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변학적 졸-젤 전이 능력을 가진 3차원 분자 및 섬유소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이예람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Cellulose fibrils can pact to form a crystalline structure with an extended chain conformation. Thanks to this unique molecular structure, they display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as well as unique rheological fluidity. Herein, we report an approach to fabricate hydrophobically associative cellulose nanofibers (ACNFs) by using combined surface-mediated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and 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radical (TEMPO)-mediated oxidation. More specifically, cellulose nanocrystals were grafted with poly (stearyl methacrylate-co-2-methacryloxyethyl phosphorylcholine) brushes. Then, TEMPO-mediated oxidation was conducted to produce nanoscale ACNFs. The ACNFs displayed the hydrophobic attraction-driven interfibrillary association, thus leading to production of a nanofibrillary gel fluid. We observed that the viscosity of the ACNF fluid showed reversible thinning and thickening in responsive to applied shear stress as well as thermal shock. Thanks to the generation of a mechanically robust nanofibrillary gel network, the ACNF solution displayed excellent structural resistance to salinity and pH chang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highlight that the interfibrillary hydrophobic association of ACNFs indeed important and play a role in regulation of stimuli-responsive sol-gel transitions. Temperature-responsive hydrogels were fabricated by the photo-polymerization of bis-acryloyl poloxamer tri-block copolymers, and their temperature-responsive behavior and physiological effect on skin were investigated. For this, poloxamer macromers were prepared by end-capping both terminal hydroxyl groups of poloxamer tri-block copolymers with acrylates. They were then photo-polymerized to generate polymeric hydrogels with structural integrity that allowed excellent stability against dilution in an aqueous environment. The resulting hydrogels exhibited dramatic reversible swelling behavior upon changes in temperature. A demonstration experiment, in which the hydrogels were applied topically to the skin, showed that they shrank rapidly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temperature, owing to the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highlighting their effectiveness for instantaneously moisturizing the skin.

      • 우모 분해세균 Pseudomonas hibiscicola H10으로부터 keratinase의 생산 및 생물공학적 응용

        이예람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A large amount of feathers have been produced as slaughterhouse waste worldwide. There are physicochemical treatment methods to degrade feathers, but the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 waste of high protein and the cost is high. Keratin, the main component of feathers is an insoluble protein, which inhibits degradation and recycling of feather waste. To solve these problems, biological treatment methods using microorganisms with keratinolytic activity can be applied and degradation products of the feathers can be recycled.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applications of degradation products of feathers. Therefore, in this study a novel strain capable of remarkable feather degradation activity was screened, which was Pseudomonas hibiscicola H10. Also potential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keratinase and feather hydrolysate include biofertilizer, biopesticide, cosmetic industry, drug delivery, animal feed additives and microbial medium. The maximum keratinase activity of H10 is 24.8 U/ml in optimal condition. The suppressive efficacy of feather hydrolysate was investigated against several fungal pathogens on PDA. The mycelial growth of three fungi was inhibited on PDA amended with feather hydrolysate. Its control value was evaluated on detached pepper fruits inoculated with C. gloeosporioides. Feather hydrolysate inhibited pepper anthracnose in wound and non-wound inoculation method effectively. Feather hydrolysate showed plant growth promotion effects on pepper in pot tests. Biological activity of feather hydrolysate was measured. IC50 values obtained from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nitric oxide scavenging assays,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s and ACE inhibition assays for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hypertensive capacity in feather hydrolysate were 1.41 mg/ml, 1.55 mg/ml, 1.38 mg/ml and 1.41 mg/ml, respectively. The remarkable activity was shown in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It was shown that treatment with keratinases had non-maleficence in cytotoxicity assays. The corneum removal effect on elbow and crelbow was produced when concentrations of feather hydrolysate were 50 mg/ml, 100 mg/ml and 150 mg/ml in human stratum corneum removal assays of keratinase produced by microorganisms with feather degrading capability. It was shown that amino acid composition of feather hydrolysate produced by H10 was more variable and more efficient than by chemicals and the products by H10 had proteinaceous amino acids of which there is a lack in livestock feeds in amino acid analysis. Pepsin digestibility of feather hydrolysate was 95.8%. Cell growth of four strains(Stenotrophomonas maltophila R13, H10, E.coli, B.substilis) in feather hydrolysate medium which contain bacto peptone or yeast extract was remarkably high than cell growth in nutrient bro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ather-degrading Pseudomonas hibiscicola H10 have potential applications in agricultural, pharmaceutical, cosmetic industries. Moreover, biological activity, pepsin digestibility of feather hydrolysate of H10 show that degradation products of feathers can be employed as livestock feed additives. Also feather hydrolysate showed it can be utilized as microbial medium resources. The results described above present that feather hydrolysate of Pseudomonas hibiscicola H10 can be applied to various biotechnological areas and have high added value.

      • (The) effect of policy improvements in occupational disease approval process on benefits and household debt : empirical evidence in Korea

        이예람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policy that improves the approval process of occupational disease on the insurance benefit and household debt in Korea. From 2013 to 2017, the government implemented several policies that advanced the approval process of occupational disease by extending the coverage of illnesses, shortening the process for efficiency. Utilizing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the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es revealed that the policy implementa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benefits for the treatment group and reducing the chance of household debt rising one year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policy is an effective way of addressing injured workers' financial burden. As such, the welfare policy and household debt work as a substitute for each other.

      • 성인 여성의 발레 교육 참여에 따른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차이분석

        예람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567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발레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의 차이를 분석하고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사설 발레 학원에서 발레 교육을 참여하고 있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총300명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5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및 신뢰도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독립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발레 교육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연령)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고 회복탄력성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인 발레 교육 참여자의 발레 교육 참여(참여기간, 참여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참여기간과 참여빈도가 길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인 발레 교육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인지된 신체능력이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보다 큰 차이가 났으며, 공통적으로 대인관계와 긍정성의 하위요인인 자아확장력, 자아낙관성, 생활만족도, 감사하기에 관계를 나타냈다. 즉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 여성의 발레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발레 교육 참여시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회복탄력성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among adult women in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ballet. 300 female adults who received ballet education in private ballet academ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nd then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5.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test were used, and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o se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look for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adult ballet education participants in general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resilience. Second,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adult ballet education participants' participation in ballet education (period of participation, frequency of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longer the participation period and frequency of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e higher the rate of participation rate of participation. Third,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the adult ballet education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s for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efficacy, there were broader differences in perceived physical ability than in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according to that, and that was commonly link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self-expansion skills, self-optimism, life satisfaction and appreciating that were the subfactors of positivity. In other words, it could be judged that resilience is stronger when physical self-efficacy is better. The findings of the study ascertained that resilience becomes stronger when physical self-efficacy becomes higher during participation in ballet education because it's found that the ballet participation of the adult women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 농촌 소규모학교를 중심으로

        예람 공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311

        본 연구의 목적은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학급응집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과 <가설 2>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예산군 B 초등학교 3학년 5명의 학생을 실험 집단으로, 동일 지역의 Y 초등학교 3학년 5명의 학생을 통제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11월 초에 실험 및 통제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8주간 12회기에 걸쳐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실험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처치가 끝난 뒤 실험 및 통제 집단 모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는 SPSS WIN 21.0을 활용하여 각 검사에 대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참가자들의 자기조절능력 사전․사후 검사 결과 및 회기별 변화 과정에 대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조절, 충동성과 관련된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 및 태도가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학급응집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참가자들의 학급응집력 사전․사후 검사 결과 및 회기별 변화 과정에 대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학급 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과 관련된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태도가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통계적 검증으로 알 수 있는 눈에 띄는 변화는 아니었지만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의 자기조절능력 및 학급응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앞으로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적용 대상과 처치 기간의 확대, 상담가의 역량 개발, 초등학교 중학년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한 프로그램 및 객관적인 다면적 검사 도구의 개발 등의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a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play on the self-regulation and classroom cohesiveness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t up hypothesis Ⅰ,Ⅱ-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play improves self-regulation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play improves classroom cohesiveness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then verified them. The study subjected to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5 children of 3th grade from B elementary schools and controlled group composed of 5 children of 3th grade from Y elementary schools in Y district.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experiment with two group at the beginning of Novemb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erienced the REBT group counseling Using role-play for twelfth anniversary during 8 weeks, on the other hand, another group didn't anything. after concluding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carried out the post experiment at the same time. A self-regulation test and a classroom cohesiveness test is used as test tool. The spsswin 21.0 is utilized for dealing with test result and the paired samples t-test is employed to find differences among two groups about each tests. The main results of a study is as follows. 1. The REBT group counseling using role-play didn'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elf-regulation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But case analysis result about changing process of participants show detailed improvement on irrational belief and attitude related self-regulation and impulsivity. 2. The REBT group counseling using role-play didn'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classroom cohesiveness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But case analysis result about changing process of participants show detailed improvement on irrational belief and attitude related classroom atmosphere, mutual trust, morale, sense of unity, communication. The conclusion of the result wasn't striking change but the program had good effect on self-regulation and classroom cohesiveness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For the more generalization of REBT group counseling using role-play, we may need expansion of experimental subject and period, development of consultant's capability, the study on program considered interest and level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objective multiphasic test tool and so on.

      • 시각과 청각을 활용한 영어 어휘 제시 방법이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어휘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예람 세종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311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교육의 목표는 일상생활에서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의사소통 능력을 성공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휘 학습이 필수조건이며, 제2언어 학습자들이 기본적인 대화를 하기 위해서 2000개의 단어가 필요하며,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글을 읽기 위해서는 3000개의 단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Schmitt, 1997).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학교 영어 수업시간에는 많은 양의 어휘를 지도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므로 제한된 수업 시간 안에 학습자들이 학습해야할 많은 어휘를 가르치기 위해서 보다 효과적인 영어 어휘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 여러 영어 교육 현장에서 영어 어휘를 가르치기 위하여 시각 자료와 시청각 자료는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초급 영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어휘를 더 친근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시각과 시청각 자료가 많이 사용 되고 있다. 하지만 청각 자료만을 제시하여 어휘를 학습시키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초등학생 대상의 영어 시험 결과가 학습할 때 제시하는 방법과 어떤 관계가 있을지, 다시 말하면, 시각이나 청각 등의 어휘 제시 방법에 따라 각 문제 유형에서 영어 어휘 능력 향상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아닌지 알아본 연구도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영어 어휘 제시 방법(시각+시각, 시각+청각, 청각+청각)이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에 위치한 초등학교 1, 2, 3학년 86명을 대상으로 3주간 총 6차시의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앞서 학년 당 3개의 집단(시각+시각, 시각+청각, 청각+청각)으로 나누었으며,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학습자의 사전 영어 어휘 평가를 실시하여 각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동일한 영어 어휘를 제시 방법에 따라 3주 동안 6번의 실험 수업을 한 후 학습자들의 사후 영어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한 달 후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에 대한 기억의 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동일한 영어 어휘 검사를 통하여 지연 어휘 평가를 다시 한 번 더 실시하였다. 시각+시각 집단은 그림과 문자를 활용한 어휘 활동으로 교사가 그림과 문자를 보여주면서 어휘를 익히게 하였으며, 시각+청각 집단은 그림을 보여주고 뜻을 들려주면서 어휘를 학습하도록 하였으며, 청각+청각 집단은 어휘의 뜻과 발음을 들려주며 어휘를 익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 향상 정도에 있어 세 가지 영어 어휘 제시 방법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세 집단 모두 사후 어휘 평가 점수가 사전 어휘 평가 점수보다 많이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으므로 세 가지 영어 어휘 제시 방법 모두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년별로 각각 살펴보면 학년 간 동일한 어휘 수준을 보였던 학습자들이 세 가지 어휘 제시 방법으로 어휘를 학습한 후, 2학년과 3학년의 영어 어휘 점수가 1학년보다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영어 시험에서 많이 다루는 문제 유형(그림 연결하기, 뜻 고르기, 뜻 쓰기)에 따라 집단 간 어휘 학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뜻 고르기 유형에서의 사후 어휘 평가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뜻 고르기 유형에서 시각과 청각을 함께 제시한 집단이 각각 같은 감각을 제시한 두 집단(시각+시각, 청각+청각)보다 낮은 향상도를 보인 것으로 보아 두 채널을 활용하여 인지과부하가 유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학년별로 살펴보면 그림 연결하기 유형과 뜻 고르기 유형은 사전과 사후 어휘 평가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에 뜻 쓰기 유형의 문제는 세 학년 모두 사전 점수가 유사하였으나 어휘 학습 후에는 1학년에 비해 3학년이 유의미하게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또한 뜻 쓰기라는 인지적으로 과부하가 걸릴 수 있는 활동에서 3학년이 저학년보다는 학습의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겠다. 셋째, 영어 어휘 제시 방법에 따라 효과적으로 기억하는지(학습 직후 기억 정도와 학습 전 어휘 능력과의 차이 정도) 살펴본 결과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생기지 않았다. 학습을 한 후 지연 정도가 어휘 제시 방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학습을 하기 전 어휘 능력과 비교한 어휘 능력 향상도 에서도 어휘 제시 방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학습을 하기 전 어휘 능력에 비해 세 가지 방식 모두 유의미하게 어휘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점에서 어휘 제시 방법에 시사점이 있다. 다시 말해, 어휘 학습을 위해 시각과 청각을 적절히 활용하여 제시할 때 어휘를 장기기억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어휘 영어 제시 방법이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영어 교육 현장에서 시각과 청각을 활용한 영어 어휘 제시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학년과 문제 유형에 따라 세 가지 영어 어휘 제시 방법을 조절하여 사용 할 필요가 있다.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s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to use English in everyday life. Vocabulary learning is a prerequisite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skills, and second language learners need 2,000 words for basic conversation. In addition, to read the texts used in everyday life, it is necessary for the reader to be familiar with 3,000 words (Schmitt, 1997). Nevertheless, it is very difficult to teach a large number of vocabulary in Korean school English class. Therefore, a more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English vocabulary is needed to teach the vocabulary that learners need to learn in a limited class time. Visual and audiovisual materials are used in a variety of ways to teach English vocabulary in many English education settings. In particular, visual and audiovisual materials are being used to stimulate interest of novice English learners and to learn vocabulary more intimately.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learning vocabulary by presenting only auditory data. Also, few studies have examined how English test resul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ght be related to the way they are presented in learning, and in other word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whether improvement of English vocabulary ability is different in each problem type according to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such as visual or auditory. Therefore, to examine the effect of thre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visual+visual, visual+auditory, auditory+auditory) on the English vocabulary ability of lower grad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subjects of a total 86 students who were in the 1st, 2nd, and 3rd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for six times in total for three weeks. Prior to the experiment, this study divided into three groups (visual+visual, visual+auditory, auditory+auditory) per each grade, an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group, the English vocabulary evaluation of the English learner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carried out to ensure homogeneity among the groups. After performing experimental classes six times for three weeks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same English vocabulary, this study conducted post evaluation of learners’ English vocabulary. One month later, delayed vocabula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ce again to check learners' memory of English vocabulary through the same English vocabulary test. The visual+visual group was designed to learn vocabulary by showing pictures and text through vocabulary activities using pictures and text through vocabulary activities using pictures and letters, the visual+auditory group was designed to learn vocabulary by showing picture and expressing meaning, and the auditory+auditory group was designed to learn vocabulary through expressing the meaning and pronunciation of the vocabular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mprovement of English vocabulary ability of lower grad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hre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post‐vocabulary scores in all three groups were improved more than pre‐vocabulary scores. Thus, it can be seen that all of the thre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glish vocabulary abilities of lower grad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o look at each group by grade, after Learners with the same vocabulary level between grades learned vocabulary with three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the English vocabulary scores of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more that those of the first graders.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vocabulary learning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ypes of questions (linking pictures, choosing a meaning, writing the meaning) which are frequently shown in elementary English te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vocabulary evaluation scores in the choosing a meaning type. In particular,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group with visual and auditory presentation showed lower improvement than the two groups (visual+visual, auditory+auditor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gnitive overload is caused by using two channels. To look at each grade group by grade, the type of linking pictures and the type of choosing a mean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n the pre‐ and post‐vocabulary evaluations. On the other hand, for the question of writing the meaning type, the scores of pre vocabulary evaluation of all three grades were similar to one another, but after vocabulary learning, the third grad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than the first grade. These results also show that the third grade is more effective than the lower grades in the activity of writing the meaning type that can be cognitively overloaded. Third, from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on memory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post‐learning memory and pre‐learning vocabulary 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elay according to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after learning,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in the vocabulary ability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vocabulary ability before learning. However, there is a suggestion in the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that all three methods are effective in improving vocabulary ability compared to vocabulary ability before learning. In other words, when presenting visual and auditory appropriately for vocabulary learning, it can be said that it helps to long‐term memory of vocabulary. In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this study, from a point of view that the thre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were used to improve the English vocabulary ability of lower grad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using visual and auditory in English education field. Teachers who teach classes so that learners can effectively learn vocabulary need to adjust and use thre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depending on grade and question type.

      •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을 통해 본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 : '페이스북 라이브'와 '인스타 라이브'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를 중심으로

        예람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311

        본 연구는 기존의 소셜미디어 매체에서 새롭게 서비스되는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이용 동기를 밝히고 이용 동기와 이용자 개인적 특성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적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를 ‘함께 있는듯한 느낌’으로 정의되는 사회적 현존감이 매개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하여 이용 동기 요인을 문헌연구에 따라 오락/즐거움, 정보추구, 현실도피, 사회적 상호작용의 4가지 하위 차원으로 측정하였고, 개인적 특성을 혁신성, 자기표현, 자기노출의 3가지 하위 차원으로 측정하였다. 더불어 자기표현과 자기노출이 사회적 현존감을 통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개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 동기의 오락/즐거움, 정보추구, 현실도피는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과 관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자 특성의 혁신성, 자기표현, 자기노출은 모두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구가설 1과 연구가설 2와 관련하여 자기표현과 자기노출 성향 모두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현존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대상 및 연구매체가 제한적이라는 한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의의를 지닌다. 우선 본 연구는 앞으로의 뉴미디어 동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실시간 동영상과 관련한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와 관련한 연구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연구를 확장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 동안의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다뤄졌던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이 SNS 실시간 동영상 이용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특징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새로운 뉴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하는 이용자들의 성향을 확인해 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 논의 뿐만 아니라 실무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 「탁류」의 여성 인물 연구 : 주인공 '초봉'을 중심으로

        예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311

        본 연구는 채만식의 장편 소설 「탁류」(1937.10~1938.5 조선일보)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탁류」의 주인공 ‘초봉’을 비롯한 여성인물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의 연구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왔던 초봉을 다면적인 측에서 다시 살펴보고, 연구 대상에서 소외되었던 여성인물들을 분석해 「탁류」의 새로운 해석지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식민지 자본주의를 배경으로 하는 「탁류」는 그 배경과 기법의 분석에서는 다양한 연구 성과가 있었으나 여성인물들을 다룬 연구는 그 대상이 초봉 에 집중되어 있고 그마저도 제한적으로 해석되어 왔다. 「탁류」는 주인공을 포함한 여성 인물들의 비중이 큰 소설이기에, 여성인물들을 재해석하려는 시도는 「탁류」자체를 재해석하려는 시도와 같다. 따라서 주인공 초봉의 다양한 의미를 해석할 필요가 있으며, 해석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여성인물들도 분석이 필요하다. 2장에서는 초봉의 성격을 네 가지 측면에서 새롭게 분석해 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초봉을 수동적 여성, 가부장제의 피해자, 가련한 여성 등으로 해석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초봉이 단순히 ‘약자’로서의 여성이 아니며, 그녀의 행위와 선택에는 ‘주체’로서의 의식적·무의식적 욕망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혀 보고자 한다. (1)절에서는 초봉의 효심과 가족들에 대한 책임감을 ‘효녀 이데올로기’로 규정하고, 초봉이 어떻게 ‘효녀 이데올로기’의 타자로 움직이는가를 살펴본다. 초봉의 행동의 근거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효심과 책임감인데, 그녀는 자신이 ‘효녀’가 된다는 것에 자아도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2)절에서는 초봉이 남성인물들과 맺는 결혼생활 및 동거생활에서 보여주는 근대적 현모양처의 모습에 주목한다. 가정이라는 공간 안에서 초봉이 가지고 싶어 하는 역할은 그녀의 기호가 반영된 유일한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3)절에서는 초봉이 남성인물들과의 관계를 거듭하면서 자신의 몸이 교환가치를 지닌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세 명의 남자들과 관계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초봉은 생활 방편으로써 남자들을 받아들이게 되고 결국 초봉은 자신이 교환가치를 지녔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4)절은 초봉의 내면에서 작용하는 무의식적 기제를 분석한다. 초봉은 자신의 존재가치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생성하며 자신의 욕망에서 배제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인물이다. 그녀는 자신에게 향한 타인의 욕망을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는 동시에, 표면적인 조건들로 자신의 선택을 합리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초봉이 가지는 위의 4가지 면모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면모 뿐 아니라, 내면의 기제를 함께 해석할 때 초봉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 3장에서는 초봉을 둘러싼 여성인물들의 분석을 시도한다. 초봉의 여동생인 ‘계봉’으로부터 싸전집 안주인 ‘김씨’, 기생 ‘행화’ 와 박제호의 부인 ‘윤희’ 등 각각의 개성을 가진 여성인물들을 분석한다. 여성인물들의 분석은 ‘초봉의 결여와 과잉’이라는 시각으로 접근하는데, 여성인물들의 성격과 행동방식, 가치관이 ‘초봉’에게 결핍된 부분이거나 과잉된 부분이라는 점에 착안하였다. (1)절에서 초봉에게 결핍된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성격을 가지는 인물로 계봉을 분석한다. (2)절에서는 성적 욕망의 차원에서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초봉과는 반대로 성적 욕망을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김씨를 살펴본다. (3)절에서는 계봉과는 또 다른 주체성을 가진 기생 행화를 살펴보는데, 그녀는 초봉이 은폐하고 있는 ‘성’의 교환가치를 정확히 인식하고 있으며, 낭만적 연애에 관한 환상과 욕망을 여지없이 폭로하는 냉철한 화류계 여성으로 그려지고 있다. (4)절에서는 윤희가 보여주는 히스테리가 초봉에게 전이되는 양상을 살펴본다. 초봉에게 히스테리는 표현의 방법으로 나타나는 모습을 보이지만, 점차 과잉되는 표현은 극단적인 결과를 불러온다. 본 연구는 「탁류」의 여주인공 초봉의 다면적인 성격과 다른 주변 여성인물들의 새로운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작가 채만식이 「탁류」에서 그려내고자 했던 당시 여성의 모습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초봉을 비롯한 여성인물들의 형상화를 통해 우리는 당시 여성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채만식이 그려내고자 했던 「탁류」의 진정한 의미를 재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ed to analysis of female figures of Chae Man Sik’s long novel 「Takryu」(1937.10~1938.5 Chosunilbo) including heroine ‘Chobong’ and others. The study examined Chobong, who was interpreted limitedly in studies, from multi-facial aspects and analyzed female figures to suggest a new interpretation point of 「Takryu」. There are diverse studies on analysis of 「Takryu」 in its background and method with colonial capitalism as its background. The studies on female figures used to focus on Chobong and even such as restrictedly interpreted. As 「Takryu」 is a novel that has high gravity of female figures, it is an attempt of reinterpretation of 「Takryu」.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various meanings of Chobong and to analyze alienated female figures. Chapter 2 attempt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Chobong from 4 aspects. While existing studies interpreted Chobong as passive woman, victim of paternalism and pitiful woman, this study examined that Chobong is not a simple ‘weak’ woman, but has conscious and unconscious desire as ‘subject’ in her behavior and selection. Clause (1) defined her filial duty and responsibility for family as ‘filial daughter ideology’ and examined how Chobong moved others using such ‘filial daughter ideology’. The apparent point of basis of Chobong’s behavior is filial duty and responsibility. She seems to have narcissism to be a filial daughter. Clause (2) focused on her modern feature of good wife and wise mother in her marriage life and cohabitation with men. In the space of family, the role of Chobong has a meaning of unique one reflecting her preference. Chapter (3) focused on her awareness that her body could have exchange value while she repeated relations with male figures. In her intercourse with 3 men, she accepted men as a means of living, and recognized herself to have exchange value. Chapter (4) analyzed Chobong’s unconscious mechanism that works inside. She does not recognize that her existence value is created in relation with others and excluded in her desire. While she accepted desire of others toward her unconsciously, she showed rationalization of her selection with ostentatious conditions. The above 4 features of Chobong are systematically interconnected. Therefore, if internal mechanism as well as ostentatious features is interpreted together, she could be fully understood. Chapter 3 attempted to analyze female features around Chobong. It includes ‘Gyebong’ ‘Chobong’’s younger sister, ‘Mrs Kim’ the owner of Ssajeon shop, ‘Haenghwa’, a geisha, ‘Yoonhee’ wife of Park Je Ho. Analysis of female features has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deficiency and excess of Chobong, which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ose women’s characteristics, behavior method and value system were deficiency or excess part of Chobong. Clause (1) analyzed Gyebong as a woman who has subjective and independent woman which was lack of Chobong. Clause (2) examined Mrs. Kim, who expresses sexual desire actively different from Chobong who reacts passively. Clause (3) examined Haenghwa, a geisha who as subjectivity which is different from Gyegong. She accurately recognized exchange value of ‘sex’ which Chobong concealed and she is a woman in entertainment industry that exposed fantasy and desire of romantic love of ‘Taesu’. Clause (4) showed the transfer of hysteria of Yoonhee to Chobong. To Chobong, hysteria is a kind of expression, but its excess caused extreme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multi-facial features of ‘Chobong’, a heroine of 「Takryu」 and to analyze surrounding female figures in a novel way in order to figure out their features more specifically, which Chae Mansik described in 「Takryu」. Through embodiment of Chobong and female figures, we could discover various features of life of the time and could rediscover authentic meaning of 「Takryu」 which Chae Man Sik attempted to descri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