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자중학생의 학업성취와 정신건강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윤옥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자중학생의 학업성취와 정신건강,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서로의 설명력이 어느 정도나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고 보다 효율적인 상담과 생활지도 방안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북 소재의 여자중학교 3학년 학생 469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건강검사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에 의해 분석되었다. 우선 학업성취도, 정신건강,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간에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학업성취도와 정신건강이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업성취, 정신건강,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는 학업성취는 심리적 안녕감 하위영역 중 자아수용,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심리적 안녕감 전체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로의 영향은 첫째, 학업성취는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은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와 정신건강 하위요인을 모두 포함하였을 때 학업성취는 심리적·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정신건강의 하위요인들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신병리, 자아, 사회적지지 순으로 영향이 있었고 주관적 안녕감에서는 정신병리, 사회적 지지, 자아의 순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nd causality between the study accomplishments of middle school and their mental health, feelings of ment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herefore, to find an efficient method of consultation and practical guidance. For thi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469 third-year students who attended a girls' middle school in Kyungsangbukdo, with the criteria of a mental health test, mental well-being test and subjective well-being tes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SPSS WIN 10.0. First of all, the investigator drew out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find out if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tudy accomplishment, mental health, ment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tudy accomplishment and mental health on the feelings of mental well being and subjective well being, the researcher conducte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btained by this study was as follows: Above all,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accomplishment, mental health, and the feelings of ment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study accomplishment appeared to have a static relationship with the feeling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sub-domains of mental well-being, such as self-reception, control over circumstances, aim of life, individual growth, and overall mental well-being.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hem were: First, study accomplishment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feelings of mental and subjective well being. Second, the sub-domains of mental health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eelings of mental and subjective well being. Third, when including study accomplishment and all the sub-domains of mental health, study accomplishment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eelings of mentalㆍsubjective well being. But the sub-domains of mental health had influence on the feelings of mental well-being, in the order of mental pathology, ego, and social support; and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the order of mental pathology, social support, and ego.

      • 웨딩 소비자의 만족도 비교분석 : 웨딩컨설팅과 웨딩숍을 중심으로

        이윤옥 경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웨딩컨설팅과 웨딩숍을 중심으로 웨딩 소비자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비교 분석하여 웨딩시장의 문제점과 마케팅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조사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웨딩컨설팅, 웨딩숍, 예 식장내웨딩숍에서 결혼식을 위해 웨딩컨설팅, 웨딩숍을 방문하여 메이크업, 야외촬영, 결혼식을 올린 신랑, 신부 등을 포함하여 웨딩산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경험한 신 랑, 신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8년 12월 15일부터 2009년 2월 15일까지 실시되 었고 그 중 답변이 부실한 조사지를 제외한 29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웨딩컨설팅 이용 만족 요인은 웨딩부상품에 대한 만족요인, 웨딩주상품에 대한 만족요인. 이미지에 대한 만족요인, 웨딩사용의도에 대한 만족요인, 자신평가(주)에 대 한 만족요인, 턱시도에 대한 만족요인, 자신평가(부)에 대한 만족요인의 7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웨딩숍 이용 만족 요인은 웨딩부상품에 대한 만족요인, 이미지에 대한 만족요인, 웨딩사용의도에 대한 만족요인, 웨딩정보에 대한 만족요인, 웨딩가격에 대한 만족요인, 자신평가(주)에 대한 만족요인, 웨딩서비스에 대한 만족요인의 7가지 요인으로 분류되 었다. 이러한 결과 웨딩 소비자들은 웨딩주상품보다 웨딩부상품 즉, 혼수에 대한 만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웨딩부상품이 결혼 준비과정 시 가격 면에 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일 것이다. 셋째, 웨딩컨설팅과 웨딩숍 이용태도 요인에 대한 차이 분석결과에서 웨딩컨설팅 이용만족요인은 내가 선택한 웨딩드레스(M=3.58)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웨딩숍 이용 만족 요인에서는 드레스 디자인(M=3.9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든 요인에서 웨딩 컨설팅 이용태도보다 웨딩숍 이용태도가 전체요인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중요 요인에 서는 두 업체 모두 드레스부분의 이용태도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넷째, 웨딩컨설팅과 웨딩숍의 이용의도 분석결과는 결혼준비 과정 시 중요도는 혼 수가 123(42.0%)로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고 웨딩컨설팅이 제공한 웨딩숍선택 시 중 요도는 사진이 78(27.6%), 웨딩숍선택의 중요도에서는 드레스가 117(41.1%), 웨딩컨 설팅선택 시 정보요인으로는 웹사이트가 116(39.6%), 웨딩숍의 정보요인은 지인의 권유가 104(35.5%)로 나타났다. 다섯째, 웨딩컨설팅과 웨딩숍 이용의도별 웨딩컨설팅 이용태도 요인 차이는 웨딩컨 설팅업체의 정보요인에서 웹 사이트가 중요하다는 집단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웨딩숍의 경우 정보요인에서도 웹 사이트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집단이 가장 만족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숍방문 시간대는 오전을 이용하는 집단의 만족도가 높 게 나타났으며, 웨딩컨설팅이 소개한 웨딩숍 유형별에서는 미용실 내 웨딩숍형태를 이용하는 집단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웨딩숍 위치 중에서는 예식장 주위 를 이용한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웨딩컨설팅과 웨딩숍 이용의도별 웨딩숍 이용태도 요인차이는 결혼준비 과정 시 혼수, 사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집단이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웨딩컨설팅 정보요인 중에서는 웹 사이트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집단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웨딩숍정보 요인 중에서는 지인의 권유와 웹 사이트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집단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웨딩숍 이용 시간대는 10~12시와 오전 시간대에 방문하는 집단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웨딩컨설팅 이용태도 요인 차이는 학력은 고졸집 단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대학원졸업집단은 모든 요인에 만족도가 낮게 나타 났다. 거주 지역에서는 경기도집단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웨딩숍 이용태도 요인 차이는 직업에서 자영업집 단이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집단은 모든 요인에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 다. 평균 수입에서는 300~400만원의 집단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100원 미만집 단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학력 간의 차이는 고졸집단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 며, 대학원 졸업집단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아홉째, 웨딩컨설팅과 웨딩숍의 사용태도 차이는 전체요인에서 웨딩숍이 높게 나타 났다. 결혼 준비 과정 중에서 웨딩컨설팅매니저보다 웨딩숍의 역할이 더 필요한 것으 로 나타났고, 고가의 차별화된 서비스 부분도 웨딩숍에 대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차시설, 가시성, 대중교통에 대한 사용의도 또한 웨딩 숍보다 웨딩컨설팅이 낮게 조사되었다. 열 번째, 웨딩컨설팅과 웨딩숍의 이용태도 차이(웨딩상품 선택 시)는 드레스, 사진, 웨딩숍 직원의 서비스 부분은 연구대상자가 선택한 웨딩숍의 이용태도가 좀 더 높게 나타났고, 메이크업, 헤어, 웨딩숍 인지도, 웨딩컨설팅매니저의 서비스는 웨딩컨설팅이 소개한 웨딩숍의 이용태도가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열한 번째, 웨딩컨설팅과 웨

      • 인터넷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조사와 유전 단원수업에 관한 웹사이트 활용방안

        이윤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정보화시대이므로 우리는 미래사회에 부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은 여러 교과 중 과학교과에서 키워 주어야하나 우리 나라의 과학교육은 대학입시로 인해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인터넷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중의 하나로 교육 현장에서는 이를 활용함으로서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수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고등학교에서 이러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 내에 인터넷 시설상황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인터넷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여 서울지역의 고등학교 과학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또한 유전 관련 웹 자료를 검색하고 선별하여 교사들에게 제공함으로서 인터넷을 과학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등학교 유전단원에 포함된 개념들은 야후, 알타비스타등의 검색도구를 사용하여 디렉토리 검색과 키워드검색으로 관련 웹사이트를 대부분 검색하였다. 연구결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 학교 중 48%만이 학교에서 인터넷 사용이 가능했다. 인터넷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교사는 41%로 비교적 낮았고, 이 중 수업에 활용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7%에 불과했다. 2. 교사들은 전자우편과 웹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87%), 수업에 활용하기위해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장애요인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33%), 자료를 찾는데 어려움(23%)이 있고, 수업 활용 프로그램의 부족(19%)등으로 나타났다. 실제적인 인터넷 연수를 희망하는 교사는 80%였다. 3. 600여 사이트를 검색한 결과 수업에 활용하기 유용한 59개의 사이트를 선정하여, 이를 URL과 사이트의 특징, 수업모형에 따라 12개의 표에 정리하였고, 이화여대 과학교육과 홈페이지에 하이퍼 링크하여 제시하였다. 4. 유전 관련 웹사이트는 중 단원별로 보면 세포분열이 19개, 유전법칙이 21개, 유전자가 7개, 유전공학이 8개, 유전 연구에 사용된 생물이 4개가 있었다. 세포 분열과 유전자에 관한 내용은 동화상이나 좋은 그림들이 많아 수업에 활용하기 좋은 데 비하여, 유전 법칙, 유전 공학에 관한 내용은 애니메이션이 적고 대학교 수준으로 설명되어 있어서 수업에 활용하기가 어렵다고 사료된다. 5. 유전관련 웹사이트를 교육방법에 따른 유형별로 보면 정보 탐색형이 44개, 문제해결형이 11개 , 탐구활동형이 4개였으며, 토의형 사이트는 없었다. 59개 사이트 중에서 54개가 미국에서 만든 사이트였고, 우리 나라 사이트는 2개에 불과 했으며 그것도 아직 준비단계에 있어 그 내용이 빈약하였다. 6. 구체적인 활용방안으로 2개의 학습지도안을 부록에 제시하였다. 시설이 가능한 학교에서는 선별된 사이트를 수업에 직접 활용할 수 있고, 시설이 준비되지 않는 학교에서는 교사가 필요한 자료를 준비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An important goal of science education today is to train students so that they can adopt well to the coming 21st century of information era.. However,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is diminishing in Korea since science education is detracted for university entrance exam, lacking students' involvement in class. Utilizing the internet in science education would be a way to correct the problem, since it would enhance students' involvement in class and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developing useful methodologies for teaching with the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orporate www, a valuable teaching resource, into high school biology instruction. It enriches the classrooms, contribute the teacher's own personal development, and arouse students ' interest. Most Genetics related web sites are examined by search engines such as Yahoo and Altavista and useful sites are chosen according to topics and students' level.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net facility and teachers' ability. The subject were 93 high schools and 160 science teachers in seoul. Ninety three school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following: 1.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48% of high schools under the survey are equipped with the internet facility. 41% of teachers can use the internet and only 7% have used the internet in class. 2. The majority of teachers feel unprepared to use the internet effectively . Problems are access restriction(33%), lack of training and technical support(23%), and so on. 3. About 600 of high school genetics related internet sites were examined and 59 useful sites are chosen and annotated. Those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subjects at the Home page of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by linking directly to the sites. ( http://www.ewha.ac.kr/sciedu/biolog y/index. html ) 4. Among the selected web sites related to genetics, 19 sites are for the cell division, 21 for the genetic rules, 8 for the genetic engineering, and 4 for the lives used in genetics research. Sites for the cell division and the genes provide dynamic pictures which may attract students in class, where as sites for the genetic rules and the genetic engineering contain college-level materials, hence are difficult for high school students. 5. Considering contents of the genetic related web sites, 44 sites are about information exploration, 11 about problem solving, 4 about research oriented. There is no site about discussions on various problems. Most of the selected sites are established by Americans and only two sites are established by Koreans, and the contents of the two Korean sites are not so satisfactory. 6. Useful sites can be used with or without hands-on computer work as facility allowed appendix includes two lessen plan ideas more internet-based lessen plan should be developed.

      • THP-1 단핵세포주에서 아밀로이드 베타가 TGF-beta에 의한 MMP-2의 생산을 억제하는 기전 연구

        이윤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밀로이드-베타(amyloid-beta, Aβ) peptide가 뇌에 침착 되는 것이 알츠하이머 병(Alzheimer disease)의 발생을 유도한다. 면역억제 사이토카인인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TGF-β1) 유전자도입 마우스에서 TGF-β1의 발현은 Aβ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반면, TGF-β1에 의하여 활성화된 소교세포는 Aβ의 제거를 유도한다는 것은 TGF-β1의 생리학적 양면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HP-1 단핵세포주에서 TGF-β1의 처리 시간, 농도에 의존적으로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의 생산이 유도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Aβ1-42가 TGF-β1에 의한 MMP-2의 생산을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reverse peptide인 Aβ42-1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β1-42는 TGF-β1에 의한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의 생산도 억제하였다. 이러한 Aβ1-42에 의한 MMP-2와 PAI-1의 생산 억제는 T98G 성상세포주에서도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Aβ1-42가 TGF-β1의 억제인자인 Smad7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이를 통해, Aβ1-42가 TGF-β1에 의한 MMP-2의 생산을 억제한다는 분자학적 기전을 규명하였다. 첫째, Smad7 과발현시 TGF-β1에 의한 MMP-2 생산에 있어서 Aβ1-42와 유사한 억제가 관찰되었다. 둘째, Aβ1-42가 TGF-β1에 의한 p3TP-Lux-SBEs의 전사활성을 억제하여 MMP-2의 생산을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셋째, Small interfering RNA(siRNA) 방법으로 세포 내 Smad7을 억제하면, Aβ1-42에 의한 TGF-β1의 전사리포터(transcription reporter) 활성억제가 회복되어 MMP-2의 생산이 유발되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Aβ1-42가 TGF-β1 억제인자인Smad7을 발현시켜 TGF-β1에 의한 MMP-2의 생산에 길항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을 제시한다. Accumulation of the amyloid-β(Aβ) peptide in the brain is a crucial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Alzheimer disease.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an immunosuppressive cytokine, has been associated in vivo with A accumulation in transgenic mice and recently with Aβ clearance by activated microglia, suggesting its deleterious and beneficial effects in neuronal cell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TGF-β1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in a time-and dose-dependent manner in a human monocytic THP-1 cell line. Notably, we found that Aβ1–42 consistently inhibited the TGF-β1-induced production of MMP-2, the endogenous gene containing Smad response elements, whereas the reverse peptide, Aβ42–1, evidenced little effect. Additionally, Aβ1–42 reduced TGF-1-induced increase i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This inhibitory effect of Aβ1–42 was also seen in human astroglial T98G cell line. Furthermore, Aβ1–42 significantly induced the expression of Smad7, which appears in turn to mediate the Aβ suppression of the TGF-β1-induced MMP-2 production. First, Smad7 overexpression mimicked the inhibitory effect of Aβ1–42 on TGF-β1-induced MMP-2 production. Second, Aβ1–42 markedly suppressed the transactivation of the transfected reporter construct, p3TP-Lux, which contains TGF-β1-inducible Smad response elements. This was concomitant with a decreased MMP-2 production in TGF-β1-treated cells. Third, inhibition of cellular Smad7 levels via the small interference RNA method significantly ameliorated the Aβ1–42-mediated suppression of TGF-β1-inducible transcription reporter activity, thereby restoring MMP-2 induction, whereas Smad7 transfection down-regulated TGF-β1-inducible transcription reporter activity. Collectively, these data suggest that Aβ1–42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egative regulation of TGF-β1-induced MMP-2 production via Smad7 expression.

      • Glutamate or HIV-1 tat protein induced MCP-1 production via activation of ERK1/2 pathway in rat hippocampal slice cultures : inhibition by resveratrol

        이윤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Pathogenesis of neuroinflammatory/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AD)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HIV-1) associated dementia (HAD) is associated Glutamate or HIV-1 Tat protein with the upregulation of a number of chemokines, such as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chemokine (C-C motif) lignad 2 (CCL2).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potential molecular basis for the role of glutamate or HIV-1 Tat in hippocampal inflammation by determining its effects on MCP-1 induction. We also attempted to identify the mechanism by which resveratrol (trans-3, 5, 4'-trihydroxystilbene), a polyphenolic phytostilbene, modulates the expression of MCP-1 in the glutamate- or HIV-1 Tat-stimulated hippocampus. An ex vivo study using rat hippocampal slices demonstrated a time- and dose-dependent increase in MCP-1 release from glutamate- or HIV-1 Tat-exposed rat hippocampus. This increase was accompanied by enhanced MCP-1 production via the activation of the ERK pathway and production of IL-1β or TNF-α, were also induced in response to glutamate or HIV-1 Tat respectively, expression. The inhibition of the ERK pathway with SL327, which is capable of crossing the blood-brain barrier, nearly abolished the observed glutamate- or HIV-1 Tat-induced effects. It is worthy of note that resveratrol, to a similar degree as SL327, down-regulated glutamate- or HIV-1 Tat-induced IL-1β or TNF-α respectively expression and reduced the expression of MCP-1 production via the inactivation of ERK1/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ctivation of the ERK pathway and the consequent production of IL-1β or TNF-α expression are essential for glutamate- or HIV-1 Tat-stimulated MCP-1 production in the rat hippocampus. Additionally, our data reveal an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resveratrol involving the inactivation of the ERK1/2 pathway in the rat hippocampus, which is linked principally to HAD-associated cognitive dysfunction. 글루타민산염이나 후천성면역결핍증 (HIV-1) Tat 단백질은 알츠하이머병과 HIV-1 관련 치매와 같은 신경염증/신경퇴행성 질환의 병인과 관련하여 단핵세포 주화성 단백질(MCP-1)과 같은 케모카인의 발현을 유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글루타민산염이나 HIV-1 Tat에 의한 MCP-1의 유도에 따른 백서 해마에서의 염증작용의 분자학적 기전을 규명하였다. 또한 폴리페놀의 일종인 레스베라트롤이 백서 해마에서 글루타민산염이나 HIV-1 Tat 에 의한 MCP-1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을 증명하였다. 백서 해마를 생체 밖으로 꺼내서 실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해마에서 글루타민산염이나 HIV-1 Tat에 의하여 MCP-1의 생산이 유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경우 MCP-1의 생산은 ERK 경로의 활성화에 따라 나타나는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인 IL-1β나 TNF-α의 발현이 함께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ERK 경로를 억제하는 SL327에 의해 글루타민산염이나 HIV-1 Tat에 의한 MCP-1의 생산이 억제되었다. SL327과 유사하게, 레스베라트롤에 의해서도 글루타민산염이나 HIV-1 Tat에 의한 ERK경로의 활성화가 줄어들면서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산과 MCP-1의 생산이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백서 해마에서 글루타민산염이나 HIV-1 Tat에 의한 MCP-1의 생산에는 ERK 경로의 활성화 되며 IL-1β나 TNF-α의 생산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MCP-1의 생산이 이루어진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더불어, 백서 해마에서 레스베라트롤은 ERK 경로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항염증작용이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한다.

      • 발레의 에티튜트(Attitude) 동작 시 근활동량 연구

        이윤옥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발레의 에티튜드(Aattitude) 동작의 앞 방향과 뒤 방향 운동 시 숙련자 8명과 비숙련자 8명을 대상으로 근 활성도를 분석하여, 에티튜드 동작시 주 사용근육을 알아보고, 발레의 트레이닝과 이를 통한 자세 안정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근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상지에는 척추기립근, 복직근, 하지에는 둔근, 대퇴직근, 반건양근, 비복근으로 총 6부위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에티튜드 앞 동작시 숙련자는 비복근, 대둔근에서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척추기립근과 비복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또한, 뒤 동작시 숙련자는 척추기립근과 비복근에서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척추기립근(p<.001)과 비복근(p<.05)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동작 국면별에 따른 분석 결과는 안정 국면에서 앞·뒤 동작 모두 숙련집단이 비숙련 집단에 비해 복직근에서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p<.01, p<.05), 집단 간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또한, 준비국면에서 앞 동작에서는 복직근, 뒤 동작에서는 비복근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마지막으로 착지 국면에서 뒤동작에서는 숙련자와 비숙련자 간에 복직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발레 에티튜드 앞 동작시에는 다른 근육의 힘은 최대한 빼고, 축이 되는 다리 쪽의 비복근과 대둔근을 적절하게 발달시켜야 하고, 뒷 동작에서는 척추기립근과 비복근의 근량힘을 증가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연결동작 시 시작과 끝 동작에서는 복부주위에는 최대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비복근의 힘으로써 가볍게 반대쪽 발을 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고 부드러운 자세로 보여 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provide a basic date what can be good position differ from analysing used muscle and EMG during attitude of ballet. Subjects were separated by two groups. one group is superio(n=8)r and the other is inferior group.(n=8) We attached EMG electrode on both upper and lower body for analysing a muscle activity. Upper body was selected on erector spinae, external oblique and lower body was selected on Gluteus maximus, sartorius, semitendinosus and gastrocnemius. Results are as follow. 1. Superior was high activity at gluteus maximus and gastrocnemius in front attitude,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erector spinae and gastrocnemius(p<.05). 2. Superior was high activity at erector spinae and gastrocnemius in back attitude, also, both erector spinae(p<.001) and gastrocnemius(p<.05) were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3. Superior group was higher activity than inferior group at external oblique in relax position,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1). 4. External oblique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front attitude, but back attitude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ce at gastrocnemius(p<.05). 5. Landing position of back attitude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ce at gastrocnemius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they should be relax muscle except agonist and developed gastrocnemius and Gluteus maximus during front attitude. Also, they are need erector spinae and gastrocnemius during back position. Best of motion when are relax and landing position is keeping relax a abdominal area and pick up leg from gastrocnemius str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