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쿼트 운동시 중량이 하지근육 활동에 미치는영향

        이성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쿼트 동작 시 중량에 따른 근육활동 비교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규칙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한 K대학 체육학과에 재학 중인 남학생 1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데이터 수집 전 연구대상자에게 윤리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실험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실시한 후 동의서를 받았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기자재는 근전도 측정기, 표면전극, 근전도 분석, 촬영장비, 데이터 수집 장비, 분석용 소프트 웨어로 분류된다. 본 연구의 실험 장소는 서울 소재 K대학교 체육학과의 운동역학 실험실에서 동작 촬영 및 분석을 수행 하였고 동작 촬영 및 데이터 수집을 위해 기자재는 피험자가 수행하는 전체적인 동작이 모두 들어오도록 미리 사전에 배치하였다. 스쿼트 운동을 위해 각 실험자의 1RM을 측정하여 60%, 70%, 80%, 90%의 바벨을 사용하였다. 지면반력 측정기는 스미스 머신 수직 아래 바닥과 수평이 되게 설치하였으며, 피험자의 두발이 지면반력기 위에 놓고, 실험 전 피험자들에게 실험의 목적과 절차를 세부적으로 설명하여 정확하게 이해시키고 warm-up을 실시한 후 1RM을 측정한다. 1set실시 후 5분간 휴식 후 1RM의 60%의 중량으로 두 번째 스쿼트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1RM의 70%, 80%, 90%까지 스쿼트를 반복 실시한다. 본 연구는 동작이 진행에 따른 관련 신체 관절간 협응 형태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스쿼트 동작을 3개의 이벤트 start, full down, finish 와 2개 구간 하강 구간(down phase) : start ~ full down, 상승 구간(up phase) : full down ~ finish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의 편의성을 위해 스쿼트 동작에서 양발 슬관절의 굴곡에서 최대 신전까지의 구간을 신전 구간, 최대 신전에서 다음 굴곡까지의 구간을 굴곡구간으로 설정 하였다. 1RM의 60%, 70%, 80%, 90%(4가지 중량)을 사용하여 스쿼트 운동 시 각 구간별 하지근의 평균 적분 근전도 값을 구하였다. 4가지 중량 사용 시 구간별 하지근의 평균 적분 근전도 값에 유의한 차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PASW(구 SPSS 18.0V)을 이용해 유의수준 .05에서 단일요인 반복측정에 의한 일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고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될 경우 사후분석 방법으로 Bonferroni를 사용하였다. 첫째, 스쿼트 동작 시 중량의 무게가 커짐에 따라 하지 근육활동이 유의하게 증 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60%, 70%, 80%, 90%의 중량증가에 대해 하강구간, 상승구간 모두에서 VM(내측광근)과 VL(외측광근)의 근육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 측정 결과로 보아 하지근에 가장 중요한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이 중량의 무게가 커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쿼트 동작 시 중량의 무게가 커짐에 따라 척추기립근의 근육 활동이 유의하게 증가 되었다. 하강시의 평균 근부하율 중에서는 측정해본 결과 80%의 중량을 사용하였을 시에 척추기립근의 근부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측정이 되게 나타났다. 상승시의 평균근부하율 중에서 측정해본 결과 90%의 중량을 사용 했을 시에 척추기립근의 근부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측정이 되게 나타났다.

      • 청소년 중간 지도자 훈련에 관한 연구

        이성도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 entered a ministry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in 2007 for youth ministry in my little local church. The study has been studied youth ministry which has no help other teachers for me in the small church. I happen to know some youth get encourage and challenge from other youth. So I study 'making youth leaders' in a church. Many churches eager to revive youth mission, but many youth christians has left their church. Many christian books tell about importance of accepting Jesus in youth age. We know the situation we encounter, and we do not have a solution. The issue has no considers in a church. I think that we must not blame our situations as well as justify our laziness, instead we must feel the situation and try to challenge to find out solutions. I determine on understanding youth situations which they have met. They are not adults but they have both adult's character and child's. We call them marginal person. They have been changed not only physically but mentally. We need psychological, social-cultural, theological methods to understand them. We must find out gifts which have been given by God from them. We have to give them opportunity to use their gifts. Jesus made disciples to fulfil His ministry. After resurrection they became leaders to preach the Gospel. They were not disciples any more, as spiritual leaders, they guided early churches. They spread away to be witness. I define 'Youth leaders' as Jesus's disciples became leaders. Jesus' disciples became examples as preparation, selection, fellowship, training, and sending. Jesus loved and respected them who they were different from characters. A teacher needs to try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character and special skills. So the teacher will be able to get leadership as well as capacity to be leader among their community. Youth readership is that leaders of the youth guide a goal they make, and give an influence to their followers in their situation. The good leadership is required responsibility and shared their roles. Youth leaders need many facts and one of them is love. Jesus is an example as a loving leader. Finally, application step(Ch 5.), I make a plan to apply to Bucheon True love church I serve for the youth with contents-1. preparation. 2. Selection leaders 3. Guideline. 4. Training methods and discipline. 5. sending leaders. I expect to make youth leaders through the training program. The leaders works for Jesus and their leadership transfer to their followers in the church. 본 논문은 본인이 2007년 처음으로 청소년부(중·고등부)의 사역을 시작함에 있어 작은 교회의 한계 속에서 교사의 지원이 전혀 되지 않는 상황을 타계하고자 하는 방법을 고심하던 중에 청소년들이 특정 청소년에 기대어 많은 위로와 도전을 받는 것을 보게 되어 그들을 청소년 중간지도자로서 세우는 것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탐구를 시작으로 쓰여 지게 되었다. 많은 교회들이 현재 청소년들을 잃어가고 있으며(참고 - 유홍설, 우리는 중?고등부 부흥을 열망하고 갈망했다, pp. 28-29) 청소년기가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함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에 대해서는(참고 - 임영택, 예배와 교육, p. 233) 청소년에 관련된 종교 서적들을 찾아보면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그것을 알면서도 대처하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교회들이 갖고 있는 현재의 문제들에 집착함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은 제대로 평가되어 지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이러한 문제들에 있어서 교회의 처지를 탓하고 내 자신의 게으름을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을 통해 우리가 처한 상황에서 가슴아파하며 도전하는 자세들이 필요하다 생각한다. 그럼으로 본인은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각을 그들을 이해하는 데서부터 시작하기로 결심했다.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해 가는 과도기적 상태이기 때문에 아동과 성인의 특성을 동시에 갖는다. 즉 의존적인 아동기와 독립적인 성인기의 심리적 특성을 공유하여 아동도 성인도 아닌 양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주변인(marginal person)의 특징을 갖는 시기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도기적 상태에서 여러 측면의 급격한 변화와 성장이 양적·질적으로 나타난다. 그럼으로 청소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적 관점(신체적·심리적·정신적)과 사회 문화적 관점(개인·가정·사회) 나아가 신앙적인 관점을 갖고 접근함을 통하여 그들의 다양성이 존중되어져야 하고 그들의 개별적인 은사들이 발견되어 예수그리스도를 위해 사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제자를 세워 복음의 사명을 감당하게 하셨다. 제자들은 예수께서 승천하신 후에 제자의 위치에서 복음을 전하는 지도자로 거듭나게 되었다. 더 이상 제자라는 표현의 한계에 갇혀 있지 않고 그들은 영적인 지도자로서 초대교회를 이끌었으며 그로 인해 복음의 물결은 엄청난 속도로 퍼져갔다. 나는 그러한 의미에서 중간지도자라는 표현을 선례의 연구들을 통해 인용하여 청소년 중간지도자라는 용어를 만들어내게 되었다. 제자들은 예수그리스도의 준비, 선택, 교제, 훈련, 파송의 과정을 통해 위대한 영적 중간지도자의 모델들이 되어 주었다. 그들의 다양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예수님께서는 그들 하나하나를 존중하셨고 사랑하셨다. 그럼으로 청소년 중간지도자를 선택하기에 앞서 양육자는 그들의 성향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들의 리더십을 이해하고 유형을 파악함으로 다양함 속에서 보여 지는 가능성을 발견해야 하는 것이다. 청소년리더십이란 청소년구성원들에 의하여 공유된 목표를 향하여 집단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청소년지도자의 또는 청소년의 행위이기도 하고, 주어진 상황에 활용하여 이루어진 대인 관계적 영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훌륭한 리더십은 보다 많은 청소년들에게 책임감을 공유하도록 하며 그로 인해 보다 많은 청소년들을 리더의 반열에 오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럼으로 청소년 중간지도자에게는 많은 요소들이 필요하다. 그 중에 가장 큰 지도력은 바로 사랑이다. 사랑의 원형이 되신 분, 예수 그리스도는 청소년 중간지도자의 가장 좋은 모델이 되어 주신다. 마지막으로 적용의 단계(제5장)에서는 이러한 모든 자료들을 근거하여 본인이 섬기고 있는 부천 참사랑교회 청소년부(중?고등부) 안에서 중간지도자를 세우기 위한 훈련 방안을 세워보았다. 1. 양육자의 준비 2. 청소년 중간지도자 선택 3. 교제를 위한 필수 요소 4. 훈련의 실천방법과 내용 5. 청소년 중간지도자 세우기(파송) 이상의 교육 과정을 통하여 참사랑교회 청소년부 중간지도자가 건강하게 세워질 것을 기대하며 이러한 청소년 중간지도자의 리더십이 부원들 모두에게 계승되어 발전됨으로 예수그리스도의 사역에 동참하고자 하는 부원들의 뜨거운 가슴에 부지깽이가 되길 소망한다.

      • 정부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실증 분석:메르스 환자 발생 및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이성도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On May 20th 2015, first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MERS) infectee had appeared. Since then, 186 patients and 38 deaths had occurred until the government pronounced the termination of MERS crisis. At the beginning of the MERS crisis, people felt uneasy as there were rapidly spreading rumors on the internet and SNS due to the undisclosed information about initial MERS hospital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like the causes. In terms of the risk management related to the outbreak of MER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d empirical analysis methods. These methods have focused on the following factors related to the governmental communication actions in case of the "national crisis" such as the MERS outbreak: 1/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government and the mass media, 2/whether the principles of the risk management communication are performed properly and efficiently.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has been focusing on the theoretical review by referring to the graduate theses, national and international academic researches, reference books, newspapers, government announcements, white papers, and other related referential materials. As for the empirical analysis method, a combined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218 health and medical service staffs, who have experienced the MERS outbreak most closely at the health centers located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Chungcheongbuk-do Province, and Chungcheongnam-do Province, for 7 days from May 11th to 18th. The survey is composed of 22 questions, and the nominal and Likert-5 scales are used complexly to clarify the perception differences of those who answered the survey. To conduct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ose two scales,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has been carried out to the questions using the Likert-5 scale, and used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other analysis method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main analysis results and hypotheses. SPSS 20.0 has been used for the statistical program on analyzing the results. This study has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in terms of the MERS outbreak reporting, most respondents recognizes that the principles of the risk management communication have been applied at the level of "average" or "bad" Secondly, in terms of the causes of the MERS outbreak, the respondents recognize th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hospitals are mainly responsible for the outbreak, and answered that the MERS crisis is related to the internal issue of the government, and there was enough possibility of the governmental control. Thirdly, the respondents do not think that there was not any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al image after the reporting of the MERS outbreak. They rather recognize the reporting made the governmental image worse than before. Fourthly, the general receptiveness of the respondents is average, but the reporting of the MERS outbreak is not accepted by the respondents as reported. And fifth, the principles of the risk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the receptiveness of the crisis reporting are closely related. Speed, consistency, openness, common sympathy, reliability, and fairness are the compulsory principles which should be kept in case of any crisis reporting, and those principles can be the key factors which can change the crisis to another opportunity. Sixthly, the receptiveness of the crisis report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amity of people towards the government. When the amic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people is maintained, the receptiveness of people can be improved in case of any crisis. Lastly, the respondents believes that more veracity and effectiveness are seen from taking corrective actions with admitting mistakes than showing justification or denial actions. Key words :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 MERS patient, Crisis,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 HRV(Heart Rate Variability)를 이용한 신경증환자의 자율신경계에 대한 연구

        이성도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1. Obje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search whether HRV can yield a suitable diagnosis for Activity of Autonomic Nerve System on Neurosis. 2. Methods: The testing of HRV was carried out at Oriental Medical Centar of Dong-Eui University with the participation of 159 neurosis patients. 3. Result and Conclusion: The results of HRV examinations shows as follows: 1. Tremor patients are lowest on Activity of Autonomic Nerve System. 2. Headache patients are low on Activity of Autonomic Nerve System especially on parasympathetic nerve system. 3. Fatigue patients and Palpitation patients's Activity of sympathetic nerve system is high. 4. Digestive disorder patients's are high on Activity of sympathetic nerve system against expectation 5. Insomnia patients are lowest on Activity of Autonomic Nerve System.

      • 도시지역 가로녹지경관의 심미성 증진을 위한 초화류 식재설계의 모델 개발 : 서울시 강남 일원 테헤란로를 대상으로

        이성도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가속화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각종 환경오염의 심화 자연생태계 파괴, 도시 열섬현상이 심각한 국가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훼손되어가는 도시 환경개선을 위해 도시녹지 중 중앙분리녹지와 가로수정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녹지 뿐 만이 아니고 경관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원예조경이 도입되어 일년초를 도심 녹지공간을 이용하여 식재하거나 이동식 콘솔박스 등을 이용하여 경관을 살리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녹지는 도시 내의 각종 이질적 토지이용을 순화 분리시키고 각 종 환경오염의 피해를 공간상에서 차단시키거나 재해를 경감시키고 시설물의 보호와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를 말하며 도시기능의 증대와 생활환경의 질을 재고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도시 녹지 공간으로서 중요한 중앙분리녹지는 각종 재해와 환경오염을 저감하거나 격리시키는 기능 뿐 만 아니라 도시민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도시 경관 향상과 같은 심미성 기능도 중요시 되고 있다. 이는 시민들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쾌적한 도시환경과 녹지 공간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으며 도시녹지를 바라보는 시각이 많이 바뀐 것에 기인되고 있다. 이제 도심 도로변 중앙분리녹지는 과거 도시개발에 따라 조성된 영향 저감기능 일변도에서 다양한 도시녹지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중앙분리녹지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도심 도로변 중앙분리녹지의 기능보완은 현재 녹지의 형태, 지형구조 및 실재현황개선과 심미성 향상, 녹지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통하여 매년 반복되는 몇 개월마다 교체방식의 일년초 식재에 다른 경제적 실효와 시간적 관상 손실을 최소화 하여야 하겠다. 연구대상지는 도심,도로변 중앙녹지이며 다양한 토지이용을 필요로 하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중앙 분리녹지 와 도로변 가로수를 선정하였다. 테헤란로의 구간을 3개구역으로 구분하여 구간별 특징을 살리고 주변지역의 경관조화를 이루고 식재의 내용을 변화를 주어 심미성을 주었으며 구역거리마다 관목의 수종을 특성있게 심어 경관미를 살리려고 노력했다.. 이 지역은 도심대로변 녹지이므로 도시민의 접근성이 높고, 많은 교통량이 왕래하는 곳으로 상업지역, 근린시설, 고층아파트지역 등 유동 인구밀집지역이며 다양한 시설이 분포된 지역특징이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지 중앙분리녹지는 녹지의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채 대부분 차량 영향 저감기능 일변도의 획일적인 식재기능 및 식재양식으로 조성되어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앙분리녹지와 인도변 가로수 주변 토지이용과 식재현황을 파악하고 두곳의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초화류 식재를 통하여 완충녹지의 기능을 재설정한 후 경관개선, 심미성 증진, 효율성 극대화, 주변 경관조화, 경제성 강화 등의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Since 1970's urbanization wa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results in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gradation of ecosystem, specially heat island phenomeno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to urban space generated intensive land use, and so insufficient space, especially roadside become main cause of confliction and complexity, aggravated amenity of residents. Accordingly streetscape in urban should be situated as core space and landscape resources, which is various values joint and contact. In spite of importance as urban node, streetscape is very poor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Interesting and seasonal change is very insufficient and monotonous through total streetscape. We need to improve bleak urban landscape by introduction of seasonal characters and remodelling of green infra in streetscap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informations necessary to remodelling of streetscape focused on green infra. Study area is Tehaeran street(from Kangnam Station to Samsung station of lane 2 of Seoul metro) main road passing through east-west of Kangnam town, Seoul metropolitan. This street has boulevard structure having driveway above 50m with central buffer zone of 4m width and pedestrian route toward both roadside of 6-7m width. Main tree is sycamore(Plantanus occidentalis), height above 10m and braod tree crown, and diameter of average 30cm. This tree was planted 3 row (both pedestrian route and central buffer zone) with intervals of 4-8m. This study considered cost-effective planting design model centered to herbaceous & climbers to improve esthetic quality under maintenance of main tree. Accordingly new planting method was designed considering unity and variety of total streetscape and sectional streetscape simultaneously. This planting model has attractive structural landscape with vertical dimension(climbers with height of 1-2m) and horizontal composition (gradual sequence with mixed bed of wild herb showing seasonal succession).

      • 청소년 진로의사결정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이성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공선택을 함으로 1차적인 진로의사결정을 내린 대학교 1,2학년 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성숙도를 알아보고, 어떠한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논문이다. 본 조사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1,2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락표본추출과 할당표본추출방법의 병용을 통하여 420명의 청소년을 설문조사 하였고, 자료를 정리한 후 359매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내용은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을 파악하고, 개인적 변인, 심리.사회적 변인, 환경적 변인 등의 독립변인에 따라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기존에 논의되지 못한 학교 외부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영향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청소년 진로의사결정 성숙을 위한 청소년복지차원에서의 제안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속변수는 Harren이 개발 후 Buck과 Daniels가 여섯 번째로 수정, 보완한 진로의사결정 검사 척도를 서우석(1994)이 번안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는 개인적 변인, 심리.사회적 변인, 환경적 변인이다. 개인적 변인은 성, 학업성취도, 사회경제적 지위, 거주지역 등의 변인과 학교내의 진로교육경험 및 학교외부에서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경험여부이다. 심리.사회적 변인은 중요한 타인의 영향이며, 환경적 변인은 사회.경제적 지위, 출신지역이다. 통계처리는 SPSS WIN 10.0+ Version을 사용하였고, 주로 이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 등이었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 집단간 진로의사결정 성숙도 점수는 성별에 따라 유의차가 없었다. 2) 학업성적이 높은 청소년이 학업성적이 낮은 청소년보다 학교 적응과 전공계획에서 점수가 높았다. 3) 출신 고등학교 소재지별 집단간 진로의사결정 성숙도 점수는 차이가 없었다. 4) 가장의 교육수준과 가정의 월평균 소득 등 사회경제적 지위의 수준에 따라 진로의사결정 성숙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온 집단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 집단보다 학교 적응과 직업 계획 및 전공 계획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6)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학교 적응과 직업 계획 및 전공 계획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7) 진로교육 경험이 많은 집단의 청소년들은 경험이 적은 집단보다 학교 적응과 직업 계획 및 전공 계획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8) 학교교육이외의 진로교육프로그램 경험이 많은 집단의 청소년들은 경험이 적은 집단보다 학교 적응과 직업 계획 및 전공 계획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9) 학교 적응은 중요한 타인의 영향, 자아개념, 진로교육경험, 학교 이외의 진로교육프로그램 경험과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직업 계획은 중요한 타인의 영향, 자아개념, 진로교육경험, 학교 이외의 진로교육프로그램 경험과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공 계획 역시 중요한 타인의 영향, 자아개념, 진로교육경험, 학교 이외의 진로교육프로그램 경험과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10)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개념, 학교 이외의 진로교육프로그램 경험, 중요한 타인의 영향, 진로교육경험의 순이었으며, 예언변인에 의해 설명되는 총 예언변량은 31.3%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개념, 학교 이외의 진로교육프로그램 경험, 진로교육경험의 순이었으며, 예언변인에 의해 설명되는 총 예언변량은 20.8%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 이외의 진로교육프로그램 경험, 자아개념, 진로교육경험, 중요한 타인의 영향의 순으로 나타났고, 예언변인에 의해 설명되는 총 예언변량은 23.6%이다. 11) 진로의사결정 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개념, 진로교육프로그램 경험, 진로교육경험, 중요한 타인의 영향의 순이며, 예언변인에 의해 설명되는 총 예언변량은 36.5%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활용하고 앞으로 후속되어야 할 연구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자아개념이 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진로의사결정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청소년의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을 위한 자아개념 향상 지원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대학진학 중심의 진로지도가 만연하고, 급변하는 사회와 문화속에서 자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어려운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신의 잠재력과 적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복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중요한 타인의 영향이 진로의사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기대와 정적인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사회복지적 노력이 청소년 본인에게만 국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청소년과 이를 둘러싼 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서만이 건강한 청소년을 육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회복지 실천의 체계적 접근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셋째, 학교이외의 진로프로그램 경험여부나 진로교육의 경험이 중요한 타인의 영향보다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요인이라는 청소년에게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특성과 직업세계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현명한 진로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 효과적인 진로지도와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함의를 제공한다. 즉,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되는 적성, 능력, 흥미, 성격 등의 요소들을 합리적으로 고려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진로지도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교육 이외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이 학교내 진로교육에 비해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학교에만 맡겨둘 수 없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청소년복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므로 건강한 청소년 발달을 위한 청소년복지 차원에서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학교사회사업의 정착을 위한 노력과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도핑프리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용 V2O5 ALD의 오존 최적화 연구

        이성도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는 p-type의 도핑 된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B2H6와 같은 독성 가스를 사용하여, p-i-n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도핑 층으로 인하여 공정 안정성과 환경적인 이슈가 대두되며, 또한 도핑은 추가적으로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안정화 효율을 지속적으로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핑을 하지 않은 a-Si:H을 이용한 태양전지로써 창 층으로 전이금속 산화물인 V2O5 를 사용하고, 광 흡수층과 n형층으로 i-Si:H, n-a-Si:H, 후면전극으로 Ag를 사용하였다. 금속 산화물인 V2O5와 n-a-Si:H의 큰 일함수 차이에 의해서 흡수 층인 i-Si:H 에서 생성된 캐리어들은 효과적으로 분리되고 수집이 된다. 전이금속 산화물 V2O5 는 ALD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며, ALD공정을 통해 보다 좋은 막질의 V2O5를 얻었다. ALD공정 조건(오존 주입 시간)에 의하여 결정화도, 산화도가 결정되었다. X-선회절분석(XRD)을 통해 박막의 물성을 파악하고, 자외선 광전자 스펙트럼(UPS)과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통해 일함수와, 산화도를 분석하였다. 오존 주입 시간에 따라서 여러 가지 다른 특성이 나타났으며, 이는 곧 박막 태양전지에도 밀접한 영향을 주었다. ALD법을 이용하여 오존 주입 시간에 따라 최적화된 V2O5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그 특성을 전류밀도, 개방전압, 충진율을 통해 살펴보았다.

      • 콘크리트 充塡 角形鋼管기둥-H形鋼보 骨組의 接合部 形式에 따른 耐力

        이성도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the development of the high-rize architecture in the current construction environments, the concrete-filled tube structure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efficient structural systems to reduce the column section and to increase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it because the confinement effect of infilled concrete can reduce the deformation of steel tube and can avoid the concentration of internal stress. It researched several jointing-methods of frame consisting of a concrete-filled steel tubular column and H-shaped beam. These beam-to-column connections is parameters to following; columns of square shape pipe infilled with or without concrete, joints assembled two types of diaphragm, outside-type and through-type. And it is testing that cyclically lateral loadings used hydraulic ram. In testing, we'll be on purposed to estimate the hysteretic behavior, strength and stiffness, energy absorption capacity, deformation capacity and failure configuration of each specimen. It is concluded that the frame specimens with outside-type are more stable and exhibit more energy absorption capacity compared with the through-type, in column of filled with concre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