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전 안전 1등급 배관계의 효율적인 동적 시간이력 탄소성 지진해석을 위한 해석 변수의 영향 고찰

        이석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피해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이 용융되어 방사능이 노출되는 큰 사고가 발생하였고,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경주, 포항에서 진도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원자력 발전소 안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원전 설비의 건전성 평가 및 추가적인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기술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지진 발생 후 손상정도를 판정하고 손상 정도가 높은 등급일 경우, 원전 설비의 안전성을 평가한 후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했다는 것을 입증을 해야 한다. 현행중인 평가기술은 ASME Code를 이용하여 응력기반의 허용기준을 만족시킴으로써 구조적 건전성을 평가한다. 하지만 응력기반평가의 경우 과도한 보수성이 존재하며 지진과 같은 반복하중에 의한 누적손상 효과를 고려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비현실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진과 같은 반복하중에 의한 소성변형을 고려할 수 있는 변형률 기반 평가를 위한 효율적인 동적 시간이력 탄소성해석을 위한 유한요소 해석기법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기준모델인 완전 연속체모델과 근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빔 요소와 연속체 요소를 결합한 복합모델에 대해 요소의 종류, 천이영역의 길이, 두께 방향, 원주 방향, 길이 방향의 요소개수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시간이력을 위한 복합요소 모델에 대한 모델링 기법 권장 사항을 제시하였다. A serious accident occurred due a the big earthquake in East Japan, causing serious radiation exposure from the Fukushima nuclear plant. Recently, there was an earthquake of 5.0 magnitude or higher in Gyeongju and Pohang and the necessity of assessing the soundness of nuclear power plant facilities and additional safety assurance is becoming an important technological issue. In the case of South Korea, if the nuclear power plant's degree of damage is high after the earthquake, the nuclear power plant must demonstrate that it has obtained sufficient safety after evaluating the safety of nuclear plant facilities. The current evaluation technique evaluates the structural integrity by satisfying the allowable criteria for stress based on the ASME Code. However, for stress based assessments, excessive conservatism exists and these assessments cannot account for cumulative damage effects caused by repetitive loads such as earthquakes; therefore, it can lead to an unrealistic assessment. This paper contemplates the supplement to the assessment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echniques for efficient Dynamic Time History Elasto-Plastic Seismic Analysis for evaluating plastic deformation by repetitive loads such as earthquakes. The combined model which consists of beam and solid element can derive the approximate result compared to the full solid model by taking considerations of the number of elements in the element type transition region length, thickness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length direction of the combined model. Thus, this paper suggests the modeling techniques recommended for the complex element models for dynamic time history elasto-plastic seismic analysis.

      • 다세대주택 및 도시형생활주택에 대한 자치구 건축심의 특성연구 : 서울시 강북구 건축심의를 중심으로

        이석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Urban-Space we live in, one of the common structures we easily encounter is Multi-family housing. As it is called as Affordable housing, it had been built in residential area, and it has been built for now. Also, Urban-life housing was introduced to vitalize housing supply in 2009 by government policy. Through the relaxation of regulation such as decreasing the number of parking lot and the tax benefit, it’s been increased explosively since 2010. In that Multi-family housing and Urban-life housing are built in relatively small land to increase the utility, a uniform architectural plan would bring slum city. The Seoul government founded Architecture Committee to provide an institutional strategy in 1974 and runs it for Urban-architectural identity, Urban aesthetics and public interest. Autonomous region manages Architecture Committee for Urban aesthetics and Urban scape on the structures defined by the related statute. This study analyzed the Gangbuk-gu’s Architectural review 134 cases out of total 63 times 429 cases from 2009 to 2013, 5 years, Multi-family Housing of Apartment Housing and Multiplex Housing Complex of Urban-life Housing. And it specified and subdivided by several types (Plan, Elevation, Structure, Equipment, Parking Places, and Landscape) and verified which characteristics exist. The First, in the Architectural review 134 cases, there is 13 Consent, 5 Nonconcurrence, 26 Reapplication, 1 Reservation. The total cases number of specification by type is 294, opinions by type are sorted as 78 Plan, 40 Equipment, 38 Structure, 28 Parking lot, 22 Elevation, 11 Landscape and other 77 opinions. The Second, Comparative analysis result about Conditional consent and Reapplication. Conditional consent, the frequency by type is in order like Equipment, Structure, Parking lot, Elevation, Landscape and Reapplication is in order like Plan, Structure, Parking lot, Equipment, Elevation, and Landscape. The reason why it represents the frequency differentiation is that Conditional consent can modify or compensate the Architecture plan slightly based on the specified analysis result, however Reapplication is the opinions about the overall plan itself issues in that the Architectural plan is irrational. Therefore it shows the difference of the order. The Analysis result on the Items repetition rate of specified by type is that Reapplication has more repeated items than Conditional consent and there are various opinions from various types. This can be analyzed that there are problems on the overall Architectural plan. The Third, when all the cases sorted by type limitedly analyzed again as Conditional consent and Reapplication Cases. In the Plan part, we could verify that there are common opinions that plan for Public part is more important. The difference is that Reapplication has more opinions about Personal part. In the Elevation, there are opinions that Finishing Materials and Colors are important in Conditional consent, whereas there is replan opinion on the uneven parts like Projecting balcony. In the structure, there are opinions that Structural professional engineer’s investigation on the vulnerable parts and Floor height and the height of the beam of 1st floor, those opinions are not very different. In the Equipment, there are common opinions that Plumbing Fixture (Pipe duct, Air duct) facility space security, Insulation. Conditional consent has more various opinions than reapplication. In the Parking places, there are common opinions about the security of car turning radius for smooth entrance and exit, parking position, parking block change and effective height. And there is opinions of entire replan for irrational parking lot plan in the Reapplication. In the Landscape, there are common opinions that location change and Roof-garden and rest facility installation. And it doesn’t have deep significance in the conditional consent and reapplication. In this study of Multi-family Housing of Apartment Housing and Multiplex Housing complex of Urban-life Housing which were built by Architectural review in the limited area Gangbuk-gu, as it analyzed that Gangbuk-gu’s Architectural review characteristics on the small Apartment housing, it can be referred to be an objective data for Architectural review direction suggestion and decisions in the future. 우리 살고 있는 도시공간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공동주택 형태의 건축물 중 하나가 다세대주택이다. 서민주택으로 불리울 만큼 주거지역에 많이 지어져 왔으며, 현재에도 많이 지어지고 있다. 또한, 도시형생활주택의 경우 정부의 주택보급 정책으로 2009년 주택공급의 활성화를 위해 도시형생활주택을 도입하게 되었다. 주차대수 완화 등 관련 규제를 풀고 세제 혜택 등을 통해 2010년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현재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세대주택과 도시형생활주택은 공동주택의 아파트와는 달리 비교적 적은 토지위에 건축되어지기 때문에 한정된 토지위에 최대의 효용성을 갖기 위하여 획일적인 건축계획으로 도심의 슬럼화를 가져 올 수도 있을 것이다. 서울시는 도시 건축의 정체성, 도시의 미관에 대한 고려, 공공성을 갖기 위한 제도적 마련을 위해 1974년 서울시 건축위원회를 신설하여 운영되어 왔으며, 자치구에서도 관련법령 등에서 정하는 건축물에 대해 도시의 미관과 경관을 위하여 건축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강북구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시행한 건축심의 63회 429건에서 공동주택 중 다세대주택과 도시형생활주택 중 단지형다세대주택에 해당되는 134건의 건축심의 결과의 자료를 가지고 유형별(평면, 입면, 구조, 설비, 주차장, 조경 등)로 분류하여 세분화 과정을 거쳐 어떠한 특성들이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첫째, 연구대상인 강북구의 건축심의 134건에 대한 심의결과를 분석해 보면 원안동의 13건, 부동의 (불가) 5건, 조건부동의 89건, 재심 26건, 유보(보류) 1건이 있었다.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는 294개로, 유형별 의견 건수는 평면 78건, 설비 40건, 구조 38건, 주차장 28건, 입면 22건, 조경 11건, 기타 77건의 의견으로 나누어 진다. 둘째, 조건부동의와 재심에 대한 비교 분석결과는 조건부동의의 경우에는 유형별 빈도수가 평면, 설비, 구조, 주차장, 입면, 조경의 순서인 반면, 재심에서는 평면, 구조, 주차장, 설비, 입면, 조경의 순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빈도의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분석해 보면, 세분화시킨 분석결과에 의해 조건부동의는 건축계획을 경미하게 수정하거나 보완이 가능한 경우인 반면, 재심의 경우에는 건축계획이 전반적으로 불합리하여 계획자체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의견이기 때문에 순서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된다. 유형별 분류에 대한 항목의 중복 비율을 분석한 결과는 재심이 조건부동의에 비해 중복되는 항목의 수가 많았고, 여러 유형에서 다양한 의견이 있었는데, 이것은 건축계획 전반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셋째, 유형별 구분에 따른 유형들을 조건부동의와 재심의 경우로 한정하여 분석하면 평면부분에서는 공통적으로 공용부분에 대한 계획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차이점으로는 재심에서 전유부분에 대한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입면부분은 조건부동의가 마감재와 색상을 중요시한 반면, 재심은 돌출형 발코니 등 요철부분이 생기는 것에 대한 재계획의 의견이 있었다. 구조에서는 공통적으로 구조 취약부분에 대한 구조기술사 검토(확인)와 지상1층에 대한 층고 및 보의 높이에 관한 의견으로, 내용이 크게 상이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설비부분은 공통적으로 배관(PD, AD)설비 공간의 확보, 단열재에 대한 의견이나, 조건부동의에서는 재심보다 많은 다양한 의견을 보였다. 주차장에서는 공통적으로 차량의 진출입의 원활한 회전반경에 대한 확보, 주차 위치 및 구획의 변경(조정), 주차장 유효 높이에 대한 의견이 있었으며, 재심에서는 불합리한 주차계획의 전면 재계획에 대한 의견들이 있었다. 조경부분은 공통적으로 조경의 위치(변경), 옥상조경 및 휴게시설 설치에 대한 공통적인 의견으로 조건부동의나 재심에서 조경은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고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에서는 강북구라는 한정된 도시 속에서 건축심의를 거쳐 건축되어지는 공동주택의 다세대주택 및 도시형생활주택의 단지형다세대주택을 중심으로 소규모 공동주택에 대한 강북구의 건축심의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과거 건축심의에 대한 회고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건축심의 대한 방향 제시 및 판단의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사업용화물자동차의 과적 원인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석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업용 화물자동차의 과적 문제는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본격적인 장거리 수송이 시작된 이후부터 제기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화물운송업은 요금을 고시하는 여객운송업과는 달리 시장기능에 따라 수송비용이 결정되고, 물량 대비 차량 공급 과잉으로 덤핑에 의한 단가 인하와 다단계 시장 구조 때문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사업 구조 속에서 화주기업 등 물량 공급자는 운송회사나 운전자에게 수송비용 인하를 요구하게 되고, 운송회사나 운전자는 불가피하게 이를 수용하는 시장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송회사와 운전자는 차량 한 대당 적재량을 늘리고 수송횟수는 줄이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과적운행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화물 운송시장에서 가장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사업용화물자동차의 과적을 해소하기 위해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며 연구 과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물자동차 일반에 대한 연구, 운송제도에 관한 연구, 운송시장 구조에 관한 연구, 안전에 관한 연구, 과적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과적근절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선진국은 과적보다는 운전자 안전에 더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둘째, 과적운행의 원인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외 법령을 고찰하였다. 화물차량의 과잉공급으로 인해 과당경쟁을 할 수 밖에 없고 습관적으로 과적운행을 하며, 도로파손 복구에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도 연간 수백억 원이 지출되고 있었다. 또한, 국내법령이 선진 외국법령에 비해 포괄적이고 덜 구체적이며 처벌수위도 훨씬 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사업용화물자동차의 과적원인을 상위요인 4항목(규범요인, 환경요인, 교육요인, 비용요인), 세부요인 12항목(처벌미약, 단속부실, 비현실적 법적용, 과당경쟁, 예방설비미흡, 차량성능향상, 규정·법규 미숙지, 홍보﹒교육부족, 교육주체분산, 저단가, 유류비증가, 비용지급체계)으로 선정하고 AHP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요인 간 우선순위를 분석하였으며 원인주체 간 연관관계분석, 과적결과 연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화주기업, 운송회사, 운전자가 인식하는 과적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요인을 살펴보았다. 상위요인 간의 우선순위는 전체적으로 규범요인과 비용요인이 환경요인과 교육요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과적의 원인 주체로서는 화주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운송회사와 운전자는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과적결과 연관관계는 화주기업, 운송회사, 운전자 모두가 화물·차량파손에 대해 가장 큰 우려를 나타내었다. 넷째, 위 AHP 분석을 통해 비현실적 법적용, 단속부실, 처벌미약, 저단가, 비용지급체계, 유류비 증가, 과당경쟁, 규정·법규 미숙지 등 구체적인 8개 주요 세부요인을 도출하였다. 이 8개 주요 요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관련 법률개정, 행정집행 강화, 면세유 지급, 수송문화 향상으로 구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화주기업, 운송회사, 운전자의 세 축이 올바른 가치관과 인식을 재정립하고 상생구조를 찾아 나가도록 하며,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어 건전한 운송시장으로 발전해 나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Regarding the issues related to the overloading of business-purpose trucks,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has begun with the opening of Seoul-Pusan expressway in 1970 and since then the issues relating to the overloading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has continued until today. Consigners want to maximize their profit from the overloading of truck at low cost, which makes it inevitable for transportation businesses and drivers to overload and overspeed. Thus solving the overloading-related problems has become a challenging task. Unlike the passenger transport businesses which publicly notify charges, freight businesses report charges in the case of the transportation of broken vehicles and accident vehicles by savaging trucks and the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by towing trucks. However, besides these cases, the price of transportation is determined based on competition. Furthermore the surplus of trucks leads to price reduction due to dumping and multi-level market structure leads to unnecessary expenses. Because of these reasons, freight businesses are undergoing poor fare system and thus shipping businesses, freight businesses and drivers strive to maintain win-win market structure. In a position to request for the reduction of transportation charge constantly and transportation businesses and drivers have to accept those requests. Thus transportation businesses and drivers prefers a structure-overloading for reducing the frequency of transportation and cost-, which leads to a vicious circle-overloading. Roads are the social overhead capital (SOC) used for the seamless transportation of supplies, and thus it is critical to maintain the roads by reducing overloading. Under the structure in which overloading is inevitable, the systematic material crackdown policies need to be reinforced. Material crackdown leads to repeated exposures and charges and disagreement of opinions regarding the liability limits between consigners, transportation businesses and drivers. Despite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s and the publicity through mass-media such as newspaper and broadcasting, the overloading does not decr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undamental problems relating to the overloading of business-purpose trucks and prepare the measures against the overloading of trucks which is recognized as the most critical problem in the freight industry. The details of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o examine the causes of overloading in the aspect of human resources (shipping businesses, transportation businesses and drivers) through the studies of literatures and similar cases about the overloading of trucks and identify the causes of overloading focusing on human structure. The second is to raise the issues relating to overloading and resolve the problems through publicity. However the problems of overloading are not fundamentally reduced because the policies are limited to material crackdown and the crackdown focuses on the overloading during the loading and transportation. Thus, these problems will also be addressed. The third is to identify the views of shipping businesses, transportation businesses and drives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overloading; establish a systematic crackdown system beyond the material crackdown; and seek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transportation market.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uide 3 axises-shipping businesses, transportation businesses and drivers- to establish correct values and recognition for win-win structure and thus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gistics industry and developing healthy transportation market.

      • 한국 GOOD DESIGN 상품 선정제의 DB를 통한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이석현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감성기반을 바탕으로 하는 지식문화 시대이다. 바야흐로 21세기는 문화와 경제가 일치되는 시대로서 두뇌강국이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며, 기술 집약형의 지식산업이 고부가가치에 집중되고 이러한 세계자유무역협정(FTA)환경 하에서 수출 확대만이 나라의 새로운 생존 활로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 산업은 이러한 지식산업의 가장 핵심영역으로서 문화와 경제를 조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경쟁력으로 부상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디자인 정책 또한 단기적이고 즉흥적인 정책의 시행이 아니라 장기적 비전과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계획을 가질 때 우리의 디자인 산업은 더욱더 발전할 수 있을 것이며, 그 뿌리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우수디자인상품선정제(GOOD DESIGN 상품선정제)’ 이하, G.D 상품선정제는 세계 여러 선진국에 비해서 늦은감은 있으나 회(回)가 거듭 될 수 록 명실 공히 한국을 대표하는 ‘우수디자인상품선정제’로서 디자인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올해로 24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우수디자인상품선정제’는 인간적, 심미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제반 요인이 함축적으로 표현 되고자 하기 위한 각 계 각층의 기관과 현장에서 전문가들의 관심과 노력이 없었더라면 우리나라의 디자인 역량이 현재와 미래에 매우 불투명한 상태로 우리나라 산업전반에 막대한 지장을 가져다 주었을 것이다. 이러한 기반아래 우리나라 ‘우수디자인상품선정제(GOOD DESIGN 상품 선정제)’의 지나온 발자취를 파악하여 시대적 흐름을 알아보고 현시점에서의 다양한 비교 분석을 통해 앞날을 예측할 수 있도록 면밀히 검토하여 전략적 기반을 갖추어 다가오는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1985년도 ‘우수디자인상품선정제(GOOD DESIGN 상품 선정제)’가 출범할 때만 해도 우리나라 디자인 환경은 열악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년대부터 , 60 경제 발전에 박차를 가하여 70-80년대에 이르러 우리나라 경제는 고도성장이라는 한강의 기적을 일구어 냈으며, 점차적으로 경제뿐만 아니라 문화, 복지 등 사회전반적인 인프라(Infrastructure)를 구축함으로서, 사회 경제가 안정적이고 국민 생활의 질(質)이 높아지고 있는 시대에서 디자인 환경은 그에 못미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1985년도 기점으로 디자인 진흥에 관심을 갖는 시대에 한 축으로 ‘우수디자인상품선정제(GOOD DESIGN 상품 선정제)’가 출범함으로서 보다나은 문화적 지식기반을 토대로 인간 생활에서 새로운 경험과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초석을 만들게 되었다. 이에 24년이라는 길고도 짧지 않은 흐름 속에서 디자인 역사가 한 해 한 해 이어져 오면서 현재에 이르러 관련 기관과 디자이너들 모두가 감개무량함을 감히 느끼지 않을 수가 없다고 사료된다. 이처럼 우리나라 디자인 역사의 대변인이라고 할 수 있는 ‘우수디자인상품선정제(GOOD DESIGN 상품 선정제)’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아가기위해 각계각층의 관심과 더불어 한 연구자로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이 논문을 준비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우수디자인상품선정제(GOOD DESIGN 상품선정제)’가 해를 거듭하면서 그 시대에 따라 제품특성과 디자인 트랜드(Trend)등을 파악한 DB를 토대로 첫째, 선정대상의 부문별, 품목별 변동과정과 선정현황을 부문별로 1985년부터 2007년도까지 흐름을 파악하여 각 분야의 추이를 알아보고 시대적 환경과 흐름을 통해 분석하여 그에 부합되는 분야를 유추해 보았고. 둘째로는 1992년도까지는 굿 디자인 상품선정에만 기준을 두었지만, 1993년도부터 시상(施賞)제도가 생기면서 그에 따른 심사 기준에 있어서 약간의 문제점들에 대해 상위선정품목을 대상으로 알아보고 입상 순위별 특징을 알아보았다. ‘우수디자인상품선정제(GOOD DESIGN 상품 선정제)’는 우리나라 디자인 발전과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의 주역으로서 보다 넓은 의미에서 소외된 자를 포함한 인류 모두에게 윤택한 생활을 영유할 수 있도록 시대의 흐름 앞에서 능동적이고, 탄력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을 것이며, 향후에도 관련기관과 디자인 전문인들이 보다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해 세계 디자인을 선도해 나가야 될 것이다.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a knowledge and a culture based on the sensitivity. As the 21st century is at the height of the age corresponded with a culture and an economy, the brain power will be functioned as the facto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country, and the technology intensive knowledge industry is concentrated on the high value so that only magnification of export under FTA environments will bring new survival life to the country. The design industry that is the most core area of a knowledge industry will come up as new competitive power applicable to harmonize with a culture and an economy. Therefore, when the policy of our design is also not in the execution of a short-term and an impromptu policy but in the plan with a long-term vision and future, its industry will be further developed, and G.D. products selection (good design products selection) of Korea that can be the base of root is later than other advanced countries but is leading the design industry as the good design products selection representing Korea with doing several times. If there was no efforts by experts on every level of institutions and fields that the G.D. products selection having 24th anniversary this year could be implicatively expressed as factors of personal, aesthetic,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and fundamental, very unclear design capability in present and future might influence strong damages to the whole industries of Korea. Under this base, we have to figure out the current of the times with checking the previous foot notes of the G.D. products selection and have to prepare currently upcoming future with close review and strategic base in order to predict future through the various comparing analysis. Design environments of Korea in 1985 when the G.D. products selection began were very poor. Of course, korean economy from 60's of accelerating an economic development to 70's and 80's of growing high accomplished the miracle of River Han, and design environments were not met as growing as the stable economy of society and the quality of civilian life by gradually constructing an infrastructure in whole social areas of economy, culture, and welfare. As the G.D. products selection began in the times of interesting on design promotion in 1985, however, new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in human life were made on the base of cultural knowledge. So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period of 24 years on the long current of design history until now have made all related organizations and designers to fill with deep emotion. Like this, I've prepared this thesis to help as a researcher that the G.D. products selection, which can be a spokesman of Korea design history, get continuously developed with interests of every levels. Based on the DB that identified the product features and design trends according to the times of the G.D. products selection so far, this research includes followings. First, the changes of each field are reviewed with checking the trends from 1985 to 2007 by sections of selection target and of change process and selection status, and also its corresponding field is inferred by analyzing the periodic environments and the currents. Second, it standardized only on good design product selection until 1992, but the target of upper selection items is verified and the feature of winning ranks is figured out against a few problems on the examination standard after awarding system on 1993. As the main function of Korea design development and economical growth, the G.D. products selection will act actively and flexibly in front of the current of the times to make all human to possess a good life including outsider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design experts must lead the international design through the continuous interests and researches for future.

      • 東洋의 運命論 硏究 : 儒佛道 三敎를 中心으로

        이석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ㆍ불ㆍ도 삼교 사상을 중심으로 동양의 운명론을 종합적인 시각에서 고찰한 것이다. 운명이 태어난 후에 결정될 것이라고 한다면, 숙명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태어나기 전에 이미 결정된 것이라는 본질적 차이가 있다. ‘운명’을 의미하는 단어 중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이 ‘destiny’이다. 이는 신에 의해 ‘사전에 결정한다’라는 의미이다. 운명은 ‘인간을 포함한 우주의 일체를 지배한다고 생각되는 초인간적인 힘’ 혹은 ‘앞으로의 存亡이나 生死에 관한 처지’라고 풀이된다. 그래서 운명관은 일찍부터 신앙ㆍ숭배의 대상이 되거나 신학ㆍ철학의 주제가 되어왔다. 동양철학에서는 운명에 대한 숙고 과정이 여러 고전에 담겨 전한다. 이는 그만큼 동양에서 운명을 중요한 삶의 테제로 여기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운명에 대한 오랜 연구가 있어 왔을지라도 우리는 운명을 한마디로 정의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운명에 대한 철학적 탐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분명 우리 운명의 주체는 인간이며, 운명에 대한 담론은 곧 자연과 인간의 관계나 인간과 인간의 관계 속에서 삶을 이해하자는 것이다. 인간의 운명은 豫測이 가능하며, 이 예측은 대비(준비)를 전제로 한다는 맥락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양사상에서 미래는 불교의 三世因果論과 같이 과거와 현재의 연장선에서 다뤄진다. 이는 삼세를 단절이 아닌 연속의 관계로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래를 예측하려면 과거와 현재를 잘 파악해야 한다. 이를 인류 문명사에서 비춰볼 때, 문명의 역사, 문화, 사상의 전승 과정을 제대로 이해해야만 그에 따른 운명론에 대한 이해도 올바르게 파악된다. 연구의 주체는 인간이므로 결국 인간이 어떠한 삶을 영위해야 하는가를 파악하려는 시도가 운명론 탐구의 목표가 된다. 따라서 우리는 무엇 때문에 자신의 운명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가. 인간의 생은 無意志的이지만 죽음은 意志的일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끊는 행위를 인간의 권리나 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것은 철학적 논의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또한, 운명 개념의 이해가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운명에 대한 이해를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운명 예측의 정의와 종류를 살펴보고, ‘命’의 의미를 여러 문헌에서 검토하였다. 특히 󰡔주역󰡕의 占筮 구조와 운명론을 生生思想과 하늘사상 그리고 憂患意識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시대별로 운명 예측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그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셋째, 유불도 삼교사상의 운명론에 대해서 천명론, 비명론, 숙명론, 연기설, 업론, 윤회론, 복명론, 안명론 등을 통해 각 사상의 운명론을 정리하였다. 넷째, 동양 운명론의 특성을 점성술와 사주명리학의 운명론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유불도 운명론의 실체와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섯째, 운명론의 현대적 과제를 인간 자유의지 회복의 문제와 현세주의와 인간소외 극복이라는 차원에서 다루고, 운명론이 과학적 탐색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과 현대 상담학으로서의 과제를 살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운명이란 인간의 실존적인 존재 방식을 가리키는 것이며, 오늘날 동서를 막론하고 운명론은 절대적이지 않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우리는 운명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도 귀기우려야 하며, 운명은 우리의 태도에 따라 점차 변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운명의 주체가 바로 자신의 내재된 힘에 있음을 깨닫게 될 때 우리는 운명의 책임자가 될 수 있다. 최근 들어 운명상담은 신이나 자연의 질서처럼 근본적인 이해는 인간 본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지평을 마련해준다. 따라서 운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인간의 내면과 외면을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지혜를 키워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Eastern Fatalism in comprehensive view focusing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oughts. There is an essential difference that, if fate is that it has been already determined after birth, destiny is to be decided before birth regardless of one's own will. 'Destiny', the word being universally used as the meaning of 'fate', means "to have been determined in advance' by God. Fate is interpreted as a 'superhuman power that is thought to dominate the entire universe, including human beings' or a 'state of existence or extinction or life or death in the future'. Fatalism has long been the object of belief and worship or the subject of theology and philosophy. At least in Eastern Fatalism, the consideration process on fate has been in several classics and passed down. It shows that fate is considered an important these of life in the East. However, even though there has been studied on fate for a long time, it is difficult to define it in one word. So, it urgently needs a philosophical inquiry on fate. The subject of our fate is human clearly, and the discourse on fate is to understand life in the relation of nature and human or the relation of human and huma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at the fate of human being is predictable and it is premised of preparation (provision). The future in Orientalism is dealt with in the extension of the past and present, such as the theory of cause and effect in three period (三世因果論). This is to understand three period as continuous relationship, not discontinuity. Therefore, it must be figured out well the past and the present in order to predict the future. In light of this in the history of humanization, the understanding of Fatalism is correctly identified only when it understands the process of passing down the history, culture, and ideas of civilizatio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human, the purpose of the fatalism quest is an attempt to figure out what kind of life human beings should lead in the end. So why do we raise a question on our own fate? As the life of human is involuntary, but death can be volitional, recognizing the act of cutting off one's own fate as a means of human rights or solving problems is due to a lack of philosophical discussion. It is becaus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ate has not been generalized. Therefore, it intended to make the understanding of fate clearly through this study. In this study, first, it examine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fate prediction, and reviewed the meaning of '命 (life)' in various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structure of a fortune-telling book in 󰡔I-Ching󰡕 and the fatalism was summarized focused on the Sheng-Sheng thought (生生思想), the thought of the Heaven, and the awareness of misfortunes (憂患意識). Second, it looked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how fate predictions have changed by age, and third, Third, it organized the fatalism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oughts through the thoughts such as the Mandate of Heaven, theory of Reject Destiny, Fatalism, Dependent Origin, Karma, Transmigration, Returning to Life, theory of the Fate, etc. Fourth, it 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of Eastern fatalism focused on astrology and Saju Myungri science, and examined the substance of the fatalism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eir characteristics. Fifth, it dealt with the modern task of fatalism in terms of the problem of restoring human free will and the overcoming the secularism and human alienation, and examined the fact that fatalism could be the subject of scientific exploration and the task of modern counseling. As a result, fate refers to the existential way of 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it revealed that fatalism is not absolute for all ages and countr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e must listen to the critical opinions about fate also, and fate can be changed gradually according to our attitude. We can be in charge of our fate when we realize that the subject of fate is in our own immanent power. Recently, the fate counseling has provided a prospect for broadening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through essential understanding, such as the order of God and nature. Therefore, it should cultivate wisdom to understand both the inside and outside of human through a right understanding of fate.

      • 제1대구치 위치에 식립된 단일 임플란트의 지대주 연결유형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 골흡수 비교 및 분석

        이석현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plant connection type on marginal bone loss (MBL)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MBL: implant-abutment connection type, prosthetic connection method (SCRP type, cemented type), implant brands, implant length and diameter, emergence angle (EA), degree of periodontitis, gender, age, GBR, and diabetes. This study focuses on single implants planted in the upper and lower first molar area. A total of 97 implants from 68 patients in the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tracked for a period over 5 years. There were 57 external connection type (EC) implants and 30 internal connection type (IC) implants in 38 males and 30 female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ges 60 to 79 was the highest at 52.9%, and most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xillary area. The MBL and EA were measured from panorama images and intraoral standard radiograph images taken after 5 years at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MBL between EC and IC type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out GBR or diabetes. Patients without GBR exhibited an MBL of -0.065 ± 0.859 mm in EC type and -0.627 ± 0.639 mm in IC type (p - 0.025). Those without diabetes had an MBL of -0.131 ± 1.002 mm in EC type and -0.792 ± 0.762 mm in IC type (p - 0.00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BL between the two implant connection types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implant length and diameter, prosthesis connection method (SCRP type, cemented type), implant brands, and emergence angle (p > 0.05).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MBL and conditions including implant-abutment connection type (β = -0.303, P < 0.05), diabetes (β =-0.113, P < 0.05), EA (β= -0.234, P < 0.05), and age (β= -0.776,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osthetic connection method (SCRP type, cemented type), implant brand, implant placement location, implant length and diameter, degree of periodontitis, gender and GBR. Within this results, IC type implants had less MBL than EC type for patients without GBR or diabetes. Moreov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greater MBL in EC type implants, implant prosthesis with EA over 30 degrees, diabetic patients, and older patients. To minimize the MBL of the implant and ensure implant stability,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EA of implant prosthesis and its connection type. 이번 연구는 상∙하악 제1대구치 부위에 식립 된 단일 임플란트를 통해 임플란트-지대주 연결 유형이 임플란트의 변연골 소실 (MBL)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MBL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임플란트-지대주 연결 방식, 보철물 연결 방법 (SCRP type, cemented type), 임플란트 제조업체, 임플란트 식립 위치,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경 및 길이, 보철물의 emergence angle (EA), 치주염 심도, 성별, 나이, 식립 시 GBR 유무, 당뇨)들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하였다.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 중 5년 이상의 추적기간 동안, 상∙하악 제1대구치 부위에 단일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수복한 68명의 환자(남:38명, 여:30명)의 87 임플란트(external connection type (EC) 임플란트:57개, internal connection type (IC) 임플란트:30개)를 대상으로 추적 조사하였다. 최대 5년 후의 파노라마 및 표준 구내방사선 사진에서 MBL과 보철물의 EA를 측정하였다. 60~79세에 해당하는 환자의 비율이 52.9%로 가장 높았으며 상악 구치부에 임플란트가 가장 많이 식립되었다. GBR을 하지 않은 경우 EC (-0.065 ± 0.859mm ) 와 IC (-0.627 ± 0.639mm )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 p = 0.025), 또한 당뇨가 없는 환자들 사이에서 EC (-0.131 ± 1.002mm ) 와 IC -0.792 ± 0.762mm ) 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p = 0.007).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경, 매식체의 길이, 보철물 연결 방법 (SCRP type, cemented type), 임플란트 제조업체, 보철물의 EA로 구분하였을 때 각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MBL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결과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에서 임플란트-지대주 체결 방식(β = -.303, P < .05), 당뇨의 유무(β = -.113, P < .05), EA의 차이(β = -.234, P < .05), 나이(β = -.776, P < .05), 에서 MBL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IC가 EC보다 GBR을 하지 않은 경우와 당뇨가 없는 환자들 사이에서 MBL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B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IC 보다 EC에서 MBL이 크고, 당뇨가 있는 사람이 당뇨가 없는 사람보다 MBL이 크고, 보철물의 emergence angle이 30도 보다 큰 보철물의 형태를 가진 임플란트가 30도 보다 작은 보철물의 형태를 가진 임플란트 보다 MBL이 컸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MBL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플란트의 MBL을 최소화하고 임플란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임플란트 보철물의 EA와 임플란트-지대주 연결 유형을 세심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상∙하악 제1대구치 부위에 식립 된 단일 임플란트를 통해 임플란트-지대주 연결 유형이 임플란트의 변연골 소실 (MBL)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MBL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임플란트-지대주 연결 방식, 보철물 연결 방법 (SCRP type, cemented type), 임플란트 제조업체, 임플란트 식립 위치,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경 및 길이, 보철물의 emergence angle (EA), 치주염 심도, 성별, 나이, 식립 시 GBR 유무, 당뇨)들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하였다.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 중 5년 이상의 추적기간 동안, 상∙하악 제1대구치 부위에 단일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수복한 68명의 환자(남:38명, 여:30명)의 87 임플란트(external connection type (EC) 임플란트:57개, internal connection type (IC) 임플란트:30개)를 대상으로 추적 조사하였다. 최대 5년 후의 파노라마 및 표준 구내방사선 사진에서 MBL과 보철물의 EA를 측정하였다. 60~79세에 해당하는 환자의 비율이 52.9%로 가장 높았으며 상악 구치부에 임플란트가 가장 많이 식립되었다. GBR을 하지 않은 경우 EC (-0.065 ± 0.859mm ) 와 IC (-0.627 ± 0.639mm )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 p = 0.025), 또한 당뇨가 없는 환자들 사이에서 EC (-0.131 ± 1.002mm ) 와 IC -0.792 ± 0.762mm ) 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p = 0.007).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경, 매식체의 길이, 보철물 연결 방법 (SCRP type, cemented type), 임플란트 제조업체, 보철물의 EA로 구분하였을 때 각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MBL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결과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에서 임플란트-지대주 체결 방식(β = -.303, P < .05), 당뇨의 유무(β = -.113, P < .05), EA의 차이(β = -.234, P < .05), 나이(β = -.776, P < .05), 에서 MBL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IC가 EC보다 GBR을 하지 않은 경우와 당뇨가 없는 환자들 사이에서 MBL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B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IC 보다 EC에서 MBL이 크고, 당뇨가 있는 사람이 당뇨가 없는 사람보다 MBL이 크고, 보철물의 emergence angle이 30도 보다 큰 보철물의 형태를 가진 임플란트가 30도 보다 작은 보철물의 형태를 가진 임플란트 보다 MBL이 컸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MBL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플란트의 MBL을 최소화하고 임플란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임플란트 보철물의 EA와 임플란트-지대주 연결 유형을 세심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oly(4-vinyl pyridine)과 poly(1-vinyl imidazole)의 4차염을 이용한 나노섬유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특성분석

        이석현 忠南大學校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quaternary polymer salts(QPSs) of poly(4-vinyl pyridine)(PVPy) and poly(1-vinyl imidazole)(PVIm) were prepared through quaternization reaction between polymers and allyl bromide or butyl bromide. Then, the nanofibrous anion exchange membrane(AEM) was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of blend solution of QPSs with 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PVdF-HFP) in dimethylformamaide(DMF). The operating conditions of electrospinning equipment were controlled to fabricate nanofiber mat stably and continuously such as voltage, tip to collector distance(TCD) and injection rate. The weight fraction of QPS in the membranes was controlled to confirm effects of the change of QPS content in membranes. The chemical structure of QPSs and surface morphology of membranes were confirmed by ATR-IR, 1H-NMR and SEM. By using TGA, thermal stability of membranes was confirm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dependence on content of QPSs in membranes such as water uptake, ion exchange capacity and ion conductivity were investigated by Mohr titration and an impedance analyzer. Also, the solubility of membranes in acidic, basic conditions and deionized water was investigated.

      •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

        李錫賢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을 통해 철학의 토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전통 철학의 문제는 언어의 논리에 대한 오해로부터 비롯되었다. 언어의 오해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이상 언어가 아닌 일상 언어로 사물을 보아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전통 철학의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해소할 수 있다. 전기 비트겐슈타인은 이 세계를 사물들의 총체가 아니라 사실들의 총체로 파악했다. 사실들의 세계를 그리는 것은 명제로 구성된 언어이며, 언어의 구조는 세계의 구조와 같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래서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분석은 세계의 논리적 구조의 분석과 대응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세계의 실제적인 어떤 사실도 나타내지 못하는 명제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철학적 문제들을 발생시킨다. 비트겐슈타인은 이러한 전통 철학의 문제들에 관해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고 말한다.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전기의 자신의 견해가 경험적 관찰이 아니라 선험적 추론에 근거했음을 깨닫고 실생활에서 언어의 근거를 탐구하기 시작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의미는 언어가 지칭하는 대상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규칙 따르기’의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규칙 따르기는 공적 영역을 근거로 하므로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본성은 공적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언어게임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본질주의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날 것을 권고한다. 그러면 우리는 사물의 본질과 같은 것은 없다는 것을 알게 되고, ‘가족 유사성’이라고 불리는 사물들 사이의 다양한 유사성을 보게 될 것이다. 우리가 사는 세계는 본질에 의해 통일된 세계가 아니라 유사성과 근친성으로 느슨하게 묶인 세계다. 우리가 사용하는 일상 언어는 이러한 성향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일상 언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가지고 철학에 접근함으로써 철학적 혼란에서 벗어날 수 있다.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의 이러한 언어관을 바탕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경계가 명확하지 않지만 세계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세 부분은 사적 영역, 문화적 특성을 가진 영역, 생물학적 특성을 가진 영역이다. 우리에게 주어진 삶의 형식을 근거로 하는 세 부분은 구분될 수 있지만 분리될 수는 없으며, 서로 중첩되어 영향을 주고받는다. 이 세 부분을 상위와 하위 개념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정확히 이해하면 모든 철학의 분야는 열려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러나 이론들이 언어로 표현되는 한에 있어서 우리의 사고는 언어의 지배를 받는다. 그러므로 우리가 언어를 잘못 표현하면 우리는 잘못된 결과에 도달한다. 만일 우리가 일상 언어를 있는 그대로 이해할 수 있다면, 일상 언어가 문맥 속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이러한 일상 언어를 가지고 무엇을 할 것인가는 여전히 우리의 선택이며 자유로 남게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basis of philosophy in lights of Wittgenstein's conception of language. According to Wittgenstein, the traditional philosophical problems stem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the logic of language." To free ourselves from it, Wittgenstein suggests, we must see things in terms of ordinary language instead of ideal language. Thereby we can dissolve most of the traditional problems rather than solving them. Wittgenstein in his early times thought that the world is not the totality of things but of facts. So, he concludes that the picture of real life is a language made up of propositions, and the structure of language corresponds to that of the world. Wittgenstein thus thought that the analysis of language would lead to a corresponding analysis of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world. However, we are inclined to use propositions that actually do not represent any facts in the world, and thereby bringing about philosophical problems in a traditional sense. Wittgenstein says that we should dissolve them by keeping silent on ‘what cannot be said’. In his later period, Wittgenstein realized that his earlier view had been not grounded on empirical observations, but on some transcendental postulates. In his later philosophy he set out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language in real life. He thought that the meaning of language is not fixed by the objects which words designate, but determined by the use of language as a system of rule-following. And a rule-following necessarily presupposes a public sphere. Hence Wittgenstein concludes that language in its nature is public. He advises us to free ourselves from a fantasy about essentialism by observing the way actual language games are played. Then we will see that there is nothing like essences of things. Instead, we will see various sorts of resemblances among things, which Wittgenstein called "family resemblances." That is, we does not live in a unified world of essences, but in a world habituated with various sorts of similarities. This is the world that our everyday language reveals to us. Therefore, we can get out of the philosophical confusion by means of a close examination of the way our everyday language actually works. We may see a new world by way of Wittgenstein's conception of language. The world seen this way is no more fixed and its boundary is nither clear nor accurate. Nevertheless,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y are private, cultural, and biological spheres. Although the forms of life which we are given can be meaningfully distinguished and classified, they are not splitted. These three parts constantly repeat themselves and influence each other, and thus they are not to be seen in a hierarchical manner. If we understand Wittgenstein's claim correctly, it'll leave philosophy open-ended. However, our thought is governed by language insofar as theories are represented only by means of language. Therefore, if we misrepresent our language, we'll reach a wrong result. If we are to understand everyday language as it is, to understand the way it is actually used in some contexts will suffice. However, it still remains our choice and freedom what to do with everyday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