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모링가(moringa oleifera) 추출물 트리트먼트의 모발보호 효과

        이순덕 圓光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모발의 화학 시술 시 발생되는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는 효과와 모발 화장품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 분석을 통하여, 유효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HS68 상피세포를 이용한 세포독성에 대해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링가(Moringa oleifera) 트리트먼트의 효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모링가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모링가 트리트먼트와 모링가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일반 트리트먼트, 시판중인 A사 트리트먼트를 이용하여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전처리, 후처리한 후 웨이브 효율성, 모간 굵기, 인장강도 및 신도, 모표피, 모발의 미세구조, 아미노산을 분석하여 모발의 물리·화학적인 변화를 파악하고 모발 손상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s)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하여 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모링가 추출물의 성분 분석 결과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진 alpha?Tocopherol이 12.44%로 검출되었고, 케라틴 분자 결합체로 작용하는 규소계열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모링가 추출물의 세포독성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HS68 상피세포에 MTT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라 100% 가까운 높은 생존율을 유지시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는 50% 소거할 수 있는 농도인 SC50값은 190 ppm으로 대조군인 Tocopherol 보다 소거 활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이브 효율성은 퍼머넌트 웨이브만 시술한 P군은 15.52 ± 1.21 cm, 32.6%의 웨이브 형성율을 보였으며, 모링가 트리트먼트를 이용하여 후처리 시술한 PMT2의 길이는 13.40 ± 0.52 cm, 웨이브의 효율성은 41.7%로 P보다 27.9%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퍼머넌트 웨이브만 시술 한 P의 모발 굵기는 0.02584 ± 0.0 ㎜이며, 모링가 트리트먼트를 후처리한 PMT2는 0.03574 ± 0.0 ㎜로 38.3% 증가하여 모발 굵기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결과로 나타났다.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후 모링가 트리트먼트로 후처리한 PMT2의 인장강도는 117.11 ± 25.46 gf/㎟로 대조군 P의 94.30 ± 9.28 gf/㎟ 보다 24% 증가하여 가장 높은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신율을 측정한 결과 모링가 트리트먼트를 이용하여 전처리 한 PMT1이 235.48 ± 117.52%로 21%증가하였다. 모발 표면의 형태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모표피를 관찰한 결과 모링가 트리트먼트로 후처리한 PMT2는 큐티클이 부분적으로 팽윤되어 들뜸이 관찰되지만 대체적으로 밀착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문리가 비교적 안정적이고 표면은 전체적으로 매끄럽고 비늘과 비늘사이의 경계가 뚜렷하며 규칙적으로 겹쳐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FM을 이용한 모발 미세구조 관찰 결과 모링가로 후처리한 PMT2의 roughness는 144 nm로 큐티클의 형태가 비교적 일정하지만 간격이 넓으며 일정한 색의 농담으로 표현된 큐티클 피크의 높이도 비교적 균일하게 관찰되었으며 트리트먼트가 큐티클의 표면에 윤기를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군에 비해 거칠기가 증가한 것은 트리트먼트로 후처리 실시군의 경우 수분 흡수량이 포화된 상태로 거칠기의 증가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며 모표피의 손상을 보호하는데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미노산 조성율을 분석한 결과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후 모링가 트리트먼트를 이용하여 후처리한 PMT2의 아미노산 조성율은 82.393%로 P군에 비해 2.4%의 증가하였고 시스틴함량 11.068%와 메티오닌 함량 0.532%로 측정되어 23.54%, 4.72%의 가장 많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화학 시술 시 모발 손상에 영향을 받는 시스테인, 메치오닌의 값이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에 대한 효과가 있으며, 규소계열의 실리콘 성분이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고 모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모링가 트리트먼트가 모발 손상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특히 모링가 트리트먼트를 후처리제로 사용한 실험군에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 모링가 추출물이 천연원료로서의 응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후 천연 모발 화장품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has measur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n active ingredients and cytotoxicity of moringa extract in ethanol using HS68 epithelial cells through an ingredient analysis to study its hair protection effect from oxidative stress damages during chemical treatment of hair and the application potentials in hair care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arious pre- and post-treatments to compare the effect of moringa oleifera to other products. This was done by observation of physicochemical changes damages in hair through analysis of the followings: wave efficiencies, hair shaft thicknesses, and tensile strengths, elongation, micromorphologies and amino acids hhof cuticles and hair. With permanent treatment, a moringa product made with and without the moringa extract, also an a brand product also without the extract were used for comparison. The statistical analysis had been performed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was verified through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are as listed below. The ingredient analysis of moringa extract had found a series of silicon compounds which function as a molecular conjugate for keratin, and also 12.44% of alpha-Tocopherol, a known natural antioxidant. A cell survival rate using MTT assay method on HS68 epithelial cells were measured to check for the cytotoxity of the extract and the results yielded almost 100% survival rate in some concentration, confirming its non-toxicity. In a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 the SC?? value, the concentration at which 50% of radicals are removed, was 190 ppm, indicating the much more active scavenging than tocopherol, which was the comparison group. The P group, which had only received a permanent wave treatment, showed wave formation of 15.52 ± 1.21 cm and 32.6%, whereas the PMT2 group that received the post treatment using moringa product showed the length of 13.40 ± 0.52 cm and wave efficiency of 41.7%, which was a very high 27.9% enhancement from that of the P group. Also the hair thickness of the P group with only a permanent wave treatment was 0.02584 ± 0.0 ㎜, while that of the PMT2 group with the post treatment with moringa product was 0.03574 ± 0.0 ㎜ or a 38.3% increase, which was the most among the hair thicknesses. The result of the tensile strength test for hair showed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hair in the PMT2 group who received the post treatment using moringa product after a permanent wave treatment was 117.11 ± 25.46 gf/㎟. The result showed a 24% increase from that of the group P with the value of 94.30 ± 9.28 gf/㎟, and also the larges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 result of the elongation test showed that the elongation of the PMT1 group with the pre-treatment using moringa product was 235.48 ± 117.52%, or a 21% increase. The observation of hair cuticles to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ir surface gave a conclusion that the cuticles in the PMT2 group with the post treatment using moringa product were partially swollen with lift, yet observed to be mostly well-adhered with relatively stable context, genrally smooth surface, and clear boundaries between scales with regular intervals. The observation of the microstructures of hair using AFM showed that the roughness in the PMT2 group with the post treatment using moringa product was 144 nm with the cuticle shapes that were relatively regular but largely spaced inbetween. The height of the cuticle peaks expressed in constant light and shade were also observed in relative uniformity, confirming that the treatment had given luster to the cuticle surfaces. The increased roughness of the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P group appeared to be due to the saturated water uptake from the post treatment, which was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in protecting the cuticles from damages. The analysis of amino acid compositions showed that the amino acid composition in hair for the PMT2 group with the post treatment after the permanent wave treatment was 82.393%, or a 2.4% increase from that of the P group. The cystine content was 11.068% and the methionine content was 0.532%, the most increase among the groups of 23.54% and 4.72%, respectively. This was the largest content value among the groups for cystine and methionine that are affected by hair damage during a chemical treatment. In conclusion, the moringa extract in ethanol has an antioxidant property and was effective against cytotoxicity, with its contained substace in silicon series playing a role of adding luster to hair while protecting it. It is confirmed that a treatment using moringa product in a permanent wave treatment is effective in reducing hair damages. The hair protection effect wa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test group that had used the moringa product in post treatment. Therefore, our research has verified that moringa extract has large application potential as a natural ingredient, and further research must be followed so that it may be commercially applied for natural hair care products in the future.

      • 광고 매체에 대한 비판적 읽기 지도 방안 연구

        이순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매체에서 메시지를 수용하고 비판적인 안목으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광고 매체에 대한 비판적 읽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제시한 비판적 읽기(Critical Reading)는 텍스트에 대한 사실적 이해, 함축적 이해를 포함하는 상위인지(metacognition)개념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비판적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기존의 연구와 교육과정을 토대로 비판적 읽기 지도 요소를 추출하여 광고 매체에 접목시켜 보았다. 그리고 토의 수업 모형을 통한 수업의 실제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텔레비전 광고는 그 시대 흐름의 요구에 맞게 발 빠르게 변화하기에, ‘지금 여기’의 가치를 중시하는 관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08~2009년에 나온 광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광고는 사회적 현상과 사회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가장 잘 드러내는 때문에 현재를 바라보는 거울에 비유해 볼 수 있으며, 사회적 변화의 모습을 함축이라는 방법을 통해 드러낸다. 이러한 광고 속에 함축된 내용을 해석하고 읽어 내는 활동을 하면서 다양한 언어적 표현 방법을 이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능동적으로 비판하며 수용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광고는 정해진 짧은 시간 안에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고 사로잡아야 하기에 내용이 과장되고 생략된 부분이 많다. 숨겨진 이면을 파악하고 올바르게 내용을 파악할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비판적 읽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구 교과인 국어 교과에서 표현과 이해의 실제 방법인 기능적인 목표를 신장시키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학습자들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비판적 읽기 태도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로 인해 학습자들이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며, 실제 수업을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해결하는 것은 차후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learners accept messages from various mass media and present critical reading guidance programs of advertising media as methods to raise ability to analyze them with critical eyes. The critical reading presented at this paper is the concept of meta-cognition including realistic understanding and implicative understanding. Accordingly. in this paper, it was grafted on advertising media, extracting critical reading ability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and curricula to raise the ability of critical reading. And the practice of classes though discussing-class models has been discussed. Because television advertisements are fast changing to meet the needs of the current of the time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advertisements shown in 2008~2009 as the center, based on the view of putting stress on the value of 'here right now'. Advertisements can be compared to mirrors watching the current because they best disclose the real-time changing appearances of social phenomena and society, and reveal the appearances of social changes through the methods of implication. Doing the activities of analyzing and reading the implicated contents in these advertisements, people can understand the ways of various linguistic expressions and furthermore raise the attitude of actively criticizing and accepting. There are many exaggerations and omissions because advertisements have to move and catch the consumers' minds in the decided short time. When the hidden side is grasped and the content is rightly understood, the necessary thing can be said to be 'critical reading'. This study placed emphasis on raising functional aims as the practical methods of the expressions and understanding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as tool curricula, and put stress on learners' active and subjective critical reading attitudes. I hope everybody would get a little help in raising learners' critical reading ability because of this study and intend to leave behind as the next assignment what we could not solve the wanting that we could not verify the validity through the actual classes.

      • 자기성장 집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순덕 동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집단적 적용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효과는 성별 간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서울S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 78명 중 학부모의 동의를 받고 훈련에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학생들 24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실시한 프로그램은 이형득의 '자기성장 프로그램' 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자가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관심과 수준에 알맞게 재구성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8회에 걸쳐 집단 적용하였다. 2004년 9월 8일 10월 8일 사이에 주 2회 80분씩 총 8회를 실시하였으며, 집단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도구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개발한 아동용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와 조성연(1996)의 사회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 이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고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와 사회성 검사 자료는 t-검증(t-test)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집단 적용한 결과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1) 둘째,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집단 적용한 결과 사회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1) 셋째,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self-growth program on development of elementary 4th graders' self-esteem and sociabilit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developed; 1) Are the self-growth group program effective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2) Are the self-growth group program effective to develop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bility ? 3)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effectiveness of the self-growth group program in relation to subjects' sexes?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the researcher sampled 78 children enrolled in the 4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at Yongsang-gu, Seoul, and then, selected 24 students finally upon agreement from their parents. They were divided equally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Lee Deuk-hyong's 'Self-Growth Program' was adapted by the researcher to conform to elementary 4th graders' interest and level and then, applied to the test group through 8 rounds. The test group was subject to the program twice every week from September 8 through October 9, 2003. each of the 8 rounds lasted 80 minutes.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 used the self-respect scale developed by Choi Bo-ga and Jeon Gui-yeon (1993) and the sociability scale developed by Jo Seong-yeon(1996). Both test and control groups were pre-tested to check if they were homogeneous, and both of them were post-test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data about self-respect and sociability were T-t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elf-growth program to the test group, their self-respect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1)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elf-growth program to the test group, their soci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1)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elf-growth program to the test group, their soci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sub-areas of sociability. Fourth, there was found no difference between sexes of the effects the self-growth program had on self-respect and sociability.

      •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관찰능력에 관한 연구

        이순덕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관찰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고, 관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며 그 방안이 저학년 아동의 관찰능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초등학교 1학년 64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저학년 아동의 관찰에 관한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사전검사와 저학년 아동의 수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관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관찰훈련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또한 관찰훈련프로그램이 저학년 아동의 관찰 능력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사전검사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은 관찰에 있어서 순수관찰로 얻은 정보수보다 자신의 주관적인 생각과 선경험에서 얻은 지식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저학년 아동들은 정성적 관찰만을 하고 있었으며 관찰에 주로 이용한 감각기관은 시각이고 촉각을 이용한 경우도 약간 있었다. 그러나 오감을 고루 활용하지는 못하였다. 관찰 관점으로는 색깔과 모양을 가장 많이 관찰하였는데 관찰 관점이 다양하지는 못하였다. 사전 검사 결과와 학습모형을 참고로 하여 저학년 아동의 관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여기서 관찰 대상은 저학년 아동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하여 아동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그 지도 방안은 '기초감각훈련 →단일 물체관찰 →비교관찰 →선택하여 관찰'의 순서로 구성되었다. 또한, 오감을 고루 사용하고 관찰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관찰 관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점차 관점 제시를 줄여 아동 스스로 관점을 찾고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찰 표현과 기록 방법은 처음에는 아동 수준을 고려하여 단어만 나열하였으나 점차 간단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동의 표현 방법이 서툰 점을 고려하여 타 교과 시간에 배운 내용과 아동수준에 맞는 표현 방법을 제시하였다. 관찰 프로그램 투입 후 저학년 아동의 관찰능력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사후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수 관찰 수가 48%에서 86%로 증가하였다 둘째, 생각의 기록이 42%에서 8%로 감소하였다. 셋째, 저학년 아동은 대부분 정성적 관찰을 하지만 비교와 어림으로 정량적 관찰을 하는 아동이 소수 생겨났다. 넷째, 아동의 지적 성장에 따라 각 감각 기관의 사용이 자연스럽게 늘어남을 알 수 있었고 관찰훈련프로그램은 주로 시각과 촉각의 사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한번에 사용하는 오감의 활용도가 사전검사보다 증가하였다. 그리고 관찰향상방안을 통해서 관찰능력을 좀 더 빨리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observation and to develope the teaching strategies to enhance observing skills and to investigate in 1st graders. In preliminary student it revealed as following. The 1st grader describe on observation what their own idea and the knowledge that gained in previous experience rather than the facts identified pure observation. They do observe the outline of things mainly and they use sensory organ of seeing mostly rather than others. They observe the colors and shapes of things mainly and they cannot observe in various ways. The teaching stategies enhancing observation skills was developed in accordance of preliminary study and the theory of children learning. And the results of teaching by this strategic are as follows. Firstly, the number of observation increased almost twice. (from 48% to 85%) Secondly, the observation of their own ideas are decrease amazingly. (from 42% to 8%) Thirdly, although most 1st grade shows observation of quality but some of then shows observation of quantity. Fourthly, as the developing of intellectual ability they become to use the sensory organ more widely, and the teaching strategies effective to seeing and feeling. Fifthly, the use of organs of five senses at once are increased than the preliminary study. And by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ing strategies is effective to the enhancing of observation skills more quickly.

      • 자기점검법이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순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manifest problem behaviors during classes. Tw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as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Intervention was divided into the recognition, discrimination, self-monitoring training(technique application phase), and independent self-monitoring phase. It was carried out five times a week for 6 weeks(total of 30 times). Training was promoted for 20 minutes without observation for the 1st intervention term, then it was promoted for 20 minutes after 20 minutes observation for the 2nd term. It was also assessed if the effect of the training is maintained when carried out for three terms of the maintenance test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is completed. The main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cidence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s scribbling behavior was reduced by self-monitoring. Second, the incidence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s be created from noisemaking behavior was reduced by self-monitoring. Third, the incidence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s inappropriate position behavior was reduced by self-monitoring. Fourth, the incidence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s three problem behaviors mentioned above and reduced by self-monitoring continued to be lower than the baseline after the study was completed. In conclusion, self-monitoring training is effective in reducing problem behavior of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 who exhibit problem behavior during class and sustaining such effect.

      •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개선방안

        이순덕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참여자는 천안시 소재 국공립 및 민간보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50명 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았다.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먼저 전반적인 인식과 실태를 알아본 다음 관련변인 즉, 소속기관, 학력, 연령, 교직경력, 다문화유아지도경험, 연수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제기된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알아보았다. 먼저,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정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들의 경우 다문화가정 출신 영유아들에 대한 교육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에 대하여 보육교사들은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점을 알려주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이나 학력 연수경험 그리고 지도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교육방식에 대해서는 유아들이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 존중할 수 있도록 지도함과 동시에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어린이집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넷째, 부모교육에 있어서는 다문화 가정 학부모의 유아지도와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과 다문화 가정 학부모와 일반가정 학부모의 상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실태를 알아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의 경험에 있어서는 지도경험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즉 전체 응답자의 54%는 지도경험이 있었으며 46%는 지도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출신의 영유아들은 한국어 능력부족으로 학습부진의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원칙에 있어서는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버려야 한다고 하였으나 기관유형이나 학력 그리고 다른 문화에 대한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교육지도 내용에 있어서는 다른 나라의 상징이나 문화의 실태가 주로 나타났으나 이것 또한 기관이나 학력,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다문화교육 실시시기와 관련하여 연중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교육환경구성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활용하는 자료는 시청각 자료로 나타났다. 여섯째, 다문화 교육 시 참고자료와 관련하여 인터넷이나 시청각자료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관, 대학교육 중 경험여부, 다른 나라 체험이나 연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영유아 다문화교육 현장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는 다문화교육관련 자료부족과 교사자신의 이해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교재교구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ild-care provider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in improv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150 child-care providers working for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Cheonan C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1. Child-care providers showed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suggesting that child-care providers in general are deemed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2. Providers showed an awareness that helping children understand the equality of all the children, regardless of what ethnic group or cultural background they belong to,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providers have showed a difference by the type of child-care centers the providers work for, years of education, train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work experience of prov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3. Providers reported a need to help children accept differences among themselves, and show respect for each other so that multicultural children can better adapt in their environment, child-care centers. 4. Providers showed an awareness of a need to help parents from all other different cultures with a mutual understanding, which in turn will help multicultural children adapt to child-care centers. 5. There was no difference found in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providers have work experience on multicultural children. 6. Multicultural children showed a profound retardation in learning ability due to inappropriate Korean language skills although the level of retardation in learning varied based on the type of child-care centers the providers work for, years of education and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This may serve a role in developing a stereotyped opinion on multicultural children. 7.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sisted of the symbols or cultures of other countries and it turned to have differences by the type of child-care centers the providers work for, year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providers have received. 8. In terms of the time period of prov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to children, it is found the year round education is most preferred and conducted. 9. In terms of education materials, audio-visual materials are mostly utilized to help create a multicultural environment. 10. Online sources or audio-visual materials were most preferred when prov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yet varied based on the type of child-care centers the providers work for, exposure to multicultural education while in college, or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and training. 11. The most profound issue found with appropriate multicultural education turned out to be lack of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providers. One of the approaches to solve this issue deemed highly is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ducation materials on multi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