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확정 검사법과 비교를 통한 국내 외부정도관리 포도당 검사의 정확도 평가

        이우창 울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혈중 포도당 농도는 당뇨 환자의 진단과 관리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검사종목으로서 반드시 인증된 검사실에서 검사되어야 한다. 관련 지침은 포도당 검사의 분석 정밀도 3.3% 이하, 바이어스 2.5% 이하, 총 오차 7.9%가 될 것을 권장하고 있는데 내부정도관리에 의해 평가가 가능한 정밀도와 달리 정확도는 인증된 기관에서 공인된 기준 검사법으로 측정된 값과의 비교에 의해서만 검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2008년도 외부정도관리 목적으로 배포되고 분석되었던 검체들의 포도당 농도를 확정 검사법으로 측정하여 국내 검사실 보고치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방법: 2008년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 임상화학분과 검사실 신빙도 조사 사업에 사용되었던 12개 검체의 포도당 농도를 확정 검사법인 동위원소 희석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스펙트럼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이론상의 참값을 구한 후 1년간의 통계와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검사실 보고치의 평균 바이어스를 계산하였고 2.5% 바이어스 범위를 만족하는 검사실의 수를 구하였다. 유추된 관계식으로부터 임상적으로 유의한 농도인 126 mg/dL와 200 mg/dL에서의 바이어스 정도를 계산하였다. 결과: 국내 검사실 포도당 검사 보고치는 확정 검사법으로 측정한 결과에 비해 일관되게 높았는데 평균 바이어스는 1.9%였고 2.5% 바이어스 기준을 만족하는 검사실의 비율은 평균 47.1%이었다. 또한 126 mg/dL와 200 mg/dL에서의 바이어스는 각각 2.0%와 1.6%로 2.5% 이하 기준을 만족하였다. 결론: 국내 임상 검사실에서 정규 검사법으로 측정한 포도당 검사치의 바이어스는 평균 2.0% 미만으로 권장 지침의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중요한 결정 농도에서의 바이어스도 기준치보다 작게 나타나 국내 검사실의 정확도가 우수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정부 출자·출연기관의 효율적 경영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문생산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이우창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Government-invested and funded institutions perform the purpose business al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stablishment and pursue the innovative development consistently. So, the professional production technology institutes that are established by special laws also improves the productivity of the companies through creativity and innovative management with R&BD(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that goes beyond R&D as the policy realization, maximizes the national profits and plays the role of public institution. 14 non-profit professional production technology institutes nationwide satisfy the government policies and carry out the innovative management in new paradigm as the leading institution of developing state-of-the art core new material and technology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institutions established by other laws for carrying out purpose businesses, however, the matters that influence of restriction and institutional contradiction on the other side on "solid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institution were reviewed and analyzed based the advanced researches, data of the institutions and visit to the institutes. The problems that the institutes faced in respect of management are the number of R&D projects that the researchers carried out are limited because they rely on government-sponsored R&D rather than private ones for financial income, their level of using facilities and equipment were low, commercialization of performances from R&D projects was inefficient, they did not observe tax system that imposes the tax on the cost income in need of non-profit corporate body as the inclusive concept profit-making purpose and did not fulfil the disclosure of management as the public institution. As the method of solving such problems of the institutions, research project-centered Project-Based Service(PBS) that is government-sponsored R&D project should be avoided and expanded to private ones and the restriction on number of projects for the researches should be abolished as well. Now that management capability is influenced by securing manpower as well, the preventive measure should be sought and temporary employment with non-regular workers should be minimized. The commercialization of performances from R&D project(currently 35.1%) should raised and operation ratio of suspended and abandoned facilities and equipment should be raised. Instead of reducing financial resource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by growing self-recovering capability with mid-to-long term vision and strategy, the independence rate should be raised by expanding differentiation of tax system applied to non-profit corporate body and disclosure of management should be observed according to principle of good faith. This research thesis was willing to contribute to sound and efficient management through change and innovation by drawing the lessens shown from carrying out the project of establishment purpose by professional production technology institute that is non-profit corporate bogy and suggesting the plan.

      • 런닝화의 경도 차이가 후족 제어 및 충격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우창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행과 런닝시 운동화의 중족(midsole) 경도는 충격 흡수와 후족 제어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과거의 신발 경도와 관련한 연구는 주로 경도에 따른 후족 제어의 정도를 파악하거나, 충격 흡수에 가장 좋은 경도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 것이었다. 신발의 경도가 낮을수록 충격 흡수는 좋으나, 후족 제어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중족의 적절한 경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후족 운동과 충격력을 동시에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행과 런닝시 후족 제어와 충격력 흡수에 적절한 경도를 찾고자 한다. 본 실험에서는 12명의 신체 건강한 대학 및 대학원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런닝화의 내·외측 경도가 서로 다른 6종류의 신발을 신고, 4가지 속도(5, 7, 9, 11 km/h)로 트레이드밀 위를 걷거나 달리게 하였다. 후족 제어 측정에는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프레임별로 나누어 아킬레스건각(∠β)을 분석하였고, 충격력 측정에는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Shank, Knee, Head Teeth에 부착하여 측정된 피크치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 아킬레스건각(β_(0))은 신발의 외측 경도가 내측의 경도 보다 작을 경우에 아킬레스건각이 작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에 사용된 신발에서는 신발 3과 신발 4에 해당되었다. (2) 초기 회내각(β_(10%))은 지면과 접촉 후 10%시점에 해당되는 아킬레스건각으로 부상의 위험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측의 경도가 외측의 경도보다 작은 신발에서 아킬레스건각이 크게 나타났다. 내·외측 경도를 동시에 고려한다면, 신발 6에서 가장 낮은 아킬레스건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3) 충격력은 속도가 증가할수록 가속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부위별로는 Shank > Knee > Head Teeth의 순으로 나타났다. Shank와 Knee에서 발생한 충격력은 거의 비슷한 크기를 보였으며, Head Teeth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많은 감쇠를 보였다. (4) 신발 종류별에 따른 가속도 값은 외측의 경도가 내측의 경도보다 낮은 신발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5) Shank와 Knee간의 충격 감쇠율은 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약 8 ~ 10%정도의 감쇠율을 보였고, Shank와 Head Teeth간의 충격 감쇠율은 속도에 따라 작은 차이가 있으나, 약 70 ~ 80%의 감쇠율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보행 및 런닝시에 발생하는 후족 제어와 충격력에 대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런닝화의 개발에 있어 중창의 경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hardness of running shoes affects to the impact absorbtion and rearfoot movement during running and walking. In prior researches which related to the shoes hardness, these are focused on measuring rearfoot movement or finding better hardness for absorbing impact forces. The lower hardness is better for impact shock absorbing, but worse for rearfoot movement. So, it is needed to find a suitable condition which satisfies both problems simultaneously. An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same as the above. For the experiment, 12 health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re voluntarily participated as subjects. And the subjects walked or runned on treadmill with 4 different speeds and 6 different designed hardness of shoes. High speed camera was employed to take pictures of rearfoot movement and analysed angles of Achilles tendon. And impact forces were measured from shank, knee, head tee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initial Achilles tendon angle(β_(0)) is smaller when the lateral rearfoot hardness is smaller than that of medial rearfoot(As like as sample shoes #3 and #4) (2) The 10% initial pronation angle(β_(10%)) is most dangerous to cause injury. If we consider Achilles tendon angle and hardness simultaneously, sample shoes #6 is most desirable to reduce injury. (3) Impact forces is great as to speed increases, and the order is shank, knee and head teeth, respectively. The magnitude of the impact forces on shank and knee is similar to each other, and most of that is diminished on the way to head teeth. (4) The acceleration is smaller when the lateral hardness is smaller than medial. (5) Shock transmissibility ratio between shank and knee is about 8~10 %, and 70~80 % between shank and head teeth. The results of this thesis will be helpful to develope a good running shoes.

      • 디킨즈와 공리주의 : 『블리크 하우스』에서 『어려운 시절』로

        이우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lacing utilitarianism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is easier said than done because it provided the theory for reform movements, as well as a frame of thought that made "Western modernization" possible. However, aside from Michel Foucault's highlighting of the panopticon,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Jeremy Bentham and utilitarianism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Consequently, the contemporary effects of utilitarianism upon society, as well as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that they reveal,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The attributes of human being described in Bentham's theory give rise to an ideology of human beings reduced to isolated monads, which constitute what T. W. Adorno terms a "managed society." In this point of view, Charles Dickens's Hard Times serves as a significant case in point tha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utilitarianism and the monadic man. This study attempts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Hard Time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rise of utilitarian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England. Considered as an industrial novel or social-problem novel, Hard Times has yet to garner critical consensus regarding its artistic achievement. The main reason may lie in the critical failure to address utilitarianism as an effective ideology in historical context. Two complementary tasks are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is crux: an analysis of the "contradictions" themselves in accordance to the critical stance of Adorno and a questio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 of utilitarianism and representations of utilitarianism in the novel.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internal structure of Hard Times and proceed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critical judgment taken against utilitarianism in the novel. Fredric Jameson's Political Unconscious, which locates antagonism between the representative narratives of social contradiction and their imaginary solutions within literary texts, provides a useful reference for accomplishing these tasks. The first chapter analyzes the internal structure of Dickens's preceding work Bleak House, which serves to highlight the distinctness of Hard Times. Such social problems as the age-old judicial institutions are represented in Bleak House through the dissolution of families. The conflict is resolved in the end by Esther Summerson who re-constructs a new kind of family which cares for and reintegrates alienated individuals. In opposition to the critical tradition disparaging Esther as an agent of the Bourgeois family, this study argues that her newly constructed family could be considered as a "family-community" opened to the others. Thus, Dickens maintains a faith in the possibility that this 'family-community' could offer a solution, however marginal, to the social problems in Bleak House. The second chapter proves that Hard Times contrasts with Bleak House in its internal narrative structure. Unlike the previous novel, the characteristics of a "family-community" found in Sissy Jupe and the circus belie their inability to function as an alternative. They intervene and resolve the conflict, but fail to from a nucleus of "family-community." Indeed,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which dissatisfies the readers provides the key for a reflection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utilitarianism: the monadic man isolated from one another. Chapter three assesses the value of the novel's critique on Bentham's theoretical system. The rise of the monadic men found in the novel, along with the change in historical positions of the classes, fatally damages the "family-community" as a solution to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It is significant that Hard Times indicates this connection between the monadic man and utilitarianism. For although Bentham did not theorize upon the monadic man, this conclusion is inevitably implied in and caused by his logic. This chapter demonstrates through a critical reading of 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that the monadic man is embedded in the theoretic system of utilitarianism. One of the virtues of Hard Times is that it criticizes utilitarianism as a main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The novel foresees Adorno and Max Weber's historical view which deems western modernization as a rationalizing and dehumanizing process. In this point of view, Hard Times allows for a reflection on the monadic man as one of essential mechanisms in modern society while also reevaluat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utilitarianism as its theoretical ground. 19세기 영국사회에서 공리주의가 갖는 의미는 복합적이다. 공리주의는 의회 및 법제도를 개혁하기 위한 정치적 운동의 중심사상이었을 뿐 아니라 19세기 후반까지 사회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친 사고의 틀이기도 하다. 그러나 푸코가 제기한 판옵티콘과 같은 한정된 사례를 제외한다면 제러미 벤섬이 서구 근대사회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그 결과 단순히 공리주의가 동시대에 끼친 영향이 충분히 평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것이 나타내는 근대사회의 주요한 특질 또한 간과된다. 벤섬의 공리주의에 내포된 인간관은, 아도르노의 개념을 빌리자면, ‘관리되는 세계’의 핵심을 이루는 단자적 개인을 초래한다. 이처럼 공리주의와 단자적 인간관의 관계를 짚어낸 사례로서 찰스 디킨즈의 중기소설 『어려운 시절』이 갖는 의미는 주목할 만하다. 본 논문은 벤섬의 공리주의가 대두하던 맥락에서 『어려운 시절』의 역사적 의의를 재평가하고자 한다. 산업소설 혹은 사회문제 소설로 분류되곤 하는 『어려운 시절』은 그 예술적 성취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 소설이 다루는 공리주의의 역사적 의미가 소설의 비평에서 심도 있게 다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그 이유 중 하나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표면적인 해피엔딩에도 불구하고 주요한 문제들이 해결의 가능성이 제시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는 사실 또한 평가를 어렵게 한다. 이러한 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아도르노의 관점에 따라 작품에서 해결되지 않은 ‘모순들’ 자체를 분석대상으로 삼는 일 및 공리주의의 본질과 소설에 나타난 인식 간의 관계를 탐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적으로 『어려운 시절』의 내적 구조를 파악한 뒤 이에 기초하여 소설에 드러난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갖는 의미를 포착한다. 소설의 내적 구조를 이해하고 역사화 하는 과정에서 텍스트를 사회적 모순과 그 해결책이 대립하는 구도로 바라보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방법론은 좋은 참고가 된다. 1장은 『어려운 시절』이 갖는 특수성을 선명히 드러내기 위해 디킨즈의 전작 『블리크 하우스』의 내적 구조를 분석한다. 이 소설에서 구체제의 지배계급 및 법제도 등은 가정의 해체를 초래하며, 여기에 대항하여 화자이자 주인공인 에스더는 소외된 인물들을 보살피고 재통합하는 새로운 가정의 중심이 된다. 에스더를 부르주아 가정의 대변인으로 간주하는 비평적 통념과 달리 본 논문에서는 그녀가 구축하는 가정은 타자에 열려있는 ‘가족-공동체’라고 주장한다. 디킨즈는 『블리크 하우스』에서 이와 같은 ‘가족-공동체’를 통해, 비록 그것이 주변적이지만, 사회모순을 봉합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 견지한다. 2장에서 논의하는 『어려운 시절』은 1장에서 다룬 『블리크 하우스』와 대비되는 모습을 보인다. 공리주의로 대표되는 사회문제로 인해 가정이 해체되는 상황이 마찬가지로 제시되지만, 에스더와 달리 이 소설의 대안적 위치에 놓인 씨씨와 서커스단은 마찬가지로 ‘가족-공동체’의 성격을 띠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명시적인 ‘문제해결’의 이면에 소설 전반에 걸쳐 이들이 이미 무력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설의 결말로서는 충분한 만족을 주지 않는 모순적 상황이야말로 공리주의의 문제, 곧 타인들로부터 고립된 단자적 인간의 문제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1장과 2장이 『블리크 하우스』와 『어려운 시절』의 대조를 통해 후자에 내포된 모순을 드러낸다면, 3장은 『어려운 시절』이 벤섬의 공리주의에서 짚어내는 통찰을 드러낸다. 가족-공동체적인 해답이 더 이상 사회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게 된 상황에는 계급구도의 변화와 같은 외적인 요소와 함께 단자적 인간관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디킨즈가 공리주의와 단자적 인간관을 연결시킨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물론 벤섬이 직접적으로 단자적인 혹은 이기적인 인간관을 주장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그의 논리를 끝까지 전개시킬 때 그와 같은 결론이 필연적으로 초래된다는 점에서 디킨즈의 판단은 옳았다고 봐야한다. 3장에서는 벤섬의 『도덕 및 입법의 원리서설』 독해를 통해 어떻게 공리주의의 체계로부터 단자적 인간관을 초래될 수밖에 없는지를 논증한다. 더불어 『어려운 시절』의 자본가들은 공리주의적 인간관이 초래할 문제를 예견한다. 『어려운 시절』의 미덕은 공리주의를 자본가의 이데올로기로 비판하는 데 머무르는 대신 그것을 근대사회의 주요한 특질로 예감한다는 것, 즉 공리주의에 잠재된 단자적 인간관 및 그 귀결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이는 서구 근대문명을 합리화과정 및 그에 따른 비인간화로 파악하는 막스 베버나 아도르노 등의 역사 인식을 선취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소설이 벤섬의 공리주의로부터 끌어낸 통찰은 이들이 관찰한 바에 부합하는 사례로, 근대사회의 핵심적인 기제와 함께 그것의 모태로서 공리주의가 갖는 역사적 의의를 재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 한국 인디음악의 대중성 확보사례에 관한 연구 : 대중성확보 움직임과 홍보사례를 중심으로

        김상열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한국 인디음악의 대중성 확보사례에 관한 연구 - 대중성확보 움직임과 홍보사례를 중심으로 - 지도교수 : 이우창 포스트모던음악학과 작곡전공 김상열 인디음악은 독립된 음악을 뜻하는 인디펜던트 음악(Independent Music)의 줄임말이다. 산업경제학적 용어로 출발한 인디펜던트 음악은 전문 레이블을 중심으로 작품의 제작과 유통을 거대자본과 주류에서부터 독립시켜러는 의도를 가진 ‘인디음악‘이 되었다. 인디음악은 이러한 기본적 틀에서 대형 자본이 추구하는 상업성과 별개로 뮤지션이 중심이 되어 추구하는 음악을 한다는 독립성을 가지며 성장해 왔다. 또한 인디문화는 음악에서 ▲아마추어리즘 ▲반미학 ▲키치(Kitsch) ▲실험성등의 특징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인디음악의 특징적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이 최근 다양성을 원하는 대중들에게 주목받게 되었고 지나친 상업지향성으로 획일화가 문제가 된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서 인디음악은 음악적 다양성을 제공해왔고 한국대중음악의 질적 향상의 대안으로 평가되어 왔다. 하지만 국내의 인디씬을 구성하는 최소단위인 뮤지션은 지속가능한 음악활동을 위하여 최소한의 권리인 생계에 대한 해결을 위해 생업과 음악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열악한 환경에서 불안정한 음악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인디 뮤지션은 최근 사회적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열정페이’라는 단어의 제일선에 자리 히고 있다. 문화를 소비하는 대중들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기존 상업지향적인 주류음악(대중음악)에 대한 반감이 생김에 따라 그 동안 비주류문화로 인식되어 왔던 인디음악에 대중의 관심과 수요가 늘어났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와 수요의 증가에 따라 인디씬(Scene)에는 전문레이블의 등장했고 그 결과 다양한 아티스트가 등장하는 등 음악 콘텐츠의 질적 향상과 함께 음악의 다양성을 원하는 수요에 힘입어서 성장하고 있다 인디음악을 비주류 음악의 주요 소비층이 보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비주류 음악으로 분류되던 인디음악이 대중화 되었다는 것은 소비층이 변화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첫째; 음악성을 중시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둘째; 라이브와 공연을 추구하는 성향이 있는데 이는 인디만의 독특한 공연문화의 발전과 공연산업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셋째; 다양한 장르를 수용하는 특징이 있는데 대중음악의 다양성확보와 함께 균형있는 발전에 기여를 한다. 넷째; 기성 시스템에 대한 저항성을 표출되면서 음악적 독립성을 지향하는 인디음악에 관심이 몰리게 되었다. 다섯째; 적극적인 소비 성향을 가지며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에 국한되는 인스턴트식의 수요가 아닌 공연 음반등 다양한 관련상품들의 적극적인 소비성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성향들이 인디음악을 통해서 표출되었고 이를 통해 대중음악의 장르를 다양화시키고, 인디음악의 대중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인디씬의 발전은 대중적 취향과 소비의 변화가 큰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전문 레이블(Label)이 등장하면서 인디음악은 비주류문화가 아닌 음악의 장르와 스타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인디음악의 독립된 저예산 음반제작구조와 열약한 유통구조 속에서 지속성 확보를 위한 음악제작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며, 음악적 자율성 및 실험적 음악활동을 위한 인디음악의 대중성확보가 필요한 시기이다. 최근 인디음악이 광고, 영화, 드라마등의 영상음악에 사용되고 공중파와 케이블방송의 음악전문 프로그램에서 인디음악과 뮤지션등이 소개되면서 인디음악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인디음악의 대중성 확보를 위한 진중한 성찰이 필요한 시기이고 인디음악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 전문가 설문 분석을 통한 중소규모 사업장 위험성평가 도입 활성화 방안

        이우창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how to improve and encourage middle and small sized companie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to conduct risk assessments. Even though industrial accident rate for large companies has been decreasing in past 10 years, the rate for middle and small sized companie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has been increasing. In 2013, risk assessment requirement has been enacted as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cts Section 2 of Article 41(Risk assessments) to all companies to enhance employers’ voluntary accident prevention program. This study focuses on the examin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risk assessments measures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 rate through identifying domestic system issues and implementing active encouraging measures for middle and small sized companies that are unfamiliar with responsibility of risk assessments under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cts. To remedy this problem, a survey focusing on identifying measures to improve risk assessments of middle and small sized companies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afety and health experts. Survey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at an improvement in administrative support for financial benefit is needed. Also, a clarification in responsibility of assessment’s main agent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study, workers should not hesitate in consulting new safety management personnel. Also, providing an education on risk assessments ability to safety management personnel should be expanded to make employers, managers, and workers participate in risk assessments. Administrative supports like these would contribute to actively conducting risk assessments for middle and small sized companies.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의 자율적인 예방활동을 통한 산업 재해율 감소라는 목적으로 시행된 위험성평가 제도를 국내외를 대상으로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국내 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파악하였다. 현재 중소규모 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법상 위험성평가와 관련된 업무 주체의 책임과 의무가 불명확 하며, 인적 자원과 재정적 자원이 대규모 사업장에 비해 부족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자 안전보건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위험성평가 도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설문조사를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중소규모 사업장에 위험성평가 도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위험성평가 실시 주체를 대상으로 책임과 의무를 명확히 하는 한편, 인적, 경제적 여력이 부족한 사업장을 대상으로 행정적 지원 제도를 개선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병행하여 위험성평가의 제도 취지에 맞춰 사업주, 관리자, 근로자가 모두 참여하는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새로 도입된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위험성평가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제공을 확대하는 등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중소규모 사업장에 위험성평가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 새뮤얼 리처드슨과 초기 여성주의 도덕 언어

        이우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shows that Samuel Richardson significantly draws on the core moral themes of early English feminist discourse and rereads his novels in light of early feminist moral languages. The essential principles of early modern moral theories are outlined in Part 1, which discusses how proponents of female equality strategically used these principles to justify their claims. Part 1 also provides a brief historical summary of how early feminist arguments were formed. The first chapter first examines the late seventeenth-century English Querelle des Femmes pamphlets, which were based on the humanist scholarly traditions and Cartesianism. It then proceeds to discuss “Anglican Feminism,” which went hand in hand with efforts for the Anglican Reformation of Manners, and had a major impact on eighteenth-century feminist discourses. Chapter 2 analyzes the process by which the feminist agenda was integrated within the Anglican Church through the writings of Richard Allestree, Mary Astell, Joseph Addison, and Richard Steele. By examining the writings of eighteenth-century female authors like those of the Bluestocking Circle, Chapter 3 depicts the complicated and rich development of the Querelle and Anglican feminism in Richardson’s generation. Part 2 focuses on the writings of Richardson. Chapter 4 presents a summary of Richardson’s early works, from those in the 1730s to Pamela. While writing as an apologist and moralist, Richardson beca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agenda of female cultivation and proceeded to translate it into the novel genre. Pamela was his first successful novel with a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the system of female deontology. Richardson began to weave early feminist themes into his fictions with Pamela 2, which borrowed heavily from female conduct books and periodical essays. Clarissa, discussed in Chapter 5, was a work that made extensive use of Anglican feminism for its plot and characters. The novel depicts the story of Clarissa’s passion and “triumph,” while revealing the absurdity of the female condition as argued by contemporary women of letters. The last two chapters deal with Sir Charles Grandison. By analyzing Harriet Byron and Clementina della Porretta, Chapter 6 demonstrates how early feminism and discourses of female moral reform persist in Sir Charles Grandison. Charles Grandison, the “Christian hero” mainly explored in Chapter 7, is not only presented as an ideal man, but also takes an active role in converting negative men as “rakes,” as his critique of dueling illustrates. Remarkably, Richardson’s ideal male protagonist jumps right into the Querelle near the end of the book. Charles’s guardianship position illustrates Richardson’s complex relationship with early feminism, allowing us to reflect on the limits of Richardson’s and early feminist moral languages. The literary texts of the eighteeenth century were an amalgamation of diverse genres. From Pamela to Grandison, Richardson’s fictions were a genre experiment to incorporate forms and subjects of “polite” literature such as female conduct books and periodical essays into the romance and the novel.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genre categories as dynamic and historical constructions. The intimate association between Richardson’s fictions and early feminist moral languages necessitates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moral languages, and genre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moral discourses of the day, including early feminism, were sophisticated and rich in their own right, and Richardson actively used them in his innovation of the novel. By reconstructing the various linguistic contexts of the period and examining how novelists and (wo)men of letters used them, this study of eighteenth-century literature attempts a nuanced response to the question “What was the modern fiction”? 본 논문의 목적은 18세기 잉글랜드의 출판인이자 소설가인 새뮤얼 리처드슨의 소설이 당대 “초기 여성주의” 도덕 언어의 주요 주제를 중요하게 활용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이를 토대로 그의 소설을 설득력 있게 해석하는 것이다. 제1부는 우선 초기 근대 잉글랜드 도덕 언어의 기본 구조를 제시하고, 여성을 옹호하고 여성의 지위를 제고하려는 논자들이 스스로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도덕 언어의 전제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는가를 설명한다. 이어서 초기 여성주의적 논변들이 전개되는 구체적인 흐름의 역사적인 스케치를 제공한다. 1장은 17세기 후반 잉글랜드에서는 인문주의 전통 및 데카르트주의 등을 토대로 여성 논쟁(Querelle des femmes)에 참여하는 팸플릿을 살펴본다. 18세기에 가장 큰 영향을 행사한 것은 잉글랜드국교회의 풍속개혁론에 보조를 맞춘 “잉글랜드국교회 여성주의”였다. 2장은 리처드 얼스트리, 메리 아스텔, 조셉 애디슨과 리처드 스틸의 저술을 통해 국교회 여성개혁론과 여성주의적 문제의식이 결합하는 흐름을 식별한다. 3장은 블루스타킹 서클을 비롯한 18세기 여성 문인들의 저작을 중심으로 여성 논쟁과 국교회 여성주의의 언어가 리처드슨의 시대에 정교하고 풍부하게 발전하는 양상을 확인한다. 제2부는 새뮤얼 리처드슨의 저작에 집중한다. 4장은 1730년대부터 『파멜라』의 집필에 이르기까지 리처드슨의 초기 저작을 일별한다. 호교론자 및 도덕가로서의 저술 작업을 거치면서 그는 점차 여성 교육의 의제에 관심을 지니게 되었으며, 이를 소설 장르로 ‘번역’하는 과제에 착수했다. 『파멜라』는 여성 의무론의 체계를 소설의 서사적 구성으로 구현한 성공작이었다. 여성용 지침서와 정기간행 평론지의 형식을 차용한 『파멜라2』에서부터 리처드슨은 초기 여성주의의 주제들을 자신의 작품에 배치하기 시작했다. 5장에서 읽는 『클라리사』는 플롯과 인물의 구성 모두에서 국교회 여성주의를 진지하게 활용한 작업이었다. 소설은 클라리사의 수난과 ‘승리’의 이야기이면서 동시에 여성 문인들이 비판했던 ‘여성의 조건’의 불합리함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마지막 두 장은 『찰스 그랜디슨 경』을 읽는다. 6장에서 다룰 해리엇 바이런과 클레멘티나 델라 포레타는 초기 여성주의 및 여성 도덕론의 문제의식이 『찰스 그랜디슨 경』에도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7장에서 살펴볼 “기독교인 영웅” 찰스 그랜디슨은, 특히 그의 결투 비판에서 드러나듯, 단순히 이상적인 남성상으로 제시되는 것만이 아니라 난봉꾼과 같은 부정적인 남성들을 변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흥미롭게도 소설 후반부에서 리처드슨의 이상적인 남성 주인공은 직접 여성 논쟁에 뛰어든다. 찰스의 후견주의적 입장은 한편으로 리처드슨과 초기 여성주의 사이의 미묘한 관계를 드러내며, 더불어 리처드슨과 초기 여성주의 도덕 언어의 한계를 성찰하게 한다. 18세기의 문학텍스트는 복잡한 장르적 혼합물이었다. 『파멜라』에서 『그랜디슨』에 이르는 리처드슨의 소설은 여성지침서나 평론지와 같은 “고상한” 장르를 소설 장르에 도입하려는 장르적 실험이었다. 이는 우리가 장르 범주를 훨씬 동적이고 역사적인 개념으로 이해해야 함을 깨닫게 한다. 더불어 리처드슨 소설과 초기 여성주의 도덕 언어의 밀접한 연관성은 연구자들에게 18세기 소설 장르와 젠더, 도덕 언어의 관계를 철저하게 검토하기를 요구한다. 초기 여성주의를 비롯한 당대의 도덕 언어는 고유의 복잡성과 풍부함을 갖추었으며, 리처드슨은 소설 장르의 구축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당대의 다양한 언어적 맥락을 적극적으로 복원하고, 소설가와 문인이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를 추적할 때 18세기 문학 연구자들은 이른바 “근대소설이란 과연 무엇이었는가”라는 질문에 조금 더 복잡하고 정교한 답변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성과감사와 합법성감사의 혼재에 대한 연구 : 감사원 정보통신분야 감사결과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우창 고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공감사 분야 최초의 국제기준인 리마선언에는“성과감사란 재정운영 뿐 아니라 모든 정부활동을 대상으로 경제성, 능률성, 효과성을 검토하는 일에 중점을 두는 감사유형이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성과감사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개선에 대한 필요성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사원에 공개된 정보통신분야 감사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감사결과보고서 내의 처분요구를 정당론, 비난사실, 결론의 내용단위별로 구분하고 내용단위별로 감사판단기준별 적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성과감사와 합법성감사가 혼재 현황을 확인하고 혼재로 인해 성과감사의 목적을 달성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성과감사의 목적달성을 위해 성과감사와 합법성감사의 분리가 필요하다”라는 결론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성과감사와 합법성감사는 43.7%가 혼재되어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법성감사의 판단기준은 결론에서 급격하게 적용건수가 늘어났으며 이는 성과감사와 합법성감사가 혼재되는 주요 지점으로서 나타났다. 또한 분석과정에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감사판단기준별로 해당되는 단어 또는 문구를 코딩키워드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종합한 결과 성과감사와 합법성감사의 혼재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개별 감사관이 성과감사와 합법성감사를 모두 수행하는 혼재된 감사는 지양하고 성과감사를 수행하는 감사관을 전담으로 지정하여 수행해여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 둘째, 현행과 같이 합법성감사와 성과감사의 기능은 동시에 가지고 있으되 수행과정에서는 분리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규정이 필요하다. 셋째, 규정이 개정되고 성과감사 전담인력이 늘어나면 성과감사 전담인력에 맞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교육이 늘어나야 할 것이다. 넷째, 매우 다양한 전문가인력 풀(Pool)을 운영하여 성과감사 수행 시 전문성 및 부족한 인력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감사원 신임 감사관 채용은 주로 변호사, 공인회계사에 치중되고 있는데 각 분야별 전문인력 채용을 늘려나가 감사원이 성과감사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