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 논문요약 ─ 융합(STEAM)교육적 관점에서 IMP교과서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민지 본 연구에서는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교과서의 개선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미국의 융합적 수학교과서 중에서 IMP 교과서와 비교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교과서의 STEAM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고 개선함에 있어 방향성을 찾아보려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융합교육의 관점에 따라 미국 교과서 IMP(Interactive Mathematics Program)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한다. 가. IMP 교과서에서의 영역별 어떠한 수학 내용이 다루어졌는지 분석한다. 나. IMP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단원별 수학적 내용 및 공식이 무엇인지 분석한 다. 다. IMP 교과서에서 활용한 융합 소재는 무엇인지 분석한다. 라. IMP 교과서의 체제적 특징은 무엇인지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IMP 교과서에서의 영역별 어떠한 수학 내용이 다루어졌는지 분석한다. IMP 교과서에서 9학년과 10학년은 대수, 기하, 삼각법, 확률과 통계, 논리 등의 영역을 담고 있으며 11학년 12학년에서는 이에 추가 하여 해석과 좌표기하, precalculus, 프로그래밍, 쓰기와 의사소통 등의 영역을 포함한다. 나. IMP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단원별 수학적 내용 및 공식이 무엇인지 분 석한다. Year1의 첫 번째 단원은 기본적인 기하개념을 배우고 두 번째 단원에서는 확률, 세 번째 단원은 그래프를 통한 일차함수, 네 번째 단원에서는 정규분포와 표준편차 그리고 마지막 단원에서는 다각형과 삼각함수를 배운다. Year2에서는 첫 번째 단원에서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삼각함수, 정다각형의 겉넓이와 부피, 두 번째 단원에서는 일차부등식과 함수, 일차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세 번째 단원에서는 막대그래프와 표준편차, 네 번째 단원에서는 이차함수와 그래프, 마지막 단원에서는 지수와 로그에 대해서 배운다. 다. IMP 교과서에서 활용한 융합 소재는 무엇인지 분석한다. 융합소재의 영역을 나눌 때 과학, 기술·공학, 예술로 나누고 그 외 실생활 등이 포함된 부분은 다른 영역으로 표기하였다. Year1에서의 융합횟수의 수치를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백분율로 나타내면 실생활 등을 포함한 다른 영역이 36%로 가장 높고 그 뒤로는 25%로 과학, 예술, 마지막으로는 14%의 기술공학 순이다. Year2에서의 융합횟수 수치를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백분율로 나타내면 30%로 과학, 기술공학, 예술이 같았고 실생활 등을 포함한 다른 영역이 10%로 나타났다. Year1과 Year2의 융합 빈도를 통합하여 수치로 나타내어 보면 과학, 예술, 다른 영역이 26%이고 기술·공학은 22%로 나타났다. 라. IMP 교과서의 체제적 특징은 무엇인지 분석한다. 첫째, 하나의 중심 주제에 따른 다양한 활동(activity) 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둘째, 직접적 지식 전달 대신에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하여 학생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주변 사물을 활용한 이미지 제공의 학습을 유도하여 수학적 개념의 이해를 돕고 있다. 넷째는 계산기를 사용하는 수업을 지향하여 빠른 값들을 계산 하고 추측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섯 번째는 현실적 상황을 해석하기 위한 다양한 소재를 활용 한다. 마지막으로는 다양한 인종을 포괄하고 있다.
엑셀을 활용한 확률과 통계 단원 지도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10-(가)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회에서 방대한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통계 단원이 쉽게 느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소프트웨어 중의 하나인 엑셀을 통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현재 7차 교육과정의 통계영역에서의 테크놀로지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각 단계별 통계 영역 중 엑셀을 활용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부분의 예시를 들었다. 확률과 통계 단원의 지도에 엑셀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이며 개념 이해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fficient statistics classes, which allow the students to comprehend the unit of statistics easier. W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using the technology according to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unit of statistics, gave examples of guidable sections using Microsoft Excel effectively and suggested some guidance plans that allows students to analyze practical data and to reason statistically using Excel.
유휴공간 재생을 통한 참여형 플레이마켓(Play Market) 제안 : 국내외 프리마켓(Free Market) 사례를 바탕으로
이민지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The city we are currently living in suffers from complicated problems that include environment degradation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rapid changes in urban areas and the resultant occurrence of idle spaces. We now know that a sustainable city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nhancement of living qualities through cultural exchanges and not through reckless development. The potentiality of a city can be materialized through a variety of exchanges based on eco-friendly perspectives. The 21st century requires various kinds of cultural spaces in order to develop sustainable urban spaces. Cultural contents have converted from physical objects of the past to cultural elements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intangible such as experience, attraction and empathy, and sharing and exchanges by people. In contemporary society, the pattern of cultural consumption is changing toward requesting cultural information through participation as people?s qualities of lives have become enhanced. They are directly taking part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creating cultural contents by themselves, and are eager to share with others. A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of cultural spaces in people?s daily lives, it is now vital to provide the space for direct participation and cultural exchanges, not just limited to the existing concept of cultural space that only offers indirect experience. This study suggests how to vitalize urban culture by regenerating idle spaces. The participatory free market is a suggestion for using abandoned and neglected spaces for cultural content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study for cultural regeneration of idle urban spaces is important as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value of recklessly developed city areas, and to recreate the relationship among city culture, human and environment. Cultural regeneration of idle space offers a chance to enrich the quality of life, and it fulfills the social needs for culture to extend to our daily space. The participatory free market that induces experiential value through being a part of it is a new approach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urban culture and the consumer patterns of the West. This study will review the methods behind actively developing city culture by regenerating idle spaces as cultural hubs, and what values people will experience in such spaces. The free market, as one of the regeneration projects, is a participatory urban culture program, which aims to encourage people?s participation and interest even from the early stages. The Free Market, different from a flea market, is a creative space where various kinds of cultures co-exist to promote cultural experienc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This study will observe and analyze the Free Market?s program based on physical and cultural elements of free markets in Korea and abroad as well as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such analysis, values of the free market can be summarized into five categories; Creative Space, Recreation, Identity, Culture, and Education. Through this value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that people are not just satisfied by simple observation of culture, but tend to gain more by directly experiencing and sharing cultural programs as they fulfill both education and play factors. Based on the above five values, this study suggests a developed concept for the participatory free market by naming it as Play Market that offers a more active experience. The play market is a cultural space that encourages people?s participation and exchanges. It also compensates the shortcomings of the free market that requires the expertise of participants. Thus, a standardization of the guideline is necessary to allow all participants to easily suggest and program a play market. The Play Market?s design guideline will consist of different sections such as the Play Ground, the Player, the Play Service, and the Play Contents, and its terminology will be easy to understand, and surpass the existing design guidelines of Korea that are complicated and full of difficult terminologies. The standard design guideline for the play market,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be a suggestion for offering active experience within urban culture. It will inspire people?s participation for establishing future urban culture, and to produce participatory cultural contents that are needed in contemporary society following the reckless city development of the past.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근대화와 산업화에 따른 급격한 변화로 환경의 질 낙후, 유휴공간의 발생 등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급격한 변화를 통해 우리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모습이 무분별한 개발이 아닌 문화교류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이며, 생태적 관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류를 통해 도시가 가진 잠재력을 도출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1세기에서 지속가능한 도시의 발전과제는 다양한 문화공간을 창출하는 것이다. 문화 콘텐츠는 과거 물리적인 오브제에서 경험(Experience), 유혹(Attraction), 공감(Empathy) 등 무형의 감성과 교류를 통한 문화적 요소로 전이되었다. 현대사회에서 문화소비 패턴의 변화는 삶의 질 향상에 따라 참여를 통한 문화정보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으며, 생산과 소비과정에 직접 참여하여 자신이 문화 콘텐츠를 생산하고,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 그만큼 일상생활에서 문화영역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으며 기존의 문화공간 개념인 간접 경험에서 벗어나 스스로 참여하여 문화를 교류 할 수 있는 공간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 속에서 방치되거나 버려지는 유휴공간에 문화라는 콘텐츠를 적용하여 도시문화의 대안적 공간으로 참여형 프리마켓(Free Market)과 재생(再生)을 통한 도시문화 활성화를 제안한다. 도심 속 유휴공간의 문화재생의 연구는 급격한 도시변화에서 무분별하게 개발된 도시를 되돌아보고, 도시문화와 인간, 그리고 환경의 관계를 새롭게 만들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은 인간의 삶을 질적으로 풍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문화공간의 범위가 일상적인 공간으로 확산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다. 참여를 통해 경험적 가치를 이끌어내는 참여형 프리마켓은 서구에서 도시문화 및 인간의 문화소비 행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휴공간의 문화공간 재생사례를 통해 도시문화의 적극적 개발과 그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경험하게 되는 문화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재생사례 중 하나인 프리마켓은 공간의 형성 단계에서부터 인간의 참여와 관심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참여형 도시문화 프로그램이다. 프리마켓(Free Market)은 과거 벼룩시장(Flea Market)과 달리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창의적 공간으로서 적극적 참여를 통한 문화 경험을 원하는 사람들에 의해 커뮤니티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프리마켓의 물리적, 문화적 요소 및 경험의 특성을 바탕으로 프리마켓 프로그램을 관찰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형 문화공간으로서 프리마켓은 창의적 공간(Creative Space), 놀이성(Recreation), 정체성(Identity), 문화소비(Culture), 교육성(Education)의 5가지 가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가치 도출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단순히 문화를 관람하는 것에서 만족하지 않고, 놀이의 개념과 교육이 함께 고려된 문화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고, 공유하려고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위의 5가지 가치를 바탕으로 참여형 프리마켓의 명칭을 좀 더 적극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개념인 플레이마켓(Play Market)으로 변경하여 제안한다. 플레이마켓(Play Market)은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기존 프리마켓(Free Market)의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어디서나, 누구든지 참여와 교류가 가능한 문화공간이 된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플레이마켓(Play Market)을 제안하고, 계획할 수 있는 운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플레이마켓의 운영 프로그램의 구성은 공간(Play Ground), 사람(Player), 물품(Play Service), 문화프로그램(Play Contents)으로 명칭을 정하여, 복잡하고 어려운 용어 위주의 기존 국내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한계점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적극적으로 도시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플레이마켓(Play Market)의 기본 운영 프로그램은 향후 새로운 도시문화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사람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과거 무분별한 도시변화에서 벗어나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참여적 문화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본 연구를 제안한다.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홈퍼니처 제품디자인 연구 : 폐PVC 파이프 활용을 중심으로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maintaining natural resources and preserving the environment for future generations are no longer an option but a necessity. It is argued that design should deal with product handling after use problems rather than only simply making and using the proper products. The eco-friendly design for this environment developed in the order of green design, eco-design, and sustainable design, and created a new industry called upcycling, a field of sustainable design. Upcycling is a superior concept of recycling that repairs and reuses useless waste, and it is becoming a new ethical consumption trend that considers the environment by re-producing completely different products with new value by adding design and utilization, which is going one step further from simply recycling the existing discarded product. While the interest of consumer in uncycling is growing, PVC waste pipes are valuable as materials for upcycling as they are used as sustainable resources with strong durability, corrosion resistance, functionality and sustainability. However, the amount of PVC waste pipes discarded and neglected has increased as it is a highly usable market in many areas of life. In fact, PVC pipes have become a social problem which results in negative problems such as being discharged from construction sites as waste, or being abandoned as waste and illegally buried, ruining the beauty of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it is highly valuable as an upcycling material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other products using the excellent durabilit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VC pipes, but research using it has not yet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 If one turns problems into products with new value through upcycling, they can contribute greatly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while consum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upcycling products, upcycling products are mostly used as fashion items. That is how I realized that upcyling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into a more diver product line. In this study, I conducted a research on PVC waste pipes, which are recognized as social problems with upcycling, a field of sustainable design. Through the study, I developed home furniture products focusing on PVC waste pipe lines using upcycling. As for a research method, I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value of upcycling components, and the selection and improvement of upcycling product materials by deriving upcycling components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upcycling and examples of upcycling brands at home and abroad and surveys by design experts. In selecting materials for the product, it was suggested that it could be utilized as a material for upcycling products because of its resource circulation and sustainable resources; in addition, one could see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rough articles that show the status of PVC waste pipes, which are discarded and left unattended, much as they are useful in many areas of lif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PVC waste pipes and accessories were investigated to sort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for upcycling products. Moreover, I proposed a new practical use of practical use of sustainable design and expansion of the upcycling culture of modern society after establishing design standards through components of upcycling based on expert surveys and proposing home-furniture product design using upcycling by utilizing upcycling products which are discarded and abandoned. 계속해서 빠르게 변화해 가는 현대사회에서는 천연자원의 유지 및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 보존이 이제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사항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렇게 환경 보존을 위해 단순히 제품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제품의 사용 후 처리까지를 디자인으로 해결을 해야 한다는 점이 주장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을 생각하는 친환경 디자인은 그린디자인, 에코디자인, 지속가능한 디자인 순으로 발전하였고,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한 분야인 업사이클링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산업을 만들어내게 되었다. 업사이클링은 쓸모없어진 폐품을 수선해 재사용하는 리사이클링의 상위 개념으로 기존에 버려지던 제품을 단순히 재활용한다는 차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디자인이나 활용도를 더해 새로운 가치를 더한 완전히 다른 제품으로 다시 생산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새로운 윤리적 소비 트렌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업사이클링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폐 PVC파이프는 강한 내구성과 내식성, 기능성이 높고 자원순환성을 겸비한 지속가능한 자원으로 사용이 되어 업사이클링의 소재로서 가치가 높다. 그러나 생활 여러 방면에 사용성이 높은 시장인 만큼 버려지고, 방치되는 폐 PVC파이프의 양이 늘어나게 되었다. 실제로 PVC파이프는 공사장이나 시공 현장에서 폐재로 배출이 되거나 폐기물로 방치 및 불법 매립되어 주변의 미관을 망치는 등 부정적 문제를 일으켜 사회적 문제로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PVC 파이프가 가지고 있는 뛰어난 내구성과 형태적 특성들을 이용하여 다른 제품으로 응용할 수 있어 업사이클링 소재로서의 가치가 높지만, 국내에선 아직 이를 활용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업사이클링을 통한 새로운 가치를 가진 제품으로서 재탄생시킨다면 환경문제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점점 업사이클링 제품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업사이클링 제품은 아직 패션 소품에 주로 편향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래서 더 다양한 제품군으로 개발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디자인의 한 분야인 업사이클링과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는 폐 PVC파이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폐 PVC파이프를 중심으로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홈퍼니처 제품개발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업사이클링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업사이클링 브랜드의 사례 및 디자인 전문가의 설문조사를 통한 업사이클링 구성요소 도출을 통해 업사이클링 구성요소의 중요도와 가치 그리고 업사이클링 제품 소재 선정 및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품 소재 선정에서는 업사이클링 산업에서 자원 순환성과 지속가능한 자원으로 사용이 되어 생활 여러 방면에 사용성이 높으나 그만큼 많은 양이 버려지고 방치가 되는 폐 PVC파이프로 폐 PVC파이프의 현황을 알 수 있는 기사 등을 통해 문제의 심각성과 업사이클링 제품의 소재로써 활용이 가능하다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폐 PVC파이프와 연결부속품들의 특성을 조사하여 종류별 특징을 정리하고, 업사이클링 제품에 활용할 수 있는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업사이클링의 구성요소를 통한 디자인 기준설정을 정한 뒤 그 기준을 토대로 업사이클링 제품을 제작함으로써 버려지고 방치되는 폐 PVC파이프를 이용하여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홈퍼니처 제품디자인 제안을 통해 현대 사회의 업사이클링 문화 확대 및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새로운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협력교수를 적용한 체육수업이 중학생들의 수업 분위기 및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이민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이 연구는 협력교수를 적용한 체육수업과 심리적 요소의 인과 관계를 알아보고, 협력교수를 통한 체육수업이 중학교 학생들의 수업 분위기 및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분위기와 학업에서의 전반적인 무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 기회 확대 및 적극적인 태도 함양과 더불어 학업 무기력을 해소시키기 위한 연구 및 실천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는 2022년 I 광역시에 위치한 G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을 대상으로 회차당 112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회(5주), 2회(11주), 3회(17주) 총 3회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성별, 체육수업 선호도로 구성하여 2문항, 체육수업 분위기를 수행 분위기 지각, 숙달 분위기 지각, 케어링 분위기 지각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총 19문항, 학업 무기력을 통제신념 결여, 학습동기 결여, 긍정정서 결여, 능동수행 결여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총 12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분석은 Window SPSS 26.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수업에서의 협력교수 적용과 그 기간에 따른 수업 분위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수행 분위기 지각에 대한 수업 기간의 주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17주차, 11주차, 5주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케어링 분위기 지각에 대한 수업 기간의 주 효과, 협력교수 적용 유무와 수업 기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수업 17주차에서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여 협력교수를 적용한 체육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케어링 분위기 지각이 더 높게 나타났다. 즉, 체육수업에서 협력교수의 학기제 실행이 케어링 분위기 지각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체육수업에서의 협력교수 적용과 그 기간에 따른 학업 무기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제신념 결여에 대한 협력교수 적용 유무와 수업 기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수업 17주차에서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여 협력교수를 적용한 체육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통제신념 결여가 더 낮게 나타났다. 학습동기 결여에 대해 수업 기간별로 협력교수 적용 유무에 따른 값을 확인한 결과, 수업 17주차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협력교수를 적용한 체육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학습동기 결여가 더 낮게 나타났다. 능동수행 결여에 대해 수업 기간의 주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수업 17주차에서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여 협력교수를 적용한 체육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능동수행 결여가 더 낮게 나타났다. 즉, 체육수업에서 협력교수의 학기제 실행이 통제신념 결여, 학습동기 결여, 능동수행 결여를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체육수업 분위기와 학업 무기력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케어링 분위기 지각은 수행 분위기 지각과 부적 상관, 숙달 분위기 지각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학업 무기력은 모든 하위요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행 분위기 지각은 학업 무기력의 모든 하위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숙달 분위기 지각, 케어링 분위기 지각은 학업 무기력의 모든 하위 요인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체육수업 분위기가 학업 무기력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행 분위기 지각은 학업 무기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며, 숙달 분위기 지각, 케어링 분위기 지각은 학업 무기력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수행 분위기 지각이 통제신념 결여와 긍정정서 결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며, 숙달 분위기 지각이 학습동기 결여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행 분위기 지각이 높아질수록 학업 무기력이 높아지며 숙달 분위기 지각, 케어링 분위기 지각이 높아질수록 학업 무기력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체육수업에서의 협력교수 적용은 중학생의 체육수업 분위기와 전반적인 학업 무기력에 영향을 주며, 체육수업 분위기는 학업 무기력에 영향을 준다. 이는 체육수업에서 협력교수를 적용하고 그 기간이 길어질수록 케어링 분위기 지각은 높아지고 통제신념 결여, 학습동기 결여, 능동수행 결여는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숙달 분위기 지각, 케어링 분위기 지각을 높이고 수행 분위기 지각을 낮추는 것이 학생들의 학업 무기력 완화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체육수업에서의 긍정적인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협력교수를 적용한 학기제 차원의 다양한 체육수업 운영 모델을 제시·적용한다면 학생들의 체육수업 참여 기회 확대 및 적극적인 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전반적인 학업 무기력을 해소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건조방법에 따른 차가버섯분말의 물리적특성 및 흡습특성 모델링에 관한 연구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차가버섯을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시킨 버섯분말의 조직구조, 물리적 특성, 건조속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버섯분말을 온도 및 수분활성도별로 저장하면서 흡습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건조방법별 시간, 수분활성도 및 온도에 따라 모델식에 적용시켜 적합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분말버섯의 조직은 건조방법별로 모두 다공성구조를 나타내며 열풍건조가 동결건조, 진공건조에 비해 조직의 손상정도가 컸다. 건조방법별로 저장상대습도와 온도별로 갈변과 색도의 변화가 나타났는데, 갈변의 경우 열풍건조한 시료가 가장 갈변의 정도가 심했으며 색도의 경우도 갈변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총페놀, 팽윤력, 총당의 경우 열풍건조한 분말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복원력, 용해도의 경우 동결건조한 분말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차가버섯분말의 건조특성은 열풍건조한 분말이 진공건조한 시료보다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빨리 나타났으며, 건조방법 모두 온도가 높을수록 건감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건조모델과의 적합성은 진공건조의 경우 Page 모델이 가장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풍건조의 경우 Logarithmic 모델이 가장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_(eff)값의 경우 진공건조한 버섯이 열풍건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어 높은 투과성을 보였으며, 진공건조의 활성화 에너지 값은 27.13 kJ/mol, 열풍건조의 활성화 에너지 값은 33.83 kJ/mol로 나타나 진공건조하는 것이 조금 더 안정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입자크기에 따른 흡습특성을 살펴보면 250 ㎛이하의 가장 작은 입자들이 더 높은 흡습량일 나타내었으며 Chung-Pfost, Oswin, Caurie 모델식이 높은 결정계수값을 나타내었다. 온도에 따른 흡습특성을 살펴보면 동결건조한 시료가 가장 높은 흡습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진공건조, 열풍건조 순으로 나타났다. 흡습모델과의 적합성은 동결건조와 열 풍건조의 경우 Oswin 모델이, 진공건조에서는 Caurie 모델이 가장 적용도가 높은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각 시료별로 안전수분함량을 추정하기 위해서 BET식과 GAB식을 이용하여 단분자층 수분함량을 구하였는데 동결건조한 것이 가장 높은 단분자층 수분함량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GAB식을 이용하여 구한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0.0458∼0.1209 H₂O/g solid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저장온도 50℃를 제외한 모든 조건에서 0.90이상으로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In this study, Chaga mushrooms were dried freeze, vacuum and hot air drying methods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were compared. Drying kinetics of Chaga mushroom were examined in drying method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sorption were investigated at various humidities and temperatures. The browning degrees severely changed with increase relative humidities and temperatures. Among these drying methods, the hot air drying gave the greatest changes in browning degree. The color changes were also similar to browning degree. Total phenol content, swelling and total sugar values hot dir dried higher than freeze dried and vacuum dried. Rehydration rate and solubility values freeze dried higher than vacuum dried and hot air dried. Moisture transfer from the test samples was described by applying the Fick's diffusion model and the effective diffusivity was calculated.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effectivity was described by the Arrhenius-type relationship. The mathematical models compared according to the three statistical parameters such s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²), reduced chi-square(x²) and root means square error(RMSE) between the observed and predicted moisture ratios. In conclusion, the experimental drying data of drying methods Chaga mushroom were used to fit Page model, on vacuum drying and Logarithmic model, on hot air drying. The effectivity diffusivity values vacuum dried higher than hot air dried. An Arrhenius relation with an activation energy value of vacuum dried, 27.13 kJ/mol, hot air dried, 33.83 kJ/mol expressed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diffusivity. The various prediction models were applied to predict the absorption amount of Chaga mushroom powder at the various conditions. Oswin equations were the best fit for the Chaga mushroom powder, at freeze dried and hot air dried, Caurie equation were the best fit for the Chaga mushroom powder, at vacuum dried. The monolayer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Chaga mushroom determined by BET and GAB plot were 0.0458∼0.1209 H₂O/g solid respectively. And the absorption enthalpies were also investiga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and various moisture contents. It showed that the sample dried by freeze drying method had the highest value of enthalpy.
교수·학습 과정을 고려한 공업계고 실습실 계획 방법론 연구
공업계 고등학교는 사회에 필요한 청년 산업인력을 양성하는 주된 중등 직업교육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관심도가 낮으며 교육계나 건축계를 합해보아도 관련 연구 내용이 제한적이며 그 수도 적다. 특히 공업계고 실습실은 일반적인 학교 시설과 기능 및 형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교 시설 설계 기준 중 실습실에 관한 내용은 모호하고 미흡하며, 수업 내용이나 실습실 사용자를 고려한 체계적인 설계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NCS 직업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어렵고, 학교별 실습실 여건 차이가 크다. 대부분의 공업계고가 노후화됨에 따라 학교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며 그린 스마트 스쿨, 학교 복합화 시설 등 사회적으로도 실습실의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실습실 사용 목적과 사용자를 고려한 실습실 계획 방법을 체계화하여 학교 설계자들에게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실제적인 자료란, 실습수업의 교수·학습 과정 및 내용 중 설계자가 필요로 하는 실습실 계획 항목에 관한 내용이다. 그런데 교수·학습 과정의 내용은 교육적 정보이므로 일반적인 건축가가 이를 어떻게 건축적으로 활용할 것인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까지 안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고 실습수업의 내용과 사용자 행태 내용으로 대변되는 교수·학습 과정을 고려한 실습실을 계획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공업계고 실습수업의 질을 제고하여 학생들이 핵심 실무능력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배양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공업계고 실습수업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자료 조사, 실태조사, 교사 인터뷰(그룹 및 개별)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계고 이론수업과는 확연히 다른 내용을 학습 목표, 수행내용,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 목표와 수행내용은 정적인 행동과 동적인 행동이 모두 나타났으며, 학과별 교과별 필요 기자재와 수행 방법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교사는 시범을 보이고 학생은 관찰하며 모방하는 교수·학습 방법의 비중이 컸다. 실습실 사용자의 행태를 조사하기 위해 4개 학교의 건축 목공실습수업에 참여하여 관찰조사를 수행하였고, 교사 인터뷰와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심도있는 분석을 하였다. 그에 따라, 수업 중 교사는 학생을 개별지도 하며, 이를 위해 쉬지 않고 실습실을 이동하고 학생들을 관찰하며 작업의 시범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은 개별 작업을 하다가 교사의 시범이나 동료의 작업을 관찰하며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1시간 이후 집중도가 떨어질 때 실습실을 돌아다니는 동선이 많이 발생하였다. 실습수업 내용과 사용자 행동 특징 분석을 통해 실습실 간 배치, 실습실 내 기자재 및 가구 구성 및 배치 등 실습실 계획 시 고려해야 할 항목들을 설정하였고, 실습실 계획 요소를 중심으로 실습수업 내용 요소와 사용자 행동 요소의 관계성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관계성에 기초하여 목공실습실에 관한 지침 및 배치도를 예시적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적인 수업 내용과 사용자의 행태에 관한 현실적인 학교 현장 정보를 정량적 · 정성적 연구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접근하기 어려운 공업계고 실습수업의 실제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데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 또한 이를 실습실 계획에 적용함으로써 공간의 목적과 사용자 행태와의 의미론적 관계를 건축적으로 도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교수·학습 과정을 고려한 실습실 조성을 통해, 핵심 실무능력을 갖춘 우수한 고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는 점과 산업사회에 바로 투입될 수 있는 유능한 청년 산업인력을 배출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장기적인 목표이자 의의이다. 아울러 연구의 사각지대에 있던 공업계 고등학교 실습수업 및 교육환경에 관해 교육학적, 건축학적 관심도가 높아지길 바라며, 추후, 실습실 계획방법론을 평가 모델로 변형·확장하는 등 본 연구를 바탕으로 관련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과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industrial high schools are the ma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that cultivate young industrial manpower necessary for society, they have low social interest, and the related research is limited and the number is small. In particular, despite the differences in functions and forms from general school facilities, the contents of the laboratory are ambiguous and insufficient, and the NCS vocational curriculum is difficult to apply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design methods considering class content or laboratory users. As most industrial high schools are aging, school improvement is needed, and the utilization of labs, such as green smart schools and school complex facilities, is increasing socially, so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rovide practical data to school designers. The actual data is about the laboratory planning items required by the designer amo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nd contents of the practice class. However, since the cont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s educational information, it is difficult for general architects to know how to use it architecturally, so they should not just provide information, but also guide how to use this inform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ology that can plan a laboratory conside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represented by the contents of the industrial high school practice class and the contents of the user behavior.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efficiently and safely cultivate core practical skills by improving the quality of practical classes at industrial high schools.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practical classes in industrial high schools, data surveys, fact-finding surveys, and teacher interviews (groups and individual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ontents clear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high school theory class, focusing on the learning goal, performanc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practice class and user behavior characteristics, items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he practice room, such as arrangement of equipment and furniture in the practice roo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of the practice class and user behavior was summarized. In addition, based on their relationship, guidelines and arrangement plans for woodworking practice rooms were proposed as examples. This study differs from the study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information on industrial high school practical classe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by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t is also meaningful that by applying this to the lab plan,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of the space and the user behavior was derived architecturally. Furthermore, the long-term goal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by creating a laboratory conside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cultivate excellent high school graduates with core practical skills and create an environment to produce competent young industrial manpower that can be directly put into industrial society. In addition, we hope that educational and architectural interest in high school class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in the industry, which have been blind spots of research, will increase, and this study will continue to develop and improve related fields by transforming and expanding the laboratory planning methodology into an evalua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