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아존중감 향상 학급 단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선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아존중감 향상 학급 단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개의 연구(연구 1과 연구 2)가 수행되었다. 연구 1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급 단위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김창대 외(2011)가 제안한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랐다. 그 진행 과정은 ‘목표수립’, ‘프로그램 구성’, ‘예비 연구 및 장기적 효과제고 노력’, ‘프로그램 실시 및 개선’의 단계를 거쳤다. 그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12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그 주된 특징은 학생 수준을 고려한 구성, 현실적인 운영시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모둠 활동 방법 등 이다. 연구 2의 목적은 개발된 자아존중감 향상 학급 단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종속변인은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 45명(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2명)이었다. 자아존중감 검사 도구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척도(SEI)를 바탕으로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수정한 척도를 3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은 정혜인(2010)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했다. 그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는 자아존중감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의의는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학급 단위의 자아존중감 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것이 실제로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는 데 있다. 학교 상황에 맞추어 시간, 내용, 방법을 구성하여 담임교사가 직접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다른 프로그램과 차이가 있다.

      • 자기주도학습에서 보상구조가 학업 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선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기주도 학습에서 자기보상 전략과 교사보상 전략의 활용이 수학과 학업성취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에서 자기보상 전략과 교사보상 전략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기주도학습에서 자기보상 전략과 교사보상 전략에 따라 자기효능감 의 향상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기주도학습에서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사이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군포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6학년 9개 학급 중 동질집단인 2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목표에 비추어 스스로에게 부과하는 자기보상 집단과 교사보상 집단으로 나누었다. 수업은 정규 수학 시간에 40분씩 5주에 걸쳐 이루어졌다. 실험에 앞서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직후 학업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한 사후검사와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보상 집단과 교사보상 집단의 학업 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의 차이 검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에서 자기보상 전략을 활용한 집단이 교사보상 전략을 활용한 집단보다 수학과 학업성취도 점수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t=3.01, p<.05). 둘째, 자기주도 학습에서 자기보상 집단이 교사보상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t=4.90, p<.05). 셋째, 자기주도학습에서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보였다(상관계수=.38, p<.01). 결론적으로 말하면 자기보상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을 향상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은 정적상관을 보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mpacts application of the self-reward strategy and the teacher-reward strateg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are three as follows. 1. There will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reward and teacher-reward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2. There will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reward and teacher-reward in terms of self-efficacy in self-directed learning. 3. There will be no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self-directed learn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trategy of rewards, the independent variable wer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test above hypothesis, two classes of 6th grad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nine classes of "Y" elementary school at Gunpo c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one class(experiment group) is selected self-reward group, and the other class is teacher-reward one. The experiment had been lasted during 5 weeks in classroom. Before this experiment, the pretest of self-efficacy was examined,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test of self-efficacy and post-test for academic achievement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between the teacher-reward group and the self-reward group, t-test was applied.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exist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self-reward group and teacher-reward group in self-directed learning, in term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 in elementary school mathmatics(t= 3.01, p< .05). Second, there were more apparent in the self-reward group rather than teacher-reward group in terms of the self-efficacy(t= 4.90, p< .05). Third, there existed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self-directed learning(correlation coefficient= .38, p< .01). In conclusion, using the self-reward strategy was effective in term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was positive correlation.

      • 달크로즈의 세 가지 교육 개념을 토대로 한 음악 학습 지도안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이선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크 달크로즈(Jaques-Dalcroze 1865-1950)는 음악이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며, 이것은 인간의 몸을 통해 내적인 감정을 동물 흉내 묘사, 걸음걸이, 악수, 인사 등의 다양한 종류의 움직임으로 표출해 낼 수 있다고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도 방법이 음악 교육의 새 시대를 열어준 가치 있는 학습법으로 여겼기에 그의 음악 사상, 교육 개념, 음악 학습방법을 토대로 한, 세 가지 교육개념인 유리드믹스(Eurhythmics), 계이름 부르기(Solfege), 즉흥연주(Improvisation)가 반영된 실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그의 교육개념에서 유리드믹스란 신체 동작을 통해 리듬을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솔페즈는 계이름 부르기, 즉흥연주는 즉각적인 신체의 반응을 동작, 표정, 말하기, 연주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기간은 2002. 8. 7~9. 25일 까지 8주 동안이며,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1~3학년을 중심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제시한 음악 학습 지도안의 세부내용은 높고 낮은 소리, 박, 셈여림, 액센트, 템포, 4분음표와 2분음표, 4분쉼표, 2/4박자로 구성되었다. 이 논문의 학습 지도안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 게임에서 비롯되는 학습을 통하여 사회성 및 정서가 발달된다. 둘째, 소리에 대한 즉각적인 신체의 반응으로 표현력이 신장되고, 민감한귀의 훈련으로 청음이 발달된다. 셋째, 다양한 학습의 경험으로 음악적 흥미가 지속되며 감각이 발달된다. 넷째, 신체동작이 주가 되는 체험 학습이므로 말로써 설명하는 것보다 이해가 빠르다. 이러한 지도안에 따른 교사의 유의점은 교사가 질문의 해답을 미리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가 해답을 발견하는 형태이다. 그리고 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단순한 멜로디의 곡과 다양한 경험의 반복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로 인해서 달크로즈 지도 방법에 대한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 실용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며, 이것으로 인하여 각자에게 내재된 잠재력이 신체 움직임의 경험을 통하여 자유롭게 음악의 흐름을 느끼며, 표현하는 음악 교육으로 발전되기를 희망한다. The most significant and far-reaching innovation that Dalcroze brought to the learning process is the recognition of music through human body expressing imitation of movement of animals, walking, hand-shaking, greeting associated with various movements. This thesis suggests a teaching method containing three training concepts based on Dalcroze's approach which can be considered as valuable frontier method opening the new era of learning music. And this training method applied to three Dalcroze's approaches including Eurhythmics, Solfege, Improvisation. According to Dalcroze's approaches three methods consist of Eurhythmics is, in particular term, a way of expression through the body movement, Solfege is to help training the ear, eye, and voice in pitch, melody, and harmony and Improvisation means movement, musical performance, saying the phrase, countenance by the immediate body reaction. Total amount of studying time has taken 8 weeks from 2002. 8. 7 to 9. 25 and it has been emphasized on those elementary students who are on 1st to 3rd grades. The contents of the methods in detail are voice in pitch, beat, dynamic, accent, tempo, quarter note and half note, quarter rest, two-four time. A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helps to develop the sociality and emotion through the learning method associated with rhythmic game. Second, it helps to vary the ability of expression with immediate response to sound and that of music dictation with principal of ear. Third, it helps to maintain continuous interests thru the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Fourth, it helps to make a fast understanding due to self-experienced learning methods with the entire body movements. One thing that teachers need to be considered using those methods are letting the students to find the answer by themselves without giving the answers in advance. And furthermore it needs to be the prior consideration that students need simple melody that are not exceeding their level and repetitive experiences. In conclusion, I hope that it can be a help to realize any given chance that they can understand and express the flow of music thru various body movements based on Dalcroze's three educational approach and potential ability that every individual has.

      • 홍수취약도 기반의 호우위험도 예측 기법 개발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이선미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함에 따라 각 지역에서는 호우로 인한 피해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구나 재산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에서는 도시화 및 하수관로 노후화 등으로 인해 빗물 배수가 불리하여 매년 도로 및 주택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기상청에서는 집중호우 발생 시 전국적으로 동일한 기준에 따라 호우특보를 발령하고 있으며, 각 지역에서는 호우특보 발령에 따라 대응을 실시한다. 하지만 각 지역은 기후특성이나 지형특성, 방재특성 등 지역특성이 서로 상이하다. 특히 서울특별시는 25개의 자치구가 밀집되어 있지만 각 지역마다 강우에 노출되어 있는 정도나 피해규모가 상이하다. 그러므로 각 지역마다 동일한 기상청의 특보 발령 기준에 따라 호우에 대응하는 것은 피해 저감에 적절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홍수취약도를 평가하였으며, 홍수취약도를 고려한 자치구별 호우위험도 예측을 위한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특별시에는 자치구들이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강우 발생 시 피해 발생 규모 및 특성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자치구별 기후 및 지역, 방재특성 등을 고려하여 홍수취약도를 평가하기 위해 IPCC의 취약도 정의를 활용하여 총 15개의 세부인자를 고려한 홍수취약도를 산정하였다. 홍수취약도 산정을 위해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방법과 유클리드 거리 산정방법을 접목시켜 활용하였으며, 이는 연구자의 주관을 배제한 객관성이 높은 취약도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홍수취약도 산정 결과 도봉구, 강서구 등이 포함된 서울 북부와 서부지역의 홍수취약도가 종로구나 강남구가 포함된 서울 중부와 서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두 지역의 기후노출과 민감도가 높은 반면 적응도가 낮아 홍수취약도가 높게 산정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정된 자치구별 홍수취약도 및 과거 피해이력, 확률강우량을 활용하여 호우위험도 예측을 위한 강우기준을 산정하였다. 서울특별시 확률강우량은 자치구별로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확률강우량을 홍수취약도에 따라 재분배하여 강우기준을 산정하였으며, 과거 피해강우량을 활용한 강우비율 53 %를 적용하였다. 강우기준 산정 결과 홍수취약도가 높게 산정된 서울 북부와 서부지역이 다른 자치구에 비해 강우기준이 낮게 산정되었으며, 이는 동일한 강우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지역에 비해 더 높은 위험도 단계가 발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2016년부터 2020년에 발생한 호우사상을 선정한 후 피해 강우량을 강우기준에 적용하여 호우위험도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실제 피해현상과 비교하여 산정된 강우기준의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적합성 평가 결과 강우에 의한 피해는 적합성이 높지만 홍수량이나 인적 요소에 의한 피해는 적합성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치구별 호우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해 홍수위험 매트릭스를 작성하였다. 이는 자치구별 강우기준과 발생가능성이 X축과 Y축을 구성하고 있다. Y축의 발생가능성은 기상청의 국지앙상블 기상예측시스템(LENS) 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작성된 홍수위험 매트릭스에 따라 호우위험도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작성된 홍수위험 매트릭스에 실측 강우와 LENS 자료를 적용하여 호우위험도를 예측하였으며 적용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LENS 자료는 실측 강우와 비교하여 정확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현재 기상청에서는 집중호우 최대 발생 전날 호우주의보, 발생 당일 호우특보를 발령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활용하여 LENS의 예측자료를 활용하면 최대 72시간 전 호우위험도를 발령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상청의 호우특보 발령 기준은 전국적으로 동일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호우위험도 발령 기준은 지역별 특성에 따라 발령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피해저감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음료광고 디자인에서 브랜드색채와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관한 연구

        이선미 조선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Brand Colors and Illustrations Representation in Drink Advertisement Design Lee, Sun-mi Advisor : Prof. Go, Hun Major in Visual & Media Communication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Chosun University As contemporary people have lived in floods of advertisements and commercials, their environment is becoming complicated. Current society is an era of character and customers purchase the image of product rather than its quality. The images in advertisement are represented in design and colors. Col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sale of products as a main variable in every step from planning of products to advertising them to promote sale. Color differentiation strategy in advertisement raises recognition to brand and competitive power, and influences purchase behaviors of customers.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brand colors and illustrative representation in drink advertisement design and consists of as follows: Chapter 1, preface, present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study. Chapter 2 examines theoretical background of drink advertisement design including theoretical speculation on definition and concept of advertisement, brand colors, roles and functions of advertisement, representational effect and strategies of ads, strategic characteristics of color representation in ads, the concept and example of color marketing. Chapter 3 reviews the logic of brand color, illustrations and drinks, and organizes brand color, concept of illustr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national drink markets. Chapter 4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national drink brands and designs of drink containers, and analyses illustrations, brand colors, layout of national drink ads( print commercial ads, TV commercials and Internet ads) and drink package design to understand the representation of brand color and illustration. To identify the effect of brand colors and illustrative representation in drink commercials and product package design on customers, visual effect, purchase of drink brand ad preferences, purchase route, color preference of each drink and what colors are preferred by customer in commercials, we interviewed customers nation-widely (Seoul, Busan, Daejeon and Gwangju) using a questionnaire based on assumptions and carried positive experiments according to regions, sex, age and occupations of customers. The result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In respect of preferences of national drink bran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nd preferences according to regions and ag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nd preference according to sex and occupations. For the current status of brand preferences, there were some brands preferred by 65.4% of the respondents. The reasons they were preferred were, first, taste of products followed by belief of the products, brand recognition and design of products, which indicates that customers consider taste of products as foremost. The customers collected information on products mainly through TV. 44.0% answered they felt differentiation of brand. The elements they preferred in ad design were colors, models of commercial, script of commercials, layout and others in a good order. And the elements they preferred in package design were colors, shapes of containers, illustrations, logos, symbols and others. The national drink brands they preferred were Lotte Chilsung, Namyang Dairy, Haitai Drink, and Donga Otsuca in good order and they preferred juice the most, followed by milk, functional drinks, soft drink, coffee and blended drinks. The container preferred by customers the most was ‘PET’ and the quantity preferred the most was 350ml.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Assumption 3 that color images will look different according to color systems in national drink commercials, most of the customers answered color image of red was colorful, yellow image was soft, green image was natural, purple image was colorful, black image was calm and the image of multiple colors was light. About the Assumption 4 that colors that can appeal to customers in nationl drink commercials will be different, the most appealing color of soft drinks was blue, that of juice was orange, that of non-fruit juice was blue, that of mineral water was transparent, that of coffee was brown and that of tea was green. As customers have changed their needs and senses of values to products, they tend to prefer products which meet their sensibility, image creation, and desires in drink commercials or product package design. The colors in drink commercials and package design are usually designed to remind them of features of products or raw materials based on taste. For example, Chorokmaesil uses green that reminds of properties of plums, orange squash uses orange colors to highlight a raw material of orange. Mineral water uses blue color to emphasize clear and cool image visually. And soft drinks commercials and product package design use colors of orange, red and yellow which encourage appetite. It indicates that national drink brands use fundamental colors that attract attention or colors of the same systems as raw materials of products. Therefor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as materials of additives to products or targets are specified, we need to develop drink commercials or product package design for which diverse colors and styles that can appeal to customers with differentiated strategies are used or color marketing strategies that fit for properties of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differentiated color strategies are very important in the drink ads design and brand competitive power relies on enhanced brand recognition through differentiated use of brand colors. Keyword_ Drink Advertising, Brand Colors , Illustrations Representation. 현대인은 광고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광고환경은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현대는 개성의 시대이며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인한 제품기술의 발달은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품질보다 상품의 디자인과 색채를 구매하게 한다. 광고에서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 제품의 디자인과 색채이다. 브랜드색채는 제품의 기획에서 판매와 설득, 구매촉진에 영향을 주는 광고에 이르기까지 주요 변수로 작용하며 브랜드이미지와 매출을 증감시키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광고에서의 색채차별화전략은 브랜드의 인지도와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은 「음료광고 디자인에서 브랜드색채와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관한 연구」로 제 1장에서는 서론으로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음료광고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연구했다. 즉 광고에 대한 정의와 개념 및 브랜드색채, 광고의 역할과 기능, 광고표현효과와 전략, 광고색채표현의 전략적 특성, 컬러 마케팅의 개념, 컬러마케팅의 사례 등을 이론적으로 연구 정리하였다. 제 3장에서는 브랜드색채와 일러스트레이션 및 음료의 논리 및 국내 음료시장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제 4장에서는 국내음료브랜드 현황과 음료브랜드 용기디자인을 알아보고 브랜드색채와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분석을 위해 국내 음료광고(인쇄광고 및 TV광고, 인터넷광고)와 음료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일러스트레이션, 브랜드색채, 레이아웃 등을 연구 분석했다. 제 5장에서는 음료광고와 제품패키지디자인에서 브랜드색채와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이 소비자에게 주는 영향을 연구했다. 즉 시각적 효과, 음료브랜드의 구입과 선호도, 구입경로, 음료별 선호색채 그리고 어떠한 색채의 광고가 소비자에게 선호도가 높은지에 대해 조사함을 뜻한다. 따라서 본인이 설정한 가설을 토대로 실제적인 설문조사를 전국단위(서울, 부산, 대전, 광주)로 실시하였다. 또한 그 내용은 지역별, 성별, 연령, 직업 등으로 실증적 실험연구를 실시했으며, 그 설문의 결과에 대한 연구 분석을 정리하였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얻었다. 국내 음료 브랜드 선호도는 지역과 연령에 따른 브랜드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성별과 직업에 따른 브랜드 선호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국내 음료 브랜드의 선호도 현황은 응답자의 65.4%가 선호하는 브랜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브랜드 이유로는 ‘제품의 맛’이 가장 높게 나왔고> 제품에 대한 믿음> 브랜드인지도> 제품의 디자인 순으로 나타나 대부분이 제품의 맛을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보수집경로는 ‘TV’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브랜드별 차별성을 느끼는지에 대해서 ‘그렇다’의 응답이 44.0%로 가장 높게 결과가 나왔다. 선호하는 광고디자인의 요소는 ‘전체적인컬러’가 가장 높게 나왔고> 광고모델> 광고문구> 레이아웃> 기타 등의 순으로 결과가 나왔다. 선호하는 패키지디자인요소는 ‘전체적인컬러’가 가장 높게 나왔고> 용기형태> 일러스트레이션> 로고타입> 심볼> 기타 등의 순으로 결과가 나왔다. 선호하는 국내음료 브랜드로는 롯데칠성> 남양유업> 해태음료> 동아오츠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선호음료는 ‘주스’가 가장 높게 나왔고> 우유> 기능성음료> 탄산음료> 커피> 혼합음료 등의 순으로 결과가 나왔다. 선호음료 용기는 ‘PET’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선호음료 용량은 350ml’가 가장 높게 결과가 나왔다. ‘국내 음료광고에서 색상계열별로 나타나는 색채이미지는 서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인 가설3에 대한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빨간색(RED)계열에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는 ‘화려함’이 가장 높게 나왔고, 노란색(YELLOW)계열에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는 ‘부드러운’이 가장 높게 나왔다. 또 초록색(GREEN)계열에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는 ‘자연적인’이 가장 높게 나왔고, 보라색(PURPLE)계열에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는 ‘화려함’이 가장 높게 나왔고, 검정색(BLACK)계열에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는 ‘차분함’이 가장 높게 나왔다. 그리고 다색(Multicolored)계열이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는 ‘가벼움’이 가장 높게 나왔다. ‘국내 음료광고에서 음료별로 어필할 수 있는 색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인 가설4에 대한 음료별 색채비교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탄산음료를 어필할 수 있는 색채는 ‘파란색’이 가장 높게 나왔고, 주스를 어필할 수 있는 색채는‘오렌지색’이 가장 높게 나왔고, 미과즙음료를 어필할 수 있는 색채는 ‘파란색’이 가장 높게 나왔고, 먹는 샘물을 어필할 수 있는 색채는 ‘투명이 가장 높게 나왔다. 그런가하면 커피를 어필할 수 있는 색채는 ‘갈색’이 가장 높게 나왔고, 차음료를 어필할 수 있는 색채는 ‘초록색’ 이 가장 높게 나왔다. 소비자의 소비욕구와 상품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는 음료광고나 제품패키지디자인에서 소비자의 감성과 이미지 창출, 욕구 등을 충족시켜주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음료광고와 패키지디자인에서의 색채는 제품의 특성이나 맛에 기반을 둔 제품 원료를 연상시키는 컬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초록매실은 제품의 속성을 연상시키는 색채인 그린컬러(Green Color)를 사용하고 있으며 오렌지과즙 음료는 오렌지의 원료를 부각시켜 오렌지컬러(Orange Color)를 사용하고 있다. 생수의 경우는 시각적으로 시원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부각시켜 블루컬러(Blue Color)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청량음료광고와 제품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는 레드컬러(Red Color), 오렌지컬러(Orange Color), 옐로우컬러(Yellow Color)계열의 식욕을 돋우는 컬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국내 음료브랜드에서는 대체적으로 주목성을 끄는 원색의 컬러를 사용하거나 제품원료의 동일계열의 색상을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제품의 첨가물 재료나 타깃이 세분화 되면서 그에 따른 「다양한 칼라와 형태를 통한 차별화된 전략과 제품의 특성에 알맞은 컬러마케팅전략」이 소비자에게 가장 어필할 수 있는 음료광고와 제품패키지디자인으로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음료광고 디자인에서는 브랜드색채와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음료광고에서 「색채표현의 차별화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때문에 색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지, 색채 차별화전략을 세워 브랜드의 고유색채를 사용함으로써 브랜드인지도가 경쟁력임을 종합된 연구결과로 기록하게 되었다.

      • 상호문화 관점에서의 한국어 교사 대상 문화교육 방안 연구 : 식생활 문화

        이선미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s Korean culture class should be ope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because the cultural backgroun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become diversified. For this purpose, the Intercultural education method focusing on food culture was researched in terms of refreshment training of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apter Ⅰ,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specified and food culture was selected among various Korean culture items for cultural education from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Intercultural education were review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urriculum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ultimate goal of Intercultural education is the growth of Intercultural ability.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for teachers, and food culture education were reviewed. In Chapter Ⅲ, the objectives, contents, and directions of education were discussed in order to construct concrete Intercultural education data focusing on food culture.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Intercultural education teaching plan for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set taking what this study derives as factors of Intercultural abilities, such as cultural understanding, cultural comparison, cultural relativizatio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munication, culture mediation, as core elements. In Chapter Ⅳ, Intercultural teaching plans for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utilizing food culture were presented. They are structured applying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food culture equally. In addition, teaching plans for seven units were prepared so that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could carry out active teaching based on their educational and cultural exper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hasizes the Intercultural qualit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suggests Intercultural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intercultural exchang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increase interest in Intercultural education and refreshment education of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배경이 다양해짐에 따라 한국어 문화 수업이 상호문화적인 관점에서 운영되어야 한다고 보고 한국어 교사 대상의 문화교육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경력 교사의 재교육 측면에서 식생활 문화를 중심으로 한 상호문화교육의 방안을 연구하였다. Ⅰ장에서는 한국어 경력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상호문화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상호문화 관점을 적용한 문화 교육을 위해 다양한 한국 문화의 항목 중 식생활 문화를 선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상호문화교육의 특징과 목표 및 교육과정을 통해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았으며 상호문화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상호문화능력의 신장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상호문화교육의 방향을 마련하고자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와 교사 대상 문화교육 그리고 식생활 문화교육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식생활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구체적인 상호문화교육 자료를 구성하기 위해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상호문화능력의 요인으로 도출한 문화 이해, 문화 비교, 문화 상대화, 문화 공감, 문화 의사소통, 문화 중개를 핵심 요소로 하여 한국어 경력 교사를 위한 상호문화교육 교안의 구성 방향을 설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식생활 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경력 교사 대상의 상호문화교육 교안을 제시하였다. 본 교안은 상호문화 관점에서 식생활 문화에 대해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의 교육이 고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한국어 경력 교사의 교육적·문화적 경험을 바탕으로 능동적인 문화수업이 이루어지도록 총 7차시의 교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자질을 강조하고 문화 간 교류를 이룰 수 있는 상호문화교육 방안을 연구하여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교육 및 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를 기대하며 관련된 후속 연구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