, which are the subfactors of emphatic ability, have direct influencing relationships with teaching creativity, and it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it revealed that imagining had the largest total effect on teaching creativity. Third,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it revealed the indirect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factors of empathic abil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Fourth,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it revealed the indirect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reativity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factors of empathic abil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Fifth, this study reveal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reativity with dual mediation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factors of empathic abil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and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it revealed that among them, the total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was the largest.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hat this paper, which revealed that empathic interest, imagining, and interest-taking, which are the subfactors of emphatic ability,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activat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will serve as basic data so that the quality of childcar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can be improved. Second, this study present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construct a new, high-quality education and care system centered on young children, which is a core task of the education policy to integrate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so that support measures for education policies and administrative activities can be sought.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programs that can increase play teaching efficacy along with empathic interest, imagining, and interest-taking, which are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phatic ability, should be developed. Fourth,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programs that can increase teaching creativity along with empathic interest, imagining, and interest-taking, which are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phatic ability, should be developed.

      •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새로운 미술교육 방안 연구 : 영(Null)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은미 강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미술교육과정에서 소외되거나 혹은 분리되어 학습되는 특수교육대상자들이 겪는 학교현장 안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들에 대하여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영(null) 교육’의 개념으로 접근되어 그 문제들을 간파하고 있다. ‘영(null)’이란 가르치지 않아서 배움이 없는(zero) 교육을 의미하며, 때때로 학습자들은 이러한 영(null) 교육을 학교현장에서 경험하고 있다. 연구자는 가르침이 있는 공간에서 배움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영(null) 교육과정으로 보는데, 그 대상자가 영(null) 교육과정의 대상자라고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영(null) 교육의 개념이 이론화되지 않은 가운데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영(null)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의도적으로 배제된 교육에 대하여 전술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간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배제된 교육과정을 다시 보완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의 실천적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다. 연구자가 전망하는 통합교육과정의 학습대상자는 분리되지 않은 교육에서 학습할 모든 학습자를 대상이라고 한다. 본 연구의 동기는 ‘아이즈너(Eisner)의 교육적 상상력’으로 출발하여 ‘영(null) 교육’의 의미를 재발견하였고, 새로운 미술교육과정을 전망하고 있다. 이 논문은 두 가지의 관점을 제시한다. 첫째, 특수교육 안에서 바라 본 미술교육의 다양한 교육과정을 모색하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를 구분하여 분리된 교육이 아니라 진정한 통합교육으로 가야 할 미술교육의 실행방법을 찾고자 한다. 이 연구의 시작으로 미래의 모든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교육과정으로서의 통합된 미술교육을 전망하고자 한다. 그리고 새로운 미술교육을 위한 영(null) 교육과정의 적용은 교육과정의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앞으로 현 시대 교육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술교육의 통합교육과정 시대를 준비하고자 한다. 기존의 설계된 미술교육과정은 분리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점이다. 그러나 영(null) 교육과정의 대상자를 위한 교육과정은 다양한 방법론적 차원에서 출발한 통합된 교육과정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오래 전 아이즈너의 교육적 상상력에서 출발한 영(null) 교육과정에 관한 사유를 새로운 미술교육이라는 영역에 적용하고자 한 것이며, 이 연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통합된 미술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의 연구가 후속적으로 계속해 나가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to find out the solution of problems that the objects of Special Education who have been isolated or divided from others in art curriculum often meet at school. The problems are found out from the point of view of 'Null Education'. The idea of null education refers to zero education without learning because of no teaching, and often learners experience null education at school. Null curriculum is for those learners with no learning at school.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an intentionally excluded education happened at school where the idea of null education hasn't been theorized yet with 'Null Curriculum' as its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plans of a new integrated curriculum to complement a curriculum of objects of learning that are excluded from teaching at schools.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for all the objects of learning to learn in an undivided curriculum. The motive of this study comes from Eisner's educational imagination and gives a new art curriculum that is found from the point of view of null education. This article presents two points of view. First, to find out various curriculums of art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special education. Second, to find out practical plans of art education that should lead to a genuine integrated. education, not to an education that divides objects of learning. This study expects an integrated art education as a new curriculum that includes all learners as its objects. The application of null curriculum for a new art education gives various points of view of curriculum. It also intends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present curriculum and prepare the age of integrated. curriculum of a new art education. The existing art curriculum comes from the point of view of divided objects of learning. But the null curriculum for objects is becoming an integrated curriculum that comes from various terms of methodology. Eisner's educational imagination to the area of a new art education. Beginning with this study, various studies of curriculum for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re expected to be continued.

      • 국내·외 문화재단 비교 연구

        이은미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Cultural foundation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diverse purposes by companie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foundation corporations since 1990s. Regardless of founders, the main purpose of cultural foundations pertains to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people's lives. It is time that the intents and current states of cultural foundations organized under the mission of advancement of culture and art were examined. So to speak, as cultural foundations increasingly play more roles in modern society, they should meet the demands for transparent and efficient organizational operation to grow further. Since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adopted, local governments have spent a huge sum of contribution to build cultural foundations, and businesses have supported enormous investment in arts and culture for the benefits of company images and the principle of wealth distribution. By identifying the reasons for their existence and determining their future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characters, cultural foundations will be able to keep contributing to developing culture and art further. Local cultural foundations are characterized by their organization of a third sector, which system is viable for making up for policies and maximizing supports for creative and diversified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at is, local culture centers are capable of quenching the sense of cultural isolation prevalent in local areas, settling identification of local societies and putting the frameworks for activating local cultures on a firm footing. Local cultural foundations need develop proper culture policies for local people and foster new cultural projects. Further, by making efforts not to rely on the stable financial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they need to find ways to fix independent financial ground to run up to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In the 21st century, starting from Kyeonggy cultural foundation, lots of local foundations for culture have been set up in such regions as Seongnam, Goyang, Euijeongbu and Incheon. They may well be different in terms of types and focal projects, but they are similar in that local autonomous entities have formed contributions and funds and influenced their operations. Local cultural foundations share a common need to carry out appropriate art and culture projects to promote local cities by considering their own lo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organizing board of directors as a basis for independent operational executions of cultural foundations, diversified means of obtaining budgets need be developed. Though cultural foundations are to be non-profit organizations, their management should be more efficient than other profit-oriented businesses. That is because profit-driven organizations are run when they yield high profits, but cultural foundations do not have any profit sources exist. These challenges may be met by finding solutions in overseas cases of cultural foundations in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have had long history of performance and rich experience in their project operations, which may suggest quite a few alternatives that local culture foundations may take.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domestic and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to seek for directions to develop local cultural foundations further. There is no denying that local entities cannot always adopt their overseas counterparts unconditionally, but they can add some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ccording to their current conditions to take appropriate policies. Through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financial structures, policies regarding promoting donations and support committees can be sought, and their operations of board of directors may hint something to fill the part local foundations lack in. For financial self-reliance, for-profit projects run by cultural foundations owned by enterprises may be analyzed to help find ways to bring in several marketing measure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s, types and roles of cultural foundations and examined the facts and figures of overseas and domestic cultural foundations to seek for future developmental paths of local cultural foundations. Also,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current states and status of local cultural foundations. Further, based on the findings from case studies on the intents of establishment, organization and projects of domestic and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each foundation's main functions, project content, organization and oper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come to a conclusion that cultural foundations suitable for local reality,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can develop. Cultural foundations have infinitive growth potential in the future. With non-governmental and not-for-profit roles and missions and continuous and fundamental studies on projects, cultural foundations are ultimately to realize cultural democracy and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s specialized art organizations. 문화재단은 다양한 목적으로 기업, 정부, 지방정부에서 재단법인으로 1990년대 이후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재단의 설립 주체와 상관없이 문화재단의 주된 목적은 문화예술의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적인 향상을 위함이다.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사명아래, 설립된 문화재단의 취지와 현재의 상황에 대해 짚어봐야 할 시점이다. 즉, 현대사회에서 문화재단의 역할이 점차 증대되고 이에 문화재단의 성장은 조직의 투명하고 효율적 운영을 요구하고 있다. 지방정부에서는 지방자체 이후 막대한 출연금으로 문화재단을 설립하였고, 기업에서도 기업의 이미지 구축 및 부의 분배 원칙에 의해 예술과 문화에 많은 지원금을 투자하고 있다. 이렇게 설립된 문화재단이 그 존립의 이유를 보다 확고하게 하고 앞으로의 나가야할 방향을 각 문화재단의 성격에 맞추어 찾아갈 때 문화와 예술은 발전해나갈 것이다. 지역문화재단은 제3섹터의 형태의 조직과 특징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공공정책의 보완과 더불어 창의적이고 다양한 문화예술 지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체제라 볼 수 있다. 즉, 지역의 문화 소외감을 해소하며,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지역문화 활성화의 기틀을 확고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지역문화재단은 지역주민을 위해 지역에 맞는 문화정책을 개발하고 신규 문화사업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까지 지방정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에서 의존하지 않고 각 지역문화재단의 고유한 성격을 살릴 수 있도록 재정 확립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경기문화재단을 필두로 성남문화재단, 고양문화재단, 의정부문화재단, 인천문화재단 등 많은 지역문화재단이 설립되었다. 형태나 중점사업에서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지방자치단체가 기금 및 출연금을 조성하였고 재단의 운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은 비슷하다. 이런 지역문화재단이 갖고 있는 공통점은 각기의 지방도시의 활성화를 위해 또 이러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예술문화 사업과 프로젝트 수행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재단의 독립적인 집행을 위한 이사회 구성 조정과 더불어 다각전인 예산 확보 수단을 개발해야 한다. 문화재단의 목적이 영리를 추구하지 않을 뿐, 경영에 있어서는 영리기업보다 더 효율적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영리조직은 수익이 높으면 조직이 운영되지만, 문화재단은 수익원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제는 해외의 문화재단과 기업문화재단의 연구를 통해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국외의 문화재단의 오랜 기관 동안의 사업수행과 관리 경험은 우리 문화재단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의 문화재단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문화재단을 비교분석하였다. 비록 해외의 사례를 무조건 반영할 수는 없지만 각 처해진 재단에 상황에 맞추어 변형 보완하여 여러 정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 문화재단의 재정 구조를 통해, 기부와 후원회의 활성화 정책을 모색할 수 있고, 이사회 구조와 운영방식에서 우리 재단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을 것이다. 재정 자립을 위해 기업문화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익사업을 분석하고 여러 마케팅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재단의 개념과 역할, 유형을 비롯하여 국내·외의 문화재단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한국의 문화재단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내문화재단의 현황을 파악하였고 국내외 문화재단의 설립목적, 조직, 운영하는 사업에 대한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재단별 주요 기능과 사업내용, 조직구성과 운영방 등을 비교 분석을 통해 지역현실과 특성 그리고 환경에 맞는 문화재단이 발전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문화재단은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기관이다. 비정부, 비영리 단체로서의 역할과 사명을 갖고 재단 사업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한다면 궁극적으로 문화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전문화된 예술 기관으로써의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 1910-1960년, 경복궁에서 덕수궁 사이의 가로와 가로변 건축물의 성격변화에 관한 연구

        이은미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10년-1960년 서울의 중심부인 경복궁과 덕수궁 사이의 가로와 가로변 건축의 성격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대표적인 도시물(urban artifact)이 건축이고, 도시를 건축적으로 이해하는데서 부터 도시와 건축과의 상호관계를 서술한 알도로씨의 방법론을 배경으로 하여, 1910년에서 1960년 사이의 대상지의 모습을 재현 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현대도시문제의 파행적 모습과 대상지 건축물 모습의 역사적 시점을 돌출하여 현대 서울의 모습을 분석하는데 가장 정확한 근거가 될 것이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 연구범위와 방법,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 졌다. 기존에 도시에 관한 연구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견 되었다. 첫째, 한국과 서구의 도시형태가 명백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자들은 서양의 도시개념을 무조건 도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한국도시는 서구 도시해석방법론으로 해석되고 있다. 둘째는, 기존연구는 문명의 집합체로서의 도시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정치, 사회, 경제적 측면과의 연결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있는 이 논문은 한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적 측면과의 연결 속에서 한국도시의 특수성을 근거로 하는 것이 관건임을 고찰하였다. 제2장은 1910년에서 1960년 사이의 도시계획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동안에 시행된 도시계획의 성격을 '침략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도시계획'이라고 규정하고, 대상지역을 변화시킨 치도사업, 시구개정사업, 건축취체규칙, 조선시가지 계획령을 예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해방이후의 도시계획은 동명개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본 장의 내용은 조선시대 한성부의 가로체계와 성격을 고찰하고 식민지 시기와 해방이후 시기를 거치면서 시행된 도시계획사업과 행정구역의 변화를 분석하여, 원래 가지고 있던 이 가로의 성격이 외부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제3장은 1910년에서 1945년 사이의 가로변 건축물 성격과 변화에 중점을 두었다. 본 장은 1926년을 기준으로 시기를 두 부분으로 나눈 후 건축물의 발생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 시대적 상황과 건축물과의 관계, 국가정책 속에서 차지하는 건축물 역할등의 분석을 주로 하였다. 1926년 이전의 가로변 건축물의 성격을 국가정책 외연과 민족말살 측면, 근대여명기 건축의 시도로 분석하였고, 1926년 이후의 성격은 외래양식과 민족말살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식민지 시기 전기의 국가정책 외연으로서의 건축물은 조선호텔, 경기도청, 경기부청, 동아일보사, 경성일보사, 조선총독부이고, 민족말살 측면의 건축활동은 경복궁의 변모, 1904년 공진회, 1923년 조선부업품 공진회, 학술원이다. 그리고 근대여명기 건축의 시도로는 석조전을 예로 들고 있다. 1926-1945년 사이의 외래양식의 건축물은 경성소방서, 부민관, 조선일보사이고, 민족말살 측면의 건축활동은 1930년 조선박람회와 조선총독부 미술관을 예로 들었다. 또한 1910-1945년의 토지 소유주 관계를 통해서 대상지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제4장은 1946년에서 1960년 사이의 가로변의 건축성격과 변화를 다루었다. 이 시기는 6.25전쟁을 중심으로 전기는 1946년에서 1950년 까지로, 후기는 1953년 부터 1960년 까지 두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1946-1950년 사이의 시기는 해방이후의 정치적 혼란기로서 건축활동은 거의 없었으며, 1953-1960년 사이의 건축활동은 재건사업이 대부분이었다. 이 시기동안의 재건건축은 6.25 전쟁으로 파괴된 건물의 복구상황을 의미하는 것이고 신축건물은 1950년대 대상지에 세워진 국제극장과 우남회관을 예로 들었다. 또한 이 건축물을 설계한 이천숭, 김정수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었다. 제5장은 앞에서 조사·분석한 내용을 총체적으로 종합·해석하여, 1910-1960 대상지의 변천과정을 종합하였다. 본 장에서는 식민지 시기와 해방이후 혼란기의 건축물의 성격을 해석하였는데, 일제에 의한 식민지 시기 동안의 건축활동을 '의식적 역사지우기'라 이름 붙였으며, 해방이후의 건축활동은 '무의식적 역사지우기'라고 이름 붙였다. 이 외, 조선시대 이후부터 1950년 까지의 지도를 통해 가로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1910년 이후 1960년 까지 가로변 건축물의 변천 도면이 첨부되어 있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hange of character of the street and street side architecture from Kyongbok palace to Deogsu palace during the period 1910-1960. This study aim to represent the picture of subject site from 1910 to 1960 it base representive urban artifact is architecture and correlation on Aldo Rossi's methodology. This methodology form the basis of the most positive foundation with analysis the present picture of Seoul as it project a point of history of architecture picture at site and limping picture of the subject of modern city. In chapter 1, Establishment of the purpose and meaning, the sphere of the study and methods, and the review of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history modern city in korea. As the result of the review, I found some problems of them as follows. First, In spite of the city type of Korea is unlike western's, the preceding researcher appropriate the city concept of western. So the city in Korea was interpret the methodology of western's. Second, the preceding research has insufficient relation between aspect of politics, society, economy. So, the study analyzing such point investigate the key to special charceter relation the aspect of politics, society, economy. In chapter 2, I investigated the urban planning from 1910 to 1960 in this chapter. The study prescribed the character of the urban pl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The urban plan having aggressive character', it take the case of 'Chido-project(치도사업)', 'Sigugaejung-project(시구개정사업)', 'Building chiche-rule (건축취체규칙)', 'Choseonsigagi-order(조선시가지 계획령)'. And the urban planning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give priority the done-name revision. I investigated the street character and street organization of Hansung-Bu and I analyzed change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city plan from the colonial period to 1945 Liberation of Korea in this chapter. Finally, I investigated the character change of site by outside. In charter 3, I attach importance to the character and change of archtecture in street side of site from 1910 to 1945. I attach importance to a part of architecture in nation policy, the relation based the aspect occurrence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times after it divided period into two part. I analyzed the character of architecture in the site into denotation of national policy, the aspect of national erasure, the try of the dawning of modern architecture before 1926 and I resolved it into the style of the foreign, the aspect of national erasure since 1926. For instance Choseon-hotel, Kyunggibuchung, Kyunggidochung, Donga-Press Center, Kyungsung-Press center, the goverment-general of Choseon as denotation of national policy, and the transfiguration of Kyongbok palace, Gongjin-party in 1904, Gongjin-party in 1923, Haksul-wan as aspect of national erasure. And for example Sukjo-jeon as the try of the dawning of modern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of the foreign style ls Kyungsung-firehouse, Bumin-goan, Choseon-Press center from 1926 to 1945, for instance Choseon-Exhibition in 1930, the museum of Choseon goverment-general. And I analyzed the site character through the owner of lands from 1910 to 1945. In chapter 4, I studied the change and the architecture character of street side from 1946 to 1960. I divided this period into 1946-1950 and 1953-1960. There is no activity of architecture world from 1946 to 1950 and the activity of architecture is rehabilitation from 1953 to 1960. The rehabilition architecture during the period is caused by 6.25 wars, the new building is Gukje-movie theater and Unam-Hall builded in the 1950s. And I studied Lee chun sung and Kim jung soo designed Gukje-movie theater and Unam-Hall. In chapter 5, This study concludes summerizing the contents of the reserch, analyses, and investigations in the preceding chapters. And it synthesize the change process from 1910 to 1960. I make out the character of architecture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I named the activity of architecture during colonial period to 'conscious efface history from one's memory' and during 1945 Liberation of Korea to 'unconscious efface history from one's memory'. I analyze the change of street through maps from Chonseon to 1950 and it have the picture of street architecture from 1910 to 196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