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반복적 형상을 이용한 일상성의 표현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s which were recently presented in exhibition for master degree application. Modern art employs liberal way of expression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young artists like me can come to fully express their open messages in works. Therefore, modern art show the tendency to adapt the subject matter closely related to the artists' lives. Modern art puts more weight on the subject of art rather than its inborn pure meaning. This change implies the contextual aspect of the art comes to have more specification with the concerns moving from 'how' it expresses to what it expresses. The meaning of content are considered to take very large portion in my works, The meaning of contents intended to figure out the similarity between my daily expression and dailiness described in genre paintings and books while the shape showed the realistic reappearance and recurrence by adapting the most intimate and familiar subject matters ever found, which is more highlighted by two dimensional embossed expression using pai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ically to describe what I choose the contents of the works from, how I express the symbolic meaning, and that my works reflect the emotional contents. In addition, expression of daily subject matter, symbolism, painting space with recurrence of shape, two dimensional way of description by using two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were studied. In studying so, I expect this study to show the painting process which has balance between form and content, to provide the opportunity to think of and reconsider the works sought-after by me and further to this, to serve as the part of process to pursue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works. 본 연구는 최근 개최한 본인의 석사학위 청구전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 작품연구 논문이다. 현대 미술은 모든 내용에 있어 자유스러운 표현 방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보인과 같은 젊음 작가들은 열려있는 자신들의 메세지를 작품에 마음껏 표현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 미술은 작가의 삶과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맺는 소재들을 사용하게 되는 특징을 보여 주게 되었다. 현대미술은 미술의 본연의 순수한 의미보다는 주제를 중시하는 미술이라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의 문제를 ‘무엇을’ 표현할 것인가에 대한 회화의 내용적인 측면에 좀 더 구체적인 모습을 가지게 되었음을 뜻한다. 본인의 작품에서는 그 내용적 의미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매우 크게 부각되었다. 그러한 의미는 본인의 일상경험 속의 소재를 선택하여 관찰함이 조선후기의 풍속화와 책거리에 나타난 일상성과의 유사점을 서술하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형태는 현실 속에 나와 가장 친밀하고도 가까운 대상에서의 찾아내어 사실적 재현과 반복적인 구도를 사용하여 리듬적인 요소를 보여주었으며, 안료를 이용한 2차원적 부조적 표현이라는 주된 표현 방법을 통해 더욱 강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인의 작품의 내용을 무엇으로 선정하는지 부터, 내용에 관한 상징적 의미의 표현, 감성적인 내용을 반영하는 작품이라는 기본적인 의의를 서술하는 것에 논문의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일상적 소재의 표현과 상징성, 반복적 구도의 회화공간과 물질적 속성이 서로 다른 재료들을 통한 2차원적 묘사 방법에 관해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본인은 형식과 내용이 균제된 제작과정이 보여지 길 바라며, 본인이 추구해온 작업에 대한 모색과 반성 나아가 작업의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의 단계가 되고자 한다.
취업여성장애인의 직장 내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이정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여성장애인의 직장 내 차별경험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차별경험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한 「2019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4차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원자료의 여성장애인 중 임금근로자라고 응답한 38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취업여성장애인의 직장 내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 내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장애수용도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용현장에서 차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직장 내 장애인 인식교육이 확장되어야 하며, 여성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심리적·정서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이들의 장애수용 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다양한 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d woman with disabilitie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the 4st year date of second wave 2019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381 women with disabilities who said they were wage and salary workers on that surve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udy hypothesi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d woman with disabilities at work was greatly affected by thei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was verified in the process of job discrimination experienced in the workplace affecting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wareness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workplace, which can minimize discrimination when hiring, should be expanded. Also, differentiated programs and various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depending on the disability acceptance so that women with disabilities can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be adapt.
윤이정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전 세계적으로 창궐한 코로나19를 팬데믹으로 규정함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사회적 거리 두기’라는 행정 조치를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실시하였다. 마스크를 착용하여 타자의 얼굴을 보지 못하게 하였으며 비말 접촉을 하지 방지하기 위해 대화를 금지하였다. 이러한 행정 조치는 신속하게 처리되었고 수준 높은 시민 의식으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었기에 전염병의 확산을 막는 것에 큰 성공을 거둔다. 하지만 그 기간이 길어지면서 ‘타자 공백’ 현상이 나타났다. ‘타자 공백’은 일상 생활에서 타자 관계를 맺을 때 기존에 없던, 경험적으로 새로운 현상이며 타자의 존재를 아예 모르거나 물리적으로 옆에 있어도 그 타자가 누구인지 인지할 수 없는 상태가 조성되어 ‘타자가 비어있음’, ‘타자의 신상과 사정에 대해 깜깜한 상태’라고 특징지어진다. 이는 한 주체의 생활의식에서 ‘타자’가 실존하고 작용해야 하는 작동 요인 자체가 결여된 상태이다. 필자는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으로 시행한 행정 조치에 따라 우리의 생활세계에 나타난 새로운 이 현상을 개념적으로 포착하고 기술적(記述的)으로 표현하기 위해 동국대학교 철학과 홍윤기 교수가 이끄는 스터디 서클 “관심공동체(Interessegemeinschaft)”에서 홍윤기 교수의 제안에 따라 ‘타자 공백(blank of the other)’라는 표현에 합의하였다. 또한 필자는 이와 같은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에 따른 ‘타자 공백’에 타 학교 학생들과 비교하여 극단적으로 장기간 노출된 학급의 담임 교사를 맡았던 2022학년도에 학생들의 담화행위를 관찰 및 분석하였다. 먼저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는 청소년기에 ‘타자 공백’ 현상을 겪어야 했던 학생들에게 교실 환경이 어떤 생활세계로 변화하였는지 코로나19 행정 조치에 따른 교육 당국의 대응과 하버마스의 생활세계 개념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도덕적 성숙의 모델’의 근거로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을 기준으로 도덕의 구성 요소를 점검하고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이론과 논변윤리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인간 이성의 본질을 합리적 의사소통 이성으로 보았던 하버마스는 논변윤리를 통해 공동체가 특정 도덕 규범에 합의하는 논변의 U원칙과 D원칙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하버마스가 논변윤리의 실천적 모델로 제시한 콜버그의 도덕발달 이론을 통해 한 주체가 의사소통 합리성을 바탕으로 타자와의 논변 과정을 겪으면서 어떻게 한 개인의 도덕성을 발달시켜 나가는지를 보았다. 이와 같은 이론적 근거에 따르면 도덕은 타자에 대해 나를 세우는 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활세계의 어떤 것에 대해 자신이 옳다고 믿는 바를 타자에게 자기 표현으로 내세울 수 있고 이에 대해 논변을 거쳐 보편적이고 정당한 규범으로 타자와 관계 맺는 것이 도덕적으로 성숙하다는 것의 의미가 된다. 이처럼 ‘도덕적 성숙의 모델’에 기대어 분석한 학생들의 담화행위는 자아성 및 교우관계의 혼란을 보였다. 타인을 전제로 하여 일어났던 ‘타자 갈등’과 ‘타자 소외’ 문제와는 다른 양상이었다. 어떤 사태에 대해 자신이 느끼는 도덕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자아성 혼란은 타자의 시선을 통해 확인받을 수 있었던 자기 이해와 자기 결정의 문제를 일으켰다. 그리고 자아성 혼란은 자기 자신이 누구이고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 사람인지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없음에 타자와의 관계에서도 혼란을 겪고 있었다. 더 나아가 이 문제는 타자와 의사소통의 과정을 거쳐 공동체의 공동 가치에 동의하는 도덕 합의를 불가능하게 하여 학생들의 도덕 발달 지연과 미성숙 문제로 이어졌다. 그러나 학생은 청소년이라는 미성숙한 시기의 과도기를 거쳐 대한민국 교육기본법 제2조에서 보장하듯이 대한민국의 홍익이념 아래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의 역량을 갖춰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것에 이바지하는 도덕 행위자이다. 우리 사회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온전한 도덕 행위자로 대우하고 교육해야 한다. 그래서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교실 환경은 그들이 지각하고 인식하는 그 세계의 무엇에 대해서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구성원 누구라도 그 발언에 타당성 요구에 근거한 반박을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은 이러한 기조 위에 자유로운 논변을 거쳐 그들이 합의하는 도덕 가치를 규정할 수 있는 도덕 행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합리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교실 환경에서 생활해야 한다. 따라서 과거에는 지극히 개인적이고 특수한 환경에서 겪었던 ‘타자 공백’이 코로나19로 인한 행정 조치인 ‘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라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난 ‘타자 공백’의 문제점을 우리 사회가 인식해야 한다. 그것은 학생들의 담화행위에서 드러난 ‘타자 공백’의 영향에 따른 문제로 도덕이 타자를 전제로 자아를 확립하는 것인데 타자가 없을 때 한 주체의 도덕성이 어떻게 혼란을 겪는지 보았기 때문이다. 특히 교실 속 학생은 미래에 무엇인가가 될 가능성을 지녔으며 그 무엇인가가 되어 우리 사회의 공통 합의에 참여할 미래 존재이기 때문에 교실 환경은 모든 논의 가능성이 열려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도덕적 성숙의 모델’을 실현할 수 있는 교실 환경이 학생들에게 생활세계로 공유될 수 있도록 ‘타자 공백’으로 인해 발생한 자아성 및 교우 관계 혼란의 양상을 제대로 인식하고 극복할 방안에 대해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In response to the global outbreak of COVID-19, which was declared a pandemic,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an administrative measure called "social distancing" from 2020 to 2023. Masks were worn to prevent people from seeing other people's faces, and conversations were prohibited to prevent droplet contact. These administrative measures were implemented quickly and were highly successful in stopping the spread of the pandemic due t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with a high level of civic awareness. However, the prolonged period of time led to the phenomenon of the "blank of the other". The 'blank of the other' is an empirically new phenomenon that has never existed before in everyday life, and is characterized as 'blank of the other' and 'blind to the identity and circumstances of the other' because it creates a state of not knowing the existence of the other or not being able to recognize who the other is even if they are physically next to you. This i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ve factors that make the 'other' exist and operate in a subject's life consciousness are absent. In order to conceptually capture and technically express this new phenomenon that has emerged in our living world due to the administrative measures implemented in response to COVID-19, I agreed on the expression "blank of the other" at the suggestion of Professor Yoonki Hong in the study circle "Interessegemeinschaft" led by Professor Hong in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Dongguk University. In addition, I observed and analyzed the discursive behavior of students in the school year of 2022, when I was a classroom teacher of a class that was exposed to the blank of the other for an extremely long period of time compared to students in other schools due to these "social distancing" measures. First, we examined how the classroom environment changed into a lifeworld for students who had to experience the 'blank of the other' phenomenon during adolescence, when they were establishing their self-identity, through the educational authorities' response to the COVID-19 administrative measures and Habermas's concept of lifeworld. In addition, we examined the components of morality based on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as a basis for a model of moral maturity, and looked at Habermas's communication theory and argumentative ethics. Habermas, who saw the essence of human reason as rational communicative reason, proposed the U-principle and D-principle of argumentation through which a community agrees on certain moral norms through argumentative ethics. In addition, Kohlberg'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which Habermas presented as a practical model of argumentative ethics, shows how an individual develops his or her morality through the process of argumentation with others based on communicative rationality. According to this theoretical basis, I was able to confirm that morality is about establishing oneself in relation to others. Being able to self-express to others what one believes to be right about something in the world of life, and to relate to others in a universal and justifiable norm through argumentation, is what it means to be morally mature. The students' discourse behaviors analyzed according to this model of moral maturity showed confusion in selfhood and friendship. It was different from the problems of 'other conflict' and 'other marginalization' that occurred based on the premise of others. The confusion of selfhood, which is the inability to verbalize one's moral feelings about a situation, caused problems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determination tha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gaze of the other, and the confusion of selfhood also caused confus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as they could not confirm who they were and their place in the community. Furthermore, this problem made it impossible to reach a moral consensus through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agreeing on the common values of the community, leading to the students' delayed moral development and immaturity. However, students are moral actors who, as guaranteed by Article 2 of the Basic Education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go through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ir youth and develop their character under the Hongik ide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democratic nation and the realization of the ideal of human common good by equipping them with the capabilities of independent living and civil citizenship. Our society should treat and educate high school students as full moral agents.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classroom environment should be one in which they are free to speak and express themselves freely about anything in the world they perceive and recognize, and in which any member of the class can challenge those statements with validity-based rebuttals. On this basis, students should live in a classroom environment that is sufficiently communicatively rational to allow them to develop into moral agents who can freely argue and define their own agreed-upon moral values. Therefore, our society should recognize the problem of the 'blank of the other' that has emerged as a social phenomenon under the administrative measure of 'social distancing' due to COVID-19, which was experienced in the past in an extremely personal and specialized environment. It is a problem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other blank' revealed in the discourse behavior of students, because morality is to establish the self on the premise of the other, and we saw how the morality of one subject is confused when there is no other. The classroom environment should be open to all possibilities of discussion, especially since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are future beings who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something in the future and will participate in the common consensus of our society.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have a social discussion on how to properly recognize and overcome the confusion of selfhood and friendship caused by the 'blank of the other' so that the classroom environment that can realize the 'model of moral maturity' can be shared with students as their life-world.
정부 과학기술인력양성사업의 성과 영향요인 간 중요도 분석
윤이정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이공계 대학졸업자(이하 이공계 대졸자)의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2018년 3월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청년 일자리 대책」을 통해 이공계 대졸자 중 미취업자를 기업 맞춤형 인력으로 양성하여 청년실업 문제뿐만 아니라 이공계 인력의 수급 불균형 문제까지 해소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2018년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에서는 「출연(연) 발전방안」을 통해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과기출연(연))의 역할과 책임(R&R)에 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양성 기능을 추가하였다. 그 일환으로 25개 과기출연(연)에서는 2018년 6월부터 2021년 3월까지 기업 수요가 반영된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 분야의 연구실무 교육을 통해 이공계 대졸자 인력을 양성하여 취업연계까지 지원하는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을 수행하였다. 과기출연(연)은 연구목적 기관으로서 이공계 대졸자 등을 양성한 경험이 적어 대학이나 민간에 비해 교육 인력이 부족하고 시스템도 미흡한 편이다. 하지만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을 통해 3년간 총 2,189명의 훈련생을 선발하였고 67.8%라는 취업률을 달성하였다. 이는 일반적인 인력양성사업 취업률(49.8%)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을 중심으로 정부 과학기술인력양성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에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과기출연(연)이 연구목적 기관에 부합한 연구실무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일자리 창출 시스템을 만들어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던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 개선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업의 성과 영향요인을 크게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세부 성과요인들을 14가지로 도출하여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모형(AHP)을 설정한 다음,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의 사업관리위원회 위원단, 사업전담기관 담당자, 과기출연(연)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AHP 설문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일관성 비율(CR)이 0.1 미만인 11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1계층 요인 간 비교 결과, 조직 간 협력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업관리 및 평가(부처, 사업관리위원회, 전담기관), 사업운영(출연(연)), 채용수요(유관 기업 및 직무훈련 관련 분야 기업)로 이어지는 참여 주체별 노력이 사업목표와 목적에 맞게 잘 연계되어 성과를 높일 수 있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② 1계층 및 2계층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통해 14개 요인에 대한 복합가중치를 도출한 결과, 도제식 실험·실습/팀프로젝트 중심 교육운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업을 운영한 연구기관의 특성에 맞춰 도제식으로 각 연구실에 훈련생을 배정한 후 실험·실습과 팀프로젝트 중심으로 교육을 구성한 부분이 훈련생(이공계 대졸자)의 취업역량 강화에 기여한 바가 가장 크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1계층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서 훈련생 개인적 요인이 2순위로 나타났고 그 하위 요인들도 종합결과에서 모두 상위 순위를 보였는데,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 관련 전문가들은 훈련생 개인적 요인의 하위 요인 모두를 사업의 성과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계층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서 환경적 요인은 마지막인 4순위로 나타났으나, 하위계층 요인 중 사업관리 기관의 역량 및 역할 요인은 2계층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고, 종합결과에서도 6순위를 보였다. 이는 사업관리 기관이 지원의 기능을 넘어서 사업 개선안 도출 및 사업 환경적 기반 마련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사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③ AHP 설문에 참여한 그룹별로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훈련을 직접 운영하고, 훈련생과 대면 소통하며 취업연계를 지원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사업운영기관(출연(연))일수록 현장과 밀접한 요인이 상대적 중요도에서 더 높은 순위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각 그룹의 수행역할에 따라 사업의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이 상이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세 그룹 모두 공통으로 예산 편성의 적절성/집행의 유연성 요인은 상대적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사업운영에 적절하게 예산을 편성하고, 유연하게 집행할 수 있도록 방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분석을 통해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① 인력양성사업 수행 주체의 특성과 환경적 기반을 바탕으로 직무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② 유관 기업과 상시 협력체계 하에 직간접적 취업연계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③ 성과 영향요인에 따른 사업 개선방안 도출 시 인력양성 대상인 훈련생 선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④ 사업관리 기관이 정책기획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성과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사업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사업을 관리해가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⑤ 사업 예산 편성을 사업 운영환경에 적합하게 추진하고, 유연하게 집행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⑥ 인력양성사업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사업 관리기관, 수행기관, 관련 분야 전문가 등 다양한 주체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과기출연(연)이 연구·산업현장에서 부족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과학기술 혁신성장 분야의 연구실무 인재를 양성하고 취업까지 연계할 수 있는 기능을 더욱 강화해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성과 영향요인을 도출할 때 선행연구를 참고할 뿐만 아니라 사전 설문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참여자 의견을 종합한다면 더욱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업수행 주체뿐만 아니라 사업 수혜대상까지 포함하는 연구를 수행한다면 더욱 분석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As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of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hereinafter referred to as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emerged as a serious national and social problem, in March 2018, the government jointly worked with related ministries to train the unemployed among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as manpower tailored to companies through the 「Youth Jobs Measures」 to reduce youth unemployment. It was announced that it would resolve not only the problem but also the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science and engineering personnel. Accordingly, in July 2018,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nounced the R&R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hereinafter referred to as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has added the role of training human resource required by business sites. As part of this, from June 2018 to March 2021, 25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s trained college graduat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rough research & practical talent training programs that reflected corporate demand, and supported them until they were hired by companies. Until now,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had little experience in training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and thus lacked educational systems compared to universities or the private sector. However, through this program, a total of 2,189 people were selected for 3 years and an average employment rate of 67.8% was achieved. This showed excellent results compared to the employment rate of general human resource training programs. In this regard,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s human resource training program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policy implications and consider improvement plans b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have enabled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to develop research & practical talent training programs suitable for research institutions and create a research job creation system to achieve results. In this paper,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of the program are largely divided into 4 types, and detailed performance factors for each area are derived into 14 types, and a Analytic Hierarchy Process model (AHP) is established. The AHP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program management committee members,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in management institution, and the administrator of the program in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finally, the results of 11 responses with a consistency ratio (CR) of less than 0.1 were analyz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①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tiers, the cooperation factor between organization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his means that the efforts of each participating entity, which leads to program are aligned with the program goals and objectives. It is interpreted as judging that it was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by properly linking it. ② As a result of deriving the composite weight of 14 factors through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1st and 2nd tiers, the apprenticeship experiment/practice/team project-oriented educational operation factor showed the highest priority. This is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 apprenticeship-based trainees were assigned to each laboratory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institute that operated the program, and the part of the education centered on experiments, practices, and team projects contributed the most to strengthening the employability of trainees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In addition,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rst-tier factors, the trainee's personal factor ranked second, and all sub-factors ranked high in the overall results. All of them can be interpreted as judging that the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rst-tier factors, the environmental factor ranked 4th, and among the lower-tier factors, the capability and role of the program management institution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cond-tier factors, and ranked 6th in the overall result.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judgment that the program management institu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gram performance by playing a more active role, such as deriving program improvement plans and establishing a business environment basis, beyond the function of support. ③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survey results by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AHP survey, the group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a position to directly operate job training, communicate face-to-face with trainees, and support employment linkage is a factor closely related to the field. Based on this, it can be identified that perception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may differ depending on the role of each group. The flexibility factor showed the lower relative importanc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recognizing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in the direction of budget appropriate for business operation and flexible budget execution. The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mote a job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oundation of the subject of the human resource training program. ② Direct and indirect employment-linked support must be provided under a permanent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companies. ③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election of trainees who are the target of human resource training program when deriving program improvement plans according to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④ It is important for the program management institution to actively participate from the policy planning stage, prepare a plan for operating the program that can achieve the performance goal, and support the program management. ⑤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grant autonomy so that program budgets can be appropriately promoted for the program operating environment and executed flexibly. ⑥ When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llect the opinions of various actors such as program management institution, implementing institution, and experts in related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further strengthen their ability to train human resource in the field of innovative growth i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is expected to be lacking in research and industrial fields, and even connect them to employment. In the follow-up study, more meaningful results can be derived i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upplemented, and when deriving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not only refer to previous studies, but also combine the opinions of experts and participants in various fields through preliminary surveys. In addition, if a study is conducted that includes not only the subject of the program but also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it will be meaningful as a more analytical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