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향피리의 기초 교육을 위한 연주법 고찰 : 청 변화에 따른 민요곡을 중심으로

        이영란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Study of Technic for grounding of Hyangpiri - Focusing on folk song with audible sounds - Lee, Young Ran Major 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un, Jung-Il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because folk songs in music textbook of middle school are more various and number of folk songs are more. However, students in middle school have difficulty in performance of folk songs, as the music textbook concentrates on singing. Folk songs can usually be changed from followings as region, situation, singer, and solo or chorus. Also, the audible sounds must be cautious due to various sounds to sing with instrument accompani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d research the music book in relation with Hyangpiri technic. First of all, this study starts to classify music and grasp frequencies about music textbook in middle school. Second, songs which have many frequencies will compare and considerate with audible songs of Hyangpiri. Finally, these songs will be supplemented and arranged as available music using in practic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This study emphasizes importance of audible sounds which focused by characteristic of music essence in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folk songs should be accepted from music equipped the base through educational utility of technic for grounding of Hyangpiri. 국문초록 이영란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문정일 현행 제8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민요곡의 내용이 보다 다양화 되고 그 제재 곡의 수도 많아지면서 국악교육의 중요성은 한층 강조, 확대되고 있으나 음악교과서에 수록 제시된 민요곡의 악보들은 노래 부르기 중심의 표준적인 악보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민요곡을 악기로 연주함에 있어 그 어려움이 따른다. 일반적으로 민요곡들은 음고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역, 상황, 혹은 창자에 따라, 그리고 독창인지 제창인지에 따라 유동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더욱이 악기 반주와 함께 민요곡을 부르기 위해서는 각 악기의 특성에 청을 달리해야 하기 때문에 한정적인 청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노래 부르기 중심으로 수록된 음악교과서의 악보를 향피리 연주법과 연계하여 연구, 정리하고 그 악보를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우선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요를 악곡별로 구분하여 그 출현 빈도를 파악하고 그 횟수가 많은 곡을 선곡하여 향피리 청과 연계하여 그 연주법을 비교 고찰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악보로 보완 정리 하고자 한다. 우리 음악의 음악적 해석에 있어 음악의 특징적 본질을 가장 선명하게 나타내 주는 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따른 향피리 연주법의 교육적 활용을 통하여 기초부터 제대로 된 우리 음악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청에 대한 중요성을 알고 청에 따른 알맞은 피리연주법을 활용하여 향피리를 연습하는데 더 쉽게 다가가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되기를 기대 한다.

      • 세라믹 자가 결찰 브라켓의 슬롯과 교정용 와이어의 크기 정확도에 관한 관찰

        이영란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요약 세라믹 자가 결찰 브라켓의 슬롯과 교정용 와이어의 크기 정확도에 관한 관찰 (An evaluation of dimensional accuracy in orthodontic ceramic self-ligating brackets and orthodontic wires)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치과교정학과 이영란 본 연구의 목적은 투명 자가 결찰 브라켓을 그 대상으로 하여, 브라켓 슬롯 내부의 dimension이 제조사가 제시한 값과 일치하는 정도를 평가하고, 슬롯의 형태가 parallel한지, convergent한지 또는 divergent한지를 그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4종의 투명 자가 결찰 브라켓 (Empower Clear, Damon Clear, Clippy-C 및 Clarity-SL)을 실체현미경 (SMU-Z, Nikon, Tokyo, Japan)으로 50 배 관찰하여 브라켓 슬롯 크기와 각도를 측정하였다. 교정용 각형 호선(.016 × .022 TMA, .016 × .022 SS, .019 × .025 SS)은 posterior 10 mm 부위를 절단하여 단면의 크기를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각형 호선의 폭 (width), 높이 (height) 및 각 모서리의 곡률 (radius)을 측정하였다. 브라켓 슬롯의 크기는 제조사에서 제시한 0.022 inch와 0.018 inch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mm’ 단위로 환산했을 때는 .022-in 슬롯의 경우에 Empower Clear 브라켓이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고, Clarity SL 브라켓이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 (p < 0.05). .018-in 슬롯의 경우에는 Empower Clear 브라켓이 유의하게 큰 값을, Clippy-C 브라켓이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 (p < 0.05). 브라켓 슬롯의 형태는 모두 divergent한 형태를 보였다. 교정용 각형 호선도 제조사가 제시한 값을 ‘inch’ 단위로는 만족시켰으나, ‘mm’ 단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 각형 호선의 곡률 차이와 ‘mm’ 체계에서의 차이는 .016 × .022 inch 호선이 .022-in 슬롯 브라켓에 삽입되어 생성할 twist angle을 수식적으로 계산할 경우 28.88°에서 48.42°까지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단어 : 투명 자가-결찰 브라켓, 슬롯 크기와 형태, 교정용 호선 크기, twist angle Abstract An evaluation of dimensional accuracy in orthodontic ceramic self-ligating brackets and orthodontic wires Youngran Lee, D.D.S Department of Orthodontic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Kore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Dong-Yul Lee, D.D.S, M.S.D, Ph.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mensional accuracy of slot width and archwires, and to determine if the walls of the slots were parallel. Four different ceramic self-ligating brackets (Empower Clear, Damon Clear, Clippy-C and Clarity-SL) were analyzed using a stereomicroscope (SMU-Z, Nikon, Tokyo, Japan). Slot width and angle, dimension of archwires were measured. The orthodontic wires ( .016 × .022 TMA, .016 × .022 SS, .019 × .025 SS) were cut in posterior 10 mm, and cross-section of wire was analyzed using a stereomicroscope. Dimensions (height and width) and radius of corners were measured. Slot widths of all brackets coincided with the manufacturers' presented dimensions in inch system.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ot widths when they were measured in ‘mm’ system (p < 0.05). In .022-in slot brackets, Empower had the widest slot and Clarity SL showed the narrowest slot width. In .018-in slot brackets, Empower had the widest slot width and Clippy-C showed the narrowest slot. All bracket slots showed divergent form. The height and width of all archwires also coincided with presented dimensions in ‘inch’ system,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m’ system(p < 0.05). As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radius of corners in archwires and the differences of slot widths and wire dimensions in mm system, the theoretical twist angle was varied from 28.88° to 48.42°, even though the same size of .016 × .022 wires were inserted to the various .022-in slot brackets. Key words : ceramic self-ligating bracket, slot width and profile, dimension of archwires, twist angle

      • 농산물생산이력제 시행에 따른 주부들의 의식에 관한 연구 : 이영란

        이영란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system, and necess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and surveyed and analyzed housewives' awareness, preference, satisfaction, and needs in regards to the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for the housewives' awareness and intention to purchase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113 out of 204 responded that they have heard of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and 91 responded that they have not heard of it. Among 113 people who have heard of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95 have actually purchased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and 18 have never purchased any items. By age, over half of these housewives were 40 or older, and by occupation, those who had jobs were more aware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Also, among 91 people who have never heard of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and 18 who have never purchased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all responders except for four responders responded that they are planning to or intend to purchase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This tells us that housewives assume that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are generally safer than general farm produce. Second, among 95 housewives who have purchased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24.2% responded that they purchased the items at superstores, 23.2% at Nonghyup/Suhyup, 22.1% at farm produce/ environmentally-friendly farm produce distribution centers, 21.1% at traditional marketplaces, 7.4% at department stores, and 2.1% at other distributors. This tells us that most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are distributed through superstores and farm produce/environmentally -friendly farm produce distribution centers that have organic farm produce sections, rather than general farm markets. Third, housewives who have purchased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listed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as: safety > appearance > place of origin > environmentally-friendly certificate > taste > price > producer > name. In value, each element recorded 4.73, 4.64, 4.54, 4.49, and 4.41. Most purchasers were influenced by the safety of items, but price or name of items were not very influential. Housewives who have purchased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were satisfied by the appearance (color and freshness) of items at 3.94, safety at 3.82, environmentally-friendly certificate at 3.79, taste at 3.73, and price at 3.57. This tells us that purchasers were relatively satisfied by the color and freshness or safety of items, but were not satisfied by the price as environmentally-friendly items are more expensive than general items. Fourth, when asked what they want to know about the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most housewives (4.55) responded that they want to know about the overall quality of items through taste, weight, and class. Other information they wanted included types of chemicals and fertilizers used (4.44) and frequency of their usage (4.35), and the obtain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certificate (4.33). This tells us that housewives want to determine whether organic items are actually safer. Fifth, housewives were positive about the int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before it was introduced. Most housewives did not know what exactly the Farm Produce Recording System is, but 95% of them responded that safe farm produce must be introduced (51%) or needs to be introduced (44%). Sixth, in relation to the intention to purchase agricultural products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from now on, There was a report that classifies housewives who have ever purchased the agricultural items into those who have never purchased them. The report showed that on the housewives who have ever purchased the items, 17.9% of them said "sure", 58.9% indicated "yes", 22.1% pointed out "not sure" and 1.1% said "nev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housewives who have never purchased them, 95.6% said "positive" and therefore more housekeepers are likely to buy the items. 59.3% of the motivations to buy them said "for their family members' health" and 26.4% indicated "safer than common or imported products". Considerations for health or safety were quite large. As above, they thought that health and safet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ddition, even 9.9% of them were attracted by curiosity to purchase the items. As shown in this study, housewives were positive about the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and 98.9% of them responded that they believe that items guaranteed by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are very trustworthy (21.1%), trustworthy (58.9%), or somewhat trustworthy (18.9%). However, we must also pay attention to the 1.1% who were negative about the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 System. We must consider the convenience of identifying information as well as reliability and accuracy of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the Agricultural Production-TraceabilitySystem more appealing to the housewives, the end users. In addition, we need an accredited certifier of information.

      • 가격 정보의 시간적 분리 프레이밍 효과에 있어서 시간 분리 수준의 역할

        이영란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Many researches indicate that decisions can be affected by how the messages are framed. Prior researches on prospect theory and mental accounting showed that consumers prefer integration of small costs into one large bundled cost over paying them separately. By contrast, "Pennies-a-Day(PAD)" strategy (temporal reframing of a large one-time expense into a series of small ongoing expense) can be more effective than aggregate framing in increasing transaction compliance. This paper builds on this research and explores the robustness of the phenomenon across two dimensions - (1) the level of temporal aggregation and (2) the dollar magnitude of the transaction.

      • 임상사례 관리가 뇌경색 환자의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

        이영란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2008년에 실시한 임상사례관리를 통해 사례관리 전(2007년)과 사례관리 후(2009년, 2010년) 뇌경색 환자의 특성과 재활의학과 전과 시기, 재원일수, 퇴원계획 상담 만족도 등을 비교함으로써 임상사례관리가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지역 종합병원의 임상사례관리를 실시한 2008년을 전․후하여 임상사례관리 전 2007년과 임상사례관리 후 2009, 2010년 11, 12월에 입원한 뇌경색환자(스텐트 삽입 25명, 보존적 치료 25명)50명씩 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4월 1일부터 2011년 4월 15일까지 전화설문, 의무기록, 원무 자료를 토대로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은 사회인구학적인 특성 1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질병관련 특성에는 환자의 질병과 관련되어 제공되고 있는 의학적 치료서비스와 전과, 스텐트 삽입 등에 관한 1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입원 특성과 관련해서는 퇴원 후 남은 치료방법, 퇴원계획에 대한 상담 등의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례관리 시행 전 입원일수는 평균25.54±28.99일에서 사례관리 시행 후 에는 18.19±16.27일로 입원기간이 줄어들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1.987, p=.049). 퇴원계획 상담자들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 비교결과, 사례관리 시행 전(2.45±0.60)에 비해 사례관리 시행 후 (3.22±0.83)에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t=3.915, p<.001)를 보였으며 상담 대상자에 따라 임상사례관리자로부터 상담을 받은 환자들(3.77±0.43)이 가장 높고, 간호사(2.60±0.55), 주치의(2.50±0.67) 순으로 도움을 받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42.707, p<.001). 이에 대한 사후 검정결과 임상사례관리자로부터 상담을 받은 환자들이 간호사나 주치의로부터 상담을 받은 환자에 비해 퇴원계획에 대한 상담이 도움이 많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전과를 한 환자의 전과 권유는 사례관리 시행 전 모두 환자, 보호자요구에 의해 전과되었으나 사례관리 시행 후 의료진의 요구에 의하여 전과된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χ2=19.048, p=.001). 입원기간 중 연하검사 여부는 사례관리 시행 전 6.0%에서 사례관리 시행 후 19.0%가 연하검사를 한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χ2= 4.501, p=.034) 사례관리 시행 후 연하검사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 위관 튜브 제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사례관리시행 전 25%제거에서 사례관리 시행 후 55.0%가 제거한 것으로 나타나 비율이 높게 증가하였다. 3. 신경외과에서 재활의학과로 전과는 사례관리 시행 전 8.0%에서 사례관리시행 후 21.0%가 전과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χ2=4.056, p=.044). 전과 시기는 사례관리 시행 전에는 입원 후 10-20일 미만에 변경한 환자들은 25.0%에 불과 하였고 20-30일 미만에 전과한 환자들이 50.0%로 많았다. 그러나 사례관리 시행 후에는 81.0%의 대부분의 환자들이 입원 후 10-20일 안에 전과 한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χ2=8.052, p=.018)전과 시기가 빨라졌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뇌경색 입원환자의 질병관련특성과 입원관련효과 분석결과 임상사례관리자를 통해 뇌경색 환자의 조기 퇴원을 위한 퇴원계획 상담 및 관리는 재원일수 단축 및 뇌경색 환자의 조기재활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변화에 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임상사례관리자에 대한 임상 진료과와 지원부서의 유기적인 관계개선, 역할에 대한 긍정적 검토 및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여가제약, 여가제약 협상전략에 관한 연구

        이영란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캠핑지 환경 선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 캠핑참여시 느끼는 여가제약과 여가제약 협상전략 요인을 밝힘으로써 여가제약과 여가제약 협상전략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을 위해 서울 근교의 3개의 캠핑장의 총 280명의 캠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확보된 250부의 유효 설문지를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캠퍼의 유형을 일반적 캠퍼, 활동적 캠퍼, 헌신적 캠퍼로 구분하여 일반적 캠퍼에서 헌신적 캠퍼로 갈수록 전문화 수준이 높다고 명명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총 4개의 연구가설을 제시하였고,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ver.1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와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캠핑객들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캠핑지 선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대빈도와 관찰빈도를 나누고 χ2검정을 실시하였다. 전문화 수준별 여가제약과 여가제약 협상전략 요인과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행하였고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별로 여가제약과 여가제약 협상전략의 관계를 규명하기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캠핑장 환경 선호는 전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미개발 캠핑장을 선호하였다. 둘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여가제약요인으로 집단간 차이 없이 구조적 제약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문화 수준별 제약 인식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적게 나타났다. 셋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여가제약 협상전략에 대한 분석결과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협상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여가제약, 여가제약 협상전략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한정적으로 이루어졌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대한 연구를 캠핑 활동으로 넓혔으며 캠퍼들이 갖고 있는 여가제약과 협상전략의 요인을 밝힘으로서 캠핑 참여 기회를 확대를 시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캠핑객의 욕구에 따른 시장 세분화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level of recreational specialization to preference for campsite environments, leisure constraints toward camping and leisure-constraints negotiation strategies in a bi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constraints negotiation strateg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0 campers at three different campsites around Seoul,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o make an experimental analysis. The analyzable answer sheets from 250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Three types of campers were selected: general campers, active campers and dedicated campers. And it's assumed that dedicated campers would be most specialized, followed by active campers and general campers. And then four hypotheses were formulated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5.0 was employed to verify the hypotheses. 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tilized, and a factor analysis was made to check reliability and validity. To see whether the specialization level of the campe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ampsite choice, x2-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expected frequencies and observed frequencies,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ir level of specialization was linked to their leisure constraints, leisure-constraints negotiation strategies and awareness. In addit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constraints negotiation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recreational specializ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links betwee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nd preference for campsite environments, those who were more specialized had a bigger liking for undeveloped campsites. Secon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nd leisure constraints, structural constraints were most rampant in every group. Regarding the connections between the level of specialization and awareness of leisure constraints, the respondents who were more specialized were less aware of leisure constraints. Third, as to the links betwee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nd leisure-constraints negotiation strategies, there were gaps among the campers in negotiation strategies, and those who were more specialized put the negotiation strategies to more use. Fourth,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recreational specialization to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constraints negotiation strategies, the former had a partial correlation to the latter.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enlarge the limited scope of recreational specialization research into camping activities and to provide more camping chances for campers by exploring their leisure constraints and negotiation strategies. In the future, market segmentation is require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campers in order to step up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amping activities.

      • 조직문화 인식이 심리적 자활력에 미치는 영향 : 카지노기업을 중심으로

        이영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a purpose to verify a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as antecedents to influenc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focusing on workers of casino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set a research issue that is how each of clan culture, adhocracy culture, market culture, and hierarchy culture that the workers perceive influences psychological empowerment, so that it reviewed empirically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This study chose four domestic casino companies that are run only for foreigners as objectives. Using an offline survey, it analyzed contents of the final 249 surveys. This study set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clan culture that emphasizes cooperation, adhocracy culture that highlights creativity and change, market culture that underlines competition and goals, and hierarchy culture that focuses on control and stability. This study verified compatibility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is study set dependent variables with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such as a sense of meaning, a sense of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s. This study set control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duty, rank, and corporate forms. As a method to investigate, this study used a multi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s both of the clan culture and adhocracy culture gives significant effects to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including sense of meaning, a sense of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s. Second, it found that the market culture only influence significantly a sense of competence of the empowerment and the hierarchy culture gives significant effects to a sense of meaning, a sense of competence, and impacts among categories of the empowerment. Third, amo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duty, rank, and corporate forms, this study found that gender could influence significantly self-determination and impacts, so that this study found that men perceived that they have the more self-determination in works and it is more possible to deal with works under their self-control than women. As the duty could give significant effects to the self-determination, indeed this study found that members of a sales team perceived that they have the higher self-determination in works than members of an operations team. As the duty showed significant effects to a sense of competence, the higher the ranks become the more people showed confidence and belief to deal with their works very well. In conclusion, the organizational cultures that members of an organization perceive could influence significantly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so that this study found that the empowerment of members could be the most active in flexible culture that emphasizes teamwork, consideration, cooperation, diversity, and change. 본 연구는 카지노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활력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서 조직문화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지노기업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관계지향문화, 변화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가 각각 심리적 자활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조직문화와 심리적 자활력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 4개사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최종 249명의 설문 내용을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조직문화로 협력을 강조하는 관계지향문화, 창의와 변화를 중요시하는 변화지향문화, 경쟁과 목표달성을 중요시하는 과업지향문화, 통제와 안정을 중요시하는 위계지향문화를 설정하였고,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종속변수는 심리적 자활력(empowerment)으로 의미성, 역량감, 자기 결정성, 영향성을 설정하였고, 통제변수로는 성별, 학력, 직무, 직급, 기업형태를 포함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직문화 유형 중 관계지향문화와 변화지향문화는 자활력의 의미성, 역량감, 자기결정성, 영향성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업지향문화는 자활력의 역량감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계지향문화는 자활력의 의미성, 역량감, 영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 및 조직 특성의 성별, 학력, 직무, 직급, 기업형태 중 성별은 자활력의 자기결정성, 영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업무에 있어 자기결정권이 있고, 자기 통제 하에 업무 처리가 가능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는 자기결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는데, 즉 세일즈팀의 구성원이 오퍼레이션팀의 구성원보다 업무상 자기결정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직급은 역량감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어 직급이 높아질수록 일을 잘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 신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문화는 심리적 자활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팀웍, 배려, 협력을 중요시하는 문화와 다양성, 창의성, 변화를 중요시하는 문화, 즉 유연한 문화 속에서 조직구성원들의 자활력이 가장 활성화되는 것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