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기 플라이스토세 전이기 전후 중앙 북태평양 퇴적물에 기록된 풍성 퇴적물 입자 퇴적 양상 변화 복원

        이소정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We investigated flux, grain size distribution, Nd-Sr isotope composition, mineral composition, and trace metal composition (REEs and Sc) of inorganic silicate fraction (ISF, mainly Asian dust with an unrestricted amount of volcanic materials) deposited during 600 ~ 1000 ka across the Mid-Pleistocene Transition at core NPGP 1401-2A (32°01'N, 178°59'E, 5205m) taken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Pacific. Our results reveal about a 2-fold increase in ISF flux after 800 ka, which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La/Sc and a decrease in mean grain size. Asian dusts are finer than volcanic materials and La/Sc increases with the enhanced contribution of Asian dusts. Thus, increased flux after 800 ka can be explained by the increased contribution of Asian dusts relative to volcanic materials, likely due to an intensified Westerly Jet (WJ) and the drying of the Asian continent after the MPT. Mean grain size of ISF varies systematically in relation to glacial-interglacial cycles with a decrease during glacial stag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ults in the study area. Such a cyclical pattern is also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Asian dusts over volcanic components in glacial stages due to intensified WJ and drying of the Asian continent.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climate changes that had occurred across the MPT were similar to those of interglacial to glacial transitions at least in terms of the dust budget. Different from the Shatsky Rise, however, compositional changes associated with glacial-interglacial mean grain size fluctuations are not observed in Nd-Sr isotope ratios and trace element composition in our study of the Hess Rise.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location of the study site far (>4,000 km) from the volcanic sources. The volcanic component at the study site comprises less than 10% and varies within 3% over glacial-interglacial cycles. Such a small variation was not enough to imprint geochemical signals.

      • OTT 시청 골프 참여자의 학습 실재감이 성취 목표 성향 및 운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

        이소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OTT 시청 골프 참여자의 학습 실재감이 성취목표성향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영향 경희대학교 체육학과 이소정 본 연구는 OTT 시청 골프 참여자의 학습 실재감이 성취 목표 성향 및 운동 지 속 의도에 미치는 실증적인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3년 8월부터 9월까지 약 한 달 동안 OTT 시청 골프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389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 대상의 표집 방법으로는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중 유의표집법 (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SPSS(v.25.0)를 사용하였다. 사 용된 분석 기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일원 변량 분석, 상관 관계 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OTT 시청 골프 참여자의 학습 실재감이 성취 목표 성향 및 운동 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OTT 시청 골프 참여자의 학습 실재감, 성취 목표 성향, 운동 지속 의도에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OTT 시청 골프 참여자의 학습 실재감이 성취 목표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지 학습 실재감은 과제 성취 목표 성향에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실재감의 자기 성취 목표 성향은 과제 학습 실재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OTT 시청 골 프 참여자의 학습 실재감이 운동 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 실 재감의 인지 학습 실재감이 운동 지속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OTT 시청 골프 참여자의 성취 목표 성향이 운동 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한 결과, 과제 성취 목표 성향이 운동 지속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포츠 OTT를 활용해서 골프 교육을 받는 시청자들의 학습 실재감의 성취 목표 및 운동 지속에 대한 실증적 영향을 파악한 최초의 연구 로서 의미가 있다. 특히, 프로 선수에서부터 아마추어 동호인까지 다양한 골프 경력 을 가진 다수의 참여자(총 389명)를 대상으로 결과를 파악함으로써, 기존의 유사 연 구에 비해 더욱 일반화할 수 있는 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골프 및 스포츠 OTT를 활용한 원격 교육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가 웨딩상품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이소정 창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요 약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가 웨딩상품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미용예술학과 이소정 지도교수 우미옥 연구목적: 현대 한국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기‧미혼 성인 남녀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가 웨딩상품 선택속성의 요인을 분석해서 각 요인들이 서로에게 미치는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가 웨딩상품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부산, 경남지역의 20∼40대 여성, 남성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사용되었으며 2019년 3월 1일부터 3월 15일까지 실시 되었다. 총 357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웨딩상품 선택속성의 차이분석은 t-test와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측정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 요인이 웨딩상품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웨딩상품 선택속성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결혼은 미혼이 기혼보다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웨딩드레스는 학력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라서는 웨딩스튜디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에 웨딩장소, 헤어·메이크업, 웨딩드레스는 차이가 없었으며 용돈에 따라서 헤어·메이크업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웨딩스튜디오, 웨딩장소, 웨딩드레스는 차이가 없었다. 직업에 따라 웨딩스튜디오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웨딩장소, 헤어·메이크업, 웨딩드레스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능적 가치는 합리적소비형, 개성도전지향형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회적가치로는 유행추구형, 과시추구형이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감정적 가치로는 과시추구형, 개성도전지향형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귀적가치로는 유행추구형, 과시추구형, 개성도전지향형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적가치로는 과시추구형, 개성도전지향형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 요인이 웨딩상품 선택속성의 하위요인의 결과 웨딩스튜디오에서는 개성도전지향형과 상황적가치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웨딩장소에서는 개성도전지향형과 감정적가치, 상황적가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헤어·메이크업에서는 과시추구형과 개성도전지향형, 감정적가치와 상황적가치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웨딩드레스에서는 과시추구형과 사회적가치와 상황적가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웨딩상품 선택속성 중요도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웨딩상품의 더 좋은 품질과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의 유형별로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각 집단별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매체와 그에 따른 선택 동기를 잘 살펴 향후 적합한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주요어: 라이프스타일, 소비가치, 웨딩상품 선택속성

      • 데이비드호크니(DavidHockney)의 회화 연구

        이소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David Hockney (born 1937) is a British pop art painter and contemporary writer. Hockney's activities began in the 1960s when the flow of modern art was turbulent. However, he is an artist who has steadily changed and developed his own unique work world. In addition, Hockney explored all genres of art with a passionate experimental spirit and displayed various styles of work. Hockney always challenged new styles and constantly explored the changing world of art. At the same time, he was a writer who embraced various media and practiced it through excellent conceptual power. Looking into the history of art in the 20th century, one of the biggest events is the emergence of abstract art. After that, modern art was transformed and developed at a rapid pace, and new ideas such as science and philosophy formed the basis for works of art. In particular, Hockney worked on photo collages with knowledge of philosophy and science, and his photo collages removed the boundary between painting and photography. And beyond that, he created a new form of art. Hockney continued various work activities such as flat painting, photo collage, stained glass, logo design, and stage art. In addition,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controversy is published, digital media art work is continuing in line with the times. This can be seen as a pure painting that reflects the current digital era well. In the end, he proved to be an unrivaled artist in the flow of modern art through his own independent and unique wor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alyze, and examin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Hockney's sculptural world and works, focusing on David Hockney's various paintings.

      • 모차르트의 오보에 사중주 K.370에 관한 분석 연구

        이소정 강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차르트의 오보에 사중주 K.370에 관한 분석 연구 고전주의 시대에 현악기를 위한 실내악은 상당히 높은 수준까지 발전되었지만 목관악기를 위한 실내악은 그렇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당대의 환경에도 불구하고 모차르트는 목관악기가 포함된 실내악곡에 대한 실험을 계속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현악사중주에서 제1바이올린을 목관악기로 대치한 작품으로 시작하여 후에는 목관악기나 관악기만으로 편성된 실내악으로까지 영역을 넓혔다. 본 논문의 주제인 모차르트의《오보에 사중주 K.370》은 1780년 뮌헨에서 오페라《이도메네오》의 초안을 구상하고 작업하는 도중에 작곡되었다. 이 곡은 당대의 최고 오보에 연주가인 프리드리히 람을 위해 작곡된 것으로 비교적 규모는 작지만 전형적인 고전주의 소나타 작품이다. 1악장은 소나타-알레그로 형식으로 밝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2악장은 아다지오의 느린 리트형식으로 서정적인 오보에의 솔로를 적극 활용하여 마치 협주곡과 유사하다. 3악장은 론도-소나타형식으로 오보에가 화려한 테크닉을 구사하며 춤곡 분위기로 피날레를 장식한다. An Analytical Study on W. A. Mozart Oboe Quartet K.370 in F Major Chamber music for string instruments developed to the quite high level in the age of classicism but the chamber music for woodwind instruments did not. In spite of such an environment at that time, Mozart continued his experiments on chamber music including woodwind instruments. And he started with the work which replaced the first violin with a woodwind instrument in existing string quartet and later, he broadened the scope of chamber music which was organized with woodwind instruments or wind instruments only. Mozart’s 《Oboe Quartet K.370》, the theme of this paper, was composed while he was working on the opera 《Idomeneo》at Munich in 1780. This music was composed for Friedrich Ramm, who was the best oboist at that time, and it was a typical classical sonata though its scale is small. The first movement is in sonata-allegro form and it gives bright and cheerful impression. The second movement is in slow lied form of adagio, and it is more like a concerto piece by using soloistic character of lyrical oboe. And the third movement is in rondo-sonata form and in the atmosphere of dance music. The oboe part of this final movement demands virtuoso technique in order to conclude the whole music.

      • 플라톤 교육이론에서 예술의 위치 : 『국가론』을 중심으로

        이소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국가론』에 나타난 플라톤의 예술론을 모방의 개념에 의거하여 명확히 규명하고, 플라톤의 교육이론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위치를 밝히는 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톤은 이상 국가에서 시인을 추방하고자 한 예술부정론자 혹은 예술비판론자로 알려져 있다. 그가 예술을 부정한 것을 알려진 것은 『국가론』 제10권의 예술 비판 내용에 근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술부정론은 플라톤의 예술론에서 한 측면만을 강조한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써 일관성 있는 해석이라 보기 어렵다. 플라톤은『국가론』 제10권에서 예술이 눈에 보이는 현상을 모방하기 때문에 감각과 의견의 대상이 될 뿐 진리와는 거리가 멀다고 말한다. 이에 비해『국가론』 제3권에서는 예술이 눈에 보이지 않는 훌륭한 성품, 우아함, 용기, 절제 등을 모방한 것으로서 인간을 선하게 이끈다고 설명한다. 이처럼『국가론』 안에서 플라톤은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플라톤이『국가론』 10권과 3권 모두 공통적으로 예술을 ‘모방’에 의거하여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국가론』 안에서 모순된 것처럼 보이는 플라톤의 예술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방’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념상 모방은 눈에 보이는 것을 복제해낸다는 의미이다. 플라톤이 비판하는 것은 이러한 의미의 모방 예술로서, 눈에 보이는 현상을 복제하는 예술은 참된 예술일 수 없다. 즉 플라톤에 의하면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그것을 모방하는 예술은 추방되어야 마땅한 것이다. 현상을 모방한 예술은 영혼에게 ‘실재’를 보지 못하게 만들고, 눈에 보이는 현상만이 세계의 전부인 양 인식하게 만들어 영혼 전체를 타락하게 만들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술이 현상을 모방하는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예술은 눈에 보이지 않는 ‘아름다움의 실재’(實在)를 모방한다. 훌륭한 성품, 우아함 등은 아름다움의 실재가 분유(分有)된 것으로서, 예술은 이러한 것을 모방하여 감상하는 이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아름다움에 이끌려 동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이후에 아름다움과의 친근성 때문에 이성이 찾아왔을 때 영혼은 그것을 반기게 된다. 플라톤은 인간의 영혼이 근본적으로 모방을 좋아한다는 점, 즉 인간은 자신의 주변 환경에 자연스럽게 동화된다는 점에 자기 교육이론의 토대를 두고 있다. 그는 인간 영혼을 살아있는 유기체로 표현하고, 땅에 심어진 식물이 그 토양과 대기에 의존하여 자라나듯이, 영혼도 그 환경에 의존하여 성장한다고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영혼에 올바른 환경을 제공하는 일로서, 인간의 영혼이 아름다운 것에 에워싸여서 건전한 환경에서 자라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교육의 출발점이 되는 것이 바로 예술로서, 시와 예술작품은 인간에게 ‘아름다움의 이데아’를 보여주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예술교육을 통하여 아름다움에 대한 감(感)을 획득하게 된 영혼에게 플라톤은 이론적 근거를 들어 그것에 대해 설명할 수 있도록 후기교육과정에 철학교육을 제시한다. 이것으로 볼 때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지는 플라톤의 교육과정이 사실은 별개의 교육과정이 아니며, 전기의 예술교육을 통해서 후기의 철학교육으로 나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국가론』 3권과 10권의 내용은 양립 불가능한 주장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술은 현상을 모방하기도 하고, 아름다움의 실재를 모방하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다만 플라톤은 전자를 교육으로 볼 수 없기에 예술로서 인정하지 않으며, 인간의 영혼에 교육적 영향을 미치는 후자의 예술만이 참된 예술이라 밝히고 있는 것이다. 플라톤이 비판하는 것은 예술 그 자체가 아니라 교육으로서 볼 수 없는 현상을 복제한 것에 불과한 예술이다. 플라톤에 의하면 예술을 통해 인간은 아름다움과 선함을 사랑하고 추함과 악함을 본능적으로 싫어하도록 되기 때문에 예술은 도덕교육의 성격을 함의한다. 더불어 전기교육과정의 예술교육이 있어야만 후기교육과정의 철학교육이 실효를 거둘 수 있으므로 예술교육은 교육과정상 가장 선행하는 교육이면서, 근본이 되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 M. Ravel의 <La Valse> 분석

        이소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세기의 작곡가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의 피아노 독주곡인 <La Valse>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라벨의 음악양식에 영향을 미친 인상주의와 상징주의, 신고전주의에 대해 알아보고, 라벨의 생애와 그의 피아노 음악에 드러난 음악적 특징, 그리고 라벨의 피아노 독주곡 <La Valse>를 분석 연구하였다. 라벨은 전통적인 형식 안에서 인상주의적 색채감을 실현한 20세기의 프랑스 작곡가이다. 20세기에는 매우 다양한 음악사조가 존재했는데, 그 중 라벨은 인상주의와 상징주의, 신고전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사실주의를 거부하고, 미술사조에서 비롯된 인상주의와 문학사조에서 유래된 상징주의를 음악에 적용시켰다. 또한 라벨은 고전적 형식과 정확한 리듬감을 통해 보수적 경향을 고수하면서 색채감 있는 화성을 사용하였다. 라벨은 파리음악원 재학 당시 피아니스트로서 1등상을 받았다. 라벨은 건반을 염두하며 작곡했고, 그의 형식에서 새로운 경향은 피아노 음악에 직접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는 모든 종류의 음악에 민감했다. 그의 피아노 음악에서는 인상주의와 신고전주의적 색채와 함께 스페인 음악, 춤곡, 그리고 재즈적인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그는 어머니와 동료 리카르도 비네스(Ricardo Vines, 1875-1943)로부터 스페인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라벨은 많은 곡에 춤곡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작품에 녹여냈다. <La Valse>는 1920년에 라벨이 발레음악에 사용할 목적으로 오케스트라 곡으로 작곡한 작품이다. 같은 해인 1920년, 라벨은 이 관현악곡 <La Valse>를 두 대의 피아노을 위한 곡과 피아노 독주곡으로 편곡하였다. <La Valse>는 코다를 포함한 세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작곡기법의 특징으로는 왈츠 리듬의 사용, 헤미올라(Hemiola)와 복합 리듬(Poly Rhythm), 트레몰로(Tremolo), 글리산도(Glissando), 효과적 관현악법, 당김음(Syncopation), 3화음의 빈번한 사용이 있다. 본 논문은 먼저 라벨이 영향을 받은 인상주의와 상징주의, 신고전주의가 어떤 사조인지 소개하고, 라벨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소개하도록 하겠다. 또한 <La Valse>를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라벨이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음악세계를 구축했는지 소개하겠다. This thesis is designed to examine <La Valse>, a solo piano work composed by Mauric Ravel(1875-1937). After discussing Impressionism, Symbolism, and Neoclassicism, this paper investigates Ravel‘s life, the characteristics of his piano music, and his solo piano work <La Valse>. There were several trends in 20th-century music, and Ravel was influenced by Impressionism, Symbolism, and Neoclassicism. Ravel was a French composer who incorporated the Impressionistic sense of tone color in the Classical format. Ravel applied the Impressionism derived from art and the Symbolism from literature to his music. Also, he chiefly used harmony with his unique sense of color and adhered to conservatism by using the classical format with his accurate sense of rhythm. Ravel's musical features include use of various tone color, Spanish elements, dance music such as waltz, and influence of jazz. Ravel, who was influenced by his mother from Basque and his spanish colleagues, wrote musical works influenced by Spanish dances. In 1920, Ravel’s <La Valse> was originally composed as an orchestral piece for ballet music. At the same year, Ravel arranged <La Valse> for a solo piano and two pianos. <La Valse> is composed of 3 parts with coda. There are several musical traits that are used in this work: various waltz rhythms, hermiola and tremolo, glissando, syncopation, and the frequent use of triads.

      • 집단미술치료가 부적응 아동의 자기 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소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changes of KSD(Kinetic School Drawing) and the effects group art therapy targeting children with maladaptive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on school adaptation and self-efficacy. To solve these problem, it conducted an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4 children of 3th grade, considered to have maladaptive behavior by self-evaluation and classroom teacher's evaluation.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First, how does group art therapy make an impact on maladjusted children's self-efficacy? Second, how does group art therapy make an impact on maladjuste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Scales those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Kim Ah Young(1997) based on Bandura' efficacy theory was used after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produced by Kim Yong Rae(2000) that is designed to measure school adjustment at large were used to verify the study findings. It analyzed and compared the pre-test and post-test with individual results from Flynn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Through KSD(Kinetic School Drawing) as a projective test, it described student's change in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by observing student's behavior during this experimen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s a reconstruction of the prior study to meet an object of this study was provided to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at the researcher's classroom after school for 18 ssession, one or two sessions per week from March 9, 2010 to May 14, 2010. For analyze the study result First, for confirm the change of self-efficacy of pre and post test and analyzed comparison. Second, for quantitatively analysis of an maladjusted behavior compared pre and post test of conduct of school adjustments test. Third, recognizing trial state change of an maladjusted children put a KSD(Kinetic School Drawing) pre and post test and analyzed comparison with contents of a picture. Fourth, every session of the qualitative analysis which describes the conduct quality of each child led and the maladjusted child should have been visible what kind of change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execution criminal record, compar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maladjust children' self-efficacy.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maladjust children' school adjustments. Thir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letting induces the change which is affirmative psychologically with the maladjusted child. As a resul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help the self-efficacy of the maladjusted child and school adjustment, affecting is affirmative i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t will be more effective in the self-efficacy and in the school adjustment for the maladjusted child. Meanwhile, there exists some limits in this study, such as a generalize the effects of program, because it targeted only 4 children. Also, this results sh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considering th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could be easily affected by researcher's subjective opin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부적응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기 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생활적응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동의 자기평가와 담임의 평정에 의해 부적응 아동으로 판정된 3학년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부적응 아동의 자기 효능감과 학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김아영(1997)이 Bandura의 효능이론을 근거로 개발한 일반적 자기 효능감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부적응 아동의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용래(2000)가 제작한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 후 자기 효능감 검사와 학교적응 검사를 실시하여 개별 결과를 분석하여 그래프로 비교하였고 그리고 투사 검사인 KSD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변화를 기술하였으며 진행과정에서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서술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연구자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2010년 3월 9일부터 5월 14일까지 주 1~2회(회기 당 60분)씩 총 18회기로 방과 후 시간을 이용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부적응 아동의 자기 효능감의 변화를 양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자기 효능감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부적응 아동의 부적응 행동 변화를 양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학교적응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부적응 아동의 심리 상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투사검사(KSD)를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실시하여 그림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넷째, 매 회기마다 각 아동의 행동특성을 기술하는 내용 분석을 통하여 부적응 아동이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 비교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의 자기 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의 학교적응력 발달에 효과가 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으로 하여금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의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부적응 아동의 학교적응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다만 본 연구는 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일반화하여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과 내용 분석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 관점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점 등의 한계가 있기 문에 연구 결과의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사회과 신문 활용 교육(NIE)과 비판적 사고력 및 학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소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 사회에서 사회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은 사회과의 중요한 목표인 민주 시민 육성을 위해 매우 필요한 요소이다. 지금까지의 교수-학습 방법은 입시 위주의 암기식과 주입식으로 교사가 일방적으로 설명하는 수업형태였기 때문에 학생들은 수동적으로 이론에만 치중된 지식을 습득하는 데 그쳤다. 따라서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에는 학생 중심의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이 요구되는데 신문 활용 교육은 그 중 대표적인 수업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수업에서 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NIE 활용 전략에 대한 유용성과 적용 방법, 신문 활용 수업의 연구사례와 이론적 배경 등을 바탕으로 신문 활용 수업안과 자료를 제작하고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실제 수업을 실시하여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업은 인천광역시 J구에 소재하고 있는 I여자고등학교 2학년 6개 학급을 대상으로 3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3개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6주에 걸쳐 8차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받은 집단보다 신문 활용 수업을 받은 집단이 비판적 사고력의 3개 영역인 분석적 사고, 논증적 사고, 변증적 사고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신문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도표를 해석하고, 주어진 자료에서 사실과 가치 그리고 편견을 구분하여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다양한 관점에서 사회문제에 관해 주체적으로 토의·토론활동을 할 수 있었다. 신문 활용 수업에서 신문을 구독하는 학생은 구독하지 않는 학생보다 논증적 사고가 높게 나타났다. 신문구독과 신문 활용 수업이 동시에 이루어졌을 때 논증적 사고가 더욱 향상되었다 둘째,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받은 집단보다 신문 활용 수업을 받은 집단이 학습만족도 8개 영역 중 인식, 이해도, 집중도, 만족도, 활용도 등 5개 영역에서 높았다. 신문 활용 수업을 받은 학습자는 신문 활용 수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였으며 수업내용에 관한 이해도를 높였다. 학생들은 주체적으로 토의·토론활동에 참여하여 수업에 더 집중할 수 있었고, 신문을 개인학습에도 활용할 수 있었다. 이는 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 향상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나머지 흥미도, 중요도, 수용도 등 3개영역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전반적인 흥미도와 중요도를 향상시키는 데 부족했고 이것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수용도 저하로 이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신문 활용 수업 모형이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수업 분위기가 조성되어 다양한 학습 자료 개발 및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지능, 정의적 영역 등을 고려한 평가 방법이 구안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들이 신문 활용 수업의 구체적인 방법과 신문 내용 및 구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사회과 교육목표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민주 시민 양성에 있으므로 분석적 사고, 논증적 사고, 변증적 사고 같은 정의적 영역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 다섯째, 논술수업의 주요 목적이 비판적 사고력 함양에 있으므로 신문 활용 수업이 논술수업에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Critical thinking which allows to investigate and resolve social problems in this complex and varied modern society is an essential factor to develop democratic citizens: one of the major aims in all society. Students have merely acquired the theory-based knowledge passively for existing teaching-learning is being carried out in a way that the teacher one-sidedly directs students to learn by rote and by memorizing. New student-centric teaching-learning methods, therefore, are required in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of 21st century and it is the newspaper-based education that is a typical teaching method among them.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ffirmative effects of newspaper-based teaching on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In the concrete, newspaper-based teaching plans and materials are prepared on the basis of usefulness and application methods on the application strategy of Newspaper In Education(NIE), study cas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NIE, the effects on critical thinking, learning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rough actual classes with the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Six second-grade classes in a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J-gu,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nd examined eight times over six weeks; three classes for experimental groups and the other three classes for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s who took part in NIE program demonstrated higher abilities than those groups who participated in traditional explanatory classes in all the three areas of critical thinking; analytical thinking, demonstrative thinking, and dialectical thinking. By means of newspaper, the learners were able to read the diagrams themselves and drew a conclusion classifying given materials into facts, values, and prejudices. And they were also capable of discussing and debating on the social issues independently in various aspects. In NIE program students who subscribed newspapers had greater demonstrative thinking ability than those students who did not. When the newspaper-based study was carried out together with newspaper reading simultaneously, the demonstrative thinking ability was proved to be improved much more. Second, the groups who took NIE program demonstrat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ho took a traditional explanatory class in five areas among the eight areas of learning satisfaction; understanding, comprehension, concentration, satisfaction, application. Thos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NIE program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NIE, accepted it without refusal and improved the comprehension in relation to the teaching curriculum. The students were able to independently participate in discussion and debate so that they could concentrate on their learning and put the newspapers to use for individual learning. This has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general satisfaction on learning. As to the rest three areas such as interest, importance and accepta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NIE program was not sufficient to improve students' general interest and importance which lead to a decrease in acceptance by negatively influencing self-directed learning of students. Effective application of above-mentioned study results to an actual education involves efforts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should be prepared encouraging class environment which allows effective practice of NIE model. Second, evaluation methods including intelligence, affective area and so forth which are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learners should be planned. Third, teachers are required to interest themselves in specific methods for NIE program and newspaper contents and structures. Fourth, new models of an evaluation method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to evaluate affective areas such as analytical thinking, demonstrative thinking and dialectical thinking for the aim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to develop democratic citizens who can make a reasonable decision. Fifth, NIE program is required to be positively used in essay-writing based classes for the main end of an essay-writing based class is to cultivate critical think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