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 of fermentation and roasting on bioactive components, ROS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besity effect of Lycium chinense

        이다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fermentation and roasting process on contents of bioactive components, ROS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besity effect of Lycium chinense. In part Ⅰ,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of bioactive components of Lycium chinense fruits (LCF) during an aerobic fermentation and its preventive effect on heavy metal exposures. Four flavonols including myricetin (M), fisetin (F), quercetin (Q), and kaempferol (K) were simultaneously identified and quantified by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photometry (UPLC-ESI-MS). Contents of myricetin (122.25 to 123.67 μg/g fresh weight) and kaempferol (90.59 to 180.71 μg/g fresh weight) (p < 0.05) were increased during the 30 days of fermentation process, while quercetin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95.25 to 79.95 μg/g fresh weight). Moreover, LCF effectively inhibi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duced by heavy metals including arsenic (As), cadmium (Cd), mercury (Hg), and lead (Pb) in a dose-dependent manner. MFQK mixture also decreased ROS production but it was less effective than LCF. Results from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fermentation could enhance specific flavanols contents from LCF and LCF can be a potential plant resource for preventing heavy metals. In part Ⅱ,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lteration of bioactive components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Lycium chinense leaves (LCL) in vitro. The effect of LCL extract before and after digestion in lipid accumulation was also examined using 3T3-L1 adipocyte cell lines. Analyzed by UPLC-ESI-MS, chlorogenic acid, kaempferol-3-sophoroside-7-glucoside, kaempferol-3-sophoroside, and kaempferol-3-glucoside were discovered as novel bioactive components in non-roasted LCL. Also, digestive enzymes decreased the contents of these bioactive components by about 5.5, 8.7, 11.1, and 9.7 times in non-roasted LCL. Furthermore, roasting process evidently decreased the contents of chlorogenic acid and kaempferol-3-glucoside in LCL, while the content of kaempferol-3-sophoroside was increased. The 30% EtOH extract of roasted LCL effectively inhibited pancreatic lipase activity by 61.75 %, which was approximately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hot water extract. Interestingly, 30% EtOH extract of roasted LCL fraction at the concentration of 200 μg/mL effective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up to 29.55 % in 3T3-L1 cells, indicating that human digestive enzymes converted 30% EtOH extract of roasted LCL into some possible kaempferol metabolites. Our current results indicated that roasting process accompanied with 30% EtOH extraction of LCL inhibited pancreatic lipase activity and lowered lip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after digestion. Therefore, 30% EtOH extract of roasted LCL can be a potential herbal remedy for obesity.

      • gp130 동종이량체화 저해물질 디메틸렌에고놀의 약물대사 및 약동학 연구

        이다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가면역 질환은 정상적인 신체 구성 요소에 대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이 염증, 세포손상 등을 일으켜 자신의 신체 일부를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로 인식하여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체내 면역체계의 일부분인 백혈구, 림프구와 같은 면역세포들이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신호전달 과정에 관여하는데, 이때 오류가 발생하면 면역체계가 무너지게 되고 류마티스 관절염, 루프스, 패혈증 등과 같은 심각한 질병들을 초래한다. 에고놀은 Styrax camporum에서 분리된 약용 식물로 염증성 질환 치료제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1, 2]. 에고놀은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는 DNA손상에 대한 조절뿐만 아니라 관절염 치료에 효과를 보이면서 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선도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한 선도물질로서 에고놀 유도체의 약동학 및 약물대사 평가를 통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구조 최적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에고놀은 염증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에서 염증세포 수와 관련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킴으로써 면역억제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1]. 에고놀은 우수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천연물이지만, in vivo 실험을 진행 시 높은 CL(clearance)와 낮은 생체 이용율을 보였으며 이는 생체 내 빠른 대사가 원인으로 보인다[1, 2]. 체내에서 대사가 빠르게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에고놀 보다 강력하고 선택적으로 gp130 동종이량체화 저해 효과를 보이는 물질을 찾아내기 위해 다양한 치환체를 도입한 유도체들을 합성하였다. 그 중 가장 좋은 활성을 보이는 4-[5-(3-Hydroxypropyl)-7-methoxybenzofuran-2-yl]benzene-1,2-diol(DME)의 약동학 및 약물 대사를 연구하였다. 에고놀의 유도체인 DME는 기존 면역질환 치료제의 한계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IL-6와 IL-11의 발현을 동시에 선택적으로 저해하여 JAK1(Janus kinase 1), JAK2(Janus kinase2) 그리고 TYK2(tyrosine kinase2)를 활성화시키는 gp130의 동종이량체화를 억제시킨다[5, 17, 19]. 이러한 사실은 더 효과적인 자가면역 질환 치료제의 개발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게 한다. DME는 마우스 체내에서 빠르게 대사가 되는데, 이는 체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효소들 및 장이나 간에서의 초회통과효과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간 S9 분획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DME를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NADPH), UDP-glucuronosyltransferase(UGT), 3'-Phosphoadenosine-5'-phosphosulfate(PAPs) 및 Glutathione(GSH)와 같은 대사 효소와 함께 mouse liver S9(MLS9), human liver S9(HLS9)에 넣고 20분 동안 배양 후 예측한 CL class는 마우스와 사람에서 모두 평균 간 혈류량 보다 높았다. DME의 작용기 중 카테콜은 체내에서 활성화되어 반응성 대사체를 형성함으로써 간독성 유발 가능성이 있음으로, 이를 확인하기 위해 mouse liver microsome(MLM), human liver microsome(HLM)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요 대사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대사효소인 NADPH 와 UDPGA를 두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대사체가 경쟁적으로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NADPH, GSH 그리고 UDPGA를 동시에 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DME의 낮은 생체이용율과 높은CL는 glucuronidation(M1)과 GSH conjugation(M2)에 의한 빠른 대사가 주요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보조인자를 따로 가했을 시에는 CYP 효소에 의한 대사가 빠르게 진행되지만, 보조인자를 동시에 가해줄 시에는 대사가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DME가 더 빠르게 체내에서 제거가 된다. In vitro실험을 통해 확인된 DME의 대사체는 동물실험 시료에서도 동일하게 검출이 되었고, 대사체가 DME와 반비례하여 높은 % remaining 값을 갖는 것으로 보아 DME는 주로 M1과 M2에 의해 빠르게 대사되며, M2의 경우 GSH conjugate의 중간체인 올소퀴논이 최종 대사가 되지 않을 경우 반응성대사체를 형성하여 간부전 등과 같은 간독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활성대사체 형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GSH trapping 실험을 진행한 결과 GSH conjugate가 검출이 됨으로써 만약 체내에서 GSH 대사효소 생성이 잘 안되는 환자가 복용 시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간 대사효소에 의한 약물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두 종류의 CYP 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DME는 실험에 사용된 CYP 동형 단백질 중CYP2C9, CYP2C19에서는 IC50값이 10 uM이상으로 약한 억제를 하였지만, CYP1A2에서는 IC50값이 1 uM이하로 크게 억제하였다. CYP1A2, CYP2C9, CYP2C19 동형 단백질을 CYP 시간 의존적 저해실험으로 확인 시, CYP1A2에 대한 % inhibition이 매우 높아CYP1A2를 불활성화 함으로서 약물상호작용 부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IL-6/IL-11의 활성을 동시 저해하여 gp130 동종이량체화의 신호를 저해하는 DME 유도체의 약동학 및 약물대사의 특성을 밝혔다. Autoimmunediseasesaredisordersinwhichabnormalimmuneresponsestonormalbody componentscauseinflammationandcelldamageandrecognizepartsofone'sbodyasinvader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to react immune. Somatic cells, such as white blood cells and lymphocytes,thatarepartofthebody's immunesystem,areinvolvedin thesignalingprocess ofreleasingcytokines,whichcausestheimmunesystemtocollapseandleadtoseriousdiseases suchasrheumatoidarthritis,lupus,andpulmonaryemia. Egonol is a medicinal plant isolated from Styrax camporum and is a substance used in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1, 2]. egonol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leadingmaterialforthedevelopmentof relatedtherapeuticagents,asitnotonlycontrolsDNA damagecausedbymutations,butalsohasaneffectonthetreatmentofarthritis. Inthisstudy,thepharmacokineticsandmetabolismofergonolderivativesasaleadmaterial for the developmentof new therapeutic agents were evaluated, and the direction of structure optimizationforfollow-upstudieswaspresented. Egonol showed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n immunosuppressant by reducing the numberofinflammatory cells andrelatedcytokines in an inflammation-inducedmousemodel [1]. Although egonol is a natural product with good biological activites, it showed high CL(clearance) and low bioavailability in in vivo experiments, which was attributed to its rapid metabolism in vivo [1, 2]. In order to prevent rapid metabolism in the body, derivatives introducedwithvarioussubstituentsweresynthesizedtofindsubstancesthatshowedastronger and more selective gp130 homodimerization inhibitory effect than egonol. Among them, the pharmacokinetics and metabolism of 4-[5-(3-Hydroxypropyl)-7-methoxybenzofuran-2- yl]benzene-1,2-diol(DME),whichshowedthebestactivity,werestudied. DME, a derivative of egonol, inhibits the expression of gp130 homodimerization, which activatesJAK1(Januskinase1),JAK2(Januskinase2)andTYK2(tyrosinekinase2)byselectively inhibitingtheexpressionofIL-6andIL-11atthesametimetominimizethelimitationofexisting therapeutic agents for immune diseases [5, 17, 19]. This seems to be possible to develop a moreeffectivetreatmentforautoimmunediseases.DMEisrapidlymetabolizedinthebody of themouse, whichseems tobeduetovarious enzymespresentinthebodyandthefirst-pass effectin theintestine or liver.To confirm this, an experiment was performed on theLiverS9 fraction. After adding DME to MLS9 and HLS9 together with metabolic enzymes such as NADPH,UDPGA,PAPSandGSHandincubating,theexpectedCLclasswashighinbothmice andhumans.AmongthefunctionalgroupsofDME,catecholbecomesbioactiveinthebodyand formsareactivemetabolite,whichmaycauselivertoxicity.Toconfirmthis,experimentswere conducted inmouse liver microsome(MLM), human liver microsome(HLM). To demonstrate themajormetabolicpathways,themetabolicenzymesNADPHandUDPGAweredividedinto two group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additionally generatedmetabolitescompetitivelyaffectmetabolism,experimentswereconductedbyadding NADPH,GSH,andUDPGAascofactors.Asa resultoftheexperiment,it was confirmedthat the main cause of the low bioavailability and high CL of DME is the rapid metabolism by glucuronidation(M1)andGSHconjugation(M2). In addition, whencofactors areaddedseparately,themetabolismby theCYPenzymeis fast, but when cofactors are added at the same time, metabolism works competitively. The identified metabolites of DME were detected in thesame way inanimaltestplasma samples, andsincethemetaboliteshaveahigh%remainingvalueininverseproportiontoDME,DMEis mainly metabolized rapidly by M1 and M2, and in the case of M2, the GSH conjugate If the intermediateorsoquinoneisnotmetabolized,itmaybecomebioactiveandcausehepatotoxicity, possibly causing serious diseases such as liver failure. As a result of the GSH trapping experiment,theGSHconjugatewasdetected,soitisexpectedthatifapatientwithpoorGSH productioninthebodytakesit,itishighlylikelytocauseserioussideeffects. TwoothertypesofCYPinhibitionexperimentswereconductedtoconfirmthepossibility of sideeffects duetodrug-druginteractions by livermetabolizingenzymes.As aresultofthe experiment,DMEshowedweakinhibitioninCYP2C9andCYP2C19amongtheCYPisoforms usedintheCYPinhibitionexperiment,butsignificantlyinhibitedittolessthan10uM(IC50<10 uM) in the isoforms related to 1A2. When the CYP1A2, CYP2C9, and CYP2C19-related isoforms were confirmed by the CYP time-dependent inhibition experiment, the CYP1A2- related%inhibitionwasveryhigh,soitisexpectedthattheDDIsideeffectcausedbyCYP1A2 ishighlylikelytooccur. Inconclusion,thisstudyrevealedthepharmacologicalpropertiesofDMEderivativesthat inhibit the signaling of gp130 homodimerization by simultaneously inhibiting and inhibiting the activityofIL-6/IL-11.

      • 액정 산란체를 이용한 광 발광 양자점 디스플레이의 외부 양자 효율 향상

        이다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Colloidal quantum dots (QDs) are promising materials for displays owing to their narrow full-width half maximum (FWHM), high quantum yield (QY), and applicability in the solution-based processes (e.g., inkjet printing process). Quantum do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QD-OLEDs) are one of the most advanced displays using photoluminescence of QDs’ color conversion properties. However,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minimizing blue light leakage in the color conversion layers of QD-OLED are great challenges. Previously, to solve this problem, inorganic nanoparticles (e.g., titanium dioxide) have been used to enhanc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However, they cause aggregation and sedimentation, which induce non-uniformity and nozzle clogging. In this thesis, we adopte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s) systems, formed by polymerization-induced phase separation (PIPS) methods. The liquid crystal (LC) droplets in PDLCs can act as scatterers in the color conversion layers. By analyzing blue light scattering properties of LC droplets with the effect of their size on Rayleigh-Gans (RG) approximation, we were able to show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blue light scattering an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We successfully improved E.Q.E. of red QD (RQD) and green QD (GQD) up to 27.6 and 14.9 %, respectively, and reduced blue leakage. We also proved that the LC-polymer composites with titanium dioxide/QD systems can alleviate the aggregation thanks to the effect of replacing inorganic constituents by organic materials. We believe that the results will propose a new way to surpass the existing performance of QD-OLEDs and provide many useful clues for understanding of scattering for enhancement of E.Q.E.

      • 비선형 혼합모형의 계산법에 대한 연구

        이다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선형 모형을 적합할 때 모수에 대한 추정을 하는 다양한 계산방법에 대한 고찰 연구이다. 비선형 회귀분석은 공학과 생물학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실제 자료가 생성되는 물리적, 생물학적인 비선형 모형에 기초하여 자료를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그 중에서도 비선형 혼합모형을 이용한 분석은 약동학 및 약력학에서 중요한 접근법이다. 비선형 혼합모형은 비선형 모형에 임의효과가 포함된 모형으로서 독립이 아닌 자료에 대한 모형이다. 비선형 모형과 임의효과가 동시에 포함되는 모형이기 때문에 모수를 추정하는 계산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추정법과 계산법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비교하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여러 계산법들의 효율을 비교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survey of various computing methods for estimating parameters for fitting nonlinear mixed effects models. Nonlinear regression is a method commonly used in engineering and biology to estimate parameters using data based on physical and biological nonlinear models from which actual data is generated. Especially, analysis using nonlinear mixed model is an important approach in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Nonlinear mixed models are models of non-independent data that include random effects in nonlinear models. As nonlinear models and random effects are included at the same time, it becomes difficult in estimating parameters and predicting random effects. The purpose of paper is to study various estimation methods and computing methods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some computing methods through simulation.

      • 종류가 다른 간장과 간장을 첨가한 쇠고기 무국의 관능적 특성 및 교차문화적 소비자 기호도

        이다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5종류의 간장과 이들 간장을 첨가한 쇠고기 무국의 관능적 특성을 재현성있고 객관성 있게 측정하기 위한 평가방법 및 절차를 수립하여 이들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묘사분석을 이용하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5가지의 간장에 대해 관능적 특성 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묘사분석에서 평가된 5종류의 간장과 소금 및 소금으로만 간을 맞춘 6종류의 쇠고기 무국의 묘사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한국, 중국, 미국 및 프랑스 소비자를 대상으로 간장의 종류에 따른 쇠고기 무국의 기호도, 적합 수준 및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문화적 환경이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CATA을 통하여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시료의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을 알아보았다. 묘사분석과 소비자 기호도 검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SPSS 패키지를 이용하여 ANOVA 분석하였다. 그리고 R statistical system을 이용하여 묘사분석과 소비자 기호도 검사결과에 대한 주성분분석과 CATA 문항에 대한 원문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간장의 묘사분석을 통해 외관, 향, 향미 및 입안감각의 특성에 대해 총 33개의 관능적 특성이 개발되었으며, 묘사분석 수행 결과 모든 관능적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한식메주로 만든 국간장에서는 청국장향, 청국장향미, 쉰향, 곰팡이향, 톡쏘는감각, 발효생선향 및 발효생선향미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발효생선향과 향미는 한식메주로 만든 국간장에서만 나타났다. 양조간장에서는 단향, 발효취, 단맛, 된장향미, 볶은콩향미, 화학약품향미 및 탄곡물향미와 같은 특성들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청국장향미와 콩비린향미 및 떫은감각 특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량메주로 만든 국간장에서는 중간 정도의 콩비린향, 황향, 발효취 특성이 나타났다. 쇠고기 무국의 묘사분석을 통해 외관, 향, 향미 그리고 입안감각 특성을 포함한 총 31개의 관능적 특성이 개발되었으며, 이 중 후추향, 신맛, 후추향미를 제외한 28개의 관능적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양조간장이 함유된 쇠고기 무국은 단맛, 금속성향미, 간장향미, 황향미, 된장향, 간장향, 황향, 짠맛, 쓴맛, 단맛, MSG맛, 볶은콩향, 된장향미, 신향 그리고 신맛과 같은 관능적 특성이 비교적 강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소금만 들어간 쇠고기 무국은 쇠고기향, 쇠고기향미, 파향, 마늘향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한식메주로 만든 국간장이 들어간 쇠고기 무국은 쇠고기지방향, 쇠고기지방향미, 가열한우유향, 가열한우유향미 특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을 알 수 있으며, 개량메주로 만든 국간장이 들어간 쇠고기 무국은 대부분의 관능적 특성에 중간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중국, 미국 및 프랑스 소비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소비자 검사에서 각 나라의 소비자가 선호하는 시료는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 소비자들은 개량메주로 만든 국간장이 첨가된 시료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양조간장이 첨가된 시료를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중국 소비자들은 한국 소비자들에 비해 기호도 항목 평가 결과 간 경향이 뚜렷하게 보이지는 않았지만, 그 중 개량 메주로 만든 국간장이 첨가된 시료(SSMM­D)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두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국간장이 들어간 시료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 소비자들은 양조간장이 첨가된 시료를 가장 높게 평가 하였으며 소금과 한식메주로 만든 국간장, 소금만 첨가된 시료를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한국인의 기호도 부분에서 가장 낮게 평가된 양조간장이 첨가된 시료를 미국 소비자들은 가장 선호하는 차이점을 보였다. 프랑스 소비자들의 기호도 결과에서는 양조간장과 개량메주로 만든 국간장이 들어간 시료들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그 중 양조간장이 첨가된 시료(SMM­S)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이들은 한국인과 마찬가지로 개량메주로 만든 국간장이 들어간 시료를 선호하였으며, 한국 소비자가 양조간장이 들어간 시료를 가장 낮게 평가한 반면 프랑스 소비자는 한식메주로 만든 국간장과 소금만으로 간을 한 시료를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그리고 미국 소비자와 프랑스 소비자들은 공통적으로 소금과 한식메주로 만든 국간장, 소금만 첨가된 시료를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JAR scale을 이용한 색 정도와 짠맛 강도 적합도 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각 나라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온 시료의 색과 짠맛 강도가 적합하다고 평가되었다.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은 개량메주로 만든 국간장이 첨가된 시료의 색과 짠맛 강도가 적합하다고 평가하였다. 반면 미국 소비자는 양조간장이 들어간 시료의 색이 적합하다고 하였으며 짠맛 강도 평가에서는 모든 시료가 적합수준 보다 낮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프랑스 소비자는 개량메주로 만든 국간장과 양조간장이 들어간 시료의 짠맛 강도가 적합하다고 평가하였다. 쇠고기 무국에 대한 태도 분석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온 시료가 친숙도, 추천의향 및 재 섭취의사에서 높게 평가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태도 관련 항목에서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은 개량 국간장이 들어간 시료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미국과 프랑스 소비자들은 양조간장이 들어간 시료를 가장 높게 평가하는 차이점을 보였다. 그리고 소비자 기호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끼친 특성은 국가 마다 달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국과 중국 소비자와 다르게 미국과 프랑스 소비자들은 시료에 대한 부정적 및 긍정적인 특성으로 시료의 색상을 선택하였으며 이는 시료의 외관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간장과 쇠고기 무국의 객관적인 평가절차 확립과 짠맛에 대한 표준척도 개발하였으며, 관능적 특성을 도출하고 강도 평가에 대해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국가 간 소비자 기호도를 형성하는 요인은 문화적 환경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y sauce, one of the basic ingredients in Asia, is made from fermented soy beans, salt, water and barley or wheat flour. There are many soy sauces that vary in odor and flavor. Its sensory characteristics are determined by not only main ingredients but also various flavor compounds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To globalize soy sau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acceptability of food products is affected by different culture, especially when familiarity with the products differs. This study was conducted (1) to identify sensory attributes of 5 different soy sauces, (2) to identify sensory attributes of 6 Korean beef radish soup samples containing the different soy sauces and/or salt, and (3) to compare consumer acceptability in 4 different countries. For perform descriptive analysis of soy sauces, 5 different commercial soy sauces (one soy sauce made with traditional Meju, two soy sauces made with modified Meju, two soup soy sauces made with modified Meju) were prepared. In panel training, 33 sensory attributes (1 appearance, 16 odors, 14 flavors and 2 mouth feels) developed by 8 trained panelists. Also reference scale for salty taste was established to improve panel reproducibility.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among the samples. In descriptive analysis of beef radish soup, samples were prepared with only salt and mixtures of salt and the 5 different commercial soy sauces used soy sauce descriptive analysis. A total of 31 sensory attributes (1 appearance, 13 odors, 16 flavors and 1 mouth feel) were developed by 8 trained panelis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among the samples for the 28 attributes except pepper odor, sour taste, and pepper flavor. In consumer tests, 323 consumers with four different nationalities (Korea, China, US and France) participated in. They rated their acceptabilities, just-about-right intensities, familiarity, recommend to friends, and try again for beef radish samples. And the reasons of liking or disliking for each sample were asked to consumers using CATA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liked sample with strong beef flavor, mild soy sauce flavor, and mild fermented soy paste called Doenjang flavor. American consumers rated sample which is strong burnt grain, sulfur, soy sauce flavor, and weak beef higher in liking than the others. While French consumers preferred radish beef soups with ‘soy sauces made with modified Meju’ and ‘soup soy sauces made with modified Meju’,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samples. Sample with strong beef odor and weak sulfur flavor was least preferred by Chinese, American, and French consumers. American and French consumers also did not like sample which is strong boiled milk odor and flavor, and weak Doenjang odor. The most preferred sample in each country was considered as appropriate color and saltiness. Also the consumers from 4 countries expressed different reasons of liking and disliking for each sample in CATA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marked cultural differences in acceptability of the soup samples containing different soy sauces. And it will provide food industry with useful information for evaluating soy sauces and globalize in food market.

      • 파사드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소통을 통한 조명연출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다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contemporary trend of postindustrial society, people seek for mental and sensuous consumption beyond visible values. Also, cultural and consumer activities have increased along with nighttime activities of people in society. This trend caused the extension of brand display and thus the independent spatiality of facade display. Also, facade display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nighttime lighting as a vague interfa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and the lighting effects design thanks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serves as an important visual element that constitutes the nighttime facade display. Lighting effects design (hereafter called LED) appears as a role of constructing the overall spatial atmosphere, which serves more than the past role of lighting as a visual element of space: stimulating the essential bodily senses by causing multisensory and uncertain communication with diversification of media. Thus, LED constructs messages by making relations with other visual elements so that it needs relational discussion with visual subjects as a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spa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visually communicative lighting effects design (hereafter, VCLED) for facade display” intends to identify the expressive relations between facade display and lighting and to check the applicability of nonverbal LED which is recognized on the basis of visually communicative bodily senses. First, this study researches the development background of facade display and theoretically investigates the general and expressive relations of LED, thus applying them for the scale of case analysis. Second, it derives the types of bodily visual communication and constructs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VCLED. Third, on this basis, it conducts twelve case studies to look into the expression tendency of VCLED based on the expression types of facade display constituents. Finally, it applies the expression tendency of VCLED and suggests facade display design.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LED applied for the tendency of facade display can make new perception of spatiality through bodily visual communication, and this tendency can be suggested as a variety of visual cultures in social, spatial, and commercial areas. 2. LED can be expressed as a relationship with other constituents in space. If independently used regardless of other elements, it would serve as general lighting and could not include a message. That is, LED can determine the whole atmosphere of space but the relational balance could be important. 3. The multisensory expression of LE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media includes a message through the perceptional attitude of a body, the visual-sensory subject. Also, although the perceptional analysis of case studies could be subjective, it shows a prediction of overall consistent perception due to the designs with intentioned concepts. 4. In result, the VCLED for facade display shows prominence in the mediatic and structural tendency of LED by bodily experience, temporality, and spatiality, as well as frequent expressions of immateriality, phenomenal color, visual texture, and compositional pattern over all. Fostering VCLED can serve as a commercial element by approaching consumers sensuously in commercial space. This kind of study can suggest that forming phenomenal space rather than structural stable space enables approach to consumers with more active and emotional bond of sympathy. Also, the core of this study, lighting, is incomplete and limited as a visual element that might involve subjectivity. Thus, this researcher intend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simultaneous progress with dichotomic-scientific and visual-sensory approaches. This study based on visually communicative system will be the moment of nonverbal research of LED, and expectedly, be more valuable if complemented with questionnaire survey and objective data through further research. 현대 산업사회의 흐름에 따르면 사람들은 보이는 것 이상의 정신적, 감각적 소비를 추구한다. 또한, 사회인들의 야간활동 증가에 따른 문화와 소비활동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브랜드 디스플레이의 확대에 따른 파사드 디스플레이의 독립된 공간성을 야기하였다. 더불어 파사드 디스플레이는 내부와 외부의 애매성의 경계적 공간으로서 야간의 조명과 땔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가져온 조명연출디자인은 야간 파사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중요한 시각요소로 작용한다. 조명연출디자인은 과거와 다른 공간의 시각적 요소로서 비추는 빛 이상의 역할의 공간 전체의 분위기를 구성하는 역할로 나타난다. 즉 미디어의 다원화로 다 감각적이고 불확정적인 소통을 야기함으로서 신체의 본질적 감각을 자극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명연출디자인은 다른 시각적 요소들과의 관계로 메시지를 구성하며, 인간과 공간의 비언어적 소통으로서 시각적 주체와의 관계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파사드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소통을 통한 조명연출디자인”에 관한 연구로, 파사드 디스플레이와 조명의 표현적 관계를 상정하고자 하였으며 시각적 소통의 신체감각을 바탕으로 인지되는 비언어적 조명연출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파사드 디스플레이의 발달 배경과 조명연출디자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일반적 관계와 표현적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사례분석 척도로 적용하였다. 둘째, 신체중심의 시각적 소통의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시각적 소통으로서 작용하는 조명연출디자인의 특성과 관계성을 구축하였다. 셋째, 위를 바탕으로 사례분석 12곳을 진행하여 파사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의 표현 유형을 바탕으로 시각적 소통을 통한 조명연출디자인의 표현 경향을 알아보았다. 넷째, 시각적 소통을 통한 조명연출디자인의 표현경향을 적용하여 파사드 디스플레이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파사드 디스플레이 경향에 적용된 조명연출디자인은 신체의 시각적 소통을 통하여 새로운 공간성을 지각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사회적, 공간적, 상업적 영역의 다양한 시각 문화로서 제시될 수 있다. 2. 조명연출디자인은 공간의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관계성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만약 다른 요소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된다면 그것은 일반적인 조명으로 작용하며 메시지를 포함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즉 공간의 전체적 분위기를 좌우하지만, 관계적 균형이 중요함을 시사할 수 있다. 3. 미디어의 발달배경으로 나타난 조명연출디자인의 다 감각적 표현은 시감각의 주체인 신체의 지각적 자세를 통하여 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사례분석의 지각 분석은 주관적일 수 있으나, 의도적 컨셉에 의한 디자인으로서 보편적으로 일관된 지각을 예측할 수 있었다. 4. 결과적으로 파사드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소통을 통한 조명연출디자인은 신체의 경험성, 시간성, 공간성에 따른 조명연출디자인의 매체적, 구조적 경향이 도드라지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비물질, 현상색, 시각적 질감, 구성적 패턴의 표현이 자주 나타났다. 시각적 소통을 통한 조명연출디자인의 활성화는 상업 공간에서 소비자에게 감각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상업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구조적인 정태적인 공간보다 현상적 공간형성으로서 소비자에게 보다 적극적이고 감성적인 공감대 형성으로 다가갈 수 있음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핵심인 조명은 가시적인 요소로서 불완전한 존재로서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는 한계성을 가진다. 따라서 연구자는 보다 객관적인 연구를 위하여 이분법적인 과학적 접근과 시각 감각적 접근을 동시에 진행할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시각적 소통의 체계를 바탕으로 진행한 본 연구는 조명연출디자인의 비언어 연구의 계기가 될 것이며, 후속연구로 설문조사와 객관적인 데이터를 보완한다면 더욱더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임을 기대한다.

      • 계획적 행동 이론 및 휴리스틱 이론을 이용한 중고제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당근마켓을 중심으로

        이다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고 상품·제품에 대한 가치와 소비자의 인식은 시대를 거듭해오면서 사회·문화적 발전과 함께 변화되었다. 과거 중고 이용자의 거래 동기는 비용 대비 높은 효용성 추구였다면, 오늘날 중고 이용자의 거래 동기는 더욱 복잡하고 세분화되었다. 또한, 과거와 달리 거래되는 제품의 종류가 다양하고, 중고 이용자의 가치가 달라짐에 따라 중고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는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중고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고 중고제품 구매의도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 이용자들이 서로 다른 구매 행동과 구매 의사결정 과정을 가질 수 있음을 가정하고 합리적 판단에 기반한 계획적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과 비합리적 판단에 기반한 휴리스틱 이론(Heuristic Theory)을 활용하여 중고거래 이용자의 중고제품 구매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개인의 소득수준이 계획적 행동이론의 요인과 휴리스틱 이론의 요인이 중고거래 이용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조절변수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고거래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수집된 자료에 대한 주요 통계분석으로, 주요 변수 간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적 행동이론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중고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고거래에 대한 개인의 태도가 호의적일수록 중고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주변인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고, 주변인의 중고거래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면 중고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난다. 또한, 중고거래 플랫폼을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중고거래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이 개인의 의지에 달려있다면 중고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둘째, 휴리스틱 이론의 변수인 가용성 휴리스틱, 감정 휴리스틱은 중고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고거래에 대한 개인의 대표성 휴리스틱 요인은 중고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최근에 중고거래에 대한 이용 경험이 있고, 그 기억이 긍정적이라면 중고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난다. 또한, 중고거래를 이용할 때 즐겁고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이용자는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난다. 반면, 중고거래 플랫폼을 이용하는 현황을 많이 접했고, 중고거래 플랫폼이 유명하기 때문에 중고거래를 이용하는 이용자와 그렇지 않은 이용자의 구매의도에는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셋째, 소득수준에 따라 계획적 행동이론의 태도 요인, 주관적 규범 요인, 지각된 행동통제 요인이 중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고거래에 대한 개인의 지각된 행동통제 요인이 중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은 지각된 행동통제가 중고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다. 넷째, 소득수준에 따라 휴리스틱 이론의 가용성 휴리스틱 요인, 대표성 휴리스틱 요인, 감정 휴리스틱 요인이 중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고거래에 대한 개인의 대표성 휴리스틱 요인이 중고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은 대표성 휴리스틱이 중고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약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과 휴리스틱 이론을 통해 중고거래 이용자의 구매의도를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중고 제품 이용자는 계획적 결정으로 중고 거래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비계획적 결정을 통해 중고거래를 이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고 시장에서 중고거래 이용자들의 구매 의도를 이해함으로써 중고거래 시장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듣기 텍스트 실제성 분석 : 중국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이다연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cticality of beginner level texts in Korean listening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for Chinese learners at beginner level, and suggest ways to enhance its practicalit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Before analyzing the practicality of beginner level texts in Korean listening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listening texts and set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the texts' functions, topics and types. In addition,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listening text's practicality, and reviewed to organize the elements of listening text's practicality through the existing discussions. Based on this, the criteria for the practicality analysis of listening texts was established for this study. The elements of the practicality analyzed in this study are ‘conversational element’, ‘linguistic element’, and ‘environmental element’. First, ‘conversational element’ is the practicality of discourse construction and it is divided into ‘conversation contents’ and ‘conversation participants’. The former comes under ‘the subject, function, and type of the text’, and the latter comes under ‘the relationship and information of the speaker and the hearer’, ‘the number of conversation participants’. Second, ‘linguistic element’ is a colloquial feature of Korean language and it is divided into ‘phonological element’, ‘syntactic element’, and ‘discourse element’. ‘Phonological element’ comes under ‘abbreviation & elimination of phonemes’, ‘addition of phonemes’ and ‘syntactic element’ comes under ‘omission of sentence components’, ‘omission of postpositions’. And ‘discourse element’ comes under ‘interruption’, ‘overlap’, ‘backchannel’, ‘repetition’, ‘fillers’, and ‘ellipsis’. Third, ‘environmental element’ is the practicality appearing in that listening text is an auditory material, and it comes under various sound effects such as effect sounds or background sounds. etc. With these selected elements of the practicality, this study analyzed listening texts in five beginner level Korean listening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s the results, this study found those aspects of that the listening texts were somewhat out of touch with the practicality, such as not equally reflected various topics, functions, and types in the listening texts, very infrequently presented various Korean colloquial features such as ‘abbreviation of phonemes’, ‘backchannel’, and ‘interruption', and almost not covered various background sounds and effect sounds, etc. Thus, this study suggested some ways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beginner level Korean listening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including the necessities to present a wide variety of topics evenly in the listening texts, reflect Korean colloquial features frequently appearing in practical communication situations actively in the listening texts, and insert effect sounds and background sounds suitably into the listening texts which can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of the listening situations and contex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practicality of the texts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overseas, not the domestic ones, and that it presented some ways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the listening texts for Chinese learners at beginner level. However,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s in that it was not able to analyze the entire Korean listening textbooks in China and that it did not cover the specific ways for the improvement of its practicality.

      • 소설 「병신과 머저리」에 나타난 심리적 외상의 양상과 외상후 과정에 대한 문학상담학적 고찰

        이다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삶 속에서 심리적 상처는 필연적이라는 말은 어른들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니다. 가정, 학교, 사회라는 공간 속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아이들은 어쩌면 더 심각한 심리적 외상을 겪으며 더 힘든 나날들을 보내고 있을지 모른다. 어른들의 속박과 극심한 학업 스트레스를 감당해야 하는 한국 사회의 아동․청소년들은 더더욱 이러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심리적 외상은 개인에게 심각한 정신적 충격이 되는 사건을 경험한 이후 부정적인 정신적 문제를 유발하는 심리적 상처를 의미한다. 포괄적인 관점의 심리적 외상은 죽음, 심각한 상해와 같은 사건으로 인한 심리적 상처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일어나는 의례적인 사건으로 인한 개인의 심리적 문제도 포함한다. 상담은 일상생활에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건설적인 사고체계를 가지고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이끄는 것에 목적을 둠으로, 이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관점의 심리적 외상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부정적인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는 외상 경험을 한 아이들의 외상 상담에서 가장 힘든 점은 이 아이들이 자기를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이 아이들은 이미 심리적 문제를 안고 있었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자신을 방어하는 능력이 탁월하거나 자신의 마음을 제대로 표현하는 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아이들에 대한 상담에 어려움을 느끼면서 이 연구의 연구자는 문학의 효능을 활용하고자 하는 문학상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문학상담은 자기의 내면을 드러내기 어려워하는 내담자나 왜곡된 자기방어를 하는 내담자를 상담하기 위해 잘 활용될 수 있다. 문학 작품이 매개가 되는 문학상담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을 노출시켜야 하는 부담감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롭게 자신의 모습을 만날 수 있으며, 깊이 감추어둔 상처와 수치심 등을 탐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학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학 작품에는 심리적 외상을 다루는 작품이 많이 있다. 특히 소설은 문학 작품 중에서 삶의 다양한 이야기를 구체적이고 긴밀하게 다루고 있는 장르로, 심리적 외상으로 인해 부정적인 심리적 문제를 안고 있는 내담자를 상담할 때 많이 활용될 수 있다. 그 중 이 연구의 연구자는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를 통해 심리적 외상에 대한 문학상담학적 의미를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이 소설에 나타난 심리적 외상에 대한 다양한 양상과 외상 후 변화 과정은 문학상담에서 의미 있는 가치를 지닌다. 또한 이 소설의 독특한 액자소설 형식은 문학을 수용하고 표현하는 문학상담에서 중요한 본보기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소설「병신과 머저리」속 인물들이 경험한 심리적 외상과 외상 후 변화 과정을 통해 심리적 외상으로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과 일상생활에서 알 수 없는 원인으로 부정적인 심리적 스트레스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문학상담학적 토대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소설「병신과 머저리」속 인물들이 경험하는 외상과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나아가 이러한 이야기를 외상 후 스트레스 과정과 외상 후 성장 과정, ‘소설 읽기’를 통한 동생의 문학상담학적 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 소설의 형은 어린 시절 노루 사냥에서 겪은 충격적인 일회적 외상과 6.25전쟁 중 경험하게 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부정적 사건들로 인한 복합외상으로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인물이다. 또한 동생은 전쟁의 후유증과 자유과 억압된 군사독재의 암울한 시대적 상황에서 일상에서 겪는 의례적인 사건들로 원인 모를 무기력함과 자아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는 인물이다. 이러한 두 인물은 ‘소설 속 소설’이라는 장치를 통해 문학상담의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심각한 외상을 경험한 형은 ‘소설 쓰기’를 통해 자신의 부정적인 심리적 문제를 의도적으로 반추하고 자신의 진정한 내러티브를 완성함으로써 일상의 복귀라는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의례적인 사건들로 인해 부정적인 스트레스를 안고 살아가는 동생은 형의 ‘소설 읽기’를 통해 그동안 알지 못했던 자신의 심리적 문제를 ‘알아차리’고, 이 아픔을 이겨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된다. 즉 동생은 ‘소설 읽기’라는 문학 수용 과정을 통해 자신의 심리적 문제를 통찰하는 문학상담학적 경험을 하게 된다. 이 연구는 소설「병신과 머저리」를 통해 심리적 외상의 양상과 외상 후 변화 과정에 대해 분석하고, 문학의 수용과 표현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문학상담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소설「병신과 머저리」에 내재된 문학상담학적 가치에 바탕을 두어 연구함으로써 문학상담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문학을 활용한 문학상담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학이라는 분야가 가지는 다양성만큼 문학상담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빈집 발생 요인과 예측에 관한 연구 : 전주시를 사례로

        이다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빈집은 지역의 발전과 쇠퇴과정과 사회여건의 변화들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과 같이 관리되지 않고 방치된 빈집은 범죄위험성 증가, 근린주거환경 악화와 지역 경쟁력 감소와 같은 문제들을 야기함과 동시에 도시공간의 물리적 쇠퇴를 동반하여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빈집 발생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영향력이 있는 변수들을 구성하였고, 주택 여과(Housing filtering)이론과 인근지역 사이클 패턴(Neighborhood life cycle theory)을 이용하여 도시기반시설변수의 필요성을 밝혀 새로이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집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들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밝힌 후, 새롭게 사용된 도시기반시설변수들의 다른 독립변수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성된 독립변수들을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하여 전주시 빈집 예측을 하였다. 예측한 결과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결과에서 예측력과 F-1 score 값 모두 더 좋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지역으로는 덕진구의 조촌동, 우아1동과 완산구의 중앙동, 풍남동, 효자동에서 빈집 발생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고 실제 통계에서도 해당 지역의 빈집 분포고 많은 것을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앞으로 향후 빈집이 발생 할 수 있는 곳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빈집일 발생할 지역을 미리 예측하여 빈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권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