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병원의 예산슬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상욱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63

        대학병원의 예산슬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 상 욱 (지도교수 : 배성윤)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병원경영학과 연구목적 : 예산은 기업의 목표를 계수화 한 것이며,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경영전략과 중장기 경영계획을 수행하는 척도이다. 구체적으로 계수화 된 예산은 경영업적평가 및 경영계획에 있어 올바른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대학병원의 예산업무특성 및 개인의 윤리적 판단성향이 예산슬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여 대학병원 예산시스템의 효과적인 관리?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모형을 개발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 실증자료 수집을 위해 수도권 및 부산?경남지역에 소재한 16개 대학병원 예산실무자 및 예산 관리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총194부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산업무특성의 예산관련정보접근성, 업무명확성이 예산슬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판단성향의 상대주의 성향이 예산슬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산업무특성 및 윤리적 판단성향과 예산슬랙 간의 관계에 있어 과업지향적 리더십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병원의 특성에 맞는 예산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합리적인 경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병원 예산슬랙에 관한 최초의 연구로서 큰 의의를 가지며, 병원예산에 관한 새로운 연구에 토대가 될 것이다. 중심단어 : 예산슬랙, 대학병원, 과업지향적리더십, 업무명확성 ABSTRACT Factors related to budgetary slack in university hospitals Lee, Sang Wook (Directed by Prof. Bae, Sung Yoon Ph.D.)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Objective : A budget is a quantified goal of a company and a measure by which the company builds its management strategy and medium-to-long-term management plan in reaching the goal effectively. A detailed budget provides a proper mode for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and planning.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budgetary slack was affected by the budgetary task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ethics,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adership style on their relationship in the university hospital setting. Method :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a survey among 300 budget administrators and practitioners in 16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and Busan-Gyeongnam region, and a total of 194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 18.0 (Chicago, IL, USA) for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variance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 :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essibility of relevant information and clarity in budgetary task characteristics directly affected budgetary slack. Second, relativism in personal ethics directly affected budgetary slack. Third, regarding the correlation of budgetary slack with budgetary task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ethics, task-oriented leadership style was shown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ir relationship. Conclusion : These analyses may be relevant in developing a budget management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 and in building a rational management plan. This is the first study on hospital budgetary slacks and may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on hospital budgets. ____________ key words: Budgetary slack, University hospitals, Task oriented leadership, Task clarity

      • 공통과학 실험학습을 위한 가상실험실 설계 및 구현

        이상욱 한서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배우는 공통과학은 탐구 학습, 실험, 자료해석 중심 등으로 교과서가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관찰 및 실험을 하기 어려운 단원을 수업시 학습자의 동기 유발 및 학습의욕상실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현 생활에서 재현하고 실험하기 어려운 단원을 중심으로 Macromedia Flash을 활용하여 다양한 애니메이션과 시뮬레이션으로 가상실험 시스템을 설계 · 구현하였다. 구현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시스템 구현을 실현하기 위해 학생들의 경험이 학습에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호작용을 통하여 가상실험에 능동적으로 참여 할 수 있다. 둘째, 웹 기반 가상실험 시스템으로서 수업시간을 물론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학습을 스스로 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학습효과가 매우 높아질 수 있다. 셋째, 기존의 문자, 이미지중심의 수업보다 효과적이고 흥미롭게 수업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가상실험에 의하여 원리나 개념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넷째, 해당 단원에 대한 핵심문제를 제공하여 실험학습이 끝나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과제 학습에 따른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Currently, the textbook-common science-which is taught to the first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consists of Research, experiment, interpretation of materials, and so on. However when teachers teach students the units which are difficult to observe and experiment, there are some problems the students may lose their motivation and desire for study. As the alternative to these problems, this thesis designs and implements a virtual experimental Laboratory, which performs a variety of animations and simulations through Macromedia Flash, and centers round the units the students are hard to observe and apply to learning situation The content implemented are as follows: First, to implement the learner-centered system, students' experiences are intended to be reflected to learning to the utmost. Therefore, the students are able to take part in virtual experiments actively through the interactions. Second, it implements a web-based virtual experimental simulation. So i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effect of study. Since learners can study not only during class but also whenever and wherever they want for themselves. Third, it may be able to lead the lesson to be more effective and interesting than the conventional learning method centered round letters and image, and make the students easily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the concepts by means of virtual experiment simulation. Fourth, it provides important questions about related units. After learning and testing about related units is finished, various questions to verify learners' degree of learning for themselves and resultant feedbacks are provided to foster the capability to solve out questions according to home projects.

      • 초등 사회수업에 대한 수업비평

        이상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discernment on instructions with various views and understandings via criticizing actual cases involving them. The existing research on instructions has investigated instructions based on certain analytic frames and assessed them only with quantitative measurements. Such assessments have significance but fail to present directions for improving instructions based on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relevant instructions. Other than the existing approaches, the author of this study selected an approach of observing and understanding instructions from a critical viewpoint. Criticism of instructions sees them from a contextual dimension, having merits in that it variously considers meanings of instructions such as intentions of the teacher who presents the instructions, curriculum analysis, and responses and growth of students for in-depth understanding. By utilizing the method of criticism of instructions, discernment to discriminate what good instructions are and who makes efforts to practice good instructions can be improved via watching instructions with more various views. In order to improve discernment of the author o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the author conducted criticism of instructions on two social studies teachers. As for concrete methods, the author first analyzed the videos recording instructions and materials related to the instructions of the two teachers, preparing the first critique of instructions. Then, the discernment on instructions of the author shown in the critique was critically examined, and the second critique of instructions was prepared on the basis of addition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cluding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Through this process, changes in the author's discernment on instruction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hanges in the author's discernment on instructions shown in the two activities of instruction criticism,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critique of instructions. In the two sessions, it was difficult to hastily assess the behaviors of the teachers or to exceed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instruction views through the first instruction criticism. However, in the second instruction critique prepared after deeply observing the instructions and consider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ructions, a more in-depth interpretation was able to be presented on the intentions of the teachers, subjects and contents of the instructions, and contexts in the classrooms. Also, the author was aware of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topics in revealing significance of instructions. Based on this study, it can be identified that criticism of instructions contributed to growth of the discernment of the author when seeing instructions. It was not a convenient experience to understand and interpret instructions without depending on objective scales such as checklists. However, the author experienced that the prospects of understanding instructions were expanded and deepened via activities of repetitive observation of instructions and research of various background data related to instructions. Also, growth of discernment on instructions via criticism of instructions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instructions presented by the author, for improvement of instructions is not able to be conducted without an in-depth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m. Conclusive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eeking to improve discernment on instructions with various views and understanding by criticizing instructions via actual cases involving them. In particular, the author had an asset in being able to read and abundantly interpret social studies instructions by criticizing social studies instructions in which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difficulty. The author intends to improve ability of observation of instructions and practice via continuous criticism. 이 연구는 실제 수업 사례를 비평함으로써 수업을 다양하게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는 수업을 보는 안목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수업을 보는 기존의 연구들은 일정한 분석틀을 기준으로 수업을 보고 계량적 수치만을 이용하여 수업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나름의 의미가 있으나 해당 수업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 개선의 방향을 제시해 주지는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접근법과 다르게 비평적 관점에서 수업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접근법을 택하였다. 수업비평은 수업을 맥락적인 차원에서 바라보며, 수업을 하는 교사의 의도, 교과 내용에 대한 분석, 학생의 반응과 성장 등 수업의 의미를 다양하게 생각해보고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런 수업비평의 방법을 활용하면 수업을 보다 다양하게 바라봄으로써 무엇이 좋은 수업인가를 생각하고, 누가 좋은 수업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는가를 구분할 수 있는 안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구자의 사회 수업에 대한 안목을 성장시키기 위해서 2명의 교사의 사회과 수업 에 대한 수업 비평을 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우선, 교사의 수업 비디오와 수업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여 1차 수업 비평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수업 비평문에 드러난 연구자의 수업 안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수업을 한 교사와의 대화를 비롯한 추가적인 자료 수집과 분석을 바탕으로 2차 수업 비평문을 작성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수업을 보는 연구자의 관점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두 번의 수업비평 활동을 통해서 연구자의 수업 안목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1차 수업 비평과 2차 수업 비평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차례 모두 1차 수업비평을 통해서는 수업자의 행동에 대한 조급한 평가를 하거나 수업장면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를 벗어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수업에 대해서 깊이 들여다보고 다양한 수업 관련 정보를 숙고한 후에 작성한 2차 수업 비평문에서는 수업을 한 교사의 의도, 수업 주제와 내용, 교실의 맥락 등에 좀 더 깊이 있는 해석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수업의 의미를 드러내는 데 토픽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수업을 비평하는 것이 수업을 바라보는 연구자의 안목을 성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크리스트 등의 객관적인 척도에 의존하지 않고 수업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경험이었다. 그러나 수업을 반복적으로 관찰하고 수업에 대한 다양한 배경 자료를 공부하는 활동을 통해서 수업을 이해하는 지평이 확대되고 심화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수업 비평을 통해서 수업 안목이 성장하는 것은 연구자 본인의 수업 개선에도 도움이 됨으로 느꼈다. 수업 개선도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맥락적 이해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연구는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수업비평을 함으로써 수업을 다양하게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는 수업을 보는 안목의 향상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많은 초등 교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 수업에 대한 비평 활동을 함으로써 사회 수업을 풍부하고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갖게 된 것은 연구자에게 큰 자산이다. 앞으로 계속적인 비평 활동을 통해서 수업관찰과 실천의 능력을 신장시켜 나가고자 한다.

      • 궤양형 사이질성 방광염에서 새로운 생체표지자로서 MIF와 Beta Defensin 2의 역할

        이상욱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간질성 방광염의 궤양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방광 내시경의 시행이 필수적이나 모든 의심되는 환자에게 방광 내시경을 시행하는 것에는 제약이 있다. 비침습적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생체 표지자가 있다면 방광 내시경의 단점을 보완하고 간질성 방광염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자는 생체표지자인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MIF)와 β-defensin-2(BD-2)가 간질성 방광염의 궤양 유무 확인 및 불필요한 방광 내시경 검사를 줄이기 위한 선별검사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정상군 28명(Group I)과 2 간질성 방광염 환자 중 비궤양형 30명(Group II), 궤양형 60명(Group III)을 대상으로 하였다. Group I의 경우 외래에서 무균적으로 단순도뇨(nelaton)를 이용하여 소변을 채취하였으며, Group II와 Group III의 경우 수술 당일 수술실에서 수술직전 소독이 된 상태에서 단순도뇨를 이용하여 소변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소변을 이용하여 MIF와 BD-2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Group I, II와 Group III로 나누어 MIF와 BD-2가 궤양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지와 MIF와 BD-2의 임상적으로 유용한 cuf off value 및 logistic 회귀 분석을 하였다. 결과: MIF(pg/mg creatinine)의 경우 Group I은 5.12±8.05, Group II은 16.37±27.42, Group III는 111.21±187.54이었으며, Group III에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Group I, II, III의 세 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Group I와 Group II의 두 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Group I과 Group III, Group II와 Group III의 두 군간에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BD-2(pg/mg creatinine)의 경우 Group I은 10.35±9.40, Group II은 16.87±15.98, Group III는 82.07±144.73 이었으며, Group III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Group I, II, III의 세 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Group I와 Group II의 두 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Group I과 Group III, Group II와 Group III의 두 군간에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Group I, II와 Group III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Cut off value는 MIF는 19.05(sensitivity: 84.48%, specificity: 68.33%), BD-2는 28.75(sensitivity: 89.66%, specificity: 51.67%)로 확인되었다. 결론: 궤양형 간질성 방광염에서 정상군과 비궤양형 간질성 방광염 환자보다 MIF와 BD-2가 높게 측정되었다. Cut off value 수치로 MIF가 19.05(sensitivity: 84.48%, specificity: 68.33%), BD-2가 28.75(sensitivity: 89.66%, specificity: 51.67%) 이상으로 확인되는 경우 궤양형 간질성 방광염의 가능성이 높아 반드시 방광 내시경 등의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MIF와 BD-2가 간질성 방광염의 방광경의 진단적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겠으며, 이를 위하여 보다 많은 대상군을 상대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방사선 조사 후 흰쥐 대뇌피질에 분포한 Neuropeptide-Y 신경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이상욱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Severe irradiation on the cerebral cortex of the human and animals may result in functional alterations of central nervous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rradiation effects on the cerebral cortex of the rats after X-irradiation on the brain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distribution and morphology of the neuropeptide-Y(NPY) neurons. Radiation was produced by the linear accelerator 6MV X-ray, and the animals were categoriz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nd we use 45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bout 200∼250gm. The head areas of the animals were positioned within the radiation field of 12㎝ x 20㎝ and with the radiation depth of 1.5㎝. Sodium chloral hydrate-anesthetized rats were exposed to the radiation with the dose rate of 240 cGy/min. The total dose was 1800 cGy. Animals were sacrificed on 2 hours, 5 hours, 1 day, 3 days, 7days after brain irradiation. Under anesthesia, animals were perfused with 4% paraformaldehyde-1% glutaraldehyde solution. One or two hours after the perfusion, brain were taken out and refixed over night in the same fixative. Using ABC immunohistochemistry,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neuropeptide-Y immunoractive(NPY -IR) neurons were studied on the cerebral cortex of the control and brain irradiated rats. We used light, transmission electron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On control group, NPY-IR neurons were found in all layers of the primary sensory and motor cerebral cortex. and the NPY-IR neurons were concentrated within the layer II, III and V, VI. The typical NPY-IR perikarya was bipolar and multipolar shape. 2. On 2 hours, 5 hours, 1 day following X-irradiation, decreased number of NPY-IR neurons were detected in the primary sensory and motor cerebral cortex of the rats. Also shrinked and transform NPY-IR neurons were detected in the primary sensory and motor cerebral cortex of the rats. 3. On 3 days and 7 days after X-irradiation,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NPY-IR neurons in the primary sensory and motor cerebral cortex was generally restored. 4. In optical serial section analysis of NPY-IR neurons, high fluorescence intensity were observed in a part of the 8-11 sections of control and all irradiated groups. In optical single section analysis of NPY -IR neurons, red color(high fluorescence intensity) were observed in a part of 6,7 sections of control and all irradiated groups. 5. By electron microscopy NPY-IR neurons of the 2 hours, 5 hours, 1 day after X-irradiated rats exhibited severe alterations of their organelles concerning intracellular material transport ; such as disappearance of microvilli and basal infoldings, reduction of invaginating pits on the basal and apical plasma membranes, reduction of transform vesicles and shrinked Golgi complexes, etc.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and transcapillary leakage of blood substance were occurred on 2 hours, 5 hours, 1 day after X-irradiation, but the condition was generally restored on 3 days and 7 days following X-irradiation.

      • 인지 무선 시스템을 위한 협력 스펙트럼 감지 방식의 성능 분석

        이상욱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allows secondary users of a cognitive radio(CR) network to collaborate to determine whether a primary user occupies the spectrum of interest or not. It has been recognized as a promising technique to reduc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spectrum sensing in a fading environment. A popular way of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is that each secondary user performs spectrum sensing and transmits the associated decisions to a fusion center, which combines the decisions into a final one using some fusion rule. A most general form of the fusion rule is the k-out-of-n fusion rule. This rule declares that the spectrum is occupied only when the decisions from more than k-1 secondary users indicate the presence of a primary user. In this paper, we analyze a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scheme with the fusion rule under the constraint that its detection probability is maintained to be no less than a given level and present the corresponding numerical results for the case of a CR network with 10 secondary users. Also, there has bee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optimal spectrum sensing interval for maximum throughput for a CR network with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This is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each secondary user and the fusion center are ideal and error-free. Motivated by this, we model the channels as binary symmetric channels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 transmission error probability on the maximum throughput and the associated optimal sensing dur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transmission error is smaller for the case of using the AND fusion rule than for the OR fusion rule. 인지 무선(cognitive radio) 네트워크에서 협력 스펙트럼 감지(cooperative spectrum sensing)는 다수의 부 사용자(secondary user)가 서로 협력하여 주 사용자(primary user)의 스펙트럼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서 페이딩으로 인한 스펙트럼 감지 성능의 저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협력 스펙트럼 감지를 수행하는 일반적인 형태는 부 사용자가 주 사용자의 스펙트럼 사용 여부를 일차적으로 판정하고 그 결과를 융합 센터(fusion center)로 전송하면 융합 센터는 이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융합 센터에서는 부 사용자들의 판정을 종합하여 최종 판정을 내리는데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융합 규칙으로 k-out-of-n 규칙이 있다. 이 방식은 n명의 부 사용자 중에 k명 이상이 주 사용자가 해당 스펙트럼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에 동의할 때에만 이를 최종 판단으로 확정하는 규칙으로 기존의 융합 규칙을 일반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주 사용자의 검파 확률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한다는 조건하에서 k-out-of-n 융합 규칙을 사용하는 협력 스펙트럼 감지 방식의 성능 분석 방식을 제시하고, 그 적용 사례로 10명의 부 사용자로 구성된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수치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협력 스펙트럼 감지 구조에서 부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량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스펙트럼 감지 시간 및 그에 따른 최대 전송 용량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이미 발표된 바 있는데, 이 결과는 개별 부 사용자 단말과 융합 센터 사이에 이상적인 전송 채널을 전제로 한 것이어서 전송 오류에 따른 영향을 반영하지 않았다. 이에 부 사용자와 융합 센터간에 데이터 전송 환경을 이진 대칭 채널(binary symmetric channel)로 모델링한 후, 부 사용자가 확보할 수 있는 전송 용량과 이를 최대로 하는 스펙트럼 감지 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ND 융합 규칙을 사용하는 경우가 OR 융합 규칙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전송 오류로 인한 전송 용량(throughput) 손실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 INERTIA ESTIMATION OF SATELLITE SIMULATOR : 위성 시뮬레이터 관성모멘트 추정

        이상욱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ir-bearing Test Bed has been developed for ground simulation. It has a table-top configuration capable of floating 250 kg satellite. Estimation of the moment of inertia of test platform has been performed by adapting recursive least squares method and integration method. Numerical simulation is performed to verify estimation algorithm. Then the algorithm is applied to estimate moment of inertia of Test Bed. A RWA torque has been applied on the platform to produce the required torque by command. Result of estimation considering experimental data is satisfied. Isolated condition from disturbance, however, is needed to improve the results. And initial values of motion of Test bed are quite important to reduce error. Continuously, an elaborate work is needed to acquire a satisfactory result.

      • 스윙암을 갖는 평면 캠의 형상 합성 및 해석

        이상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of VVA(Variable Valve Action) mechanisms are indirect-contact cam-follower mechanisms. Namely, most of VVA mechanisms have intermediate linkage such as swing arm in order to make variation of timing phase(VVT) and lift(VVL). Analyses and syntheses for direct- contact cam-follower mechanisms have been widely performed. But studies on indirect-contact cam-follower mechanisms are quite rare. In this thesis, we propose the progress of synthesis of cam-follower mechanisms with swing arm for given displacement diagram by applying of the envelope theory which is one of analytical methods. Then analyze cam profile with radius of curvature and pressure angle and evaluate influence of geometric variables to radius curvature and pressure angle.

      • 단축질소제거 공정에서의 암모니아 산화효율 증진 : 적정 Free ammonia 농도를 중심으로

        이상욱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단축질소제거(Shortcut biological nitrogen removal, SBNR)는 아질산을 바로 질소가스로 환원시키는 개념으로, 기존의 생물학적 질소제거(Biological nitrogen removal, BNR)와 비교해 질산화 시 25%의 산소를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탈질 시 필요한 유기물을 40% 절감할 수 있다. 단축질소제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질산화조에 NO2-가 축적 되어야 하고, NO2-의 축적을 위해서는 아질산 산화균의 활동을 억제해야 한다. 이온화 되지 않은 암모니아(free ammonia, FA)농도를 높임으로써 아질산 산화균의 억제가 가능하나 FA농도가 너무 높으면 암모니아 제거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안정적인 아질산 축적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암모니아 제거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적정 FA농도 범위를 도출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성장환경이 다른 두 종류의 슬러지를 이용하여 회분식 반응기에서 초기 FA농도에 따른 암모니아 산화균과 아질산 산화균의 기질비소비속도를 측정, 비교하여 단축질소제거를 위한 적정 FA농도 범위를 도출하였다. 암모니아 산화의 경우 일반 하수처리 활성슬러지와 고농도 FA농도에 적응된 슬러지 모두 FA농도 10 mg/L에서 가장 큰 암모니아 비소비속도를 보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FA농도가 증가할수록 암모니아 비소비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FA농도 10 mg/L이상에서는 암모니아 산화균이 FA에 의해 저해를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질산 산화의 경우 두 종류의 슬러지 모두에서 FA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 비소비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FA농도 5 mg/L까지는 급격한 아질산 비소비속도의 감소를 보였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FA농도가 증가하더라도 감소정도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서로 다른 환경에 적응된 두 종류의 슬러지 모두 안정적인 아질산 축적이 가능하면서 암모니아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적정 FA농도 범위는 5~10 mg/L로 나타났다. A shortcut biological nitrogen removal (SBNR) utilizes the concept of direct nitrite reduction to nitrogen gas. The SBNR process can reduce 25% of oxygen supply needed for ammonia oxidation and approximately 40% of electron donors (carbon sources) needed for denitrific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biological nitrogen removal (BNR) processes. For successful SBNR,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nitrite in the system and to inhibit the activity of nitrite oxidizers. A high concentration of free ammonia (FA) inhibits nitrite oxidizers, but it also decreases the ammonia removal rat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maintain the optimal FA concentration range for stable nitrite accumulation and maximum ammonia removal. In order to derive the optimal FA concentration range, the specific substrate utilization rates of ammonia oxidizers and nitrite oxidizers were measured through batch tests at various FA concentrations, using sludges from two different sources.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pecific ammonia oxidation rates by a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and a sludge acclimated to high FA concentrations were highest when the FA concentration was 10 mg/L. The rat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FA concentration when the concentration was above 10 mg/L. 2) In case of nitrite oxidation, the specific nitrite utilization rate decreased with increasing FA concentration. The decrease was substantial up to 5 mg/L of FA, but the rate decreased insignificantly when FA increased from 5 mg/L to 50 mg/L. In conclusion, the optimal FA concentration range for both stable nitrite accumulation and maximum ammonia removal appeared to be 5~10 mg/L for two different sludges that were adapted to completely different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