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60년대 동인지 『四季』연구

        이우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60년대 동인지 『사계』의 창간 과정과 수록 작품들을 고찰하여 문학사적 의미를 확인하고자한다. 『사계』 는 황동규, 박이도, 정현종, 김화영의 시와 김현, 김주연의 시론으로 구성된 시 전문 동인지이다. 66년 6월 1집 발간 후 68년 7월 3집으로 종간하기까지 동일한 구성원과 일관된 편집 원칙을 지키며 새로운 형태의 문학을 지향하고자하는 목적의식을 갖고 출발하였다. 한국 현대사의 흐름에서 1960년대는 삶의 모든 영역에서 중대한 전환들이 이루어지던 시기였다. 정치적으로는 4·19혁명을 통해 획득한 자유와 권리에 대한 각성,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고자하는 열망들이 분출되어 자유합리주의가 성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5·16군사쿠데타로 인해 사회적 분위기는 다시 억압적 구조로 전환되었지만 4·19혁명으로 점화된 ‘자유’의 열기는 꺼지지 않고 1960년대를 규정하는 시대정신의 지평이 되었다. 정치·경제적인 변화로 본격적인 자본화·근대화가 시작되었으며 4·19혁명의 주체로 부상한 ‘대학생’들은 1960년대를 견인하는 새로운 세대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역사적 격동 속에서 문학 장의 변화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괄목할만한 사실로 문단의 세대교체 현상을 들 수 있다. 60년대 중반부터 문학 장에 전면적으로 등장한 ‘4·19세대’ 작가·시인·비평가들은 기성 문단에 편입되기를 거부하고 잡지와 동인지 같은 독자적 매체를 중심으로 강력한 에콜을 형성하여 한국 문단의 새로운 세대로 부상하였다. 그 결과 1960년대는 ‘제2의 동인지 시대’라고 명명될 만큼 많은 동인지들이 시 장르를 중심으로 창간되었다. 『사계』 역시 60년대 동인지의 팽창 속에서 『산문시대』- 『사계』- 『68문학』- 『문학과지성』으로 이어지는 에콜에 포함되어 언급되어왔다. 하지만 『사계』 텍스트와 관련된 구체적 연구들은 대부분 생략된 채 『사계』 본연의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고 연구자들의 관심에서 벗어나 표면적 이름으로만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사계』가 1960년대 시 동인지로서 문학사의 중요한 흐름을 담당하였다는 전제하에 『사계』 수록 작품을 서지적으로 복원하여 『사계』 동인들의 문학적 개성과 연대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산문시대』에서 『문학과지성』으로 이어지는 미학적 흐름의 범주 안에 『사계』 가 위치해있다는 사실을 수용하여, 『문학과지성』으로 이어지는 문학사적/ 정신사적 흐름과 동일한 맥락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것을 밝힌다. 『사계』 창간과정에 영향을 미친 사회 문화적 요소들을 알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1960년대 ‘전환’을 이끌어낸 4·19혁명의 결과로 나타난 자유합리주의의 성립과 4·19세대의 문학적 표상, 문단 해체와 동인지의 다양화 현상, ‘문학’-‘지성’의 담론 형성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Ⅲ장에서는 『사계』 동인들의 문학적 연대를 가능케 하였던 공동체 의식과 각 동인들의 등단과정 및 문학적 활동을 알아보고 구체적 작품 분석을 통해 각 동인들의 작품 세계를 추출해 보고자한다. 『사계』 창간 당시 황동규, 정현종, 김현은 당대 순수 문예지의 두 축을 담당하였던 『현대문학』과 『자유문학』을 통해, 박이도, 김화영은 《한국일보와》와《조선일보》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하여 이름이 알려지고 있었다. 이들이 어떤 계기로 『사계』를 기획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들은 없다. 하지만 「서문」을 통해 기성 문단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문학을 지향하였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사계』 동인들이 지향했던 새로운 형태의 문학이란 ‘개성’과 ‘상상력’에 주목한 문학의 자율성 지향이었다고 볼 수 있다. 『사계』에 수록된 황동규의 시는 그의 초기시를 지배하던 ‘개인의 불안과 우울’에서 벗어나 구체적 타자들, 사물들과 접속하며 새로운 역사의식과 세계의식으로 점차 확대해가는 변모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존재의 내적 불안으로 고뇌하던 비극적 세계 인식에서 벗어나 구체적 삶의 현장 속에 들어가 부딪치는 자아의 움직임을 명징한 현실의식을 바탕으로 정직하고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다. 존재의 불안과 사회적 억압에 함몰되지 않고 부조리한 삶과 맞서는 비판적 자세를 통해 사회학적 상상력을 더욱 확대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박이도의 시는 유년시절 ‘고향’과 ‘자연’에서 감각한 순수 서정의 세계를 기독교적 상상력과 결부시켜 표현하고 있다. 그가 ‘회상’이라는 경로를 통해 유년의 고향과 자연을 표현하는 것은 절대적이고 영원한 가치를 찾기 위한 과정이라 해석할 수 있다. 박이도는 현실의 불안과 혼돈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유년시절에 체득한 기독교적 신앙에서 찾아 시로 형상화한 개성적 세계를 보여주었다. 정현종의 시는 ‘존재’와 ‘죽음’이라는 실존적 고뇌들을 바람과 시간의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현실의 고통과 슬픔을 축제와 기쁨으로 변형시키려는 역동적 상상력의 세계를 펼쳐 보이며 개성 있는 언어의 감각을 보여주었다. 김화영의 시는 혼돈으로 가득한 60년대를 살아가는 청년세대의 방황과 불안의 감수성을 시적 자아의 내면적 불화와 시대의식을 언어적 상상력을 통해 형상화하였다. Ⅳ장에서는 김현과 김주연의 시론을 통해 ‘4·19세대’ 비평가들이 지향했던 문학의 방향과 방법론적 실천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앞선 세대의 비평 산물들을 부정하고 새로운 시대 의식으로 자신들의 세대적 입장을 분명하게 표명했던 김현과 김주연의 비평적 입장을 고찰하였다. 독문학과 불문학을 전공한 외국 문학 전공자로서 서구 문학 이론을 수용하여 한국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김현과 김주연의 비평이 문학의 자율성 옹호라는 미적 주체 의식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알아보고자하였다. 김현은 바슐라르의 ‘상상력’ 개념을 『사계』시인들의 시에 부여하였으며, 김주연은 시의 진실과 언어의 의미, ‘묘사’와 ‘구체성’을 통해 시와 인식의 문제, 시에서의 참여 문제들을 다룬 시론들을 통해 시에서의 ‘개성’과 ‘총체적 인식’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Ⅴ장에서는 『사계』 동인들이 이루어낸 문학적 사유와 언어적 실험들로 한국현대문학이 더욱 풍성해졌으며, 『문학과지성』으로 이어지는 재영토화의 거점이 되어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 문학사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주제어 : 『사계』, 동인지, 4·19세대, 1960년대, 상상력, 자기세계, 개성, 공동체의식, 영토, 인정투쟁, 담론,황동규,박이도,정현종,김화영,김현,김주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emplate the birth and contents of Four Seasons, a 1960’s poetry fanzine, to identify its literary meaning. Four Seasons, composed of poems by Hwang Dong-gyu, Park I-do, Jung Hyun-jong, Kim Hwa-young and reviews by Kim Hyun and Kim Joo-yeon, kept its members and publishing principles consistent and aimed for a new form of literature throughout its lifetime from June 1966 to July 1968. The 1960s was an era of metamorphosis in all areas of life in Korean modern history. Politically, the rights to freedom gained by the 4·19revolution and the urge to build a new society caused the birth of free-rationalism. The fire of freedom started by the 4·19revolution was not hindered even by the oppressive social structure caused by the 5·16 military coup d'etat and became the 1960’s spirit. Economic changes followed along, capitalism and modernization came to life and the “university student” who became the protagonist of the 4·19revolution became the generation that would lead the 1960s. Literature could not evade such historical tumult, the most notable change being the shift in generation in the literary community. The “4·19generation” authors, poets, and critics who appeared in the mid 1960s refused to be part of the old Parnassus and created a strong ecole through independent magazines and publications, rising as a new generation of the Korean literary community. As a result, the 1960s became the ‘next fanzine era’, and various fanzines, mainly poetry, were published. Four Seasons was always mentioned in the chain of ecoles-Era of Prose, Four Seasons, 68 Literature, Literature and Intelligence-through the 1960’s expansion of fanzines. However, the text and related studies of Four Seasons have not been able to show their true importance, disregarded by many researchers. This paper is to bibliographically restore and research Four Seasons publications in order to reveal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connections between the authors of Four Seasons, under the assumption that Four Seas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1960s literature as a poetry fanzine. Furthermore, this paper follows the same literary flow that leads to Literature and Intelligence, acknowledging that Four Seasons lie between the aesthetic flow from Era of Prose to Literature and Intelligence. In order to find societal, cultural factors that lead to the publication of Four Seasons, chapter 2 will cover the birth of free-rationalism brought on by the 4·19revolution that led to the 1960’s transformation, 4.19 generation’s literary symbol, disassembly of Parnassus, diversification of fanzines, and the discourse of ‘literature’ and ‘intelligence’. Chapter 3 will cover the literary bonding of the authors of Four Seasons, their literary activities, and through specific analysis reveal their literary worlds. When Four Seasons was published, Hwang Dong-gyu, Jung Hyun-jong, Kim Hyun debuted on Modern Literature and Free Literature, which were the two axis of literary magazines, and Park I-do, Kim Hwa-young through Hankook Ilbo, and Chosun Ilbo. It is not known why they created Four Seasons, but their will to aim for a new way of literature is conveyed in <Introduction>. The new way of literature was similar to wanting to express literary ‘one’s unique language’. Hwang Dong-gyu’s poetry in Four Seasons shows his escape from ‘one’s anxiety and depression’ by interacting with objects and expanding into new historical and societal senses. One’s ego freeing itself from the unavoidable self depression and going into scenes of life is expressed through honest language and vivid sensibility. Not being undermined by anxiety and oppression and fighting against unfairness in life and critical analysis, societal imagination is more and more widened. Park I-do’s poems can be expressed as a pure lyrical world formed by his Christian background from his youth, ‘home’, and ‘nature’. His usage of reminiscence to express his past home and nature can be translated to his way of finding everlasting value. Park I-do overcomes reality’s anxiety and chaos by his Christian beliefs and expresses such imagination through his poems. Jung Hyun-jong expresses his dynamic imagination and unique language in his poems, which shape ‘being’ and ‘death’, which are tangible agonies, into images of wind and time, and change them into paradise and joy. Kim Hwa-young’s poems form the 1960s youth’s anxiety and meander by using verbal creativity to express the poetic ego’s inner conflict and historical senses. Chapter 4 studies the 4.19 generation critics’ preferred way of literature and methodical implementation through Kim Hyun and Kim Joo-yeon’s poetry. Furthermore, chapter 4 contemplates the disregard Kim Hyun and Kim Joo-yeon had towards their previous generation’s critical products by expressing their new historic stance. As a literature major who studied German and French literature, Kim Hyun and Kim Joo-yeon’s application of western theories into Korean poetry show how their critique connects to supporting literary freedom. Kim Hyun mentioned how poets of Four Seasons conveyed Bachelard’s ‘imagination’ into their poetry, and Kim Joo-yeon mentions the truth in poetry, meaning of language, usage of ‘description’ and ‘uniqueness’ to express the importance of character and understanding in poetry. Chapter 5 concludes that the verbal experiments and literary reasons produced by poets of Four Seasons allowed modern Korean literature to be abundant, and that Four Seasons, which created a new area in literature, became the stepping stone to moving onto the next step, Literature and Intelligence.

      •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리그닌과 폐플라스틱고형연료의 촉매전환공정 연구

        이우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Lignin is a component of wood biomass which has a complex chemical structure of phenol polymer, and RPF is a solid fuel made from waste plastics. These two materials are considered to have high potential to produce phenol feedstock, paraffins, olefins, aromatic compound(e.g. BTEX) and various combustible gas like H2, CO, CH4 by various conversion processes. Pyrolysis is one of reasonable conversion processes that can produce a liquid product called pyrolysis-oil or bio-oil by thermal decomposition of feedstock without oxygen supplying. Bio-oil product contains some oxygen, acidic compounds and has relatively higher viscosity causing quality and stability degradation. In this study, catalytic vapor cracking over zeolites for upgrading bio-oil from lignin and RPF pyrolysis was investigated. Commercially available ZSM-5, Y and Beta zeolites with various alumina ratio were used for different experiments. Nickel and gallium impregnated zeolite with various weight ratio were also tested by a lab- scale batch reactor. The ratio of feedstock:catalyst was 2:1 and ratio of impregnated metal was about 1.5~10.0wt% at the reaction temperature of about 550℃. Product yields of thermal and catalytic conversion of lignin were approximately 25~35% liquid, 15~25% gas and 50% char. Liquid product mainly consisted of phenol compounds and aromatic compounds. In case of RPF, product yields were about 18~55% liquid, 32~67% gas and 13~15% char. Liquid product by RPF decomposition and catalytic conversion mainly consisted of aromatic compounds and aliphatic hydrocarbons. Main reactions of pyrolysis and catalytic vapor cracking were considered deoxygenation, aromatization, polymerization, dehydroxylation. The most effective catalyst for upgrading bio-oil was HZSM-5 and as aluminium content of HZSM-5 increased, deoxygenation and polymerization were more activated, however, composition ratio of mono-aromatics in bio oil decreased. Acidity of catalyst increased as aluminium content increase, causing more cracking of C-C bond in benzene ring. Nickel impregnated in zeolites was not so effective in terms of bio-oil upgrading but increased significantly the hydrogen content in product gas. Gallium impregnated in zeolite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 yields but increased mono- aromatics content in bio-oil. Especially in case of RPF experiment, HZSM-5(50) with 5wt% gallium had increased mono-aromatics composition in oil and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BTEX composition with higher selectivity for xylene. This is considered due to strong acidity point of HZSM-5(50) still remaining after gallium was impregnated, in contrast, HZSM-5(23) lost strong acidity point after metal was impregnated. As shown in the experiments, it must be considered that the optimum combination conditions should be kept between additional function by impregnated metal and loss of strong acidity point of catalyst used as metal supporter during impregnation. HZSM-5 also showed the excellent performance for resistance to the formation of coke while large amount of coke was formed by HY. This is considered due to extremely high specific surface area of HY and greatly large space in the frame called supercage. Coke formation increased regardless of metal species as the impregnated metal increased. 바이오매스의 구성성분 중 복잡한 거대 페놀축합물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리그닌과 폐플라스틱을 주 원료로 생산되는 폐기물 고형연료인 폐플라스틱고형연료는 열전환 공정을 통해 다양한 페놀계 화합물과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등 부가가치가 높은 화학공정의 원료물질, 수소를 포함하는 가연성 가스 등 에너지원으로 활용 가능한 형태의 생성물을 얻을 수 있는 잠재력이 풍부한 원료물질이다. 이를 위한 다양한 열전환 공정 중 열분해 공정은 산소를 공급하지 않고 시료의 열적 분해를 통해 액상 생성물을 주요 대상 생성물로 하는 기술이다. 열분해유(pyrolysis-oil) 또는 바이오오일(bio-oil) 등으로 불리는 이 액상의 생성물은 산소를 함유하는 유기성 액체로 오일의 안정성과 품질의 저하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용상의 한계점이 잠재되어 있는 열분해 생성물의 개질을 통한 품질 및 안정성 향상 위해 알루미늄(Al) 함량이 다른 몇 가지 상업용 제올라이트(zeolite)와 여기에 니켈(Nickel) 및 갈륨(Gallium)을 담지한 촉매를 이용한 촉매 접촉 분해법(catalytic vapor cracking)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제올라이트에 의한 열분해생성물의 촉매전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회분식 석영반응기를 이용해 리그닌의 경우 550℃에서, RPF는 500~700℃에서 열분해 및 촉매전환 실험을 수행하였다. HZSM-5, HY, NaY, HBeta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였고 이들의 구성성분인 SiO2와 Al2O3의 비가 서로 다른 몇 가지 제올라이트와 여기에 금속 니켈 및 갈륨의 담지량(1.5~10wt%)을 서로 달리하여 담지한 제올라이트를 시료:촉매=2:1의 비율로 적용하였다. 리그닌의 경우 촉매전환 공정을 통해 약 25~35%의 액상생성물과 15~25%의 가스생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액상생성물은 페놀화합물과 방향족화합물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RPF(Refuse Plastic Fuel, 폐플라스틱고형연료)의 경우에는 약 18~55%의 액상생성물과 32~67%의 가스생성물이 생성되었으며, 액상생성물의 주요 성분은 방향족탄화수소(aromatic hydrocarbon)와 지방족탄화수소(alip- hatic hydrocarbon)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개질반응인 탈산소화(deoxygenation), 방향족화(aromatization), 고분자화(또는 다환방향족화, polymerization), 탈수산화기(dehydroxylation) 등에 대한 효율은 HZSM-5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알루미늄의 함량이 많을수록 deoxygenation, polymerization 반응은 촉진되지만 mono-aromatics의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점의 증가로 인해 벤젠고리의 탄소 간 결합이 끊어지고 이때 생성되는 라디칼에 의해 PAHs로의 전환이 촉진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오일 내 mono-aromatics의 비율은 HZSM-5(50)를 사용했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올라이트에 니켈을 담지할 경우 액상생성물의 개질에는 큰 효과가 없지만 가스생성물 중 수소의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데는 높은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갈륨은 지지체가 가지는 생성물의 수율 특성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오일 내 mono-aromatics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RPF의 경우 HZSM-5(50)에 5wt% 비율로 갈륨을 담지할 경우 mono-aromatics의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BTEX의 생성량도 증가하였으며 특히 xylene에 대한 선택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HZSM-5(23)의 경우 갈륨의 담지로 인해 강한 산점이 거의 사라지지만 HZSM-5(50)의 경우에는 갈륨을 5%까지 담지해도 강한 산점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HZSM-5(23)과 같이 산점이 많이 분포하는 제올라이트의 경우에는 갈륨의 담지를 통한 특정 성분에 대한 선택도 향상과 산점의 감소에 의한 활성 저하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며 금속을 담지함에 따른 강산점의 존재유무가 촉매에 의한 개질 반응에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촉매표면에서의 코크 생성특성을 분석한 결과, HZSM-5가 코크 생성에 대한 억제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HY에서 가장 많은 코크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HY의 비표면적이 다른 제올라이트에 비해 큰 점과 촉매구조 내부에 존재하는 supercage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금속 담지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을 때 담지금속의 종류에 상관없이 담지량이 증가할수록 촉매표면에서의 코크 생성량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조지 린드벡(George A. Lindbeck)의 후기자유주의(Postliberal)신학 연구

        이우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laborate George A. Lindbeck's postliberal theology, an important postmodernism theology that appeared with the decline of traditional liberalism. Lindbeck's theology provides theological with a theological alternative in order to solve some important issues in dispute between liberal theology and evangelical theology. The thesis deals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ostliberal theology, theological methodology, theological thought of postliberal theology, influence of postliberal theology, mission of postmodern culture and others. First of all,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thesis, I examined the essences, characteristics,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on postliberal theology through the documents written by Lindbeck. Specifically, it discussed both problems of postliberal theology and a counterproposal to them by using method that examined Lindbeck's documents that criticized postliberal theology. Also, it examined cultural-linguistic model of both religion and doctrine through methodological access of postliberal theology in order to study postliberal theology thoughts of Lindbeck. Lindbeck is a postmodern theologian who inherits K. Barth's tradition. He understands religion as a cultural-linguistic model. Human is existence that expresses and understands oneself by language. In addition, his language forms his society. In this sense, Lindbeck claims that human religious experience is possible because of language. And thus Lindbeck emphasizes that Christians must not start from human experience and interpret the Bible through it. It is to exchange Biblical language for human language, and as a result, the Bible becomes not God's Word but human word. Lindbeck claims to let the Bible speak to human with its own language according to Barth's teaching. It means that the Christianity should not be judged by the viewpoint of modernism and rather that the modern society be defined by biblical language and that the meaning of human lives be found in it. The postliberal theology of Lindbeck emphasizes on the distinctiveness of Christianity and as a principle refuses to follow the liberalism that rushes headlong into danger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Gospel with the cultural norms of American liberal late in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postliberal theology insists that the Scripture is the supreme source of Christian thoughts and values, and that recommends the biblical languag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Christianity from becoming post-Christianity in these days, and that has strong points to make confirmation of Jesus Christ as a central figure in thoughts and lives of Christian church. Because of these advantages, it studied postliberal theology of Mr. Lindbeck and helps people understand it accurately.

      • 온라인 사진인화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업계 현황과 전망을 중심으로

        이우찬 경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appearance of world wide web, which is one of innovative inventions, has explosively increased internet users, and the transaction service in cyber space through internet is being gradually universalized. Beyond the dimension of sharing information through e-mail or news group, simply using internet, it is now being researched and utilized a plan to positively use it for all kinds of transaction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is development of internet came to have great influence on the existing off-line. Web i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 and becomes the place of very active interchange of marketing communication, and in terms of the photographic-printing market, which is important in the field of a photo-consumption market amid huge communication called this web, new methods beyond the existing off-line market were attempted and settled through web. In relation to a digital camera, which was started from MAVICA announced by SONY in 1980, entering the 2000s, due to the rapid increasing trend of its full-scale users and to the further progress of network technology, the on-line photographic-printing market through web is proceeding with being expanded, together with the photographic-printing market focusing on the existing off-line, The means of strong communication called web, is leading the consumption of a photo that we easily see and contact, to the on-line, owing to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photo, which substitutes for analog bleached photo, and is expected to make inroads into the considerable portion of off-line market in the near future. The appearance of a digital photo brought about the rapid change in many fields of a photo. The conversion into a digital file, which is one of characteristics peculiar to a digital photo, allowed everyone to share photographic image through download, in terms of the photos that were up-lorded on the internet, as well as having enabled each person to be individual and extremely private and to do freely photographic creation. Thanks to this, the unconventionality and convenience of photography, which is completely impossible to be imagined in the analogue photo system, were given. However, as for digital-camera users, it is raised the necessity aiming to change the digital photographic file, which is simply reproduced on the monitor, into n photo that is reproduced through a photographic printing paper, 8nd as to the companies, respectively, for a camera and a printer, it comes to be born the on-line photographic printing system in which the printing and distribution are attained by the transmission of digital file through internet, in line with this requir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characteristics of on-line shopping mall and electronic commerce, as a means to analyze on-line photographic-printing market, which is newly emerging in the photographic-printing market.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merits and demerits of electronic commerce that becomes the B2C (business-to-customer) model of on-line photographic printing, it attempted to expect the looks that a futuristic on-line photographic printing site will come to have, and by dealing with characteristics of users who take advantage of internet shopping mall that sells similar contents in addition to service called "photographic printing" being provided by on-line photographic printing service, it tries to grasp characteristics of users who take advantage of on-line photographic printing. On the basis of this, it aims to arrange for a standard that can beforehand guess the potentiality of its endless development as to on-line photographic printing.

      • 공동주택단지 지하저수조 용량과 운영에 관한 연구

        이우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출산 등으로 가구원수가 꾸준히 감소되었지만 최근까지 법정 저수조 설치용량은 ‘94년도 당시 가구원수를 토대로 계상되어 수돗물 실사용량에 비해 과다 설치될 개연성이 높았고, 저수조내 수돗물이 적정시간 이상 체류하게 됨으로써 잔류염소 농도 저하로 인한 수질기준 일부 미충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온 바, 가구원수 감소 등 환경 변화를 감안하여 저수조내 수돗물 체류시간에 따른 잔류염소 농도 변화 분석, 잔류염소 농도와 실제 저수조 운영용량과의 회귀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저수조내 체류시간은 평균 102.92시간(약 4.3일), 법정용량(1.0톤/세대) 적용시에도 적정 체류시간(24시간) 보다 약 2.2배 과다한 것으로 나타났고, 잔류염소 농도기준 충족을 위하여는 단지별 수돗물 사용량에 따라 23.20~31.66%이상의 저수량 활용률을 유지하여야 하며, 현행 법정 저수용량의 1/2 수준이 최적의 저수용량에 근접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시설물 과다 설치에 따른 자원 절약과 수질관리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단지별 수돗물 사용량을 감안하여 저수조 설치용량을 줄이면서 저수조 활용률과 저수량 활용률을 높여가는 조치가 필요하다. Because of population changes due to low fertility, number of household members decreased steadily. But until recently, water reservoir obligation install capacity has been accounted based on 1994's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n thouse day. Therefore, water reservoir capacity probably has been over installed compared to the actual usage. Because tap water flowed into the water reservoir stayed in it for over reasonable amount of time, problems such as partial unmet water quality standards and reduction of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have been brought up. In this study, the optimal criteria of water reservoir capacity were addressed and proper capacity of water reservoir was investigated through actual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downward trend of the population.

      • 예레미야와 요시야 개혁 : 정치적 관점으로

        이우찬 한세대학교 영산신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레미야는 긴 기간 동안 활동한 예언자이다. 그는 예루살렘의 멸망을 눈으로 목격한 예언자였으며, 모든 예언자가 그랬듯이 그가 활동하는 기간 동안 그의 메시지는 늘 외면 받았다. 하지만 그의 예언은 나라가 멸망한 후에 주목을 받았고, 그는 신약에까지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정경화 작업을 거친 후에 그의 메시지는 이스라엘 공동체에게 신학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끼쳤다. 그의 메시지는 당대의 거짓예언자, 성전설교, 왕가에 대한 예언과 이방에 대한 예언 그리고 구원의 메시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메시지들은 그 이후에 많은 영향력을 끼쳤다. 그러나 그렇게 모인 예레미야서는 많은 신학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 예레미야서가 갖고 있는 신학적인 문제에 대하여 우리는 크게 네 가지로 바라볼 수 있다. 첫 번째, 예레미야는 요시야 개혁 기간에 침묵 했는지의 여부이다. 이것은 연구사를 통하여 논의하는 가장 중요한 주제이다. 예레미야의 활동 연대와 요시야의 개혁의 연대가 겹친다면, 예레미야서와 열왕기하의 보고들은 요시야의 개혁에 대하여 혹은 예언자로서 예레미야를 언급하지 않았다. 이것은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두 번째, 요시야 개혁 당시에 활동한 예언자가 스바냐, 예레미야가 있었는데, 요시야는 왜 그들에게 가지 않았는지 의문이 있다. 오히려 정말 듣지도 못하고, 보지도 못했던 여 예언자 훌다를 왜 등용했을까? 마지막 세 번째는 예레미야의 친족 혹은 친구들은 왜 예레미야의 선포를 거절 했는지에 대해서이다. 이 이야기에 대하여 많은 학자들은 의문을 가지고 있다. 예레미야의 고향은 솔로몬 이후로 등용 받지 못한 위치에 있다는 것을 부정할 만한 사람이 없다. 지역주의와 더불어 이념적인 갈등이 충분하다. 네 번째, 요시야를 세운 ‘암 하아레츠’가 왜 요시야 개혁 때 등장하지 않았던 것인가? 요시야의 개혁의 목적은 무엇이었던가? 요시야가 개혁을 시작한 목적이 제의중앙화만을 바라는 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다른 목적에 대한 여지는 얼마나 가능한가? 위에서 언급한 4가지의 문제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찾아보기 쉽지 않다. 나는 본 논문에서 여기서 위에서 제시한 문제들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하여 두 가지를 통해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한다. 첫 번째, 예레미야는 시대적인 대세 혹은 권력보단, 하나님께서 나아가라고 지시하신 방향이 자신의 삶에서 더 중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예레미야가 예언자로서의 사명이 어떠한 조건보다 우위에 두었음을 예상할 수 있다. 그는 사람들, 친구들, 가족들에 어떠한 이야기에도 굴복하지 않았던 예언자이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친인척관계와는 무관하게 선포한다. 두 번째, 정치적인 문제로 인하여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한계성을 갖고 있었음을 깨달았던 것으로 보인다. 요시야의 개혁이 단순히 종교적-제의적인 문제로만 국한되었던 것은 아니다. 그들이 주장했던 개혁은 정치적인 의도를 무시할 수 없었던 것을 인지해야 한다. 그들이 처한 국제 정세는 혼란스러웠고, 그러한 혼란스러웠던 상황에 맞추어서 변화를 시도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다음의 주제에 대하여 논할 것이다. 요시야 개혁기간 동안 ‘암 하아레츠’가 왜 등장하지 않았으며, ‘산당’ 파괴의 목적은 순수하게 제의개혁인가? 예레미야의 가문이 이 개혁에 동참하고 있다면, 어떤 의의가 있겠는가? 그것을 통하여 요시야의 개혁이 흥미로운 주제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Jeremiah is the prophet who gave prophecies for a long period of time. He was the prophet who observed the fall of Jerusalem. As same as all prophets, his messages were always neglected during his time of ministry. However, his prophecies received attention after the fall of Jerusalem, and he and his prophecies affected to the new testament. After the canonicalization, his message theologically affected the Jewish community a lot. His message is composed of the prophecies for the contemporary false prophets, the royal family and foreign nations, sermon at the temple, and the message of salvation. These messages have allowed many influences after fall of Jerusalem. However, the book of Jeremiah, which have gathered in various way, have many theological issues. There are four perspectives toward the thelolgical issues of the book of Jeremiah. First, If Jeremiah remained silence during the period of Josiah’s reform. This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discussed through the research history. If Jeremiah’s period of ministry overlaps with the period of Josiah’s reform, On the book of 2Kings didn’t refer to Jeremiah as a prophet and on the book of Jeremiah didn’t refer to about Josiah’s reform. It is not a problem that can be resolved easily. Second, why Josiah never visit the prophets who have actively doing the ministry during Josiah’s reform; Zephaniah, and Jeremiah? rather, why did he appoint indeed unheard, unseen prophetess Huldah? Third is about why the family and friends of Jeremiah rejected the proclamation. Some scholars have doubts about those things. No one would deny that Anathoth, the home of Jeremiah, is in position not to be appointed after King Solomon. With Regionalism, there is big ideological conflict. Lastly, Why didn't ‘Am Ha-arez’, who nominated Josiah, emerge during Josiah's reform? What was the purpose of reform of Josiah? Is the purpose of the reform of Josiah only for the centralization of cult. Then, what are the chances of other aims? It is not easy to find a direct correlation of four issues mentioned above. I will discuss the issues proposed above on this paper. So with these problem, I want to solve them with two things. First of all, following the lead and direction of God was more crucial and important than following the political power to Jeremiah. It shows that Jeremiah put priority on the mission as a prophet to any other condition. He was a messenger who did not submit to gossip of people, friends, and family. He declared the word of God irrelevant to relatives. Second, it appears that Jeremiah realized the limit of the problems because of the political issues. Josiah’s reform was not simply confined to the religious-cultic issues. We must recognize that the reform they insisted had a political intention. The national situation they faced was confusing, and through that confusion they tried to make a chan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is paper will be discussed on next topic. Why didn’t ‘Am Ha'arez’ appear during the period of Josiah’s reform? Is the purpose for destruction of ‘High place’ purely for reform of cult system? If Jeremiah’s family participates in this reform, what significance can it have? Through this issue, Josiah’s reform can be an interesting top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