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권한위임과 지각된 조직지원이 조직동일시와 맥락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동선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직동일시(organizational identification)는 개인이 자신의 자아정체감을 정의하는데 있어 그가 속한 조직의 속성을 범주로 사용하고, 조직과 자신 을 공동운명체라 지각하는 것으로, 만족, 몰입, 수행 등 조직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연구되어 왔다. 평생직장의 개념이 퇴 색되고, 개인주의 성향이 팽배한 오늘날, 조직 구성원이 조직에 대해 동일 시를 형성한다는 것은 조직 구성원의 이직과 같은 부정적 결과를 막고, 조직의 효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 직차원의 개입 및 지원으로 볼 수 있는 권한위임(delegation)과 지각된 조 직지원(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이 조직동일시와 맥락수행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며, 더불어 이러한 조직차원의 개입과 지 원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개인특성 변인의 조절 효과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인 특성 변인 은 조직구성원의 성장욕구강도(growth need strength, GNS)와 냉소주의 (cynicism)이다. 연구를 위해 국내 조직에서 종사하고 있는 22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202명에 대한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 다. 맥락수행에 경우 자기보고와 타인평정의 두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 다. 분석에는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방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 구성원의 조직 동일시는 조직의 권한위 임 풍토와 조직구성원의 지각된 조직지원이 조직구성원의 맥락수행에 미 치는 영향에서의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욕구 강도는 권한위임과 조직동일시의 관계에서, 냉소주의는 지각된 조직지원과 조직 동일시의 관계에서 각각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의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lega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ontextual performance. In addition,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needs strength(GNS) and cynicism(as individual tra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Data was gathered from 221 employee who a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and 202 employee's data was used. The contextual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others. Evaluation by others was 22 collectes from peers or supervisors. As results, delega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addi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s and contextual performance. Result of individual trait's moderating effect test indicated there wa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e growth needs strength(GNS) has morderating effect on th relationship delega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ynicism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inally, implication for result,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with limitation.

      • 청소년 가출의 문제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동선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사회의 가정 해체가 확산되고 빈부격차는 심화되면서 청소년 가출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가출청소년의 경우 불건전한 사회 현상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소지가 크고 집단화, 폭력적 성향이 커지고 있어 청소년 가출문제는 매우 우려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성격 형성 및 학습 능력 양성에 가장 중요한 시기를 보내야할 청소년기의 가출은 본인 및 가정, 사회 전체적으로 심각한 피해와 손실을 가져오고 있고 특히 본인에게는 회복이 매우 어려운 교육적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될 사실은, 이들은 과연 누구에게 속하는 아이들인가? 라고 할 때 결론은 우리의 아이들이라는 것이다. 좋든 싫든 우리가 관심을 갖고 꾸준히 지켜줘야 할 아이들이 이들이고 우리의 미래가 이들에게 달려 있는 것도 사실이다. 가출청소년들 중에는 집에서 나올 수 밖에 없었던 처지의 청소년들도 상당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들은 내 아이와 똑같은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누릴 있는 자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권리를 인정해 주지 않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청소년 가출’에 대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오고 있으나 청소년 가출 현황을 정확히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사회적인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98, 99년 서울 YMCA에서 실시된 설문 조사 결과가 각종 기본 데이터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의 조사결과와 국내외에서 발간된 청소년 가출에 관한 단행본과 정책자료집, 기존의 석·박사 학위논문을 이용하고, 문헌조사 방법으로는 국회도서관, 한국청소년연구원, 경찰청, 한국 청소년 상담원 등, 인터넷 검색 엔진을 통하여 국내의 여타 도서관과 자체적으로 홈페이지 운영하는 청소년쉼터, 청소년상담원, 등의 상담사례와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청소년 가출’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학교에서의 가출 실태는 어떠한가에 대해 새롭게 알아봄으로써 성인들이 바라보는 청소년 문제로의 가출이 아니라,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가출의 이유와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그 해결책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가출충동빈도, 해결방법, 가출할 경우 하고 싶은 일을 알아보았고 청소년 가출실태 및 청소년 가출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청소년이 생각하는 ‘청소년 가출’의 원인을 알아보았으며, 가출의 문제점 및 대책 방안을 모색했으며 경제 위기와 청소년 가출의 연계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가출청소년 예방 및 대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가출의 원인이 되는 사회, 가정에서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최소화시킨다. 둘째, 사회 병리적 현상으로부터 가출 청소년을 보호하면서 가능한 교육적 피해와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셋째, 청소년 스스로 문제를 극복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 가출 방지 및 건전한 생활로의 복귀와 적응 할 수 있도록 문화시설, 쉼터 설치 확대가 요망된다. 넷째, 교육제도 개선으로 열린교육과 협동 학습으로 각기 다른 학습목표를 실시하고, 대안학교의 증설을 요망한다. 다섯째, 청소년 유해 환경요소인 인터넷 싸이트 및 원조교제, 미성 년자를 고용하는 업체의 법적인 제제가 있어야 한다. 여섯째, 청소년에게 건전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공공직업소개소 설치가 필요하다. 일곱째, 청소년 문제에 대한 사회적 시각의 전환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과 관련된 전체적인 제반문제를 다루어 깊이 있고 구체적인 내용에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가출 청소년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가출청소년들의 예방대책, 발생원인, 청소년 쉼터에서의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 가출청소년의 귀가지도 후 사후관리, 학교적응방안, 사회적응방안 등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As the family increasingly disolves an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still more widening, the number of runaway teenagers is on the increase in Korea these days. Furthermore, since the runaway teenagers are more likely to face directly to unwholesome social phenomena, with a ever growing tendency of organized gangs and violence, the problems of runaway teenagers prove to become very serious ones. Runaway of teenagers from the family results in more aggrevated loss and damage to the family, the whole society as well as themselves, who should spend their time cultivating his personality and improving his learning. Runaway adolescents will suffer, particularly, the educational problems which can hardly be recoverable. The fact we must not miss, however, is that we have to admit that they are also our children, when we are asked "Who are they anyway? Whether we like it or not, we have to show them tend-loving care and give them untiring protection since the future of Korea depends on them. We should never forget the fact that some of runaway kids have no other choice but to leave home for some reasons. But they are not allowed to have the same previleges as our sons and daughters can enjoy, though they are entitled to human rights as human beings. The problems of runaway teenagers have incessantly been brought forward in these several years, but a reseach has hardly been done which could have reveal precisely the current status of youth runaway. In spite of rapid social changes, it is true that the research results surveyed by Seoul YMCA in 1998 and 1999 have been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various occasions until now. Consequently this thesis is designed to analyse the reasons and results of youth runaway, a problem seen from the pespectives of runaway kids themselves, not from those of adults, and to provide helpful insight into solving the problem by understanding their perception about 'runaway teenagers' and the situation of dropping out of schools. Published books, periodicals, collections of policy articles, and dissertations were consulted: for the document stud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National Police Agency,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were visited; For the case study and the data analysis, webpages of several libraries and other youth counseling intitutions were browsed.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se research purposes,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frequency of impulsive runaway, the methods of problem-solving, and available jobs after running away, and analysed the current status of youth runaway, and the perception of and the attitude toward to youth runaway. Also examined are the reasons of youth runaway as seen by themselves, several issues rising from running away and measure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crisis and youth runaway. Based on the analyses from the investigations, followings are suggested to provide the means for the preventing and solving the problems of runaway teenagers: 1. Several problems in the family and the society recognized as causes of youth runaway must be minimized. 2. Runaway teenagers must be proteced from the pathological elements of society, and the educational demage and the societal loss should be minimal as soon as possible. 3.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cultural centers and gathering places for youth in order for them to return and adjust to the normal life, and not to attempt another runaway by helping them overcome their problems voluntarily. 4. Customized learning objectives must be suggested in the open education and the collaboration, or teamwork learning with the improvement of eductional institu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many more alternative schools are demanded. 5. Legal steps should be taken against internet webpages harmful to youth, teenagers' one-time sex for money, and shops employing minors. 6. Many public employment agencies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provide respectful jobs to young people. 7. New perspective to the youth problems must be required from the society. Since this thesis examined in general the several problems related with teenagers runaway, it is admitted that elaborations of specific aspects of the problems were limited and not refined. It is expected that investigations on youth runaway should actively be persued, and that many more studies should be done in terms of (1) the causes and prevention measures of teenagers runaway, (2)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programs for the youth gathering places, (3) the management of guidance after returning to the family, (4) plans for educatioal adjustment, and (5) plans for social adjustments

      • 영어 구두점 교육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자를 중심으로

        이동선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only to analyze the general attitudes of the graduate students of English education(teacher trainees) toward the education of punctuation marks but also to check their abilities in punctuation mar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most of the teacher trainees surprisingly do not recognize the name and usages of such punctuation marks as semicolon, colon, dash, hyphen, apostroghe. We can find the causes of these results in the fact that they did not get enough education about punctuation marks either through their regular courses or even through the courses of the teacher trainee program. The fact that teacher trainees do not have enough qualities to teach punctuation marks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y would not teach punctuation marks to students when they become teachers, which in turn leads to the absence of punctuation marks. To improve the education of English punctuation, I suggest that the institutes which educate teacher trainees should organize courses that give them more chances to get knowledge of punctuation marks and that teacher trainees aslo should study more about punctuation marks.

      • 항공사 서비스회복과 서비스실패 귀인 및 관계지향성의 조절효과 연구

        이동선 경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항공운송서비스는 인적, 물적 서비스를 토대로 단계별 또는 서비스 단계와 단계의 연결과정에서 서비스행위가 이루지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서비스실패 사례가 불가분하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마케팅 전략도 중요하지만 훌륭한 서비스회복을 통해 기존고객의 충성도를 확보하여 재구매를 유도하고, 긍정적 구전의도를 통해 새로운 잠재고객을 확보하는 일 또한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선 간과해서는 안 될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에서 발생하고 있는 서비스실패가 서비스회복 공정성을 통해 회복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서비스회복 공정성이 회복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항공사 서비스실패 귀인과 관계지향성의 조절변수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하는지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비스회복공정성, 서비스실패 귀인, 관계지향성, 회복 후 만족, 행동의도의 5개 변수를 구성하여 총 4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각각의 하위가설을 검증하였다. 항공사의 서비스회복 공정성의 경우는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절차공정성의 세 가지로 구성되었고, 서비스실패 귀인의 경우 안정성, 통제성, 심각성, 책임성으로 구성하였으나, 예비조사에서 책임성 요인의 부적합성이 인정되어 삭제 후 3가지 요인으로 재구성하였다. 관계지향성 요인은 신뢰, 유대감, 의사소통, 공감성, 공유가치, 호혜성의 6개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나, 호혜성 은 예비조사를 통해 제거되었고, 요인분석 시 신뢰와 공감성이 동일한 항목으로 묶임으로 공감성으로 명명하여 총 4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은 변수별 구성요인과 측정항목을 토대로 총 56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인천국제공항 출국장 목적지별 각각의 탑승구에서 항공사의 서비스실패를 경험한 고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 여행특성, 그리고 서비스실패 원인의 특성 등에 대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별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측정항목의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자료의 정제작업을 거쳐 측정변수의 신뢰수준을 확보하였다. 요인별, 요인 간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상관분석표를 제시하였고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기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두 변수 사이의 조절변수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moderat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조절회귀식의 경우 조절변수 및 상호작용변수(독립변수⦁조절변수)에 대한 유의확률로서 순수 및 유사조절변수 임을 증명하였다. 또한 회귀분석 시 요인의 평균값을 이용한 총합척도를 모든 요인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는 각 요인의 평균값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분석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항공사의 서비스실패 원인의 경우 항공기 지연/결항/회항, 수하물지연/파손/분실, 오랜 대기행렬, 등의 순으로 집계되었으며 여행목적지로는 유럽, 아시아, 미주 순으로 많았고 여행목적으로는 사업/출장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여행횟수는 최근 1년 동안 2-3회가 가장 많았고, 마일리지회원의 경우 일반회원 등급이 가장 많았다. 인구통계적 특성으로는 40대 대졸의 전문직 남자 승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항공사의 서비스회복 공정성의 경우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그리고 절차공정성 모두가 회복 후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중에서 분배공정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서비스실패 귀인의 대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 안정성의 경우 절차공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통제성의 경우 분배공정성에서 유의하며 심각성의 경우 상호작용공정성과 절차공정성에서 회복 후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관계지향성에 대한 조절효과 검증결과, 유대감의 경우 세 가지 공정성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관계지향성의 대표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공감성이 높을수록 분배공정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상호작용공정성이 회복 후 만족에 유의하고 항공사와의 공유가치가 많을수록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에서 회복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복 후 만족은 행동의도인 구전의도와 재구매 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전의도가 재구매 의도 보다는 설명력이 높게 측정되어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회복과 회복 후 만족의 관계에서 분배공정성의 중요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다. 즉 기본적으로 서비스실패를 경험한 고객의 입장은 이에 상응하는 유형적 보상을 생각함에 따라 항공사는 실패의 유형과 정도에 따른 보상 규정을 토대로 현장 직원의 권한 부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서 서비스실패의 안정성이 높을수록 절차공정성이 회복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항공기 지연 및 결항 시 문제해결을 위한 공정한 절차를 가지고 상황에 맞게 반영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통제성의 경우 항공기 지연 및 결항이 기후 및 공항사정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분배적 공정성에 따라 공정한 보상이 이루어져야함이 강조되어진다. 심각성의 경우 항공기가 상당시간 지연 되었거나, 결항되었을 경우 이에 상응하는 고객 응대서비스와 항공기 이례상황에 따른 처리 절차를 실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항공기 지연 및 결항 시 공감성이 높은 경우 항공사의 보상 대응에 신뢰감을 가지게 될 것이며 항공기 이례상황에 대한 사전 안내와 지속적인 의사소통은 상호적인 공정성 회복에 효과적일 것이다. 항공사가 추구하는 공익의 경영이념, 기업윤리 그리고 비전 등은 이용하는 항공사에 대한 공유가치를 증대하여 서비스회복 시 보상의 공정성과 종업원의 회복노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것이다. 항공사의 서비스실패가 발생할 경우 한 가지의 귀인으로만 판단하기에는 단편적인 해석일 수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안정성, 통제성, 심각성의 복합적인 요인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서비스회복 공정성이 회복 후 만족에 미치는 다양한 조절변수를 계발하여 실무적인 업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고객과 기업 간의 관계지향성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토대로 환대기업과 고객에 대한 효과적인 관계지향성 설문척도가 계발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는 항공사의 서비스회복에 관한 연구로서 기타 서비스업종의 연구결과와는 공정성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업종의 서비스회복 연구가 이어지길 바라며 비교연구의 필요성이 느껴진다.

      • 20대 대학생의 아웃캠퍼스 활동분석과 지원방안 연구

        이동선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웃캠퍼스 활동은 20대 대학생들이 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을 포함한 공교 육 체계에서 충족되지 못한 자기계발 학습수요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조 직된 자구책의 일환으로서 비공식적 차원에서 사회화된 학습활동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최근 들어 20대 대학생들의 아웃캠퍼스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 이 유는 첫째, 2000년대 들어 치열해진 취업경쟁 때문이다. 20대 대학생들은 취 업경쟁에서 살아남아 그들이 원하는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또는 전문직에 진출하기 위해 자기계발에 힘쓰고 있다. 20대 대학생들에게 있어 아웃캠퍼 스 활동은 외국어 시험 준비 및 학점 관리, 각종 공모전 응모와 더불어 자 기계발의 한 방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연합동아리, 기업주최 인턴십, 사 회단체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20대 대학생들은 실천적 체험학습과 더불어 취업에 필요한 실무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런 경력이 취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대학교육의 불가피한 한계 때문이다. 대학은 기초학문 교육 및 연 구를 본연의 임무로 삼고 있는 교육기관이다. 하지만 20대 대학생들이 취업 경쟁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기업현장에서 즉시 응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지 식 및 기술이다. 20대 대학생들에게 있어 아웃캠퍼스 활동은 이 양자 사이 의 간극을 메우는 자기계발 기제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연합동아리, 기업 주최 인턴십, 사회단체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20대 대학생들은 대학에서 배 우지 못하는 실용적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며, 더 나아가 자신이 희망하는 직종에서 근무하는 기업실무자들과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취업정보 와 더불어,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관련 직종에 대한 암묵지를 전수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20대 대학생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아웃캠 퍼스 활동을 어떤 이유에서 사회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것일까? 이와 관련하 여 우리는 한국 사회의 대다수 20대 대학생들이 어떤 처지와 조건에 처해져 있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유년기 또는 청소년기부터 과도한 입시경쟁에 노출되어 있었던 한국의 20대들은 거의 대부분 중등교육 과정에서 자신 의 적성과 재능을 자각하지 못한 상태에서 전공을 선택하고 대학에 진학한 다. 그리고 대학에 진학하자마자 또 다시 치열한 취업경쟁에 노출된다. 그 결과, 한국의 20대 대학생들은 자아실현, 일의 보람 같은 내재적 가치보다는 연봉이나 사회적 명성 같은 외재적 가치에 편향되어 취업을 준비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생애진로계획의 획일화, 타자화는 취업경쟁에 있어 대기업, 공공기관, 전문직 등 특정 직업군으로의 과도한 쏠림현상을 낳고 있다. 특정 직업군으로의 과도한 쏠림 현상은 궁극적으로 20대 대학생들의 자 기계발을 왜곡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상당수의 20대 대학생들이 각자의 적 성과 재능을 자각하고, 이것을 발전시키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기 계발이 아니라 외국어 시험 성적이나 학점, 자격증 등 특정 직업군을 둘러싼 소모 적 경쟁에서 상대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객관적 지표를 획득하는데 몰두하 고 있는 것이다. 소위 ‘스펙 쌓기’라 불리는 이런 경쟁양상은 자기의 발견 없는 자기계발이란 형용모순적 현상을 만연화 시키고 있다. 아웃캠퍼스 활동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유력한 대안으로 검토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자의 판단이다. 한번 전공을 선택하면 바꾸기 힘든 제 도권 교육과 달리, 아웃캠퍼스 활동은 여러 분야에서 실천적 체험학습을 거 의 동시적으로 전개할 수 있으며 어떤 분야를 선택하고 그것이 자기의 적성 과 재능에 부합하지 않을 때, 비교적 쉽게 다른 것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 에서, 제도권 교육에 비해 보다 더 다양하고 유연한 학습기회를 제공한다고 평가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진 아웃캠퍼스 활동은 20대 대학생 들로 하여금 자기의 적성과 재능을 스스로 발견하게 하여 생애진로계획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특정 직업군으로의 과도한 쏠림현상으로 야 기되는 20대 취업난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대학 교육에 가해지는 실용지식 및 기술의 전수에 대한 사회적 압박을 완화하여 기초학문 교육 및 연구라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할 수 있게 하는 부대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아웃캠퍼스 활동이 20대 대학생들로 하여금 자기의 적성과 재능을 발견 하고 이를 계발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은 현재 벌어지고 아웃캠퍼스 활동들을 살펴볼 때, 충분히 입증 가하다는 것이 본 연구자의 판단이다. 오히 려 문제가 되는 것은 아웃캠퍼스 활동에도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대도시에 거주하는 명문대생들이 그렇지 않은 20대 대학생들에 비해 아웃캠퍼스 활동에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편이다. 자기계발의 의지를 가진 모든 대학생들이 아웃캠퍼스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그 활동의 항구성과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사회적 ㆍ 제도적 지원방안의 강구가 본 연구의 궁극적 의도이며 목적 ‘Outcampus activity’ is defined as an unofficial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n Korean society. This activity includes every off-campus programs that help students to develop certain skills and experience working as student brand managers, volunteers, members of student associations and so on.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Outcampus activity’ is consistently growing. To stay competitive in a tough Korean job market, college students must develop extra skills and have various working experiences. ‘Outcampus activity’ is a good opportunity to develop such competitive powers. Enterprised ‘outcampus activity’ even provides students actual working experiences, by making them involved in ongoing projects. This activity is also welcomed because of deficiencies in college education system. General college education systems are based on academic knowledges and researchs. However, companies expect students to have practical knowledges and abilities. Since Outcampus activity is able to help students to develop these practical skills by experiencing actual marketing projects, sales businesses and so on. Also, Students connect to people who can eventually help them to get essential job informations and practical advices. This paper insists that Korean society should provide social support for ‘Outcampus activity’. Many of current Korean students had been exposed to excessive competitions in entrance exams for universities since childhood. They were forced to choose their major in universities without exploring their potential talents and aptitudes. After entering universities, another competitions in job market begin. As a result, Korean students pursue external values like salary, reputation rather than internal values such as self-realization. This is why most of Korean students apply for the particular companies and jobs that have high social prestige and salary. Those companies require good grades, high levels of language skills, and certifications rather than personal talents. ‘Outcampus activitiy’ could be a solution for these social problems. Through the activity, students explore their potentialities and individual competences. Unlike public education systems, ‘Outcampus activity’ offers very flexible and various education processes. Performances are diverse from marketing to sales, and usually have short-term processes. Thus, students can discover their own competences and potential powers by taking part in various programs of ‘Outcampus activity’.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Outcampus activity’ proved that this activty effectively helps them to find their own talents and aptitudes. The problem is that not every student has the equal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is activity. According to which university they are and which city they live in, an imbalance of opportunities occurs. Therefore, Korean society needs to provide social supports for students who are willing to sign up to ‘Outcampus activity’ but not given equal chances.

      • 개척교회 있어서 구역활성화를 통한 교회성장 방안-주사랑교회 사례를 중심으로-

        이동선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원당지구라는 신도시에서 개척한 주사랑교회가 개척이라는 열악한 환경을 구역활성화를 통해 극복하며 성장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원당은 개발된 지 2-3년 된 도시이며 젊은 부부와 노인들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필자가 시무하고 있는 교회는 필자가 건축하여 개척한 교회로 개척멤버 없이 시작했기 때문에 봉사할 일꾼이 없었다. 한명 한명 등록하는 사람을 어떻게 교회 일꾼으로 세워 전도하게 하느냐가 우리교회 과제로 떠올랐다. 교회가 예수님의 선교명령을 비전으로 삼아 열방을 회복하는 데 목적을 둘 때, 교회는 전도하는 체제가 되어야 한다. 또 전도라는 사명을 감당할 수 있도록 성도들로 하여금 영혼에 대한 사랑과 열정을 갖도록 동기부여 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임을 알게 되었다. 이 일을 위해 목사는 구역이라는 소그룹 조직체계를 갖추고 구역지도자를 선발하고 양육해야 한다. 문제는 교회가 개척교회이기 때문에 인적 자원이 없다는데 있다. 특히 교회의 본질과 구역이라는 소그룹의 기원을 어원적인 연구와 함께 구약의 모세 장인 이드로가 제안한 각 부장제도와 신약의 예수님의 12제자 삼는 것과 초대교회 소그룹 공동체를 연구하여 구역의 기원을 찾아보았다. 교회 역사를 통해 구역이라는 소그룹이 교회 성장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구역을 나의 개척목회에 접목하기 위해 변화이론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해빙기에는 소그룹이론을 적용하여 소그룹의 필요성과 유익을 설교를 통해 홍보했으며, 그다음 단계인 변화의 단계에서는 상호영향작용이론을 기초로 해 친밀한 관계 가운데 전도를 위해 기도하는 분위기로 나가게 했다. 그 이후 재결빙기에서는 참여를 확대하는 이론으로 구역원들이 전도에 참여해 전도열매를 맛보게 했다. 특별히 비전 만들기에서는 설교로 동기부여를 했고 책을 읽고 나눔으로 새로운 정보를 얻게 했다. 인카운터 세미나를 통해서는 영혼과 열방회복에 대한 비전과 열정을 가지게 했다. 구역 위원회를 발족하여 구역을 지원하게 되었다. 먼저 구역 위원회를 주보를 통해 홍보한 후 공감기법을 통한 대화훈련을 실시하여 구역이 칭찬과 격려가 있는 모임이 되게 했다. 큐티 세미나와 3.3기도를 통해 영적으로 충만한 가운데 전도로 나아가게 했다. 마지막으로 구역 전도축제를 통해 그동안 3.3기도로 품었던 태신자를 구역으로 초청하여 추수하는 기쁨도 누리게 했다. 이 과정 속에서 구역 위원회 규범도 만들어 그대로 실천하게 되었다. 모든 것이 처음 시도하는 것이라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구역과 평신도 지도자를 중심으로 모든 사역이 이루어 졌다는 것에 만족할 수 있었다. 나중에 실시한 평가를 통해 볼 때 구역 위원회가 구역와 교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보완과 토착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 宅地開發事業 周邊地域의 土地價格 變化에 관한 硏究 : 南陽州 磨石地區를 中心으로

        이동선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Land is the grounds for our life and basic factor to build houses, we have to use and develop it in best way, conserve and manage it effectively. Since 1970's, land problems was broken out with steady economic growth and rapid urbanization. Many people need new houses or land to develop housing site. The shortage of housing site was caused by unbalance of demand and supply. So people have expected land price should rise in future. They would like to purchase land instead of savings, stir up imaginary demand, brought about speculation. In 1980's land price escalated so abruptly, showed their anticipation on high light. Those imaginary demands or speculations has improved, disappeared in recent and land price was stabilized relatively in region since IMF situation. But there are still being in outskirts of building new apartments or developing new town, bring about lots of problems like past. Especially land price in close to new project area have fluctuated up and down so suddenly. It is clear that new project of land development impact land price in outskirts of it. In relation to above-mentioned,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of land price, analyzed the amount of change rate, and check how much the net fluctuation rate of it which had been involved in the process of housing site development from 1991 to 2000 by Korea Land Development Corporation and suggested the ideas for improvement that change. On this study the change of land price was classified by 4 project stages, 4 land categories, 3 zonings, 3 distance groups from project boundary, and calculated the change rate from land price statistics and public-announced price of standard land parcel (next "standard") of MOCT(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and public-announced price of individual land parcel(next "individual), compared two results of change. The results of impact was expressed "net change", "net change rate", was subtracted regional-averaged(city) change rate from total change rate of outskirts land price, was marked with %. It means that land price of outskirts was changed by impact of land development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land price change rate of outskirts was around 5% higher than city's in average during whole project period 1991-2000, it is almost 12 times comparing to city-averaged change rate. Second, generally net change was peaked in the designation stage, the highest rate was 98.77% in standard, it was peaked in planning & compensation stage, the highest rate 66.69%. Third, when the land price was fallen, or when it was rised, the change of outskirts bigger than city average. It means the land price of outskirts have bubble price by imaginary demand or speculation. Fourth, generally better usability category, for example, jeon-dab (paddies and dry fields) was changed highly on the early stage(survey or designation). but it has no good usability category, for example, imya(forest land) was change on later stage(planning & compensation). In Last, the change of individual was later than standard parcel. The reason would be that character of individual land varied quickly by combination or division. Conclusionally, the land price change in outskirts of land development project was impacted in going of inadequate or advanced information on land development. even though it showed different result in part. It will prevent efficiency for new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 making land price so highly at market. Also, it may bring out diverse land problems again which we has experienced by imaginary demand or speculation for it. To improve this problem, it is suggested that each municipal corporation should control the change of land price throughly by system and need establish adequate management authority. And they should have master plan under long-term vision or prepare zoning plan for potential area by urban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