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파품종에 따른 주요성분 분석 및 항산화활성 평가

        엄지 전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87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육종된 국산 양파(황색-맵시황ㆍ신선황ㆍ연신황ㆍ영보황ㆍ영풍황; 적색-엄지나라; 연녹색-스위트그린)를 대상으로 일반 형질, 플라보노이드 함량, 주요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수입산 양파(황색-선파워, 적색-천주적)와 비교ㆍ검토하고자 하였다. 양파 9품종의 주요 플라보노이드는 quercetin 4'-O-β-D-glucopyranoside (Q4'G)와 quercetin 3,4'-O-β-D-diglucopyranoside (Q3,4'G)였다. 색에 따른 Q4'G와 Q3,4'G의 함량은 황색양파에서 수입품종 선파워에 비해 국산품종 영보황이 가장 높았고, 적색양파에서 수입품종 천주적과 국산품종 엄지나라는 비슷한 수치였다. 연녹색양파인 스위트그린은 적색양파보다는 낮지만 황색양파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주요 기능성 성분 분석 결과, 총 페놀성 화합물과 flavonoid 함량은 황색양파에서 수입품종 선파워 대비 국산품종 영보황이 가장 높았고, 적색양파에서 수입품종 천주적과 국산품종 엄지나라는 비슷한 함량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연녹색양파인 스위트그린은 황색양파보다 높고 적색양파보다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총 anthocyan의 함량은 적색양파인 수입품종 천주적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매운 맛의 지표인 총 pyruvic acid 함량은 엄지나라가 가장 높았고 맵시황이 가장 낮았다. 반면, 단맛의 지표가 되는 총 당 함량은 선파워가 가장 높았고 엄지나라가 가장 낮았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황색양파에서 신선황이, 적색 양파에서 천주적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품종에서 유사한 활성으로 품종간의 차이는 없었고, 환원력은 적색양파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수입품종 천주적의 활성이 더 높았다. 황색 및 연녹색양파에서는 모두 유사한 환원력을 나타냈다.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적색양파 천주적과 엄지나라가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황색양파에서는 선파워에 비해 신선황이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연녹색양파 스위트그린은 황색양파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양파 9품종들 간에는 색에 따른 함량의 차이가 확인되었고, 주요 성분 함량에 있어 적색양파가 우수하였다. 또한 색깔별로 비교한 결과, 황색양파의 경우 국산 품종인 영보황이 수입품종인 선파워에 비해 주요 성분 함량이 높아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적색양파인 엄지나라의 경우 수입품종인 천주적에 비해 다소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산 양파의 성분학적 분석 및 항산화 활성을 과학적이며 구체적으로 제시한 매우 중요한 결과로써 국산 양파의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In 9 onion (Allium cepa L) cultivars, 2 phenolic acids [3,4-dihydroxy benzoic acid (1), 4-hydroxy-3-methoxy benzoic acid (2)], and 6 flavonoids [quercetin 4'-O-β-D-glucopyranoside (3), isorhamnetin 3-O-β-D-glucopyranoside (4), quercetin 3-O-β-D-glucopyranoside (5), quercetin (6), quercetin 3,7-O-β-D-diglucopyranoside (7), quercetin 3,4'-O-β-D-diglucopyranoside (8)] were quantitate using HPLC. In addition, the compounds of total peholics, total flavonoids, thiosulfinate, pyruvic acid, sugar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mpared among nine different onion cultivars. The contents of compounds 1-8 in onion cultivars were varied from 0.01 to 53.97 mg/ 100 g fresh wt.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in onion cultivars showed 675.31 and 34.59 mg/100 g fresh wt, respectively. The average contents of thiosulfinate was 7.26 mg/100 g fresh wt. The contents of pyruvic acid and sugars were ranged from 54.68 to 82.26 mg/100 g, and from 6.5 to 8.3 g/100 g, respectively. ‘Cheonjujeok’ cultivar exhibited higher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those of other cultivars. Consequentially,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and utilization of onion cultivars.

      • 안젤라 카터의『피로 물든 방』에서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늑대의 의미

        이엄지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thesis is to examine Angela Carter's rewriting and deconstruction of old fairy tales and mythologies through The Bloody Chamber and Other Stories, which has discontinuous and contradictory narratives deconstructing traditional patriarchal ideology. By defamiliarizing and twisting existing stories, Carter successfully demythologizes existing patriarchal ideology as a universal value. Focusing on the "Wolf Trilogy," the thesis investigates such techniques as repetition, metamorphosis, and violation to deconstruct traditional narratives and stereotyped figures of fairy tales and myths. The techniques collapse the boundaries between the center and the margin, between good and evil, between human and animal, between reality and fiction, which have shaped patriarchal social and cognitive systems and consequently excluded the marginal. It is the aim of Carter’s writing to shake the basis, origin, and center, and reveal hidden and excluded beings. Carter suggests that the traditional image of the wolf, which has been typified as being cruel and greedy, is false and fictional, arguing such negative images of woolf has been imposed by patriarchal ideology. She creates a new and provocative image of wolf as a monster to ceaselessly metamorphose crossing the boundaries of species and gender. Carter's wolf refuses to be fixed and identified in hope to be a being of infinite meanings. The wolf does not merely stay in Carter’s text, but it moves to the reader. Carter assumes that the reader is a potential writer who participates in deconstructing such old ideology and creating new meanings. Above all Carter shows the possibility of intertexuality among writer, reader and wolf. Now, forming new meanings is always open to everyone and everything.

      • 브랜드 경험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 화장품 브랜드 M.A.C 스토어의 인터랙션 디자인 적용을 중심으로

        이엄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최근 변화하는 시장과 소비 흐름을 읽고, ‘브랜드 경험’ 구축의 필요성과, 스토어 내의 인터랙션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2009년 아태지역 인터넷 쇼핑 이용률 1위의 기염을 토해낸 명실상부한 IT 강국이다. 이는 소비자 구매 행동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그렇지만 여전히 오프라인 스토어의 중요성은 살아있다. 소비자의 구매 자체는 온라인 스토어에서 이루어지지만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이나 제품을 직접 경험하는 것은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이루어지는 비율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브랜드 홍수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은 인터넷의 발달로 과거 단순히 광고를 흡수하는 수동적 대상에서 벗어나, 제품 기능을 좀 더 면밀하게 따져보고, 스스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현명하고 능동적인 소비자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시장에서 기업이 자사 브랜드를 소비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마케팅 구조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따라서, 브랜딩 개념이 확장되고있다. 즉, 기업은 미래에 지속 가능한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서, 소비자가 브랜드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원시안적인 브랜딩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브랜딩 개념, 즉 ‘브랜드=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한 로고, 패키지, 인테리어를 통합한 개념보다, 폭넓은 개념인 ‘브랜드 경험’이 해결책을 제시할 것이다. 기존의 스토어가 소비자에게 자사의 제품만을 파는 1차원적 장소에 그쳤다면, 현재 스토어는 소비자에게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감각적인 곳으로 변화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례 연구로 화장품 브랜드인 M.A.C을 분석해보았다. 화장품은 ‘브랜딩’이 그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대표적인 제품군이기 때문이다. 화장품 브랜드 중 M.A.C은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어 브랜드 경험으로의 확장이 용이하여 본 연구에서 선택되었다. 그러나 M.A.C 스토어의 분석 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잘 반영되어 있으나, 제품의 직접 사용 외의 브랜드 경험 요소는 부족하다는 단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브랜드 경험’의 디자인적 접근을 통해, 스토어 내 인터랙션 디자인 적용이 해결책이라는 추측을 갖고 문헌 조사와 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디어 발달로 일방적 주입이 아닌,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지금, 본 연구는 ‘브랜드 경험’을 이루고자, 인터랙션 속성을 필두로 한 즉각적이고 유희적이며,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디지털 인공물을 매체로 한,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을 제안한다.

      •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에서 陰虛辨證 및 심상유두 수 측정의 진단적 가치

        이엄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OBJECTIVES: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s of comprehensive diagnosis of Yin-deficiency and measurement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as the quantitative diagnostic indicators in burning mouth syndrome (BMS) by analyzing score of Yin-deficiency questionnaire (YDQ), visual analog scale (VAS) of tongue pain and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FP) in BMS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HC). METHODS: Seventy participants (35 BMS patients and 35 HC)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FP was measured on the anterior part of tongue within an area of 9 mm2 using a digital camera. The subjects were evaluated on their Yin-deficiency and Blood stasis conditions using YDQ and Blood stasis questionnaire (BSQ), respectively. Moreover, the severities of subjective tongue pain in BMS patients were assessed using VA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YDQ score, BSQ score, and the number of FP between two groups. However, only YDQ scor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AS score of tongue pain. While the number of F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MS group than HC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P YDQ and BSQ score. The number of FP in BMS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AS score of tongue pain. In the b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most strongly contribute to BMS was the number of FP. Age had the next strongest impact, while YDQ was the third. Optimal cut-off value of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was calculated as 5.5 with 71.4% sensitivity and 82.9% specificity. CONCLUSION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it is determined that comprehensive diagnosis of Yin-deficiency is more useful for diagnosis of BMS than Blood stasis. And independently from YDQ, the measurement of the number of FP could be a valuable evaluation indicator of BMS.

      • 종단연구에서 결측이 IRT 수직척도의 양호도에 미치는 영향

        이엄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In longitudinal studies,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student’s growth and development, a set of new test is constructed every year based on the curriculum corresponding to each grade level. If a different item is tested every year, the test scores will be located on different scales, therefore vertical scaling is needed to convert and compare the scores on different scales into a single scale. In the case of tests conducted with large samples, such as longitudinal studies, ‘missing data’, which means no response values exist, frequently occur. When analyzing tests that contain missing data, various problems arises, such as affecting statistical validity if the missing values are handled indiscriminately. Accordingly,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issing values, such as missing mechanism or missing ratio, in a single test situation which has small samples, then applied the missing data treatmen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ssing data and missing data treatment on the test stud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missing data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search results. Nevertheless,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between missing data and the IRT vertical scale developed based on longitudinal data. Thus, this study tri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vertical scales developed by IRT method which has different condition of missing mechanism, missing ratio and missing data treatment that occurred in large-scale examination situation such as longitudinal data. In this study, constructed simulation study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Complete data from 4th to 6th grades were generated by common-items design and missing data wa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issing mechanism and missing ratio conditions. Then, four missing data treatments(BN, IN, INNP, NP) were applied to the missing data and vertical scale was developed using 4th grade as the base-scale by the separation calibration using 3PL and Stocking-Lord transformation method.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vertical scale developed by each condition, the and of the proficiency score distribution mean and the proficiency score distribution standard deviation(SD) were calculated and used as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missing mechanism was Missing Completely At Random(MCAR), both and of the proficiency score distribution mean and SD were calculated to be small, which indicates that the effect on the vertical scale was relatively small. Second, the smaller the missing ratio of the test, the smaller the and of the proficiency score distribution mean and SD are calculated. Third, among the four missing data treatment applied in this study, the and of the proficiency score distribution mean and SD are calculated smallest when using the INNP method. Conversely, when the IN method was applied, the and of the proficiency score distribution mean and SD are calculated largest. That is, when the INNP method was used, the error was smallest, indicating that the quality of IRT vertical scal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methods. In conclusion, differences in the missing mechanism, missing ratio and missing data treatment in longitudinal data affect the quality of the vertical scale developed by the IRT method. Therefore, when missing data occurs in a large-scale test such as longitudinal studies, it should b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missing mechanism and the missing ratio,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ssing data. It is necessary to apply an appropriate missing data treatment by refelecting the charateristics of missing data. 종단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매년 각 학년에 해당하는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검사를 새로 구성한다. 매년 다른 문항의 검사를 치르면 검사 점수들이 서로 다른 척도에 위치하게 되므로 다른 척도에 위치한 점수들을 하나의 척도로 변환하여 비교하는 수직척도화(vertical scaling) 작업이 필요하다. 종단연구와 같이 대규모 표본으로 진행되는 검사의 경우 응답값이 존재하지 않는 무응답인‘결측값’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결측값이 포함된 검사를 분석할 때, 결측값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분석할 경우 통계적 타당도 영향을 미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단일검사 상황에서 결측값의 기제나 결측값이 검사에서 차지하는 비율과 같은 결측값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결측대응법을 적용하여 결측값의 특성과 결측대응법이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결측값은 연구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종단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된 IRT 수직척도와 결측값을 연계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종단자료와 같이 대규모 표본이 필요한 상황에서 발생한 결측값의 결측기제, 결측비율, 결측대응법에 따라 IRT 방법으로 개발한 수직척도가 양호도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모의실험 상황을 구성하여 공통문항 설계로 4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완전자료를 생성한 뒤 결측기제와 결측비율의 조건에 따라 결측자료를 생성하였다. 조건에 따라 생성된 결측자료에 네 가지 결측대응법(BN, IN, INNP, NP)을 적용한 다음 IRT 방법으로 수직척도를 개발하였다. 3모수 로지스틱 모형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리추정 방법과 Stocking-Lord 방법을 통해 4학년을 기준척도로 하는 3개 학년의 수직척도를 개발하였다. 조건별로 개발된 수직척도의 평가하기 위해 각 학년별 능력추정값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와 값을 산출하여 이를 평가지표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측값의 결측기제가 완전임의결측(MCAR) 기제일 때, 능력추정값 평균과 표준편차의 와 값이 작게 산출되어 상대적으로 수직척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측값이 검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질수록 능력추정값 평균과 표준편차의 와 값도 작게 산출되어, 결측값이 적게 발생할수록 수직척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어져 수직척도가 비교적 양호하게 개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결측값에 본 연구에서 적용한 네 가지 결측대응법 중 INNP 방법을 적용했을 때 능력추정값 평균과 표준편차의 와 값이 가장 작게 산출되었으며 반대로 IN 방법을 적용한 경우 능력추정값 평균과 표준편차의 와 값이 가장 크게 산출되었다. 따라서 INNP 방법을 사용하면 수직척도 개발에 따라 발생한 오차 및 추정의 오차가 비교적 적게 발생해 다른 방법을 사용했을 때보다 수직척도의 양호도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종단자료에서 발생한 결측값의 결측기제, 결측비율, 결측대응법의 차이는 IRT 방법으로 개발한 수직척도의 양호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종단자료와 같은 대규모 검사에서 결측이 발생했을 때, 결측값의 특성인 결측기제와 결측비율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하며, 추정의 오차를 줄여 수직척도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분석한 결측값의 특성을 반영하여 적절한 결측대응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 무용전공여고생과 일반여고생의 라이프 스킬과 학교생활적응 관계

        이엄지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무용전공여고생과 일반여고생의 라이프 스킬과 학교생활적응 차이를 분석하고 라이프 스킬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있는 예술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의 여고생 59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를 배포, 작성, 회수하여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 v.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test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에 따른 라이프 스킬 및 학교생활적응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학교생활적응 유형에서 교사관계와 학교수업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라이프 스킬 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집단에 따른 라이프 스킬과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두 집단 모두 라이프 스킬과 학교생활적응 상관관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교생활 하위요인 중 교우관계와 학교 규칙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무용전공여고생의 라이프 스킬이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교사관계에는 개인적 기술과 의사소통기술, 교우관계에는 대인관계기술과 의사소통기술, 학교수업에는 개인적 기술, 학교규칙에는 개인적 기술과 의사소통기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여고생의 라이프 스킬이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교사관계에는 대인관계기술, 교우관계에는 대인관계기술, 학교수업에는 개인적 기술, 학교규칙에는 대인관계기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해 집단별 학교생활적응에는 차이가 있으며, 라이프 스킬이 학교생활적응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후속연구에는 대상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라이프 스킬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변인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difference in adaptation of school life between dance-major high school girls and non dance-major high school girl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mpact of life skill on adaptation of school life. For this research, distribution of survey was made to 592 dance-major and non dance-major high school girl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istributed survey questionnaire were later collected to execut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Program v. 12.0.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two groups on life skill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wo sub-categories ('teacher relationship' and 'school class') of adaptation of school life.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life skill was found. Second, from correlation analysis on life skill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both groups statistical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 two sub-categories of adaptation of school life('classmate relationship' and 'school policies'). Third,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effect of life skill on adaptation of school life of dance-major high school girls, study found that 'individual skill' and 'communication skill' affected 'teacher relationship',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and 'communication skill' affected 'classmate relationship', 'individual skill' affected 'school classes', 'individual skill' and 'communication skill' affected 'school policies'. Forth,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effect of life skill on adaptation of school life of non dance-major high school girls, study foun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affected 'teacher relationship', 'classmate relationship' and 'school policies', while 'individual skill' affected 'school class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daptation of school life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life skill had different effects on adaptation of school life. Further studies to develop programs that reenforce life skill that ensures enhancement on adaptation of school life is needed. In addition, incorporation of additional factors that have impact on both life skill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will crystallize the relationship.

      •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NICU 간호사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감, 의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

        이엄지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al model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for NICU nurs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control, and intention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ICP). The study subjects were 94 NICU nurses at three general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excluding nursing manag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direct nursing.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October 31 to November 30, 2022, and the SPSS/WIN 23.0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ze data.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in contents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ut of 7, NICU nurses' mean score of intention was 6.15±1.0, the mean score of subjective norms was 6.47±0.72 points, the mean score of perceived control was 5.73±1.02, and the intention was 5.9±0.83 points. Regarding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the mean score was 3.71±0.20 points out of 4. 2. The intentio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3 years' and '6-9 years' than in '3-6 years' and '>9 years' (F=3.57, p=.0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ICP score and recognition of NICU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t=2.15, p=.03). 3. The subjective norm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control (r=.404, p<.001), intention (r=.339, p=.001), and ICP (r=.272, p=.008). The perceived contro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norms (r=.404, p<.001), intention (r=.339, p=.001), and ICP (r=.272, p=.008). Also, the inten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bjective norms (r=.339, p=.001), perceived control (r=.484, p=.001), and ICP (r=.460, p<.001). The IC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bjective norms (r=.272, p=.008), perceived control (r=.425, p<.001), and intention (r=.460, p<.001). 4. The subjective norm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β=.334, p=.001) and ICP(β=.270, p=.008). There was mediationg effect of intention between subjective norms and ICP(z=2.818, p=.002). The intention and perceived control significantly affected ICP (β=.482 p<.001; β=.425 p<.00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ICP (z=3.303, p<0.001). Overall, the NICU nurses had better ICP scores when they were awar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norms, perceived control, intention, and ICP. Moreov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ICP, subjective norms and ICP. Therefore, to increase the ICP of NICU nurses, not only providing the information is needed, but also strategies for enhancing perceived control and subjective norms are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primary data for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the ICP of NICU nurses. 본 연구는 NICU 간호사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바탕으로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해,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3개 종합병원 NICU 간호사를 대상으로 본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며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10월 3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최종분석은 94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ICU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태도는 7점 만점에 평균 6.15±1.0점이었다. 감염관리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7점 만점에 평균 6.47±0.72점이었다. 지각된 통제감은 평균 5.73±1.02점이었고, 의도는 7점 만점에 평균 6.00±0.83점이었다. 수행도는 4점 만점에 평균 점수는 3.71±0.20점으로 나타났다. 문항별 수행도의 평균점수는 소독과 멸균 3.89±0.19점, 삽입기구관련지침 3.82±0.21점, 방문객관리 3.81±0.36점이었으며, 표준주의와 전파 경로별 지침은 3.80±0.25점, 수유 관련지침은 3.80±0.21점, 피부 및 배꼽관리 3.70±0.31점, 환경관리 3.68±039점, 시설관리 3.65±0.67점, 손위생이 3.62±0.32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NICU 감염관리에 대한 의도가 3년미만과 6년이상-9년미만이 3년이상-6년미만, 9년이상 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F=3.57, p=.02). NICU 감염관리 수행도는 NICU 감염관리 지침 인지 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15, p=.03). 셋째, 감염관리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지각된 통제감(r=.404, p<.001), 의도(r=.339, p=.001), 수행도(r=.272, p=.008)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통제감은 주관적 규범(r=.404, p<.001), 의도(r=.339, p=.001), 수행도(r=.272, p=.008)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는 주관적 규범(r=.339, p=.001), 지각된 통제감(r=.484, p=.001). 수행도(r=.460,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도는 주관적 규범(r=.272, p=.008), 지각된 통제감(r=.425, p<.001), 의도(r=.460, p<.001) 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NICU 감염관리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의도와(β=.334, p=.001) 수행도에(β=.270, p=.008)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규범과 수행도 사이의 의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818, p=.002). 지각된 통제감 또한 의도와(β=.482, p<.001) 감염관리 수행도에(β=.425,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통제감과 수행도 간에 의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3.303, p<0.01). 본 연구 결과, NICU 간호사가 감염관리 지침을 인지하고 있으면 수행도가 높았고, 감염관리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감, 의도와 수행도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면 주관적규범, 지각된 통제감과 감염관리 수행간의 사이에 의도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NICU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통제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NICU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의도와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서의 분위기와 관리자 및 동료들의 감염관리수행에 대한 독려와 NICU 감염관리 지침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을 개발할 때, 감염관리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에서 그치는것이 아니라, 지각된 통제감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물적 자원을 마련하는 것이 선행되고 양적인 인력 배치 뿐 아니라 숙련도가 있는 간호사들이 그만 두지 않도록 제도를 마련하여 적절한 인력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감염관리 지침을 수행하는데 방해되는 요소들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지각된 통제감의 증진 중재 전략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적용한다면 간호 실무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NICU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의도와 수행을 높이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적 관여가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유대감의 매개효과

        이엄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접근의 필요성에 따라 학령기 아동의 적응에 중요한 영향요인인 어머니의 관여와 자녀와의 유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그 영향 관계와 경로를 검증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적 관여가 자녀가 느끼는 어머니 유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결과적으로 자녀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거주 결혼이주여성 396명과 그들의 자녀(중학교 1 ,2학년) 396명을 조사한『경기교육복지패널』 3차년도(2013) 자료를 이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적 관여가 아동이 느끼는 어머니 유대감을 통하여 자녀의 학교 유대감 및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적 관여는 자녀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참여로서 교육적 관여의 중요성을 확인해주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해 가정 내에서 자녀가 어머니와 유대감을 가지고 상호작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결혼이주여성이 적극적으로 자녀양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마련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 및 유대감 형성을 지원하는 가족체계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mid an increasing attention to the school adjustment problems of school-ag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 growing necessity for more effective approaches and solu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educational involvement of mothers and the mother-child bonding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ir children's adjustment at school―and examines how these factors affect each other in what proces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involv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 maternal bond perceived by their children and its subsequent impact on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For this,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third-round survey of Gyeonggi Education Welfare Panel (2013) which involves 396 immigrant mothers in Korea and their 396 children―first/second-year middle school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ducational involvement of immigrant mother (an independent variable) leads to what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studies show that the educational involvement of immigrant mother have a direct impact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uch a result reaffirms how significant the educational involvement of immigrant mothers is for their child rearing; it is extremely important for immigrant mothers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with a strong bond at home and help them better adjust to their school life. These findings show that it is critical to develop measures that support a more active parenting role of immigrant mothers and a family-oriented approach to help multicultural families build a close-knit mother-child bond and interaction.

      • 태권도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인성요소 내면화과정 탐구

        엄지 서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nalization procedu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12 times of Taekwondo class and to seek the applicability of Taekwondo class to personality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one teacher, as a researcher, and 27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qualitative study. The data was then collected by categorizing and interpreting, utilizing pre-questionnaire, personal records, in-depth interviews and video analysis. During this process, there was an ongoing verification of the authenticity in the ethics and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internalization procedure of personal factor for elementary students through the Taekwondo class? The internalization procedure of personal factor for elementary students is a dynamic process accomplished by four stages - knowing mind, opening mind, hardening mind, filling mind. And what personal factor of Taekwondo means is that proposition toward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personal factor of Taekwondo, expanding spheric spectrum for applying personal factor of Taekwondo, conceptualizing the behavioral patterns of personal factor of Taekwondo, showing the practical representation of personal factor of Taekwondo everywhere. Second, what is a influence through the Taekwondo class on the internalization procedure of personal factor for elementary students? It was found that teaching techniques and students activities affected the internalization procedure of personal factor for elementary students. The teaching techniques mean how teacher showed Taekwondo to his/her students and teacher’s efforts to developing of specialization, workbooks, visual data, a variety of materials. If the conditions to develop personality are well prepared, the conten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conducted intentionally during the practice time, and the methods of practice of the teacher’s helping also took the role to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And the students activities are practice list, value discussion, teaching each others, evaluating each others, leading by example, behavioral judgement. According to the these results, the Taekwondo class can be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sports activity which influences internalization procedure of personal factor for elementary students greatly and an activity for the practice personality. The answers to how the Taekwondo class can influence the internalization procedure of personal factor for elementary students can be found in practice halls of Taekwondo class. It is found that the teaching techniques mean how teacher showed Taekwondo to his/her students, teacher’s efforts to developing of specialization, workbooks, visual data, a variety of materials. If the conditions to develop personality are well prepared, the conten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conducted intentionally during the practice time, and the methods of practice of the teacher’s helping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And the students activities are practice list, value discussion, teaching each others, evaluating each others, leading by example, behavioral judgement. Key words : internalization, personality, Taekwondo class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12차시 태권도 수업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의 인성요소 내면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으로서 태권도 수업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 본인과 본 연구자의 학급 학생 2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설문지, 반성일지, 심층면담, 비디오분석 등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범주화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 해석 과정에서 연구의 윤리성 및 진실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인성요소 내면화 과정은 어떠한가? 인성요소 내면화 과정은 ‘마음 알기 : 태권도 수업에 대한 잘못된 태도 - 마음 열기 : 태권도 수업에 대한 태도 변화 - 마음 다지기 : 지속적으로 태권도 수행하기 - 마음 채우기 : 태권도를 통한 인성의 내면화’의 과정을 거쳤다. 마음 알기 단계에서 학생들은 태권도에 대해 안 좋은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고 인성요소 개념을 협소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마음 열기 단계에서는 인성요소 개념을 더 넓고 정확하게 파악하게 되었다. 마음 다지기 단계에서는 변화된 인성요소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의식적으로 인성요소의 행동양식을 태권도 수업에서 실천하며 행동에 변화를 추구했지만 실천에 따른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반복적으로 실천하다보니 실천에 따른 보상의 기쁨을 느껴 태권도 수업시간에 인성요소의 행동양식을 몸으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음 채우기 단계에서는 지속적인 태권도 수업을 통해 태권도와 인성 수업에 대해 이미지가 개선되었으며, 인성요소의 행동양식을 생활 속 모든 곳에서 내적동기에 의해 실천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실제적이며 역동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각각의 인성요소 개념을 폭넓은 차원에서 제대로 이해하고 이해한 인성요소의 행동양식을 개념화하며, 생활 속 모든 곳에서 내적동기에 의해 인성요소를 실천함으로써 내면화에 이르게 됨을 보여 주었다. 초반에 학생들은 태권도와 인성수업에 거부감을 보였으며 인성요소에 대해서도 협소하게 개념을 파악하였다. 하지만 지속적인 태권도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인성요소의 구체적인 개념과 행동양식을 파악했으며, 이를 태권도 수업, 학교생활, 일상생활에서도 자발적으로 실천하게 되었다. 둘째, 태권도 수업이 인성요소 내면화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 크게 교사 지도 요인, 학생 활동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사 지도 요인으로는 초등교육과 태권도 지도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 교사의 직접적인 시범과 지도, 활동지 제공, 영상 자료를 포함한 다양한 자료의 활용, 인성 함양을 돕는 학습 분위기 조성 등이 영향을 미쳤다. 학생 활동 요인으로는 동료지도 · 동료평가와 같은 협력적 분위기를 통한 긍정적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생들은 모두 동료지도 방법이 인성요소 내면화과정에 가장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서로를 가르치며 배우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났고 이는 수업에 대한 재미와 자신감을 가져왔으며, 예의, 배려, 인내, 협동을 실천할 수 있는 장이 되어 각 인성요소를 내면화하는 데 큰 계기가 되었다. 다음으로 반성일지 작성, 활동영상보기, 가치토론과 같이 지속적인 반성적 활동이 영향을 미쳤다. 반성일지를 작성하고 활동영상을 보며 친구들과 토론하는 활동을 통해, 타인의 생각과 행동을 이해하고 스스로의 모습을 객관화하고 반성하며 다짐하는 시간이 되어 스스로를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단체 연습, 조별 시범 등 경연을 위한 협동적 활동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태권도 지도의 전문성 함양과 인성 함양을 돕는 다양한 자료의 활용과 같은 교사의 지도 노력과 함께, 지속적인 반성일지 작성과 가치 토론을 통한 반성적 활동 및 동료 지도와 평가와 같은 학생 상호간의 협동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을 때 태권도를 통한 인성요소 내면화 과정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태권도 수업을 통한 실질적인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과 다양한 자료 활용, 학생들의 지속적인 반성적 활동과 협력적 분위기를 통한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주요어 : 내면화, 인성요소, 태권도 수업

      •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그렐린 시스템 분석 : Analysis of ghrelin system in zebrafish

        엄지 울산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Energy homeostasis is a balace between food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This is a very complex process, interactions between the CNS (central nerbous system) and peripheral organs. Related studies in vivo, there are several limitation. Thus, selecting an appropriate animal model is important. Ghrelin is a stomach-derived peptide that stimulates secretion of growth hormone and food intake. Zebrafish is an excellent model system for forward genetic studies, and many aspects of energy homeostasis characterized in mammals appear to be conserved in the zebrafis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zebrafish ghrelin by metabolic status. Quantitative RT-PCR revealed that zebrafish ghrelin is highly enriched in anterior gut associated tissues. Using in situ hybridization with adult zebrafish tissues, we found that zebrafish ghrelin mRNA was not expressed in intestine tissue, but rather in clusters of endocrine pancreas cells distinct from insulin-expressing islets. Fasting specifically upregulated pancreatic ghrelin but not brain ghrelin expression by 3- to 4-fold and refeeding restored ghrelin transcript to control levels seen in the fed group within 5 h.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lthough ghrelin is expressed in a different site in zebrafish, it is responsive to metabolic state in a similar manner as mammalian ghrelin, suggesting a role in the regulation of feeding in teleosts, and thus validate the utility of zebrafish as a genetic model system for the analysis of the ghrelin system and Energy homeost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