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상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The rapidly growth of modern times has changed and developed many things in various field of industries through the entire society obviously influenced a lot on the modern fiber art among others. They rarely had an effect on other arts since they hadn't exchanged the positive affects with others in the past, but today the fine arts and industrial arts have differently been much more brought up and progressed under the name of the art than the old days. Today the study and devolvement of experimental materials have created the unique formative arts over an idea of utility in the fiber arts. And the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set limits to a genre, the scope of the presentation has been extended, showed the possibility for freedom of expression. the artist has to make his own peculiar materials and creat a work of art with the outstanding sensitivity in his own way. So the study mainly explained the feel of a material to manifest the diversity by using the paper, some paper which I newly created the unit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indicated the way and a new idea timely to express the art which I want with a nature and advantage of paper, a new material never tried in the pa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I'd study color change and the feel of a material to make the most full use of his works with the various papers which can possibly show the unit and expression. It is a purpose that study of unique formativeness for the new works on the unit formed like tile ,with a various feel of material. The theme of a piece of work, Forest, suits my purpose to study the various feel of material for features of a nature' space The figure formed a work with units made of each texture can show a various feel of materials as the forest is formed with many different trees, leaves, rocks, plants. It is easy that I try to indicate a feel of material to show through the forest with some ways and dyeing which newly suggested. I can introduce a new and distinguished presentation of form with an experimental study, more advance with my sense of materials and color through making this unit pieces. 오늘날 미술계 급속한 발달은 현대의 섬유 예술에도 많은 영향과 발전을 가지고 왔다. 회화와 공예가 서로 구분지어 졌던 예전과는 달리 이제 미술이라는 한 맥락 안에서 더욱 성장하고 발달 할 수 있었던 것이다. 기존의 섬유공예라는 실용성의 개념을 넘어서 오늘날 실험적인 소재들의 연구와 개발로 독특한 조형예술을 창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의 사용으로 한 가지 장르에 국한되어있지 않고, 그 표현의 범위가 더욱 확장되었으며, 더욱 더 자유로운 표현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는 타인과는 다른, 작가만의 독특한 소재의 개발과 뛰어난 감성을 지닌 작품을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인이 종이라는 재료의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유니트(Unit)를 개발 연구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서 종이의 본질과 특징을 살리면서 예전에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재료들의 사용으로 본인이 원하는 작품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과 새롭게 개발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여러 종류의 종이를 사용함 으로써 본인의 작품 의도를 잘 살릴 수 있는 질감의 표현과 색상의 변화 등을 연구하였다. 기와형태 이미지의 유니트(Unit) 위에 다양한 질감표현으로 독특한 조형성을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작품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작품의 주제인‘숲(Forest)’은 자연 공간의 모습을 다양한 질감 표현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많은 종류의 각기 다른 모습의 나무, 잎, 바위, 풀들이 서로 모여 숲을 형성하듯이 각각의 텍스츄어(texture)로 제작된 유니트(Unit)들이 모여 하나의 작품을 구성하는 방법에서 다양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실험적인 연구를 통해 새롭고 개성적인 질감이 강조된 유니트를 연구 개발하여 9점의 작품들을 창작해 낼 수 있었다.
학습부진아들의 개방형 문제해결 전략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분석 : 중2학생을 대상으로
이상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지식기반사회인 현대사회에서는 더 많은 지식을 암기하고 확인하기보다는 주어진 조건을 누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가 중요하다. 즉, 어떤 문제 상황이 닥쳤을 때 여러 조건들 중에서 자신의 지식 및 경험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해결능력은 일반학생들 뿐만 아니라 학습부진아들 모두에게 필요하다. 현재 학교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를 푸는 정형화된 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수학성취도가 낮은 학습부진아들의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학습부진아들도 수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충분히 있다고 믿는다. 학습부진아들의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형화되어있는 문제에서 탈피해 다양한 답과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개방형 문제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자는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학습부진아들은 개방형 문제해결 시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는가?’ 둘째, ‘개방형 문제접근이 학습부진아들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소재 중학교 2학년 여학생 2명, 남학생 2명 총 4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4명의 학생들은 수준별 반 A, B, C, D에서 D반에 해당하는 학생들로 학업성취도가 낮은 상태이어서 학습부진아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과 도구로서의 개방형 실험수업은 총 8차시로 진행이 되었으며, 교사와 학생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업이 끝난 방과 후에 실시하였다. 더불어 1~3차시는 학교수업내용과 관련된 개방형 문제를 진행하고, 4~8차시는 다양한 형태의 개방형 문제를 진행하였다. 실험수업은 10분간 각자 문제를 풀어본 뒤 서로에게 풀이를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를 통해 학습부진아 학생들은 개방형 문제에 대하여 다양한 문제풀이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제시된 문제를 풀고 난 뒤에 학생들이 조건을 추가하여 문제를 변형하는 전략을 많이 사용한다는 점이 돋보였다. 학생들은 알고 있던 지식을 종합적으로 이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연구자는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지켜봄으로써 학생들의 문제에 대한 이해정도를 인식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처음 개방형 수업을 시작할 때는 개방형 문제를 낯설어 하고, 학생들 수준에 비해 난이도가 높은 문제들이 나왔을 때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었다. 하지만 차츰 실험을 진행해 갈수록 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개방형 문제의 존재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개별적으로 차이는 있지만 일부학생들에게서 수학의 개방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한 문제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학생들에게는 부담이 되었는지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하락한 학생들도 있었다. 반면, 정규 수업시간 이외의 시간을 이용하였으므로 정규 수업시간에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수업을 한다면 기존 교과서에 대한 분석과 재구성을 통해 다양한 풀이방법이 나올 수 있는 개방형 문제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개방형 문제 수업 시 개별학습보다는 협동학습을 하면 더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학습부진아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얘기하는데 서투르고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혼자서 문제를 풀게 한 뒤 어려움을 보일 때에는 교사가 적절한 발문을 던져주는 것이 필요하다.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정책흐름모형을 통해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며 정책의제가 형성되고 구체적인 정책대안이 개발되어 정책의 창이 열리기까지의 세 가지 흐름에 대해 분석하였다.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새로운 시장의 취임이라는 정치적 사건과 지방정부의 재정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알려준 성남시의 지불유예선언이라는 사회적 사건이 촉발기제가 되어 서울시의 정책체계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흘러 다니던 문제, 정책, 정치라는 3가지 흐름이 결합하여 제도의 형성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분석을 통해 정책의 창이 열리기까지 각각의 흐름을 바꾸고 조정하는 정책 활동가의 역할은 제도형성의 원동력이 되었고 정책 활동가의 이념과 비전들에 의해 정책과정의 특징이 야기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정책과정에 있어 정책 활동가의 역할은 중요하며 정책 활동가의 유무, 이념과 비전에 따라 제도의 형성 과정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정책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며 향후 유사정책의 효과적 의사결정, 그리고 정책참여자의 역할 및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무용전공 대학생의 예술고와 일반고교 출신에 따른 탈진 정도와 중도탈락의도 비교연구
이상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출신고교(예술고, 일반고)에 따른 탈진(burnout)정도와 중도탈락(dropout)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비교결과에 따른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현재 서울, 경기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약 208명을 의도적 표집방법(purpose sampling)으로 표집 하였다. 설문지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설문지를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사용했던 도구들 가운데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 SPSS 21.0 version을 통해 변인에 따라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출신고교 특성(예술고등학교, 일반고등학교)에 따라 탈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탈진 정도와 하위요인별 정서적 고갈, 수행저하, 의욕상실, 의구심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예술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 대학생이 일반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 대학생 보다 탈진을 더 많이 느꼈다. 하위 요인 중 의구심요인이 상대적인 큰 차이를 나타냈고 예술고 출신 전공자의 탈진 하위요인 중 정서적 고갈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출신고교 특성(예술고등학교, 일반고등학교)에 따라 중도탈락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중도탈락과 하위요인별 학생의도, 학교의도, 부모의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예술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 대학생이 일반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 대학생 보다 중도탈락이 더 크게 나타났다. 하위 요인 중 학교의도 요인이 상대적인 큰 차이를 나타냈고 예술고 출신 전공자의 중도탈락 하위요인 중 부모의도 요인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출신고교 특성(예술고등학교, 일반고등학교)별 탈진 정도와 중도탈락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술고 출신 전공생과 일반고 출신 전공생 각각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분석 결과 예술고 출신 탈진 하위요인은 의욕상실 요인이, 일반고 출신 탈진 하위요인은 의구심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V-광분해 과정에 의한 강유전체 Pb(Zr_(0.52)Ti_(0.48))O₃ 박막의 물성에 관한 연구
The Pb(Zr_(0.52)Ti_(0.48))O₃ thin films were fabricated by sol-gel method on Pt/Ti/SiO₂/Si substrates. UV-photolysis process was added before final annealing of the coated films. The crystallinity, the chemical species, the surface morphology, the surface roughness, and the interface states of the UV-processed PZT thin films were characteriz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tomic force microscope (AFM), and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respectively. The UV-photolysis processed PZT thin films exhibited enhanced ferroelectricity (P_(r)) and lower leakage current density than not-treated one. UV-photolysis process also made it possible to lower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to stabilize film surface and interface. The fatigue and retention test were also examined. It is thought that the UV-treatment process is very effective to enhance ferroelectric and electrical properties for the device application as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Studies on structur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MIS-stacked β-Ga2O3 thin films
전자혁명을 불러일으킨 Si기반의 반도체 소자들은 고용량화, 고직접화, 소형화를 지향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반도체의 크기가 나노 스케일로 줄어들면서 게이트 유전체로 사용하는 SiO2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다. 고직접화, 소형화의 추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를 낮추어야 하는데,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SiO2의 두께가 수나노 이하로 축소될 경우 누설전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구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얇은 두께에서 높은 유전특성을 갖는 유전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전자 소자용 메모리 개발 연구를 위하여 새로운 유전물질인 Ga2O3를 게이트로 이용하여 Si과 GaN을 기반으로 한 소자를 제작하고자 한다. Ga2O3는 안정적인 화학적 열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Si과 GaN를 기반으로 한 소자 특성을 향상 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 된다. 본 연구에서는 Ga2O3 초박막을 제작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증착 방법 (Atomic Layer Deposition, rf sputtering, pulsed laser deposion)을 사용하였다. Si을 기반으로 한 Ga2O3 박막의 제작은 박막의 두께를 XRR 측정과 TEM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Ga2O3의 증착 조건을 달리함으로 인하여 박막의 두께가 달라졌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Si을 기반으로 한 MOS 소자의 경우 Si과 Ga2O3의 계면사이에 SiOx가 형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전기적인 특성 평가를 위하여 C-f, C-V, I-V측정을 하였으며, 분석결과 박막의 두께에 따라 유전상수의 값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Si과 Ga2O3 의 계면에 형성된 SiOx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C-V특성 평가를 위하여, 여러 가지 parameter들을 구하였으며, 이는 이론적인 계산 값과도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우 안정적인 화학적 열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GaN를 기반으로 하여 β-Ga2O3 박막을 증착 하였다. 그 결과 에피탁시얼한 성장을 한 박막을 PLD 방법을 통하여 만들 수 있었으며, GaN와 β-Ga2O3 의 lattice mismatch는 4.6%로 계산 되었다. PLD 방법으로 β-Ga2O3 를 증착 할 경우 기존의 열화학적인 방법으로 β-Ga2O3 를 형성 시키는 방법보다 계면이 sharp했으며, 박막의 깊이에 따른 조성 분포가 균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β-Ga2O3/GaN 금속-산화물반도체(MOS) 구조의 계면 특성은 커패시턴스-전압(C-V)의 측정으로부터 산소공급률(0~15sccm)이 증가함에 따라, 유전상수, 메모리윈도우(memory window), 계면상태밀도는 증가했다. 그리고, UV-가시광선영역에서 90%이상의 광학적 투명성을 보였다. 따라서, GaN를 기반으로한 투명한 에피탁셜 β-Ga2O3 박막은 광전자 장치 및 투명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FET) 소자의 게이트절연층으로써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 연구 : 김홍도 풍속화를 중심으로
이상아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국악은 연주 되었던 시대의 삶을 반영하고,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특히 유아기부터 자연스럽게 국악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유아가 속한 집단의 유지 및 정체성 강화에 도움이 된다. 유아들이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유아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직․간접 경험으로 접할 수 있는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가가 표현한 여러 미술적 요소들을 통해 사회․문화적 맥락을 담고 있는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방법 연구를 위해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김홍도의 풍속화 「타작」,「밭갈이」,「무동」,「씨름」,「고누놀이」를 활용해서 17차시의 수업모형을 계획하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사전․사후에 국악 성취도 검사(이해 및 탐색 영역, 표현 및 창작 영역, 감상 및 친밀도 영역)를 진행하여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 후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였다.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과, 수업을 진행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의 국악 성취도를 측정한 영역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지도교수방안 연구가 유아의 국악 성취도 측정을 위한 ‘이해 및 탐색’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 교수-학습방법 연구가 유아의 국악 성취도 측정을 위한‘표현 및 창작’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풍속화를 활용한 유아국악지도교수방안 연구가 유아의 국악 성취도 측정을 위한‘감상 및 친밀도’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풍속화와 국악을 통합하여 유아에게 적절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을 때, 유아가 흥미를 가지고 유아국악교육에 접근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다양한 풍속화를 활용하여 유아의 눈높이와 흥미에 맞는 교수 지도 방안이 개발되어 교사와 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국악의 소중함을 알고, 국악에 대한 관심을 통해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더 나아가 유아교사에게도 국악이 친숙해져서 보다 다양한 영역을 통합한 유아국악 교수 학습 지도 방안 연구가 많이 진행되길 바란다. Korean traditional music reflects the life of the age that it was performed in and entirely contains the social and the cultural context of the time. In particular, the natural exposure to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ributes to the maintaining of the group a child is involved in and to the strengthen his or her identity. In this perceptional way, it has emerged as a necessit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th applied Genre Scenes that a child shall be in intimate contact with, stimulate his or her imagination, and be directly and indirectly able to experience them.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that present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rough the various artistic factors intended by the artist is deduced. In order to study the pedagogical method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music, utilizing the Genre Scenes, targeting the fully 5 year old child the instructional model has been developed with 17 occasions of lecture, applying the Genre Scenes of Kim Hong-do, namely 「Tarjak」, 「Batgali」, 「Mudong」, 「Ssirum」, 「Gonu Game」. The collected data from the pre-assessment and the ex-post evaluation from the lecturing on the achiev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analysed by IBM SPSS 22.0 to approach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Scope of Comprehension and Observation, Scope of Articulation and Creation, Scope of Appreciation and Intimacy)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n the achiev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the comparison of the lesson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applying Genre Scenes in an experienced group and an unexperienced group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stud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a positive effect has been stated in the scope of 'Comprehension and Observation' in the achievements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Second, in the stud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a positive effect has been indicated in the scope of 'Articulation and Creation' in the achievements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by the study of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the Genre Scenes, a positive effect has been drawn in the scope of 'Appreciation and Intimacy' in the achievements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As synthesized in the analyzed ideas of this research, as applied to a child with the methodological practice of the appropriate proposal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integrating the Genre Scenes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a positive effect shall be anticipated upon its conclusion in approaching the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ield with such attractiveness. At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ose methodological practices down at the level of a child with such attractiveness, utilizing more various Genre Scenes shall lead to further actual us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its preciousness by both an instructor and a child through the interest of the traditional music in ordinary life. By extension, courtesy of having early childhood instructors ease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a lot of research into the methodological proposal of early childhoo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ombined with a wider variety of areas shall be accomplished well.
고전적인 의미로 'Museum'은 현대에서의 쓰이는 개념과는 달리 신에게 바치는 수집품을 의미하였고, 고대 신전에서 중세, 근세, 근대, 현대로 오면서 그 의미와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중세에는 주로 성당이나 교회에서 귀족들의 사유재산으로 미약하게 전시가 이루어졌으며, 근대에는 독자적인 박물관 건물이 등장하게 되었다. 개인 소장품을 기증하고 일반대중에게 공개하며 박물관의 공공성이 커지게 된다. 유럽은 일찍이 박물관의 발전이 있었지만, 한국의 박물관은 1900년대 이왕가 박물관에서 시작한다. 창경궁에 위치한 이왕가 박물관은 1911년 창경궁을 일반인에게 개방하면서 공공성을 가지게 되고 시간이 지나 오늘날 국립박물관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한국 박물관은 유럽과 달리 ‘궁’ 안에서 시작하였고, 현대에 독자적인 건물로 발전하였지만, 공공성 확대의 관점으로 보면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 본 연구는 유럽 박물관과 한구 박물관의 시대적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하여 현대 한국 박물관의 공공성 확대의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The classical meaning of “Meseum” was collection for offering to a god unlike today concept and the meaning and form of museum have been changed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 modern times and today. In the middle ages, The museum was rarely put on display with the private property of the nobility in catholic church and the independent museum has been appeared in modern times. Through donating a private collection and opening to the public, publicness of museum was improved. In the Europe, the museum has been early improv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korean museum has been advanded by ‘Lee Dynasty Museum’ in 1900s. By opening Lee Dynasty Museum, placed in Changdeokgung Palace, opens to the people, it becomes to have public concern and then today it has aspect of the national museum. Unlike the Europe, the korean museum has come from a palace and even if they have been improved as the independent building, it leaves much to be desired at the point of improving publicness. By camparing some cases of Europe museum and the Korean museum have, focused on time period, this study presents plan for expanding the publicness of korean museum.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가 자폐성 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ability related to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tructured intervention room setting for Enhanced Milieu Teach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ou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For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identify a potentia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embedded in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situation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ncluded the frequency of the exact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emitted by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would be effective enough to increase participants’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for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maintained in the follow-up post-intervention probe ph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