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형용사의 유형별 분포 양상 연구

        이민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aims to categorize the semantic types of adjectives in the Korean language, reveal grammatical properties according to each type, and describe and analyz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by each semantic type according to property similarities. This study categorized adjective types according to meaning with the single meanings (sense) of Korean adjectives as subjects. Semantic types were set,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ies of Dixon, which established universal semantic types of adjectives, and categorizations were made into the 12 types of ‘Dimension, Age, Value, Color, Physical property, Human propensity, Speed, Difficulty, Similarity, Qualification, Quantification, and Position’ according to semantic properties. The five grammatical properties of ‘shape information, syntactic function, modification, argument, and comparative construction possibilities’ were selected, examined, and aspects of grammat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mantic typ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ome grammatical properties display particular tendencies according to semantic type. This appears especially clearly in syntactic functions and argument properties. First, the syntactic functions of adjectives generally have a high ratio of modifying nouns and differences are shown in preferred functions among descriptions, noun modification, and verb mod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semantic types.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certain amount of relevance among adjective meanings and the semantic properties of the arguments of adjectives. Dimension, Color, and Physical property types mostly co-occur with ‘physical object arguments’, adjectives of Speed and Difficulty types show high ratios of ‘state arguments’, and adjectives that are Position types mostly appear along with ‘place arguments’. Next, it verified adjective distribution patterns using a cluster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semantic properties and grammatical properties of adjectives. Cluster analysis categorizes adjectives according to similarities of properties that individual adjectives have and position them upon dimensions so such relations can be schematized and looked into. Based on the distribution data of adjectives made this way, the distribution aspects of each semantic type and distribution aspects among semantic types were verified and adjective typ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property similarities. As adjective property similarities grow, they gather close together upon dimensions and the more properties differ, the farther apart they are distributed. The cohesion of semantic types can be verified through such facts. Types in which most members are placed close together due to similar adjective properties are Color, Position, Dimension, and Similarity. Of the remaining eight types, there are closely placed adjectives and widely distributed adjectives, displaying diverse forms of distribution within types. On one hand, if adjective types are newly categorized according to property similarities, a total of 11 types are made. Analysis was conducted on semantic type ratios and grammatical properties within these 11 types to verify how semantic types appear similar and in what property aspects. With word forms, Dimension, Color, and Physical property types are similar and with word types, Value, Difficulty, and Qualification types and Dimension and Color types display mutually similar values. With syntactic function properties, Color, Position, and Dimension types prefer noun modifying functions and Human propensity and Speed types can be tied together as types that prefer verb modifying functions. According to semantic properties of argument 1, categorizations can be made into Dimension, Color, and Physical property types in which physical object arguments have specific gravity, Age, Similarity, and Quantification types in which abstract subject arguments have specific gravity, and Human propensity and Speed types in which state arguments have specific gravity according to the semantic properties of arguments. Lastly, categorizations of adjective types are made according to property similarities and after observations were made of type properties and the various aspects of members, comparisons were made with existing adjective types to verify what differences there are in categorization and discussions were concluded. 본고는 한국어 형용사의 의미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문법적 속성을 밝히고, 속성의 유사성에 따른 의미 유형의 분포 양상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형용사의 단일한 어의를 대상으로 하여 의미에 따라 형용사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의미 유형은 형용사의 보편적 의미 유형을 정립한 Dixon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설정하였으며, 의미 속성에 따라 ‘크기, 시간 관련 속성, 가치, 색, 물리적 속성, 인간 성향, 속도, 난이, 유사성, 자질, 수량, 위치’ 등의 12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문법적 속성으로는 ‘형태 정보, 통사적 기능, 수식, 표면 논항, 비교 구문 가능성’의 다섯 속성을 검토한 후, 의미 유형별로 문법적 속성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미 유형에 따라 몇몇 문법적 속성에서 특정한 경향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통사적 기능과 표면 논항 속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먼저 형용사의 통사적 기능은 전체적으로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의 비율이 가장 높으나, 의미 유형에 따라 서술, 명사 수식, 동사 수식 기능 중 선호하는 기능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형용사의 의미와 형용사가 취하는 논항의 의미 속성 간에 어느 정도 일정한 연관성이 있음을 밝혔다. 크기, 색, 물리적 속성 유형은 구체물 논항과 공기하는 비율이 높으며, 속도, 난이 유형의 형용사는 사태 논항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위치 유형에 속한 형용사들은 대부분 장소 논항과 함께 나타난다. 다음으로 형용사의 의미와 문법적 속성을 바탕으로 하여 군집 분석 방법으로 형용사의 분포 양상을 확인하였다. 군집 분석은 개별 형용사들이 지니고 있는 속성의 유사성에 따라 형용사들을 분류하여 차원 상에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형용사들 간 관계를 도식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형용사들의 분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각 의미 유형의 분포 양상과 의미 유형 간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속성의 유사성에 따라 만들어진 형용사 유형을 분류하였다. 형용사의 속성이 유사할수록 차원 상에서 서로 가까운 곳으로 모이게 되고, 속성이 다를수록 멀리 떨어져 분포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의미 유형들의 응집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형용사들의 속성이 유사하여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밀집해 있는 유형에는 색, 위치, 크기, 유사성의 네 유형이 해당된다. 나머지 여덟 유형은 밀집해 있는 형용사들도 있고 따로 떨어져 분포하는 형용사들도 있는 등 유형 내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한편 속성의 유사성에 따라 형용사들의 유형을 새롭게 분류하면 총 11개의 유형이 만들어진다. 11개 유형 내 의미 유형의 비율과 문법적 속성을 분석하여 의미 유형들이 어떠한 속성 면에서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단어형에 있어서는 크기, 색, 물리적 속성 유형이 서로 유사하고, 어종에 있어서는 가치, 난이, 자질 유형과 크기, 색 유형이 서로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 통사적 기능 속성의 경우에는 색, 물리적 속성, 위치 유형은 명사 수식 기능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속도, 인간 성향 유형은 동사 수식 기능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각각 묶을 수 있다. 1논항의 의미 속성에 따라서는 구체물 논항의 비중이 큰 크기, 색, 물리적 속성 유형, 추상적 대상 논항의 비중이 큰 시간 관련 속성, 유사성, 수량 유형, 그리고 사태 논항의 비중이 큰 인간 성향, 속도 유형으로 각각 분류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속성의 유사성에 따라 만들어진 각 유형의 특징적인 속성과 구성원의 면면을 살펴본 후, 기존의 형용사 유형과 비교하여 분류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전체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 초등 1학년 학생을 위한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민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1학년은 한글을 처음 배우는 시기로 모든 학습의 출발점이고 기초적인 학습 훈련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다. 그 중 한글교육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학습으로 도구교과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 시기 한글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체 학습에 영향을 미쳐 학습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글교육이 강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공교육에 대한 불신으로 입학 전 한글 사교육이 만연하고 현장에서는 여전히 학생들의 수준차와 지도 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한글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1학년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살펴 최근 현장에 대두되고 있는 놀이교육과 접목한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 1학년 한글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원리와 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지도가 학생들의 한글 해득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는가? 이를 위해 학생들의 한글 해득 능력을 향상 시키고 한명의 소외된 학생 없이 다 같이 즐겁게 한글을 배우고 익히기 위한 목적으로 기초 문식성 관련 및 한글 해득 교재구성 연구와 놀이 중심 언어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언어와 놀이 발달 단계를 문헌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한글 교육에 놀이를 접목한 놀이 중심 한글교육의 필요성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다진다. 또 이를 토대로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한글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참고하였다.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1학년 국어 교과서의 한글교육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개정된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양상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글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1학년 교사 24명을 대상으로 교과서 속 한글교육 및 놀이를 통한 한글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교과서와 현장에서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영역과 내용을 알아보고 2015 개정 교과서에 접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놀이 활동을 정리하여 20차시의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해득 능력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는 지 알아보기 위해 J초등학교 1학년 1개 학급(21명)에 약 4주간 적용해보고 학생들의 해득 수준을 ‘웰리미 한글 진단 검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로 얻게 된 프로그램의 장점과 보완할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장점으로는 첫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한글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느끼고 수업 참여도와 집중도가 높아졌다. 둘째, 놀이 중심 한글 교육 프로그램은 수준 조절과 시간 조절이 쉽게 가능하다. 셋째, 놀이를 통해 친구들과 상호작용하고 더 친밀해질 수 있다. 넷째, 즐거운 쓰기 활동을 할 수 있다. 보완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활동을 하는 동안 분위기가 산만해지는 면이 있다. 둘째, 너무 많은 놀이 활동보다 한두 가지의 활동을 여러 번 응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 연구를 통해 얻게 된 현장에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은 한글 해득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를 접목하여 즐겁게 반복 학습함으로써 이룰 수 있었던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가 다 같이 한 교실에서 즐겁게 공부할 수 있다. 소외되는 학생 없이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를 아우를 수 있어 한글 해득으로 인한 수준차로 학생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한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왔다. 한글을 이미 배운 학생도, 배우지 못해 어려워하는 학생도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즐거운 한글 학습 경험으로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주요어 :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 한글 해득, 놀이 중심 언어교육, 놀이 중심 한글 교수․학습 모형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s the first time to learn Hangul, and it is a very important time because it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learning and basic training. Hangul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learning, and it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lead to poor learning because it affects the whole learning if the Hangul education is not done well in this period. Despite the strengthening of Hangul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parents are still distrustful of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tutoring is carried out before admission. Teachers still struggle with Hangul education because of the level of students and lack of time for guidance. Therefore, with this problem consciousness, this researcher devised and applied a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play education, which is emerging in the recent educational world with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first grade students.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e of first grade Hangul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Second, what is the development principle and method of play 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Third, does the guidance through the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Hangul literac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tudents' ability to learn Hangul and to enjoy study together without a single alienated student, this researcher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basic literacy and Hangul education learning materials and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In addition,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language and play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 1st grade students is reviewed. Through thi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need of play - centered Hangul education combining the play with the Hangul education would be laid down. In order to develop a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of Hangul education to it as follows and refer. First, revised contents of Hangul education contents of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1st grade Korean textbook were analyzed and the educational aspect was analyzed. Second, To see the actual situation of Hangul education in school,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Hangul education through Hangul education in textbooks and play for 24 first grade teachers. Based on these contents, I examined textbooks and areas and contents that I think are lacking in school. The play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the revised textbooks of 2015 were made up and the play 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of 20 time was developed. For find out whether the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has a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ability to learn, and applied it to one class (21 students) of J elementary school for about 4 weeks. The students' level of literacy ability was assessed through 'Welleemi Hangul standard assesment'. As a result, we can summarize the advantage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is program. First, through the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students are interested in Hangul and have fun, and the participation and concentration of the class has increased. Second, the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can easily adjust the level and time. Third, through play, students can interact with your friends and become more intimate. Fourth, students can enjoy writing activities. The points to be supplemented are as follows. First, the atmosphere is distracting during play activities. Second, it is better to organize the program by applying one or two activities more than to applying many activit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literacy ability. It can be seen as a result that can be achieved by enjoying repeated learning by combining play. Second, the play - 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allows learners of various levels to study happily together in a classroom. Because this program can cover various levels of learners without being alienated students, It can be helpful for teachers who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students because of the level difference due to the Hangul education. Third, play - 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helped learner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Hangul. Both of students who have already learned Hangul and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with Hangul can participate in the class with interest and enjoyment through play-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Key words :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Hangul learning, play-centered language education, play-centered Hangu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 마한·백제지역 출토 철정의 변천과 지역성

        이민아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정은 양 단부가 넓게 퍼진 얇은 판상의 철기로 출토 수량이 많은 영남지역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최근 발굴조사의 증가로 철정의 변화 과정 시점이 영남지역보다 이르다는 연구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다수 확인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마한·백제 지역 출토 철정을 대상으로 변천 양상과 지역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영남지역 철정과의 비교를 통해 변화 시점을 검토하고 기능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철정의 속성 중 신부와 양 단부의 형태를 중심으로 유형분류를 시도한 후 전장과 최소 폭을 통해 크기를 설정하여 철정의 형식은 총 5개의 형식이 확인되었으며, 크기는 6개로 구분할 수 있었다. 형식 분류를 시도한 후 토기를 중심으로 한 공반 유물의 분기를 설정하여 철정이 크기 5시기에 걸쳐 시기적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1기는 마한·백제 지역에서 철정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로 Ⅰ형식인 봉상철부형 철정이 미호천 유역에서 한정되어 분포한다. 청주 오송과 송절동 유적에서 Ⅰ형식 철정이 2세기 초·중엽으로 편년되는 유물과 공반 되어 영남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이르다고 볼 수 있다. 2기는 서산 지역을 중심으로 Ⅱ형식 철정이 출토되며, 크기는 대부분 대형-2로 3세기 초·중반에 출토되면서 Ⅱ형식 철정부터는 영남지역보다 확실히 빨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피장자의 두향에 단벽과 평행하게 부장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는 하나의 유적만이 아닌 서산지역 분구묘 축조 집단에서 보이는 공통적인 부장 양상으로 이 시기 철정의 기능이 위신재나 집단의 매장 의례로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3기는 마한·백제 전역에서 철정이 확산되는 시기이며, Ⅲ형식과 Ⅳ형식이 출현한다. Ⅲ형식은 전역에서 확인되며, Ⅳ형식은 호남지역에 한정되어 분포한다. 이 시기는 미호천과 남한강을 중심으로 제련기술을 통해 철을 생산하여 정련작업을 통해 철정을 제작하고, 이를 소재로 철기까지 제작하는 제공정이 있었던 시기로 이러한 기반으로 인해 철정이 급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4-1기는 철정이 이전보다 줄어들며, 크기도 소형화 되어가지만, 유역권 별로 크기가 커지는 것도 확인되어, 유역권별로 상이한 전개가 이루어졌 아직 남한강 유역 충주를 중심으로 Ⅴ형식 철정이 등장하며, 同지역을 중심으로 백제의 제철 유적이 확인되며, 이전 시기 철정과는 형태면에서 차이를 보여 백제의 철정으로 보기도 한다. 4-2기가 되면 철정이 소멸하는 시기로 Ⅲ형식만이 확인되며, 양 단부가 정형성을 잃었으며, 대부분 소형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백제의 마한 영역화로 볼 수 있으며 철정 공반 유물에서 금동관, 식리, 이식 등 백제의 중앙 사여품이 확인되어 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철정의 시기별 분포양상은 백제의 영역화 과정도 관련이 있으며, 그 중심에는 백제의 철 및 철기 생산의 방법이 이전 마한과 달랐던 것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처럼 마한·백제 지역 철정은 철정의 전신인 판상철부는 1점 확인되지만, 철정은 영남지역보다 먼저 확인되며, 이후 변화에 있어서도 빠르다고 볼 수 있다. 2세기 중반 처음 등장한 이후 5세기 중·후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변화와 분포 양상을 보여줬으며, 주된 원인은 백제의 마한 영역화로 인한 철 및 철기 제작 운영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Iron plates are a type of ironwar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with two ends that flare out widely. Research into these items has been focused on the Yeongnam region in the southeast, where large quantities have been excavated. With the recent increase in excavation surveys, however, a wealth of data has proved that in the Yeongnam region, the process of change in iron plates predates the time period during which changes occurr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anges in form and regional differences among iron plates, focusing on those excavated from the southwest region of Mahan/Baekje. Doing so will allow a review of the time period over which these changes occurred, as well as an examination of the plates from a functional perspective by comparing them to the iron plates from Yeongnam. We initially attempted to classify the iron plates’form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ir body shapes and the shape of each end. Next, we set size categories based on total length and minimum width, ultimately coming up with a total of five form and six size classifications for the plates. After attempting classification by form, we were able to show changes in the form of the iron plates as taking place over five distinct periods. We did so by defining the periods based on contemporaneous relics, particularly earthenware. The first period is the time during which iron plates first appeared in the Mahan/Baekje region. In this period, Form I rod-shaped plates were found only in the Mihocheon basin. In the Cheongju Osong and Songjeoldong basin sites, Form I iron plates are associated with relics from the early-to-mid 2nd centuryand predate their appearance in the Yeongnam region. From the second period, Form II iron plates have been excavated in areas centering around the Seosan region. These plates are mostly of the Large type-2 size. We can clearly see that these Form II iron plates predate Yeongnam artifacts, as they seem to be from the early-to-mid 3rd century CE. of being buried with the deceased’s head fac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all. This phenomenon does not appear only at a single site, but is a form of burial common to multiple groups who built mounded tombs in Seosan. The iron plates functioned in this period as prestige goods, or for use in the groups’ burial rituals. The third period is the time when iron plates spread in the Mahan/Baekje region, and forms III and IV appear. Form III can be found throughout the entire region, while Form IV is limited to the southwest. This period was a time when iron was produced through smelting, an activity centered around the Mihocheon and Namhangang rivers. Iron plates were produced through refining, and the production process for ironware using these as materials arose. Because of these developments, it seems that the number of iron plates rapidly increased. In period 4-1, iron plates grew smaller compared to previous eras. While the size of plates generally decreased during this time, we can see size increases in some basins, indicating that the development of basins may have taken a different course. In this period, V-type iron plates still appear centered in Chungju, along the Namhangang river basin. Baekje smelting sites can be found centered in the same region. The differences in form between these iron plates and ones from previous periods indicate that this style of iron plate is unique to Baekje. During the 4-2 period, iron plates start to disappear. From this era, only Form III plates can be found. By this time, both ends of the plate had lost their characteristic shape, and those that have been excavated are mostly small. These changes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of Mahan by Baekje, based on such as gilt-bronze crowns, ornamental shoes, and earrings being found as relics alongside iron plates. As such, the distribution of iron plate forms in this period is related to the territorialization process of Baekje. The fact that the iron and ironware production techniques of Baekje differ from the methods previously used in Mahan is central to this idea. In this way, although only one piece of the precursor to iron plates has been found in the Mahan/Baekje region, iron plates themselves are shown to predate their appearance in the Yeongnam region. Additionally, later changes to plate forms in Yeongnam have also been noted as occurring first in other regions. From their first appearance in the mid-2nd century CE, until the mid-to-late 5th century CE, iron plates showed various changes in form and patterns of distribution. The main reason for this seems to be changes in iron, ironware production and operations due to Baekje’s territorialization of Mahan.

      • 고등학교 사격선수의 심리기술훈련이 긍정심리자본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이민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사격선수를 대상으로 심리기술훈련이 긍정심리자본 및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 제 11회 경호실장기 전국사격대회에 참가한 선수 중 고등학교 사격선수를 대상으로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456명을 목적표집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고등학교 사격선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심리기술훈련, 긍정심리자본, 경기력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사격선수의 심리기술훈련과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사격선수의 심리기술훈련과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교 사격선수의 긍정심리자본과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고등학교 사격선수의 심리기술훈련이 긍정심리자본 및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작류에 따른 과거시제 습득 연구

        이민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동작류(lexical aspect)에 따른 시제상 사용을 중심으로 한 그들의 과거시제 습득(past tense acquisition)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과거시제는 다른 시제에 비하여 동작류의 기본적인 의미자질인 지속성(durative)과 종결성(telic)의 속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시제이다. 그러므로 이 과거시제를 대상으로 한 제2언어 습득 연구는 그 동안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다양하게 수행되어 왔다. 반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 이외에 아직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과거시제 습득 연구는 좀 더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기존의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밝힌 시상가설(Aspect Hypothesis, 이하 AH)에 관한 예측은 과거시제 형태소의 습득(past tense morphology acquisition)양상의 경우 달성 동사(achievement verb)를 시작으로 완성 동사(accomplishment verb)와 행위 동사(active verb)를 거쳐 상태 동사에 이르는 습득 순서를 보인다고 하였다(Andersen과 Shirai, 1996). 본고에서는 이 가설을 바탕으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습득 양상이 시상가설(AH)의 예측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학습자의 모어(L1) 변인에 의한 것인지에 초점을 두고 서술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과거시제를 습득할 때 동작류의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본어와 한국어의 동사 가운데 동작류가 일치하는 동사들을 가지고 빈칸 채우기 과제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양상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숙달도를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재분류하여 학습자의 과거시제 사용 양상이 숙달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시상가설과 관련된 한국어 교육과 외국어 교육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그 문제점을 통해 본고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의 과거시제와 시상가설에서의 과거시제 습득을 본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와 일본어의 동작류 동사 형태소 관계를 제시하여 한국어와 일본어를 비교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습득에는 중간 언어 현상이 존재함과 학습자의 모어(L1) 변인에 따른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인 실험 참여자 선정 기준과 연구 절차, 연구에 사용되는 빈칸 채우기 과제의 문항 설계 원리를 밝히고, 수집한 자료의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본고는 우선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동작류의 영향을 받아 과거시제를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사용 양상이 모든 동작류에 걸쳐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사한 과거시제 사용 비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상가설(AH)에서 예측하는 습득 순서는 밝히는 대신 시상가설(AH)이 범언어적이라는 기존의 경향에 대한 반례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도 달성 동사가 과거시제와 가장 결합이 잘됨을 밝혀냄으로써 동사의 의미자질에 따른 과거시제 습득이 잘 이루어짐을 확인하였고, 시상가설이 예측하는 바와 일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서는 상 집단이 하 집단에 비하여 모든 동작류에서 과거시제를 잘 사용함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그동안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시상가설(AH)을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과거시제 형태소 습득에 학습자의 모어(L1)가 변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임으로써 한국어 교육에서의 시상가설(AH)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는 숙달도가 낮을수록 동작류에 영향을 받아 과거시제 사용 비율이 다르게 나타나며, 동작류 중에서 ‘달성 동사+과거시제’의 결합이 잘 이루어진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발견은 한국어 교육 현장으로의 환류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한계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과거시제 습득에서의 숙달도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숙달도 ‘상’인 집단과 ‘하’인 집단으로 집단 구분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가운데 초급 수준의 학습자를 제외한 중·고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실제로 모든 숙달도에 걸쳐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초급을 포함한 모든 숙달도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과거시제 습득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숙달도 변인과 모어(L1) 변인의 영향력이 존재하는가를 보다 면밀히 밝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dopts as a scope the tense-aspect use of lexical aspect. and It chooses as subject Japa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nd aims to look into their patterns of past tense acquisition. Compared to other tenses, past tense show the two basic semantic features of lexical aspect.(i.e. durative and telic) most properly. There have been conducted many foreign language studies of tense express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o far.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f Korean language acquisition except those which target Chinese Korean learners. So, the Korean acquisition study on past tense acquisition need to target Korean learners with more variety of nationalities. According to many previous studies, Aspect Hypothesis predicts the development pattern of past tense morphology acquisition will be done in the order of achievement verb, accomplishment verb, active verb and stative verb (Andersen and Shirai, 1996).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he result of a research of Japanese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past tense is identical to the prediction of Aspect Hypothesis, and that result gave a description of difference between learner’s mother language(L1) variable. This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steps in order to know whether Japanese Korean learners are affected by lexical aspect when learning past tense. First, I chose Japanese and Korean verbs whose lexical aspects are identical to each other. Second, I made an assignment to fill in the blanks with the chosen verbs. Finally, I compared Japanese Korean learners' patterns of past tense acquisition with Korean native speakers' patterns. Further, this study reclassified Japanese Korean learners by the standard of proficiency and then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the learners' patterns of using past tense according to proficiency. Summarized are the main points the this study made in each chapter. In Chapter I illuminat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I presented study ques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discussion of previous Korean and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studies related to Aspect Hypothesis. Chapter II examined deeply looked into past tens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and past tense acquisition according to Aspect Hypothesis. Further, I compared the two languages Korean and Japanese by suggesting the relations between verb morphemes of Korean and Japanese lexical aspect; the comparison identified that there exists an interlanguage phenomenon in the process and that there is an influence on Japanese Korean learners' L1 backgrounds. Chapter III explained the followings: (1) the selection criteria for participants, (2) the process of study, (3) the principle of designing questions for the assignment to fill in the blanks, and (4) the analytical method of collected data. Chapter IV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pattern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past tense use, Japanese Korean learners used past tense under the influence of lexical aspect, contrary to Korean native speakers. In addition, I identified that high-proficiency group use past tense of all lexical aspect properly compared to low-proficiency group. However,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there are similar rates of past tense use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Korean learners. As a result, this research did not make clear the order of Japanese Korean learners' past tense predicted by Aspect Hypothesis; this is a counterexample of the existing argument that Aspect Hypothesis is cross-linguistic. Nevertheless, this study identified that semantic features and past tense of verbs are properly acquired by make it clear that achievement verbs are best combined with past tense. It can be drawn from this that some of the above development pattern is identical to those predicted by Aspect Hypothesi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significances. The one is to verify Aspect Hypothesis which has not been taken up by many Korean acquisition studies by adopting Japanese Korean learners as subjects. and this verification process showed the possible influences of Korean learners' L1 backgrounds on their acquisition of morphemes. So,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it broaden the range of Aspect Hypothesis i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nd the other is the return current to the si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identifying that rates of past tense use vary according to lexical aspect (i.e. achievement verb + past tense) in that learners are more affected by lexical aspect as their proficiency is lower.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is study did not investigate the pattern of past tense use of all proficiency level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This study just involved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So, on further studies must recruit as participants all level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for identifying influence of proficiency variable and mother language variable on the Korean past tense acquisition.

      • 적화계획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피로 수명 평가

        이민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박의 피로 수명 평가는 선박이 일생 동안 받는 동적 하중이 선체 구조에 응력을 발생시킬때 응력 집중부에 누적된 피로 손상으로 인한 파단의 시점을 예측하는 것이다. 선박의 피로 수명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선박이 일생 동안 받는 응력 사이클 분포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S-N 선도 뿐만 아니라 파도에 의한 동적 하중을 얻기 위한 내항성능 해석과 응력 전달 함수를 구하기위한 선체 구조 해석이 요구된다. 또한, 선박의 적재 조건 및 해상 상태와 같은 운항적인 요소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각 선급들마다 피로 수명 평가 절차서가 잘 마련되어 있어 선종별 운항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피로 해석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컨테이너선의 경우 선종의 특성상 화물로 인한 중량 분포가 매 정박지마다 임의로 변하기 때문에, 실제 화물의 적재 조건을 고려하기 어렵다. 화물의 중량 분포는 피로 손상의 주요 요인이 되는 선체 거더 하중과 관련이 있으나 설계 단계에서는 균일 중량 화물을 사용한 Scantling draft 하중 조건에서 보수적인 피로 손상으로 선박의 피로 수명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선박의 화물 중량 분포가 피로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스펙트럴 피로 해석을 이용하여 적화 계획에 따른 다양한 하중 조건에서 Hatch coaming 상단의 피로 수명을 평가하였다. 화물의 중량 분포를 고려한 적화 계획에 따라 컨테이너선의 피로 수명이 관리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만약 선박의 적화계획이 피로 수명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수립된다면 화물의 배치만으로 선박의 구조 건전성을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Fatigue life assessment is the analysis that estimates the time to crack initiation in the stress concentration area by the fatigue damage accumulation as the dynamic load that a ship experiences during its lifetime generates the stress in the hull structure. To estimate the fatigue life of the ship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stress cycle distribution that a ship is expected to experience during its lifetime. So, seakeeping analysis to determine wave-induced dynamic load and structural analysis for stress transfer function as well as S-N curve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hip’s operational factors such as the loading conditions and sea states. Each classification has its procedures for fatigue life assessment, so that reasonable fatigue analysis is being performed considering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ship’s type. However, in the case of a container ship, since the weight distribution by the cargo changes arbitrarily in every port of call,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 actual loading conditions. The weight distribution of cargo is related to the hull girder load which is a major factor in fatigue damage, but It is common to estimate the fatigue life of a container ship under the scantling draft loading condition using the homogeneous cargo weight at the design stage, which is resulting in conservative fatigue damage. In this study, the fatigue life of hatch coamings was calculated using spectral fatigue analysis under the various loading conditions considering a stowage plan to see the impact of the weight distribution on fatigue life in a container ship. It was found that the fatigue life of the container ship can be handled by the weight distribution of the cargo. Therefore, if the stowage plan of container ships is establish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fatigue lif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ships would be increased only by arranging the cargo.

      • 3, 4, 5세 일반아동의 동사 종류에 따른 의문사 질문 이해발달

        이민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이들은 자라나면서 다양한 의문사 질문을 듣고 사용하며 언어 및 인지발달을 이루어간다. 이러한 의문사 질문은 산출과 이해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으며, 의문사 산출 측면에서는 낱말의 습득 및 문장 속에 사용된 형태로, 의문사 질문이해의 측면에서는 의문사 이해 및 출현 순서, 참조물에 따른 이해, 격에 따른 이해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의문사 질문이해의 측면 중 의문사 형태에 따른 이해정도 및 동사의 종류가 의문사 질문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령 및 의문사 형태와 응답의 적절성, 그리고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아동으로 부모와 교사에 의해 정상발달 한다고 보고되었으며,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김영태, 2003)에 의해 등가연령이 자신의 생활연령 범위보다 6개월 이상 지체되지 않은 아동으로 3, 4, 5세 아동을 6개월 단위로 나누어 각 그룹마다 10명씩 총 60명이었다. 검사도구는 Pae(1993)의 연구에서 사용된 MCDI-K를 기초로 자동사와 타동사 각 5개의 동사를 그림자료로 제시한 후 “의문사(+조사)+동사?”의 형식으로 질문하였으며, 검사문항은 연습 2문항과 본검사 40문항, 총 4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료는 반복측정 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과 spearman상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의문사별 질문이해 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반응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3;0-4;5세까지 ‘어디’ > ‘왜’ > ‘어떻게’ > ‘언제’의 순으로 의문사를 이해하다가 4;6세 이후부터는 의문사 ‘언제’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어디’ > ‘왜’ > ‘언제’ > ‘어떻게’의 순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동사 종류에 따라 의문사 이해순서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자동사에서는 ‘어디’ > ‘왜’ > ‘어떻게’ > ‘언제’의 순으로, 타동사에서는 ‘어디’ > ‘왜’ > ‘언제’ > ‘어떻게’의 순으로 정반응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과 의문사 형태, 응답의 적절성, 그리고 응답의 정확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3, 4, 5세 일반아동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의문사 질문 이해가 높아지며, 동사 종류(자동사·타동사)에 따라 의문사 질문이해에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의문사 질문이해 지도 시 일반아동 뿐 아니라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가진 아이들에게도 각 동사 종류를 고려하여 접근한다면 의문사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Growing up, children hear and use diverse Wh-Question words and form linguistic and intellectual develoorrents, Such Wh-Questions have been researched In the calculation and comprehension perspectives-it has been studied as forms for picking up words and used in sentences from the Wh-Question calculation perspective while being centered on the or-der of comprehension and appearance of Wh-Questions, under-standing following references, and apprehension according to ranks in the Wh-Question comprehension perspective, In this research, corrorehension degree according to Wh-Question forms, influence verb types have on the understanding of Wh-Questions; pertinence between Question formations, answers, and age; and accuracy would like to be examined among the perspectives of Wh-Question comprehension. The target of this research were children residing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who were reported to be normally developing by parents and teachers and whose equivalent age is no more delayed than 6 months than their own chronological age ranges by PRES(Preschooler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Scales)-children aged 3, 4, and 5 were divided into 6-month units; the total number was 60(10 per each group), For the test tooL questions were cast with the form of "Wh-quesnonl-postposition) + verb?" after presenting 5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as drawing materials based on the MCDI-K while the test articles were composed of 42 quesncns(2 practice and 40 plenary), Research materials were analyzed through the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as the age increases when understanding the questions by each Wh-Question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score appeared high, It was seen that children up to ages 3;0-4;5 understand Wh-Questions in the or-der of 'where', 'why', 'how', and 'whenv then after ages 4;6- oovelopment is shown in the or-der of 'where', 'why', 'wlen'. and 'how' as comprehension of 'when' increases. Second, the corrorehensive or-der of the Wh-Question was revea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verb types (in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score was high in the order of 'where' > 'why' > 'how' > 'when' for the intransitive verbs and 'where' > 'why' > 'when' > 'how' for the transitive verb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s among the ages, Wh-Question forms, pertinence of response, and accuracy of resoonsetr-c.O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normal children ages 3, 4, and 5 have higher comprehension toward Wh-Questions as their age increased while showing differences on the comprehension of Wh-Questions following verb types (intransitive/transitive verbs). Based on this, it is thought t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Wh-Questions if each verb type was considered and approach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ommunication along with general children when the comprehension guide for Wh-Questions is provided.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공무원 이직의도의 영향요인 예측모형

        이민아 서울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urnover intention has been identified as a serious issue because it can cause negative impact on managing public organizations. In the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of the turnover intention has been dealt with in two ways. First, it has been regarded as an antecedents variable or surrogate variable of the turnover. And it also has been one of the ways to express their negative voice toward the organization. In both perspectives, turnover intention is indispensable issue in government organizational research. By using a decision tree approach, this study aims to clarify important attributes of public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In previous studies, it is revealed that generalizing results of studies is highly complicated due to the differences of data, method, and model.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with prediction model in previous researches. Most papers on turnover intention interpre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lanatory model as a predictive result. However, explanation and prediction of a particular phenomenon might b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build a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scientific philosophy about explanation and prediction. The procedure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is paper 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hich is more than 10,000 observations from 2013 to 2018. Second, CART algorithms, which provides pruning procedure to maximize predictive performance, was used to predict the turnover intention. Third, several cross validation method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predictive model. For minimizing data dependency, which is known as a limitation of data mining, hold-out and k-folds methods were used in this paper. Lastly, this study compared decision tre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to reveal which predictive model has the highest prediction rat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shows how prediction should be different from explanation using scientific philosophy. Second,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since it finds out significant variables for each high and low turnover intention groups. Third, this paper includes two aspects of prediction. One is prediction of new data, which randomly selects data into training, validation and test data sets. The other one is future data, which forecast the data of 2018 by data from 2013 to 2017. This method has academic value since it verified the hypothesis about time series stability which means enough previous data guarantee accurate prediction about future. Fourth, it is academically significant because it attempts to identify the over-fitting problem by various cross validation(hold out and k-folds cross validations) methods. Lastly,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since it compared the results with logistic regression to find out better prediction models.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조직 구성원과 조직 모두에게 불필요한 비용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이직의도의 개념은 크게 두 가지로 측면에서 접근해 볼 수 있다. 첫째, 조직 이탈의 측면이다. 이직의도가 곧 조직 이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나 많은 선행 연구에서 이직의도는 이직(자발적 조직 이탈)의 선행변수 또는 대리변수로 활용되었다. 둘째, 이직의도를 조직운영, 직무 등에 대한 불만으로 바라보는 관점이다. 하지만, 이직의도를 바라보는 양자의 해석적 관점과 상관없이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지속되어 왔다.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에서 이직의도에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어떠한 요인들이 이직의도 높이는지 예측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연구에서 활용된 데이터, 분석방법, 모형에 따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하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 다음으로 예측에 대한 문제가 있다. 공무원 이직의도에 관한 대다수의 논문들이 이직의도를 단순히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예측적 추론 또는 예측과정을 통해 연구 결과를 해석하고 있다. 하지만 어떤 현상을 잘 설명하는 것과 예측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명과 예측에 대한 과학 철학의 논의를 확인한 후 예측모형을 구축해 보고자 한다. 예측모형에 있어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꾸준히 언급되는 변수들을 확인한 다음, 이러한 요인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분화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이직의도를 예측함에 있어서 이직의도를 높이는 요인을 예측할 것인지, 이직의도를 낮추는 요인들을 예측할 것인지, 미래를 예측하는 모형을 만들 것인지, 예측력이 높은 모형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분석 대상은 중앙과 지방에 근무하는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데이터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매년 실시하는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2013~2016년)’ 자료와 ‘공직생활에 대한 실태조사(2017년~2018년)’를 활용한 6년치 데이터를 활용했다. 예측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의사결정나무 모형 중 가지치기를 통해 예측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CART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또한, 예측모형의 구축 및 평가하기 위해 데이터 분할(data splitting)을 통한 교차검증(cross validation)을 진행하였으며, 데이터마이닝의 한계로 지적되는 데이터 의존성(data dependency)를 최소화하기 위해 hold-out 방법과 k-folds 방법을 통해 각각 교차검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축된 예측모형을 평가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함께 비교하여 어떠한 예측모형이 우수한 모형인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설명과 예측에 관한 과학철학의 논의를 고려 한 예측모형을 구축하여 공무원의 이직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변수들을 검토하였다. 둘째,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예측모형을 도출하여 공무원 이직의도를 야기하는 중요한 변수들을 확인하였다. 특히,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여 이직의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각각 중요하게 작용하는 변수들을 도출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셋째, 예측에 대한 두 가지 접근을 시도하였다. 먼저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모형의 예측력을 확인하기 위해 전체 데이터에서 램덤하게 데이터 분할을 진행하였다. 또한, 미래시점에 대한 예측을 위해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데이터를 통해 2018년 데이터 내에서 모형의 예측력을 확인해 보았다. 이를 통해 유사한 과거의 데이터가 충분히 축적되어 있다면 이를 통해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시계열적 안정성에 대한 가정을 테스트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데이터 측면에서 다년도 자료(6년치)를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교차검증을 통해 보다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데이터 분할의 문제를 고려하여 hold-out 교차검증과 k-folds 교차검증을 진행하였다. 각 교차검증 수행하여 최종 도출된 의사결정나무 모형에 대하여 모형의 과적합여부와 예측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비교하여 우수한 모형에 대해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