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할이 뇌조직의 Na^(+)-K^(+)-ATP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윤종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Buthus extract(BTE) affects Na^+-K^+-ATPase activity of nervous tissues. The enzyme activity was measured in synaptosomal fraction prepared from rabbit brain cortex. Na^+-K^+-ATPase activity was inhibited by BTE over concentration range of 0.05-0.5%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nzyme activity was increased by an increase in Na^+ concentration from 5 to 100mM, K^+ concentration from 0.5 to 10mM, and Mg^(2+) concentration from 0.2 to 5mM. These changes in ion concentrations did not produce any effect on the inhibitory effect of BTE on Na^+-K^+-ATPase activity. An increase in ATP concentration from 0.1 to 3mM caused an increase in the enzyme activity. The inhibition of the enzyme activity by BT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ATP concentrations. A sulfhydryl group protector DTT prevented PCMB-induced inhibition of Na^+-K^+-ATPase activity, but the BTE-induced inhibition was not altered by DTT. The inhibition of enzyme activity by combination of ouabain and BTE was not different from that by Buthus al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uthus exerts inhibitory effect on Na^+-K^+-ATPase activity in cerebral synaptosomes, and the action mechanism is similar to that of ouabain.

      • 음악 감상 수업 방법 개선 연구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자료 개발 중심으로

        윤종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e and critical intellect, flexibl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finally the capability of effective analysis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to deal actively with the stream to globalization, information-oriented and diversified society in 21st century. Also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to listen to classical instrument music utilizing multimedia and the scheme to improve instruction method are the other facets of the research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consequently.The details in pursuing this research are as follows.First,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materials is to be drafted to listen to classical instrument music mostly and to understand its form rather easily.Second, the improvement plan of instruction method through the materials referred is to be outlined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which connects to learning of composition and instrument music, is to be applied further.For these purposes, the materials to listen to music was produced utilizing the software like PowerPoint, Flash and many moving images with other editing programs.In terms of application of the materials to class, a differentiated instruction method was pursued. Multimedia materials to stimulate students’motives should be used in the earlier stage of class and expanded to learning of instrument music and composition consequently. Getting students to have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their own efforts in research and analysis, is the ultimate purpose of class simultaneously.The multimedia materials made by teachers themselves and applied to class, has proven its features related to extraction of students’ interest and the efficient class management.This might be achieved by improvement of teachers’ ability in utilizing multimedia as well as by fully and well organized multimedia equipments. More over, research on the instruction method inducing students’ creative way of thinking to improve their abilities in learning, should be pursued continuously.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과 유연성 있는 문제 해결 능력,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석, 종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예술적 심미안을 갖출 수 있도록 7차 교육과정에 맞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기악중심의 고전음악 감상 자료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수업방법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본 연구의 실행 목표는 다음과 같다.첫째, 기악곡 중심의 고전 음악의 형식을 쉽게 이해하고 이를 감상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개발을 구안한다.둘째, 감상자료를 통한 수업 방법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발전하여 창작과 기악학습으로 연계되는 교수-학습자료를 개발 적용한다.이러한 실행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파워포인트와 플래시를 이용하여 음악 감상 자료를 제작하였다. 자료 제작을 위하여 사보용 프로그램 및 동영상자료와 편집 프로그램등을 사용하였다.제작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에 적용함에 있어 기존 수업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수업 방법을 모색하였다. 멀티미디어 자료는 학습자의 동기유발과 수업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되어야 하며 이것을 매개로 기악학습 및 창작학습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이에 학생들이 음악에 있어 최종 목표는 심미적 체험이며 이에 도달하기 위하여 스스로 노력하고 탐구하고 분석하여야 함을 깨닫게 한다.이러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교사 스스로가 연구하여 제작하고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흥미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이러한 자료의 활용을 위해서는 멀티 장비가 잘 갖추어져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멀티 장비 활용 능력이 향상 되어야 한다. 이는 단순한 자료의 활용이 아닌 학생 중심의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창의적 발상을 유도하는 수업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 정책분석 : 강원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윤종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교육청의 학교비정규직에 대한 처우개선 정책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학교비정규직에 대한 정책집행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과제를 발굴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공공부문에서 노동시장의 유연성 해석과 학교비정규직의 고용안정 및 직무만족도 향상 방안에 관해 이론적인 검토를 하였다. 둘째, 2004년부터 시행된 정부와 강원도교육청의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개선 정책을 개관 · 평가하고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강원도 내 18개 시·군 중 9개 시·군 32개교 417명의 학교비정규직원을 대상으로 강원도교육청이 시행한 처우개선 정책 효과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처우개선 정책에 대한 인지수준, 고용안정 정책, 무기계약 전환 전·후 직무만족도 변화 추이, 사기진작 및 노동권익 보호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① 비정규직 문제가 대두된 시기는 고용유연화가 시대적 흐름이 된 IMF 금융위기 직후이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성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장치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비정규직은 급속하게 증가하였고 비정규직의 고용불안, 저임금, 차별은 심각한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하였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35만 명 중 15만 2천명(43%)의 학교비정규직의 고용조건도 열악하다. 노동시장 고용유연화와 각종 교육정책 시행으로 양산된 학교비정규직의 고용안정과 직무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각종 처우개선 정책은 정부와 지방교육행정기관이 공조하고 연구하여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② 정책분석은 2004년부터 수립된 정부와 강원도교육청의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개선 정책에 대해서 고용 정책, 임금 정책, 사기진작과 노동권익 정책을 2004년-2009년까지 2010년-2012년으로 나누어 정책분석을 실시하고 각 정책 원인별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2004년부터 시작된 학교비정규직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저임금 고용을 기조로 한 채용조건과 임금조건을 고수하며 사회적 신분 등에 대한 법률적 규정이 없이 단지 임시방편적인 규정과 지침만으로 관리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강원도교육청도 2004년부터 2009년까지 학교비정규직에 대한 처우개선 정책은 위와 다를 바 없었으나 2010년 민병희 교육감 당선 이후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다. 연봉 인상과 수당 신설, 장기근무가산금 지급, 정년연장, 교육감직접고용, 노조와 단체협상 등의 조치를 취하여 일부 정책은 전국 교육청에서 최초, 또는 전국교육청에서 최대의 처우개선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 정책 추진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가 요구하며 11월 중순 파업까지 감행한 ‘호봉제 실시’, ‘교육공무직원 신설’ ‘기능직공무원의 일반직 전환 같은 정규직화’ 등은 지방교육자치단체장인 교육감이 해결하기에는 법규적 측면, 재정적 측면, 지역적 측면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학교비정규직의 처우개선 정책 원인별(고용안정화 정책, 임금 인상 등 처우개선 정책, 사기진작 및 노동권익 보호 정책)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⑴ 구조조정과 자의적 해고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학교장 고용계약을 교육감직접고용체계로 바꾸어야 한다. ⑵ 학교비정규직에 대한 정부 차원의 통일 된 처우개선정책 (법률적 신분확정-법규적 정책, 통일된 임금제도-재정적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⑶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에서 학교비정규직의 사용자를 교육감으로 결정했다. 교육감은 학교비정규직노조와 단체교섭을 실시하여야 한다. ⑷ 학교비정규직 연령층의 다수가 30대-40대(약63%, 본 논문 설문분석)이므로 무기계약 전환정책과 관련하여 장기적인 인력수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⑸ 학교비정규직 전체에 대한 교육훈련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정규직공무원에 준하는 건강검진을 실시하여야 하겠다. ③ 그동안 강원도교육청이 시행한 각종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 정책에 대한 인지수준, 무기계약 전환 이전 · 이후 변화추이, 사기진작과 노동권익 보호, 순환근무제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무기계약 전환 이전 · 이후 변화, 기간제 근로자와 무기계약 전환자의 정책에 대한 의식 수준에 대하여 교차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⑴ 강원도교육청이 시행한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 주요정책(7가지)에 대해서는 대체로 양호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분석결과 고용안정 정책이나 임금인상 정책 등 직접적으로 일자리 유지나 임금과 직결 된 처우개선 정책에 더욱 많은 관심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⑵ 교육감 직접고용체제로 제도가 바뀌었다. 교육감직접고용 전에는 68% 정도가, 교육감직접고용 후에는 51% 정도가 고용불안을 느낀다고 응답하여 17% 이상 고용불안에서 해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⑶ 직무만족도 조사항목(업무만족, 임금, 고용, 교육훈련, 근무여건, 대인관계)의 무기계약 전환 이전과 이후 직무만족도의 변화추이는 대체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⑷ 강원교육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한 응답은 기여를 하고 있다가 76%이상, 보통이다가 17%로 강원교육 종사자로서의 정체감은 투철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⑸ 현행 임금제도에는 대다수 호봉제 미 시행, 기준임금 낮음으로 응답하여 새로운 임금제도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순환근무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부정적인 시각을 보여 주었다. 강원도교육청이 시행한 학교비정규직에 대한 처우개선 정책의 설문분석 결과는 개선이 쉽지 않는 임금정책을 제외하고 학교비정규직원의 직무만족 수준이 점차 개선되어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으며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응답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동안 추진한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 정책에 대해 정책분석과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한 결과 강원도교육청은 고용유연화 정책과 각종 교육시책 시행에 따라 양산 된 비정규직 근로자의 보호라는 관점에서 일정부분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으나 전반적인 학교비정규직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처우개선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과 보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비정형 콘크리트 패널 생산용 콘크리트 압출 노즐 개발 연구

        윤종영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기존 건축양식과 디지털 기술들이 결합된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건축물이 구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레빗, 라이노, CATIA,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등과 같은 기술들이 비정형 건축물 설계에 사용된다. 이러한 컴퓨터 기술은 곡선, 비틀림 등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된 비정형 건축물을 설계하는데 있어 용이하게 사용된다. 이를 실제로 구현하는데 있어 다양한 한계점이 있다. 대표적으로 비정형 건축물의 외형은 다양한 곡선을 지녔기 때문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요구되는 패널의 곡면과 곡률이 다르다. 이러한 비정형 패널을 제작하기 위해 거푸집은 맞춤제작되며 이는 일회성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맞춤제작된 비정형 거푸집은 사용이 끝난 후 건설폐기물로 이어져 이를 처리하는 비용이 발생하며 환경오염을 야기 시킨다. 또한 비정형 거푸집의 설계는 첨단기술인 반면 제작과정에는 인력이 사용되어 제작과정에서 빈번한 오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제작된 패널의 형상과 설계형상이 달라져 시공오차의 발생 및 품질 저하 등의 한계점이 있다. 전술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FCP(Free-form Concrete Panel, 비정형 콘크리트 패널) 자동생산 장비가 개발되었다. 이는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기계를 기반으로 제작된 장비로 양면다점 프레스 장비와 측면형상 제어장비로 구성된다. 제작하고자 하는 비정형 패널의 형상대로 장비가 움직여 거푸집을 완성한다. 이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정밀하게 FCP 제작이 가능하여 시공오차를 저감시킨다. 그러나 현재 개발중인 단계에 있으며 완성된 FCP 거푸집에 인력으로 콘크리트를 압출하고 있다. 이러한 압출 방식은 곡면으로 구현된 FCP 거푸집에 측압을 발생시켜 설계형상이 무너지거나 시공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밀하게 FCP 거푸집 내부를 채울 수 있는 비정형 콘크리트 패널 생산용 콘크리트 압출 노즐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노즐의 요구성능에 대한 성능평가 및 검증을 위해 실험하였다. 1. FCP 생산용 콘크리트 압출 노즐 개발 FCP 생산용 콘크리트 압출 노즐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된 연구사례를 분석하였다. 기존 콘크리트 압출 노즐의 목적은 정밀하게 콘크리트를 압출하여 구조체를 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압출용 노즐이 FCP 자동생산 장비에 적용되며, 완성된 FCP 거푸집 내부에 설계형상에 영향 없이 콘크리트를 채우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선행 연구를 통해 FCP 생산용 콘크리트 압출 노즐만의 새로운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는 총 5가지로 Pumpability, Workability, Extrudability, Buildability, Flowability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노즐부, 개폐부, 제어부로 구성된다. 노즐부는 압출 전 콘크리트가 공급되어 비벼지는 믹싱탱크가 있다. 콘크리트 비빔을 위해 콘크리트 압출용 스크류와 스크류 회전용 모터가 있다. 이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기능으로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노즐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조절 기능으로 콘크리트의 압출과 정지 및 압출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개폐부는 콘크리트의 압출과 정지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노즐 압출구에 슬릿형 개폐장치가 설치되었다. 슬릿형 개폐장치는 공압실린더가 슬릿을 잡고있는 형태로 콘크리트를 압출 시 개방되어 있다. 압출을 정지 시 공압실린더가 슬릿을 강하게 밀어 압출구를 폐쇄시킨다. 제어부는 컨트롤 박스를 통해 노즐의 기능을 작동시킨다. 압출속도는 8단계로 조절이 가능하다. FCP 거푸집의 형상에 따라 곡면이 있는 단부와 중앙부로 구분된다. 중앙부는 빠르게 압출하여 콘크리트를 채우며, 단부는 곡면이 있어 정밀하게 천천히 압출하여 설계형상에 영향을 가하지 않게 한다. 개폐 조절 기능은 필요한 순간에 스위치를 통해 슬릿을 움직여 압출을 정지시킨다. 압력 조절 기능은 노즐 내부에서는 압출구가 수직인 형상이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중력에 의해 압출되려는 힘이 있다. 정지 시 압출구가 폐쇄되더라도 압출되려는 힘이 클 경우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출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출을 정지 시 회전방향을 역회전으로 변경시켜 순간적으로 노즐 내부에 콘크리트를 끌어올리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는 압출되는 콘크리트의 힘과 상쇄되며 차단되는 슬릿에 의해 누출 없이 압출구를 완벽하게 폐쇄한다. 2. FCP 생산용 콘크리트 노즐 압출 실험 노즐의 압출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앞서 도출한 요구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을 선정하였다. 기본특성, 워커빌리티, 압출성으로 선정하였으며 본 노즐의 목적은 FCP 거푸집을 채우는 것이기 때문에 압출성에 큰 비중을 두어 실험하였다. 압출에 앞서 비정형 콘크리트에 적합한 배합비의 선정을 하기 위해 W/C 30,35,40,45%로 실험하였다. 이때 압출성이 부족한 배합비에서는 끊김현상이 발생하여 연속적인 타설이 불가했으며 압출된 형상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 중 40%의 경우 연속적으로 압출되었으며 균열 발생없이 일정한 형태로 압출되었다. 그러나 슬럼프 수치가 190mm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이는 기준인 160mm(±25)를 초과하였다. 따라서 W/C 36,37,38,39%로 세부적으로 실험하였다. 36,37%에서는 압출된 형상에 끊김현상이 발생하여 균열이 확인되었다. 38%와 39%는 압출성이 좋아 연속적인 압출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38%의 압출형상에서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였다. 슬럼프 수치는 38%가 135mm, 39%가 180mm로 두 배합비 모두 기준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압축강도가 높은 38%를 FCP 최적 배합비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38%는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배합비의 문제가 아닌 투입구의 넓이와 압출구의 넓이가 동일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압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출구를 개선하기 위해 압출구의 넓이를 좁힌 수직형상의 직사각형 압출구와 직사각형 압출구의 측면에 반타원형 보정이 들어간 압출구를 제작하였다. 두 압출구를 통해 압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경로에 따라 원할히 압출된 수직 보정형 압출구로 선정되었다. 3. FCP 조기 양생 실험 FCP를 생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은 크다. 콘크리트에 열에너지를 가할 경우 압축강도 발현 시간을 단축시켜 조기양생이 가능하다. 조기양생의 기준은 KCS 14 20 12에 의하면 압축강도 5MPa 이상 시 거푸집의 해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노즐의 가열성능을 추가하였을때 속경성을 확보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타설 중 가열하는 직접 가열방식과 타설 후 가열하는 복사열 가열방식으로 실험하였다. 직접 가열방식의 경우 상온, 20, 40, 60, 80℃로 실험하였으며 초결과 종결 시간,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속경성은 확인하였으나 지나치게 열에너지를 가하는 경우 압축강도 저하 및 경화 시간이 지연되었다. 복사열 가열방식의 경우 40, 50, 60℃로 실험하였다. 석영관 히터를 사용하여 양생중인 콘크리트에 열에너지를 가하였으며 각 온도에 따른 초기 압축강도 발현지점을 확인하였다. 실제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패널을 제작할 시 FCP 패널을 조기양생하여 생산 시간을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거푸집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FCP 자동 생산 장비에 사용되는 노즐을 개발하였다. 이는 구조체를 제작하는 것이 아닌 제작된 FCP 거푸집 내부를 형상에 맞게 측압 발생없이 정밀하게 압출하여 채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정밀한 압출 기술은 패널의 정밀한 형상구현이 가능하며 고품질의 패널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실험은 기초적인 실험으로 최적 배합비 선정, 압출구 개선, 모르타르 압출 실험, 가열성능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하여 새로운 콘크리트 압출용 노즐을 제작하며 추후 FCP 생산 장비에 탑재시키기 위해 소형화 및 자동화가 요구된다. 참 고 문 헌 54 ABSTRACT 59

      • Lactobacillus paracasei HR-001에 의한 글루텐 저감 발효국수 제조에 관한 연구

        윤종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유산균 발효 기술을 통해, 글루텐을 분해함으로써, 소화 장애 문제로 국수를 즐겨 먹지 못하는 대다수 소비자들이 편안하게 먹을 수 있는 발효 국수를 제조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젓갈로부터 유산균을 분리 하고, 이들 중 밀 글루텐을 분해하는 능력이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선발된 유산균 또는 유산균이 생산하는 글루텐 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국수를 제조한 후, 글루텐의 분해 정도 및 국수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글루텐이 분해된 발효국수 시제품의 글루텐 분해율을 측정하고, 품질을 평가함으로써, 대량 생산 및 상업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젓갈로부터 글루텐 분해능이 우수하며 상업적 이용이 가능한 Lactobacillus paracasei HR-001 유산균을 분리하고 동정하였으며, Lactobacillus paracasei HR-001 유산균이 생산하는 글루텐 분해 효소를 분리하고 정제하였다. 젓갈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aracasei HR-001 유산균이 발효국수 제조에 적합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글루텐 분해능을 확인하였고,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protease 활성, 유기산 분석 등의 생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MRS 배지에서의 세포 성장 및 글루텐 분해능 평가, 탄소원의 분석, 질소원의 분석 등의 배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발효국수의 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된 Lactobacillus paracasei HR-001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국수 시제품을 제조하였고, 시제품의 글루텐 분해율을 측정하였고, 물성과 관능 측면에서 기존 제품과 비교하여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전자현미경(SEM) 사진을 통해 글루텐이 분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Transglutaminase, 검류, 당류, 전분류 등의 첨가가 발효국수의 쫄깃한 식감을 보완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소금의 첨가가 글루텐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발효국수의 대량 생산 및 상업화를 위하여 압연방식과 압출방식 두 가지 형태로 시제품을 제조하였으며, 발효국수의 대량 생산에 적합한 공정을 설계하였고, 압연방식과 압출방식 두 가지 형태로 제조한 시제품이 기존 제품과 품질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효국수 시제품이 기존 제품과 비교하여 물성과 관능 측면에서 뒤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압연방식과 압출방식, 두 가지의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두 가지 시제품 모두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focuses on commercially developing fermented noodles by using Lactobacilli. General consumers may enjoy fermented noodles without worrying about possible digestion problems, because of degraded gluten by Lactobacilli. We took three step process for the study. For the first step, we isolated Lactobacilli from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es, such as fermented/salted seafood (Jeotgal). We analyzed species or strain of Lactobacilli to select ones with better ability of gluten degradation. Secondly, we produced noodles after adding Lactobacilli or Lactobacilli enzymes of gluten degradation, and we compared the quality of noodles, and assessed the quantity of gluten degradation. For the third step, we analyzed the possibility of mass production and the commercial opportunity of fermented noodles after considering the level of gluten degradation and quality of fermented noodles. We isolated and selected Lactobacillus paracasei HR-001 from fermented herring eggs. We isolated and purified gluten degradation enzyme produced by Lactobacillus paracasei HR-001. We analyzed biochemical properties and growing culture properties of the selected Lactobacilli. We measured the ability of gluten degradation, and resistance to acidic environment and bile salt hydrolase activity, and resistance to heat, competition with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activity of protease, and organic acid components. We analyzed cell growth on the MRS culture, gluten degradation, and the source of C and N. We selected Lactobacillus paracasei HR-001 based on the current study, and produced fermented noodles using the strain. We measured the gluten degradation of the fermented noodles, compared the noodles with market products for quality, and we confirmed degradation of gluten based on the SEM. We improved taste of the fermented noodles by adding trans glutaminase, gum, oligosaccharide and starch. We improved the gluten degradation rate by removing salt.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the noodles, we produced the fermented noodles by roll pressing and extruding. We suggested appropriate manufacturing processes for mass production, and quality control methods. In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fermented noodles have comparable quality to the current market products, and they can be commercially mass produced by roll-pressing and extruding. With the aging populations, and greater demand for healthier and safer food, we believe that the fermented noodles with degraded gluten have very bright commercial environment in the future.

      • 1950년대 한국 시정신 연구

        윤종영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639

        Korean poems in the 1950 begins with tragic Korean war. Also, the 1950s, after the Liberation of 1945, were the times for creating korean own literature, getting out of the Japanese rulers' influence. Especially, the writers appeared in the back and forth of 1950s had spent their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the Japanese rulers' times. So, they were the generation lost their "Mother Language". Because of that, they were the saddest generation that had experienced the social, political chaos and the disorder of language and ideology at the same time. We can divide into three categories the poets in the 1950s. The first, they are in modernism, the second, traditional poets, the last, the poets of characters participating in reality. Pak took the interest in the problem of " death" continuously, experiencing the spot of death in Korean War. the appearance of death appearing in his poems can be defined of the following. What Pak had understood eventually was that show someone's lives through my death after my becoming another person of another person as having a correct understanding of lives through another person's death. He saw just myself as the subject, not seeing the subject that is watching me. He has the broken consciousness of time, not having the regular consciousness of time. That is because he couldn't overcome the experience of "death" in the Korean War and understand the another person's consciousness. He couldn't help feeling the eschatology of ceasing with the world when he couldn't find another subject that has been being seen as myself. Postwar days, the poem mind that Kim showed was the eternal opposition to the challenges, failures and myths and despair Kim chose the modernist in order to resist against the world of flight from reality spread out all over the country in our days from reality of despair after war. In other words. as for Kim, "Modernism" was not the mimicking of the western spirit, but the one way to cope with lethal reality. Kim was the poet that cherished the cutthroat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in the middle of the reality of postwar. He found the "uneasiness" in the reality as a poet that tried his best not to lose the spirit of the times and didn't surrender to the insecure consciousness and resisted against the reality and poetized the world of the horror, phantom, myth without giving up the insecure unconsciousness. so, he took the central responsibility of the poetic mind that was resistant against the reality after war. That is the state to attain just through incessant struggling with the reality. However, in the end he couldn't overcome this insecure consciousness at all. Therefore, we can define the realistic uneasiness as his limit of poetic mind. The traditional poets were away from the tragedy of the reality after war They poeticized our traditional sentiment and formed the world of permanent principle, or "heartburning(恨)". Two of them, Seo, Pak, could create their own poetic world and produce the main achievements. Seo, during the Japanese rulers' 36 years, was the poet who restored our languages better than before that our race had lost. He, in the disorder caused by the input of the western thoughts, spent most of his times in discovering our traditional concept and idea. As a result, he created his own peculiar poetic world called permanence and shilla spirit as a way to overcome the realistic chaos. However, his permanent doctrine appears in the transformed figure that the lacking desire in reality became. In postwar days of the 1950s, Seo, in Korean poetic group, was the only poet that shared the polarization of concept with the traditional rhythm and away from the postwar reality to an extreme degree. He wasn't different from other traditionalist in that he was away from the reality, but we can find his good point that he created his own poetic world without stopping the Seo's world of concept. Pak formed into the traditional rhythm the heartburning"恨" from his poor experience. Even in the desolate situation and the harshness of the modernism his poetic efforts that inherited and developed ours should be surely evaluated. But when we saw that fatally his heartburning"恨" stepped naturally from the experience over the course of childhood, it is true that his poem was not free from the situation of the times. Like traditionalist , there is no "reality" in the poems of Pak. The time to him is just the return to the past and the realistic situation just exists in time of another past. You would find it difficult to discover in his poems the horror of the war and his senses of the world of the destruction and gruesome antagonism against ideology. The "poverty" appearing often in his poems is not the realistic situation caused by the Korean War, but the personal poverty of experience. There were realistic poets focused on the realistic contradiction of the age contrary to modernist and traditional poets. They poeticized the main causes of the Korean War and the tragedy of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earched for the problem of overcoming partition . Pak and Jun made some noticeable achievements in this fields. The axis of Pak's poetic mind is the will power to overcome the partition. The will power to overcome the partition of Korean Peninsula that was shown in his work, <truce line>, was his poetic mind as well as the poetic assignments searching for his whole life. Pak's poetic torture, despair and his hope stepped largely from the longing for unified country. Even in the private misfortune, the motive power to create his poems was in response to poetic royal summons for overcoming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ak's poems is not away from the reality of nation at all. Even though Pak had limits not developing into the historical motive power because of his ideal disposition, he had a tremendous influence upon poetical circles of the day. Jun was a successful pool in internalizing the war experience that he had gone through personally. So his poems for the War are holding the poetic tension without falling into the rough sentiment. He has two ways to poeticize the War. the first is the way to form objectively. As doing so, we can see and find the War in the denial of human existence ironically, not in the destruction of things. The second is the way to sing the sentimental song of the sadness in War, At this time, the War become a possibility to be overcome because it run into poet's sadness. As examined above, the korean mind of poems in the 1950s makes steady progress from all viewpoints. In view of passing historic position, we can see that the poetic mind had impact upon the present, without hesitating to stay at that time. Modernists, traditionalists and realists all keep on accomplishing their own poetic world coping well with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the day.

      • Webcam기반의 다중 객체 감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윤종영 嘉泉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시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을 분석하여 실세계에 대한 정보를 추론하는 작업은 하드웨어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동작 감지는 실시간 영상 처리를 목적으로 연속된 프레임(frame)에서 움직임이 있는 프레임을 찾아내어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계산량이 적고 처리시간이 빨라 일반적으로 실시간 동작 감지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화소값 차영상 기법을 많이 적용한다. 이 기법을 적용하면 감지영상에서 시차를 두고 입력된 프레임 영상과 참조 프레임과의 화소값 차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있는 프레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영역을 영역화하여 추출함으로써 추출된 영상만을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감지영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화소값 차영상 기법은 움직임이 있는 화소변화에 대해서는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나 느린움직임 감지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영상에 있어 느린움직임을 감지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감지영상에서 움직임 물체를 쉽고 빠르게 검출 뿐 아니라 느린움직임까지 감지할 수 있도록 현재 프레임에 배경 프레임을 이동시켜 움직임 값을 얻어 차연산을 함으로써 느린움직임 감지율을 향상시키고 상황에 따른 적정 임계값을 적용하여 배경물체에서 움직임 물체의 영역만을 추출하기위해 새로운 동작감지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CCTV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종류와 동영상 데이터의 구조 및 움직임 검출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였으며, 움직임 검출 기법의 종류와 그 필요성 및 원리에 대해서 연구 분석하였고, 그 내용을 토대로 느린움직임 감지를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과 그 동작 절차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다중 객체 감지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거리 별로 1M, 5M, 10M에서 각각 50회씩 움직임을 테스트한 결과 기존 시스템보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구현한 다중 객체 감지시스템의 성능이 느린 움직임 감지시 1M에서는 약 1.32배, 5M는 약 1.32배, 10M는 약 1.6배 향상 되었고, 빠른 움직임 감지시 1M에서는 약 1.12배, 5M에 약 1.07배, 10M는 약 1.07배 향상된 것을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