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상담 지원을 위한 감정분석 챗봇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트랜스포머 모델 기반의 앙상블 기법 중심으로

        이시훈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digital technology is advancing, and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approach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 counseling based on AI technology. In particular, educational, industrial, and academic collaborations are underway to use chatbot technology to provide continuous emotional management beyo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For such counseling chatbot research to be effective in educational settings, chatbots must be able to analyze students' emotional states accurately and respon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ir psychological state. In this paper, developed a counseling support chatbot service to be effective in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he developed service consists of an emotion analysis system, an emotion judgment system, and a response output system. The emotion analysis system operates in two models: an emotion classification model and an emotion regression model. (1) The emotion classification model classifies the text entered into the chatbot into one of seven categories according to Ekman's emotional classification criteria. The entered text goes through three different classification models: the ChatGPT classification model, the elementary student motion Fine-Tuning model, and the emotion word weighted model, and then the final emotion is classified through an XGBoost model. (2) The emotion regression model applies the entered text to a model with an emotion-attention head to convert valence and arousal values numerically. (3) The emotion judgment system analyzes the current psychological state of students by synthesizing the two results of the emotion analysis system and visualizes the extent of students' emotional changes for teachers. (4) The response output system is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ppropriate responses for student situations, divided into general responses, customized persona responses according to emotion, and professional counseling responses for students needing care.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ed counseling support system could effectively understand students' emotions, and the use of the counseling support chatbot significantly reduced students' anxiety levels. Through this, we demonstrated the utility of this system by deriving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counseling support chatbots, such as 1) proposing algorithm configurations and data collection methods for accurately analyzing elementary students' emotions, 2) establishing comprehensive emotion prediction and quantification methods through emotion distribution analysis, and 3) developing a persona assignment and professional counseling response model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chatbots. * A thesis for the degree of Ph. D. in February 2024.

      •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행동 탐색 : 과학관 사례를 중심으로

        이시훈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rrent knowledge-based society creates new knowledge every moment. The learners construct knowledge by themselves and share them with others. Through the course of learning, they create new knowledge as a result. With this viewpoint, the necessity of learning community is emphasized. Science museum is an effective informal education organization. Science museum could be used as a place for educational activity of the learning community. So it is necessary to find the effect of the exhibited objects on the educational behavior of learning community. This paper studied the exhibition characteristics and exhibition components and analyzed the visitors' behaviors on the exhibited objects to find out the effect of exhibition characteristics of exhibited objects on the educational behaviors. The result shows that the exhibition characteristics reflected on the exhibited objects make effect on the educational behavior of the visitor 오늘날의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매 순간 새로운 지식이 생성되고 있다. 학습자는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타인과 공유하는 것에 의해 학습의 과정을 통하여, 결과적으로는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공동체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과학관은 학습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비형식교육기관이라고 할 수 있고, 과학관이 학습공동체의 교육활동의 장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전시물이 학습공동체의 학습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전시물에 반영된 전시특성이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시에 반영된 전시특성 및 전시요소를 조사하고, 각각의 전시물에서 관람객이 나타내는 행동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전시물에 반영된 전시특성은 관람객의 학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韓國人의 甲狀腺 乳頭癌에서 RET 遺傳子 發現

        이시훈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目的: 甲狀腺癌은 內分泌 臟器의 癌 中에서 가장 頻度가 높은 癌이고, 그 中에서 甲狀腺 乳頭癌이 가장 흔하게 發生한다. 한편 RET 遺傳子는 第10番 染色體의 長腕에 位置하고 있는 前癌遺傳子로서 甲狀腺 腫瘍의 發生과 關聯해서 두가지의 活性化機轉이 알려져 있는데, 한가지는 特異한 RET/PTC 遺傳子 再配列에 의한 甲狀腺 乳頭癌의 發生과 聯關이 있고, 다른 한가지는 點突然變異에 의해 甲狀腺 髓質癌과 第2型 多發性內分泌腫瘍과의 聯關性이 알려졌다. 甲狀腺 乳頭癌에서 RET 遺傳子 發現의 臨床的 意義에 대해서는 意見이 一致되지 않고, 잘 알려져 있지 않아서 韓國人의 甲狀腺 乳頭癌을 비롯한 甲狀腺 疾患에서 RET/PTC 遺傳子 再配列과 RET 遺傳子의 發現에 대해서 調査하였다. 對象및 方法: 2001年 1月부터 2002年 2月까지 延世大學校 醫科大學 세브란스 病院에 甲狀腺 腫瘍으로 入院하여 手術後 病理 所見上 甲狀腺 乳頭癌으로 診斷된 26例, 甲狀腺 濾胞癌 3例, 未分化癌 1例, 腺腫 5例, 過增殖 19例, 正常 所見 2例의 甲狀腺 組織을 가지고 RT-PCR 方法을 利用하여 RET/PTC-1, -2, -3 遺傳子 再配列과 RET 遺傳子 發現을 調査하였고, ret 蛋白質의 rabbit 다클론 抗體를 利用한 免疫組織化學 方法을 利用하여 ret 蛋白質의 發現 强度와 樣相을 檢索하였다. 結果: RT-PCR 方法에서 甲狀腺 乳頭癌中 89.4%에서 RET 遺傳子가 檢出되었고, 甲狀腺 濾胞癌에서 100%, 過增殖에서는 62.1%에서 RET 遺傳子가 檢出되었으나, 未分化癌, 腺腫, 正常 組織에서는 檢出되지 않았다. RET/PTC-1, -2, -3 遺傳子의 再配列은 檢出되지 않았다. 免疫組織 化學에서는 甲狀腺 乳頭癌中 76.9%에서 ret 蛋白質이 檢出되었고, 腺腫에서는 50%, 過增殖은 52.3%, 正常 組織에서는 20.6%에서 ret 蛋白質이 檢出되었으나, 甲狀腺 濾胞癌, 未分化癌에서는 檢出되지 않았다. ret 蛋白質의 染色 强度에 대해서 甲狀腺 乳頭癌에서는 强하게 染色이 되는 反面, 腺腫, 過增殖, 正常 組織에서는 弱하게 染色이 되는 傾向이 있었고, 染色 樣相도 甲狀腺 乳頭癌에서는 주로 細胞質에 染色이 되는 反面, 過增殖, 正常 組織에서는 細胞膜에 染色이 되는 傾向이 있었다. RET 遺傳子의 檢索에 있어 RT-PCR 方法과 免疫組織化學間에는 높은 一致度를 보였고, 橋本(하시모토) 甲狀腺炎에 該當하는 組織 14例에서 ret 蛋白質이 檢出되었는데, 大部分 甲狀腺 乳頭癌과 同伴되어 있었다. 結論: 韓國人의 甲狀腺 乳頭癌에서는 매우 높은 頻度로 RET 遺傳子가 發現되고, RET 遺傳子가 甲狀腺 乳頭癌에만 局限되는 特異한 所見이라는 旣存의 事實과 다르게 甲狀腺 過增殖이나 腺腫, 正常 甲狀腺 組織에서도 RET 遺傳子가 發現되었다. 그러나 免疫組織化學의 方法에서 보았을 때 이들의 染色되는 强度와 樣相은 甲狀腺 乳頭癌과는 差異를 보였다. Objectives: The most common malignancy of the thyroid gland is papillary carcinoma. Activation of the RET proto-oncogene, located on the long arms of chromosome 10,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yroid cancers in two different ways. Somatic rearrangements of RET with a variety of activation genes are frequently found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Germ-line point mutations are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and the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type 2 (MEN2). There is not yet any consensus on the influences of RET expression and RET/PTC rearrangements on clinical outcome of thyroid cancer. Therefore we analyzed RET expression and RET/PTC-1, -2, -3 rearrangements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and other thyroid diseases. Methods: Twenty-six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PTCs), three follicular thyroid carcinomas (FTCs), one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ATC), five follicular adenomas (FAs), nineteen hyperplasias, and two normal thyroid tissues surgically resected at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during January, 2001 and February, 200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T-PCR and immunohistochemistry were done to identify RET gene, RET/PTC rearrangements, and ret protein expression. Results: RT-PCR showed that 89.4% of PTCs, 100% of FTCs, 62.1% of hyperplasias expressed RET gene, but no RET was observed in ATCs, FAs, and normal thyroid tissues. RET/PTC-1, -2, -3 rearrangements were not detected in any specimens. Immunohistochemistry showed that 76.9% of PTCs, 50% of FAs, 52.3% of hyperplasias, and 20.6% of normal thyroid tissues expressed ret protein, but FTCs and ATC did not. As to the strength of immunostaining of ret protein, PTCs had a tendency to be stained strongly, but FAs, hyperplasias, and normal thyroid tissues were weaker. As to the pattern of immunostaining of ret protein, cytoplasmic staining was predominant in PTCs, while membranous staining was observed in hyperplasias and normal thyroid tissues. Overall the two methods for detecting RET gene, RT-PCR and immunohistochemistry showed similar results. Conclusion: RET gene was highly expressed in PTCs. In contrast to the privious reports that the expression of RET gene is limited to PTCs, RET was also expressed in hyperplasias, FAs and normal thyroid tissues. However, the strength and the pattern of expression of ret protein in non PTC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PTCs.

      • 한국의 진보정당 형성과 제도권 진출 : 1988~2004년의 경험에 대한 정치사적 접근

        이시훈 영남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M.A.Thesis The Formation of Korea's Progressive Parties and Their Entering the Parliament Lee, See Hun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 Diplomac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oo, Choon-Kweon) Abstract This thesis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s progressive partie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through which the authoritarian regime was toppled down. Korea's political party system had long been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authoritarian regime deep rooted in the cold war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repressions, exclusions and violences were a daily occurrence in the party politics with the ideological range strictly confined within narrow limits. Meanwhile, social movements, had long been excluded from the party politics, began to be radicalised in response to the 1980 Gwangju massacre committed by the military authorities, and it was these radicalised civil movements that forced the ruling government to embark on democratic institutional reforms. Despite some positive results of the reforms, however, the following democratization process remained as a sort of 'passive revolution' led by a group of ideologically-homogeneous conservatives, still leaving some crucial social issues such as class conflicts untouched and excluded. It was against this historically specific backdrop that Korea's progressive parties began to emerge. It was a part of social struggles to put the agenda of labour, class, or national reunification into the institutional politics, overcoming the forced alternative of democracy or authoritarianism lingering even after the official 'democratization'. In the early years of the democratic reform period, however, Korea's progressive parties failed to take advantage of the two general elections and presidential elections for entering into the mainstream institutional politics. They did not realize the anticipated result until the 2004 general election in which the Democratic Labour Party (DLP), a left-wing nationalist political party founded in 2000, finally won seats in Parliament. This thesis analyses what made the DLP different from the predecessors. For the purpose, the analysis focus on the three conditions (i.e. institutional background, socio-political environments, and internal organizational arrangements) necessary for a newly-founded party to secure a position in the institutional politics. Finding that the factor played the most critical role in the advent of the DLP was the internal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thesis proceeds the analysis by making the problem of a factional strife around the party and the supporting groups the analytical framework. The third chapter of this thesis reconstructs the experiences of progressive parties emerged in the early years of the democratic reform. In doing so,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he chief causes of their failure were their over-reliances on reputed individuals, the lack of the popular base of support, and the unstable organizational arrangements within the radicalised social movements. These factors highlights the strong points of the DLP in terms that it was founded on the well-organised labour movements, that is, the organised support o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The KCTU played the role of glue putting major fractions of the social movements together, along with the role of a magnet attracting popular supports from the large industrial cities such as Ulsan and Changwon. This thesis argues that, despite some limitations of the DLP in dealing with various problems deriving from inter-fractional strifes, it was able to enter into the institutional politics thanks to the internal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party discussed above. 한국의 진보정당 형성과 제도권 진출 - 1988∼2004년의 경험에 대한 정치사적 접근 - 이 시 훈 영남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치외교학전공 (지도교수 구춘권) 요 약 이 논문은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진보정당들의 변화와 제도권 정치 진출 과정을 다루고 있다. 권위주의 정권 시기 정치적 배제와 억압을 경험했던 한국의 사회운동세력은 계속된 저항과 6월항쟁을 통해 권위주의 정권을 종식시켰다. 하지만 한국의 민주화 과정은 보수적 제도권 정치 내부의 타협으로 마무리되었다. 특히 1971년 이후 다시 시행된 1987년 연말의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과 김영삼의 분열과 이에 따른 사회운동세력의 분열은 구 권위주의 정권을 승계하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의 당선으로 이어졌다. 진보정당의 등장은 이런 정치사적 배경 위에서 사회운동세력의 새로운 정치참여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1988년 제 13대 총선에서 재야세력과 사회운동세력 일부가 힘을 모아 한겨레민주당과 민중의당의 창당, 선거에 참여했으며, 민중당이 1992년 제 14대 총선에 참여했다. 하지만 이 당들이 선거에서 거둔 성적은 원내 의석 확보와는 거리가 멀었다. 하지만 한국의 진보정당은 1997년 제 15대 대선 국민승리21 창당을 기점으로 변화를 맞이한다. 2000년 국민승리21을 모태로 창당된 민주노동당은 이어진 선거에서 큰 잠재력을 보여줬으며, 2002년 제 16대 대선에서 100만 표를 획득하며 돌풍을 일으키게 된다. 이후 2004년 제 17대 총선에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도입이라는 제도적 변화에 조응, 10석을 획득하며 일약 원내 3당의 지위에 오른다. 이 논문의 한국의 사회운동세력이라는 같은 토대 위에서 만들어진 초기의 진보정당들과 민주노동당이 가진 차이점에 주목한다. 비록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실시라는 제도적 요인이 민주노동당의 원내 진출에 중요한 요인이었지만 그것만으로 민주노동당의 원내 진출을 설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에 이 논문은 한국의 진보정당들을 대중적 기반, 정파 관계라는 두 프레임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논문은 1988∼1992년 시기의 진보정당들이 대중적 기반의 부재, 재야 명망가 의존성, 사회운동세력 내부 정치의 문제에 직면해있음을 확인했다. 하지만 민주노동당의 경우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사회운동세력을 규합하여 진보연합당의 성격을 가졌으며, 민주노총과 전농과 같은 대중조직들의 존재, 세대균열의 등장에 따라 이전 시기 진보정당과 구분되는 대중적 기반을 가졌음을 드러냈다. 제 1장과 2장의 경우 이러한 문제제기와 그 문제제기에 따른 분석틀, 선행연구의 제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제 3장의 경우 1985년 제 12대 총선 이후 1992년 민중당 해산에 이르는 시기, 진보정당의 형성과 와해 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제 4장의 경우 민주노총의 발족 이후 이뤄진 새로운 진보정당 운동의 대두와 민주노동당의 원내 진출 과정을 재구성하였다.

      • 3차원 수치해석을 이용한 강관합성 말뚝의 보강효과 분석 및 p-y곡선 산정 연구

        이시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의 구조물이 장대화 되면서 경제성, 시공성, 안정성 등에 유리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이 선호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강관 케이싱을 남겨두더라도 구조재로서 활용하지 못하고 강관 케이싱의 지지력을 무시하고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초대형 구조물의 기초는 일반적인 기초에 비하여 훨씬 큰 횡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국내에서는 수평재하시험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대부분 말뚝 두부에서의 수평하중-변위 곡선 관계 도출에만 머무르고 있으며 p-y 곡선을 산정 할 수 있는 정밀한 수평재하시험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요소망 및 지반영역 크기에 대한 최적화 연구, 그리고 시험체 압축강도 실험과 현장말뚝 재하실험 결과와의 비교 검증을 하여 강관합성말뚝의 보강효과를 분석하고, 무리말뚝의 효과를 나타내는 p-multiplier를 산정하여 기존에 제안된 대표적인 p-multiplier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관은 von-Mises 모델, 콘크리트는 변형률 연화모델을 적용한 결과 시험체 압축강도 실험 결과를 잘 모사하였다. 실물크기 말뚝에 대한 보강효과를 분석한 결과, 강관합성 말뚝의 재료강도는 강관의 보강효과에 의해 축방향에 대해 약 10%, 횡방향에 의해 약 20∼4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에 근입된 단말뚝에 대한 보강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직방향 항복하중의 경우 강관합성 말뚝은 강관 말뚝의 1.90배, 콘크리트 말뚝과는 평균적으로 동일하였으며, 허용변위기준에서의 수평방향 항복하중의 경우 강관 말뚝의 1.46배, 콘크리트 말뚝의 1.25배로 나타났다. 지반에 근입된 무리말뚝에 대한 보강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직방향 항복하중의 경우 강관말뚝과 비교하여 평균 90% 큰 것으로 나타났고, 콘크리트 말뚝에 대하여는 평균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허용변위 기준에서의 수평방향 항복하중의 경우 강관말뚝과 비교하여 평균 50%, 콘크리트 말뚝과 비교하여 평균 22%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p-y 곡선을 산정한 결과 현장재하시험에서 얻은 결과를 적절히 예측하며, 매개변수 연구 결과 말뚝직경이 p-y 곡선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리말뚝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p- multiplier를 산정한 결과 기존에 제안된 O'Neill and Reese의 p-multiplier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 PWM 및 PFM 제어 기반 LED 전광판 전원회로 설계

        이시훈 濟州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design the optimal power supply for LED Display board. The power supply used in the display board provides the LED module with 5V. The proposed power supply provides the LED module with LED driving voltage by color.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by digital control program. The initial duty of the control program sets output voltage of buck converter to be 2.6V and 3.8V. The power supply uses control program for stable output voltage. The proposed power supply operate in PWM(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at moderate to heavy loads, under light load condition the converter operate in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control. The power supply can be switched to PWM control mode when the load current is greater than 60mA, and can be switched to PFM control mode when load current is under 60mA. Simulation was used the EVM board and the LED module. We checked by simulation that the PWM and PFM function of power supply work fine and measured the efficiency of the power supply. When the load current is under 60mA, efficiency of power supply is 8% higher than. When the LED module is operated by using the proposed power supply,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posed power supply is 40% less than before. The proposed power supply provides the LED module with the necessary voltag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LED module.

      • 해커톤 기반 초등 SW교육모델 개발 및 적용

        이시훈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으로 초연결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무인 운송수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몇 년 간 주목받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과 새로운 사회에 필요한 문제해결력과 협업능력, 그리고 창의력까지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문제해결력 및 협업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을 고찰하여 초등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모델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결과를 토대로 해커톤 기반의 소프트웨어 교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교육모델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및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다루기 위한 기초 수업 후 협업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해커톤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커톤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모델로 수업을 적용한 결과 일반적인 모둠활동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이 제작한 산출물의 정교성과 문제해결력에 대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영상분석을 위한 시간표집법을 사용하여 협동성과 수업참여도에 있어서 일반적인 수업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협동과 참여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팀 협의 횟수와 일탈 행동 횟수에서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긍정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모둠 수업 중 가장 자주 발생하는 무임승차의 문제도 확연히 줄어드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해커톤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모델의 확장 가능성 및 적용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더욱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 방안 마련 및 적용 확대를 통한 일반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