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문자전〉의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활용 양상 연구

        윤지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21st century, digital media has developed, bringing changes to how people consume pop cul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transmedia adaptations of classical novels have appeared in a variety of new forms. Such a trend provides classical novels with a value as cultural content. In an attempt to suggest how to use such content effectively and what its potential value would be,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nsmedia content 〈Gwangmunjajeon〉, the title of a short story from 《Banggyeonggakwejeon》,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by Park Jiwon (also known as Yeonam). The content is a combination of two Korean short stories: 〈Gwangmunjajeon〉 (about the main character Gwangmun’s youth) and 〈Seogwangmunjeonhu〉 (about the same character’s later days). Building on this case, the study explores how to utilize transmedia content. To begin with, it offers a theoretical review of cultural prototypes, transemdia content/storytelling and the digital era’s cultural content industry. Through this review, the study analyzes the case of utilizing content derived from the two aforementioned short stories and their storytelling elements. Finally, this analysis leads to clarifying how transmedia content is used. A cultural prototype plays an important role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content 〈Gwangmunjajeon〉.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gital era and changes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study also delves into convergence and multiscreen, which constitut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media. For this theoretical basis, the study analyzes the ca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derived from 〈Gwangmunjajeon〉 and 〈Seogwangmunjeonhu〉,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use of transmedia content. It also reviews actual cases of using such content: historical novel 『Such a Noble Entertainment』 and web pansori 〈Dalmoon, a Goodest Person〉. In addition, it analyzes storytelling elements, focusing on the narrativ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o Korean short stories. While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s is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plot of the stories while that of the characters consists in reviewing the traits of the characters and how they interact. Furthermore, the study observes how the content from the two short stories is used as transmedia. Transmedia content tells different stories to create a unified world. Its major elements include a main story, a background story, a subplot, the structure of characters, games for the audience and a world view. New technologies and media could enable more diverse forms of convergence, making us expec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nd services that would attract more users. Such development of transmedia content is also likely to expand in the global market. In this reg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shedding light on today’s value of literary classics by exploring and reinterpreting Korean classical novels from a new perspective. The two short stories have a value that transcends time because they contain the value of literary classics, Koreans’ world view and their traditional lifestyle. Each of the stories has its own storytelling elements and the stories’ narratives and characters have potential to be used in different forms of transmedia. In particular, both stories have unique cultural prototypes. As a result, the stories are actively used in different genres such as a historical novel and web pansori. Moreover, each of the two stories has the major elements of transmedia storytelling: main story, background story, subplot and structure of characters. This forms a basis for creating content with a variety of storytelling elements. The two stories thus have a value and potential to form a world of storytelling that could expand by means of different media and platforms. Focusing on 〈Gwangmunjajeon〉 derived from Korean short stories, the study explores how transmedia content i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help content providers apply the principles of transmedia content. In this way, 〈Gwangmunjajeon〉 and other Korean literary classics could successfully meet the public through different platforms and media. Such conten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digital era. 21세기의 디지털 미디어 발전과 대중문화 소비 패턴의 변화로 인해 고전소설은 다양한 매체와 형식으로 재구성되어 새로운 매체를 통해 대중들에게 소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전소설은 문화콘텐츠로서의 가치를 가지며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잠재적인 가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는 연암 박지원의 문집 《방경각외전》의 단편소설 중 하나인 〈광문자전〉으로, 광문의 젊은 시절을 다룬 〈광문자전〉과 광문의 말년 시절을 다룬 〈서광문전후〉를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 완성한 〈광문자전〉을 사례로 삼아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활용 양상에 대한 연구를 탐구하였다. 문화원형과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및 스토리텔링, 디지털 시대와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광문자전〉과 〈서광문전후〉의 콘텐츠 활용 사례와 스토리텔링 요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양상을 도출한다. 문화원형은 〈광문자전〉의 콘텐츠에 내재된 핵심 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디지털 시대와 문화콘텐츠 산업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 환경변화에 해당하는 컨버전스와 N-스크린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기반을 위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념과 활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광문자전〉과 〈서광문전후〉의 콘텐츠 활용 사례와 특징을 분석하고, 콘텐츠 활용 사례인 역사소설 『이토록 고고한 연예』와 웹판소리 〈달문, 한없이 좋은 사람〉을 조사하였다. 이후 〈광문자전〉과 〈서광문전후〉의 서사와 캐릭터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서사 분석은 구성과 전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캐릭터 분석은 콘텐츠 인물들의 특성과 상호작용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광문자전〉과 〈서광문전후〉의 트랜스미디어 활용 양상을 파악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각각의 콘텐츠마다 다른 이야기를 전개하면서 전체적으로 통합된 세계를 만들어 내는 방식이며 핵심 스토리, 배경 스토리, 부차적 플롯, 캐릭터 구조, 관람객의 놀이 유도, 세계관 설정 등이 핵심 구성 요소로 언급되었다. 새로운 기술과 매체의 등장에 따라 더욱 다양한 융합이 가능해질 것이며 사용자의 참여를 더욱 증진할 수 있는 기술과 서비스의 발전이 기대된다. 이러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발전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의 고전소설을 새로운 관점에서 탐구하고 재해석함으로써 고전문학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조명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광문자전〉과 〈서광문전후〉는 고전문학의 가치와 한국적인 세계관,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담고 있어 시대를 초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각각 독특한 스토리텔링 요소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의 서사와 캐릭터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다양한 형태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독특한 문화원형을 담고 있어 역사소설과 웹판소리 등의 다양한 장르에서 활발한 콘텐츠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광문자전〉과 〈서광문전후〉는 핵심 스토리, 배경 스토리, 부차적 플롯, 캐릭터 구조 등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핵심 구성요소를 충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이야기적 요소를 투입하여 콘텐츠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됨으로써 다양한 매체와 플랫폼을 통해 확장할 수 있는 이야기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가치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고전소설 〈광문자전〉을 중심으로 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활용 양상을 탐구함으로써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원리를 활용하여 〈광문자전〉과 고전문학이 다양한 플랫폼과 매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러한 콘텐츠의 특성은 문화콘텐츠 산업과 디지털 시대의 발전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의의를 가진다.

      • 불안을 주제로 한 도자도형연구 : 공간을 중심으로

        윤지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불안은 확신이 부재한 심리상태로 그 대상이 불분명해 치료와 같은 대처가 어려우며 실체가 없는 추상적인 감정임에도 인간의 내면에 깊게 작용하여 심리를 무너뜨리는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 원인을 파악하고 직시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그 방법 중 하나로 예술이 있다. 예술은 인간의 무의식적인 감정을 표출하는 긍정적인 형태의 방어기제인 승화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수많은 불안의 유발요소 증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것은 공간에서 느껴지는 불안감이다. 불안정한 공간에서 느껴지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는 공간 속에서 느껴지는 불안을 시각화하고 마주하는 과정을 통해 내면을 직시하고자 한다. 반복적으로 표현된 불안의 형상은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치료법 중 하나인 노출치료의 방식을 차용한 것으로 지속적으로 감정을 유발하는 원인을 마주함을 통해 불안의 민감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작품을 통해 표출 된 부정적 감정의 승화를 통해 미적 결과물을 도출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감정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불안의 정의와 개념을 정리하고 불안의 보편성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불안은 인간에게 내재된 원초적 감정임을 확인하고 이를 예술로 승화한 작품 사례와 의미를 연구하여 예술에 나타난 불안의 조형적 표현을 탐구한다. 둘째, 무수히 많은 불안의 유발요소 중 연구자가 경험한 공간에서의 불안으로 주제를 좁혀 공간의 정의와 개념을 정리하고 공간에서 불안이 느껴지는 원인을 파악한다. 이후 공간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주제로 한 작품 분석을 통해 조형적 표현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이후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에서 도출한 선과 주관적인 색의 의미를 통해 공간에 내재된 불안의 형태를 형상화 한다.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과 공간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연구자가 느끼는 불안의 원인이 공간에 내재된 불확실성과 경계공간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예술적 표현이 가능하며 부정적인 감정을 마주함으로써 극복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음을 기대한다. Anxiety is a psychological state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certainty, the obscurity of its object making treatments and corresponding measures difficult, and despite its abstract nature with no real entity, it has the destructive power to deeply affect and undermine human psychology. In order to alleviate such anxiet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confront its cause, and one method of which is art. Art serve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blimation, a positive form of defense mechanism that expresses unconscious human emotions. Among countless anxiety triggers, the researcher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anxiety felt within space. This research aims to alleviate anxiety experienced in unstable spaces by visualizing and confronting anxiety felt within spaces. The repeated depictions of anxiety borrow from the method of exposure therapy, one of the therapies used in psychology, continuously confronting the cause of emotional arousal in order to reduce sensitivity to anxiety. In addition, it aims to resolve emotions safely through the sublimation of negative emotions expressed through the artwork and derive aesthetic result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anxiety are organized through a general consideration of anxiety, confirming its universality.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anxiety is a primal emotion inherent in humans and explores the formative expression of anxiety appearing in art by studying the cases and meanings of works that have sublimated this anxiety into art. Second, narrowing the topic to anxiety experienced in spaces among innumerable anxiety trigger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space are organized, and the cause of anxiety felt in space is identified. Then, the possibility of formative expression is confirmed through an analysis of artworks themed around emotions felt in space. Following this, the form of anxiety inherent in space is visualized through lines derived from the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 and the subjective meaning of color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nxiety and spac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cause of the anxiety experienced by the researcher is the uncertainty and liminality inherent in the space. Second, it is expected that artistic expression is a possible method to overcome anxiety, and by confronting negative emotion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m can be suggested.

      • 태화강 어린 연어(Oncorhynchus keta)의 적정 방류지역과 시기 연구

        윤지우 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secure basic data by monitoring the movement, growth, ecology, survival, food and predators of salmon (Oncorhynchus keta) released from the Taehwa River, After dischar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ng salmon distribution and migration rate habitat were investigated for two years. A total of 4 points [Sunbawi bridge (St.1), Guyeong bridge (St.2), Samho bridge (St.3), and Myeongchon bridge (St.4)] were investigated, Pre-survey show that 14 natural young salmon were captured in 2017 and not in 2018. To analyze the physical habitat conditions of salmon, water depth, flow rate, bottom structure and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at four points. The survey of the estuary movement rate of young salmon is based on the tracking and re-purposing of movements by time and point, exterior characteristics of re-capture objects, habitat fish in the same area, and young salmon feeding and competition for food and predators were investigated. After the discharge, the young of salmon is believed to contain a mixture of natural and discharge mountains, the size and weight of the object were similar, making it indistinguishable to the naked eye. The first survey after the release of young salmon in 2017 showed 53.3 ± 5.2 mm in length and 1.0 ± 0.3 g in weight, with the last showing 63.8 ± 8.3 mm in length and 1.8 ± 0.7 g in weight, indicating an increase of 10 mm in average length and 0.8 g in average weight. The first survey after the release of young salmon in 2018 showed 50.8 ± 5.1 mm in length and 0.8 ± 0.3 g in weight, with the last showing 60.0 ± 6.7 mm in length and 1.3 ± 0.4 g in weight, indicating an increase of 10 mm in average length and 0.5 g in average weight. The physical habitat characteristics at the point where young salmon were collected ranged from 0 ~ 0.2 m/s, watered depth of 0 ~ 1.4 m, with relatively low flow rates and low depth of water. The bottom structure appeared in the sand with the largest number of objects, followed by coarse gravel and pumpkin ston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young salmon in the stomach (literatur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midge (Chironomus spp.) was the cause of the young salmon's fist. Among 39 species, 10 insectivorous and 12 omnivorous, are believed to compete with young salmon for food. Among the fish species that are thought to compete for food, 10 species (25.6%) of them are insectivores, such as Tridentiger brevispinis, Niwaella multifasciata, Hypomesus nipponensis, Neosalanx andersoni, Misgurnus anguillicaudatus, Iksookimia longicorpa, Rhinogobius brunneus, Plecoglossus altivelis. The analysis shows that young salmon are likely to compete for food when they are hit by Rhynchocypris oxycephalus, Zacco platypus, Kareius bicoloratus, Lepomis macrochirus, Hemibarbus labeo, Tridentiger bifasciatus, Carassius auratus, Cyprinus carpio, there were 12 species(30.8%) in total. 6 species at St.1 (Odontobutis platycephala, Mugil cephalus, Micropterus salmoides, Coreoperca herzi, Tribolodon hakonensis,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5 species at St.2 (Odontobutis platycephala, Tribolodon hakonensis, Micropterus salmoides, Coreoperca herzi,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6 species at St.3 (Gasterosteus aculeatus, Channa argus, Chaenogobius castaneus, Micropterus salmoides, Tribolodon hakonensis,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and 8 species at St.4 (Gasterosteus aculeatus, Pholis nebulosa, Acanthogobius flavimanus, Chaenogobius castaneus, Synechogobius hasta, Erythroculter erythropterus, Lateolabrax maculatus, Tribolodon hakonensis) predatory fish species has emerged. An analysis of the gastrointestinal substance test of the Micropterus salmoides (30 objects),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30 objects), Erythroculter erythropterus (10 objects), Coreoperca herzi (10 objects), Odontobutis platycephala (5 objects), Acanthogobius flavimanus (5 objects) among fish expected to eat the young salmon, The fish (10 objects), young salmon (2 objects), crustacean (4 objects), insect species (15 objects), plants species (8 objects) have been identified.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St.1 and St.2 points where the proper discharge area of young salmon is less formalized and less varied in depth, flow rate, salt etc. And In addition, it is deemed appropriate to release predatory fish such as Korean piscivorous chub and bass etc. at night or dawn without light effects in early January when food is not active. 태화강에서 방류한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이동, 성장, 생태, 생존, 먹이생물 및 포식생물 등의 모니터링를 통한 생태학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방류 후 어린 연어 분포, 하구역으로 이동률 서식지역 특성을 조사하였다. 태화강 상류로부터 총 4개 지점[선바위교(St.1), 구영교(St.2), 삼호교(St.3), 명촌대교(St.4)]에서 2년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조사 결과 자연산 어린 연어는 2017년에 14마리가 포획되었고 2018년에는 포획되지 않았다. 연어의 물리적 서식 조건을 분석하고자 4개 지점에 대해 수심, 유속, 하상 재료 및 수질을 조사하였다. 어린 연어의 하구역 이동률 조사로는 시기와 지점별 이동 추적 및 재포획 조사, 재포획 개체의 외부형질 조사, 동일지역 서식 어류 조사, 어린 연어 먹이생물 조사, 어린 연어와 먹이경쟁 생물 및 어린 연어 포식생물을 조사하였다. 방류 후 연어 치어는 자연산과 방류산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개체의 크기 및 무게가 비슷하여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었다. 2017년 어린 연어 방류 후 3월 22일에 실시한 1차 조사에서는 전장 53.3 ± 5.2 mm, 체중 1.0 ± 0.3 g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어린 연어가 채집된 4월 3일 조사에서는 전장 63.8 ± 8.3 mm, 체중 1.8 ± 0.7 g으로 나타나 전장은 평균 10 mm, 체중은 평균 0.8 g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2018년 어린 연어 방류 후 3월 8일에 실시한 1차 조사에서는 전장 50.8 ± 5.1 mm, 체중 0.8 ± 0.3 g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어린 연어가 채집된 3월 26일 조사에서는 전장 60.0 ± 6.7 mm, 체중 1.3 ± 0.4 g으로 평균 전장 10 mm, 체중 0.5 g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어린 연어가 채집된 지점의 물리적 서식환경 특성은 유속 0 ∼ 0.2 m/s, 수심 0 ∼ 1.4 m로 비교적 유속이 적고, 낮은 수심에 분포하였다. 하상 재료는 모래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하였고, 다음 굵은 자갈 및 호박돌 순으로 나타났다. 어린 연어의 위 내용물을 문헌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깔따구류가 어린 연어의 주 먹이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연어와 먹이 경쟁을 할 것이라 여겨지는 어종은 총 39종 중 충식성 10종 및 잡식성 12종으로 나타났다. 먹이 경쟁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어종 중 충식성은 10종(25.6%)으로 민물검정망둑, 수수미꾸리, 빙어, 도화뱅어, 미꾸리, 왕종개, 밀어 및 은어 등이 있고, 잡식성 중 치어 때 어린 연어와 먹이 경쟁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것들을 분석한 결과, 버들치, 피라미, 돌가자미, 블루길, 누치, 민물두줄망둑, 붕어 및 잉어 등 총 12종(30.8%)으로 나타났다. 어린 연어를 포식할 수 있는 어식성 어류는 St.1에서 6종(동사리, 숭어, 배스, 꺽지, 황어 및 끄리), St.2에서 5종(동사리, 황어, 배스, 꺽지 및 끄리), St.3에서 6종(큰가시고기, 가물치, 날망둑, 배스, 황어, 끄리) 및 St.4는 8종(큰가시고기, 베도라치, 문절망둑, 날망둑, 풀망둑, 강준치, 점농어 및 황어)이 출현하였다. 어린 연어를 포식할 것으로 예상되는 어류 중 배스(30개체), 끄리(30개체), 강준치(10개체), 꺽지(10개체), 동사리(5개체), 문절망둑(5개체)의 위 내용물 검사를 분석한 결과, 미동정 어류(10개체), 어린 연어(2개체), 갑각류(4개체), 곤충류(15개체), 식물체(8개체)가 확인됐다. 본 연구결과 어린 연어의 적정 방류지역은 포식생물의 서식이 적고 수심, 유속, 염분 등의 변화가 적은 St.1과 St.2지점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방류 시기는 끄리 및 배스 등의 포식어류의 먹이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1월 초순 혹은 포식 활동이 적은 야간이나 새벽시간에 방류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중·장년층의 모바일 뱅킹 지속적 이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윤지우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특성화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프라인 은행 업무를 대체하고 예·적금이나 송금 등의 기본 업무 뿐 아니라 금융 관리 및 투자, 가계부 및 환전 업무 등을 손쉽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의 사용에 비례하여 모바일 뱅킹 시스템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중·장년층에서는 다운로드 수에 비하여 실제 사용도가 낮고 여전히 오프라인 은행 지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사용자들의 모바일 뱅킹 선택요인과 지속적인 사용에 관한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었던 모형들을 기준으로 검증된 변인들로 이루어진 연구 모형을 제시하고, 40대 이상의 중장년층만을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 그 결과가 보편적으로 20~30대를 중심으로 조사한 선행 연구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기존의 모델들을 마찬가지로 중장년층에게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했다. 본 논문은 모바일 뱅킹을 이용함에 있어서 기술의 수용 후 재사용 의도가 중요하다고 보고 이를 파악하기 위한 보안적인 후기수용모델(PAM)을 중심으로 시스템적 요인과 시스템 외적 요인으로 그룹을 나누어 다섯 가지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시스템적 요인으로 보안성, 편의성, 품질, 시스템 외적 요인으로 기대일치, 금전적 가치를 독립변수로 가정하고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PAM 이론을 바탕으로 각각의 요인이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종적으로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기존 연구들과의 차이점은 20~30대 대상의 선행 연구들과 다르게 표본을 모바일 뱅킹 사용자인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정한 것이다. 또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모바일 뱅킹 서비스가 맞춤형 개발과 발전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이론적인 기준 제공과 원인 파악의 가치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types and usage of financial applications are increasing. It replaces off-line banking and facilitates basic tasks such as deposits, savings and remittances, as well as financial management and investment, housekeeping management, and currency exchange. While mobile banking systems are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use of smart phones, in middle and senior people, actual usage is lower than the number of applications downloads and they still tend to prefer offline bank branch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actors of mobile banking choice and the continuous use of these users. After comprehensive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es,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with validated variables based on the models showing positive effect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sults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20s and 30s, and whether the existing models are equally applicable to the elderly as well. This research consider the importance of reuse after acceptance of technology in mobile banking. In order to grasp this, I divide the group into systematic factors and systematic external factors, and design a research model based on Post Acceptance Model(PAM) to verify the factor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ssuming that security, convenience, quality as the system factors; and financial value, expectation confirmation as systematic external factors. They are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based on the PAM theory, I examined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nd finally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of the existing 20 ~ 30 year-old's subjects by setting the sample for middle aged people over 40 who are mobile banking users. Also,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value of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and understanding the causes of the mobile banking service to be applied to the customized development for the middle-aged.

      • 물질주의와 기업의 물질주의 조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지우 울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우리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소비를 정답으로 보고 이 같은 소비 생활을 추구하였다. 최소화된 비용으로 최대한의 양적 · 질적 만족을 얻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이러했던 소비문화가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소비에 대한 선택은 동물과 가난한 사람들 그리고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소비자들이 인식해가고 있다. 소비자가 경제적 측면만을 고려해 소비한다면 다른 누군가와 무엇에게 피해가 간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즉, 소비자들이 기존의 소비가 ‘착하지 않다’고 느끼게 되었다는 것이다. 물질주의적 생활양식에 따른 이러한 문제점을 사람들이 인식하면서 등장한 것이 친환경적이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는 ‘윤리적 소비’인 것이다. 윤리적 소비는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며 우리가 많이 들어온 친환경 소비, 환경의식적 소비, 녹색 소비, 지속가능한 소비 등의 개념이 소비자들의 의식적 성장에 따라 조금 더 넓은 의미로 확장된 것이 윤리적 소비이기 때문이다. 윤리적 소비는 1970년대부터 환경친화적 소비나 사회적 의식있는 소비라는 개념하에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최근 들어 윤리적 소비의 개념으로 공정무역, 공정여행, 윤리적 투자, 자발적 간소화, 나눔 및 기부 등의 실천 영역들이 소개되면서 다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홍연금, 2009). 또한 기업의 마케팅 분야에서도 소비자가 어떠한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윤리적 소비행동을 하는지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소비자학 분야에서는 소비자의 역할에 대한 탐구를 소비를 통해 나타나는 사회의 물질주의 현상에서 찾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있다. 그리고 최근 등장한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도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소비가치로써의 물질주의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윤리적 소비에 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으며, 주로 학문적으로 윤리적 소비에 접근한 기초 연구와 사례자를 모집하여 연구하는 등 이론적 탐구의 의미가 더 크다고 본다. 그리고 개인 소비가치인 물질주의 성향과 윤리 공동체 의식을 통한 개인 소비행동인 윤리적 소비행동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자본주의 사회의 양극단에 존재하는 가치인 물질주의와 윤리적 소비의 관계를 물질주의 성향과 기업의 물질주의 조장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소비행동을 통해 살펴보는 것은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들과 다른 방향에서 접근하는 것이며 윤리적 소비에 대한 또 다른 접근방법을 제안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물질주의와 윤리적 소비에 관한 연구에 기초하여 재화와 쾌락적 소비를 통해 심리적 행복을 추구하는 물질주의와 환경을 생각하는 윤리적 소비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 연구를 시도하여 물질주의가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물질주의와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이해를 더욱 높이고 앞으로 진행될 윤리적 소비 연구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윤리적 소비가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휴먼 커뮤니케이션과 학습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지우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 남, 여 254명을 대상으로 미 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휴먼 커뮤니케 이션과 학습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변인 및 조작적 정의와 설문 문항은 문헌 고찰과 선행연구를 참고 하여 목적에 맞게 구성하였다. 조사 방법은 온라인 설문과 자기기입식 설문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Ver. 26.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 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요인분석 결과, 심리적 자본은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 복 탄력성’으로 분류되었고 심리적 안녕감, 휴먼 커뮤니케이션, 학습 몰입은 하나의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심리적 자본의 ‘자기효능감’은 ‘희망’, ‘낙관주 의’, ‘회복 탄력성’, 학습 몰입, 심리적 안녕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심리적 자본의 ‘희망’은 ‘낙관주의’, ‘회복 탄력성’, 학습 몰입, 심리적 안녕감 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심리적 자본의 ‘낙관주의’는 ‘회복 탄력성’, 학습 몰입, 심리적 안녕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심리적 자본의 ‘탄 력성’은 학습 몰입, 심리적 안녕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학습 몰입 은 심리적 안년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셋째, 변수들의 차이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성별 에 따른 개방적 의사소통과 타인 관점 이해에서 모두 여성이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 따른 차이에서 심리적 자본의 희망과 회복 탄 력성은 미혼이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기혼이 높게 나타났다. 연 령에 따른 심리적 자본의 차이에서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는 50대 이상 그룹 이 높게 나타났으며, 희망과 회복탄력성은 40대 그룹과 50대 이상 그룹이 높 게 나타났다.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차이에서는 50대 이상 그룹이 높게 나타 났다. 학습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에서는 모두 50대 이상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에 따른 심리적 자본에서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는 대 학원 재학/수료/졸업 그룹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 탄력성은 대학원 재학/수 료/졸업 그룹과 4년제 대학교 재학/졸업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휴먼 커뮤니 케이션은 대학원 재학/수료/졸업 그룹과 4년제 대학교 재학/졸업 그룹이 높 게 나타났다. 학습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에서는 모두 대학원 재학/수 료/졸업 그룹과 4년제 대학교 재학/졸업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심리적 자본에서는 자기효능감은 서비스업과 전문직, 기타 그룹이 높게 나타 났으며, 희망과 낙관주의는 전문직 그룹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 탄력성은 전문직과 기타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휴먼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기타 그룹과 전문직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에서는 모두 전문직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에 따른 심리적 자본에서는 자기 효능감은 100만원 미만 그룹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 탄력성은 500만원 이 상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휴먼 커뮤니케이션에서는 100만원 미만 그룹과 500만원 이상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학습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자본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휴먼 커뮤니케이션과 학습 몰입이 미치는 영향 파악을 위한 직접 효과와 매개효과의 가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은 휴먼 커뮤니케이션에 정(+)의 영향을 미 칠 것이라는 전제는 심리적 자본은 휴먼 커뮤니케이션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1-1 자기효능감, 가설 1-2 희망, 가설 1-3 낙관주의, 가설 1-4 회복 탄력성 모두 휴먼 커뮤니케이션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가설 2. 미용 전공 대학 생의 심리적 자본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 는 채택되었다. 가설 2-1 자기효능감, 가설 2-2 희망, 가설 2-3 낙관주의, 가설 2-4 회복 탄력성 모두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가설 3.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 적 자본은 학습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는 미용 전공 대 학생의 심리적 자본은 학습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채택되었다. 가설 3-1 자기효능감, 가설 3-2 희망, 가설 3-3 낙관 주의, 가설 3-4 회복 탄력성 모두 학습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 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가설 4 미용 전공 대학생의 휴먼 커뮤니케이션은 심 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휴 먼 커뮤니케이션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채택되었다. 가설 5.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 몰입은 심리적 안녕 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라는 전제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 몰 입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5는 채택 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매개효과에서 가설 6.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 본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휴먼 커뮤니케이션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 라는 전제는 휴먼 커뮤니케이션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6은 채택되었다. 가설 7.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학습 몰입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전제는 학습 몰입이 매개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7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심리적 자본에 의해서 휴먼 커뮤니케이션과 학습 몰입이 이에 상응하여 반응하게 되고 이러한 관계는 심리적 안녕감 증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심리적 자본인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 낙관주의, 희망에 긍정적인 변화가 생기게 되면 타인과 소통을 하는 휴먼 커뮤니케이션과 학습의 흥미와 학습 몰입도가 높아져 전공에 대한 확신, 대인관계, 학업관리, 자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심리적 안녕감 중 진에 도움을 준다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심리적 자본은 휴먼 커뮤니케 이션과 학습 몰입이 향상되게 하고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이 뷰티 산업 시대에서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주요어】미용전공대학생, 심리적 자본, 심리적 안녕감, 휴먼 커뮤니케이션, 학습 몰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