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건물에서 이산화탄소 기준농도 유지를 위한 환기량 실험 및 분석

        윤정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a measure was taken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a major factor in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in order to identify the actual amount of ventilation in the library and the change in carbon dioxide, and to use it as a design basis for improving indoor environment in schools by comparing it with ventilation control standard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hange in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rough regression R2 values of CO2(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arget subject of ventilation 960CMH are shown to be 0.918. 91.8% of sample data can be interpreted through regression equation, therefore two variables are suggested to be highly correlated. R2 values of CO2(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arget subject of ventilation 760CMH are shown to be 0.8665. 86.65% of sample data can be interpreted through regression equation, therefore two variables are suggested to be highly correlated. R2 values of CO2(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arget subject of ventilation 660CMH are shown to be 0.8334. 83.34% of sample data can be interpreted through regression equation, therefore two variables are suggested to be highly correlated. The number of people subject to non-operating operation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0.833. This shows that 83.13% of the sample data can be interpreted as regression an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2) The change in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gression The measuremen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960CMH at a measurement of 38 persons showed a minimum of 1329ppm to a maximum of 1509ppm, an averag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1398ppm, and an average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510ppm. It decreased by 12% from 1500ppm which is the management standard of school health law. CO2 The measuremen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760CMH at a measurement of 32 persons showed a minimum of 1474ppm to a maximum of 1506ppm, an averag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1398ppm, and an average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530ppm. It decreased by 2% from 1500ppm which is the management standard of school health law. The measuremen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660CMH at a measurement of 28 persons showed a minimum of 1482ppm to a maximum of 1497ppm, an averag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1490ppm, and an average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550ppm. It decreased by 0.9% from 1500ppm which is the management standard of school health law. 3) For 35 people, the change in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by wind volume is At a ventilation volume of 960CMH,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kept below 1500 ppm, and the standard value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16.4%. ventilation capacity per person is 27.4CMH For ventilation volume 760CMH, it was not possible to maintain indoor carbon dioxide below an acceptable concentration of 1500 ppm and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9% with reference. Ventilation per person is 21.6CMH. For ventilation volume 500CMH, it was not possible to maintain indoor carbon dioxide below an acceptable concentration of 1500 ppm and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32% with reference. Ventilation per person is 14.2CMH. For ventilation volume 825CMH, it was allowed to be kept lower than 1500 ppm, which is the permitted concentration of indoor carbon dioxide, and was appropriate to the reference value level. Ventilation per person is 23.5CMH. 4) In case of CO2 concentration change when the volume of wind changes for the number of target personnel Through the experiment, CO2 concentration standard could be maintained when ventilated with variable ventilation volume according to optimum ventilation level per person, 23.5CMH. As a result, In case of using ventilation machine to ventilate carbon dioxide, one of major pollutant in School Health Law Enforcement Regulation [Maintenance Standard for Air Quality] to maintain 1500ppm of CO2 concentration, 21.6m3 of current ventilation volume per person is considered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desired indoor CO2 concentration would be achieved as ventilation volume per person is improved from 21.6m3 to 23.6m3.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기오염물질 주요 인자인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도서관내 실제 환기량과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파악하고 환기 조절기준과 비교하여 학교 내 실내 환경개선을 위한 설계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회귀분석을 통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에서는 환기량 960CMH의 대상인원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결정계수는 0.918나타났다. 이를 통해 표본데이터의 91.8%가 회귀식으로 해석될 수 있고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환기량 760CMH의 대상인원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결정계수는 0.8665나타났다. 이를 통해 표본데이터의 86.65%가 회귀식으로 해석될 수 있고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환기량 660CMH의 대상인원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결정계수는 0.8334나타났다. 이를 통해 표본데이터의 83.34%가 회귀식으로 해석될 수 있고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무가동의 대상인원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결정계수는 0.8313나타났다. 이를 통해 표본데이터의 83.13%가 회귀식으로 해석될 수 있고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2) 회귀분석을 결과에 따른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에서는 대상인원 38명, 환기량 960CMH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결과 최소 1329ppm에서 최대 1509ppm까지 측정되었고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1398ppm으로 분석되었으며, 외기 이산화탄소 농도는 평균 510ppm으로 측정되었다 . 학교보건법의 관리 기준인 1500ppm과는 12% 감소하였다. 대상인원 32명, 환기량 760CMH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결과 최소 1474ppm에서 최대 1506ppm까지 측정되었고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1487ppm으로 분석되었으며, 외기 이산화탄소 농도는 평균 530ppm으로 측정되었다. 학교보건법의 관리 기준인 1500ppm과는 2% 감소하였다. 대상인원 28명, 환기량 660CMH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결과 최소 1482ppm에서 최대 1497ppm까지 측정되었고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1490ppm으로 분석되었으며, 외기 이산화탄소 농도는 평균 550ppm으로 측정되었다 . 학교보건법의 관리 기준인 1500ppm과는 0.9% 감소하였다. 3) 대상인원 35명을 대상으로 각 풍량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에서는 환기량 960CMH의 경우 실내 이산화탄소 허용 농도인 1500ppm 이하로 유지가 가능했으며, 기준과 약 16.4% 감소하였다. 1인당 환기량은 27.4CMH 이다. 환기량 760CMH의 경우 실내 이산화탄소 허용 농도인 1500ppm 이하로 유지가 불가능했으며, 기준과 약 9% 증가하였다. 1인당 환기량은 21.6CMH 이다. 환기량 500CMH의 경우 실내 이산화탄소 허용 농도인 1500ppm 이하로 유지가 불가능했으며, 기준과 약 32% 증가하였다. 1인당 환기량은 14.2CMH 이다. 환기량 825CMH의 경우 실내 이산화탄소 허용 농도인 1500ppm 이하로 유지가 가능했으며, 기준값 수준으로 적정하였다. 1인당 환기량은 23.5CMH 이다. 4) 대상인원에 대한 풍량 변화시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에서는 실험을 통해 1인당 적정환기량인 23.5CMH로 인원에 맞는 변풍량으로 가동을 하였을 때 이산화탄소 기준농도 유지가 가능하였다. 결과적으로 학교보건법 시행규칙[공기 질 등의 유지관리기준]의 오염물질 중 이산화탄소를 기계 환기장치로 이용하여 주된 환기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 1500ppm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교보건법 기준 1인당 환기량인 시간당 21.6세제곱미터는 미흡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시간당 23.6세제곱미터로 강화 하여야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 초등학생 자신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설명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윤정욱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수학 문제해결에 있어 반성은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문제해결 교육은 반성을 소홀히 다루고 있으며, 문제해결관련 연구에서도 반성과 관련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본 연구는 반성의 한 방법으로써 말하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자신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설명이 초등학생의 수학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 설명하기’의 수학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고, 문제해결 반성의 지도 방법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수학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유형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나. 수학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의 인지적 측면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다. 수학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의 정의적 측면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구로구 소재 G초등학교 4학년 학생 26명(남 14명, 여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10년 9월부터 2011년 2월까지 6개월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로 하여금 제시된 수학 문제를 해결하게 한 후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을 말로 설명하게 하여 이를 녹음·분석하였다. 그 후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할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특성을 기준으로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설명하는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의 인지적․정의적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설문의 응답을 분석하여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이 문제해결의 인지적․정의적 측면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수학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유형에는 ‘기록에 의존하여 설명하기’, ‘즉석에서 문제를 풀듯이 설명하기’, ‘계산보다는 방법 위주로 설명하기’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기록에 의존하여 설명하기’는 문제지에 적어온 문제해결 과정을 보고 그대로 또는 단위, 조사 정도만 약간 수정하여 풀이를 읽듯이 설명하는 유형이다. 문제지의 풀이 란에 마치 말로 설명을 하듯이 문제해결 과정을 미리 적어와 그것을 읽듯이 설명한다. ‘즉석에서 문제를 풀듯이 설명하기’는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 기록에 의존하지 않고,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다시 한 번 문제를 해결하는 것처럼 그 과정을 설명하는 유형이다. 전체적인 문제해결 과정의 흐름이나 계산식이 나온 이유는 말로 설명하고, 그 과정에 들어가는 계산 중 암산하기 어려운 계산 값 정도를 참고하는 정도로만 자신의 기록을 활용한다. ‘계산보다는 방법 위주로 설명하기’는 문제해결의 전체적인 흐름을 따라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문제해결에 필요한 식을 세우고 계산 값을 구하는 방식의 설명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과정을 위주로 그 흐름을 설명하는 유형이다. 둘째, 수학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의 인지적 작용을 세분화하면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중에 일어나는 인지적 작용과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을 한 후에 일어나는 인지적 작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할 때에 학생들은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에 대해 의심하고 검토하며, 문제해결 과정 중에 잘못된 부분을 인지하고 수정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또한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을 더욱 바르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을 더욱 확실히 알게 되고, 다시 한 번 학습한다.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을 한 후에 학생들은 문제해결 과정을 자세하게 생각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문제를 해결한 후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을 다시 한 번 검토하는 과정을 거친다. 셋째, 수학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의 정의적 작용을 세분화하면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중에 일어나는 정의적 작용과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을 한 후에 일어나는 정의적 작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할 때에 학생들은 긴장하며 불안해한다. 그러나 이러한 긴장감은 문제해결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을 한 후에 문제해결에서 ‘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높아졌으며, 문제를 해결할 때 더욱 신중한 자세와 태도를 갖추게 되었다. 학생들은 자신이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해냈다는 것에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며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동기를 부여받았으며, 문제해결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게 되었다. 더불어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에 흥미를 갖게 되었고, 이 활동이 자신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며 앞으로도 문제해결 과정 설명하기를 활용하려는 의지를 보이며 직접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수학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유형에는 ‘기록에 의존하여 설명하기’, ‘즉석에서 문제를 풀듯이 설명하기’, ‘계산보다는 방법 위주로 설명하기’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둘째,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해결 과정에서 반성적 사고를 하게 한다. 학생들이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에 대해 의심하고 검토한다는 것은 자신의 문제해결에 대해 반성적으로 사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자신의 사고과정(문제해결 과정)이 사고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문제지에 문제를 해결할 때는 ‘문제(또는 답 구하기)’에 사고의 초점을 맞추었으나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할 때는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으로 사고의 초점이 옮겨지게 된다. 이러한 사고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 과정에 오류가 있는지 없는지를 살피게 되고 더욱 좋은 방법을 찾아 설명을 하게 되므로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은 학생들이 문제해결을 할 때 반성적 사고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반성적 사고는 성취도 상․하 수준 학생에게서 고루 관찰되었으며,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은 성취도 상 수준의 학생들뿐만 아니라 성취도 하 수준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 습관을 길러주기에도 적합하고 유용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은 학생들이 문제해결에서 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학생들은 문제해결 과정 설명하기 활동을 통해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에 관심을 갖게 되고, 문제해결에서 문제해결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도 중요함을 알게 되어 문제를 해결할 때 과정에 더욱 신중한 자세와 태도를 갖추게 한다. 수학교육에서 문제해결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학생들이 수학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문제해결 과정에 관심을 갖기 보다는 답을 구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상황에서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결과’ 보다는 문제해결 ‘과정’에 관심을 갖게 하고 그 중요성을 인 Reflection in mathematics problem-solving is an important factor for cultivat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thinking. However, problem-solving education has dealt with reflection negligently in the real education field and reflection-related studies have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in realms of problem-solving. Under this recogni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speaking as a way of reflection. This study puts the purpose in find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mathematics in explaining ‘self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examining the effect of self-explanation about mathematics problem-solving on mathematics problem-solving of elementary students, and providing basic data of teaching methods in the problem-solving reflec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ets study questions as follows: A. What types of problem-solving are used in explaining the process of mathematical problem-solving? B. How does the act of explaining the process of mathematics problem-solving affect the cognitive aspect of problem solving? C. How does the act of explaining the process of mathematics problem-solving affect the affective aspect of problem solving? To solve the questions above, research was conducted for six months from September, 2010 to February, 2011 towards research participants; 26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le students: 14, female students: 12) of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uro-gu, Seoul. To examine the types of explaining the process of problem-solving, this research made research subjects solve maths problems, and recorded the explanation of research subjects for the analysis after students' explanation about their problem-solving process with words. This research analyzed protocol under the standards of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explanation of problem-solving process, and classified the types of explan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operations of cognition and affectiveness in the activity, explain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is research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and examined how the act of explain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affects the aspects of cognition and affectivenes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Research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three types in explaining the maths problem-solv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xplanation by depending on record’ is the type of explaining like reading solving methods by see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written in the workbook and revising them a little. ‘Explanation like problem-solving on the spot’ is the type of explaining the process like solving the problem again in the spot of explaining problem-solving, instead of depending on the record of self problem-solving. ‘Method-centered explaining’ rather than calculation is the explanation of problem-solving according to the entire flow of problem-solving. Secondly, if cognitive operation in the activity of explaining maths problem-solving process is subdivided, it is divided into the cognitive operation that occurs during the explanation of problem-solving process and cognitive operation that occurs after the activity of explaining problem-solving. In explain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students doubt and review their problem-solving process. In addition, students recognize, revise, and explain wrong part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Moreover, students can assure their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such activity by pondering on the methods of expressing their problem-solving process very correctly and accurately, and learn again. After the activity of explain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students think the problem-solving process in detail, solve problems, and go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gain. Thirdly, if the affective operation in the activity of explaining maths problem-solving process is subdivided, it is divided into the affective operation that occurs during the explanation of problem-solving process and the affective operation that occurs after the activity of explain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In explain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students are nervous and anxious. However, this tension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concentration of students in problem-solving. After the activity of explaining the problem-solving, the recognition of students on the importance of process in the problem-solving is enhanced, and student can be equipped with more deliberate attitudes in problem-solving. Students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because they made a success in explaining problem-solving process. They were motivated with confidence, and had positive attitudes on problem-solving. Furthermore, they became interested in the activity of explaining problem-solving, showed the willingness to make use of explanation about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used explanation directly.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three types in explaining maths problem-solving process: The explanation by depending on record, Explanation like solving problems on the spot, and method-centered explanation rather than calculation. Secondly, the activity of explaining their own problem-solving allows students to have the reflective thinking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students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ocess in problem-solving. Thirdly, the activity of explain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makes students have the positive attitude on the problem-solving.

      • Antihypertensive effect of gomisin A on angiotensin II-induced hypertension via preservation of nitric oxide availability

        윤정욱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Gomisin A (GA) is a small molecular weight lignan contained in Schisandra chinensis, and has been demonstrated to have a vasodilatory activity. Thu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A on systolic blood pressure (SBP) in angiotensin II (Ang II)-induced hypertensive mice. C57/BL6 mice infused subcutaneously with Ang II (1 and 2 ??g/kg/min for 2 weeks) showed an increased SBP with a decreased serum concentration of nitrites. Blood pressure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concentration of nitrites, suggesting a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SBP and NO availability. In the thoracic aorta from Ang II-induced hypertensive mice, a decreased NO concentration which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d ROS production was demonstrated. These changes in SBP, NO and ROS production in the vasculature were markedly prevented by a simultaneous chronic administration of GA (2 and 10 ?gg/kg/min) in Ang II-treated mice. Moreover, in the cultured vascular cells including vascular smooth muscle cell and endothelial cells, Ang II caused an increased ROS production, which were also markedly attenuated by GA.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GA has antihypertensive effects in Ang II-induced hypertensive mice via preservation of vascular NO bioavailability partly by inhibiting ROS production in vascular cells. 오미자는 항산화, 진해, 진정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오미자에서 추출한gomisin A (GA)가 고혈압 동물모델에서 어떠한 효능이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C57/BL6 계통의 마우스에 혈압을 증진 시키는 angiotensin II(Ang II)를 삼투압 펌프에 담아 피하 조직에 주입 하여 14일 동안 혈압을 측정 하여 고혈압 모델을 만들었다. Ang II에 의한 혈압상승은 혈관에 활성화 산소를 많이 만들게 되고 이러한 활성화 산소는 혈관 내피 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며, 혈관내피 세포에서 생성되는 일산화 질소의 생산을 감소 시키게 된다. Ang II와 함께 GA를 피하 조직에 주입 하여 14일 동안 혈압을 관찰 하였을 때 GA의 농도에 따라 혈압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혈압 하강 효과의 기전을 알아 보기 위해 마우스의 대동맥에서 활성화 산소와 혈장에서 아질산염과 대동맥에서 일산화 질소의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Ang II만 주입한 마우스에 비해 GA를 함께 주입한 마우스의 대동맥에서 활성화 산소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마우스 혈장에서 아질산염과 대동맥에서의 일산화 질소가 Ang II만 주입한 마우스에 비해 GA를 함께 주입한 마우스에서 일산화 질소의 양이 감소가 적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GA가 혈관의 활성화 산소를 감소 시키는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혈관 내피세포의 일산화 질소의 양의 감소를 막음으로써 항고혈압 효능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 유아 체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윤정욱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hildren's fitness improvement programs on attention concentration span and self-regulation. The questions the study attempts to answer are as follows: 1. What effects do children's fitness improvement programs have on their attention concentration span? 2. What effects do children's fitness improvement programs have on their self-regulation? Below is the framework used to create the study:. First, the Mr. CUCUI test, which was first invented by Stephen Diaz in 1974, was used as the tool for measuring children's attention concentration span. The test's internal concurrence reliability coefficient(Cronbach α) is .86 providing high reliability. Oh Yeon-ju and Jo Bok-hee supplemented and revised the test in 2001 after Corbett used it in 1988. Second, Kim Ji-a and Lee Su-gi used the test in measuring children's self-regulation after adapting and revising it respectively in 2002 and 2005. The test has its origin in another test, "Self-Regulation Rating Scale: SRRS," developed by Kendall and Wilcox, in 1979, which is used to measure children's own regulation ability. Third, the researcher (with the help of two teacher consultants) created and synthetically completed this study by applying children's fitness improvement programs. The researcher referred to a series of studies: Gallahue's investigations based on precedent studies revolving around motor development stages (1996), the effects of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on attention concentration explored by Cho Jeong-hwa (2008), Seo In-gyu's playing activities which are suitable for children (2007), and Kim Hyeon-tae's new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s physical education (2010). In additi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The subjects in the study consisted of 46, five-year-old, kindergarteners in the city of K, Gyeongbuk, separat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There were a week of preliminary tests (Dec. 5-9, 2011), a week of pre-tests, and then six weeks of experimental treatments before conducting a final week of post-test. The data collected in the series of experiments were processed as follows with the help of the SPSS 12.0 program.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inter-item consistency, was compu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used criteria. In additio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one, which was to measure the test effects. After finishing experimental treatments, followed by post-tests targeting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 final matching-to-sample t-test was done to examine how meaningful the gap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listed below. First, children's attention concentration span showed a big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om fitness improvement programs were appli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o whom they were not. Second, children's self-regulation showed a big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om fitness improvement programs were appli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o whom they were not.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can be sure that children's fitness improvement programs are positive educational activities to develop and expand their attention concentration span and self-regulation. 본 연구는 유아 체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체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2. 유아 체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진행 과정을 거쳤다. 첫째, 유아의 주의 집중력 도구는 유아의 주의집중력 측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된 Mr. CUCUI 검사는 최초 1974년 Stephen Diaz가 개발한 것으로, 내적 일치성 신뢰도 계수(Cronbach α)는 .86으로 높은 신뢰도를 갖고 있다. Corbett(1988)가 사용한 Mr. CUCUI를 오연주·조복희(2001)가 수정 보완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둘째, 유아의 자기 조절력 도구는 Kendall과 Wilcox(1979)가 아동의 자기조절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 조절력 검사지(self-regulation rating scale : SRRS)를 김지아(2002)과 이수기(2005)가 번안. 수정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아 체력 향상 프로그램은 Gallahue(1996) 운동발달 단계에 따른 선행연구를 기초로 개발된 과정과 국내연구 조정화(2008)의 유아 체육활동이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윤애희(2005)의 유아에게 적합한 체육운동 놀이 프로그램, 서인규(2007)의 유아 체육 프로그램, 김현태(2010)의 유아 체육의 새로운 지도법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에 맞게 연구자가 일차 구성한 후 현장 유아교육기관 교사 3인의 자문을 받아 보완하였다. 이후 본 교육프로그램의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하여 유아교육전문가 1인으로부터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타당성을 검증받았다. 본 연구는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하고 있는 E 유치원의 만5세 유치원 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연구는 2011년 12월 5일부터 12월 9일까지 1주간의 예비검사, 약 1주간의 사전검사, 6주간의 실험처치, 1주간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문항간 내적 일치도인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실험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한 독립표본 t-test가 사전검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이후 실험처치가 끝난 후, 실험·통제집단 모두에게 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이들 집단에서 사전·사후 검사 간 점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가를 알기 위한 대응표본 t-test를 각각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주의 집중력은 유아 체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그 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유아 체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그 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체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긍정적 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어 추후 유아교육기관에서 보다 널리 시행될 필요가 있겠다.

      • 무릎외반의 균형검사 및 보행 중에 근활성도와 발바닥압의 평가

        윤정욱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무릎외반의 균형검사 및 보행 중에 근활성도와 발바닥압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여자 대학생으로 Q-각(Qudriceps-angle; Q-angle)을 측정하여 20° 이상의 양쪽 무릎외반 집단(genu valgum group; GVG, n=12), 20° 이상의 한쪽 무릎외반 집단(unilateral genu valgum group; UVG, n=11) 및 20° 이하의 정상 범위의 통제 집단(control group; CON=13)으로 분류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는 정적 및 동적 균형 검사(이동 거리, 이동범위, 이동 각도 및 Romberg 검사), 보행 중에 하지의 근활성도(중둔근, 대퇴근막장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비복근 및 전경골근)와 발바닥압(앞쪽 및 뒤쪽의 평균, 엄지발가락, 2∼5 발가락, 제1발 중족골, 제2∼4발 중졸골, 제5발 중족골, 중간 발바닥, 내측 뒤꿈치 발바닥 및 외측 뒤꿈치 발바닥)을 측정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눈을 감은 상태에서 정적 균형의 Romberg 검사는 CON과 비교해서 UVG(p=.032)에서, 동적 균형의 앞쪽 방향은 CON과 비교해서 UVG(p=.047) 및 GVG(p=.005)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왼쪽(p=.044) 및 오른쪽(p=.047)의 외측광근, 왼쪽(p=.031) 및 오른쪽(p=.032)의 전경골근 및 왼쪽의 비복근(p=.029)의 활성도는 CON과 비교해서 GVG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정적 발바닥압에서 오른쪽의 제1발 중족골(p=.030)와 왼쪽의 제5발 중족골(p=.007), 및 동적 발바닥압에서 뒤쪽의 평균(p=.032)은 CON과 비교해서 GVG에서, 동적 발바닥압에서 왼쪽의 제5발 중족골(p=.022)와 오른쪽의 2∼5 발가락은 CON과 비교해서 UVG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이 연구에서 여자 대학생의 무릎외반은 정적 및 동적 균형의 저하, 근활성도 및 발바닥압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국가별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수련만족에 미치는 영향

        윤정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effect of Instructor's leadership on performance satisfaction in each 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sets on examining how much the leadership types preferred by Taekwondo trainees lie effect on the training satisfaction, focusing on relationships between Instructor and general Taekwondo trainee, instead of those between Instructor and professional player. I established following hypotheses for this. First, there will be national divergence in satisfaction rate which trainees recognize, based on the nation population’s statistical characteristic. Second, there will be divergence in Instructor types preferred by each nation’s Taekwondo trainees. Third, there will be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Taekwondo Instructor's leadership and trainees’satisfaction in each nations. Fourth, there will be causality relationship between Taekwondo Instructor's leadership and trainees’ satisfaction in each nation. These are the results discovered based on these hypotheses. First, you may look through the national divergence in trainees’ satisfaction rate based on it's nation population’s statistica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Korea, the Instructor's democratic behavior is less preferred by male trainees than female trainees. And if focused on the age groups, adults over twenties tend to prefer training and direction, authoritative behavior, social supporting behavior, and positive compensation, more than people in the teen’s age group. And following with training period, it has been proved that there are divergences in authoritative behavior, positive compensation, and satisfaction in quality. In the case of U.S., after observing on the divergences in trainees’ satisfaction followed by leadership types on gender, females have appeared to have higher satisfaction. The training period was proved to be diverged in democratic behavior and authoritative behavior. In Australia, training and direction,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s have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diverged among age groups.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training and direction,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social support, positive compensation, satisfaction i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quality. In Spain, there were certain divergences among genders in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positivecompensation, and satisfaction in achievement. Democratic behavior and social support was mostly preferred by males, and positive compensation was preferred by females. In age groups,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vergences in direction, positive compensation, and satisfaction in quality. Based on Spanish people’s occu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vergence in training and direction, and satisfaction in quality. Both training and direction, and satisfaction in quality were more preferred by adults than students. In Taiwan, based on gender, age, occupation, there were no any divergence in training and direction,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social support, positive compensation, satisfaction i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quality. However, in the case of training period, there were certain divergence in training and direction, and satisfaction in achievement. In Gab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iningand direction,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positive compensation, and satisfaction in achievement among gender. Females tended to show more preference in training and direction, democratic behavior, and positive compensation more than males.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in achievement was more preferred by males. According to ag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ining and democratic behavior. Second, there have been certain divergences in Instructor types preferred by each nation’s Taekwondo trainees. Taekwondo trainees from Korea, U.S., and Gabon prefer positive feedback the most, next follows training and direction, social support,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Australia preferred positive feedback the most, and next following by training and direction,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and authoritative behavior. Spain, unlike the other nations, preferred training and direction the most, and then following by social support, positive feedback, democratic behavior, and authoritative behavior. Taiwan also preferred training and direction the most, and then following democratic behavior, positive feedback, social support, and authoritative behavior. Third, there has been a certain effect generated by relationship between Taekwondo Instructor's leadership and trainees’satisfaction in each nations.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raining and direction, positive feedback, and social support in Taekwondo Instructor's leadership type brings up some positive effects on trainees’satisfaction. Fourth, causality relationship between Taekwondo Instructor's leadership and trainees’satisfaction in each nation has been discovered. This has appeared in the order of training and direction, positive feedback, and then social support. 본 연구의 목적은 지도자와 선수와의 관계가 아닌 지도자와 일반적인 태권도 수련자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태권도 수련자들이 선호하는 지도자 리더십 유형이 수련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 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국가별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국가별 태권도 수련자들이 인지하는 수련만족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국가별 태권도 수련자들이 선호하는 지도자의 유형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국가별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과 수련자 만족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넷째, 국가별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과 수련자 만족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가설에 대하여 발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별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국가별 태권도 수련자들이 인지하는 수련만족에 차이를 보면, 한국의 경우 성별은 민주적 행동은 남성이 여성 보다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훈련과 지시행동, 권위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모두 10대에 비하여 20세 이상의 성인층이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기간에 따라서는 권위적 행동과 긍정적 보상행동, 자질만족 간에는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미국의 경우는 성별에 따른 리더십유형과 수련자 만족 간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여성이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기간은 민주적 행동과 권위적 행동 간에는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호주는 연령에 따라서는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기간에 따라서는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과업만족, 자질만족 사이에는 차이가 없음이 검증되었다. 스페인은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과업만족 간에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민주적 행동과 사회적 지지행동은 남성이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보상행동은 여성이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업만족은 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령은 지시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자질만족 간에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페인 수련자들의 직업에 따라 훈련과 지시행동, 자질만족 간에는 직업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훈련과 지시행동은 일반이 학생보다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질만족은 학생보다 일반인들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의 성별, 연령, 직업에 따른 리더십유형과 수련자 만족 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과업만족, 자질만족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수련자들이 수련기간에 따라서는 훈련과 지시행동, 자질만족 간에는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가봉은 성별에서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과업만족은 남성과 여성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과업만족은 남성이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훈련과 민주적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태권도 수련자가 선호하는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은 국가별로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한국, 미국, 가봉의 태권도 수련자들은 긍정적 피드백 행동을 가장 선호하며, 다음으로는 훈련과 지시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순으로 선호하는 리더십이 도출되었다. 호주는 긍정적 피드백 행동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다음으로는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권위적 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스페인은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훈련과 지시행동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피드백 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대만도 훈련과 지시행동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민주적 행동, 긍정적 피드백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권위적 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별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과 수련자 만족간의 상관관계는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태권도 수련자 만족에 상이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 중 훈련과 지시행동, 긍정적 피드백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은 수련자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가별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과 수련자 만족간에는 수련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 요인의 설명력 순서는 훈련과 지시행동, 긍정적 피드백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순서로 나타났다.

      • 지상파방송의 디지털화 경영전략 : 국내방송의 디지털화 연구사례 중심으로

        윤정욱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21세기 새로운 방송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활동이 전세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방송의 디지털화는 기술적으로 정보기술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미디어 환경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21세기 방송의 디지털화는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선진제국들이 세계시장에서의 시장주도권 선점을 목적으로 국가전략사업으로 앞다퉈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국가전략 차원에서 ’99년 7월 지상파 디지털TV종합계획을 발표하므로서 2000년 시험방송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화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방송은 한정된 전파자원의 제한성을 반도체와 영상압축이라는 기술로서 채널의 대폭적인 증가와 방송, 통신, 컴퓨터의 융합을 가져 왔으며, 디지털화를 통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가능하여 고품질, 다채널, 고부가 양방향성의 기술적 파급효과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전자, 영상산업의 발전을 발판삼아 국제 경쟁력의 확보기술, 수신기의 국제시장 창출, 등을 기대할 수 있는 국가 전략산업이 되고 있다. 그러나 방송의 디지털화는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어 방송사들의 경영압박요인이 되고 있고 정부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도입시기역시 수신기 개발과 보급의 적절한 시기에 맞추어 디지털화 아날로그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 디지털화 기술의 표준화에 대한 정책결정과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문제등 제반문제점이 남아 있는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위성의 디지털에 이어서 지상파방송의 디지털화 역시 방송경영측면에서 보면 기회이자 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신료 인상 및 세제 지원등 정부정책의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며 디지털화를 조기도입하되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동시방송이 불가피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완전디지털방송 시기는 디지털수신기 보급상황이 전 가구수의 70-80% 보급시 실시토록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방송사들의 경영전략적 측면에서도 방송 턴텐트 산업의 육성지원과 디지털시대에 대비한 인터넷과의 접목과 데이터방송 등 멀티미디어의 다양한 서비스확대와 아울러 디지털화로 인한 유휴채널의 유료화 운영방안 등의 정책적 선택이 필요하다. The activities to construct a new broadcasting system of the 21th century are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The digitalization of broadcasting has been changed the media environment fundamentally by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very advanced country is promoting the digitalization of the 21th century as a national strategic project to take the initiative of economy, considering its effect on the industry. Korea also announced the General Plan of Air Digital TV in July 1999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strategic project and now is processing the digitalization of air broadcasting, starting the test broadcast from 2000, with the purpose of completing it by 2010. Digital broadcasting brought the rapid increase of channels and the fusion of broadcasting, communication and computer by the technology of the semiconductor and visual compression which escapes the limitation in the resources of radio wave. It became also possible to provide various kinds of additional services which enabled the two-way technology of high quality, multi channels, and high value added. In the economic aspect, it can be an opportunity for us to have a national strategical industry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o develop foreign markets of receiving tools on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s and image industry. But the digitalization of broadcasting costs so much that it becomes a pressure on the management for broadcasting st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btain governmental supports and to adjust the time of digitalizing broadcasting according the condition of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receivers. In addit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has some problems such as the standardization of digitalized technology and the service of data broadcasting. In that the digitalization of air broadcasting following that of satellite may be an opportunity and a crisis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the broadcasting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s: i) introducing, in the early stage, the digitalization and the governmental policy supports including the increase of subscription fee and the tax benefits, ii) broadcasting only in the digital way if 70 to 80 percent of all the households have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s, in order to minimize the inevitability of broadcasting in analogue and digital ways at the same time, iii) in terms of managemental strategy of broadcasting stations, expanding the various multi-media service like data broadcasting choosing policies such as supports for fostering the content industry of broadcasting stations, combination of broadcasting and the Internet in preparation for the digital era, expansion of various multi-media service like data broadcasting, fee-charging operation of unused channels by digitalization, and so on.

      • 近代日本の植民地朝鮮に於ける社會事業政策硏究

        윤정욱 同志社大學 1995 해외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사회사업정책의 생성 및 변화의 가설중, 음모이론, 종속이론, 그 리고 사회양심론적 시점에 의해서, 일본제국주의에 의한 식민지조선에 있어 서 사회사업정책 및 활동내용을 분석하고, 사회사업정책의 생성요인 및 특성 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즉, 식민본국의 식민지통치정책이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사회정책결정 및 시행에 미치는 영향의 실태가 어떠한 것이었 는지, 그리고 일본불교단체에 의한 사회사업활동의 실태분석을 통해서, 식민 지당국과의 정책적 상관성을 명백히 하는 것이다. 제일장에서는, 「식민지시대」의 배경으로서, 「일한수호조규 (1876)」의 성 립으로부터 식민지시대까지의 사회경제적변천과정과, 일본의 조선진출과 더 불어 제일본관계조약을 고찰하였다. 제이장에서는, 일본제국정부의 「토지 조사사업」이 가져온 「이농향도」 현상에 의한 빈민창출의 형성과정을 식민 지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특히, 식민지경제정책에 의한 농민층의 몰락배경을 검토함과 동시에, 식민지하에 있어서 빈민의 상징적인 존재인 춘궁민, 노동자 , 화전민, 그리고 토막부락민의 형성과정과 생활실태를 분석하였다. 제삼장에서는, 1876년 이후 조선으로 건너간 제조선일본인의 형성과정을 일 본의 이주정책등의 배경을 기초로 분석했다. 제사장에서는, 조선에 건너가 교세확정을 위해 포교활동을 시도한 일본불교 가 식민지당국의 종교정책을 등에 업고 각 분야에 걸쳐서 사회사업활동을 통 해 조선민중 깊이 침투해간 배경 및 사회사업활동의 내용을 통해 볼 수 있는 성격규명을 시도했다. 제오장에서는, 식민지하에 있어서 구빈행정의 근거가 되는 「은사진휼자금궁 민구조규정」의 성립과 조선총독부의 사회정책 집행기관의 검토와 함께 구호 사업, 구료사업, 방빈사업, 방면사업, 교화사업, 군사원호사업에 관해서 분 석했다. 제육장에서는, 상기와 같은 식민지하에 있어서의 사회사업정책 및 활동의 형 성과 발달을 사회정책발달론적 관점으로부터 본 문제제기 및 본 연구의 의의 와 성과에 관해서 언급했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equation of motion for constrained mechanical systems. Starting from the principle of virtual work, this study states and establishes an extended version of Principle. Using this extended principle and elementary linear algebra, it develops, from first principles, the explicit equation of motion for constrained mechanical systems.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ones derived by Udwadia and Kalaba. The approach points to new ways of extending these results. This study also develops a further understandig of Gauss�s Principle. A number of methods for describing constrained motion require fairly complicated intermediate processe+choice of quasi-coordinates, computation of vector components of acceleration, elimination of coordinates, etc. In order to illustrate that the explicit equation is more simply employed than existing methods, this study numerically compares our approach with other analytical method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at these methods have. analytically and An application When the explicit differential equation is numerically integrated by any numerical integration scheme, numerical solutions are found to gradually veer away satisfying the constraint equations. Most of the methods for reducing the errors depend on the method of Lagrange multipliers. These methods have difliculty in determining the multipliers accurately. Based on Baumgarte method, we present methods for accurately integrating the differential equation. This study provides four applications to the control of holonomically and/or nonholonomically constrained mechanical systems. These applications illustrate the ease with which the equation can be utilized for control of highly nonlinear mechanical systems without any linearization and for explicit determination of control forces required to precision tracking motion in the presence of known large disturbances. The constraints in these applications include nonlinear constraints and time-dependent constra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