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설희 작품전

        이설희 동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석사학위 청구 논문을 대신 하기 위해 진행한 본인의 개인전 도록이다. 그러므로 일반 연구 논문의 형식과는 다름을 밝힌다. 본인작품의 主題는 人體表現 이며, 그 표현의 방법으로는 누드 크로키이다. 미술에 있어 人體의 表現은 일찍이 舊石器時代 동굴벽화에서부터 나타내고 있다. 원시미술에서 누드표현은 생명의 유지와 多産과 풍요를 기원하는 呪術的 성격으로 표현되었고 오늘날 누드 미술의 始初가 되었다. 이는 古代藝術과 현대를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오늘날 까지도 많은 작가들이 누드를 표현대상으로 하고 있다. 누드미술이 르네상스기의 모든 화가들의 욕구에 충족한 작품의 주제였음은 수많은 걸작들을 통해 증명되고 있으며 신화적인 인물을 통한 영원불변성을 강조한 그리스의 수많은 作品들은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온다. 神에 의해 이상의 세계를 표현한 중세 기독교 미술의 主題 또한 人間의 肉體를 理想의 世界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近代의 누드는 육체를 재현하는 단순한 표현보다 인간 내면의 표현이 造形화 되었다. 裸體美術은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회화 사조를 떠나서 인간 자신의 몸을 통해 영혼을 투사하는 표현과 自己自新에 대한 탐구로 미술 속에서 유일한 共通分母로써 계속되어오고 있다. 본인작품의 주된 표현 방법은 인체 누드 크로키(croquis)이다. 크로키는 불어로 영어의 스케치와 같은 의미 이며, 짧은 시간 내에 사물을 포착하여 그려내는 미술표현의 한 가지 방법이다. 인체 누드크로키는 인물의 개괄적 형상을 순간에 잡아내어 빨리 단순화 시켜 그리게 되는데 그러므로 보통이며 세세한 부분은 생략하게 된다. 그래서 작품은 단순화되고 생략된 모습으로 드러나게 되는데, 이는 인체의 균형과 동세, 체적감등을 짧은 시간에 포착 해냄으로써 거기에는 작가의 감성과 감동이 진솔하게 드러나고 있다. 본인의 작품에서도 이와 같은 크로키의 특징을 십분 발현하여 본인의 미적 감성과 본인이 인체를 통해 느끼는 감동을 표현 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대부분이 크로키 재료로써 콘 테, 크레파스, 연필 등을 많이 사용 하였다. 본인은 우리 전통의 모필 을 사용함으로써 모필 의 유연성과 먹의 발묵성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바탕재료는 광목을 사용함으로써 모필 의 유연성과 먹의 발묵성을 최대한 활용 할 수 있었는데 이것이 본인 작품의 성과라 하겠다.

      • 융합형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웨이퍼에 증착한 회로패턴에 대한 형태학적 물성평가

        이설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융합형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기술은 열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분야 와 같이 미세한 대상체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는 LED 소자나 디스플레이 산업, 반도체 산업 등에서 열 저항으로 초래하는 미세결함의 초기 발견이 미흡한 산업에 높은 활용도가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한다. 합형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언급하기 전,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간략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먼저, 물체가 가진 높이 정보와 이미지를 마이크로·나노 단위로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기술은 수치적인 계산을 통해 자유로운 초점 변경이 가능하며 공간상 실사에 대한 상을 완벽하게 재현하여 관찰자에게 실사 관찰과 같은 입체감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은 문화, 예술, 디스플레이, 측정산업, 의료, 학술 등 폭넓은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열화상 이미지와 높이 정보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는 진단 시스템은 제품 품질 진단의 가속화를 이룰 수 있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응용하여 적외선 열화상 기술을 결합한 융합형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구현하며 융합형 기술을 활용한 3 차원 손상 진단은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학술적인 중요성이 부각된다. 따라서 열화상 이미지와 높이 정보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는 진단 시스템은 대상체의 품질 진단의 가속화를 이룰 수 있는 장비임에 아래와 같은 중요성이 강조된다. 첫째, 3차원 좌표를 포함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량 지점을 진단 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품질의 직관적인 진단 및 발열 해소 시스템의 최적화 설계에 새로운 계측 장비로 활용 될 수 있다. 둘째, 발열에 의한 반도체 소재의 물리적 변화를 계측할 수 있음으로 품질 진단은 물론 소재의 물리적 연구 수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므로 산업적인 중요도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중요성을 지닌다. 마지막으로, 특정 고온 조건에서의 품질 진단뿐만 아니라, 발열량이 증가하는 원인 및 변화 양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실제 사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조기 진단 역시 가능하다. 본 논문은 동적 융합형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3 차원 열화상 이미지 획득에 관한 연구로, 반도체의 발열 현상을 높이 정보와 동시에 복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는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반사형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다양한 광학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다. 동적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지만, 정적인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연구 역시 기초 분야 연구에 중요한 점을 인지하였다. 초점 확장 ( EDOF, Extended depth of focus ) 기법이 도입이 된 디지털 홀로그래피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해당 연구에 사용된 기술이 접목된 3차원 열화상 이미지 측정 및 복원 과정을 통해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장점과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In this paper describes basic measurements and applications of digital holography with these advantages. Nowadays Digital Holography is useful tool to observe the 3 D object. The hologram contains all diffracted information from the object, and the object can be reconstructed at any desirable position after numerical mathematics. Digital Holography applied in many fields such as applications in deformation analysis and shape measurement, particle tracking and microscopy, measurement of refractive index distributions within transparent object and so on. However, when wave couldn’t transfer of object, conventional Digital Holography couldn’t analysis the measurement inner structure. Infrared (IR) thermography is a suitable method for non-destructive measurements when visible light cannot penetrate a targe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black body radiation, all objects with temperature greater than absolute zero emit IR radiation. IR thermography detects radiation in the infrared range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roughly 700 nm to 1 mm) and produce images of that radiation. The result of the thermo graphic recording is an image or a sequence, which corresponds to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radiation of the measured object. Thermographic systems with high-speed and high-sensitive IR camera expand the possibilities as an inspection method on the failures such as cracks, defects, voids and cavities. Recently, a digital holographic technique has an extended measurement range with IR wave, which called IR digital holography. IR digital holography has been widely applied in different fields, such as infrared optics, infrared transmitting materials. However, typical IR digital holography acquire the interference pattern high power coherent source in the mid IR range like a 10.6 µm wavelength CO2 laser. Therefore, IR digital holography cannot expect high resolution as conventional visible light digital holography. In this paper, I combined digital holography and thermography optical measurement system for analysis 3D surface deformation and thermal information of a vapour–deposited circuit pattern on a wafer. I obtained quantified phase maps and focused images using off-axis digital holography reconstruction techniques. Then we used 3D texturing method to create the 3D surface temperature map. This method could conserve the high resolution of visible digital holography and sensitivity of thermal detector. It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requiring a complex field. Because, Digital holography has fast computation time and high resolution. Examples are industrial measurment of microscale object surface information, and microscopes for medical sample measurements.

      • 집단표현예술치료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이설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표현예술치료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2014년 3월부터 4월까지 2개월간 주 2회 100분 씩 총 12회기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 인터뷰와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종결 이후 사후 인터뷰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G시 이주여성인권센터에서 주관하는 교육프로그램인 한국어교실에 참여하고 있고 한국 체류기간이 5년 이하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5명이다. 연구의 자료처리에 사용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도구로는 Sandhu & Asrabadi(1994)가 외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nal Student를 이승종(1995)이 한국어로 번안한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비교분석(paired-samples t-test)을 통하여 검사 간 사전·사후 차이를 양적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으로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보완하는 도구로 투사검사인 빗속 사람 그림 검사(PITR)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에서 사전 점수가 122점, 사후 점수가 107.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t=6.366, p<.003). 문화적응스트레스 하위영역에서는 지각된 차별감, 지각된 적대감, 두려움, 기타 영역에서 사후 검사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빗속 사람 그림 검사(PITR)에서는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대처능력이 증가하였다. 사후 검사에서는 인물표정이 뚜렷해지고 인물의 크기도 커졌다. 사전 검사에 비해 인물의 위치가 안정적이며 필압이 강해진 것을 보아 긍정적인 정서로 변화된 것을 표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집단표현예술치료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생활 적응에서 오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전략을 수립하고, 나아가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표현예술치료프로그램으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on relieving acculturative stress of the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The program for this study was performed by 2 times within 100 minutes per a week (total of 12 sessions) for 2 months from March to April 2014; pre-interview and pre-test were performed before the program began and post-interview and post-test were performed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The target of study was 5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who had migrated from Vietnam less than 5 years ago, participating in Korean Class, an education program supervised by Women Migrants Human Rights Center in G-city of Gyeonggi-do. The analysis method for research data processing is shown below: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developed by Sandhu & Asrabadi (1994)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translated to Korean by Seung-jong Lee (1995),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examining the acculturative stres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paired-samples t-test was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s and post-tests. As qualitative analysis, PITR(Person In The Rain) test, projective test, was performed to complement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acculturative stress scale, the pre-test score was 122 and the post-test score was 107.4 with significant decrease (t=6.366, p<.003). In the sub-dimensions of acculturative stress, the post-test scores in the area of perceived discrimination, perceived hatred, fear, and othe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Second, in the PITR test performed to examine the change of stress-coping abilities against the stress of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the stress-cop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post-test as compared to the pre-test. In the post-test, the emotions of persons became more evident, the sizes of persons larger, and the pressure of pen stronger. Also, as the location of person became more comfortable, it seems to express positive emo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on relieving acculturative stress of the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According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ctively utilized as art therapy program, establishing coping strategies for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against the stress occurred in adapting to Korean life and supporting their independent and autonomous lives. Mục đích của luận văn này là tìm hiểu ảnh hưởng của tâm lý trị liệu thông qua nghệ thuật diễn đạt tập thể trong việc giảm thiểu stress thích nghi văn hóa của phụ nữ Việt Nam nhập cư thông qua kết hôn. Để thực hiện công trình nghiên cứu này, chúng tôi đã tiến hành chương trình tổng cộng 12 lần, mỗi tuần 2 lần, mỗi lần 100 phút, trong vòng 2 tháng, từ tháng 3 đến tháng 4 năm 2014; trước khi bắt đầu chương trình, chúng tôi đã tiến hành phỏng vấn và kiểm tra. Sau khi kết thúc, chúng tôi cũng tiến hành phỏng vấn và kiểm tra. Đối tượng nghiên cứu là 5 phụ nữ Việt Nam nhập cư vào Hàn Quốc từ 5 năm trở xuống, và đang theo học lớp tiếng Hàn, chương trình do Trung tâm nhân quyền phụ nữ nhập cư của thành phố G, tỉnh Kyung-ki. Chúng tôi đã sử dụng phương pháp phân tích sau để xử lý tài liệu nghiên cứu: Chúng tôi đã sử dụng thang điểm stress thích nghi văn hóa mà Lee Sung Jong(1995) cải biến từ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nal Student do Sandhu & Asrabadi(1994) đưa ra để tiến hành nghiên cứu trên đối tượng là du học sinh nước ngoài. Để kiểm chứng hiệu quả của chương trình, chúng tôi đã sử dụng Công cụ kiểm t cho phân tích định lượng sự khác biệt trước và sau khi kiểm nghiệm Thứ nhất, về thước đo stress thích nghi văn hóa, điểm trước khi thực hiện chương trình là 122 điểm, điểm sau khi thực hiện chương trình là 107, 4 điểm; stress đã giảm đi đáng kể (t=6,366, p<,003), điều này có ý nghĩa phương diện thống kê. Về lĩnh vực nhỏ hơn của stress thích nghi văn hóa, điểm số trước và sau khi kiểm tra trong các lĩnh vực phân biệt có nhận thức, lòng thù hận có nhận thức, sự sợ hãi và các lĩnh vực khác cũng giảm thiểu một cách có ý nghĩa. Thứ hai, về kiểm tra bức tranh người trong mưa (PITR) – công cụ chúng tôi sử dụng để tìm hiểu sự thay đổi về khả năng xử lý đối với stress của phụ nữ Việt Nam nhập cư - năng lực xử lý stress sau khi thực hiện chương trình được cải thiện so với trước khi thực hiện chương trình. Sau khi thực hiện chương trình, gương mặt của nhân vật trở nên rõ ràng hơn, chiều cao của nhân vật cũng cao hơn, nét bút cũng mạnh mẽ hơn. Đồng thời, ví trí của nhân vật cũng được thay đổi theo chiều hướng ổn định hơn. Qua đó, chúng ta có thể thấy rằng đối tượng nghiên cứu đã diễn đạt cảm xúc một cách tích cực. Ý nghĩa của luận văn này nằm ở chỗ nó làm sáng tỏ những ảnh hưởng của tâm lý trị liệu thông qua nghệ thuật diễn đạt tập thể trong việc giảm thiểu stress thích nghi văn hóa của phụ nữ Việt Nam nhập cư thông qua kết hôn. Thông qua đó, chúng ta có thể đề ra chiến lược xử lý stress trong quá trình thích nghi cuộc sống Hàn Quốc cho phụ nữ Việt Nam nhập cư thông qua hôn nhân; và tiến xa hơn, chúng tôi hy vọng Tâm lý trị liệu thông qua nghệ thuật diễn đạt tập thể sẽ được tích cực áp dụng nhằm giúp họ có thể sống một cách tự chủ và chủ động.

      • 우드 무늬 인테리어 필름지의 인지속성과 감성특성 연구 : 원목 패턴의 바닥재 중심으로

        이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more people want to use natural materials, environment-friendly designs, which use artificial materials to optimize color and texture of natural materials, become trendy.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have some study on natural materials, which are the motifs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and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solid wood floors and to find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of interior films that are necessary to optimize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the solid wood floor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for each wood were deduced by comparing 146 solid wood floors, such as maple, ash, oak, teak, and walnut that were mainly used for houses, with the wood patterned interior films. Second, using surface property-sensibility adjective evaluations, the distinctions among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each wood and the common sensibilities of the solid wood floors were deduced by investigating five sensibility properties of each wood. Third, the relations between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and the sensibility properties were deduc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main cognitive attribute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sensibility property study for each wood. Lastly, the results of the main cognitive attribute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sensibility property study were separated. Then the combined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we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main cognitive attribute study of the wood patterned floors were as follows: First, lightness and the wood grains were found to be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for each wood. Second, there exists the priority order among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for each wood. Third, maple had ‘high lightness’ ash, ‘high/medium lightness’ or ‘high lightness’ oak, ‘high/medium lightness’ teak, ‘low/medium lightness’ and walnut, ‘low/medium lightness’. Forth, ash and oak woods showed the sensibility properties due to their unique wood grains. The results of the sensibility property study of the wood patterned floors were as follows: First, the wood patterned floors had ‘subdued’ and ‘warm’colors as their common surface properties. Second, the wood patterned floors had ‘pleasant’, ‘smooth’, ‘comfortable’, and ‘tranquil’ feelings (sensibilities) as their common sensibility properties. Third, the major surface property of maple was ‘smooth’ ash, ‘vivid’ oak, ‘irregular’ teak, ‘warm’ and walnut, ‘heavy. Forth, the major sensibility property of maple was ‘cheerful’ ash, ‘lively’ oak, ‘complex’ and teak and walnut, ‘dignified. From the comprehensive analyses of the results of the cognitive attribute study and the sensibility property study, the relations between the cognitive attributes and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wood patterned floors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The distinctions among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each wood came from the distinctions among the surface properties of each wood. Specifically, the distinctions were heavily affected by lightness and the wood grains. Studies on artificial materials must be continued hopefully the deduced cognitive attributes and sensibility properties from this study would help developing product designs for artificial materials, which can replace natural materials. 천연 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높아지면서 인공 소재를 통해 천연 소재의 색채와 질감을 살리는 친환경적 디자인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그래서 디자인의 모티브인 천연 소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원목마루를 구성하는 주요 인지 속성과 감성 특성을 조사하고 인테리어 필름지가 그 감성 특성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요 인지속성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 공간의 원목 마루 바닥재로 주로 사용되는 Maple(메이플), Ash(애쉬), Oak(오크), Teak(티크), Walnut(월넛) 원목마루와 146개 우드 무늬 인테리어 필름지를 비교하여 수종별 주요 인지 속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표면 특성 – 감성 형용사 평가를 통해 5개 수종별 감성 특성을 조사하여 수종별 감성 특성 차이와 원목 패턴 바닥재의 공통 감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수종별 주요 인지 속성 조사 결과와 수종별 감성 특성 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원목 패턴 바닥재의 인지속성과 감성특성 관계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주요 인지 속성 조사와 감성 특성 조사 결과로 나누고 이 둘을 비교 분석하여 종합한 결론을 제시하였으며, 먼저 원목 패턴 바닥재의 인지속성 조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종별 주요 인지 속성은 명도와 나뭇결로 확인되었다. 둘째, 수종별 인지 속성 간에는 우선순위가 존재한다. 셋째, 명도에 따른 수종별 특성은 Maple(메이플)은 고명도, Ash(애쉬)는 고·중명도, 고명도, Oak(오크)는 고·중명도, Teak(티크)는 저·중명도, Walnut(월넛)은 저·중명도 이다. 넷째, Ash(애쉬)와 Oak(오크)는 특색 있는 나뭇결로 인해 감성 특성의 특징을 보인다. 원목 패턴 바닥재의 감성특성 조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목 패턴 바닥재의 공통 표면 특성은 ‘은은한’ 색감과 ‘따뜻한’ 온도감이다. 둘째, 원목 패턴 바닥재의 공통 감성 특성은 ‘쾌적한’, ‘부드러운’, ‘안락한’, ‘정적인’ 감성이다. 셋째, 수종별 대표적인 표면 특성은 Maple(메이플)이 ‘매끄러운’, Ash(애쉬)가 ‘선명한’, Oak(오크)가 ‘불균일한’, Teak(티크)가 ‘따뜻한’, Walnut(월넛)이 ‘무거운’이다. 넷째, 수종별 대표적인 감성 특성은 Maple(메이플)이 ‘경쾌한’, Ash(애쉬)가 ‘생기 있는’, Oak(오크)는 ‘복잡한’, Teak(티크)와 Walnut(월넛)이 ‘중후한’이다. 인지속성 조사 결과와 감성특성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원목 패턴 바닥재의 인지속성과 감성특성 관계는 다음과 같다. 수종별 감성 특성 차이는 표면 특성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명도와 나뭇결의 차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지 속성과 감성 특성이 천연소재의 대용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인공소재의 제품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 질화붕소나노튜브의 정제 및 금속 기능화

        이설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질화 붕소 나노튜브(boron nitride nanotube, BNNTs)는 카본 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CNTs와는 다른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다. BNNTs와 CNTs가 유사한 기계적 물성을 보여주지만, 전기 절연 특성 및 고온 안정성, 중성자 차폐 등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플라즈마 등을 이용한 고온 제조 공정을 통해 대량생산된 BNNTs는 낮은 순도를 가지고 있으며, 대량 정제 기술 개발 또한 아직 초기 단계이다. 특히, BNNTs 제조 시 생성되는 주된 불순물인 h-BN이 BNNT와 유사하게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BNNT로부터 선택적으로 h-BN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열 산화, 수산화화, gamma ray 또는 전자빔 조사, 그리고 폴리머 기능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h-BN 또는 BNNT를 기능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 중에 poly(4-vinylpyridine) (P4VP)을 이용한 폴리머 기능화에 성공하여 pyridine에 있는 질소 원자와 BNNT의 붕소 원자 사이의 쌍극자 결합을 통해 메탄올 내에서의 BNNT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정제 후 BNNT에 붙어있는 P4VP는 산 처리를 통해 형성된 더욱 강한 산 기반의 상호 반응을 이용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용액 처리 정제 방법을 통해 BNNT를 대량 정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팔라듐 그리고 구리 산화물, 망간 산화물과 같은 금속 및 금속 산화물을 BNNT과 결합시키는 기능화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 사이버학급경영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설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find out the way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affect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has been in practice and indicated the differences from two groups: one taken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and the other not taken it. In addition, through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two factors, the research has purposes to show some proper ways to improve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and provide them with proper materials for the manag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set up the following four hypothesizes below: First, does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have an influ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by gender, what are the differences from the learners? Third, by the educational grades of the learners, what are the differences from before and after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Forth, by taking classes from private institution including tutoring, what are the differences from before and after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For the research, the subjects are 68 learners of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ksan City, Jeonbuk. They are in sixth grade and come from two classes; 34 learners each a class. The 34 students whom the author is responsible for as a homeroom teacher was decided to b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34 students became the controlled group, and then conducted a survey to see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the author used for this research had been used before by Jinryoung Kim(1989) and Sunja Son(1993) and it adjusted in some part to learners from 4th to 6th grade. The survey consist of 6 categories :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class, settings of school, event of school and classroom,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peer group. To analyze the experiment, SPSS/WIN 12.0 was us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affects on elementary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class,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peer group and the settings of school in positive way, and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general. Second,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by gender shows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class, the relationship and peer group. The most increased part that boys and girls both were satisfied with most is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 part. Third,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by learners' educational achievement shows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eacher and peer group. And the most increased part is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 part. Among the middle class learners, the parts of teacher and settings of school increased but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hows nothing meaningful in the survey. Among the low class learners, the parts of school life, class, the relationship, peer group and settings shows an increase and the most increased part is the satisfaction of the part of the “CLASS”. Forth,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by private institution lecture shows that the students taking lectures in private institu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class and the relationship, and the “TEAHCER” part increased most. The students not taking lectures in private institu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class, the relationship and peer group, and the “CLASS” part increased most. 본 연구는 사이버학급경영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이버학급경영을 실시한 학급과 실시하지 않은 학급을 대상으로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사이버학급경영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방법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이버학급경영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생의 성별에 따라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학생의 학원수강 여부에 따라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북 익산시에 소재한 C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담임을 맡은 학급 34명을 실험집단, 다른 학급 34명은 통제집단으로 정한 후,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학교생활만족도 검사지는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에 대한 만족도의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통계처리는 SPSS/WIN 1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학급경영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키며, 학교생활만족도 전체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성별에 따른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후,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셋째, 학업성취도에 따른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후 상위권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중위권 학생들은 교사에 대한 만족도와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고, 학교생활만족도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위권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고,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넷째,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원수강 여부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원수강을 하는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고, 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상승했다. 학원수강을 하지 않는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고,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 산화망간-그래핀 나노 구조체의 합성과 구조 분석 및 촉매 응용 연구

        이설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straightforward synthetic route to prepare graphene (G) based manganese oxides (MnOx) MnO/G, Mn2O3/G, Mn3O4/G, and MnO2/G by controlling gas environment. The preparation method involves (a) preparation of graphite oxide (GO) from graphite, (b) impregnation of Mn2+ precursor on GO, and (c) precise thermal treatment of Mn2+/G in H2, Ar, and air environment to produce specific MnOx/G. The analyses of XRD, TEM, IR, and XPS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e formation of crystalline MnO, Mn2O3, Mn3O4, and MnO2 NPs on graphene. The prepared MnOx NPs showed not only uniform size distribution but also fine dispersion on the graphene. Finally, the catalytic reactivity of the prepared MnOx/G have been investigated in oxidation reaction of alkylaromatics to ketones and the final product ensure a new platform of MnOx/G nanocomposites in the oxidation reaction.

      • ‘현실과 발언’ 그룹의 작업에 나타난 사회비판의식

        이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focuses on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society present in the artworks of South Korean art movement group “Reality & Utterance.” From the late 1970s to early 1980s, the Republic of Korea experienced the rise of popular anti-government movements. During this protest atmosphere, in 1979 artists and art critics who had been preparing an exhibition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4.19 revolution organized “Reality & Utterance.” Their basic goal was to develop art in accordance with societal issues of the day, and through various kinds of projects, sought to clarify art’s role and social context. While the group correctly identified the social reality and problems of the art field at the time, research on their activities mainly focuses on connecting them to “Min Joong Art” (popular art) during the 1980s,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artists themselves. Considering that independent art movement group “Reality & Utterance” used its critical minds to transform the reality of the time, this thesis deals with the group’s effects on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society achieved through the viewing its artworks’ genres, styles and themes. Social critical art began in earnest in South Korea with the acceptance of ‘Realism’ by young artists in the 1980s. The first group to focus in this area, “Hyeonsil Dongin” (Reality Society), was actually organized in 1969. However, the group was unsuccessful, and the torch was taken up by “Reality & Utterance” when it became active in 1979. This type of art was at the forefront of reforming the lack of communication in the art scene of the preview few decades, and the acceptance of ‘Realism’ by “Reality & Utterance” allowed for the introduction of a critical consciousness of society through art. The group constructed their art world by adopting elements of popular culture through art reproduction and appropriation. “Reality & Utterance” also accepted various styles and genres in their artwork to go against the former system and practice, resulting in artworks that most could not fully comprehend. In addition, the group made various kinds of artworks by absorbing styles which had not yet dealt with mainstream art before such as photography, ink print, animation, reproduction, collage, etc. Through these methods, “Reality & Utterance” questioned old values which were controlling the art scene to awaken consciousness about reality. Above all, “Reality & Utterance” featured themes that mirrored Korean society at the time, such as an overabundance of visual stimuli, crisis awareness regarding urbanization, historical affairs, American imperialism, etc. The group also focused on images in mass media that could negatively affect visual culture. In addition, they revealed the imbalance between city and rural life, a topic that rapidly preceded industrialization. At the same time, the 1980 Gwangju Uprising provided “Reality & Utterance” artists and critics with anti-American fodder. The intent of “Reality & Utterance” members materialized via not only with artworks but also through forums, symposiums, and publications. The success this group achieved by crossing the boundaries of various genres provides a specific example for breaking down barriers between art and life. But, critics have described the activity of the group as elite art which, unlike the “Min Joong Art” style, is not actually related to popular culture, discounting its intent as the actions of bourgeois intellectuals. Nevertheless, “Reality & Utterance” achieved recognition for its values as an outset of Korean Contemporary Art, and as a result recovered art’s depiction and extended genres as unique ‘Realism’ thought of Korea. This thesis studied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society by looking into the artworks of “Reality & Utterance.”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actions of artists and art critics in the group placed them in an independent domain in Korean Contemporary Art history that was not contained in “Min Joong Art.” In addition, “Reality & Utterance”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1989 founding of the ‘Realism’-based group “Research Society for Art Criticism” that discussed Western art theory and philosophy alongside pre-existing notions of Korean contemporary art. In this respect, the ‘Realism’ actions of “Reality & Utterance” have further significance beyond their own historical settings. 본 논문은 1980년대 한국의 미술운동 그룹 ‘현실과 발언’의 작업에 나타난 사회비판의식을 살펴 본 연구이다. 1970년대 말∼1980년대 초의 한국 사회 전반에는 기존의 권력에 저항하는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미술가들과 평론가들이 모여 발족한 현실과 발언은 1979년에 4·19 혁명(1960) 20주년 기념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결성되었다. 이들은 당대 사회와 긴밀한 관계 속에서 예술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표로 설정하여, 다양한 활동을 통해 미술의 사회적 맥락을 밝히고 그 역할을 모색하였다. 이 그룹의 작가들은 사회적 현실과 더불어 미술 내부의 문제까지도 분석했는데, 지금까지 현실과 발언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 민중미술 성향의 그룹 운동과의 연관성 속에서 단편적으로 언급되거나, 이 그룹에 속한 일부 작가들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당대 현실을 재현하고 문제의식을 드러낸 현실과 발언 작업의 다양한 국면이 이 그룹만의 독자적인 예술적 성과라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작품을 통해 현실과 발언의 사회비판의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회비판적 미술은 1980년대에 젊은 세대의 미술가들이 소위 ‘현실주의’를 수용하면서 시작되었다. 현실주의를 반영한 초창기의 미술은 1969년에 결성된 현실동인이 그 시초이지만, 구체화된 것은 1979년에 활동을 시작한 현실과 발언을 통해 가능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기성 미술계에 만연한 소통의 부재를 개혁하고자 하였던 의지의 일환이었다. 이 그룹의 작가들은 미술을 소수의 독점물로 간주한 기존의 제도와 관행에 반해 다양한 장르와 양식들을 작품 속에 수용하였다. 이들은 복제와 차용의 방법을 통해 대중 문화적 이미지 및 대량 생산 오브제를 도입하여 작업 세계를 구축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진, 판화, 만화, 복제화, 콜라주 등과 같이 소위 주류 미술로 분류되지 않았던 표현 방식을 받아들여 다양한 형태의 작품들을 남겼다. 현실과 발언은 이를 통해 미술계를 지배하던 낡은 가치관에 의문을 제기하여, 보는 사람들에게 현실에 관한 의식을 일깨우고자 한 것이다. 주제적인 면에 있어서 이들은 한국의 사회상을 드러내고자 했는데, 그 주제는 시각이미지의 범람, 도시화에 대한 위기의식, 역사적 사건, 미제국주의 등을 포괄한다. 이 그룹은 대중 매체 속 이미지가 시각 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주목하였다. 또한 급격하게 진행된 산업화로 인해 가시화된 도시와 농촌의 불균형을 드러내었다. 아울러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일어났던 5·18과 같은 사건은 현실과 발언이 반미의식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이들의 발언은 미술 작품뿐만 아니라 토론회와 좌담회 및 출판 활동으로 구체화 되었다. 이 그룹이 다양한 장르의 경계를 넘나들며 미술의 영역을 확장시킨 점은 예술과 삶의 장벽을 허문 구체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하지만 현실과 발언은 이후 등장하는 민중미술 성향의 그룹과의 비교 속에서 소위 부르주아적인 지식인들의 활동으로 치부되어 대중성과는 거리가 먼 엘리트 미술 그룹으로 평가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한국의 독특한 현실주의 사조로서 미술의 서술성을 회복하고 장르를 확장하여 한국적 현대미술의 맹아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은 현실과 발언의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사회비판의식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사 내에서 현실과 발언의 활동을 민중미술의 영역의 일부로서가 아니라 독자적인 영역으로 자리매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의 활동은 또한 현실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1989년에 등장한 미술비평연구회에 하나의 자양분을 공급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처럼 ‘현실주의’를 실천한 ‘현실과 발언’의 활동은 이 그룹이 가지는 미술사적 의의를 넘어 ‘현실주의’가 차지하는 영역을 재고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모바일 플래시 스토리지 시스템을 위한 리눅스 커널에서 데이터 처리 성능 분석 및 최적화

        이설희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모바일 스토리지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점점 애플리케이션이 고성능화 되면서 사용자는 데이터 집약적인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토리지에 접근하는 데이터가 호스트 시스템에서 여러 층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대부분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에 최적화 되어 있지 않아 실제 스토리지가 제공하는 최대 성능을 활용하지 못하고 호스트 시스템에서 병목 현상(bottleneck)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호스트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전달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병목 현상(bottleneck)이 되는 부분을 파악하고 최적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최적화 방안을 실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한다면 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