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속 가능한 활동을 모색하는 전문 리코더 연주자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 : 한국예술종합학교 리코더 전공 재학생 및 졸업생을 중심으로

        윤혜빈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중적인 악기로 자리 잡고 있지만, 그에 반해 전문 연주 악기로서 연주 활동과 창작 활동이 활성화되는 데에 여러 한계를 보이는 리코더 분야의 전문 연주자들은 어떤 원동력을 통해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시작하게 되었다. 연구자 역시 한국예술종합학교 리코더 학과의 전공자이자 졸업자로서 전문 연주자로서의 커리어를 지속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을 겪어왔다. 그 과정 속에서 리코더 연주자가 지속적인 활동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성장과정에 어떤 태도와 역량을 갖추고 개발해야 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현재 리코더 연주 활동을 하고 있는 10명의 전문 연주자들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그들이 전문 연주자로 성장하고 활동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어떤 역량과 태도, 그리고 도전 과제가 존재했는지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는 이들이 함양하고 있는 전문연주자로서의 소명의식이라는 태도와 기업가정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수 분야의 전문가로서 부여된 대표성과 책임 의식을 근간으로 확인된 ‘소명의식’은 리코더를 대중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전문가로서 주체적인 ‘매개자’이자 ‘실행가’가 되어야 한다는 모습을 통해 발현되는 태도였다. 이와 병행하여 드러나는 예술기업가정신의 역량은 분야의 발전을 위해 전문연주 뿐 아니라 교육, 미디어 활동, 장르 간 협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회를 모색하려는 그들의 모습을 통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리코더 전문 연주 분야를 규명하고, 발전과 지속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시도된 연구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그러나 연구를 통해 발견된 종사자 개인의 특성을 리코더 전문 분야의 창작 환경이나 사회적인 맥락까지는 연결 짓지 못했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계기로 리코더 전문 연주자들의 역량 및 태도 함양을 위한 지원체계가 개발되고, 이를 위한 교육과 지원 환경 마련을 위한 후속 연구나 시도가 이뤄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examine the driving forces of professional players in the recorder field, which are established as a popular musical instrument, but has various limitations in activating performance and creative activities as a professional musical instrument. As a graduate of the recorder major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e institute went through a process of seeking various ways to continue its career as a professional performer. In the process, I thought that in order for recorder players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research was needed on what attitudes and competenci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process of growth. In response, the researcher explored what competencies, attitudes, and challenges exist in the process of growing into professional players and continuing their activit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incumbent recorder players. As a result,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firm the sense of calling and entrepreneurship as a professional performer through interviews with them. Recorder players expressed their "sense of calling" through recognizing themselves as experts in a small number of fields and becoming "medicators" who make the recorder recognized by the public based on the representation and responsibility given to them. The competence of art entrepreneurship revealed in parallel was found through attempts to find opportunit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media activities, and collaboration between genres, as well as professional achiev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This was often expressed in connection with the sense of call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ttempted centering on worker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evelopment and continuation, identifying the field of professional recorder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on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individuals discovered through research, and it could not connect them to the creative environment or social context of the recorder field.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develop a support system to foster the competencies and attitudes of recorder professional players, and follow-up research or attempts to create an education and support environment for this.

      • 유아교사의 행복감, 정서표현성 및 교수몰입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윤혜빈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 of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eaching Flow on the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Yun, Hye Bi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eong, Su ji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eaching flow on teaching creativity. For these research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1. How is the general trends of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2.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3. How are the influences of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eaching flo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teaching creativity?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eachers who work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sangnam-do region in the period between December 21, 2020 and January 15, 2021. 36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50 copies were collected. 337 copies was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13 incomplete copies. In order to measur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ool developed by Hills and Argyle(2001), translated by Choi Yowon(2002) and used by Kwak Heekyoung(2001) was applied. For the tool to measur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instrument developed by Halberstadt(1986), modified and translated by Choi Kiyoung and Woo Sookyoung(2011) and amended by Lee Han-ae(2008) was used. For measuring teaching flow, the tool developed by Song Jooyoun(2014) was applied. For measuring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ool developed by Cropley(2004) and modified and translated and verified for validity by Baek Youngsook and Kim Hee-tae(2008)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SPSS 25.0 program was used for getting frequency, percentage and Cronbach’⍺ coefficient, and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mprehensively higher than the middle levels and the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education, career, and institutional type of teachers. Happiness was highest in career for more than 5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and education with attending graduate school and high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highest in education with graduating four-year university and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for institutional type. Teaching flow was highest in career with more than 10 years and less than 15 years and education with attending graduate school and higher. Teaching creativity was highest in career with 15 years and higher and education with attending graduate school and higher. Second, all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s teachers’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eaching flow are higher, teaching creativity is also higher. Third, happ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eaching flo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variables affecting teaching creativity, and the factor with the highest influences on teaching creativity was internal motive, a sub-element of teaching flow, and then, adjusting,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natural performance followed in order. That is, a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ternal motive of teaching flow, adjusting, and natural performance are higher, teaching creativity is also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display effective teaching creativity,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eaching flow including adjusting teaching behaviors and natural performances of teaching activities by enhancing internal moti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and considering children’s responsiveness and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planing, executing, and evaluating education. In addition, it implies the importance of smooth interaction with children through positive expressions of teachers for developing children’s potentials and conducting teaching creatively.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offer basic source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eachers and furthermore, contributing to improve qualitatively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figuring out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which affect to promot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정서표현성, 교수몰입 및 교수창의성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행복감, 정서표현성,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정서표현성, 교수몰입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행복감, 정서표현성, 교수몰입 및 교수창의성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행복감, 정서표현성, 교수몰입 및 교수창의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행복감, 정서표현성과 교수몰입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2020년 12월 21일부터 2021년 1월 15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Hills와 Argyle(2002)이 개발하고 최요원(2002)이 번안하여 곽희경(2011)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Halberstadt(1986)가 개발하고 우수경, 최기영(2011)이 수정, 번안하고 이한애(2008)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을 측정하기 위해 송주연(201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Cropley(2004)가 개발하고 백영숙, 김희태(2008)가 수정, 번안하여 타당성을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산출, Cronbach’ ⍺계수 산출,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é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정서표현성, 교수몰입, 교수창의성은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일반적 특성인 학력, 경력, 기관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행복감은 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 학력이 대학원 재학 이상에서 행복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표현성은 학력이 4년제 졸업, 기관유형이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정서표현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몰입은 경력이 10년 이상 15년 미만, 학력은 대학원 재학 이상에서 교수몰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수창의성은 경력이 15년 이상, 학력이 대학원 재학 이상에서 교수창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행복감, 정서표현성, 교수몰입, 교수창의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행복감, 정서표현성, 교수몰입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수창의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정서표현성과 교수몰입은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교수창의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수몰입의 하위요인인 내적동기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조절, 정서표현성, 자연스러운 수행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성과 교수몰입의 내적동기, 조절 및 자연스러운 수행이 높을수록 교수창의성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볼 때 효과적인 교수창의성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교수활동에 대한 내적 동기를 강화하고 교육계획, 실행, 평가 등의 과정에서 유아의 반응과 참여를 고려하여 교수행동 조절과 교수활동의 자연스러운 수행 등 교수활동에 몰입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유아의 잠재적 가능성을 발현시키고, 창의적으로 교수활동을 하기 위해 교사의 긍정적인 정서 표현으로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의 교수창의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내적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유아교육의 질적인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유아교사, 행복감, 정서표현성, 교수몰입, 교수창의성

      • G2P 사용 유무에 따른 딥러닝 기반 영어 음성 합성기 성능 비교 : Tacotron 2와 Waveglow를 중심으로

        윤혜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topics regarding English TTS is an ideal form of an input text to be used in the model. Since English does not hold a one-to- one correspondence between graphemes and pronunciations, there has been a worldwide concern over English TTS generating inadequate speech for a given text. To solve the issue, a wide range of studies have applied G2P on the input text to convert it into an input phoneme sequence. However, G2P based approach imposes several limits to English TTS.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n insight about an ideal form of an input text which would improve performance of English TTS by conducting an experiment on the effect of G2P on overall performance in addition to the whole process of training and inference of English TTS. During the experiment, a model with G2P applied input was compared with a model without G2P applied input.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del that used input grapheme sequence produced a speech sample which the raters considered slightly more natural than the model that applied G2P to the input. Furthermore, the prior master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text and target mel-scale spectrogram with a faster speed than the latter. The outcomes imply that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for English TTS not to make use of G2P, despite the limitations that exist in English with respect to the pronunciation. Thus, this paper aims for a guidance on an efficient English speech synthesis model which is free from all the restrictions placed by G2P. TTS를 통한 영어 음성 합성에 사용되는 텍스트의 종류는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는 주제 중 하나이다. 영어의 철자와 발음은 일대일로 연결되지 않는 모호한 관계에 놓여 있기 때문에, 텍스트로부터 제대로 된 발음의 음성을 생성해야 하는 TTS가 문자열 텍스트에 대해서는 해당 작업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G2P를 사용하여 문자열 텍스트를 변환한 음소열 텍스트를 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는 방식이 적극적으로 채택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G2P를 도입한 TTS에는 기존의 TTS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여러 제약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G2P가 영어 TTS의 전반적인 과정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파악하여, 영어 TTS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효과적인 입력 텍스트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G2P를 적용한 영어 TTS와 G2P를 적용하지 않은 영어 TTS의 비교 실험 결과, G2P를 적용하지 않은 영어 TTS의 성능과 학습 효율이 G2P를 적용한 모델에 비해 근소하게 높았다. 발음에 대해 영어가 지닌 한계에도 불구하고 영어 TTS에 G2P를 적용하지 않은 텍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어 TTS에 존재하는 제약을 제거하고 보다 효율적인 음성 합성기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딥러닝 기반 다화자 영어 음성 합성기의 성능 향상 연구

        윤혜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Owing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structures, a wide range of studies has been conducted on Text-To-Speech (TTS), which has achieved a substantial improvement in speed, stability, and performance as a result. However, most of the TTS models are tuned to produce single speaker's voice and are not suitable for multi-speaker speech production tasks, calling for the need of multi-speaker TTS. Nevertheles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multi-speaker TTS compared to single-speaker models. As a possible solution, this paper suggests an advanced multi-speaker TTS structure that aim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Chapter 1 discusses background concepts, problems of pre-existing TTS models, and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Chapter 2 introduces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both on single-speaker and multi-speaker TTS. Chapter 3 provides specific details of proposed model, and Chapter 4 describes an experiment on model performance and its results. Chapter 5 discusse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The result of experiment on performance shows that proposed model produces more high-quality speeches than comparative model.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several methods and techniques that could be applied to multi- speaker TTS model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최근 몇 년간 음성 합성기는 인공 신경망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성능, 속도 및 안정성의 향상이라는 결실을 보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음성 합성기는 단일 화자 음성을 생성하는 데 특화되었으며, 다양한 화자의 음성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각 화자별로 음성 합성기를 훈련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다화자에 특화된 음성 합성기는 단일 화자에 비해 적은 양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아직 괄목할 만한 성능을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능 향상에 목표를 둔 새로운 구조의 다화자 영어 음성 합성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기존 음성 합성기의 문제점 및 연구 주제를 서술한다. 2장에서는 현존하는 단일 화자 및 다화자 음성 합성기 연구들을 소개한다. 3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다화자 음성 합성기의 구조 및 학습에 사용되는 로스를 설명한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다화자 음성 합성기와 기존 다화자 음성 합성기의 성능 비교 실험 및 결과를 서술한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 및 의의에 대해 고찰한다. 성능 비교 실험을 진행한 결과, 본 연구의 다화자 영어 음성 합성기는 기존의 다화자 영어 음성 합성기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화자 음성 합성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Age-related performance changes during the Fitts' task in a dual-task paradigm

        윤혜빈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Cognitive capacity decline with aging is closely associated with motor performance decline. It induces a decrease in attentional resources and a slowdown in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Moreover, cognitive capacity decline often leads to confusion in the presence of a difficult and complex situation, such as dual task condition. The Fitts’ task is a well-known motor control task used to examine an individual’s capacity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motor control through unimanual movement. As the index of difficulty (ID) increases, a higher level of attentional capacity is demanded, and performance deficits emerge. The dual task possibly determines and makes the deficits more obvious, owing to the limited attentional resources and emergence of capacity interference. Thus, this study supplemented Fitts’ task with the cognitive task. This study aimed to clarify age-related motor performance declines and the interference caused by a secondary cognitive task on Fitts’ task performance. Seventeen right-handed older adult subjects and another seventeen right-handed young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ll of the participants performed Fitts’ task in single-task paradigm (STP) and dual-task paradigm (DTP). During DTP, the participants performed Fitts’ task and the cognitive task of counting numbers backward coincidentally. Fitts’ task consisted of five different IDs. We collected the tri-axial acceleration data and then calculated the movement time (MT), acceleration time (AT), deceleration time (DT), and tapping number (TN) parameters using custom-made MATLAB. AT was defined as the duration from onset to peak velocity, and DT was from peak velocity to movement offset.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in general, the elderly group (EG) clocked significantly longer MT, AT, and DT compared with the young group (YG) as ID increased and the secondary cognitive task applied (DTP). Moreover, TN of E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YG. In the difficult level of Fitts’ task and DTP, both age groups showed longer MT, AT, and DT, as well as decreased TN. The comparison of motor performance decrements induced by the cognitive task between both participant groups was remarkable with respect to MT and DT, but not A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ge-related motor performance declines become more significant in attentionally demanding task constraints, such as the difficult task or DTP. Moreover, the EG was more susceptible to capacity interference than YG. Lastly, the influence of task difficulty and DTP was apparent in MT and DT because DT reflecte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which is required in accuracy-focused tasks. Conclusively, aging, task difficulty, and task complexity (i.e., STP or DTP) are all contributing factors to determining motor task performance, and capacity interference becomes more obvious with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