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빛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authorship strateg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don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ffect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language ability.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data necessary for finding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to be used effectively to enhanc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language ability.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authorship strateg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authorship strateg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2 classes at B and L day care center located in G city. These two classes of 20 children each was randomly assigned to be on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10 boys and 10 girls) and control group (consisting of 12 boys and 8 girls) respectively. The research tool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Korean versions of A and B types of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TCT) translated and edited by Kim Youngchae (1999) as research tools to examine their creativity and the Korea Wechsler Preschool &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translated by Park Haeju, Kwak Keumju, and Park Kwangbae (1996) to measure linguistic performance of children. The two groups are described as ones with the same quality, sinc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oth in creativity and language ability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test to examine similarity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given. The experiment procedures consist of preliminary test and experiment,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for 5 weeks,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arried out 15 times-three times a week for the 5 weeks. For experimental group, authorship strategy activities after using picture books was given, and for the control group, general language activities after using picture books was given. The data collected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with the t-test using a SPSS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study indicates that creativity of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racticed authorship strateg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general language activities. Of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uniqueness, while abstractness of title, delicacy, resistance against quick conclusion show significant difference, fluency hav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we found that authorship strategy activities are helpful for the creativity of children. Second, the study shows that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racticed authorship strateg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linguistic performanc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general language activities ; all the sub-factors of language ability such as common information, comprehension, vocabulary show significant difference, mathematics and similarities hav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it is clear that authorship strategy activiti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authorship strateg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re helpful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to some extent. Thu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we may utilize authorship strateg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s a teaching metho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language ability.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 증진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모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2.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위치한 B어린이집과 L어린이집의 만 5세 두 학급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급은 각각 실험집단(남: 10명, 여: 10명)과 통제집단(남: 12명, 여: 8명)으로 무선 배정 하였으며, 연구대상 유아는 총 4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Torrance(1962)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를 김영채(2002)가 편역한 한국판 TTCT(도형) A형, B형을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1996)가 번역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언어성 검사영역을 사용하였다. 실험처치가 실시되기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들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 검사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 집단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절차는 예비검사 및 실험, 사전검사, 5주간의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읽고 작가적 전략을 활용한 활동을, 통제집단은 그림책을 읽고 일반 언어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주 3회씩 5주간 총 15회를 실시하였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그림책을 읽고 일반 언어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창의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의 하위 요인중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점수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창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가적 전략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부분적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그림책을 읽고 일반 언어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언어능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능력의 하위요소인 ‘상식’, ‘이해‘, ‘어휘’ 점수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산수’와 ‘공통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가적 전략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증진에 부분적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 증진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 활동이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교수방법으로 활용해 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빛나 전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란 문학작품과 유아의 교류를 통해 형성된 다양한 반응을 존중하는 반응중심 접근법을 활용해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공감하며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는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1-3.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유아의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으로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단계를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평가 방법을 계획한 후,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에 대한 검토 및 수정ㆍ보완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2]에서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관계능력, 정서지능,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U유치원과 H유치원 만 5세 2학급(실험집단: 21명, 비교집단: 21명) 유아 42명이다. 연구도구는 김성민(2009)이 개발한 교사용「유아 대인관계 형성능력 척도」와, 이병래(1997)가 개발한 교사용「유아 정서지능 검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유아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5년 10월 5일부터 11월 27일까지 8주 동안 총 24회로, 실험집단에서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리더십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반응을 인지하고 존중하며 감성역량 및 주도적 대인관계능력 증진을 통해 미래사회의 영향력 있는 감성리더십을 갖춘 인재를 기른다’로 선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로서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한다’, ‘타인의 반응을 이해하고 공감한다’, ‘원만한 대인관계능력을 증진한다’, ‘정서능력을 증진한다’, ‘또래 유능성을 증진한다’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자기감정 이해 및 조절(자기인식, 감정표현, 자기관리), 타인감정인식 및 공감(타인이해, 공감하기, 타인존중), 대인관계능력(관계형성, 상호작용, 공동체의식), 문제해결능력(협력하기, 의사소통, 문제해결), 비전제안 및 지원(비전제시, 격려하기, 성장지원)으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단계, 교사의 역할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원리는 ‘경험의 원리’, ‘흥미의 원리’, ‘반응존중의 원리’, ‘감정교류의 원리’, ‘관계관리 능력의 원리’를, 교수-학습 전략으로는 ‘감성 확인하기’, ‘반응 표출하기’, ‘긍정적 교류 형성하기’, ‘협력하기’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원리와 전략을 토대로 도입, 전개, 마무리의 교수-학습 단계를 구성하였다. 도입에서는 문학작품 감상하기, 전개는 반응 공유하기, 리더십 요소 찾아내기, 리더십 요소 명료화하기, 리더십 요소 심화하기, 마무리는 정리하기로 구성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계획자 및 실천자, 동기 유발자, 상호작용자, 환경준비자, 평가자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교사평가와 유아평가로 구성하였다. 둘째,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은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리더십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대인관계능력, 정서지능, 또래 유능성을 검사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대인관계능력은 하위영역인 지시 따르기, 긍정적 상호작용, 사회적 반응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형성하기에서는 사후 검사 점수가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정서지능은 전체 정서지능 및 하위영역인 자기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 유능성은 전체 또래 유능성 및 하위영역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고 존중하는 가치관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대인관계능력과 또래 유능성 발달을 도모하고 소통을 위한 감성의 올바른 이해를 통해 미래사회의 경쟁력 있는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어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가 연계성 있게 구성되었다. 또한 유아의 대인관계능력과 정서지능, 또래 유능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 리스회계기준 변경이 항공업계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통한 전략적 경영 방안 모색 -FSC와 LCC 비교중심으로-

        이빛나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K-IFRS 제1116호 ‘리스’와 관련한 기존 리스회계기준에 대한 연구를 확장시켜 국내 항공업계 중 FSC(Full Service Carrier)의 대표 항공사인 대한항공, 아시아나와 LCC(Low Cost Carrier) 항공사 중 주식시장에 상장된 진에어, 에어부산, 티웨이항공, 제주항공을 중심으로 선정하여 각 항공사별로 변경된 회계기준을 적용하여 재작성된 2019년 기초 재무정보와 2018년의 재무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 연구를 통해 공표 시점 이후 변화와 이들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과 자본 조달 사례를 통한 기업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리스 이용자이자 리스 제공자인 이들의 관점에서 개정된 사항의 적절한 회계처리 방식과 리스 식별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파악하고, 나아가 회계기준서에 따른 더 나은 회계처리 방안을 모색하고 재무회계 분야에서의 항공사의 전략적 경영 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이 된 항공사들이 공통적으로 K-IFRS 1116호에 따라 운용리스로 분류되던 리스계약들을 사용권 자산과 리스부채로 계상하게 되면서 2018년 대비 2019년의 자산 및 부채의 총계가 증가하였다. 둘째, 항공사들의 손익구조가 신리스회계기준의 도입으로 인하여 2018년과의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변화된 자산과 부채, 수익과 비용의 인식을 반영한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총자산이익률, 총자본이익율을 전기와 비교하여 분석하였고, 해당 변화가 신리스회계기준의 도입으로 인한 것인지 혹은 다른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한 것인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넷째, 신리스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한 영향이 FSC와 LCC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하여 분석하였고, 상대적으로 많은 리스계약을 운용리스의 형태로 회계처리 했던 LCC가 K-IFRS 1116호에 따른 신리스회계처리기준의 영향을 많이 받게되어서 유동비율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한 전략적 경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리스회계기준에 따라 재무구조가 악화되는 불가피함을 개선하기 위해 자기자본을 확충하면서 부채비율을 낮출 수 있는 전환영구채의 발행을 통해 부채비율을 낮추는 방안이 있다. 둘째, 항공업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 유형자산인 항공기의 운용을 더 효율적인 노선포트폴리오를 개선하여 항공사가 보유 및 운용하는 항공기 한 대당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국가적인 차원의 정당성을 가지는 항공업의 특성상 항공사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입법 및 항공기금융시장을 성장시킬 수 있는 정책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K-IFRS 제1116호를 항공업계를 한정하여 FSC와 LCC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재무비율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 기업의 회계처리 사례와 분석 결과를 통해 신리스회계기준의 이해도를 높이고 한계점과 연구과제를 설명하고 있어 해당 분야의 연구에 공헌점이 있다. 주제어: 리스회계기준, 운용리스, 금융리스, K-IFRS 제1116호 This study expanded the study of K-IFRS 1116 "LEASE" by studying Lcal Korean airline corparation such as Korean Air, Asiana Airlines and LCC (Low Cost Carrier) airlines listed on the stock market. These empirical studies looked at changes since publication and the impact on their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lease users and lease providers, identifying the appropriate accounting for the amendments, and further seeking ways to better account for airlines' strategic management in financial account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of assets and liabilities in 2019 increased compared to 2018 as airlines that were commonly classified as operating leases in accordance with K-IFRS 1116 counted lease agreements as licensed assets and lease liabilitie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profit and loss structure of airlines differs from that of 2018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SILIS IFRS. Third, the operating profit ratio, net income rate, gross return on assets and liabilities, reflecting the recognition of revenue and expenses, and the total return on equity were analyzed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period and whether the change was due to changes in the other external environment. Fourth,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new lease accounting standards were analyzed for differences between FSC and LCC, and the LCC, which accounted for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lease contracts in the form of operating leases,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new lease accounting standards under K-IFRS 116. Strategic management measures through this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o improve the inevitability of deteriorating financial structures in accordance with SILIS IFRS, there is a plan to lower the debt ratio through the issuance of convertible perpetual bonds that can reduce the debt ratio while expanding equity capital. Secon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operations of aircraft, which are essential tangible assets to operate in the aviation industry, to maximize revenue per aircraft owned and operated by airlines by improving their more efficient route portfolios. Third, due to the nature of the airline industry, which has national legitimacy, it is necessary to support policies that can grow the legislative and aircraft financial markets to enhance airline competitiveness. This paper has contributed to the research of K-IFRS 1116 by providing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FSC and LCC for the aviation industry to identify the effects of financial ratios, and 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inless IFRS and explaining limitations and research projects.

      • 독서 토론 프로그램이 독서 비평문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빛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독서 비평문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독서 토론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비판력 있는 학습자를 기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연구자는 학습자들이 문종에서 오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독서 비평문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서 ‘협의’에 주목하였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독서 토론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이를 통해 학습자의 독서 비평문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가 향상되는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다시 말해 이 연구에서 설계된 ‘독서 토론 프로그램’이 독서 비평문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텍스트의 의미는 필자 혼자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담화공동체의 협력적인 산물이다.’라는 사회 구성주의 작문이론을 전제로 하여 진행된 이 연구에서는 의미구성을 위한 담화 공동체 사이의 의사소통, 즉 ‘협의’를 중시한다. 이 연구에서의 ‘협의’는 상호 간에 문제 해결을 위해 이루어지는 대화 전체를 포함하며, 첨예한 의견대립의 경쟁적 의사소통인 토론과 상호 간의 협동적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토의를 포함하는 광의(廣義)의 의미를 지닌다. 근본적으로 모든 글쓰기는 ‘대화’를 지향한다.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내 생각을 밝히는 것은 ‘필자 간의 대화’이며, 독자들을 머릿속에 떠올리며 글을 쓰는 것은 ‘예상 독자와의 대화’이다. 이러한 ‘대화’를 머릿속으로 심도 있게, 자유자재로 진행해 나가는 능력은 유능한 필자가 갖추어야 할 필수조건이다. 특히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자신의 비판적 견해를 밝혀야 하는 독서 비평문과 같이, 난이도 높은 글에서는 이러한 ‘대화’의 수준은 곧 글의 수준과 직결된다. 이 연구에서는 ‘인지적 사고의 과정’을 ‘동료 간의 실제적인 대화’로 외현화하여 사고의 부담을 줄이고 모둠 구성원 간의 협력을 통해 어려운 작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협의’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협의’를 통해 모둠원들은 텍스트의 의미와 작가의 의도를 해석하고, 그 의도와 의미가 작품에 효과적으로 구현되었는가에 대한 의견을 서로 나눈다. 이 과정에서 모호했던 내용 해석이 분명해지며 작품을 통찰력 있게 바라보는 눈이 생겨나게 된다. 작문 주제에 대하여 구성원들과 생각을 나누는 ‘말하기와 듣기 경험’은 쓰기의 배경지식을 넓히고 작문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도 줄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의 ‘독서 토론 프로그램’은 단순히 산술적으로 도서에 대한 모둠원들의 의견을 모으는 데에 머무르지 않는다. 1차적으로 본인의 생각을 발표한 뒤 2차적으로는 각 모둠원들의 의견에 대한 피드백 즉, ‘동의, 반박, 질문’ 등의 의사표현을 통해 ‘의견에 대한 의견’ 혹은 ‘가치판단에 대한 판단’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또 의미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자유로운 논의가 가능하도록 열린 분위기에서 협력적이고 허용적인 대화 방식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토론 프로그램이 독서 비평문 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독서 토론 프로그램이 쓰기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과정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독서 토론 및 독서 비평문 쓰기’의 배경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협의의 의미에 관한 기존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필요성 및 강조점 등에 대해 명확히 제시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독서 토론 프로그램을 통한 독서 비평문 쓰기 연구의 일반적인 진행 절차와 연구 방법을 안내하였다. 설계한 프로그램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해 보고, 구체적인 진행 방법과 그 결과물들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독서 토론 프로그램이 독서 비평문 쓰기 능력 및 쓰기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얻어낸 검사 결과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사전․사후의 검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독서 토론 프로그램은 독서 비평문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 그리고 학생 반응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독서 토론 프로그램은 독서 비평문 쓰기 능력 및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쓰기 능력 중 ‘내용 생성’ 영역에서 능력 향상 효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보아 이 프로그램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산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모둠원 간의 협력적 의사소통의 경험은 쓰기 활동의 부담과 부정적 인식을 줄이고 쓰기 태도 영역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해 내었다. 둘째, 이 프로그램 진행 후 학습자들은 스스로가 쓰기 자신감이 높아졌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둠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사고와 생각의 범위를 넓힐 수 있었고, 독서 비평문 쓰기에 자신감이 생겼다고 응답하는 등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독서 토론 프로그램’은 독서 비평문 쓰기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 쓰기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독서 비평문 쓰기 교육에서의 방향을 제시하고, 앞으로의 연구에도 중요한 시사를 줄 것이다. 다만, 내용 표현과 내용 조직의 측면에서도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프로그램 세부 방안, 또 학습자별로 각기 다른 수준을 고려하여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 등에 관한 치밀한 후속 연구가 더 진행되어 이 프로그램이 독서 비평문 쓰기 지도 방안으로 활발하게 적용되고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 표현론적 관점에서의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 화자의 유형에 따른 수용과 생산 양상을 중심으로

        이빛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ctivity method of reception and production by which learners subjectively grasp and utilize author’s expression intent and effect through poetry education in the viewpoint of expression theory in which they understand works in consideration of author’s creation and production spirit on the basis of communication relation among ‘author-work-reader’ getting out of formal literary education concentrating in text. Thus far, poetry education has been spread as academic education mainly based on knowledge and memorization. Even the viewpoint of poet, the entity of creation was not considered, but merely understood as an element included in work structure. Hence,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pedagogic method of accepting and producing modern poetry works mainly on the basis of relation between poet and speaker in the viewpoint of expression theory. For this study, the educational correlation and significance in literary education was presented in Chapter II after confirming the concept and flow of expression theory checked in literary opinion for overall comprehension of viewpoint in expression theory and embodiment of work reception. Further, the aspect of setting up speaker in accordance with poet's expression intent and its effect was analyzed to embody and set it up in the type of speaker applicable to modern poetry works in the textbook. The type of speaker is set up by utilizing general viewpoint where poet and speaker are not identified and they are identified depending on relation between poet and speaker. The types of speakers which are not covered by such viewpoint, but strongly exposes social group property are additionally set up and types of 3 classes of speakers, namely, fictional speaker, autobiographical speaker and social speaker are presented. Based on the type and effect of speaker set up in Chapter Ⅱ, I tried to analyze modern poetry works and learning activity of 『Literature』 high school textbook of Korean curriculum amended in 2011 in order to grasp effect of setting up types of speaker and learning aspect depending on poet's expression intent in the viewpoint of expression theory in Chapter Ⅲ. The total number of modern poetry works for each type of speaker confirmed in 11 kinds of 『Literature』 textbook is 25, which mostly reflect the type of autobiographical speaker out of 3 classes of speakers. In the case of autobiographical speaker and social speaker, works are better understood by presenting poet's life and time/social background related to work in learning activity. However, the intent of poet's creation and expression and the effect of setting up speaker is not presented. The aspect of setting up for each type of speaker in textbook can be also applied to the works crea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which I can confirm that the type of speaker set in accordance with authors' expression intent is identically applied to students' work production activity. Wholly generalizing the case analysis of sett up for each type of speaker in poetry works crea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outcome of discussion in Chapter Ⅱ and Chapter Ⅲ, I designed education content in viewpoint of expression based on the type of speaker and tried to conceive pedagogic method of reception and produc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eaching poetry in the school in Chapter Ⅳ.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search desirable poetry education where authors and readers communicate through poetry education in viewpoint of expression theory which considers the entity of creation for investigating methodological education contents supplementing the limit of present poetry education. I expect that this study be expanded toward specific discussion where authors and readers communicate and continue the activity of reception and production through media, literary work. 이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중심의 형식적인 문학교육에서 벗어나 ‘작가-작품-독자’의 소통 관계를 바탕으로 작가의 창조와 제작 정신을 고려하여 작품을 이해하는 표현론적 관점에서의 시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작가의 표현 의도와 효과를 주체적으로 파악하고 활용하는 수용과 생산의 활동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의 시 교육은 지식과 암기 위주의 학문중심 교육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창작의 주체인 시인의 관점 또한 고려되지 못하고 작품 구조에 포함된 요소 정도로만 이해되어져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표현론적 관점에서 시인과 화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현대시 작품의 수용과 생산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Ⅱ장에서는 표현론적 관점의 전반적인 이해와 작품 수용의 구체화를 위해 문학관에서 확인되는 표현론의 개념과 흐름을 확인한 뒤, 문학 교육에서의 교육적 연관성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시인의 표현 의도에 따른 화자 설정의 양상과 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교과서 현대시 작품에 적용될 수 있는 화자의 유형으로 구체화하여 설정하였다. 화자의 유형은 시인과 화자의 관계에 따라 시인과 화자를 동일시하지 않는 유형과 동일시하는 유형으로 구분하는 일반적인 관점을 활용하여 설정하였으며, 이와 같은 관점에 포괄되지 않고 사회 집단적 특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화자의 유형을 추가로 설정하여 ‘허구적 화자’, ‘자전적 화자’, ‘사회적 화자’등 세 층위의 화자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설정한 화자의 유형과 효과를 바탕으로 2011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시 작품과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표현론적 관점에서 시인의 표현 의도에 따른 화자 유형의 설정과 효과 및 학습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1종 『문학』 교과서에서 확인되는 화자 유형별 현대시 작품의 수는 총 25편으로 세 층위의 화자 유형 중 자전적 화자의 유형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 있었으며, 자전적 화자와 사회적 화자의 경우 학습활동에서 작품과 연관된 시인의 생애와 시대적·사회적 배경을 제시하여 작품의 이해를 높이고 있었으나, 시인의 창작과 표현의 의도 및 화자 설정에 따른 효과는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교과서에서의 화자 유형별 설정의 양상은 중·고등학생이 창작한 작품에서도 적용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작가의 표현 의도에 따른 화자 유형 설정이 학생들의 작품 생산 활동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중·고등학생이 창작한 시 작품에서 화자 유형별 설정의 사례 분석과 Ⅱ장과 Ⅲ장에서 논의한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화자의 유형에 기반한 표현론적 관점의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으며, 학교 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수용과 생산 교육 방안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현재 시 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방법적인 교육 내용 고찰의 목적으로 창작의 주체를 고려한 표현론적 관점에서의 시 교육을 통해 작가와 독자가 소통하는 바람직한 시 교육을 모색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문학 작품을 매개로 작가와 독자가 소통하며 수용과 생산의 활동을 이어나가는 구체화된 논의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아동·청소년 낙관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이빛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meta-analysis technique to studies of effectiveness of optimism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A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rom 2002 to 2019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23 optimism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62 examples of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based on criteria. The random-effects model was adopted to synthesize heterogeneous research and the effect siz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the programs was found to be 1.113 indicating that the effect size is very large according to the criteria specified by Cohen(1988).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verag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moderator variables are as follows. As for participants, the effect size for adolescents was higher than the one for children. In terms of the effect size for the school level, the higher school level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The average effect size of program’s configuration was more effective in cognitive and behavioral integration than cognitive-oriented configurations for both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effect size was the largest when both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in groups of less than 10 people.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the effect size was the largest when the sessions were conducted 11 to 12 times for children, 8 to 9 times for adolescents. The average effect size based on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when both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engaged in less than one to two sessions per week for more than 60 minutes.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period of implementation was the largest when programs lasted 7 to 8 weeks for children and 9 to 10 weeks for adolescents.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motivation for group participation was the largest when both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ed voluntarily. The average effect size by gender was large in adolescents when they were organized in mixed-gender groups. For adolescents, the mean effect siz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as higher in groups of school violence victims than in heterogeneous groups. The effect size was higher when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on children than it was not. The average effect size was large for children when they did not write an experience report while it was big effect for adolescents. The result of analyzing effect size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indicated the effect size for children was high in the order of negative emotion related variables, self-related variabl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lated variables, academic performance related variables, adjustment-related variables, and positive emotion related variables while in the case of adolescents, the effect size was high in the order of self-related variables, adjustment-related variables, negative emotion related variabl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lated variables and positive emotion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se outcom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the continual development and further research of optimism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 ASSURE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에서의 "배경음악 만들기" 지도방안 연구 : 《사랑의 인사》를 중심으로

        이빛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창의성이 있는 인재를 요구하고 있으며, 교육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음악은 예술교과로서 자유로운 창작활동을 통하여 학습 자들의 표현력과 창의력을 계발할 수 있는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음악수업은 감상과 이해, 그리고 표현 중에서도 가창과 기악만을 중요시 하고 있으며, 창의력 계발이나 음악의 생활화보다는 ‘음악하기’만을 강조하고 있 다.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사회는 빠르게 변화되어 나갔고, 자신을 표현하 는 방법 또한 매우 다양화되었다. 이 시대의 자기표현 방법은 단순한 글이나 음악이 아니라 유투브 동영상, SNS, 블로그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이 시대가 요구 하는 창의 인재가 단순히 새로운 사고를 하는 사람이 아닌,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술의 발달과 사회적 요구는 교육과정에도 반영되고 있으며, 음악교육에서는 다양 한 매체 즉, 컴퓨터나 스마트 폰, 인터넷 등의 디지털매체를 활용하여 교육할 것을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교과서에 새롭게 등장하게 된 음악적 창작활동들이 바로 배경음악 만들기, 동영상 만들기, 컴퓨터 음악 등 이다.vi 이 연구는 디지털매체를 활용하여 영상에 어울리는 “배경음악 만들기”를 할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교과서 제재곡으로 엘가(Edward Elgar, 1857-1934)의 《사랑의 인사》(Saluet D'Amor, 1889)를 선정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음악교육에서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교 육이 왜 필요하며,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또한 2009 개정 교과서에는 어떠한 활동 들이 제시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디지털매체를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교육공학 의 교수설계 모형 중 ASSURE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골드웨이브와 윈도 무비메이커를 활용한 “배경음악 만들기” 활동에 적용하였다. ASSURE 모형은 다양한 교수매체의 활용을 위해 고안된 것이며, 전문가가 아닌 교수자의 노력만으로 적용이 가능하여 실 제 수업현장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엘가의 대표적인 작품이며 음악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사랑의 인사》를 활용하 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이 곡은 교과서에 다양한 편성의 기악합주곡, 성 악곡, 부분 2부 합창곡 등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으며, 실제로도 다양한 악기와 장르로 편곡되어 연주되고 있어서 “배경음악 만들기”의 소재로 적합한 대상 중에 하나이다. 총 3차시로 구성된 지도안은 1차시에서 ‘같은 장면 다른 느낌’을 표현한 영상의 예시를 통해 배경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모둠별로 주제에 맞게 주어진 영 상과 배경음악 편집에 대해 논의하여 포트폴리오를 작성한다. 2차시에서는 1차시에 작성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실제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모둠활동이 이루어지며, 음 원 편집 프로그램인 골드웨이브와 영상 편집 프로그램인 윈도 무비메이커를 사용한 다. 3차시는 모둠별 과제 발표 및 발표에 대한 평가 중심 수업으로, 모둠별로 완성된 영상을 발표하고 배경음악의 선정 및 편집 과정을 발표를 통해 밝힌다. 음악교육에서 디지털매체의 활용한 “배경음악 만들기”는 학습자들이 음악활동 중 어렵게 여기는 창작활동에 대하여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며, 단순하게 써 내 려가거나 연주하는 음악 창작이 아닌 3차원의 영상을 창작하는 것으로써 자유롭고 다 양한 자기표현을 할 수 있다.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이빛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방어기제유형에 따라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전위공격성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심리내적인 기제를 통해 발현되어지는가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3곳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9년 3월에서 4월까지 약 한 달 동안 내면화된 수치심, 전위공격성, 방어기제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대인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 및 수집된 자료는 총 300부(회수율 100%)로 국적이 한국이 아닌 (유학생) 7부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6부를 제외한 총 287부를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3단계 중다회귀분석과 Sobel-test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 결과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전위 공격성, 방어기제유형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와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이 부분 매개 및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전위공격성, 방어기제유형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방어기제유형들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적응적 방어기제유형과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이 부적상관을(r = -.18, p < .01), 적응적 방어기제유형과 갈등 회피적 방어기제유형이 부적상관을(r = -.18, p < .01) 나타냈으나 적응적 방어기제유형과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갈등회피적 방어기제유형은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과는 정적상관을(r = .53, p < .01), 갈등회피적 방어기제유형과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은 정적상관을(r = .61, p < .01)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미성숙 방어기제유형과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은 정적인 상관관계를(r = .52, p < .01)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은 전위공격성과 정적 상관을(r = .51, p < .01) 나타냈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그 하위변인들은 전위공격성과 그 하위변인들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적응적 방어기제유형은 부적상관을(r = -20, p < .01) 나타냈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은 정적상관을(r = .62, p < .01),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은 정적상관을(r = .49, p < .01), 내면화된 수치심과 갈등회피적 방어기제유형은 정적인 상관을(r = .58, p < .01)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적응적 방어기제유형과 전위공격성은 부적상관을(r = -.22, p < .01) 나타냈으며,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과 전위공격성은 정적상관을(r = .74, p < .01),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과 전위공격성은 정적상관을(r = .40, p < .01), 갈등회피적 방어기제유형과 전위공격성 또한 정적상관을(r = .38, p < .01)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전위공격성, 방어기제유형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그 하위변인들은 전위공격성과 그 하위변인들에 모두 정적 영향을(r = .51, p < .001)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적응적 방어기제유형에 부적영향을(r = .-.43, p < .001)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에는 정적영향을(r = .64, p < .001),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에도 정적영향(r = .61, p < .001)을, 갈등회피적 방어기제유형에도 정적 영향을(r = .58, p < .001)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적응적 방어기제유형은 전위공격성에 부적 영향을(r = -.22, p < .001)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회피적 방어기제유형은 전위공격성에 정적영향을(r = .38, p < .001),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도 전위공격성에 정적영향을(r = .74, p < .001),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 역시 전위공격성에 정적영향을(r = .40, p < .001)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의 완전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을 통해 전위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을 통해서는 전위공격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내적인 특성을 가진 대학생이 일상에서 내적 갈등을 처리하기 위해 심리내적인 기제를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하는가에 따라 전위공격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전위공격성을 낮추기 위해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방어기제유형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해하여 구체적인 치료적 개입을 시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to discover how displaced aggression manifests through specific psychological factors,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on displaced aggression due to the defense mechanism.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order to measure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3 different universities in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April 2019.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ll of them were retrieved. As a total, 287 samples excluding 7 non-Korean participants (international students) and 6 participants who responded incompletel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a regression analysis and a three-s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among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Finally, we conducted a Baron and Kenny’s three-s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1986)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efense mechanism style. As a result, the data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ed correlation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Moreover, the defense mechanism style has a partial or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In this reg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et as the following :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have been identified among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fense mechanism styl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daptive defense mechanism style and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r = -.18, p < .01), and between adaptive defense mechanism style and conflict avoidance defense mechanism style(r = -.18, p < .01), whereas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adaptive defense mechanism style and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 have been noticed. Conflict avoidance defense mechanism styl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 (r = .53, p < .01) and with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r = .61, p < .01). Lastly,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 (r = .52, p < .01). Then, internalized sham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placed aggression (r = .51, p < .01). Internalized shame and its sub-variable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placed aggression and its sub-variables. Furthermore, internalized sham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defense mechanism style (r = -20, p < .01) bu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r = .62, p < .01) with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r = .49, p < .01) and with conflict avoidance defense mechanism style(r = .58, p < .01). displaced aggression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defense mechanism style (r = -.22, p < .01), bu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r = .74, p < .01), with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r = .40, p < .01) and with conflict avoidance defense mechanism style(r = .38, p < .01). Second, significant influencing relationships have been identified among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First of all, students’ internalized shame and its sub-variables had positive influence on displaced aggression and its sub-variables(r = .51, p < .001). moreover, students’ internalized shame has negative influence on adaptive defense mechanism style(r = .-.43, p < .001), but has positive influence on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r = .64, p < .001), with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r = .61, p < .001) and with conflict avoidance defense mechanism style(r = .58, p < .001). Furthermore, adaptive defense mechanism has negative influence on displaced aggression (r = -.22, p < .001), conflict avoidance defense mechanism style has positive influence on displaced aggression (r = .38, p < .001),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 has positive influence on displaced aggression (r = .74, p < .001). Finally,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 had also positive influence on displaced aggression (r = .40, p < .001). Third, There were both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In other words,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indirectly influences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the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 In addition, i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s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the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students who display displaced aggression, the manner in which they used this psychological mechanism to handle internal conflicts in daily lif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internal displaced aggression variabl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examining and understanding the defense mechanism of counselees must precede specific counseling in order to mitigate university students’ displaced ag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