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성으로 본 벨라스케스의 작품연구 : <마르타와 마리아의 집에 계신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이순열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반종교개혁 기간이며 종교 재판이 심했던 시기, 벨라스케스는 종교적 작품 ⟨마르타와 마리아의 집에 계신 그리스도〉(Kitchen Scene with Christ in the House of Martha and Mary /1618, 런던 국립 미술관 소장)를 여성을 주제로 하여 그렸다. 오랫동안 남성 우위의 가부장제 사회이고 가톨릭 국가이며, 왕권 사회인 스페인에서 여성들은 선택의 주체가 아니라 대상이었다. 본 연구는 이 작품을 통해 본인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포함하여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또한 그리스도인들 뿐 만 아니라 비 그리스도인들에게도 그리스도를 좀 더 쉽게 만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바로크 시대의 거장 벨라스케스의 작품이 나타내는 그리스도의 영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연구는 벨라스케스의 작품을 분석하여 한편으로는 그리스도교적인 영성과 바로크미술이 어떻게 소통을 하는지 고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각적 기호인 화면상의 인물과 성경과의 관계를 정립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그는 초기 작품에서 카라바조의 명암법을 구사 하곤 했는데 이와 같이 초기에 영향을 받은 화가 중 하나인 카라바조와 플랑드르의 화가인 루벤스 (동 시대 - 바로크 - 화가), 후에 벨라스케스에게서 영향을 받은 인상파 화가 중 마네에 대해서도 고찰했다. 아울러 라파엘 전파 화가들이 거부했던 색채의 대가들의 위대한 전통, 베네치아 파에 의해서 파생되었고, 벨라스케스가 계승하여 19세기 마네에 이르는 위대한 전통 속에서 충실히 영감을 찾아 낸 이 화가들에 대해 편집 비평 방법과 양식 비평을 통해 고찰 했다. 벨라스케스는 세비야 시절에 주로 성경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장르화를 제작 했다. 있는 그대로의 하층민들에 대한 묘사와 강한 명암 대조법의 사용 면에서 카라바조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화면은 매우 압축적이고 강렬한 느낌을 준다. 이 그림에서 벨라스케스는 가사에 필요한 오브제들을 드물게 아름답게 묘사함으로써 여자들의 일을 찬양하고 있다. 나이든 여자는 덕의 귀감을 주는 역할로 표현 했고, 물고기는 그리스도의 상징과 수난을 표현 하였다. 그림의 오른쪽에 그리스도가 있는 부분을 거울로 표현한 방법은 당시 스페인 작가들이 즐겨 사용하던 ‘극중의 극’ 의 수법과 유사하다. 이는 카라바조의 〈나르키소스〉를 묘사하다가 배운 기법이다. 비록 그것이 거울에 비친 영상인지, 아니면 전경의 방 뒷벽에 뚫린 창구 너머로 보이는 장면인지는 묘하게 불확실한 상태로 남아있지만 그러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그리스도의 존재를 표현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었다. 벨라스케스가 그림에서 이 화법을 사용한 것은 신화의 인물 〈거울을 보는 비너스〉, 〈시녀들〉(국왕 부부), 그리고 그리스도를 표현할 때뿐이었다. 이는 반 종교 개혁 기간이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동시대의 다른 화가들과 크게 다른 점이 또한 있다면, 거울을 통해 보이는 그리스도와 인물들의 복식 또한 예수님 시대의 의복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벨라스케스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벨라스케스 시대에도 계시고, 그림을 보고 있는 관람자 옆에도 항상 존재하시는 그리스도를 우리에게 일깨워 주고 있다. 바로크의 전통적인 양식인 대각선 구도로 그렸고, 이는 카라바조의 성모의 죽음에서 영향을 받았고, 야고버 마탐의 〈엠마오의 저녁의 부엌〉의 장면을 기초로 그린 작품이다. 여기서 바로크 미술이란 르네상스의 타락도 아니고 진보도 아니며 르네상스와는 완전히 이질적인 양식이어서 근대 미술에서의 형성 하는 것이고, 이 양식은 반종교개혁의 유력한 표현 수단이 되어 여러 가톨릭 국가에서는 종래의 종교적 도상을 일신 하고 종교 미술에 신선한 입김을 불어 넣었다. 동시에 바로크는 귀족들의 표현 수단이기도 하여 화려. 호사한 의식을 과시하고 장식하는 구실을 했다. 또한 전통적인 중세 종교화의 기법인 왼쪽부터 오른 쪽으로 시선이 가서 오른 족에 가서 머물게 하는 화법을 사용했다. 벨라스케스가 영성적으로 성경을 묵상한 후, 〈마르타와 마리아의 집에 계신 그리스도〉의 제목으로 일상을 통하여 늘 우리 곁에 계신 그리스도를 표현했고, 이 작품을 통하여 현실과 이상을 조화롭게 그렸다 Theme of this thesis is about Diego Velázquez's drawing of 〈Kitchen Scene with Christ in the House of Martha and Mary〉 from Luke 10:38-42. This art piece is one of Velazquez's early year's piece which was painted in bodegon form. It is painted in Seville, Spain around year 1618, the year when Velazquez got married. By the influences of his teacher Pachco, this art piece was heavily influenced by Caravaggio, the founder of Italian Baroque art form. Unlike other painters of the same era, Velázquez emphasized more on Martha. He used a unique method; Velazquez put Jesus Christ's and Mary's images in the mirror of the painting. Story from the Bible was symbolically represented as story of daily life. It was painted in the year Velazquez got married, and he was aware of the importance of housework. The art piece is a typical baroque form painted with a diagonal composition. Velazquez also used a technique that makes peoples eyes to enjoy the drawing from the left to the right side of the painting. By drawing Jesus Christ's image into a mirror, Velazquez represented Jesus as someone who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always with us. This bodegón form shows Heaven and reality at the same time while harmoniously expressing reality and ideals. Velazquez was strongly influenced by Caravaggio, interchanged influences with Peter Paul, and influenced Édouard Manet who is known as an impressionist painter. Technique that uses mirror in the painting was influenced by Caravaggio's Narcissus. And later, Velazquez painted 'The Toilet of Venus' and 'Las Meninas' with the same technique but in an advanced form. With Philip IV's trust, Velazquez became a court painter. With the King's help, he was able to travel Italy twice. While traveling Italy, Velazquez was strongly influenced by imitating Michelangelo's Fresco and was also influenced by many Italian painters such as Tintoretto as well. While traveling Italy, Velazquez painted a portrait of the Pope Innocentius X. In his later years, he received a badge of the Order of Santiago. He painted a scene from the Bible where Jesus visits Bethania before entering Jerusalem. Unlike other artists, Martha, a patron saint of housework, was accentuated. In this work, it is ambiguous whether Martha is looking at Jesus or the audience, but Martha surely has a displeased expression on her face. In addition, Velazquez realistically painted Mary who is sitting at the feet of Jesus listening to his words in a dress from Jesus Christ's era. Just like the words "Seek the Kingdom of God above all else, and live righteously, and he will give you everything you need" from Matthew 6:33, Mary chose the fundamental. The time when Jesus visited Bethania was immediately before the Passion of Christ. So, Velazquez used the fish as the symbol of Passion of Jesus Christ and salvation, and the egg and the mirror as the representations of Christ's resurrection. Unlike other artists and episodes in the Bible, Velazquez drew an old woman as a symbol of wisdom. The direction of the woman's finger draws attention of the audiences, and this gesture gives dynamic mood to the drawing. The drawing is Velazquez's first piece in which combination of bodegon form and other forms is used. And the composition was painted with a diagonal composition which is a typical baroque form. Even though he was influenced by Rubens, after personally meditating, Velazquez used bodegon form which was popular in Spain. By the influences of his teacher Pachco, this art piece was heavily influenced by Caravaggio. Composition of the work is similar to that of Caravaggio's 'Death of the virgin'. in which right side of the painting is more emphasized so that people's eyes automatically move from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o the right side. This is a typical baroque form. By the time the work was been painted, Velazquez have never been in Italy before nor have met Rubens. But he was already influenced by Rubens and the work was painted under Rubens' influence. In contrast to the work of Rubens's, Velazquez's work has some sort of poetic feelings with a mood that is filled with deep silence. 20 years later, Rubens and Vermeer painted the same subject, however, unlike that of Velázquez's, figures of Jesus Christ and Mary were more emphasized with dynamic expressions. The reason that Velazquez painted Martha bigger than Christ was because, by the time the work was painted, bodegon form was popular, and religion was considered as a part of daily life in Spain. In addition, the big difference from other artists of the same era was that Christ was expressed in the mirror, and all the cloths were those of Jesus Christ's era. And these are Velazquez' message that Jesus always stays with u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He had many portrait pieces, but only King and Queen, Goddess from mythology, and Jesus Christ were drawn in the mirror. After spirituality meditated the Bible, Velazquez expressed Christ who always stays with us in our everyday life with the title 〈Kitchen Scene with Christ in the House of Martha and Mary〉. In addition, through this work, painted reality and ideals with harmony. By presenting Christ's image in the mirror, Velazquez gives people, who does not realize that Jesus is always with us just like the disciples of Emmaus, a message saying that Jesus always stays around us. Many painters, including Velazquez, drew 〈Kitchen Scene with Christ in the House of Martha and Mary〉, and all of the painters commonly drew three men, including Jesus, in the work pieces. Because the number 'three' expresses God's world, two men and Jesus were drawn to represent God's world. In conclusion, in this work, Velazquez presented the most profound meaning of the Christian message of 'Here and Now' by drawing Christ's image in the mirror. To clearly present theological and moral meaning, Velazquez pursued unity in his paintings.

      • 영일만과 그 주변지역의 해조류 식물상

        이순열 청주대학교 산업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동해안 영일만과 그 주변 해안의 4개 지점에서 생육하는 해조류 식물상을 1996년 5월부터 1997년 2월까지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4종, 갈조류 27종 및 홍조류 78종으로 총 119종이었다. 계절별로 볼 때 해조류의 출현종수는 봄에 68종, 여름에 63종, 가을에 60종, 그리고 겨울에 64종이었다. 지역별로 볼 때 해조류의 출현종수는 용덕 77종, 여남포 73종, 발산 60종, 그리고 구룡포 76종이었다. 만내외 지역의 출현종수는 만내부 해안에서 86종, 만외부 해안에서 105종이 출현하여 영일만 내부 해안보다 외부 해안에서 다양한 종조성을 나타내었다. 식물상의 지역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용되는 R/P및 (R+C)/P값은 각각 2.89 및 3.41로 나타나 온대성에 가까운 혼합성의 해조상으로 약 10년전과 동일하였다. 조사 지역별, 계절별로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봄, 여름 및 겨울에는 여남포와 용덕 두 지역간의 유사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가을에는 발산과 구룡포가 비교적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조사지점의 공통종은 녹조류 6종, 갈조류 10좋 및 홍조류 19종으로 총 35종이었다. 약 10년전 연구에서도 공통종은 31종이어서, 종수는 본 연구 결과와 비슷하였으나, 그중에서 20종만이 중복 출현하였다. 본 조사기간을 통하여 채집된 해조류중 생식기관이 확인된 홍조류는 21종이었으며, 가을에 14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겨울에 4종으로 가장 적었다. The flora and phenology of marine algae in Yongil Bay and adjacent areas, eastern coast of Korea, are investigated seasonally at four sites during May, 1996 - February, 1997. As the result, a total of 119 algal species - 14 greens, 27 browns and 78 reds - are identified. In analyzing them according to seasons, the 68 species in spring, 63 species in summer, 60 species in autumn, and 64 species in winter are identified. According to areas, the 77 species in Yongdock, 73 species in Yeonampo, 60 species in Balsan, and 76 species in Kuryongpo are identified. The 86 species are identified in Yongil Bay, but 105 species are identified in adjacent areas. This fact shows that more various species are composed in the outside of Yongil Bay than in the inside of the Bay. The value of R/P and (R+C)/P to compare the flora and phenology of vegetation is 2.89 and 3.41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the flora and phenology of marine algae of this area are mixed flora near to temperate. That is equal to the result of the study which was done about 10 years ago. According to similarity index of sites and seasons,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Yeonampo and Yongdock is occurred high in spring, summer, and winter, while similarity index between Balsan and Kuryongpo is occurred comparatively high in autumn. The common species are 35 species in total - 6 greens, 10 browns and 19 reds. The common species investigated at the same place of this study about 10 years ago are 31 algal species, and the number of species are similar to that of this study, but only 20 species are identified on both studies. Among the marine alga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red algae of which reproductive organs are identified seasonally are 21 species, that is the most 14 species in autumn, the least 4 species in winter.

      • 성화(聖畵)를 통한 그리스도교 영성 이해 : 카라바조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순열 가톨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성화를 통한 영성의 이해를 연구주제로 삼았다. 성화는 그 본질상 인간 작품으로써, 우리의 구원여정에 도움을 주는 안내자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성화는 단순한 종교예술로 이해하기 보다는 영성예술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카라바조의 그림들을 성화로 이해하고 그 작품에 나타난 영적 변화와 영성의 성숙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리스도교의 성화에 드러난 영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카라바조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그의 개인적인 부분에 대한 것이 많았다. 성화로서 그의 작품들을 재해석하고 영성의 주제들과의 관계를 해명하고, 궁극적으로는 성화 속의 영성 또는 신앙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첫째는 역사주의적 방법으로서 그리스도교 역사 속에서 성화와 영성의 문제가 어떠한 논의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는지를 살펴보고, 카라바조가 살았던 시대의 역사적 상황과 그의 삶과의 연관성, 그리고 카라바조의 작품들이 어떤 성격으로 변화했는지를 살펴보는 방법이다. 둘째는 미술적 표현기법 등의 연구를 넘어서는 영성신학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도상학적 해석방법론을 근간으로 카라바조의 성화의 상징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작가의 의도와 화폭 속에 나타난 카라바조의 신심과 그의 영성을 찾아내는 일이다. 셋째, 카라바조의 작품이 있는 곳을 찾아가 교회를 장식하는 성화로서 존재하는 작품들을 보고, 관찰하고 묵상하여 본 연구를 진행했다. 따라서 연구과정은 "지금여기"에서 복음의 빛을 드러내고 있는 성화를 직접 만나는 체험을 통해서 얻게 된 보다 더 풍부하고 명확한 인식을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논문의 진행은 다음의 사항들을 순차적으로 검토하면서 이루어졌다. 첫째, 〈제Ⅱ장〉은 그리스도교 미술과 일반 미술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성화의 개념, 성화의 기원과 발전단계, 그리고 성화의 목적과 역할, 더 나아가 성화의 특징으로서 성화의 내용과 대상을 살펴보았다. 둘째, 〈제Ⅲ장〉에서는 카라바조의 삶의 자리와 그가 활동하던 시기의 사회적 배경 및 그의 생애에 대한 이해를 시도했다. 시대의 요구에 발맞추어 카라바조는 교회의 가르침을 열정적으로 표현하였고, 자유분방하고 활기찬 움직임과 강렬한 명암대비 등 자신의 독특한 양식으로 영적 감동을 그림에 담았다. 셋째, 〈제Ⅳ장〉은 카라바조의 작품들 가운데 선별해서, 성화 속에 나타난 영성과 그의 영성적 변화를 고찰했습니다. 그는 성화를 통하여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궁극적인 목표인 구원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시해 주고 있다. 〈제Ⅴ장〉은 성화를 통한 영성의 정의와 방법론을 토대로 성화와 영성의 상관관계와 성화 안에서 나타난 영성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예술작품에 나타난 영성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과 방법론을 제안했다. 결론적으로, 오늘날 극히 세속화 되어 있는 현실에서 성화, 특히 카라바조의 성화를 통하여 구원에 이르는 길을 찾을 수 있었다. 그의 작품에서 그리스도나 성인들의 모습에 자신의 자화상이나 내면을 이입시켜 표현한 독특함을 보여주는데, 이는 죄인을 포함하여 누구나 그리스도께서 구원해주신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성화를 통하여 선포하기 위한 의도로 판단된다. 또한 그의 방법론은 작품을 통하여 세속적인 상황에서 성스러움을 찾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본 연구를 시작한 연구자의 내면적 동기이다. 나아가 본 연구의 성과가 성화에 드러난 영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체계화된 연구 방법론을 수립하는데 공헌을 하려는 것이 진전된 학문적 동기라고 하겠다. The research theme of this thesis is the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through holy pictures. A holy picture is basically a work of man, so its significance lies in leading people to biblical truth for their journey of salvation.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ly pictures as 'spiritual' art rather than just 'religious' art. From this viewpoint, this research recognized Caravaggio's works as holy pictures and analyzed the spiritual conversion and spiritual maturation process revealed through them, aiming at providing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spirituality of Christian holy pictures. Most of early researches on Caravaggio concerned his private life. Whereas this research involves the reinterpretation of his works as holy pictures; the descrip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ir themes and spirituality; and ultimately an attempt to reinterpret the spirituality, or faith, reflected in holy pictures.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3 major approaches were made as follows: First, historical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how discussions about the issues of holy pictures and spirituality have so far been developed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vestigation was also made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historical situation during Caravaggio's lifetime and his life, as well as concerning the changes in the nature of his works. Second, analytical method of spiritual theology was applied, thus extending the scope of this research beyond artistic expression technique. Based on iconological interpretation methodology, an effort was made to find out Caravaggio's intention he desired to express through icons in the holy pictures, as well as his faith and spirituality reflected in them. Third, personal visit was made to churches where Caravaggio's works were used for decoration, appreciating them with careful observation and contemplation. Thus this research could be based on a richer and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holy pictures obtained through the experience of directly watching them as they revealed the light of the gospel 'now and here.' The composit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Research was conducted in a stepwise manner in this order. First, Chapter Ⅱ investigated difference between Christian art and common art; as well as the concept of holy pictures, the origin and progresses of holy pictures, the purposes and roles of holy pictures, and also the contents and objects of holy pictures as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Chapter Ⅲ made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of Caravaggio's life,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period he actively worked in, and his private life. In response to the need of the time, Caravaggio enthusiastically expressed the teachings of the Church, conveying spiritual inspiration through the pictures in his unique style, with the bold and energetic movement of the brush and strong contrast. Third, Chapter Ⅳ discussed about the spirituality and Caravaggio's spiritual changes reflected in some selected works of his. Through the holy pictures he proposed biblical prospect of salvation, the ultimate goal a human being must attain. Fourth, based on the definition and methodology of spirituality regarding holy pictures, Chapter Ⅴ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holy pictures and spirituality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spirituality reflected in holy pictures. In addition, theory and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spirituality reflected in artistic works were proposed. In conclusion, through holy pictures, particularly the works of Caravaggio,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biblical truth that leads to salvation in this extremely secularized world. His works have his unique style of reflecting his self-image or his inner world in the appearances of Christ or saints. This is considered to show his intention to proclaim through the holy pictures the powerful message that Christ saves every sinner who repents, regardless of how great their sins are. In addition, his methodology proposes that artistic works should seek what is holy in secular situations. This is the very intrinsic motivation that made the author begin this research. In the meantime, the author's academic motivation is to make achievements that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spirituality reflected in holy pictures, and to establishing a systemized research methodology.

      • 韓國 映畵에 대한 消費者 태도 硏究

        이순열 檀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영화는 대중적, 종합적 예술뿐만 아니라 문화적 상품으로 국가의 중요한 전략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영화 산업의 현실은 결코 만족스럽지 못한 입장에 위치해 있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영화 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진단하고자 우리나라 영화시장의 주요 관람객을 차지하고 있으며 영화에 대한 문제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20대 층을 대상으로 한국 영화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50부의 설문지를 직접 면접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이중 이용 가능한 214부의 설문지를 SPSS PC^(+) 통계 팩키지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그리고 교차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년간 한국 영화 관람 횟수는 2회 이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한국영화에 대해 감명이나 공감을 받은 경험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한국 영화의 선택기준에 있어서 감독과 배우의 비중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한국 영화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영화에 대한 선입감은 기대이하로 분석되었다. 넷째, 한국 영화 홍보의 효과성이 비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한국 영화 대한 사전심의 정도가 규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외국영화 수입개방은 다른 부분보다도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되었다. 일곱째, 앞으로 제작되어지길 바라는 한국 영화 정치적, 사회적 소재를 가진 영화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연령에 따른 한국 영화와의 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은 연령에 관계없이 기대이상의 관심을 보이고 있다. -. 스크린쿼터제도에 관해서는 연령에 관계없이 현재 수준 유지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지만 29세∼30대 남성은 확대하자는 비율이, 20세∼22세 여성은 축소하자는 비율이 다소 높게 분석되었다. -. 한국영화발전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는 20세∼22세 여성과 25세∼26세 남성이 뚜렷한 주제의식을 부각해야 한다고 분석되었고 그 외에는 전문성(기술성) 측면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분석되었다. -. 한국영화지원정책에 대해서는 연령에 관계없이 보통 이하의 비효과적이라고 분석되었다. Nowadays the movies are not the popular & synthetic art, but also the important strategic business of the nation as cultural goods. But the state of our nation's movie industry is not at all in the satisfactory situation Therefore to recognize and analyze the problems for Korean movie industry, this thesis analyzed the consumer's attitude to Korean movies through 20s who consist of most of movie-goers, conceive the problems of movies and feel free to speak out their own opinions. For an actual proof, 250 questionnaire of survey sheet were analyzed by person-to-person interview, and 214 pieces available among them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nalyze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utilizing SPSS PC^(+) statistics package. The main ideas of this study go as followings. First,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almost go to movies less than twice a year, it is said that they had many experiences that they were moved and impressed much by the Korean movies. Second, they choose the movies by the standard of who are directors and actors. Third, they hard interests more than usual in the Korean movies, but their preoccupation about them are analyzed to be less than expected. Fourth, it is sai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movies' PR is infective. Fifth, it is observed that the pre-review of Korean movies is regulatory. Sixth, they say the opening of foreign movie importation will have move effect on social & cultural aspects than any other. Seventh, most of them hope that Korean movies will be dealt with by political and social materials, in a great proportion. finally, the reaction between Korean movies and ages is as following. -They are more interests than expected in the Korean movies, regardless of ages. -About the screen-quota system, it says that apart form ages, a great proportion hope the present standard will keep going, but the preportion was great that males of 29-30 want to enlarge it, and females of 20-22 want to diminish it. -It says thath to develop the Korean movies females of 20-22 and male of 25-26 insist on reveal the distinctive main idea and others say the special aspects(technological)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y say the policy of Korean movie support is ineffective less than ordinary regardless of ages.

      • 운전스트레스가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영향: 대처행동의 매개효과와 속도욕구좌절의 조절효과

        이순열 충북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운전스트레스가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운전스트레스 발생이 대처행동 양식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행동 양식에 의해서 교통사고 위험이 영향을 받게 되는 매개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운전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양식이 교통사고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운전자의 속도욕구좌절이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고, 매개모형과 조절모형 각각에서 운전목적(직업적, 개인적)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에 대해서 주목하였다. 연구결과, 운전스트레스 발생은 교통사고 위험을 직접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대처행동 양식(순행적, 역행적)을 통해 간접적 영향관계도 발생하였다. 이것은 운전스트레스가 대처행동 양식(순행적, 역행적)의 매개효과를 통해서 교통사고 위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운전스트레스가 교통사고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다각적인 구조관계를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운전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양식이 교통사고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운전자의 속도욕구좌절 수준은 조절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것은 운전자가 느끼는 속도욕구좌절 수준에 따라서 운전스트레스의 민감도가 변화되고 대처행동을 선택하는 양식이 변화하며, 전체적인 교통사고 위험에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목적(직업적, 개인적)이 다른 운전자 집단은 운전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양식이 교통사고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와 속도욕구좌절이 조절적 역할을 하는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운전자보다는 직업적 운전자들의 운전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양식이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영향과 속도욕구좌절의 조절적 작용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직업적인 운전의 특성상 개인적 운전자보다 속도추구성향이 강하고 운전스트레스 발생 상황에서 운전을 미루거나 포기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어 교통사고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운전스트레스로 인해서 발생되는 교통사고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운전스트레스 관리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운전스트레스는 대처행동을 통해 교통사고 위험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운전스트레스 감소 방안과 함께 대처행동 양식을 조절(순행적 대처행동 증진, 역행적 대처행동 감소)하기 위한 방안도 병행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운전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양식이 교통사고 위험에 영향을 미칠 때 높은 속도욕구좌절은 그 관계를 부정적으로 강화시켰다. 이것은 운전자의 속도에 대한 욕구좌절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이 운전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해법이 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직업적인 운전자는 속도욕구좌절이 높아지게 되면 운전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운전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교통안전을 위협하는 역기능적 형태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적 운전자의 교통사고 위험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속도욕구좌절감과 운전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교육과 함께 운전스트레스 발생상황에서 순응적 대처행동을 선택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riving stress on traffic accident risk. Specifically,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driving stress on drivers' coping behaviors and the aptitude of mediating models through which coping behavior types affect traffic accident risk. In addition, the study verified whether a driver's speed desire frustration plays a control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driving stress and traffic accident risk and paid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between (commercial and leisure-purposed) driving purposes. As a result, driving stress directly increased traffic accident risk and indirectly affected them through (good and bad) coping behavior types. This indicates that driving stres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raffic accident risk by the medium of (good and bad) coping behavior types in multilateral ways. In addition, a driver's speed desire frustration level played a control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driving stress and traffic accident risk. This indicates that a driver's speed desire frustration level change driving stress sensitivities, thus changing the effects of selecting coping behavior types and causing differences in total traffic accident risk. (Commercial and leisure-purposed) driving purpo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between driving stress and traffic accident risk. Specifically, commercial drivers were affected by driving stress, compared to leisure-purposed drivers. As they were unable to defer or abandon driving even under driving stress, commercial drivers responded to the stress more sensitively and increased traffic accident risk by selecting inappropriate (bad) coping behavi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mere concentration on driving stress management cannot sufficiently lower the traffic accident risks caused by driving stress. This is because driving stress have indirect influences on traffic accident risk. Hence, it will be necessary to seek how to reduce driving stress and control coping behavior types in order to lower the traffic accidents risk by the stress. In addition, it will be indispensible to seek how to reduce a driver's speed desire frustration level, since speed desire frustration negatively strengthens the relation between driving stress and traffic accident risk. Commercial drivers respond to driving stresses more sensitively and the responses threaten traffic safety, so the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 risks require the programs to help select good coping behaviors as well as those to manage driving stress.

      • 노인주간보호시설 이용노인의 복지욕구를 통해 본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

        이순열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가 전체적으로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연장에서 비롯되는 노인인구의 증가는 사회를 고령사회로 변화시켰고, 급증하는 노인인구에 대하여 가족에 의한 보호보다는 국가가 그 부양을 책임져야 한다는 여론이 대두대면서, ‘노인보호’에 대한 문제는 미시적 수준의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떠나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 개입해야 하는 거시적인 문제로 떠오르면서 사회 전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중요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인보호문제를 사회제도로써 충족시키기 위하여 선진국가들은 국가 차원의 요양보장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노인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보호시설로 노인주간보호시설을 포함하고 있으나 노인주간보호시설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률이 저조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주간보호시설 이용노인의 복지욕구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추구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노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 및 이용노인의 복지욕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첫째, 노인의 욕구와 기능상태를 고려하여 서비스 대상자 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경제상태에 따라 대상자가 선정되고 있어 프로그램 운영에 어려움이 따른다. 둘째, 서비스 내용에 있어서도 각각 시설들마다 독자적이며 특화된 서비스가 개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조사대상 시설 모두 평이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셋째, 전문 인력과 사회복지사의 인력을 충분하게 배치하지 못하고 있어 사회복지사에 대한 기대치가 높음과 동시에 사회복지사의 업무량이 시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아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다양한 관련 기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유관기관을 연결하여 통합적인 행정과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조정기구의 부재로 말미암아 시설이용 정보 접근 시 제약이 따르고, 노인을 위한 각종 복지자원의 낭비와 중복투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향후 지역사회 중심 시설이 될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개선함으로써 노인들의 건강 및 신체 기능상태의 안정을 도모하고 수발가족들은 수발의 경제적 부담과 신체적·심리적 피로에서 벗어나 원활한 사회경제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국가 및 사회관계에서 기능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low birth rate and increased life span have fueled the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which results in turning Korean society into an aged one. The nation is increasingly requested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providing care to the rapidly growing elderly population, instead of just leaving them to their families. So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 is emerging as one of major issues that should be handled at a national level from macro perspective, not at a personal or family level, and that is a matter of primary concern that needs an immediate attention. To address this matter through social institution, advanced countries offer national long-term elderly care services, and our country provides daycare service as part of in-home service as well. However, daycare centers are neither well-known nor used a lo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s of elderly users of daycare centers for welfare in an effort to identify problems with them and seek workable reform measures. A survey was conducted on daycare center employees and elderly users, and there appeared the following problems with daycare centers: First, elderly clients were selected just by their economic state, not by their needs or physical functions. That made it difficult to ensure the efficiency of programs. Second, the daycare centers investigated didn't offer unique or specialized services. Instead, their services and programs were merely plain. Third, professional personnels and social workers weren't sufficient in number. Although the elderly people had strong expectations for social workers, the social workers weren't able to satisfy them because of their heavy workload. Fourth, there were a variety of relevant organizations, but a lack of coordinating agencies that could give integrated administration service and information about them curbed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s to these organizations, and it was also likely to be followed by a waste of all sorts of welfare resources or overlapped investment. Daycare centers for the elderly, which will be a hub of local community, should provide improved services and programs by ironing ou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omote the health of elderly people and to ease the economic, physical and mental pressure of their family caregivers. And it will enable their family caregivers to direct more energy into themselves an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nation.

      •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아마이드의 가수분해 거동 및 분해에 따른 미세구조 변화 연구

        이순열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1.4-butanediol과 sebacic aicd 에 1,4-butanediamine의 함량을 달리 하면서 (0%, 5%, 10%, 15%, 20%, 30%) 첨가하여 지방족 폴리 에스터아마이드(PBSe series)를 축중합 하여 제조 하였다. PBSe series는 DSC, WAXD, DMA, FT-IR을 사용하여 구조, 성질을 분석 하였으며, 알카리 하에서 가수분해를 실시 하였다. 가수 분해 실시 후, 분해에 따른 여러 가지 구조, 물성의 변화 또한 관찰 하였다. PBSe series의 열적 특성은 homopolymer의 경우, 65℃에서 단일 용융피크를 보이며, 아마이드를 도입함에 따라 융해열이 감소하고 용융피크가 broad해졌다. 아마이드 함량이 15% 이상 되었을 때는, 50℃ 와 180℃ 부근에서 2개의 흡열 피크가 관찰 되었다. X-ray 회절 패턴을 보면, 아마이드가 도입됨에 따라 회절 피크의 강도는 급격하게 감소 하였다. 또한 아마이드 함량의 증가에 따라서 19.86에서의 회절 피크의 강도는 크게 증가한 반면, 21.22°에서 보이는 회절 피크의 강도는 감소 하였다. DMA 결과를 살펴보면, loss modulus 와 tanδ측정에서 단일 Tg가 관찰 된 것으로 보아 ester와 amide 간의 상분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T-IR 측정 결과, 아마이드 도입에 의해 3600∼3000cm-1 에서는 -NH-vibration band가 3개의 피크로 분리되어서 나오고, 1800∼1500cm-1 영역의 carbonyl 밴드에서는 shoulder가 보였다. 폴리에스터 아마이드의 분해도는 전반적으로 아마이드 도입에 의해서 증가하였다. 분해가 진행될수록, DSC 상에서는 ΔH가 증가 하였으며, WAXD 상에서는 amorphous halo가 감소 하였다. 또한 FT-IR 상에서의 특정 흡수피크의 비를 살펴보면, 수소결합을 하지 않고 있는 free NH vibration band의 면적비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아마이드와 에스터간 수소결합의 면적비는 감소 하였고, 아마이드 간 수소결합의 면적비는 증가하였다. Poly(ester amide)s, PBSe random copolymers, were prepared by polycondensation of sebacic acid and 1,4-butanediol with introducing 1,4-butane diamine as a comonomer. When amide groups are introduced, crystallinity significantly diminished under 20%, double melting endotherms were appear around 50℃ and 180℃ in PBSe series. They strongly tended to form hydrogen bond between amide-amide. The hydrolytic degradation was carried out at pH11, at 35℃, their degradability increased by incorporating amide groups. The increase in ΔH and crystallinity was confirmed by DSC and WAXD results during hydrolysis. The extent of H-bonding between amide-ester domin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amide-amide.

      • 物流專門人力 養成을 위한 改善方案 硏究 : 現行 政府方案을 中心으로

        이순열 명지대학교 유통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1C Digital 사회를 맞아, 종래의 수배송, 보관, 하역등의 고전적 업무영역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물류 패러다임이 전개되면서, 이제 유통과 정보 마인드 없이는 더 이상 물류 문제를 해결 할 수 없는 현실이 도래되었고, 한때 최고의 유망직종인양 세인의 관심을 모았던 국가 물류전문인력 자격제도로 시행된 물류관리사제도가 시행된 이후 3회에 걸쳐 3,375명의 국가공인물류관리사들이 배출되었고, 이중 약90%에 해당하는 대부분이 비물류업에 종사하거나 실업상태에 놓여있어, 현실에 좌절하고 방황하는 대다수 물류관리사들의 아픔을 함께 하면서 점차 무용지물화 되어가고 있는 본 물류관리사 자격제도에 대한 법적·제도적 정책적 문제점을 원점에서부터 살피어 새로운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경쟁력 있는 물류전문인력으로 새롭게 태어나는 길이 무엇인가를 모색해 보고자 하는 일에 본 논문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아직은 정부나 학계 및 관련 연구단체와 기업 등에서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된 물류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자료, 논문, 참고문헌 등이 사실상 전무하여, 좀더 과학적·객관적으로 현재의 정확한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1차로 매년 1회에 걸쳐 3 년간 기 시행된 물류관리사 자격시험 시행결과 분석을 참고하였다. 원서 접수자, 응시자, 합격자 유형별로 성별, 년령별, 학력별, 지역별, 점수대별 분석을 통해 매년 변화된 물류관리사시험과 관련된 객관적 현황 파악과 응시율, 합격률과의 상관관계를 통한 시험난이도 변화 등의 시험제도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2차로 전체 물류관리사 3,375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합격 이후 그들이 겪고 있는 현실의 불만족과 열악한 소재를 파악하고자, 주제별 17개 항목. 세부조사사항 58개 항목을 설정하여, 약 2개월 간 서면을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객관식 문제 은행식의 현재의 시험 방식에 의해 배출되는 물류관리사는 물류전문가라기 보다는 차후 물류전문 인력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높은 물류 마인드(88.5%)와 물류전문인력 양성 교육에 대한 강력한 욕구 (91.3%)가 있어, 이들을 조금만 갈고 닦으면 훌륭한 물류전문인력으로서 양성이 가능하며, 한편 본 제도 도입 후 약 60여개의 대학과 대학원등에서 물류관련 전공 학부가 신설 확충되어, 활발한 연구 활동과 물류관리사 시험 준비를 계속하는 등, 또 다른 물류전문인력 산실로 정착되고 있으며, 기존 물류관리사 역시 58.8%가 대학 및 대학원과 유학 등을 통해 물류관련 전공 교육을 추가 이수 후, 물류전문인력으로 계속 발전하고자 하는 강한 의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행 시험제도의 경우 1차 객관식 이후 실무교육 이수 후 자격을 부여하는 안(60%)과, 영어. 컴퓨터 관련 과목을 추가(49.6%)하자는 의견이 다수였으며, 이는 장차 물류 영역에 있어서는 판매. 유통물류(78.5%). 물류기능에 있어서는 물류정보(34.1%)와 통합물류(31.5%). 물류업종에 있어서는 전자상거래(40.1%) 분야에 진출을 원하는 의견과 상관 관계가 있으며, 향후 교육 방향도 이를 염두에 두고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현행 객관식 문제은행 방식에 의한 시험제도는 오늘날 기업이 기대하고 요구하는 물류전문인력 공급은 처음부터 잘못된 발상이며 지금부터라도 시장원리에 맞게 기업과 사회가 요구하는 눈높이 수요에 맞추어, 필요한 적정 인력을 선발 교육시켜 공급하는 일이야말로 가장 시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류관리사들 역시 자격증 취득 그 자체보다는 취득 후 끊임없는 자기 노력을 계속해 스스로 물류전문가의 길을 개척할 수 있는 실력을 연마하여야할 것이며, 정부는 이들을 위한 교육 기회와 정보 제공 등의 동기 부여를 계속해야 한다. 아직도 그 실시가 사실상 불가능한 법정 고용의무 신설 또는 배타적 권리신설 등을 주장한다거나, 일반국가 자격 제도에 매달리는 것보다는, 가급적 빠른 시일내 국가기술 자격으로 전환하여 최소한의 법적 권한과 권리를 신설 확보한 후, 이후 계속되는 유사 국가공인 자격 및 민간자격에 대항하여 스스로의 업무 영역을 계속 확장 변신하여 적응하는 길이야말로 물류관리사 자신은 물론 진정한 물류관리사 제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길이며, 궁극적으로 기업과 사회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물류전문인으로서 가져야 할 사명감과 지향해야 할 목표라 할 것이다. As a new reality incapable of solving logistics issues in without the mind of logistics and information has anived while a unexplicable new distribution paradigm at the classical business areas such as conventional transport, storage and discharge at the 21st century digital society is developing, and 3,375 national admitted logistics managers have been produced over three times after the logistics managers system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was enforced, of them, about 90% are engaged in non-distribution industry or unemployed, so most logistics managers who are frustrated and roaming in the reality are becoming futile. Hereby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legal, institutional and political problems to the qualification system of logistics managers, presenting new political alternative plans, and exploring what being born as a logistics expert with competitive power means. There is still no systematically arranged and analyzed data, papers, references on the training of distribution specialists by the government, the academic world, related research groups and enterprises, so this researcher have trouble grasping the current correct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n a scientific and objective basis, so referred to the analysis of results of already enforced logistics managers qualification examin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gender, age, school career, region, score rating by applicant, examinee and passer, it tri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examination system such as the change of examination difficulty in term of understanding of objective status, correlation of the ratio of participation and the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and set up 58 detailed questions with 17 items by subject and conducted a written survey for about two months to understand the dissatisfaction and poor position of the whole 3,375 logistics managers in the reality after pass. The logistics manager produced by the present method of objective problem banking system has a strong desire for training for logistics experts (91.3%) and high mind to be a future logistics specialist (88.5%), so if he or she cultivates himself or herself a little more, he or she will be a good specialist, on the one hand, logistics related major departments at about 60 universities and graduated schools were newly established and expand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is system, so research activities and preparation for logistics managers examination continue, resulting in the fixation as the production delivery room of logistics specialists, and it was also found that 58.8% of the existing logistics managers have a strong will to grow as a logistics expert after completing logistics related major course through a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r study abroad. Current examination is dominated by the proposal of giving a qualification after passing the 1st objective examination and completing practical education (60%), adding English and computer related subjects (49.6%), which has correlation with the opinion that wants to enter into logistics information (34.1%), integrated logistics (31.5%),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 in distribution industry (40.1%), and future educational direction should be promoted keeping in mind this point. The supply of logistics manpower by current objective problem banking method is originally wrong according to the expectations of today’s enterprises, so it is urgent to adjust the demand of the enterprise and the society with market principles, and select necessary personnel and educate, supply them. Logistics managers should also promote abilities to develop their ways by constant self-effort rather than acquisition of the qualification, and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give opportunities of education and motives of information for them. It is the real way to develop the logistics managers system that one converts it to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ecure minimum legal powers and rights, expands its range of affairs against civic qualifications rather than establish actually impossible legal employment duties or assert exclusive rights, which is ultimate goal and mission he or she has to have as a logistics specialist to contribute to the enterprise and th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