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울시 주·야간 시간대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 요인 분석 : 전통적인 통계모형과 기계학습모형의 비교를 중심으로
우리나라는 최근 교통사고의 저감과 보행안전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정부는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여러 정책들을 시행하였다. 그 노력의 결과로 보행자 교통사고의 수는 점점 감소하였지만, 사고 정도가 심각한 보행자 교통사고는 여전히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보행자 교통사고의 사고 심각성은 주간 시간대와 야간 시간대에 있어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도로교통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보행자 교통사고의 발생건수는 주간이 더 많지만 사고 심각성이 높은 보행자 교통사고의 경우 야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제 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으며, 그 분야 중 한 부분인 기계학습도 주목을 받고 있다. 기계학습은 빅데이터 처리에 있어 매우 유용하지만 모델의 해석보다 예측에 집중하기 때문에 기계학습 결과에 대한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최근,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IML) 분야가 등장하면서 LIME 방법론 등 기계학습의 Black Box 영역을 해석할 수 있는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이용한 통계학적 부분에서의 기계학습 방법론은 국내와 국외를 통틀어 아직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에 따라 주간과 야간 시간대 보행자 교통사고의 사고 심각성에 대하여 전통적인 통계모형과 LIME 방법론을 활용한 기계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대로’와 ‘로’에서 발생한 보행자 교통사고를 중심으로 주간과 야간 시간대 사고를 분류하고, 연도와 시간대를 대변할 수 있는 통제변수(생활인구, 교통밀도, 토지이용관련 변수, 도로관련 변수 등)를 고려하여 변수를 구성하였다. 보행자 교통사고의 심각성 요인에 대하여 전통적인 통계모형과 IML 방법론의 일종인 LIME을 활용한 기계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전통적인 통계모형과 기계학습 모형의 해석을 비교하여 두 모델 간의 장단점을 도출하고 서로 보완할 방법을 모색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본 연구는 주간과 야간 시간대에 발생하는 보행자 교통사고의 심각성 요인을 전통적인 통계모형과 기계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두 모델 간의 분석 방법론적 장단점을 비교하면서 두 모델을 동시에 활용할 새로운 분석 방법을 도출한다. 둘째, 전통적인 통계모형과 기계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두 모델의 분석결과를 도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서울시에서 ‘대로’와 ‘로’에서 발생한 보행자 교통사고의 심각성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사고개별특성, 기상, 생활인구밀도 및 토지이용, 대중교통 및 도로특성, 연도 및 시간으로 변수를 구축하여 전통적인 통계분석과 기계학습 모형과의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에 대해 연구한 결과, 두 모델은 서로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어느 모델이 우월하다 할 수 없으며, 두 모델을 동시에 사용하여 전체적인 연구의 해석을 보완하는 방향이 적합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연구목표는 서울시에서 발생한 보행자 교통사고의 심각성 요인을 주간과 야간 시간대로 나누어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전통적인 회귀모형과 기계학습 모형을 사용하여 도출한 주요 연구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노인운전자와 노인보행자와 같은 연령대가 높은 사람들은 주간과 야간 시간대 모두 심각성이 높은 사고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며, 특히나 노인보행자의 경우는 전통적인 통계분석과 기계학습 분석 결과에서 모든 요인 중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보행안전대책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운전자들을 야간 시간대에 보행자 교통사고를 발생시킬 경우 사고 심각성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만 16세에 면허를 딸 수 있는 이륜차 운전을 비롯하여 무인대여시스템을 차용한 렌터카 시스템 등 현재 청소년들이 운전환경에 쉽게 노출되는 만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개편이 필요하다. 셋째, 주간과 야간 시간대 모두 교통밀도가 높아질수록 사고 심각성이 저감되는 경향을 보인다. 교통밀도는 교통량을 속도로 나눈 산식인 만큼, 교통량이 많은 곳에 속도를 감소시키는 정책을 세울 경우 사고 심각성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2차로 이하의 일방통행도로로 지정된 장소는 주간 시간대에 심각한 사고가 발생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따른 보행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2차로 이하의 좁은 일방통행도로는 불법주정차로 인한 시야 가림으로 운전자와 보행자의 시야를 차단하여 심각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교차로 내 교통섬 사이에 존재하는 2차로 이하의 좁은 일방통행도로의 경우, 보행자들이 횡단보도를 이용하기 위해 필수로 건너야하는 만큼 무단횡단도 빈번히 발생되는 지역이기에 심각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2차로 이하의 일방통행도로와 교차로 내 교통섬에 대한 보행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있는 도로에서 주간 시간대와 야간 시간대와 관계없이 중상이상의 심각한 보행자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지나다니는 버스들의 속도 문제와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 및 주변에서의 무단횡단 행태가 가장 큰 요인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버스의 과속문제와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을 징검다리 삼아 무단횡단을 시도하는 행태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여섯째, 가로변버스전용차로가 있는 도로에서 야간 시간대에 중상이상의 심각한 보행자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야간 시간대에 가로변버스전용차로의 운행시간이 종료되어 버스 이외의 차량이 진입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고 심각성이 높아지는 구체적인 원인을 분석한 연구가 드물기에 추후에 이를 주제로 하는 추가적인 보행안전 연구가 필요하다. 일곱째, 횡단보도 사고는 야간 시간대에서 심각한 보행자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시인성 측면에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야간 시간대의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조명식 횡단보도와 같은 대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주·야간 시간대 보행자 교통사고의 사고 심각도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비집계화된 원자료인 보행자 교통사고의 지점 자료를 분석단위로 설정한 후, 전통적인 통계분석과 기계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두 모델을 비교한 후에 종합적으로 서울시 주·야간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 요인을 분석하고 보행자 안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는 2018년 11월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윤준호·이수기, 2018(2))와 2019년 4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윤준호·이수기, 2019(1))에서 발표되었으며, 2019년 12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인 「국토계획」에 ‘서울시 주·야간 시간대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으로 게재되었다(윤준호·이수기, 2019(2)). 또한, 기계학습 방법론과 LIME 방법론을 활용한 분석 결과의 일부는 2019년 12월 한국지역학회 후반기 학술대회에서 ‘기계학습과 LIME 방법론을 활용한 서울시 보행자 교통사고의 심각도 분석’으로 발표되었다(윤준호·이수기, 2019(3)).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자기개발 욕구에 미치는 영향
윤준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근무환경과 자기개발욕구의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자기개발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근무환경, 자기개발욕구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자기개발욕구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3. 보육교사가 인식한 근무환경과 자기개발욕구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4.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자기개발욕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원, 평택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성복련(2010)이 선행연구의 척도를 참고하여 개발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가 인식한 근무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연하와 김양은(2008)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개발욕구 측정 도구는 김성희(2003)가 개발한 것을 이소희(2015)가 수정 및 보완한 척도를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근무환경과 자기개발욕구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분석했고,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자기개발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 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자기개발욕구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자기개발욕구의 하위 요인과의 상관관계는 전문적 발달영역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조직적 발달영역, 개인적 발달영역 순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원장이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이해와 실행도가 높다고 보육교사가 인식 할수록 자기개발욕구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근무환경과 자기개발욕구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인식한 근무환경과 자기개발욕구의 하위 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전문적 발달영역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조직적 발달영역, 개인적 발달영역 순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보육교사가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생각할 때 자기개발욕구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자기개발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은 자기개발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자기개발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하위 요인 중 조직 환경과 교사사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과 합리적인 규정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자기개발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으로 확인되었고, 근무환경의 하위 요인 중 자기개발욕구를 높이는 요인은 조직환경과 교사사기, 의사소통과 합리적인 규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자기개발욕구와 관련성은 있지만 결국 보육교사가 만족할 만한 근무환경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자기개발욕구에 영향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장은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급여수준, 조직문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능력 등을 보육교사가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보육시설 운영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국가는 국공립 시설과 차별 없는 급여체계도입, 각종 복리후생(휴가제도, 근무시간, 휴게시간 등)제도 도입 및 적극적인 실천과 보육교사의 쾌적한 근무환경을 위해 민간 보육시설 환경개선을 위한 재정지원 확대를 통해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만족도를 높혀 보육교사의 지속적인 자기개발을 함으로서 양질의 보육을 제공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working environment and self-development desire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working environment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self-development desire.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regard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working environment, and desire for self-opening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self-development desire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3.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and the desire for self-development? 4. What is the effect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working environment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self-development desi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uwon and Pyeongtaek. To measure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principal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 the servant leadership questionnaire of the principal developed by referring to the scale of the previous studies by Sung Bok-ryun (2010) was used. To measure the working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the scal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im Yeon-ha and Kim Yang-eun (2008) was used. The scale developed by Kim Sung-hee (2003)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ee So-hee (2015)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 and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desire for self-developm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working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 on the desire for self-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he desire for self-development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and the sub-factors of self-development need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rea, followed by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area and the personal development area.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childcare teachers recognize that the director has a high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servant leadership, the higher the desire for self-development.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and the desire for self-develop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and the sub-factors of self-development needs was the highest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rea, followed by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area and the personal development area.,This means that when the child care teacher thinks positively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e desire for self-development increases. Thir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working environment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self-development desire, the working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evelopment desire.,On the other hand,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directo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development desire of the childcare teacher. Among the sub-factor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 frau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Also, communication and rational regula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nd interaction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the effect of the child care teachers' self-development needs was confirmed by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child care teachers, and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self-development need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working environment were organizational environment, teacher fraud, communication and reasonable regulations.,This result means that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is related to the child care teacher's self-development needs, but eventually it does not affect the self-development needs unless the child care teacher's satisfactory working environment is supported.,Therefore, the director need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operation of childcare facilities to create a working environment that can satisfy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physical environment, salary leve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rvant leadership ability. The state introduces a salary system without discrimination from national and public facilities, introduces various welfare systems (holiday system, working hours, rest time, etc.) and actively implements financial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of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for the pleasant working facilities of childcare teachers. The expansion of th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child care teachers should be increased and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quality child care through continuous self-development of the child care teachers should be prepared
MOCVD를 이용한 Enhancement 타입의 ZnO Thin-film Transistor 연구
윤준호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는 상용화에 용이한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ZnO 박막 성장 시 조건을 변화하여 defect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positive 문턱전압 값을 가지는 enhancement type의 ZnO TFT를 만들었다. 추가로 P-type ZnO 개발을 위해 5족 원소(P, N ,As)와 Mg(magnesium)를 포함하는 물질(P2O5, N2O, GaAs, CPMg)를 불순물로 첨가하여 acceptor로의 작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에 의한 치료효과와 ISDR 염기서열의 관련성
Interferon-α (IFN-α) and ribavirin combination therapy is a treatment currently available for chronic hepatitis C virus (HCV), but is not so effective for a number of patients. In addition, this treatment is so costly and provokes many side-effects. Therefore, it’s very important to distinguish those patients for whom the combination therapy would be effective before beginning the treatment.One of the Japanese scientists found a small region of the nonstructural protein 5A (NS5A) gene product of HCV is correlated with the IFN responsiveness and named this sequence interferon sensitivity determining region (ISDR). Many researchers reported similar results, while other studies concluded this correlation meaningless.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such a correlation in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virus type 1b and to find the predictive factors for interferon-α and ribavirin combination therapy.The patients are grouped by effectiveness of this therapy. Group A consists of completely responded patients for chronic hepatitis and group B no-responded patients. This study focused on clinical findings and ISDR sequences, and we found age, HCV RNA titer before treatment and ISDR type may be used as predictive factors for interferon-α and ribavirin combination therapy. After adjustment of age and HCV RNA titer before treatment, the ISDR sequence may be a more potent predictive factor. If these factors are used to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interferon-α and ribavirin combination therapy, it would be very helpful for patients. 현재 만성 C형 간염의 치료에는 인터페론과 리바비린의 병합요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치료비가 과중하고 부작용이 커서 환자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모든 대상 환자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치료효과를 볼 수 있는 환자를 선택하여 치료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고빈도변이 부위(hypervariable region) 염기서열의 다양성과 같이 치료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연구자들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보고되곤 했다.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interferon sensitivity determining region (ISDR)의 염기서열이 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의 치료효과와 어떤 상관성을 지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는 여러 가지 형이 존재하고 있고, 각 형태에 따라 치료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C형 간염의 원인으로 60-80 %를 차지하는 1b형을 선택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ISDR 염기서열과 함께 여러 다른 인자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치료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고자 했다. C형 간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 후 치료효과를 얻은 군과 치료효과를 얻지 못한 군으로 나누어서 HCV RNA의 ISDR 부위 염기서열을 포함한 여러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본 연구 결과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의치료효과에 대한 예측인자들은 환자의 나이, 치료 전 HCV RNA titer, ISDR 부위 염기서열이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치료효과를 얻은 실험 군에서 환자의 나이가 치료효과를 얻지 못한 실험 군에 비해 낮게 확인되었으며, 치료 전 HCV RNA titer도 치료에 효과를 보인 실험 군에서 낮게 확인 되었다. ISDR 부위 염기서열은 변이발생 빈도가 높을수록 병합요법에 의한 치료가능성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예측인자로 확인된 환자의 나이와 치료 전 HCV RNA titer를 고려하여 ISDR type과 치료 가능성을 비교해 볼 때 mutant type에서 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에 의한 치료 가능성은 wild type에 비해서 8.1 배로 확인되었다.이상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C형 간염 바이러스 1b 형에 의한 간염 환자에서 ISDR 염기서열과 치료 전 HCV RNA titer, 환자의 나이 등을 인터페론과 리바비린의 병합요법 시 치료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이용한다면 사회적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의 하나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윤준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인문 · 사회과학전공 2018 국내박사
This study identifies the nature of competi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brands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domestic outdoor market,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outdoor activities in situations in which the market selection and the withdrawal of multiple brands from the market is forecast, and identifies th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outdoor activity participants. Through this process, the company provides basic data for discovering consumers ' perceptions and differences and developing domestic outdoor industries and setting competitive corporate marketing strateg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an adult male and female population living in the Seoul / Seoul Metropolitan area, engaging in athletic activities or outdoor (e.g. hiking, outdoor walking, cycling, camping, weight trenning, etc.) as of 2017. Of these, 1,750 people have been selected by using the purpose sampling method for outdoor brand clothing and supplies purchases within the past year. For the actual analysis data, 1,500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250 data that were found to be insincere in responding to the same or some of the survey details. The data from survey notes that has been recalled and entered into an analysis sheet and that has been double-counted or unentry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the valid sample computer codes were enter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in the analysis of the computer. In addition,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18.0 version to analyze the confirmatory factor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Firstl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by gender (conspicuous consumption, pragmatic spending, personal consumption), brand preference (brand recognition), and choice attributes (functionality, price, color, design). Propensity to consume (conspicuous consumption, individual consumption), brand preference (brand attachment, brand recognition, brand image), attributes of choice (functionality, fashion, price, color difference), satisfaction with their purchase (quality statistic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significance (quality statistic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conspicuous consumption, individual spending), brand preference (brand attachment), preference attributes (functionality, price, color), and satisfaction with purchase (quality satisfaction).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pensity to consume (conspicuous consumption), attributes of choice (functional, price) and satisfaction with purchase (quality satisfaction). Consumption propensity (conspicuous consumption, practical consumption), brand preference (brand recognition, brand image), optional attributes (function, price, color, design), and purchase satisfaction (quality satisfaction) are statistically based on job trend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pensity to consume (conspicuous consumption), brand preference (brand attachment, brand image), preference attributes (fashion, color) and intent to buy back. Secondly, the propensity to consume by outdoor activ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preference. Thirdly, the brand preference of outdoor activists influences the nature of choice (+). Fourthly, the choice of outdoor activity participants has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satisfaction. Fifthly, the choice of outdoor activity participa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of the repurchase. Sixthly, the satisfaction of outdoor activity participants with the purchas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 to repurchase. 본 연구는 국내 아웃도어 시장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국내·외 다수 브랜드간의 경쟁 격화와 매출 하락으로 인한 다수 브랜드들의 시장 철수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아웃도어 활동 참여자의 활동 특성을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소비성향, 브랜드 선호도, 선택속성, 구매만족 및 재구매의도의 차이를 분석하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인식과 이상점을 발견하고 국내 아웃도어 산업의 발전 및 경쟁력 있는 기업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7년 현재 체육활동 혹은 아웃도어(등산, 야외워킹, 자전거, 캠핑, 웨이트 트레닝 등) 활동을 하며 서울/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남녀로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최근 1년 내 아웃도어 브랜드 의류 및 용품을 구입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목적표집 추출방법(purposive sampling selection)을 이용하여 1,750명을 선정하였다.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동일응답, 무기입 등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250부의 자료를 제외한 총 1,500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에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한 후 동일응답 및 무기입한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유효표본만을 부호화(coding)하였으며, 부호화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AMO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공변량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 소비성향(과시적 소비, 실용적 소비, 개성적 소비), 브랜드 선호도(브랜드인지), 선택속성(기능성, 가격, 색상, 디자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연령에 따라 소비성향(과시적 소비, 개성적 소비), 브랜드 선호도(브랜드 애착, 브랜드 인지, 브랜드 이미지), 선택속성(기능성, 유행성, 가격, 색상), 구매만족(품질만족, 유행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결혼유무에 따라 소비성향(과시적 소비, 개성적 소비), 브랜드 선호도(브랜드 애착), 선택속성(기능성, 가격, 색상), 구매만족(품질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학력에 따라 소비성향(과시적 소비), 선택속성(기능성, 가격), 구매만족(품질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직업에 따라 소비성향(과시적 소비, 실용적 소비), 브랜드 선호도(브랜드 인지, 브랜드 이미지), 선택속성(기능성, 가격, 색상, 디자인), 구매만족(품질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소득에 따라 소비성향(과시적 소비), 브랜드 선호도(브랜드 애착, 브랜드 이미지), 선택속성(유행성, 색상), 재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아웃도어 활동 참가자의 소비성향은 브랜드 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아웃도어 활동 참자가의 브랜드 선호도는 선택속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아웃도어 활동 참가자의 선택속성은 구매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아웃도어 활동 참가자의 선택속성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아웃도어 활동 참가자의 구매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立法權과 憲法裁判權의 關係에 관한 硏究 : 입법권과 헌법재판권의 갈등 및 해소방안
국민이 선출한 의회가 헌법을 침해할 수도 있다고 하는 개연성은 19세기 초인 초기입헌주의에서는 인정되지 아니하였다. 그 이유는 의회가 군주에 대항하여 가장 먼저 입법에 대한 지분을 쟁취하였으며 군주에 의한 침해 앞에서 헌법을 실현하는 것으로 파악하였기 때문이다. 즉 군주는 잠재적인 헌법의 침해자이고 의회는 헌법의 수호자로 이해되었다. 이 당시에는 의회에 대한 규범통제의 필요성을 거의 인식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의회에 대한 신뢰는 세계2차대전을 계기로 이제 의회를 불신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특히 법률만능주의의 폐해는 헌법의 우위에 의한 헌법재판의 등장 배경이 되었고, 헌법재판소는 위헌법률심판을 통해 의회의 입법권을 견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위헌법률의 심판을 담당하는 헌법재판소가 그렇다고 하여 무제한적으로 자유롭게 법률을 심판하고 입법권을 견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헌법재판소는 어디까지나 헌법에 구속되어 헌법재판권을 행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헌법재판소는 모든 국가권력에 대한 헌법의 수호자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의회 역시 민주적 정당성을 가진 국가의 중심적인 기관이라는 사실은 의회의 입법권과 헌법재판권 양자간의 충돌을 해결함에 있어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헌법재판제도의 확대로 인한 문제로서 입법권과 헌법재판권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살펴보면서,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헌법재판제도의 근본적인 취지에 맞는 제도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개선반응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국회입법권 및 헌법재판제도의 일반이론과 우리나라에서의 현황을 중심으로 미국, 독일의 사례와 비교하면서 각 현상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범위로 확정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헌법재판제도의 일반이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입법권과 헌법재판권의 관계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제1절 국회와 헌법재판소의 헌법상 지위 및 상호관계, 제2절 입법권과 헌법재판권의 범위와 한계를 살펴본 후, 제3절에서 입법권과 헌법재판권간의 긴장관계을 파악한다. 제4장에서는 긴장관계의 해소방안으로서 제1절 헌법의 해석권자는 누구인가, 제2절 학설에 의한 대응방안 그리고 제3절에 국회의 대응방안을 고찰해본다. 제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으로서 이상의 살펴본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간략하게 요약하며 양자간의 긴장관계의 해소를 위한 바람직한 모습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robability which it says that there is a prejudience where the National Assembly which the citizen elects will infringe a constitution is not recognized from 19 centurial superhuman initial mouth libations. The reason the National Assembly about under opposing most first wins the equity against a legislation to the sovereign and it is in order the fact that a constitution from before infringing in compliance with the sovereign it comes true. The namely sovereign disguied infringement of latent constitution and the National Assembly slept and protection of constitution with it was understood. To this time almost it does not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normative control against the National Assembly. The trust regarding like this National Assembly world-wide World War II with opportunity recently flowed with the direction which disbelieves the National Assembly the store and it became. Specially almighty legalism becoming the appearance background of the constitutional justice in compliance with the high position of constitution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Constitutional Court will lead and unconstitutional legal judgment volume it will be able to hold the mouth legal right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takes charge of the judgment of unconstitutional law is like that, about under it will judge a law unlimitedly and freely is not the fact that it will be able to hold a legislative power. Because the Constitutional Court until where or must be bound in constitution and it must exercise a legal core private right and it is because. Today the Constitutional Court have place and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against all political powers as it is located hold. But the National Assembly as well the fact which is a central agency of the nation which has a democratic justifiability solves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collision of unconstitutional legal judgment volume circumstances for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o be, from it is not easy it causes. It is like that currently as the problem which is caused by with magnification of the constitutional justice system which from our country is enforced to try to observe the relationship of legislative power and Constitutional judicial power theoretically, from the problem point which is immanent in the inside about under escape the place the possibility of catching in order to be with the system which hits to the basic gist of constitutional justice system, improvement program the man with underdeveloped genital organ under evening twilight it is to do from the present paper. If consequently general theory of National Assembly legislative power and constitutional justice system and present condition from our country in the center under instance and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from it analyzed each actual condition and the conclusion against him the low of escape decided upon the thing at research scope. First regarding the general theory of Constitutional judicial power it tried to observe from 2nd chapter.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legislative power and Constitutional judicial power it investigated from 3chapter. 1st paragraph National Assembly and postion and correlation at the Constitution of Constitutional Court, after trying to observe the scope and a limit of 2nd paragraph legislative power and Constitutional judicial power, it graps legislative power and the tension relationship of Constitutional judicial power for from the 3rd paragraph. From 4th chapter as solution plan of relationship of tension sweeping 1st paragraph Constitution to do it sleeps and the troblesome job offer, investigation tries a National Assembly confrontation plan in the confrontation plan in compliance with a 2nd paragraph theory and the 3rd paragraph. From 5th chapter as conclusion of the present paper the contents which above it tries to observe simply synthetically, it summarizes and it respects desirablely features the solution of tension relationship of circumstances for and under presenting the man with underdeveloped genital or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