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름철 표면피복 양생재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특성 및 균열저감

        이상운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aim of the research is suggesting the most appropriate curing material for hot weather conditions based on the white-colored bubble sheet. In this research, as a variable of the curing materials, five different types of bubble sheet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materials and layering method. Using the prepared curing materials, the temperature profile and cracking conditions were evaluated at the actual apartment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 series of experi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As a result of temperature profile of the concrete slab, temperature reducing performance was in order of aluminum added bubble sheet, surface exposure, white-colored single bubble sheet, polyethylene film, and penetrated single layered bubble sheet. According to the result,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sunlight reflecting materials of aluminum or white-color contributes on reducing temperature. 2) In the case of cracking conditions, the cases with exposed surface and polyethylene film showed settlement cracking, and many plastic and dry shrinkage cracks while the cases with various bubble sheet type curing materials showed less cracking of plastic and dry shrinkage cracking due to the moisture drying but settlement cracking due to the construction failure. 3) As a result of the constructability analysis, the bubble sheet type curing materials was evaluated as a high constructability with its easiness of placing and less influence by exposed rebar and installed pipe because of plant manufacturing system based on the drawing of the actual building construction. On the other hand, the polyethylene film was evaluated as a poor constructability with complicated cutting process in field. Additionally, the polyethylene film occurred interruption with exposed rebar and installed pipe. 4) In economic aspect, although the initial cost of the bubble sheet type materials was higher than polyethylene film, because of high reusability and anti-staining, the cost of the bubble sheet type materials was analyzed as 50% lower than the cost of the polyethylene film. 5) For the general quality of the concrete, the bubble sheet type curing materials provided a favorable quality of concrete while the polyethylene film and surface exposed curing method caused a poor quality in aspect of crack types, cracking length, the maximum crack width, and cracking area. In summary, for hot weather conditions, white-colored single layer bubble sheet and aluminum coated bubble sheet showed the most desirable performance in aspect of concrete temperature, cracking reduction, constructability, and cost. However, the aluminum coated bubble sheet could cause a flash blindness for the workers because of its high reflectance, thus, under the research scope, a white-colored single layer bubble sheet can be suggested as the most appropriate curing material for a hot weather conditions.

      •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상운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5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 상 운 명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지도교수 정 윤 수 공직자의 최대 덕목은 윤리행위이다. 공직자들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헌신해야 하며, 특정의 개인과 조직을 위해 공권력을 행사하는 비윤리적인 공직자들을 국민들은 원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공직자들은 규범적인 윤리의식을 갖고 투철한 사명감과 책임감으로 본연의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국민들이 바라는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최근 국민적 공분을 불러일으킨 대형 사건들로 인해 민간부문 및 공공부문 불문하고 리더의 윤리성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공공부문의 지속적인 팽창은 지방자치단체의 분권 확장으로 이어짐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최고책임자인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과 권한이 한층 더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리더의 윤리성을 근간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매개변수로 설정한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 간의 영향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지방행정 운영에 필요한 정책적인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은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에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 등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과 범위는 수도권 내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단체장이 재선 이상인 18개 지방자치단체의 단체장과 소속 공무원으로 하였으며, 실증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우편에 의한 설문조사방법으로 2018년 9월 11일부터 2018년 10월 12일까지 수행하였으며, 총 694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06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 응답 등으로 분류된 25부를 제외한 381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for Window 통계프로그램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상사신뢰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직무열의, 조직몰입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에 상사신뢰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고,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 등 변수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분석에서 연령·경력이 많고 직급이 높은 공무원 순으로 각 변수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조직의 적응도가 낮은 하위직 공무원들은 각 변수의 정도가 낮다. 따라서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 등을 통하여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차원에서 하위직 공무원들을 배려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직무에 몰두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 개선, 부서단위 조직 활성화, 워크숍 등으로 개인과 조직신뢰·의사소통·비공식모임의 활성화 등의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둘째, 조직성과 측정변수별 차이분석에서 공정성이 효과성과 능률성보다 낮게 인식되었다는 것은 지방행정의 인사, 부서배치, 민원인과의 관계의 객관성 등에서 다소 미흡하다는 의미로 보여 지므로 공정성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공무원의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장은 행정행위를 윤리적이고 바르게 집행하여야 하며. 예산편성, 인사, 보직결정 등에서 사익적인 관련성은 완전 배제하고 공익적인 차원에서 올바른 행정을 집행하여야 하며, 공무원들과의 소통을 통하여 조직공동체를 이루고, 사생활도 윤리적으로 행하면 소속 공무원들은 지방자치단체장을 신뢰하고, 업무를 활력과 헌신적으로 수행하며, 소속 지방자치단체와 강한 연대감을 가짐으로써 조직성과가 향상 될 것이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신뢰는 완전매개효과를,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양한 변수들이 윤리적 리더십을 통해 향상되고, 다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정되었다. 따라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아니하지만, 상사에 대한 신뢰, 직무에 대한 열의, 조직에 대한 몰입 등 다른 긍정적 효과변수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효과변수들이 다시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얻은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행정에서 상사 또는 동료가 인식하는 윤리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진행되어 왔으나,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시점에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다양한 성과변수 및 공무원들의 행동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연구의 초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주로 기업체 등 민간부문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던 윤리적 리더십을 공공부문인 지방자치단체에서 적합한 연구모형을 수립하여 각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지방행정에서 지방자치단체장의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지방자치단체장, 윤리적 리더십, 조직성과, 상사신뢰, 직무열의, 조직몰입. A Study on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Lee, Sang Woo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Jung, Yoon Soo The greatest virtue of public officials is ethics. Public officials should devote themselves to the public interest, and the public will not want unethical public officials who exercise their powers for specific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erefore, it is the people's desire that public officials perform their duties with a sense of duty and responsibility with a normative ethical consciousness. However, Korea has recently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ethics of leader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private or public, due to large-scale incidents that have led to public resentment. In Korea, due to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ontinuous expansion of the public sector leads to the decentr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so that the role and authority of the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s is further increased. From this point of view, based on the ethics of leader this study is structur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mediating variables of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make a policy proposal for local administration.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ethical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does the ethical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does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will there be a mediating effects of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the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hiefs of local governments?     The subjects and scope of this study were among the local governm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chief executives winning more than once and the officials who belonged to the local governments of 18 local governments. The data requir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was mailed from September 11, 2018 to October 12, 2018. A total of 694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406 copies were collected. The researcher used 38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excluding 25 copies classified as untruthful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empirically using SPSS 23.0 program for Window and AMO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hief executives of local government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the ethic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s of the local gover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supervisor trus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supervisor trust between the relationship of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hief executives of local governments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and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variables such as ethical leadership, the degree of each variable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order of age, seniority, and position. The level of each variable is low for low-positioned civil officials with relatively low level of organizational adapt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promote departmental organization, and workshop to take practical measures such as personal and organizational trust, communication, and activation of informal gatherings so that they can consider low-positioned civil officials, share information, commit to work.    Second,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variables, the result that fairness is recognized as lower tha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s seen as meaning that it is somewhat lacking in objectivity of personnel, division of departments, and relationship with civilian in local administration.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the ethic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 of the local governmen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ivil officials. Therefore, the chief executive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enforce the administrative act ethically and properly. It is necessary to execute the right administration from the public interest, and exclude the personal interest from the budgeting, personnel, and decision making. Also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organizational commun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officials. If the private life of the chief executive is ethical, officials’ trustworthiness toward the chief executive will increase and duties will be carried out devotedly, and having a strong sense of solidarity with local governments will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hief executive of the local government, the superiority of the supervisor trust showed the full mediating effect, and the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various variables were improved through ethical leadership and again influenc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ethical leadership directly does not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it improves awareness of other positive effects such as trust in supervisor, job engagement,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ethical leadership is more emphas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e academic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n the ethical leadership that the supervisor or colleague perceives in the local administration has progressed to some degree, but the study of the ethic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s of local government has been hardly progresse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esented the cornerstone of the study on the ethical leadership of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the various performance variables, and the influence on the behavioral variables of the public officials    Second, this research has established a suitable research model for local governments, which are the public sector, in ethical leadership, which has been studied mainly in private sector such as business. It is meaningful that the effect of each variable is analyzed empiricall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thical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in local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s. 【Keywords】: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s, Ethical Leadership,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pervisor Trust, Job Engag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척추 임플란트 소재를 위한 고분자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과 생체 활성

        이상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척추 임플란트 소재로서의 사용에 있어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소재는 인간의 뼈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기계적 물성으로 응력 차폐 현상을 일으킨다. 이에 고분자 소재가 대체재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은 다른 고분자 소재들에 비해 높은 탄성률 및 기계적 강도를 지니면서 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화학적 안정성으로 생체 적합성을 지닌다. 생분해성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은 척추 임플란트에 적용 시 인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추후 제거 수술이 필요가 없고,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들에 비해 생분해성 속도와 기계적 물성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장점이 있다. PEEK와 PLA는 척추 임플란트 소재로의 응용 가능성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고분자 소재는 뼈를 성장시키는 생체 활성 능력이 없고, 기계적 물성 또한 인간의 뼈보다 낮아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소재에 생체 활성을 부여하기 위해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를 첨가하여 복합재를 제작하였다. HA는 인간 뼈의 주요 성분으로, 표면에서 인산칼슘 층을 성장시킬 수 있는 생체 활성 물질이다. 하지만 고분자 소재에 HA를 첨가 시 HA의 높은 표면 에너지와 기지재와의 낮은 친화력으로 인해 복합재 내에서 HA가 강하게 응집되며 소재의 기계적 강도를 떨어뜨렸다. 그리하여 HA를 첨가하여도 기계적 강도의 과도한 저하를 피할 수 있도록 HA를 적절히 개질 후 첨가하고, 기계적 물성 강화 충전재를 추가로 사용하여 생체 활성과 기계적 물성이 함께 형성된 PEEK 및 PLA 복합재를 제작하였다. 첫번째로 HA의 표면을 실란계 커플링제로 개질하여 PEEK에 첨가하였다. 실란계 커플링제로 개질된 HA (m-HA)는 커플링제의 유기 말단기를 통해 PEEK와 상호작용하여 계면접착력을 향상시켰다. 개질하지 않은 HA를 첨가 시 굴곡 강도가 강하게 감소하였던 것과 달리 개질한 m-HA를 10 wt% 첨가 시 PEEK 수지의 굴곡 강도를 유지하였고, 함량을 20 wt% 이상으로 늘려도 강도가 4%만 감소하였다. 복합재의 파단면 관찰 결과 m-HA는 HA에 비해 복합재 내에서 응집되는 경향이 작고 분산이 더 잘 되었다. 이에 탄소계 충전재인 그래핀 옥사이드(graphene oxide, GO)와 탄소 섬유(carbon fiber, CF)를 추가로 첨가하여 기계적 물성을 강화하였다. 그 결과 탄성률이 10 GPa에 달하고 굴곡 강도가 160 MPa 이상인, 피질골과 유사한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복합재를 얻었다. 이 복합재는 인공 생체 용액 내에서 인산칼슘 층을 성장시키며 생체 활성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HA의 형태를 개질하여 막대 형태의 HA 나노 입자가 아닌 섬유 형태로 합성하여 첨가하였다. 제작된 종횡비 40 정도의 HA 나노 섬유(HA nanofiber, HANF)는 복합재 내에서 나노 입자들보다 뛰어난 기계적 물성 강화 효과를 주어 PEEK/HANF의 굴곡 강도는 PEEK 수지보다 높았다. 나노 입자보다 낮은 표면적으로 복합재 내에서 응집되는 경향이 작다는 점도 강도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CF를 추가로 첨가하여 기계적 물성을 더 강화하였고, 최종적으로 탄성률 10 GPa 이상, 굴곡 강도 200 MPa에 달하는 피질골에 준하는 기계적 물성을 지닌 복합재를 얻었다. 이 복합재는 인공 생체 용액에서 인산칼슘을 성장시키며 생체 활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HANF를 PLA에 첨가시켜 척추 임플란트 소재로 응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를 만들었다. PEEK 복합재에서와 마찬가지로 PLA에 HANF 첨가 시 PLA 수지보다 높은 탄성률과 굴곡 강도를 얻었다. 이에 생분해가 되는 약 5 mm 길이의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단섬유를 기계적 물성 강화를 위해 추가로 첨가하여 기계적 물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HANF와 PGA 단섬유의 함량을 찾았다. 그 결과 탄성률 7.9 GPa, 굴곡 강도 124 MPa의 피질골의 기계적 물성 범위에 드는 복합재를 얻었다. 역시 인공 생체 용액 실험에서 생체 활성을 띠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소재의 생체 활성 향상을 위해 HA를 첨가할 시 기계적 강도가 저해되는 기존의 문제를 피하고자 HA를 개질하여 사용하였다. HA의 개질은 표면을 실란계 커플링제로 개질하여 고분자 기지재와의 친화력을 높이는 방식과 형태를 종횡비가 큰 섬유로 제작하여 기계적 물성을 강화시키는 두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두 방식 모두 효과를 보여 개질한 HA를 첨가시켰을 때 수지의 강도를 유지하거나(PEEK/m-HA) 심지어는 향상시켰으며(PEEK/HANF, PLA/HANF) 충전재의 분상 상태가 개선되었다. 이에 PEEK 복합재에는 GO와 CF를, PLA 복합재에는 PGA 단섬유를 추가로 넣어 고분자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을 피질골의 수준까지 올렸다. 이와 같이 생체 활성과 기계적 물성이 동시에 향상된 PEEK 및 PLA 복합재는 척추 임플란트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높다. Polymer materials have gained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metals for spinal implant material, as the polymer can avoid stress-shielding effect. Polyetheretherketone (PEEK) has higher modulus and strength compared to many other polymers, and is chemically stable, biocompatible material that does not promote side reactions in vivo. Biodegradable poly(lactic acid) (PLA), when made into spinal implant, has an advantage of not needing a follow-up surgery to remove the implant, as it can be degraded naturally in vivo. Of the biodegradable polymers, PLA has advantage of having a good balance between degradation time and mechanical properties.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reported to apply PEEK and PLA for spinal implant material. However, these polymer materials lack bioactivity, and have mechanical properties lower than human cortical bone. In this study, hydroxyapatite (HA) was incorporated to give bioactivity to polymer composites. HA is a bioactive material that can grow calcium phosphate layers on the surface, and is one of main components of human bone. However, due to high surface energy of HA and low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HA and polymer matrix, HA was strongly aggregated in the composites and decreased the mechanical strength. To avoid this drop in mechanical strength after incorporating HA in the composite, HA was used in modified form. Fillers that can reinforce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additionally added to make PEEK and PLA composites that improve both bioa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First, the surface of HA was modified with silane coupling agent. The modified HA (m-HA) increased its interaction with PEEK through the functional groups of the coupling agent. Unlike HA which sharply decreased the flexural strength when incorporated, the composite maintained a similar strength to neat PEEK when 10 wt% of m-HA was added. When 20 wt% of m-HA was added, the flexural strength decreased only 4%. Observing the fracture surface of the composite, m-HA was seen to be well-dispersed in the composite and had less tendency to aggregate than HA. Graphene oxide (GO) and carbon fiber (CF) was then added to give additional reinforcement in mechanical properties. As a result, composite having similar level of mechanical properties to the cortical bone, with modulus of 10 GPa and flexural strength above 160 MPa, was made. This composite was also observed to be bioactive, growing calcium phosphate layers on its surface when placed in simulated body fluid. Secondly, HA was morphologically modified, and was added as a fiber rather than as a nanoparticle. HA nanofiber (HANF), which was synthesized with aspect ratio of 40, could give more effective reinforcement than HA nanoparticles with aspect ratio less than 10. As a result, PEEK/HANF had a higher flexural strength than neat PEEK. HANF was also seen to be more evenly dispersed compared to HA in the composite. CF was then added for additional reinforcement, and as a result, PEEK/HANF/CF composite with modulus above 10 GPa, and flexural strength near 200 MPa was obtained. This composite had mechanical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the cortical bone, and was observed to be bioactive when placed in simulated body fluid. Finally, HANF was incorporated in PLA to make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e for spinal implant material. Similar to PEEK/HANF composites, PLA/HANF composites had higher flexural strength than neat PLA. Poly(glycolic acid) (PGA) short fiber of 5 mm length was added for additional reinforcement, and the optimum amount of HANF and PGA short fiber that most effectively increases the mechanical properties was found. As a result, PLA/HANF/PGA short fiber composite with modulus of 7.9 GPa and flexural strength of 124 MPa was obtained. The composite was observed to be bioactive. HA is typically incorporated in polymer composites to improve their bioactivity. In this study, HA was modified before incorporation to avoid possible reduction in mechanical strength. HA was modified in two different ways. First, it was surface-modified with a silane coupling agent to improve its affinity towards polymer matrix. Second, HA was synthesized as a fiber form with high aspect ratio. Both modified HA was proved to be effective, avoiding the sharp decrease in mechanical strength when added to the composite. Then additional fillers were incorporated to reinforce the mechanical properties to the level of the cortical bone. For PEEK composites, GO and CF were added, and for PLA composites, PGA short fiber was added. These PEEK and PLA composites with improved bioa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have high potential to be used as spinal implant materials.

      • 무전해 도금에 의한 고분자 미립구에 전기전도성 박막의 제조

        이상운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미세 전극 사이의 접속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고밀도 응용에서 납땜을 대체할 수 있는 이방성 전도 접착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탄성 고분자 입자에 전기 전도성 박막을 형성하는 것은 이방성 전도 접착제를 제조하는데 지극히 중요하다. 최근 다양한 무전해 도금 기술이 비전도성 고분자에 전도성 박막을 코팅하는데 응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금/니켈 코팅된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전통적으로, 니켈이 무전해 도금에 의해 코팅되고, 니켈 코팅된 고분자 입자는 분리, 세척 및 건조되어, 금이 침적 도금에 의해 코팅되며. 이는 분리 도금 공정이라 불린다. 새로운 방안의 주안점은 연속 도금 공정인데, 여기서 어떤 분리, 세척 또는 건조 단계 없이 무전해 니켈층이 침적 금에 의해 부분적으로 치환된다. 직경이 4.1 또는 4.7 ㎛인 단분산 폴리디비닐벤젠 미립구에 니켈 또는 금/니켈 층의 도금을 조절하는 실험 파라미터의 영향이 체계적으로 조사되었다. 고분자 표면을 최적 조건에서 세척, 식각 및 촉매화한 후, 무전해 도금에 의해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미립구의 표면에 니켈 박막이 형성되었다. 착화제로서 글리신을 사용해 균일하게 덮인 니켈이 얻어졌고, 도금 용액에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미립구의 응집 없이 표면 덮임율이 더욱 증진되었다. 미립구의 표면적은 벌크 기판의 그것보다 ~600배 크며, 이는 무전해 도금 용액을 극도로 불안정하게 하여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하법이 적용되었다. 니켈 코팅된 미립구에 대한 박막 두께는 도금 시간에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ICP-OES에 의해 정량된 박막의 인 함량은 ~2 wt%였으며, 이는 보고된 결과와 대조하여 예외적으로 낮다. 전기 전도도를 더욱 향상하기 위해 침적 도금에 의해 니켈 코팅된 미립구의 표면에 금 박막이 형성되었다. 분리 및 연속 도금 공정에 의해 제조된 금/니켈 코팅된 미립구에 대한 박막 두께는 도금 시간에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고분해능 TEM 측정은 침적 도금 동안 니켈이 용해되나 금에 의해 정량적으로 치환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AES 깊이 분석은 분리 도금 공정과 비교하여 연속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된 박막은 두께를 따라 경사진 원자 조성을 가진다는 것을 시사했다. 단일 금/니켈 코팅된 미립구의 10% 압축률에서 전형적 접촉 저항은 수 Ω정도였다. The increasing demand for fine pitch interconnections has led to a growth of interest in anisotropically conductive adhesives as an alternative to solder joints in high density applications. Forming electronically conductive films on elastic polymer particles is of vital importance when preparing the anisotropically conductive adhesives. Recently a variety of electroless plating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to conductive coating of nonconducting polymers. This work has been initiated in order to find new routes for the preparation of gold/nickel-coated polymer particles. Conventionally, nickel is coated by the electroless plating, the nickel-coated polymer particles are separated, cleaned and dried, then gold is coated by the immersion plating, called the separate process. The key point of this new route is, the continuous process, where the electroless nickel layer is partly displaced by the immersion gold without any separating, cleaning or drying step. Influence of experimental parameters controlling the plating of nickel or gold/nickel layer on monodisperse polydivmylbenzene microspheres of 4.1 or 4.7 ㎛ in diameter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After cleaning, etching and catalyzing the polymer surface under optimized conditions, nickel film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electrically nonconducting microspheres by the electroless plating. Uniform coverage of nickel was obtained using glycine as a complexing agent, and the surface coverage was further improved without coagulation of microspheres adding a surfactant in the plating solution. The surface area of the microspheres is ~600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bulk substrate, raising a serious issue of extremely unstable electroless plating. The dropping method was applied to address this issue. Film thickness increased linearly with plating time for nickel-coated microspheres. Phosphorous content of the film determined by ICP-OES was ~2 wt%, exceptionally low in contrast to reported results. Gold film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nickel-coated microspheres by the immersion plating to further improve their electrical conductivity. Total film thickness increased linearly with plating time for gold/nickel-coated microspheres prepared by the separate and continuous plating processes. High resolution TEM measurements showed that during the immersion plating, nickel is dissolved but not quantitatively displaced by gold. AES depth profiling suggested that the film prepared by the continuous plating process had gradient atomic composition along the thickness, compared with that by the separate plating process. Typical contact resistance at 10% compression ratio of a single gold/nickel-coated microsphere was in the order of several Ω.

      • 대기업 근로자들의 정년퇴직 후 노후준비와 지역계속 거주에 관한 연구

        이상운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기업 근로자들의 정년 퇴직 후 지역 거주에 미치는 영향과 노후 준비 정도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통하여 분석 지역 사회의 대책을 수립 을 제안 하고자 한다..

      • 웹에서 문제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상운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사회는 고도의 정보화사회로서 평생교육을 강조하며, 학교현장에서는 학습자의 창의적 학습의 강조와 더불어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이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웹을 이용한 교수-학습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학습 자료는 단순한 학습을 위한 웹 기반 교수-학습 자료이거나 단순한 문제은행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존 학습 시스템들은 문제 중심의 학습을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의 개발이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과의 기본 개념과 원리의 이해를 웹을 이용하여 학습한 후, 문제은행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평가 문항을 선택하여 평가를 받고 결과에 대해서 즉각적인 조회를 수행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한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 스스로 학력 수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의문점은 교수자와 온라인 게시판 통하여 의문점을 해결한다. 또한 자료실과 묻고 답하기를 이용한 학습자와 학습자,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증진시킨다. 향후 연구 방향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이다. The modern society as a high-level information-oriented society lays a great emphasis on lifelong education. It emphasizes all the learners' creative learning ability and multiple teaching-learning methods a s well. We need the self-directed learning to meet these requirements, and one of the solutions i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employing the web. Though many educators, so far, developed a number of teaching materials, they are no more than web-based teaching materials for simple learning activities or simple item-bank systems. So, this thesis suggests an item-oriented an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n web in order to overcome such simplicities, and it show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Suggested system enables learners to get an instant feedback from the result of their evaluation after they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n the web. Also it supports a test of questions chosen from the item bank in a self-directed way. The system helps learners to understand their learning levels for themselves and to solve their questions through on-line discussions with their instructor. The system can also be helpful in developing the learners' learning effects by sharing mutual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room or the Q&A between learners and learners or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Future works are to improv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enabling learners to learn in a self-directed way.

      • 情報化 時代의 軍事革新 推進方向에 관한 硏究

        이상운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modern war has been conducted, as seen in Gulf war, Kosovo war, and Iraqi war, in the form of visualizing the battlefield by using ultimate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ics and surveillance -recconnaissance satellites, taking the initiative by attack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system of enemy's command and communication, and deciding winning or losing the war. Many countries of the world including U.S have been making an effort in order to construct more strong military power through RMA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for these new forms of war. After our military forces, in the situation tha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onfront with each other, did not feel the necessities of RMA due to the reduction of our country's defense budget, shocked from those wars, responded enormous quantative military forces of North Korea, organized 'the planning team of RMA' in 1999,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warfare, formulated the concept of RMA, and have been pushing forward in each part of it. But we need long-lasting and systematic RMA in order to abtain the strong deterrent power of war,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for N.K's present military forces, take the initiative in the emegency situation, lead to winning the war, and further more, respond actively toward quite different strategic surroundings of the unified Korea. The future war will be information warfare in which to decide the winning or losing the war by using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ics, and is expected to develop into the form of space war to attack directly major facilities and equipments and firepower of the enemy beyond the level of surveying the battlefields and providing information. Especially, it will be the form of precise striking warfare in which to attack major information properties and C^(4) I of the enemy accurately with minimal quantities by using PGM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military forces of the enemy with tremendous firepower, to strengthen the maneuvering capabilities of taking the initiative by maneuvering overhelming combat power into required places. So, I presented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Korean RMA appropiate to future development of our national defense by analyzing strategic environments of Korea and present status of our military development, with the ground of conducting style of future war and the necessity of RMA. At first, Most of all, we should push up far-sighted RMA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pre- and post- unification of two Koreas. Even though we must continue RMA in the situation of restricted defence resources, long-enduring RMA related to the unified Korea rather than developing the responsive concept against military power of present N.K is desirable. That is, the concept to confront effectively against military threats of surrounding countries is needed. Secondly, we need to build deterrent capability "The Porcupine Deterrent Strategy" appropriate to Korean situation. it is needed that, before we are unified, we can attain the goal of deterrence of war with our main enemy, the military forces of N.K, and in the strategic environmnent after our unification, we should be able to deter war with unspecific possible enemies. Especially, we can not prepare for certain specific countries in the diversified environments after our unification, need to abtain the required capability under the deterrence strategy.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small but strong military forces. with these forms of concept, At first, we need to develop critical core military technics to support our RMA continously. Because the technical development will be restriced by developed countries' dominance of core technics, we can not achieve our required RMA without retaining core technics to develop our deterrent capabilities. Secondly, we should contain precise striking capabilities against the enemies by using high-tech PGM. When we consider our national strenghth, it is undesirable for us to confront threats of surrounding countries with quantative combat power. And the strong deterrent capability of war is important. Because the long range PGM can put pressure on adversaries about counterattack, it can annihilate combat power of the enemy in operational level, and can be an effective means in strategic level. Thirdly, we should have information system to detect and actively respond threats of surrounding countries. That our present information is relied on properties and support of U.S is very dangerous, when we consider military operations in emergency. It is desirable that, while we have our own information properties, we can use the information properties of allied and friendly countries. Fourthly, we should develop our core military forces with dominant manuevering capabilities. The dominant maneuvering capabilities are compulsory in seizuring the initiative in the battlefields, and small core military forces with these kinds of combat power will accomplish the dominant role when we need to project our combat forces into required places. Fifthly, we should construct C^(4) I to proceed the operations effectively with other countries as well as our own forces. Advanced C^(4) I is very important in the future digital battlefield, and especially compatible C^(4) I ability with allies such as U.S is compulsory.

      • 양자화 오차 보상을 이용한 적응적 영상 부호화 기법

        이상운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유한 상태 벡터 양자화(FSVQ : Finite State Vector Quantization)의 상태 오류와 블럭 절단 부호화(Block Truncation Coding)의 불충분한 양자화 레벨 수에 의해 발생되는 양자화 왜곡 문제를 해결하는 영상 압축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FSVQ 기법은 블럭내의 상관 관계 뿐 만 아니라 블럭사이의 상관 관계도 이용하는 효율적인 영상 압축 기법이다. 그러나 상태 오류가 발생하면 입력 블럭에 대한 최적의 부호 벡터를 선택할 수 없을 뿐 만 아니라 상태 오류가 다음 블럭에까지 천이 되기 때문에 화질을 저하시킨다. 이와 같은 FSVQ의 상태 오류를 처리할 수 있는 두 가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첫 번째 기법은 FSVQ의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2 단계 벡터 양자화 기법을 이용하였다. 입력 블럭은 우선 첫 번째 단의 양자화기인 FSVQ을 이용하여 영상을 부호화 한다. 만약 상태 오류가 발생하면 FSVQ에 의해 재구성된 값과 원 신호사이의 차이 신호에 대하여 두 번째 단의 일반 벡터 양자화기를 이용하여 부호화 한다. 두 번째 기법으로 새로운 왜곡 함수를 이용한 적응 FSVQ을 제안한다. 기존의 사이드 매치 왜곡 함수는 블럭 경계 사이의 휘도 천이를 부드럽게 해주고 블럭사이의 상관 관계가 높은 영역에서는 적절한 상태 부호책을 작성할 수 있다. 그러나 블럭사이의 상관 관계가 낮은 영역에서는 적절한 상태 부호책을 작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이드 매치 왜곡 함수에 영상의 특징을 표현해 줄 수 있는 분산 값을 가중치로 사용하여 기존의 기법보다 상관 관계가 낮은 영역에서 보다 적절한 상태 부호책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태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태 부호책에서 선택한 부호 벡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호책을 탐색하여 입력 블럭을 부호화함으로써 상태 오류 문제를 해결하였다. BTC 알고리듬은 계산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입력 영상을 2-레벨로 부호화 하기 때문에 에지 영역을 부호화할 경우 불충분한 양자화 레벨 수에 의해서 재구성된 값에 지그재그 형태의 양자화 왜곡이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다. 제안한 기법은 우선 입력 영상을 특징에 따라 저활성 영역, 중활성 영역, 고활성 영역으로 분류하고, 저활성 영역은 1-레벨 양자화기, 중활성 영역은 2-레벨 양자화기, 고활성 영역은 4-레벨 양자화기를 사용함으로써 비트율과 양자화 잡음을 감소시키는 적응적 방법이다. 그리고 원 신호와 BTC에 의해 재구성된 신호사이의 차이 신호를 이용하여 비트율을 감소시켰고 양자화 잡음을 제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