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반영된 문화 내용 분석 : 독해와 문화부분을 중심으로

        윤정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Language is a part of culture and means to carry culture. A language has different values, manners, and beliefs because it has its own cultural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ulture as well as language skills for actual communication. Also, it is impossible to teach a language without culture because language and culture are interwined. Learning culture makes students underst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their own culture better than before. Because a textbook is essential for a student to meet a cul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well English textbooks reflect various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examine whether culture education is conducted in a way to teach multi-cultures in the context of EIL(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To achieve this purpose, four textbooks were chosen at random from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second-year students, and research focused on the cultural contents in these text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1) It is to see how much Britain and American culture is reflected in culture parts and reading parts. It is to compare and analyze cultural contents according to four cultural backgrounds - Korean, Britain and American, other countries and universal culture. (2) It is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in reading parts and culture parts of textbooks according to various thematic standards based on Finocchiaro & Bonomo(1973)and Chastain(1976)'s cultural categories and 17 cultural subjects of the 7th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universal culture in reading parts i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On the contrary, the Britain and American culture in culture parts is much higher than other backgrounds of cultures. (2) These textbooks do not focus on various English-speaking nations' cultures. (3) The subjects of cultural contents are too general and not related with students' life. In conclusion, teaching culture is as important as teaching language. Most English textbooks are not satisfied wi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ultural contents. They should be organized and balanced with 4 cultural backgrounds - Korean, Britain and American, other countries and universal culture. In addition, these contents must consist of a variety of interesting cultural categories based on Finocchiaro & Bonomo(1973)and Chastain(1976) and cultural subjects of the 7th curriculum. A properly balanced amount of subject matter will enable students to develop their communicative ability and develop a well-balanced world view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other countries' cultures. Moreover English textbooks need to handle interesting subjects to motivate students. Finally, the teachers must be capable of giving their students an objective, accurate perception about cultural awareness.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의 기능뿐만 아니라 한 나라의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 언어는 문화의 일부이고, 각 언어에는 문화적 배경이 존재하기 때문에 각 언어마다 다른 가치와 신념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실제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의 4기능 즉, speaking, reading, writing, listening이 중요한 만큼 그 언어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를 이해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현재 지구촌 시대이자 국제화 시대의 영어는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의 의미에서 벗어나서 국제어로서의 영어(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로 인식되고 있어 전 세계의 사람들은 이러한 영어를 세계 공용어로서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이렇게 영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점차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었고, 언어와 문화 관계의 상호관련성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최근에는 문화교육을 토대로 한 영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EFL상황의 경우, 학교 교실에서의 영어교육이 문화교육의 역할을 어느 정도 대신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중에서 영어교과서가 그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주요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본 논문은 현재 중학교 2학년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어교과서들 중에서 임의로 교과서 4종을 선택하여 독해부분과 문화부분을 중심으로 문화 배경과 문화 유형 및 소재에 의한 두 가지 기준에 의하여 문화내용을 분석하고, 각 교과서들의 문제점을 토대로 올바른 영어교육을 위한 영어교과서의 개선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에 얼마나 많은 문화적 소재의 구성과 문화내용이 반영되었는지 분석한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에 4가지 유형의 문화배경이 골고루 분포하고 있지 않다. 즉, 독해부분은 보편문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문화부분은 영미문화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 있는데, 전반적으로 다양한 4가지 문화배경이 적절한 비율로 소개되어 있지 않다. 둘째, 각 교과서의 문화 유형 및 소재에 의한 분석 결과, 특정 문화 소재의 영역에만 편중되어 있는데,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17개의 문화의 요소 중 비율이 매우 낮거나 전혀 제시 되지 않은 영역이 있어 문화소재가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4종 교과서의 독해부분과 문화부분 모두 다른 문화 유형에 비하여 ‘행동문화 유형’이 각각 52.60%, 67.69%의 비율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하여 현행 중학교 2학년 영어교과서에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다양한 문화 내용이 반영되어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론을 통하여 앞으로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영어 교과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교과서의 독해부분과 문화부분 모두 4가지 문화 배경이 균형있게 골고루 소개되어야 하며, 현실적이고 부정적인 사회적 문제 전반까지도 소개하는 참신하고, 다양한 주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문화와 타문화 배경간의 대조되는 문화 소개의 비중을 높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우리문화를 새롭게 인식하고, 타문화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춰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서의 문화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 문화교육을 동반한 올바른 영어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동기 부여와 흥미를 이끌 수 있는 주제들을 교과서에서 주로 다루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학습자들이 중립적인 입장에서 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과 충분한 이해를 통하여 타문화와 한국문화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심어 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 허리 척추수술환자의 수술 후 일상생활기능, 불안, 우울이 통증파국화에 미치는 영향

        윤정은 공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methods of nursing intervention necessary for spinal surgery patients by assessing th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with daily life functions, anxiety, depression and pain catastrophizing, and pain catastrophizing of the lumbar spinal surgery patients.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on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spinal surgery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C City from April to October, 2017. As the research tool, the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Low Back Pain Evaluation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daily life function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anxiety, Beck’s Depression Inventory for depression and Pain Catastrophizing Scale for pain catastrophizing. Data collected was analyzed and confirmed by means of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é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Win 22.0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ubordinate domains of the daily life functions of the lumbar spinal surgery patients displayed the following scores out of the full score of 100 points: 75.84 for low back pain, 56.07 for lumbar function, 57.25 walking ability, 40.78 for social life functions and 57.25 for mental health. Meanwhile the score for anxiety was 43.42 out of the full score of 80 while that for depression was 9.81 out of the full score of 63. Score for the extent of pain catastrophizing was 15.55 out of the full score of 52, while the scores for its subordinate domains including helpnessness, magnification, rumination were 4.76, 3.56 and 7.22, respectively. 2) As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of the differences in the pain catastrophizing in accordance with the sociodemographic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core for the extent of pain catastrophizing in patients without spouse was 18.32 point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ubject with spouse at 14.39 points (t=-2.03, p=.044). The score for the extent of the pain catastrophizing for subjects with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of more than 14 days was 17.92 points, which was higher than that for subjects with less than 14 days of hospitalization at 14.08 points (t=-2.12, p=.036). Moreover, subjects with higher than ‘moderate’ level of backache after the surgery displayed higher extent of pain catastrophizing than the subjects with ‘slight’ level of backache (F=8.35, p<.001). 3) The extent of pain catastrophizing had invers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ordinate domains of the daily life functions, including low back pain (r=-.24, p=.004), lumbar function (r=-.24, p=.005), walking ability (r=-.37, p<.001), social life function (r=- .32, p<.001) and mental health (r=-.53, p<.001). Moreover, the extent of pain catastrophizing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y(r=.46, p<.001) and depression(r=.50, p<.001). That is, the extent of pain catastrophizing was high with lower daily life functions, and with high level of anxiety or depression. 4)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the extent of pain catastrophizing of lumbar spinal surgery patients, it was found that daily life functions, anxiety and depression can predictively explain 40% of pain catastrophizing when the existence of spous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and extent of lumbar pain after the surgery, which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pain catasrophizing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et as the covariates (F=8.25, p<.001).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only the mental health, which is a subordinate domain of daily life functions, imparts significant effect (β=-.23, p=.023). In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mental health among the daily life functions of the lumbar spinal surgery patients is the key influential factor for the extent of pain catastrophizing. Therefore, there is not only a need for physical recovery but also a need for customized method of nursing intervention with consideration for mental health following the lumbar spinal surgery patients in order to lower the extent of pain catastrophizing. 본 연구는 허리 척추수술환자의 일상생활기능, 불안, 우울과 통증파국화의 관계와 통증파국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척추수술환자에게 필요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C시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서 허리 척추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기능은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Low Back Pain Evaluation Questionnaire로, 불안은 State-Trait Anxiety Inventory로, 우울은 Beck’s Depression Inventory로, 통증파국화는 Pain Catastrophizing Scale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é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허리 척추수술환자의 일상생활기능의 하부영역은 100점 만점에 허리통증은 75.84점, 허리기능은 56.07점, 보행능력은 57.25점, 사회생활기능은 40.78점, 정신건강은 57.25점이었다. 불안은 80점 만점에 43.42점이었고, 우울은 63점 만점에 9.81점이었다. 통증파국화 정도는 52점 만점에 15.55점으로, 하부영역 중 무기력한 사고는 4.76점, 과장적 사고는 3.56점, 반추적 사고는 7.22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의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통증파국화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배우자가 없는 대상자의 통증파국화 정도는 18.32점으로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의 14.39점보다 높았다(t=-2.03, p=.044). 입원기간이 14일 이상인 대상자의 통증파국화 정도는 17.92점으로 14일 미만인 대상자의 14.08점보다 높았으며(t=-2.12, p=.036), 수술 후 요통 정도가 ‘중등도’ 이상인 대상자가 ‘경증’인 대상자보다 통증파국화 정도가 높았다(F=8.35, p<.001). 3) 허리 척추수술환자의 통증파국화는 일상생활기능의 모든 하위영역, 즉 허리통증(r=-.24, p=.004), 허리기능(r=-.24, p=.005), 보행능력(r=-.37, p<.001), 사회생활기능(r=-.32, p<.001), 정신건강(r=-.53, p<.001)과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통증파국화는 불안(r=.46, p<.001), 우울(r=.50, p<.001)과는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일상생활기능이 낮을수록 통증파국화 정도가 높았고, 불안 또는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통증파국화 정도도 높았다. 4) 허리 척추수술환자의 통증파국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 중 통증파국화와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배우자의 유무, 입원기간, 수술 후 요통 정도를 공변량으로 했을 때, 일상생활기능, 불안, 우울은 통증파국화를 40% 예측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8.25, p<.001). 그러나 일상생활기능의 하위영역인 정신건강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23, p=.023).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허리 척추수술환자의 일상생활기능 중 정신건강이 통증파국화의 주요 영향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척추수술환자의 통증파국화를 낮추기 위해서는 신체적 회복뿐 아니라 수술 후 정신건강을 고려한 맞춤형 간호 중재 방안이 필요하다.

      • 일반콩 및 땅콩콩나물의 부위에 따른 영양성분 함량 분석 및 품종별 비교

        윤정은 순천향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성장과 더불어 생활수준향상 및 식생활의 변화는 질병의 양상에도 영향을 끼쳐 만성퇴행성 질환증가의 결과를 보였고 이는 노령화시대에 따른 노화예방 및 만성질환 예방 차원에 앞서 기능성 물질 개발연구와 함께 기능성 식품의 중요성을 커지게 하였다. 본 연구는 만성퇴행성질환을 예방하고자 항산화 활성과 항암예방,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는 물질을 탐색하기로 하고 여러 식물 자원 중에서 국내 5품종 콩인 서남, 녹채, 오리알, 다원, 풍산콩과 여주산 땅콩종자를 물에 침지시켜 콩나물과 땅콩나물로 발아시킨 뒤 Vitamin C, Vitamin B group, Amino acid, Fatty acid, Resveratrol 함량을 분석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의 기초자료를 확립하기로 하였다. 총 5품종의 콩과 땅콩을 발아시켜 콩나물로 재배한 시료로 Vitamin C 함량을 분석한 결과 땅콩나물은 콩나물과의 함량 비교시 큰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지만 콩나물과 달리 전장과 자엽부분이 아닌 배축(5.86mg/100g)에 Vitamin C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Vitamin B군 함량을 비교하여 보면 전장에서 땅콩나물이 콩나물에 비하여 niacinamid, pyridoxine, thiamin성분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자엽에서 niacinamid와 pyridoxine이 5.45mg/100g, 12.58mg/100g 으로 가장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또한 땅콩나물과 오리알태 콩나물의 배축에서만 niacinamid와 pyridoxine 함량이 검출되었고 5품종의 콩나물을 제외한 땅콩나물에서 thiamin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었고, 5품종의 콩나물 중 다원콩의 자엽에서 미량의 tiamin을 검출하였다. 전장 자엽 및 배축의 함량분포 비교결과 전장과 배축에 비하여 자엽에서 많은 영양소가 분포됨을 나타냈다. 아미노산함량을 분석한 결과 5품종의 콩나물 및 땅콩나물모두 aspartic acid가 최다함유 아미노산으로 나타났으며 땅콩나물의 배축(4019.57mg/100g)에서는 콩나물 배축에 비해 약 8배 이상의 aspartic acid가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spartic acid와 arginine을 제외한 다른 아미노산의 성분 중 valine, phenylalanine, alanine 등의 성분은 5품종 콩나물들이 비슷한 정도로 분석되었지만 땅콩나물에서는 arginine, valine, serine등의 함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땅콩나물이 5품종 콩나물보다 16종의 아미노산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땅콩나물은 전장과 자엽, 배축 중에서도 특히 배축 부분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방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땅콩나물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icd, arachid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inoleic acid는 서남, linolenic acid는 오리알이 가장 많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MS분석 결과 땅콩나물에서 오메가 6인 arachidonic acid 와 behenic acid 성분이 검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분석한 결과 콩나물에 비해 땅콩나물이(4.15mg/100g) 약 40배 이상의 Rsevertrol성분이 측정되었으며 콩나물과 땅콩나물 모두 함량분포 비교시 자엽보단 배축 부분에서 다량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땅콩나물이 콩나물에 비하여 Vitamin C, Vitamin B group, Amino acid, Fatty acid, Resveratrol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항산화 작용 및 노화예방, 심근경색 등의 만성 퇴행성질환 예방물질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다량 함유한 식품으로 기능성 식품의 새로운 연구물질로 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 스포츠센터 조직구성원의 신뢰와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윤정은 동덕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스포츠센터 조직구성원의 신뢰와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지도교수 양 재 근 체육학전공 윤 정 은 스포츠센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데 착안하여 이 연구는 스포츠센터 조직구성원들의 신뢰와 조직몰입의 관계, 신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신뢰와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조직구성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2009년 서울에 소재한 스포츠센터 7곳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9년 1월부터 4주간 실시하였고, 조사의 표본추출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300명을 표집 하였다. 이중 289부가 회수되었고, 설문지 중 답변누락, 답변불명확, 이중답변, 편향적 답변등과 같은 연구 자료로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설문지 22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267명이었다. 통계처리방법은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경로분석(path analysis)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센터 조직구성원의 신뢰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신뢰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뢰, 감성적 신뢰, 행동적 신뢰는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신뢰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뢰, 감성적 신뢰는 계속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신뢰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뢰, 감성적 신뢰, 행동적 신뢰는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스포츠센터 조직구성원의 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신뢰의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는 양심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신뢰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뢰, 감성적 신뢰는 스포츠맨십에 영향을 미치고, 신뢰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뢰, 감성적 신뢰는 이타주의에 영향을 미치며, 신뢰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신뢰는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포츠센터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은 양심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규범적 몰입은 스포츠맨십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규범적 몰입은 이타주의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규범적 몰입은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스포츠센터 조직구성원의 신뢰와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은 인과관계가 있다. 즉, 신뢰는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To effectively manage a sports center, it is understood that human resources management is highly important; with this idea in mind,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s center employee’s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and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OCB. As this research selected employees of sports centers as its population sample, it examines sports center employees hired in 2009 from seven sports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has examined them for four weeks from January 2009, and randomly sampled a total of 300 people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Among these survey results, 289 sheets were collected. The final data used in the examination was 267 sheets, excluding 22 incongruent sheets which contained an omission of answers, obscure answers, double answers, or prejudiced answers, as those were inappropriate for research data. Using the SPSS 15.0 Program, the statistics management method include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using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irstly, the sports center employee’s trust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more, the subparts of trust, which include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and behavioral trust, influence emotional immersion.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influence continuous immersion. Perceptive trust, emotional trust, and behavioral trust influence normative trust. Secondly, the trust among sports center employees affects organizational behavior. Furthermore, emotional trust, a subpart of trust, influences conscientious behavior.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subparts of trust, influence sportsmanship.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subparts of trust, influence altruism. Behavioral trust, a subpart of trust, influences participatory behavior. Thirdl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ports center employees influences organizational behavior. Furthermore,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trust, subpar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ce conscientious behavior. Normative commitment, subpar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ces sportsmanship. Normative commitment, subpar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ces altruism. Normative commitment, subpar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ces participatory behavior. Fourthly,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of the sports center employe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organizational behavior. In other words, trust influences organizational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 죄르지 리게티(György Ligeti) 《피아노 에튀드》(Études pour Piano, 1985-2001) 전 곡 분석 및 연주법 제안

        윤정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죄르지 리게티(György Ligeti, 1923-2006)의 《피아노 에튀드》 제1, 2, 3권을 통해 리게티의 작곡 양식과 음악세계를 고찰하고, 분석을 바탕으로 연주법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리게티는 정치적으로 특수한 상황 하에 놓여 있었던 20세기 동유럽에서 작곡 활동을 시작하여 고유한 음악 어법을 구축하고자 끊임없이 탐구한 작곡가이다. 리게티의 《피아노 에튀드》(Études pour Piano)는 전 18곡으로 1985년부터 2001년에 걸쳐 작곡되었는데, 이 시기는 그가 접해온 다양한 음악적 양식이 응축됨으로써 고유한 후기 음악어법이 성립된 시기이다. 《피아노 에튀드》는 이러한 그의 후기 음악어법을 대표함과 동시에 음악세계 전반을 보여주는 작품이기에 연구 대상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리게티의 음악세계와 그가 접한 다양한 음악적 양식을 살펴보고, 이것이 그의 《피아노 에튀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석에 앞서 작품 개관에서는 각 곡의 전반적인 구조를 제시하였고, 작품의 분석은 크게 리듬과 음향으로 나눠서 리듬에 있어서는 첫째로 다차원적인 폴리포니의 형성, 둘째로 패턴의 전개방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음향에 있어서는 첫째로 음향적 소재인 클러스터, 완전5도, 3화음과 7화음, 온음음계를, 둘째로 음향 형성 방식인 음향의 대비, 음향적 원근, 선적 중첩과 모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연주법을 제안하였다. 문헌을 통해서 학습한 내용과 분석을 토대로 필자는 리게티 《피아노 에튀드》의 핵심은 다양성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리게티가 영향을 받은 음악적 경험의 다양성이다. 악삭 리듬과 라멘트 모티브에 해당하는 민속 음악뿐만 아니라 전자음악과 다성부 작법의 영향을 받은 미크로폴리포니 기법, 또한 80년대 이후에 접한 자동피아노와 아프리카 음악 등이 리게티의 음악적 영감에 자극제가 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음악적 영감은 그의 《피아노 에튀드》에서 서로 결합되어 새로운 결과로 나타나고, 다양한 연주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사실은 연주를 위한 접근 방식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먼저 패턴 형성 과정, 리듬적 폴리포니와 같은 악곡을 구성하는 리듬적 특성을 이해하고 연주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로, 리게티가 《피아노 에튀드》를 통해 의도한 음향적 시도에 연주자 또한 소리에 대한 상상력을 가지고 접근하고, 다양한 연주 기법적인 실험을 통해 구현할 필요가 있다. 셋째로, 이러한 과정에서 리게티의 연주에 관한 구체적인 지시를 따르되, 그의 음악 언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실제 연주에 이를 적용하기 위한 재해석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연주자의 관점에서 《피아노 에튀드》 각 곡에 나타나는 리게티의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구현하기 위한 이상적인 연주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interpretation of György Ligeti’s Etudes pour piano (1985-2001) from the performer’s perspective based on an analytical survey of the work. Three books of Ligeti’s piano etudes are prime examples of works that reflect his late compositional style and his own musical language. Ligeti was a composer who constantly sought to establish his own musical style, starting from his youth in Hungary during the 1950s, continuing his exploration of various musical styles until the 1980s when he began to establish his mature musical style. His Études pour Piano consists of 18 compositions in which he brought together his inspirations from various musical and non-musical ideas that had influenced him. Thus, Études pour Piano is a research subject of great significance. This study will therefore briefly overview Ligeti’s musical language and the various musical styles that he was influenced by, and will attempt to demonstrate and examine how they are integrated into the Études pour Piano. After giving overall structures of each etude, it takes elements of rhythm and sound as tools for analyzing the work. Rhythmic aspects include pattern-developing structures, asymmetric rhythms, and multi-layered rhythmic textures. In relation to sound, cluster, fifths, triads and seventh chords, and whole tone scales are materials that are looked at. Contrasts of sonorities, spatial treatment of sounds, overlapping of horizontal lines, and canon are techniques to create diversity of sound.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how those elements appear in each of the 18 etudes. Based on the analysis above, it will be evident that Ligeti’s interests and influences range from traditional folk music to electronic music, as well as from the player piano music to African polyphony that he encountered in 1980s, and that they were developed in a multitude of ways in his music. They are treated differently in different works, and some of the ideas are fused together and reproduce even more interesting sound effects. For performers, the great amount of diversity in the musical ideas in his etudes provides various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in performance. Therefore, it is first of all important for performers to understand pattern-developing structure, and be able to apply it to actual performance. In addition, a careful consideration of Ligeti’s indications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his musical language is required to realize his intention and to reinterpret then. Moreover, performers also need to have musical imagination and a willingness to experiment with performance issues in order to recreate his various ideas in music.

      • Word Wall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어휘력 및 어휘 학습 전략에 미치는 영향

        윤정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생의 어휘 전략 학습에서 word wall을 활용했을 때 어휘력과 어휘 학습 전략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어휘학습에서 word wall을 활용했을 때, 학생들의 어휘력과 어휘 학습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초등학교 5학년 120명을 대상으로 어휘 평가를 실시하여 동질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 연구는 8주 동안 주 2회, 총 16차시에 걸쳐 정규 영어 수업시간 중 15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학습 어휘를 텍스트 맥락에서 접할 수 있도록 영어 동화를 읽기 자료로 선정하였다. 읽기 자료는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과의 관련성, 학생들의 인지 발달 및 흥미, 난이도를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학생들의 어휘 및 읽기수준에 맞게 개작했다. 각 텍스트에서 추출한 어휘로 사전 어휘력 검사를 실시하여 정답률이 30퍼센트 미만인 12개의 어휘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4차시 동안 지도하였다. 1-3차시에는 8-15개의 문장을 읽으며 텍스트 맥락에서 새로운 어휘의 의미를 추측해보고 4개의 목표 어휘를 어휘 학습 전략을 활용하여 학습하였다. 마지막으로 4차시에는 텍스트 전체를 읽으며 학습한 어휘를 정리, 복습하였다. 실험집단은 어휘 학습 전략으로 어휘 학습 활동을 한 뒤 추가적으로 word wall의 어휘를 활용한 어휘 학습 전략 활동을 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동일한 어휘와 어휘 학습 전략으로 어휘 학습 활동을 하고 word wall을 활용하지 않고 추가적인 어휘 학습 전략 활동을 하였다. 각 텍스트의 지도가 끝날 때 마다 2-3일 후 12개의 학습 어휘에 대해 이해 어휘와 표현 어휘로 나누어 어휘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 전과 후 학생들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의 변화를 보기 위해 학생들이 사용하는 어휘 학습 전략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어휘 평가 결과는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어휘 학습 전략은 학생들의 응답에 1-5점까지 부여하여 평균 점수로 학생들의 집단별 실험 전 후 어휘 학습 전략 활용을 비교해 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학습에서 word wall을 사용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어휘력이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점수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휘 평가 결과를 전체적으로 분석했을 때나, 이해 어휘와 표현 어휘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 모두 동일했다. 따라서 어휘 학습에서 word wall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어휘 학습에서 word wall을 활용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장기 어휘력 평가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장기 어휘력을 이해 어휘와 표현 어휘 나누어 분석했을 때 모두 word wall을 사용했을 때 학생들의 어휘력이 유의한 차이로 높았다. 분석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장기 어휘력 평가에서 점수가 하락하였으나 실험집단에서는 유의한 점수 상승이 있었다. 이를 통해 word wall을 활용하면 장기기억력이 촉진될 뿐만 아니라 학습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word wall의 활용은 학생들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학생들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을 비교한 결과 word wall을 활용한 실험집단에 비해 통제집단의 전략 사용 증가하였지만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연구자는 그 원인으로 굳어진 학습 전략이 단기간에 바뀌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어휘 학습 전략은 반복하여 단어를 읽거나 쓰며 기억하는 전략들이었는데 다른 어휘 학습 전략으로 어휘를 학습한 이후 전략 사용이 증가하였음에도 선호하는 어휘 학습 전략은 달라지지 않았다. 흥미로운 점은 기억 전략으로 한정한 연구였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전략 사용이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어휘를 제시하고 어휘 학습 전략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상황에서 학생들은 주어진 전략이외의 다양한 전략을 사용해 어휘를 학습하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 영어 어휘 학습에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가 필요한 영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학습을 할 때 학생들이 어휘에 자주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word wall을 비롯해 학습한 어휘를 자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자료와 학습한 어휘 회상을 유도하는 교사의 발문을 적극 활용하여 학생들의 어휘 학습을 촉진해야한다. 둘째, 단어 의식이 학생들의 어휘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어휘 학습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여 학생들의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교육 현장에서 단어 의식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이 다양한 어휘 학습 전략에 대해 연구하고 학생들의 상황과 특성에 맞게 어휘 학습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본 연구는 4학급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word wall을 활용했을 때 어휘력과 어휘 학습 전략 사용에 미치는 효과를 보았다. word wall이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입증하였으나 학생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집단별 효과나 장기기억을 더욱 촉진할 수 있는 word wall 활용 방안에 대해 다루지 못했다. 또한 어휘 학습 전략 사용 변화에서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에 향후 word wall을 활용한 수업에서 기억 전략외의 다른 어휘 학습 전략을 활용했을 때의 효과와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을 위한 word wall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 학생들의 상황과 특성에 적합한 어휘 학습 전략을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알맞은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을 통해 어휘 학습 전략의 효과를 입증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Vocabulary Instruction Using Word Wall in the Primary School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struction using word wall in prim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20 students in four different fifth-grade classes at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four selected classes resulted in equivalent levels of knowledge when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ir vocabular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ied based o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using word wall, whil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tudied vocabulary in a general way based on commonly use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excluding the word wall. Final fifteen minute-lo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each day, twice a week over an eight week period. Four texts were selected based on students’ development and interests and the texts’ reading difficulties and relevance to the curriculum. Students were initially tested on a pool of vocabulary words. Words in which less than 30% of students could accurately answer were selected for this experiment. Students read a single book together, with each text including twelve target words. Dur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period of the curriculum, students studied and deciphered the meanings of the target words us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Students reviewed the text and target words during the fourth period. After the twelve target words from each text were studied, a final, cumulative test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ir receptive and expressive skills of target words. A t-test was utilized to form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And do a research about us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Based on students answer, compare the changing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use. First, vocabulary learning using the word wall strategy allowed students to make significant progress in their vocabulary acquisition.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knowledge had improved. This result signifies the positive effects of using word wall during vocabulary study. Second, using word wall allowed students to maintain their direct knowledge of the vocabulary words even it took four weeks later. It also brought forth key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enti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on their vocabulary tests, further proving that word wall usage promoted retention of vocabulary. Third, Implementing word wall had no effect on the student’s pre-exist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control group’s usag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get higher improvement compare to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word wall, but it was not significant. In one such observation, students continued to repeatedly read and write target words in order to remember their sounds and meaning. Their habits continued throughout the majority of the experiment; however, after the experiment, students developed additional learning strategies. It is supposed that during the vocabulary study they attempted a variety of strategies. Teachers need to deal wit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t the beginning of vocabulary study in order to allow the students to try and decide on their individually best fitted strategies. Some further suggestions can be made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teachers should also provide opportunities that continuously expose children to a variety of vocabulary and target words.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word wall and teachers talk, can aid in vocabulary learning. Second,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research various approaches used to improve students’ word consciousness as improving word consciousness will promote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retention aptitude. Word consciousness will also help during students’ regular vocabulary study. Third, teachers should introduce numerous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use them. I expect to further study the effects of word wall usage on different level students in order to derive methods on how to improve long-term memory. Also it would be meaningful to find out the appropriat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for each students and improve the effect of that strategies.

      • 문화예술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스케이핑과 기업 브랜드 관계 연구 : 현대카드 사례를 중심으로

        윤정은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적 소득수준과 소비자의 의식수준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제품자체가 아닌 제품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가치를 중시하게 되었다. 특히 무형의 상품인 신용카드는 점유율 확대를 위해 카드사간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각 카드마다 차별적인 편익을 강조하며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켜 브랜드 선택이 되도록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내에서 신용카드는1960년대 말 지금의 카드와 비슷한 형태를 지닌 직원카드가 도입되며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 경제 발전과 함께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신용카드 발급 규모는 1억 2253만장,1인당 4.9장의 신용카드를 소유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신용카드사용은 하루 평균 1737 만 건, 1조 5000억 원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신용카드는 시대와 소비자의 패턴 변화에 발맞추느라 기능에서부터 혜택까지 진화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2001년 8월 다이너스클럽 코리아의 지분 50%의 인수와 함께 신용카드업계에 진출하면서 현대카드가 창립되었다. 하지만 이미 삼성카드,LG카드, 은행계 카드가 10년 이상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이었으며 소비자들은 사용하는 카드에 특별히 불만족을 느끼지 않는 상황에서 삼성,LG, KB카드 등은 신규 회원 확보 보다 기존 고객의 사용량 증대가 주 마케팅 목적이었다. 이미 포화상태의 시장에 업계 후발주자로 나선 현대카드는 점유율1.8%의 저조한 실적으로 시작하였다. 초반에는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는 슬로건으로 현대자동차 구입시 선할인 제도로 혜택을 주었으나 자동차카드라는 제한된 혜택으로 포지셔닝 되었다. 그러나 2002년 말 신용카드업계 전반의 불황에 브랜드 네임을 ‘현대[M]카드‘에서 ’현대카드M으로 변경하고 마케팅을 벌인 결과 2003년에는 11억 원의 월별 흑자를 달성하였고 37%에 불과하던 이용률은 70%이상으로 끌어 올렸다. 주 타켓층 20~30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여 알파벳을 활용한 마케팅을 펼치며 차별화된 광고 전략으로 창의성을 강조한 TV광고를 선보였고 젊고 소득수준이 중간 이상인 계층에게 선호되었다. 이후 신용카드의 혜택보다 창의적인 삶의 가치를 전하는 디자인 마케팅을 펼치며 브랜드 태도 변화전략을 펼쳤다. 2014년 3분기 현대카드의 순이익인 1천 272억 원에서 2천 51억 원으로 늘었다. 카드업계 시장점유율 1위인 신한카드의 뒤를 이어 삼성카드와 현대카드가 2위 다툼을 벌이고 있다. 타 카드사들이 전시회티켓이나 음악회 티켓을 제공하는 문화예술마케팅을 펼칠 때 현대카드는 문화예술 공간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차별화전략을 펼쳤다. 이러한 창의적인 문화 공간 창조를 브랜드스케이핑의 개념으로 논의할 수 있다. 최근 몇 년 간 현대카드는 디자인 경영 브랜드 전략과 더불어 문화예술을 매개로 공간을 마련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브랜드스케이핑 전략을 펼침으로 인해 소비자의 브랜드 호감과 인지도에 영향을 주며 성장했다. 현대카드는 2006년부터 신용카드 및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파이낸스샵을 열었다. 문화, 교육, 교양 강좌의 오픈클래스 제공과 뉴욕현대미술관의 디자인 상품을 전시하여 오감 및 체험을 표현하였으며 고객에게 무료로 커피를 제공하며 공간을 자연적인 소재 사용과 풍경 사진 등을 활용하여 고객과 직원의 부드러운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했다.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주목성을 높이도록 점포외관을 통유리로 디자인하여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 시키는 공간을 선보였고2011년에는 이에 영향을 받은 국민은행의 락스타존이라는 금융서비스 공간도 등장하며 타 업계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었다. 현대카드는 이후 컬처프로젝트, 슈퍼콘서트, 청담동 트래블 라이브러리, 가회동 디자인 라이브러리 등의 공간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문화예술을 체험하며 브랜드 호감을 높일 수 있는 브랜드스케이핑을 펼치고 있다. 우호죽순으로 늘어나는 문화예술마케팅의 홍수 속에서 현대카드의 브랜드 스케이핑은 공간에서의 체험은 단순히 신용카드가 제공하는 혜택을 아는 것뿐만 아니라 감정적으로 브랜드에 호감을 갖게 되면서 신용카드를 선택하는 행동을 강화하는 유도성이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문화를 소비하는 현대 문화소비자들에게 문화예술을 매개로한 브랜드스케이핑 전략의 성공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브랜드스케이핑이 기업브랜드에 미치는 마케팅 효과와 쟁점에 대해 정리하였다. 주요 내용은 현대카드의 문화예술마케팅을 활용한 브랜드스케이핑 사례분석을 통해 주요 타겟 층에 관한 브랜드차별화 서비스전략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슈퍼콘서트 공연장을 통한 전략적 브랜드스케이핑으로 문화연출, 전시연계를 통해 색체, 조형, 야외공간을 활용한 브랜드스케이핑, 사회공헌프로그램을 통한 브랜드스케이핑, 국내외 예술기관과 파트너십을 통한 시너지효과창출 등 2030층을 대상으로 문화예술을 매개로 공간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 확립에 기여한 전략들이다. 본 연구는 건축, 도시재생, 플래그샵 스토어 등에 활용되며 논의되고 있지만 문화예술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 않은 브랜드스케이핑을 문화예술사례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지만, 사례분석 대상이 한 기업에만 국한되어 있다는 점과 브랜드스케이핑 이론의 체계적 부족함이 있다. 향후 후임연구자들이 이를 발전시켜 이론적 체계를 완성한 후 기업은 이를 적용시켜 문화예술마케팅을 실행한다면 소비자와의 문화적 커뮤니케이션 소통으로 인해 지속적 관계 형성과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 주어 기업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누리게 될 것이다. There are many consumers are getting wealthy, and they consciously think 'I deserve better than the others.' Nowadays, people do not only want a product, but also various values that derived from the product they buy. Simply, consumers naturally want more than they actually can get for. Global credit card companies these days, they are getting intense to possess bigger share of the credit card market, and in order to compete with the other companies, they provide better and distinct conveniences to attract more consumers. The credit card companies unfold active marketing strategies to satisfy what consumers need, and the consumers decide which brand of credit card would satisfy him or her. The origin of domestic credit card was a faculty/staff ID card in late 1960, and gradually the credit card was getting popular in 1980s, the economic boom era. Numerically, there are more than 122million credit cards had been issued in Korea, which could represent about 4.9 credit cards per person. As an average, more than 17million credit transactions had been made every day, which amounted to 1.5 trillion won.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current trends to be connected with consumers, the credit cards are continuously evolve and getting better in many ways. Hyundai Motors Group established Hyundai Card Company by underwriting 50% share of Diners Club Korea, and the company entered into domestic credit card market. However, there were already intense competition among Samsung, LG, and the other bank credit cards for more than 10 years. Moreover, most of the consumers were satisfied to their credit cards, and several main credit card companies were focusing on existing consumers to spend more or increase the number of transaction. Basically, the domestic credit card market had already been saturated, and of course, Hyundai Card Company had to stumble for its debut - the company possessed only 1.8% of the market. 'Work and Enjoy!' It was the first slogan of Hyundai Card. It offered consumers discount when they were buying Hyundai Motors automobiles, but it came out with positioning the brand of Hyundai Card as 'the card is nothing good but buying Hyundai cars.' Although, in late 2002 when economic recession had been placed, Hyundai Card changed the brand name from 'Hyundai M Card' to 'Hyundai Card M' and actively marketed to numerous new consumers. As a result, Hyundai Card went 1.1 billion won in the black and raised the coefficient of utilization from 37% to 70%. Hyundai Card Company analyzed the lifestyles of its main target group, 20-30s of young consumers and utilized the alphabet of its cards as a marketing strategy - it emphasized creativity and attracted young upper middle class consumers. Later on, Hyundai Card changed brand image which offers not only benefits of credit card but also creative life value as new marketing strategy - it led the company to increase the net profit from 12.7 billion won to 25.1 billion won in the third quarter of 2014. Now, Hyundai Card is known as top two credit card company in Korean market. Instead of offering concert tickets to the consumers just like the other credit card company, Hyundai Card established cultural art space and share with the consumers together. This creative cultural space establishment could be defined as brandscaping. Recent years, Hyundai Card has been recognized as creative and favorable brand, which led the company to be more profitable. The company utilized design management strategy, as well as brandscaping - establishing the cultural art space where everyone could experience and share the art and culture as a hub. In 2006, Hyundai Card's constant effort to attract more consumers is still in progress - the company opened a space, 'The Finance Shop' for another brandscaping strategy. The Finance Shop offers the consumers not only the general finance services but also cultural open-class, as well as exhibiting famous works from New York Modern Art Museum, and delicious hot cup of coffee for free. The consumers who visited 'The Finance Shop' were satisfied for cultural experience, which led the people to communicate and stay connected with Hyundai Card Company in more favorable manner - this brandscaping strategy w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way to position the brand as creativity. Hyundai Card's The Finance Shop became a target of benchmarking for the other credit card companies (KB Bank's 'Rockstar Zone' as an example). 'Super Concert,' ‘The Finance Shop,' 'Travel Library in Cheongdam,' 'Design Library in Gawhei,' and etc. - like these cultural space that Hyundai Card shares with its customers as brandscaping are not only the benefits which the company offer but also cultural and emotional marketing strategy to make the brand pleasant to the consumers, and of course the people must be attracted to the credit card which has the most pleasant and favorable brand image. This study represents how brandscaping develops brand-image and reputation of the company to the cultural consumers through cultural art marketing. Moreover, the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brandscaping for the companies' brands through numerous case studies. The main content of the study is the analysis of Hyundai Card Company's brandscaping through its cultual marketing strategy towards the different groups of consumers, and its differentiation of the services. This study has lots of meanings of brandscaping of cultural art case, which does not have many contribution thus far. It could applicate constructions, rebuilding, flagshop stores, and so on. However, the case study of this paper has been limited to a single company, and the content needs a bit more detailed supplementary explanation of brandscaping theory. If the incoming scholars of art and cultural management develop detailed definition of brandscaping theory and apply it to a company through cultural art marketing, it could help the company to communicate with numerous consumers and strongly establish the company's desired brand-image by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the consumers. It would naturally develop effective core value and reputation of the company.

      • 자화상을 통한 고흐의 자아표현 연구

        윤정은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예술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인간의 본질이나 본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간 속에서 예술 역시 자연스럽게 그 변화에 흐름에 움직여왔다. 이러한 변화는 오랜 시간 깊게 자리 잡았던 고정관념의 틀에서 벗어나 인간의 내면적 감정과 자아의 표현 욕구에 의해 새로운 아름다움을 추구하게 되었고, 인간의 자율성, 창의성, 감성에 바탕을 둔 다양한 회화 작품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예술은 인간의 정신과 영혼을 투영하는 생명이 있는 거울과도 같아 예술가는 자신이 속해 있는 시대와 상호 연결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끊임없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진지하고 솔직한 고백을 통해 예술작품에 자신을 쏟아 낸다. 특히 예술가의 자화상은 자기에 대한 관심, 자기애(Narcissism), 그리고 자기 정체성의 규명에 대한 열의와 집착이 중요한 동기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지식의 팽배 그리고 물질문명의 폐허 속에서도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폭되었고 이에 대해 반증이라도 하듯, 19세기 물질주의가 만들어 놓은 희생양과 같은 인물이었던 반 고흐는 감정표출 수단으로써 자아를 자화상에 표현하였고 뭉크나 에곤 쉴레 등 여러 화가들 역시 자신만의 특별한 관점으로 인간의 소외와 공포, 불안 등에 내재된 인간의 근원적인 심리 상태를 자화상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다. 특히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van Gogh, 1853-1890)는 조울증 환자이면서 정신분열증, 알콜 중독 등 많은 문제를 가지고 고독으로 점철된 삶을 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가 경력 10년 동안 850여점의 작품들을 남겼고, 이를 통해 자신의 내면에 깃든 병적심리와 불안한 정서를 드러내었다. 자신의 주관적인 정서와 감정 그리고 자아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를 예술 작품에 가시화 시킨 반 고흐에 자화상 분석과 이해를 통해 그가 표현하고자 했던 자아에 대해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