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열지에 유류된 잠재지문의 외부노출 여부에 따른 현출기법에 관한 연구

        이상아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감열지는 사용의 편리성이 좋기 때문에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일상에 사용되는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범죄 현장이나 용의자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증거물 중 하나이다. 감열지에는 잠재지문이 유류 되어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과학수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물적증거로 인식되고 있다. 감열지는 대부분 영수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영수증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 때문에 영수증을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자는 영수증 보관 시 보관 과정에서 외부환경에 노출 여부에 따라 감열지에 유류 된 지문 성분의 양의 차이에 따른 지문 현출 시약의 현출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여, 외부환경 노출 여부에 따른 감열지에 유류 된 지문 현출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열지는 일반 종이와는 다르게 열과 극성용매에 반응하여 흑화 현상을 보이는 종이이기 때문에 흑화 현상이 진행되면 현출 된 지문이 보이지 않아 지문을 관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저자의 연구에서는 일반종이에 적용하는 시약이 아닌 감열지에 적용할 수 있는 1,2-IND/PVP, 아세톤으로 pre-washing 후 Ninhydrin, DMAC, Iodine fuming method로 총 4가지의 시약을 사용하였다. 실험 검체는 감열지의 감열면에 세로로 split하여 기름지문을 유류한 뒤 왼쪽은 공기와 빛을 차단하기 위해 두꺼운 책 사이에 끼워 보관하고 오른쪽은 일반적인 실온환경에서 보관하였다. 감열지에 지문을 유류 한 뒤 1, 3, 5, 7, 10, 14, 21일 동안 보관하였다. 실험 결과, 대체적으로 aging 기간이 오래될수록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지문보다 외부에 노출된 지문이 상대적으로 지문의 융선을 관찰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실험에 사용한 4가지 시약 중 1,2-IND/PVP와 아세톤으로pre-washing 후 Ninhydrin으로 처리한 지문은 노출여부와 관계없이21일차까지 번짐 없이 선명하게 지문을 현출하여 가장 우수한 현출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아세톤이 pre-washing과정에서 지문 유류물을 훼손하는 정도가 크지 않음을 추측할 수 있고, Ninhydrin이 아미노산의 α, β 모두와 반응하여 더욱 높은 현출력을 보인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범죄 현장에서 감열지가 발견된 경우, 영수증의 내용을 알 수 없어 지문이 유류 되고 얼마만큼의 시간이 경과됐는지 알 수 없고 감열지의 보관환경을 짐작할 수 없을 때 1,2-IND/PVP와 아세톤으로 pre-washing 후 Ninhydrin을 담금법으로 처리하는 것을 권장한다. Thermal paper is used in various aspects because it is easy to use and so as the frequency of daily use increases, it is one of the most easily seen evidence in the process of tracing crime scenes or suspects. Since thermal paper is likely to have latent fingerprints, it is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physical evidence in the field of forensic science. Thermal paper is mostly used as a receipt, and receipts are often kept because of the contents recorded on them. The author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fingerprinting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in environment in which receipts are kept and the differences in the ingredients of fingerprints on the thermal paper. Therefore the authors wan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fingerprints on the thermal paper due to exposur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ince thermal paper, unlike ordinary paper, appears darkening reacting to heat and polar solvent, it is difficult to observe fingerprints when darkening occurs. Therefore, we have applied various reage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rmal paper rather than reagents applied to ordinary paper, especially, 1,2-IND / PVP, Ninhydrin (after pre-washing with acetone), DMAC and Iodine, four reagents were used. The test specimens were constructed by following: 1. Thermal paper were split vertically and oily fingerprints are set on the thermal surface. 2. The left side was kept between the thick books to block the air and light, and the right side was kept in a normal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3. The fingerprints were stored in the thermal paper for 1, 3, 5, 7, 10, 14, and 21 day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ingerprint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ngerprints were harder to observe than the fingerprints that were not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s the aging period became longer. In addition, among the four reagents used in the experiment, the fingerprints treated with 1,2-IND/PVP and Ninhydrin (after prewashing with acetone) were found to have the best output with clear fingerprints without blotting until 21 days regardless of exposure.

      • 외상신용 사용의 신호효과를 고려한 신용할당 현상 분석

        이상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Credit rationing, caused by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credit market, is a typical form of market failure, whereby many firms experience a difficulty with financing. However, due to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it is hardly plausible to gauge the exact number or the types of the firms that are under such duress. Therefore, more indirect methods need to be applied, and along this line, Burkart and Ellingsen (2004) provid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istinguishing the firms under credit rationing by observing interactions between cash credit, provided by financial institutions, and trade credit, provided by input suppliers. Bukart and Ellingsen (2004) showed that different wealth levels of a firm cause different investing and borrow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heory, cash credit and trade credit have no relationship at the highest wealth level, whereas they show substitutive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at the mid-wealth level and low wealth level, respectively. This theor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interest rate of trade credit is far higher than that of cash credit, and firms t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cash credit accordingly. In this light, most empirical studies on the existence of credit rationing and its impact so far have sought to verify this theory by using cash credit as the exogenous variable and trade credit as the endogenous variable. On the other hand, other empirical studies which came from the theories presented by Biais and Gollier (1997), showed that trade credit of a manufacturing firm sends a positive signal to financial institutions regarding its credit risk. In this light, a manufacturing firm has an incentive to increase the level of trade credit, which has a relatively higher cost, in order to be able to use more cash credit by exploiting the positive signaling effect. Taking this aspect into account, the level of cash credit, as well as that of trade credit, may be regarded as endogenously determined. In this study, the existence of credit rationing was analyz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ash credit and trade credit within each group of firms categorized according to wealth level, while accounting for the signaling effect of using trade credit by regarding both cash credit and trade credit as endogenous variables. Accordingly,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was use d . The sample firms include 8607 Korean firms, excluding the ones in the 'banking and insurance' sector. The sampling period is from 2001 to 2006. The categorization was done by dividing the firms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wealth level, using the sum of net income during the sample period as the measure.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cash credit and trade credi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upper 20% quartile. Substitu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from the firms between upper 20% and 90% quartile,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the lower 10% quartile, both of which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implies that 80% of the firms excluding the upper 20% are under credit rationing, the bottom 10% of which being under additional trade credit rationing. Moreover, trade credit was found to show a positive impact in general on cash credit, which implies the existence of signaling effect of using trade credit, and the effect was particularly strong in the low wealth level group of firms. This study showed that many firms in Korea are under credit rationing and verified that using trade credit alleviates the rationing of cash credit by its positive signaling effect. Further studies on trade credit should derive more implications in terms of policy making regarding the rationing of cash credit. 신용시장에서의 정보비대칭에 의해 발생하는 신용할당은 대표적인 시장실패 현상이며, 현실에서 많은 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세부적인 자료가 없는 상태에서 실제로 신용할당에 처해있는 기업이 얼마나 많은지, 어떤 기업들이 신용할당에 처해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간접적인 방법을 취할 수밖에 없는데, Burkart and Ellingsen (2004)은 금융기관이 공급하는 신용인 현금신용과 원자재의 공급기업이 공급하는 외상신용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신용할당에 처해있는 기업들을 구분해 낼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Burkart and Ellingsen (2004)은 기업의 부 수준에 따라 투자와 대출 행동에 차이가 발생함을 증명했다. 이론에 따르면, 가장 높은 부 수준에서는 현금신용과 외상신용 간에 특별한 관계가 존재하지 않고, 중간 부 수준에서는 대체 관계가, 낮은 부 수준에서는 보완 관계가 나타나게 된다. 이 이론은 외상신용의 이자율이 현금신용의 이자율보다 훨씬 높아서 기업들이 가능하면 현금신용을 많이 쓰고 외상신용의 사용은 줄이려고 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전개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이 이론을 통해 신용할당의 존재와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논문들은 현금신용을 외생변수로, 외상신용을 내생변수로 하여 이론을 증명하고자 했다. 그런데 Biais and Gollier (1997)의 이론 연구에서 출발하여, 여러 실증 연구들이 외상신용의 사용량이 금융기관에게 생산기업의 신용도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를 보낸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 경우 생산기업은 금융기관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어 현금신용을 더 공급방기 위해, 비싼 외상거래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유인을 가지게 된다. 이 점을 고려하면, 현금신용 사용량과 외상신용 사용량은 모두 내생적으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부 수준에 따라 분류된 각 기업군에서 현금신용과 외상신용의 상관관계를 통해 신용할당 현상을 분석하되, 이 과정에서 외상신용 사용의 신호효과를 고려하여 두 신용 수단의 사용량이 모두 내생적으로 결정된다고 간주하였다. 따라서 실증분석 과정에서 연립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표본 기업은 '금융 및 보험업' 분야를 제외한 한국의 8607개 기업이며, 연구대상기간은 2001년부터 2006년까지이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연구기간 내 당기순이익의 합을 기업의 부(wealth)로 보고 이 기준에 따라 전체 기업을 10등분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위 20%까지의 기업군에서는 현금신용과 외상신용 간에 유의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고, 20%에서 90% 사이의 기업군에서는 현금신용과 외상신용 간에 대체관계가, 가장 하위의 10%에서는 보완관계가 관찰되었다. 이는 상위 20%를 제외한 나머지 80%의 기업들이 현금신용의 할당에 처해있으며, 그 중 최하위의 10%는 외상신용도 할당에 처해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외상신용은 현금신용에 전반적으로 양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외상신용 사용의 신호효과가 존재함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또한 신호효과는 부 수준이 낮은 기업군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많은 기업들이 신용할당에 처해있음을 알 수 있고, 외상신용의 사용이 보내는 신호에 의해 현금신용의 할당 현상이 완화되는 것도 알 수 있다. 외상신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현금신용의 할당 현상에 대한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피아니스트 우에하라 히로미의 작곡기법 및 연주기법 분석 : 1집 <Another Mind> (2003) 앨범의 수록 곡 중 헤드 중심으로

        이상아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피아니스트 우에하라 히로미의 작곡기법 및 연주기법 분석 -1집 <Another Mind> 앨범의 수록 곡 중 헤드 중심으로- 지도교수 : 임 달 균 퍼포밍아트학과 실용음악전공 이 상 아 1900년도 초부터 시작된 재즈의 형태는 각 시대와 유행에 따라서 연주의 기법과 리듬의 응용 그리고 화성의 변화가 발전되어 왔다. 그 흐름 속에서 우에하라 히로미라는 여성 피아니스트의 연주와 그에 따른 작곡성은 현대의 많은 음악인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현재까지 우에하라 히로미는 음악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지만 아직 국내에서 우에하라 히로미의 앨범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우에하라 히로미의 1집 <Another Mind> 앨범의 곡 중에서 몇 개를 간추려 그 곡의 헤드와 작곡의 기법을 분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우에하라 히로미의 음악적 기교 및 특징 등을 나타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우에하라 히로미의 연주를 분석하기에 앞서 그녀의 음악적 배경과 데뷔 앨범인 1집 <Another Mind> 앨범에 대해 객관적인 사실들을 나타내어 논문 대상선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그리고 헤드에서 나타나는 연주스타일의 특징적인 연주기법들을 각 곡마다 제시하였다. 각 곡들의 형식 구조, 선율에 쓰인 스케일, 화성 구조, 리듬 섹션 등을 우에하라 히로미의 작곡에서 나타난 특징들로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앨범에 수록된 곡들은 우에하라 히로미의 첫 앨범의 곡 들이라 그녀의 음악적 성향 및 연주 기법과 멜로디 작곡 등이 가장 잘 나타나고 있는 것을 이 논문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우에하라 히로미의 작곡을 분석 연구하여 각각의 곡들에 어떠한 연주 기법들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나타내며 피아니스트로 연주뿐만이 아닌 작곡으로도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해나가는 것은 많은 음악인들의 창의성에 대한 좋은 본보기로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작곡의 다양한 시도와 창의성을 나타내는데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도교사상이 반영된 조선시대 궁중정재 복식을 응용한 창작무용복식디자인 연구

        이상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무용 복식 중 하나인 궁중정재 복식을 알아보고, 그중 도교사상이 반영된 복식인 백우호령(白羽護領)과 백우엄요(白羽掩腰)를 현대 창작무용 복식으로 디자인한 연구이다. 조선사회에서 도교는 국가 차원의 제도화된 종교활동에는 편입되지 못하였으나 토착문화와 결합하여 여러 방면에서 영향을 미쳤다. 조선시대는 연회에서 흥을 돋구고 축하를 하기 위해 궁중무용을 선보였는데, 일반적으로 궁중무용을 정재(呈才)라고 부른다. 정재는 중국에서 온 곡조, 악기, 춤을 당악정재(唐樂呈才), 우리나라의 곡조, 악기, 춤을 향악정재(鄕樂呈才)로 구분된다. 궁중정재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 『악학궤범(樂學軌範)』,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忽記)』, 『진찬의궤(進饌儀軌)』, 『진작의궤(進爵儀軌)』, 『진연의궤(進宴儀軌)』 등에 전해진다. 백우호령과 백우엄요는 궁중정재에서 사용된 흰색 깃털로 된 옷으로 생김새는 비슷하나 목에 두르는 것은 백우호령, 허리에 두르는 것은 백우엄요라 한다. 백우호령과 백우엄요의 재료인 흰 깃털은 예전부터 지혜를 강조하고 신선과 같은 초월적 존재로 보이게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백우호령과 백우엄요는 효명세자가 창제한 춘대옥촉(春臺玉燭), 망선문(望仙門), 헌천화(獻天花), 경풍도(慶豐圖), 만수무(萬壽舞)에서 사용되었다. 이 춤들은 모두 1828년 연경당 진작례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었으며, 가사의 내용에 신선(神仙), 천녀(天女)와 같은 도교와 관련된 인물들이 등장한다. 춘대옥촉, 망선문, 헌천화, 경풍도, 만수무는 오늘날에도 백우호령과 백우엄요를 계속 착용하고 있으며, 그 디자인은 조선시대 의궤에 그려진 복식도를 비교적 충실히 따르고자 한 것이었다. 전통은 과거를 박제화하는 것이 아니고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재창조되는 것도 의미가 있다. 2000년대에 들어 조선시대의 무용복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연구와 궁중정재의 복식을 전통에 충실하되 현대적 감각으로 표현한 공연이 있었다. 또한 한류문화의 확산을 위해 궁중정재복식을 K-pop 아이돌 의상으로 디자인 한 연구도 있었다. 하지만 조선시대 궁중정재 중 도교사상이 반영된 의상을 재해석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교사상이 반영되어 학을 이미지화하여 흰 깃털을 사용하여 깃과 허리에 두른 백우호령과 백우엄요를 응용한 창작무용의상을 가상의 창작무용 스토리를에 적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디자인은 공통적으로 백우호령과 백우엄요의 특징적인 색상인 흰색을 사용하였다. 또한 창작무용의 여러 동작들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얇고 가벼운 소재로 창작무용 복식을 디자인하였다. 디자인한 무용 복식은 총 6세트, 13점으로 상의 4점, 하의 4점, 드레스 1점, 점프수트 1점, 소매 아이템 3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전통무용 복식을 응용한 창작무용 복식의 발전 방향성 제시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Jeongjae (the royal court music and dance) costume, one of the dance costumes of the Joseon Dynasty, and designs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which reflect Taoist ideas, as modern creative dance costumes. In Joseon society, Taoism was not incorporated into institutionalized religious activities at the national level, but it was combined with indigenous culture and influenced in various ways. During the Joseon Dynasty, royal dance was performed to entertain and celebrate at banquets, and it is generally called Jeongjae. Jeongjae is divided into Dangakjeongjae for tunes, instruments, and dances from China, and Hyangakjeongjae for Korean tunes, instruments, and dances. Records of royal court are handed down in 『Goryosaakji』, 『Akhakgwebeom』, 『Jeongjaemudoholgi』, 『Jinchanuigwe』, 『Jinjakuigwe』, and 『Jinyeonuigwe』.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were used in ChundaeOkchok, Mangseonmun, Heoncheonhwa, Gyeongpungdo, and Mansumu, which were created by Crown Prince Hyomyeong. All of these dances were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in 1828 at Yeongyeongdang Jinjakrye, and characters related to Taoism such as Sinseon and Cheonnyeo appear in the lyrics. Chundaeokchok, Mangseonmun, Heoncheonhwa, Gyeongpungdo, and Mansumu continue to wear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even today, and the design was to faithfully follow the Uigw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reative costume design applying the royal court costume was made in the papers of Jae-young Lee(2022), the papers of Mi-hwa Nam(2003), and the works of Jeong Gu-ho. Jae-young Lee (2022) designed costumes for kpop idols, and Mi-hwa Nam(2003) designed dance costumes and daily clothes by reinterpreting Geomgimu costumes in a modern way. Jeong Gu-ho's works presented designs for creative dance.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which are reflected in Taoist ideas and used white feathers to express cranes, have continued their tradition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present. However, it is also very meaningful that tradition does not stuffed the past, but is recreated by reflect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Accordingly,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think that their roots are in the royal reconstruction ceremony that reflects the image of Taoism, but it is meaningful to reinterpret them in a modern way. Therefore, in this study,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were applied, but were newly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creative dance. Accordingly, in this study, a virtual creative dance scenario was developed and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were applied, but were newly designed to suit the dance and story of the creative dance. The designed dance costumes were a total of 6 sets and 13 items, with 4 tops, 4 bottoms, 1 dress, 1 jumpsuit, and 3 decorative items. This study will help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dance costumes applying traditional dance costumes in the future.

      • 역할창조 과정에서의 매체 특성에 따른 화술훈련 연구

        이상아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 사회의 문화예술 산업은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연기를 하는 연기자들의 조건도 빠르게 변화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체에 따라서 주어진 환경과 기술적인 요소의 간섭으로 인해 표현의 강도, 감정의 연속과 단절이 연기자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연기자는 이러한 상황적 특성에 따라 다른 연기 스타일을 구성해야 하며 화술 표현 또한 매체에 적응하며 유연성 있게 변화시켜야 한다. 화술은 연기창조과정에서의 가장 기본적인 소양이며 연기자가 살아 움직이는 역할을 창조하는데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연기자는 화술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표현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기자가 역할을 창조함에 있어서 상호 매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이해하고 각 분야에서 보다 완성도 높은 화술 구사를 돕기 위해 각 매체의 특성을 고려한 화술 훈련방법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역할창조에 있어서 화술에 대한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고 일반적인 연기 화술의 개념과 요소, 각 매체에 따른 화술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며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연기자가 실제 화술을 행함에 있어 필요한 훈련방법을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연극연기와 카메라연기를 병행하고 있는 연기자 인터뷰를 통해 각 매체의 실체적인 화술의 특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각 연기자별 훈련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두 매체는 화술을 구사하기 위해 기본이 되는 필수 요소들, 즉 소리를 내기위한 기초훈련은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매체의 수용이나, 전달방식, 작업환경에 따라 각각의 차이점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기자는 이러한 부분에 있어 각 매체의 특수성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기술적인 매커니즘을 인식하여 꾸준히 훈련함으로써 각 분야에서 화술을 구사함에 있어 보다 진실 되고 정확한 화술을 구사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넓은 영역에서 연기자들이 다양하게 활동하는 현 시대에서 각 매체의 특징에 따라 화술을 표현 하는 데에 있어 차이점은 존재하며 그 차이에 따른 연기 교육에 부재함을 지적하고 보다 세분화된 연기 지도의 필요성 있다고 보며 더 나아가 각 매체의 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화술 표현을 하는데 있어서 막역한 오해를 풀고 연기자들의 성공적인 전환을 이루는데 그 의의가 있다.

      • 홈쇼핑 의류제품 구매자의 쇼핑성향과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이상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홈쇼핑 의류제품 구매자의 의복 쇼핑 성향과 홈쇼핑 구 매요인, 충동구매 결정요인, 충동구매 후 반응 등에 대해 알아보고 소비자의 특성 중에서 쇼핑성향의 관점에서 의류제품 구매자의 쇼 핑성향과 충동구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홈쇼핑 구매 요인, 충동구매 결정요인, 의복쇼핑성향을 유형화 한다. 2. 홈쇼핑 구매 요인, 충동구매 결정요인, 충동구매 후 반응과 의복 쇼핑 성향과 상관 관계를 밝힌다. 3.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라 홈쇼핑 구매자의 쇼핑성향이 충동구매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본다. 이상의 문제들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참고로 하여 홈쇼핑 구매요인척도, 충동구매 결정요인 척도, 충동구매 후 반응척도, 의복쇼핑성향 척도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고, 홈 쇼핑에서 의류제품 구입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 는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분석 에 374부의 자료가 이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 7.5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통계 방법은 빈도(Frequency), 백분율(Pecentage),요인분석(FacterAnalysis),상관관계분석(Correlatio n), ANOVA, T-test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홈쇼핑 의류제품 구매자의 주 구매 제품은 의류제품이었고 주방 용품, 화장품 순 이었다. 의류제품 구매 시 매체 특성상 의류제품을 잘 표현해 주는 케이블 TV 홈쇼핑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2. 홈쇼핑 의류제품 구매자들은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비용부담에 관련된 요인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졌으며 그 다음으로 제품· 신용요인이 설명되었다. 50대 이상이 효율성, 편의성, 비용부담에 영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신용요인, 편의성요인은 대졸이 상으로 500만원이상의 고소득자가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홈쇼핑 의류제품 구매자의 충동구매는 55.5%로 비 충동구매 보다 많았다. 대학생 및 대졸의 학력을 가진 사람, 직업별로 전업주부, 강 남에 거주하는 여성이 충동구매가 높았다. 충동구매 제품은 ①액세 서리 ②핸드백, 가방, 지갑, 벨트/ 홈웨어, 생활 편의복 순으로 의류 제품이 자신에게 어울림이나 맞음새 등을 고려하지 않는 제품들이 충동구매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충동구매 결정요인으로 판매 촉진 요인이 의류제품 구매자에게 가 장 영향을 많이 받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20대와 50대가 판매 촉진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이 가격 요인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충동구매 후 반응을 알아본 결과, 충동구매 후 기분이 좋아진 이 유는 33.6%로 나타났다. 한편 46.95%가 욕구불만 해소에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는데 이것은 충동구매가 욕구 불만을 해소하는 근본적 인 해결방법이 되지 못함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충동구매 후 뭔가 잘못한 건 같은 느낌이 들었다.가 51.6%를 나타내 충동구매 후 죄의식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고, 다시는 충동구매를 하지 않겠 다.가 44.15%에 달했다. 6. 홈쇼핑 의류 제품 구매자는 의복 쇼핑성향 중 쾌락적 쇼핑성향 이 가장 많았고, 유행 추구적 쇼핑성향, 편의 추구적 쇼핑성향 순으 로 나타났다. 쾌락적 쇼핑성향은 20대가 가장 많았고, 기혼이 높게 나타났고 고학력자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유행 추구적 쇼핑성향은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50대 이상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편의 추구적 쇼핑성향은 50대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학력자가 높 게 나타났고, 전업주부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쇼핑의 자신감 성향 은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학력자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 다. 경제적 쇼핑성향은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혼이 높게 나 타났다. 세일 지향적 쇼핑성향은 50대 이상, 중졸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7. 편의 추구적 쇼핑성향을 가진 사람은 홈쇼핑 구매 요인에서도 편 의성과 제품·신용의 요인과도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8. 쾌락적 쇼핑성향을 가진 사람은 충동구매 결정 시 제품요인과 상 관 관계를 나타냈고, 유행 추구적 쇼핑성향을 가진 사람은 제품요인 과 판매 촉진요인이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편의 추구적 쇼핑성향을 가진 사람은 판매 촉진요인과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경제적 쇼핑 성향에서도 판매 촉진요인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9.쾌락적 쇼핑성향, 유행 추구적 쇼핑성향, 쇼핑의 자신감 성향은 충 동구매 후 긍정적 반응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쇼핑성향은 충동구 매 후 부정적 반응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This study displays that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the reason of purchase in home shopping, decisive point of the impulsive purchaser, and the reaction after impulsive purchase. Besi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relations between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impulsive purchase in a consumers' point of view.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This study illustrates what the cause of purchase through home shopping is, what the factor affected to purchaser is and what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is. 2. This study shows correlation among the cause of purchase through home shopping, the decisive point of the impulsive purchase, response after impulsive purchase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3. This study analyzes how the inclination of home shopping purchaser connects with impulsive purchase. To examine problems mentioned above, this study refer to preceded study and related documents and make a questionnaire which is classified with standards in reason of purchase in home-shopping, in reaction after impulsive purchas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etc. It is surveyed to target that is people, who lives in Seoul and Kyung-gi area, is over twenty, adult women, and has an experience in buying clothes through home shopping. 374 copies data are used in final analysis, and data analysis applicants SPSS static package 7.5. More specific static methods for analysis applicant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OVA, and T-test. Summarized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1. The main goods, which are purchased by home shopping users, are clothes, kitchen instruments, and cosmetics in order. Specially, in case of buying clothes, this research shows that most purchasers buy them through cable TV, which has a sales advantage in media. 2. When the clothes consumer in home shopping buys goods, charged price is the most affected factor to consumer and next is the credit of goods. Particularly, this survey indicates that usefulness, convenience, and price have an influence to over fifties and also credit of goods and convenience has an effect to people who has academic career over college graduate and has a large income over 5million won. 3. Impulsive consumers are 55.5% among the whole purchasers who buy clothes through home shopping. Students in university and people who has academic career over college graduate, typical housekeeper, women who lives in Kangnam area represent high impulsive purchase tendency. It is based on preference in goods by impulsive purchase that selling order is ①accessories, ②handbag, bag, purse, belt/ home wear, easy wear and most clothes, which is bought on the spur of the moment by consumer, is purchased without any consideration in personal suit or proper size. 4. Decisive factor, which affect to clothes buyer in impulsive purchase, is sales promotion. Moreover, consumers in twenties and fifties are more affected by sales promotion factor and the married is more affected by fluctuation of price. 5. The result of reaction after impulsive purchase, 33.6% people feels better after impulsive purchase than before, while 46.95% people has a negative response. Therefore, this result shows that impulsive purchase cannot be basic solution to settle frustration. 51.6% people feels the sense of guilt after impulsive purchase and 44.15% people respond that they will never buy goods on impulse. 6. Among the consumer buy clothes in home sopping, majority has a pleasant shopping orientation and others has a fashionable shopping orientation and a convenience shopping orientation in order. Most people have a pleasant shopping orientation are twenties, the married and consumer has a high schooling. In a group of fashionable shopping orientation, twenties has high preference while fifties has low preference. Consumer has convenience shopping orientation is fifties, typical housewife, consumer has a high schooling for the most part. Economic shopping orientation is shown by twenties and the married for the most part. Sale seeker to shopping is detected in over fifties and people has low school career. 7. Consumer has a convenience shopping orientation has correlation within the reason of purchase in home shopping, convenience and credit of goods. 8. Consumer has a pleasant shopping orientation has correlation with goods itself and consumer has a fashionable shopping orientation is affected by goods itself and sales promotion. Consumer has a convenience shopping orientation connect with sales promotion and consumer has an economic shopping orientation is related to sales promotion. 9. This study indicate that inclination seek for a pleasant and fashionable in shopping and confidence is affirmative response while economic shopping orientation after impulsive purchase is negative response.

      • 종이 조형작품 연구

        이상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pidly growth of modern times has changed and developed many things in various field of industries through the entire society obviously influenced a lot on the modern fiber art among others. They rarely had an effect on other arts since they hadn't exchanged the positive affects with others in the past, but today the fine arts and industrial arts have differently been much more brought up and progressed under the name of the art than the old days. Today the study and devolvement of experimental materials have created the unique formative arts over an idea of utility in the fiber arts. And the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set limits to a genre, the scope of the presentation has been extended, showed the possibility for freedom of expression. the artist has to make his own peculiar materials and creat a work of art with the outstanding sensitivity in his own way. So the study mainly explained the feel of a material to manifest the diversity by using the paper, some paper which I newly created the unit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indicated the way and a new idea timely to express the art which I want with a nature and advantage of paper, a new material never tried in the pa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I'd study color change and the feel of a material to make the most full use of his works with the various papers which can possibly show the unit and expression. It is a purpose that study of unique formativeness for the new works on the unit formed like tile ,with a various feel of material. The theme of a piece of work, Forest, suits my purpose to study the various feel of material for features of a nature' space The figure formed a work with units made of each texture can show a various feel of materials as the forest is formed with many different trees, leaves, rocks, plants. It is easy that I try to indicate a feel of material to show through the forest with some ways and dyeing which newly suggested. I can introduce a new and distinguished presentation of form with an experimental study, more advance with my sense of materials and color through making this unit pieces. 오늘날 미술계 급속한 발달은 현대의 섬유 예술에도 많은 영향과 발전을 가지고 왔다. 회화와 공예가 서로 구분지어 졌던 예전과는 달리 이제 미술이라는 한 맥락 안에서 더욱 성장하고 발달 할 수 있었던 것이다. 기존의 섬유공예라는 실용성의 개념을 넘어서 오늘날 실험적인 소재들의 연구와 개발로 독특한 조형예술을 창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의 사용으로 한 가지 장르에 국한되어있지 않고, 그 표현의 범위가 더욱 확장되었으며, 더욱 더 자유로운 표현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는 타인과는 다른, 작가만의 독특한 소재의 개발과 뛰어난 감성을 지닌 작품을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인이 종이라는 재료의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유니트(Unit)를 개발 연구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서 종이의 본질과 특징을 살리면서 예전에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재료들의 사용으로 본인이 원하는 작품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과 새롭게 개발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여러 종류의 종이를 사용함 으로써 본인의 작품 의도를 잘 살릴 수 있는 질감의 표현과 색상의 변화 등을 연구하였다. 기와형태 이미지의 유니트(Unit) 위에 다양한 질감표현으로 독특한 조형성을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작품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작품의 주제인‘숲(Forest)’은 자연 공간의 모습을 다양한 질감 표현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많은 종류의 각기 다른 모습의 나무, 잎, 바위, 풀들이 서로 모여 숲을 형성하듯이 각각의 텍스츄어(texture)로 제작된 유니트(Unit)들이 모여 하나의 작품을 구성하는 방법에서 다양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실험적인 연구를 통해 새롭고 개성적인 질감이 강조된 유니트를 연구 개발하여 9점의 작품들을 창작해 낼 수 있었다.

      • 학습부진아들의 개방형 문제해결 전략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분석 : 중2학생을 대상으로

        이상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기반사회인 현대사회에서는 더 많은 지식을 암기하고 확인하기보다는 주어진 조건을 누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가 중요하다. 즉, 어떤 문제 상황이 닥쳤을 때 여러 조건들 중에서 자신의 지식 및 경험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해결능력은 일반학생들 뿐만 아니라 학습부진아들 모두에게 필요하다. 현재 학교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를 푸는 정형화된 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수학성취도가 낮은 학습부진아들의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학습부진아들도 수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충분히 있다고 믿는다. 학습부진아들의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형화되어있는 문제에서 탈피해 다양한 답과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개방형 문제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자는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학습부진아들은 개방형 문제해결 시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는가?’ 둘째, ‘개방형 문제접근이 학습부진아들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소재 중학교 2학년 여학생 2명, 남학생 2명 총 4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4명의 학생들은 수준별 반 A, B, C, D에서 D반에 해당하는 학생들로 학업성취도가 낮은 상태이어서 학습부진아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과 도구로서의 개방형 실험수업은 총 8차시로 진행이 되었으며, 교사와 학생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업이 끝난 방과 후에 실시하였다. 더불어 1~3차시는 학교수업내용과 관련된 개방형 문제를 진행하고, 4~8차시는 다양한 형태의 개방형 문제를 진행하였다. 실험수업은 10분간 각자 문제를 풀어본 뒤 서로에게 풀이를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를 통해 학습부진아 학생들은 개방형 문제에 대하여 다양한 문제풀이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제시된 문제를 풀고 난 뒤에 학생들이 조건을 추가하여 문제를 변형하는 전략을 많이 사용한다는 점이 돋보였다. 학생들은 알고 있던 지식을 종합적으로 이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연구자는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지켜봄으로써 학생들의 문제에 대한 이해정도를 인식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처음 개방형 수업을 시작할 때는 개방형 문제를 낯설어 하고, 학생들 수준에 비해 난이도가 높은 문제들이 나왔을 때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었다. 하지만 차츰 실험을 진행해 갈수록 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개방형 문제의 존재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개별적으로 차이는 있지만 일부학생들에게서 수학의 개방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한 문제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학생들에게는 부담이 되었는지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하락한 학생들도 있었다. 반면, 정규 수업시간 이외의 시간을 이용하였으므로 정규 수업시간에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수업을 한다면 기존 교과서에 대한 분석과 재구성을 통해 다양한 풀이방법이 나올 수 있는 개방형 문제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개방형 문제 수업 시 개별학습보다는 협동학습을 하면 더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학습부진아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얘기하는데 서투르고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혼자서 문제를 풀게 한 뒤 어려움을 보일 때에는 교사가 적절한 발문을 던져주는 것이 필요하다.

      •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이상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책흐름모형을 통해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며 정책의제가 형성되고 구체적인 정책대안이 개발되어 정책의 창이 열리기까지의 세 가지 흐름에 대해 분석하였다.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새로운 시장의 취임이라는 정치적 사건과 지방정부의 재정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알려준 성남시의 지불유예선언이라는 사회적 사건이 촉발기제가 되어 서울시의 정책체계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흘러 다니던 문제, 정책, 정치라는 3가지 흐름이 결합하여 제도의 형성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분석을 통해 정책의 창이 열리기까지 각각의 흐름을 바꾸고 조정하는 정책 활동가의 역할은 제도형성의 원동력이 되었고 정책 활동가의 이념과 비전들에 의해 정책과정의 특징이 야기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정책과정에 있어 정책 활동가의 역할은 중요하며 정책 활동가의 유무, 이념과 비전에 따라 제도의 형성 과정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정책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며 향후 유사정책의 효과적 의사결정, 그리고 정책참여자의 역할 및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