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 개발

        윤우람 동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한 국가의 경제 성장이 양적 한계점에 이르면 질적 성장을 위한 혁신이 요구된다. 양적 성장을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지 못한 많은 국가들이 중진국의 함정에 빠지게 되었다. 국가 경제의 체질을 전환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창의적 인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여러 국가들은 일찍이 창의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국민의 창의성을 증진할 목적으로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이들이 창의성교육을 보급하는 과정에서 디자인적 사고의 가치를 재조명하였고, 이를 적용한 교육을 통해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괄목할만한 경제적 성과를 달성하였으나 최근 성장률이 둔화되며 양적 성장의 한계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거대한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창의적 인재가 다수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중국은 현재도 명문대 진학을 위한 입시위주의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전체 교육산업에서 아동의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의 비중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 방법론을 중국 교육에 체계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적 콘텐츠 요소를 창의성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기반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에 중국 교육환경에 적합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창의성에 대한 선행연구의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아동기의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규명하였다. 그리고 중국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중국의 교육환경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중국의 문화 콘텐츠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를 통해 제안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가장 대표적인 창의성 측정 도구인 Torrance의 TTCT 창의력 검사를 이용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수업을 전후로 TTCT를 통한 사전평가와 사후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공인인증 기관을 통해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한 이후 이에 참여한 아동들의 도형 및 언어 창의력 지수에서 유의한 증진효과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문화적 요소를 적용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한 기반 연구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When the nation's economic growth reaches its quantitative thresholds, innovation for qualitative growth is required. Many countries that have failed to convert quantitative growth into qualitative growth have fallen into the middle income trap. Therefore, the role of creative talent is important for changing the constitution of the national economy and for continuous economic growth. Several countries have recognized the value of creativity earlier, and have made various attempts with the aim of promoting the creativity of the people. They re-examined the value of design thinking in the process of disseminating creative education, and are trying to cultivate creative talent through the education that applied it. China has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since its reform and opening, but it has recently slowed down and is getting closer to the limits of quantitative growth.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have a large number of creative people to continue the growth of the huge Chinese economy. Nevertheles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in China is entrance examination education to enter prestigious universities, and the share of education for children's creativity in the whole education industry is very sm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ttempt to systematically apply the methodology of creative education to Chinese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measures to apply Chines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to creative education, develop art experience programs based on it, and promote the creativity of Chinese children.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ombination with theoretical study and empirical study to develop art experience programs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China. For theoretical study,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study on creativity were organized., 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reative education in childhood were ascertained. This study also conducted a survey study of Chinese parents to confirm the need to utilize Chinese cultural content to develop programs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China, and proposed an art education program that applied it. Finally,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he most representative creative testing tool,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posed art experience program through study. Before and after the class, pre- and post-evaluation was conducted on children, and it was commissioned and analyzed by a certified institu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eaningful enhancement occurred in the verbal and non-verbal creativity Index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his study is valuable as a base study that attempted to develop an art experience program that applied Chinese cultural elements.

      • 스포츠마사지 견갑부 전문기법 적용이 Push up 시 근전도에 미치는 영향

        윤우람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15명의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스포츠마사지 견갑부 전문기법 적용이 push-up 시 주동근과 협력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운동 전 스포츠마사지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송파구 S대기업에 근무하는 성인남성 10명, 성인여성 5명으로 최근 어깨 관절 및 팔꿈치 관절에 부상을 입은 경험이 없으며 push-up이 가능한 직장인(나이: 27.26±2.12year, 신장: 172.35±8.91cm, 체중: 67.72±13.23kg)을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사전에 push-up의 일관성을 위해 교육을 받았으며 굴곡과 신전 구간에서 5초의 등척성 운동으로 시작과 끝 지점의 1초를 제외한 3회 측정한 값의 근활성도를 평균화하였다. 스포츠마사지 견갑부 전문기법은 10분 동안 진행하였으며 5분 휴식 후 push-up을 진행하여 전과 비교하였다. 근활성도 분석장비는 무선 근전도 Zero-wire EMG(Wireless electromyography, Aurion, Italy)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신호는 CE0051로 보내져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 다음, 개인용 컴퓨터에서 MyoResearch XP 1.06.44(Aurion S.r.l,, Italy)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필터링과 기타 신호처리를 하였다.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dow PC ver. 12.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결론은 스포츠마사지 후 굴곡구간에서 주동근인 대흉근이 근활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상승모근·대흉근 비와 상승모근·하승모근 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스포츠마사지 견갑부 전문기법의 적용이 상승모근의 긴장도 감소에 효과가 있으며 불균형한 견관절의 움직임 완화로 push-up 주동근인 대흉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 12주 하지정렬 교정운동 프로그램이 유연성 편평족의 하지관절 상해요인과 발 구조 개선에 미치는 영향

        윤우람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1855

        유연성 편평족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테이핑 및 인솔, 신발 등의 외적인 요인을 동원한 수동적인 근육작용을 통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능동적으로 자신의 근육을 통해 교정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발과 발목을 작용하는데 관련된 근육 트레이닝에 집중된 연구가 대부분이였다. 하지만 유연성 편평족의 경우 하지 전반적인 역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뿐만이 아닌 하지 전체의 트레이닝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연성 편평족을 대상으로 12주간 하지정렬 교정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기능적 움직임인 오래 걷기와 중량 스쿼트 시 하지의 운동학 및 운동역학적 요인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30대의 젊은 성인남성으로 전문의료인으로부터 발의 시상면 x-ray 촬영을 통한 목말뼈-첫번째발허리뼈 각도(talo-first metatarsal angle [T1M])를 측정하였으며, 각이 3-11.2도 사이는 정상족으로 분류하고 11.2도를 초과할 경우 편평족으로 분류하고 엄지발가락 들기 테스트(toe-raise‘Jack’test)를 통하여 유연성 편평족으로 분류하였다. 집단은 정상족(normal foot, [NF]) 10명(나이:24.8±2.53 year, 키: 173.0±7.14 cm, 체중:72.56±12.29 kg, T1M: 6.2±1.1 deg)과 대조군(flexible flatfoot, [FF]) 10명(나이:23.5±2.68 year, 키:176.8±5.36 cm, 체중:77.68±9.22 kg, T1M:12.41±.54 deg), 훈련군(flexible flatfoot training, [FFT]) 10명(나이:23.9±0.99 year, 키:175.4±5.42 cm, 체중:72.43±7.82 kg, T1M:11.99±.85 deg)으로 진행되었다. 하지정렬 교정운동 프로그램은 총 50분/회, 주 3회, 12주간 실시하였다. 동작분석은 스쿼트의 경우 1RM의 65% 무게로 5번 진행하였으며, 오래 걷기는 자신이 선호하는 속도로 15분간 걷게 하였다. 스쿼트는 앉는 구간과 서는 구간, 오래 걷기는 지지구간에서 최대 관절각, 모멘트, 근활성도, 근피로도, 힘의 작용점을 산출하였다. 실험장비는 적외선 카메라(Oqus300, Sweden) 8대를 사용하였다. 이때, 샘플링율은 100 Hz로 설정하였다. 스쿼트는 지면반력기(Type9286AA, Kistler, Swizerland), 오래 걷기의 경우 지면반력기가 내장된 Instrumented treadmill (Bertec, USA)을 사용하였으며, 근활성도는 Noraxon EMG Ultium ESP (Noraxon, USA) 7채널을 사용하였다. 이때, 샘플링율은 2000 Hz로 설정하였다. 취득된 운동학, 운동역학 자료는 Visual 3D (C-Motion, USA)와 Matlab R2014b (The Mathwork, USA)를 통해 자료처리 하였다. 이때, 차단 주파수는 PSD 분석 99% 값으로 설정하였으며, 근전도의 경우 20-450 Hz 2차 band pass filter로 필터링하였다. NF와 FF, FFT 집단의 기간과 집단 간 운동학적, 운동역학적 변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를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은 Bonferroni를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발 구조를 보기위한 T1M을 비교한 결과 FFT 집단(0주: 11.99±.85°, 6주: 11.24±.41°, 12주: 10.54±.64°, p<.05)에서 0주보다 6주, 12주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정렬을 정량화한 넙다리네갈래근각은 FFT 집단(0주: 11.99±.85°, 6주: 11.24±.41°, 12주: 10.54±.64°, p<.05)에서 0주보다 6주, 12주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오래 걷기는 FFT 집단에서 발목관절의 최대 벌림각(0주: 15.72±5.04°, 6주: 12.30±6.29°, 12주: 9.25±3.96°, p<.05)이 0주보다 12주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무릎관절의 최대 벌림각(0주: .04±3.28°, 6주: -3.09±2.68°, 12주: -2.72±2.83°, p<.05)이 0주보다 6주, 12주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모멘트는 FFT 집단에서 발목관절의 발등굽힘모멘트(0주: .35±.08 Nm/kg, 6주: .43±.10 Nm/kg, 12주: .47±.18 Nm/kg, p<.05)가 0주보다 6주, 12주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활성도는 FFT 집단에서 긴종아리근의 활성도(0주: 21.84±21.79%, 6주: 12.59±9.14%, 12주: 15.49±16.20%, p<.05)가 0주보다 6주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큰볼기근의 근활성도(0주: 3.57±1.37%, 6주: 4.63±3.37%, 12주: 5.63±2.45%, p<.05)는 0주보다 12주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피로도는 FFT 집단에서 큰볼기근의 근피로도(0주: .97±.16%, 6주: .95±.15%, 12주: .81±.050%, p<.05)가 0주보다 12주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좌우 CoP의 위치는 FFT 집단(0주: 21.02±9.10%, 6주: 32.83±5.98%, 12주: 35.94±5.69%, p<.05)에서 0주보다 6주, 12주에서 유의하게 가쪽으로 이동하였다. 스쿼트에서 FFT 집단의 발목관절의 최대 벌림각(0주: 16.29±4.88°, 6주: 11.03±5.54°, 12주: 8.65±4.16, p<.05)이 0주보다 6주, 12주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엉덩관절의 최대 굽힘각(0주: 91.70±6.12°, 6주: 96.29±8.62°, 12주: 97.96±3.33°, p<.05)이 0주보다 12주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최대 벌림각(0주: 11.62±4.90°, 6주: 15.50±3.90°, 12주: 15.00±4.25°, p<.05)이 0주보다 6주, 12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FFT 집단에서 무릎관절의 굽힘각(0주: 104.43±8.23°, 6주: 112.22±9.72°, 12주: 114.52±12.82°, p<.05)이 0주보다 6주, 12주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모멘트의 경우 FFT 집단에서 엉덩관절의 최대 폄모멘트(0주: -1.03±.15 Nm/kg, 6주: -1.04±.23 Nm/kg, 12주: -1.23±.23 Nm/kg, p<.05)는 0주보다 6주, 12주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최대 모음모멘트(0주: -.50±.14 Nm/kg, 6주: -.70±.18 Nm/kg, 12주: -.63±.15 Nm/kg, p<.05)는 0주보다 6주, 12주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최대 안쪽돌림모멘트(0주: -.11±.11 Nm/kg, 6주: -.17±.15 Nm/kg, 12주: -.21±.13 Nm/kg, p<.05)는 0주보다 12주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FFT 집단에서 무릎관절의 벌림모멘트(0주: .01±.06 Nm/kg, 6주: .06±.10 Nm/kg, 12주: .12±.06 Nm/kg, p<.05)는 0주보다 12주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무릎관절의 가쪽돌림모멘트(0주: .32±.10 Nm/kg, 6주: .43±.08 Nm/kg, 12주: .38±.09 Nm/kg, p<.05)는 0주보다 6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활성도는 FFT 집단에서 서는 구간의 긴종아리근 활성도(0주: 45.09±22.93%, 6주: 31.82±17.61%, 12주: 24.32±7.51%, p<.05)가 0주보다 12주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큰볼기근 활성도(0주: 21.29±9.81%, 6주: 39.47±15.86%, 12주: 35.75±19.91%, p<.05)는 0주보다 6주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FFT 집단에서 서는 구간의 엄지벌림근 활성도(0주: 36.87±12.21%, 6주: 68.41±31.61%, 12주: 63.72±19.07%, p<.05)가 0주보다 6주, 12주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유연성 편평족은 체중 지지 시 하지관절 기능이상으로 발목의 엎침, 벌림과 무릎관절의 안쪽돌림, 벌림, 엉덩관절의 안쪽돌림, 모음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 무릎의 외반 스트레스가 지속해서 나타나고 그에 따라 슬개대퇴증후군, 발바닥근막염, 하지운동손상증후군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하지관절 기능이상으로 잠재적 하지관절 상해요인을 지니고 있는 유연성 편평족에게 12주 하지정렬 교정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발 구조와 기능적 움직임이 개선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2주 하지정렬 교정운동 프로그램은 유연성 편평족의 하지관절의 기능적 움직임을 개선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유연성 편평족의 발 구조와 하지정렬 또한 개선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지속적인 체중 지지가 일어나는 걷기와 체중 이상의 무게를 들어올리는 스쿼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인 하지관절 상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lexible flatfoot have investigated through passive muscle action using external factors such as tapping, insole, and shoe. Previous studies that used exercise programs to induce active muscle function have concentrated on muscle training designed to strengthen the feet and ankles. Given its impact on the mechanical function of the lower extremity as a whole, flexible flatfoot needs lower-extremity training beyond foot training.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hanges in lower extremity kinematics and kinetics during functional movements of walking and squats with extra weight loading in the participants with flexible flatfoot after 12-week lower extremity alignment corrective exercise. Young male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talo-first metatarsal angle (T1M) in the sagittal plane was measured by x-rays to assess flatfoot. The measurements in the range of 3~11.2 degrees were classified as normal foot, and the measurements exceeding 11.2 degrees were considered as flatfoot. Flexible flatfoot was assessed using toe-raise ‘Jack’test.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normal foot group (NF, n=10, age:24.8±2.53 year, height: 173.0±7.14 cm, weight:72.56±12.29 kg, T1M: 6.2±1.1 deg), the flexible flatfoot group (FF, n=10, age:23.5±2.68 year, height:176.8±5.36 cm, weight: 77.68±9.22 kg, T1M:12.41±.54 deg) and the flexible flatfoot training (FFT, n=10, age:23.9±0.99 year, height:175.4±5.42 cm, weight:72.43±7.82 kg, T1M:11.99±.85 deg). The lower extremity alignment corrective exercise was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50 minutes each time for 12 weeks.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five times squats with 65% of the 1RM for motion analysis. In a separate session, they were asked to walk at preferred speed for 15 minutes. The concentric contraction phase and eccentric contraction phase were calculated while sqautting. In a walking, the maximum joint angle, moment, muscle activation, muscle fatigue and center of pressure (CoP) at a specific point were calculated during support phase. Eight infrared cameras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with 100 Hz. A Kistler force platform (Type9286AA, Kistler, Switzerland) was used for squatting. An instrumented treadmill (Bertec, USA) with built-in force plates was used for walking. A 7-channel EMG Ultium ESP (Noraxon, USA) was used for muscle activation. In the case of the EMG signal, the sampling rate was set to 2000 Hz. Collected kinematic and kinetic data were analyzed using Visual 3D (C-Motion, USA) and Matlab R2014b (The Mathwork, USA). The cut-off frequency was set to a PSD 99%. EMG signals were filtered with a 2nd order band-pass filter at the range of 20-450 Hz. A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to compare exercise time and kinematic/kinetic parameters among NF, FF and FFT groups. Bonferroni was performed for post-hoc tests.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α=.05.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1M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FFT group (0 week: 11.99±.85°, 6 week: 11.24±.41°, 12 week: 10.54±.64°, p<.05) at 6 and 12 weeks, compared with baseline measurements. The Q-angle, a quantified measurement of lower limb alignment,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FT group (0 week: 11.99±.85°, 6 week: 11.24±.41°, 12 week: 10.54±.64°, p<.05) at the same time points. During walking, the maximum abduction angles in the joints of the ankle (0 week: 15.72±5.04°, 6 week: 12.30±6.29°, 12 week: 9.25±3.96°, p<.05) and knee (0 week: .04±3.28°, 6 week: -3.09±2.68°, 12 week: -2.72±2.83°, p<.05),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FFT group at 6 and 12 weeks. The ankle dorsiflexion moment (0 week: .35±.08 Nm/kg, 6 week: .43±.10 Nm/kg, 12 week: .47±.18 Nm/kg, p<.05)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FT group at 6 and 12 weeks. Regarding muscle activation, the FF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decreased activation in the peroneus longus muscles (0 week: 21.84±21.79%, 6 week: 12.59±9.14%, 12 week: 15.49±16.20%, p<.05) at 6-week and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ation of the gluteus maximus muscles (0 week: 3.57±1.37%, 6 week: 4.63±3.37%, 12 week: 5.63±2.45%, p<.05) at 12-week. The FFT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fatigue in the gluteus maximus muscles (0 week: .97±.16%, 6 week: .95±.15%, 12 week: .81±.050%, p<.05). The position of the M/L CoP (0 week: 21.02±9.10%, 6 week: 32.83±5.98%, 12 week: 35.94± 5.69%, p<.05) significantly moved lateral in the FFT group at 6 and 12 weeks. In squat, the FF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aximum ankle abduction angle (0 week: 16.29±4.88°, 6 week: 11.03±5.54°, 12 week: 8.65±4.16, p<.05) at 6 and 12 weeks an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maximum hip flexion angle (0 week: 91.70±6.12°, 6 week: 96.29±8.62°, 12 week: 97.96±3.33°, p<.05) at 12 week and the maximum hip abduction angle (0 week: 11.62±4.90°, 6 week: 15.50±3.90°, 12 week: 15.00±4.25°, p<.05) at 6 and 12 weeks. In the FFT group, the knee flexion angle (0 week: 104.43±8.23°, 6 week: 112.22±9.72°, 12 week: 114.52±12.82°, p<.05) significantly increased at 6 and 12 weeks. The comparison of moment, the FFT group exhibited significant decreases in both the maximum hip extension (0 week: -1.03±.15 Nm/kg, 6 week: -1.04±.23 Nm/kg, 12 week: -1.23±.23 Nm/kg, p<.05) and adduction moments (0 week: -.50±.14 Nm/kg, 6 week: -.70±.18 Nm/kg, 12 week: -.63±.15 Nm/kg, p<.05) at 6 and 12 weeks, while their maximum moment at the hip in internal rotation (0 week: -.11±.11 Nm/kg, 6 week: -.17±.15 Nm/kg, 12 week: -.21±.13 Nm/kg, p<.05) significantly decreased at 12-week. In the FFT group, the knee abduction moment (0 week: .01±.06 Nm/kg, 6 week: .06±.10 Nm/kg, 12 week: .12±.06 Nm/kg, p<.05) significantly increased at 12-week and the external rotation moment of the knee joint (0 week: .32±.10 Nm/kg, 6 week: .43±.08 Nm/kg, 12 week: .38±.09 Nm/kg, p<.05) increased at 6-week. In addition, their muscle activ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eroneus longus (0 week: 45.09±22.93%, 6 week: 31.82±17.61%, 12 week: 24.32±7.51%, p<.05) at 12-week and increased in the gluteus maximus (0 week: 21.29±9.81%, 6 week: 39.47±15.86%, 12 week: 35.75±19.91%, p<.05) at 6-week during the concentric contraction phase. Furthermore, their muscle activation in the abductor hallucis (0 week: 36.87±12.21%, 6 week: 68.41±31.61%, 12 week: 63.72±19.07%, p<.05)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concentric contraction phase at 6 and 12 weeks. Flexible flatfoot is characterized by limited func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whereby the excessive pronation and abduction of the ankle, the internal rotation and abduction of the knee joint and the internal rotation of the hip joint occur simultaneously. As a result, persistent knee valgus stress occurs, and further symptoms including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lantar fasciitis and lower extremity movement impairment syndrome can ensue. The present study addressed potential injury factors of lower extremities resulting from a functional limitation in the participants with flexible flatfoot and applied a 12-week lower extremity alignment corrective exercise to examine its effects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movement of flatfoot.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functional movement, foot structure and lower extremity alignment in the flexible flatfoot group. As a result, the 12-week lower extremity alignment corrective exercise is likely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potential injuries in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weight-bearing exercises such as walking and squatting.

      • 레비나스의 윤리적 주체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

        윤우람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it means to become an ethical subject who lives right through education by interpreting Levinas' ideas educationally. Levinas is known as a thinker who developed his ideas with ethics as the first philosophy and others' alterity as the core, and thus was covered in various papers as a thinker who suggested the direction of ethics education. These studies ar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confirming what his ideas suggest to us today after systematically organizing Levinas' ideas. However, when this paper interprets Levinas' idea educationally, it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finding implications of Levinas’ idea. This paper attempts to interpret Levinas' idea as an educational theory that explains the ethical meaning of the act of education in itself. In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teaching scene, Levinas' idea can be better understood, and at the same time, the meaning of the word that the educated person lives as an ethical subject can be better understood in light of Levinas' idea. This paper understood ethics as the right realization of humanity, and first examined two main discourses in this respect. The first discourse is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ECD 2030), a representative entity that leads the discussion of the curriculum in the 21st century. OECD 2030 understands the leading human being who actively realizes agency with the goal of well-being of himself and others as the right realization of humanity. The second discourse is the discourse of Gert J. J. Biesta, which poses the problem about the discourse of humanity represented by the OECD 2030. Based on Levinas' idea, Biesta criticizes that the way to define humanity, like OECD 2030, does not respect the alterity of others, that is, the possibility of students who can emerge as new and unique subjects. Biesta says the role of education is only to leave space open for newcomers to emerge as a unique and individual being in the world of plurality and difference. However, Biesta's discourse rather poses a risk in that it blocks the pursuit of true humanity and discussion of human life. The flaw of the discourse of Biesta is an inevitable result of overlooking the metaphysical dimension of Levinas' idea and trying to interpret it only in terms of empirical reality. When we correctly interpret Levinas' ideas educationally, considering the metaphysical dimension, we can discuss humanity as a true standard that humans should pursue without understanding it in a way that is prescribed before education, such as humanism. Levinas refers to infinity as the absolute other on the metaphysical dimension revealed through the teacher. Infinity cannot be defined empirically, and it becomes an ethical standard that humans must pursue endlessly to live as human. Infinity is not fixed, and it can have a unique meaning to each human among the educ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nly in teaching the school subject. One who decides to make the ethical standard of infinity, which is never understandable by human understanding, as a unique criterion for oneself, he or she is the ethical subject who Levinas wanted to defend. In an era when religion has declined and God has disappeared, even in human life, where one has no choice but to say that the true life is absent, the transcendence to an ethical subject that can hold onto infinity which is absent God is possible only in the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ho enact metaphysics. Levinas' ideas reveal education as a place where transcendence to a mature human being who can place faith in an absent God occurs. 본 논문의 목적은 레비나스의 사상을 교육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교육을 통해 올바르게 살아가는 윤리적인 주체가 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하는 데 있다. 레비나스는 윤리를 제일철학으로, 타자의 타자성을 핵심으로 하여 자신의 사상을 전개한 사상가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윤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사상가로서 다양한 논문에서 다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는 레비나스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후에 그의 사상이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본 논문은 레비나스의 사상을 그 자체로 교육이라는 행위의 윤리적 의미를 설명하는 교육이론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교사와 학생이 가르침의 장면으로 맺는 교육적 관계 속에서 레비나스의 사상은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동시에 교육의 윤리적 성격 또한 레비나스의 사상에 비추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윤리를 올바른 인간성의 실현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측면에서 두 가지 주요한 담론을 먼저 살펴보았다. 첫 번째 담론은 21세기의 교육과정 논의를 선도하는 대표적인 주체인 OECD의 Education 2030 Project(이하 OECD 2030)이다. OECD 2030은 자신과 타인의 웰빙을 목표로 적극적으로 행위주체성을 실현하는 주도적 인간을 올바른 인간성의 실현으로 이해한다. 두 번째 담론은 OECD 2030이 대표하는 인간성 담론에 문제를 제기하는 비에스타(Gert J. J. Biesta)의 담론이다. 레비나스의 사상을 근거로 하여, 비에스타는 교육 이전에 인간성을 특정하게 규정하는 방식이 타자의 타자성, 즉 새롭고 고유한 주체로 출현할 수 있는 학생의 가능성을 존중하지 않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비에스타는 교육의 역할이 복수성과 차이의 세계에 고유하고 개별적인 존재가 출현할 수 있는 공간을 열어두는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에스타의 담론은 오히려 참된 인간성의 추구와 인간다운 삶에 대한 논의를 차단해 버리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비에스타의 담론의 결함은 레비나스의 사상의 형이상학적 차원을 간과하고 그것을 오직 경험적인 현실의 차원에서만 해석하려고 했기에 나타난 결과이다. 형이상학적 차원을 고려하여 레비나스의 사상을 교육학적으로 올바르게 해석할 때, 우리는 인간성을 휴머니즘과 같이 교육 이전에 미리 규정하는 방식으로 이해하지 않으면서도 인간이 추구해야 할 참된 기준으로서 논할 수 있다. 레비나스는 교사를 통해 드러나는 형이상학적인 차원의 절대적 타자로서 무한을 말한다. 이 무한이 바로 경험적으로 규정될 수 없으면서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해 끝없이 추구해야 할 윤리적 기준이 된다. 무한은 규정된 기준이 아니며, 오직 교과를 가르치는 데서 맺어지는 교사와 학생의 교육적 관계 가운데 개별적 인간에게 고유한 의미를 가지는 기준이다. 가르침의 장면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이해로는 결코 이해할 수 없는 무한이라는 윤리적 기준을 자신에게 고유한 기준으로 삼기로 결단하는 자, 그것이 바로 레비나스가 옹호하고자 했던 윤리적 주체이다. 종교가 쇠퇴하고 신이 자취를 감춘 시대, 참된 삶은 부재한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삶 속에서도, 부재한 신인 무한을 붙잡고 살아갈 수 있는 윤리적 주체로의 초월은 형이상학을 행하는 교사와 학생의 윤리적 관계 속에서만 가능하다. 레비나스의 사상은, 부재한 신에 믿음을 둘 수 있는 성숙한 인간으로의 초월이 일어나는 장으로서의 교육을 드러낸다.

      • 디자인기반 창의성교육에서 대학생 학습경험에 관한 이론 모델 연구

        윤우람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855

        디자인기반 창의성교육에서 대학생 학습경험에 관한 이론 모델 연구 본 연구는 근거이론 접근을 통하여 디자인기반 창의성교육에서 대학생 학습경험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한 이론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관련 기술의 도입으로 현대 사회는 역동적인 변혁의 시대에 진 입하고 있다. 기존의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가치와 규범이 해체되고 재구성되면서, 사회문화 적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계속해서 복잡해지고 난해해지고 있다. 이에 새로운 환경과 변 화에 적절히 적응하고, 본질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창의적 역량 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교육의 패러다임 또한 창의성을 갖춘 인재 육성 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디자인교육은 창의성 증진에 주요한 방법으로 지속적인 주목을 받아왔다. 국내 디자인 연구자들도 창의성의 이론과 개념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디자인기반 창의성교육 연구는 관련 연구 영역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현재 관련 연 구 분야에서 국내 현장의 맥락을 반영한 이론 모델을 생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미비한 실정이 다. 또한 연구자들은 대부분 외래이론에 의존하고 있으며, 연구자 혹은 교육자의 관점에서 학 습자와 교과목을 평가하는 양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경향에서는 새롭고 유의한 논의와 이론을 도출하는 데 한계가 있다. 미래 세대를 위해 국내 교육 현장에 적합한 창의성 교과목에 접근하기 위해, 학습자의 관점에서 관련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통찰하는 연구 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디자인기반 창의성 교과목 학습자의 관점에서 그 학습경험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한 이론 모델 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접근을 통한 연구를 설계하였으며, 그 구체적 연구 문제로 (1) 디자인기반 창의성 교과목에서 학습자는 어떤 과정을 거쳐 학습경험을 형성하는가? (2) 해당 교과목에서 학습자가 경험을 형성하는 핵심 요인은 무엇인가? (3) 해당 교과목에서 학 습자의 유형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의 세 가지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D 대학교의 디자인기반 창의성 교과목을 수강 완료한 디자인대학 학생 7명 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학습경험에 관한 자 료를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의 절차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른 분석 결과, 개방코딩을 통해 84개 개념을 생성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의 속 성과 차원의 공통성을 분석하여 30개의 하위범주와 18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축코딩의 패러다 임 모형을 활용하여 ‘인과적 조건, 중심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를 축으로 개방코딩에서 도출된 범주들을 구조화하였다. 학습 과정의 중심 현상을 형성 하는 인과적 조건은 ‘학습 동기 부재’와 ‘정보 부족’이 있었다. 이로 인한 중심 현상은 ‘교과목에 대한 부정적 인상 형성’, ‘낯선 교육환경에 대한 불편함’이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 현상의 맥락을 형성하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교과목 수강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수업 내 용 및 진행 방식’, ‘교수자에 대한 불신과 거부감을 형성하는 요인’, ‘비대면 상황에서 불 편함을 일으키는 환경적 요인’, 그리고 ‘학습 과정에서 교수자 혹은 동료의 지원 필요’가 있었다. 학습자의 작용/상호작용 전략 선택에 영향을 끼치는 중재적 조건으로는 ‘명확한 목표 의식’. ‘학습 과정에서 교수자 및 동료의 지원을 받음’, ‘불쾌한 조별 활동 경험을 유발하 는 요인’, ‘교수자 및 동료에 의한 감정적 상처’, ‘비대면 환경의 이점 활용’이 나타났 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이상의 현상, 조건에 의해 학습자가 취하는 행동 전략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스스로 교과목의 의미탐색’과 ‘교과목의 과정 무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행 동을 취한 결과로 ‘창의성 교육에 대한 긍정적 경험 형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부정적 경험 형성’, 그리고 ‘심화 과정에 대한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학습 경험을 크게 ‘혼란’, ‘실망’, ‘적응’, ‘경험 형성’의 4단계에 걸쳐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핵심적 요인은 ‘개인적 동기부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 과정에서는 앞서 도출한 학습경험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중심 스토리라인을 분석 하였으며, 이어 해당 교과목 학습자의 학습경험 형성을 설명하는 핵심범주로 ‘선택권이 없는 상황 및 학습 과정의 부정적 변수와 요인들을 극복하고 개인적 동기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자신만의 의미탐색’을 도출하였다. 이어 핵심범주에 기반하여 각 범주의 속성과 차원에 대해 가설의 정형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를 ‘적극적 의미탐색형’, ‘소극적 팔로 워형’, ‘적극적 과정이탈형’, ‘소극적 과정이탈형’의 네 가지 정형화 조건으로 유형화하 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의 핵심적 내용들을 통합하는 ‘상황 모형’을 제시하 였다. 이와 더불어 각 유형의 특성, 상황 조건, 학습경험 형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기술하여 관 련 교과목에서 보완과 개선을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기초연구로서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새로운 이론 모델을 생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제시하지 못했던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이론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관점에서 질적연구를 통해 학습경험의 형성 과정을 통찰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된 의미가 있다. 기존 연구는 연구자 혹은 교육자 관점에서 행해진 하향식 양적 조사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 관점에 서 제기한 가설에 대한 검증은 가능하였으나 학습자의 관점에서 구조적 문제에 접근함으로써 이론을 형성하는 시도가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체계적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기존 연구의 공 백에 대응하여 새로운 지식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생성된 근거이론 모델은 해당 교과목 학습자의 학습경험을 형성하는 상황 적 조건과 중심 현상에 대한 다양한 개념과 범주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근거이론을 통해 생 성된 이론 모델은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연결하는 논리적 기반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 제시된 이론 모델은 관련 교과목의 평가, 검증, 개선 혹은 신규 교과목 개발을 위한 연구 등에서 유용한 기초적 자료로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 디자인기반 창의성 교과목, 대학 디자인교육, 학습경험, 근거이론 This study is a foundational research endeavor conduct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ith the aim of generating a theoretical model that elucidat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learning experience is formed for participants in a university design-oriented creativity course.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introduction of related technologies have propelled modern society into an era of dynamic transformation. As various values and norms that constitute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societies undergo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he elements contributing to sociocultural issues continue to grow in complexity and intricacy. Consequently, there is an increasing societal demand for creative competencies that enable individuals to adapt appropriately to new environments and changes, grasp the essence, and effectively resolve problems. In response to this trend, the paradigm of education is transitioning towards fostering talents with creativity. In this context, design educatio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significant method for enhancing creativity. Domestic researchers in the field of design have conducted diverse studies utilizing theories and concepts of creativity. Particularly, research on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design constitutes a central axis in this area. However, there is a current deficiency in attempts to create theoretical models reflecting the context of the domestic field in the relevant research field. Moreover, researchers predominantly rely on foreign theories, and quantitative research evaluating learners and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s of researchers or educators predominates, limiting the derivation of novel and significant discussions and theories. To approach creativity curricula suitable for the domestic education scene for future generation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understands and gains insights into learners' experiences related to relevant curricula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his study originat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s foundational research, aimed to construct a theoretical model elucidat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learning experience is formed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in design-oriented creativity course. To achieve this, we designed the research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established thre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Through what processes do learners in design-oriented creativ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form their learning experiences? (2) What are the key factors influencing learners' experiences in the courses? (3) How can learners in the courses be classified based on their types? Seven students from a Design University in South Korea, who had experienced taking design-oriented creativ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on their learning experiences,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methods following the procedures of grounded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the generation of 84 concepts through open coding,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monalities in attributes and dimensions of these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derived. Utilizing the paradigm model of axial coding, the categories derived through analysis were organized into causal conditions, central phenomena,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ing conditions, strategies for action/interaction, and outcomes. The causal conditions forming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learning process were 'lack of learning motivation'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The resulting central phenomena were 'formation of negative impressions about the curriculum' and 'discomfort with unfamiliar educational environments.' Contextual conditions forming the context of these central phenomena included 'increasing fatigue in the course content and delivery methods,' 'factors forming distrust and resistance to instructors,' 'environmental factors causing discomfort in remote situations,' and the 'need for support from instructors or peers in the learning process.' Intervening conditions influencing learners' choice of strategies for action/interaction included 'clear goal awareness,' 'receiving support from instructors and peers in the learning process,' 'factors causing discomfort in group activities,' 'emotional wounds caused by instructors or peers,' and 'utilizing the advantages of remote environments.' Strategies for action/interaction represent the behavioral strategies adopted by learners in response to the above phenomena and conditions. The analysis revealed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by oneself' and 'ignoring the process of the curriculum' as the resulting behaviors. These behaviors led to the outcomes of 'formation of positive experiences in creative education,' 'formation of negative experiences in creative education,' and 'demand for advanced course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experienced these learning processes significantly in four stages: 'confusion,' 'disappointment,' 'adaptation,' and 'formation of experiences.' Throughout these stages, the key factor was identified as 'personal motivation.' In the selective coding process, the central storyline emerging from these processes was analyzed, and the core category for the formation of learners' experiences in design-oriented creativ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was derived as 'efforts to overcome situations without choices and negative variable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achieve personal meaning exploration.' Furthermore,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tegories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and the core category, hypotheses were formulated, lea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learner types into four categories: 'actively exploring meaning-oriented type,' 'passive follower type,' 'actively process-detached type,' and 'passive process-detached type.' The study also proposed a 'Conditional Matrix' integrating the key content of these results. Additionally, detailed descriptions of each type's characteristics, situational conditions, and the process of learning experience formation were provided, offering insights for potential improvements in relevant cour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everal aspects. Firstly, as foundational research, this study use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o create a new theoretical model, presenting a systematic and structured theory that previous relevant studies failed to provide. Secondly, by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he study offers insights into the formation process of learning experiences,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predominant downward quantitative investigations from the researcher or educator's viewpoint. By addressing gaps in existing knowledg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new knowledge. Finally, the generated grounded theory model includes various concepts and categories related to situational conditions and central phenomena shap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learners in the course. The theoretical model produced through grounded theory provides a logical foundation conne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aking it a valuable resource for evaluating, verifying, improving, or developing new courses in the relevant field.

      • (The) use of wrapper resource for reduced overheads in a DHT based P2P network and its application

        윤우람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The introduction of a hierarchical P2P (Peer-to-Peer) has lead to enhancements of network topology and its management technique to overcome performance limitations of pure P2P. On the contrary, DHT (Distributed Hash Table) is designed to improve performance by raising efficiency of message delivery methods. DHT, which relies on the advantages of hashing functions, provides many performance achievements which are not available with conventional approaches. However,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a hash function, it also has few, but important, shortcomings: scope discovery and un-repetitive discovery are not supported. In general, hashing functions, which are used in DHT, output different indexes even for similar keywords. Thus, scope discovery, discovering related resources without knowing an exact keyword is not possible. And for similar reasons, DHT has a problem of requiring repetitive discoveries to discover similar resources. In this paper we suggest a simple but effective approach called wrapper resource to alleviate the need of a repetitive discovery and to support the scope discovery. By using wrapper resource users can obtain huge improvement not only on performance but also on usability. Finally, to give an example of a practical application of wrapper resources, navigation service based on Peer-to-Peer network is described. 분산 해쉬 테이블(DHT)에 기반한 메시지 전달 메커니즘은 메시지 전달 과정 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을 통해 기존의 Peer-to-Peer(P2P)시스템에 비하여 높은 성능상 개선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해쉬 함수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DHT는 매우 중대한 몇 가지 단점들을 지니고 있다. 정확한 키 값이 없이는 자원을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유사한 이름을 가진 자원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발견 절차가 필요하다는 점들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DHT에 기반한 기법이 지니는 위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고 성능상의 이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매우 간단하며 강력한 기능을 제안하고자 한다. 래퍼 자원(wrapper resource)은 실제의 자원은 아니지만, 많은 유사한 자원들이 하나의 단일 질의에 의해 발견될 수 있도록 원 자원들을 대표하는 래퍼(wrapper)와 같은 동작을 한다. 래퍼 자원을 사용함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원 발견상 성능상의 이득뿐만 아니라 자원 자체의 접근 성이 현격히 증가하는 이점을 누릴 수 있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주어진 환경 상에서, 래퍼 자원을 사용할 경우 필요 밴드위스의 총 30%정도가 감소되며 약 70% 정도의 발견 시간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래퍼 자원의 실질적인 활용 방법에 대한 하나의 예로서 Peer-to-Peer에 기반한 자동화 네비게이션이 제시된다.

      • 국제적 인권지도와 북한인권 개선에 관한 연구

        윤우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Human Rights" is generally understood as the inherent and fundamental rights of human beings that every individual should enjoy. It has a universal character and a deep interrelationship with peace, as is clearly stated in the UN Charter (1945) an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1948). Consciousness and concern for human rights has been addressed and developed in the West since medieval times, and the terminology of human rights has been used around 200 years. However the concept of human rights was presented by Confucius about 2,500 years ago in the Orient, and was adopted in school and public education at that time. Human rights became a major issue of humanity due to the holocaust and other horrific events that occurred during W.W.II. The concept of human rights has evolved significantly through much deliberation and debate within the newly founded United Nations (UN). The three important documents framed by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 were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1948),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rights to society : Covenant A) and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rights to freedom : Coveanant B)(1966). However,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because of heightened debates on methods of approach, long-lasting conflicts during the Cold War period (1945-1991) between East and West, as well as habitual human rights infringements in the non-democratic countries and different interests between countries concerned. Major controversial issues are the arguments between : 1) Universality and cultural relativity of human rights. 2) Attaching importance to 'civil, political rights (rights to freedom : Covenant B)' and t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rights to society : Covenant A)'. 3) Asserting the justification for outside interference and of non-interference (national sovereignty, domestic affairs). 4) Common ideology of humanity and western European oriented ideology regarding human rights. The latter parts of each issue have been asserted and supported by socialist countries,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autocratic countries until today. As a result, even after the Cold War, many cases of human rights infringements are still occurring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mostly under autocratic regimes. As time passes by, the justifications of non-democratic or autocratic countries have been weakening from the wide-spread awareness of human right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reinforcement of human rights activities by UN/EU/NATO. As a result cross-boundary human right activities are taking place everywhere. Therefore the previous assertion that human rights issues are solely subject to national sovereignty have been gradually obliterated. In order to be able to see improvements in the human rights situation, these rights had to be codified and internationalized due to the risk of infringement by dictators and unsavory regimes.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have achieved substantial advancement in this field thus far. The first advancement in this vein was when the UN Security Council classified the atrocities occurring in the former Yugoslav states, Rwanda and Sudan as direct violations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menace to peace' situations. As a result the Security Council approved some military and/or non-military measures in these areas since the early 1990s. The second step forward was when the UN upgraded its Commission on Human Rights to Human Rights Council in 2006. Included along with this was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al Periodic Review (UPR), which appraises the human rights situations within all UN Member States every four years. Third, the UN founded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in 2002. These UN institutions contributed greatly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uman rights, thus rising above the "Principle of non-intervention of domestic affairs" originally stated in UN Charter (Article 2-7).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w tendency called the "Theory of responsibility to protect" meaning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intervene compulsorily to stop human right violations, such as ethnic cleansing or genocide, and allow humanitarian intervention for the democratization of autocratic regimes. Furthermore, there have been arguments for shifting from “human security” to “human sovereignty” thereby diminishing the role of “state sovereignty.” These discussions are now only in their seminal stages, therefore their efficacy is inconclusive. Nevertheless, countries which violate human rights often totally refuse or partially and or nominally accept the related resolutions of the UN organ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nfortunately, one of the most exemplary cases is North Korea. Today, North Korea is one of the worst human rights violators in the world. The UN Human Rights Council pointed out that severe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DPRK are systematic and pervasive (2010. 3. 25). North Korea’s human rights abuses are not recent. They have been a constant for more than sixty years sinc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North Korea has been violating major UN human rights instruments which they acceded to. Furthermore, the government has been classifying people in three stratums and 51 classes to discriminate and is applying a guilty-by-association system to punish offenders and their families by imprisoning them into political concentration camps. However,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been denying the existence of such facilities and insisting that “human rights problems violations have never occurred in North Korea.” They are also ignoring and refusing the critiques and recommendations (or resolutions) of the UN human rights policies 13 times all together since 2003. In order to improve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by peaceful means, there is a need for strengthened 'Guiding Roles' of the human rights policies implement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roles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policies would be the most practical method and it could serve to put pressure on North Korea to uphold their duties in implementing the accords they’ve already signed. Therefor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promote the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nd strengthen both its structures and guiding roles. Then human rights violating countries like North Korea would not fail to honor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policies. This thesis aims at focusing on the universal values of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It also reviews current human rights polici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which is known today as one of the worst human rights abusers. In order to contribute to stopping such on-going violations, we must pursue and strengthen the guiding rol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human rights into North Korea. 인권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향유하는 천부적 권리이며 보편성 가치이다. 인권은 평화와도 깊은 관계가 있다. 이는 『국제연합(유엔)헌장』과 유엔이 1948년 12월 10일 채택한 『세계인권선언』에 명시되어 있다. 인권에 관한 인식과 관심은 중세 이래 서양에서 발전되었고 ‘인권’이라는 용어도 200여 년 전 서양에서 쓰기 시작하였지만 ‘인권 개념’은 2천 5백 년 전 동양의 ‘공자(孔子)가 이미 제기했고, 교육에도 적용된 것이다. 한편 인류가 본격적으로 인권문제를 인식하여 다루게 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의 참상을 겪은 후의 각성에 의해서였고, 그에 따른 유엔 창설(1945), 세계인권선언 선포(1948), 국제인권규약 채택(1966) 등을 통하여 인권 인식은 점진적으로 진화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인권에 대한 접근방식의 상충과 논쟁, 오랜 냉전시기(1945-1991) 동&#8228;서 대립의 영향, 비민주국가의 타성적 인권침해 그리고 각국의 이해 대립 등으로 말미암아 인권 향상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인권 관련 논쟁의 주요 쟁점은 첫째 인권의 ‘보편성’ 주장 대 ‘문화상대성’ 주장, 둘째 ‘시민적&#8228;정치적 권리(자유권)’ 중시(重視) 대 ‘경제적&#8228;사회적&#8228;문화적 권리(사회권)’ 중시, 셋째 ‘외부간섭의 정당성’ 주장 대 ‘내정 간섭불가’ 주장, 넷째 ‘인류공동 사상’론 대 ‘서유럽 중심 사상’론 등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각 쟁점의 후자 즉 문화상대성 주장, 사회권 중시, 간섭불가 주장, 서유럽중심 사상론 등은 사회주의 국가와 개발도상국가, 특히 독재국가들이 강하게 주장해 왔고 현재도 계속 되고 있는 논리이다. 그러한 대립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인권침해문제는 탈냉전 시대, 21세기 오늘날에도 세계 도처에서 더욱이 독재국가와 분쟁지역에서 계속 목격되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비민주 독재국가들의 주장은 근거와 설득력과 정당성이 약해져가고 있다. 그것은 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이 확산되고 있을 뿐 아니라 유엔과 유럽연합(EU) 그리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등의 인권활동이 강화되고 그에 따라서 국경을 초탈하는 인권보호 조처가 늘어난 데 기인한다. 그 현상은 인권문제가 전적으로 국가 주권 소관이라는 종래의 주장이나 생각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인권 신장을 위해서는 인권의 보편화&#8228;국제화가 실현되어야 한다. 각국 지도자의 선의에 맡길 경우 독재자의 인권침해를 조장할 우려가 있다. 국제인권레짐은 인권의 보편화&#8228;국제화 노력을 계속해 왔고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그 가운데 중요한 몇 가지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1990년대 이후 유고연방, 르완다, 수단 등 일련의 국제적 인권 침해사태를 ‘평화에 대한 위협’에 해당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군사적&#8228;비군사적 조치를 취하도록 승인 혹은 위임하였다. 둘째, 유엔이 인권위원회를 2006년 인권이사회로 격상시킴과 동시에 회원국의 인권상황을 매 4년 마다 점검하는 ‘보편적 정례 검토(UPR)’제도를 신설 운용하고 있다. 셋째, 유엔이 2002년 국제형사재판소를 설립함으로써 인권침해 책임자를 처벌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었다. 유엔의 그러한 조치는 ‘내정불간섭원칙’(헌장 제2조 7항)을 우회&#8228;초탈하는 것으로써 인권국제화에 큰 계기를 이루었다. 그런가하면 최근에는 인종청소나 집단살해와 같은 대규모 인권침해 범죄행위를 종식시키기 위하여 국제사회는 의무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소위 ‘보호책임(responsibility to protect)’론과 독재정권의 민주주의적 체제변경을 위한 인도적 간섭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 등도 제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른바 ‘인간안보(human security)’개념의 확대로 ‘인간주권(human sovereignty)’이 ‘국가주권(state sovereignty)’에 우선할 수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그러한 주장이 아직은 논의 차원을 넘지 못하고 있지만 실현 불가능한 것으로 단정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권침해국가들은 유엔 등 국제사회의 인권 개선 권고와 조처를 거부하거나 형식적,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대표적 사례의 하나가 유감스럽게도 우리의 동족 사회인 북한이다. 북한의 인권 상황은 세계에서 가장 열악한 사례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북한의 인권과 관련해서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심각한 침해가 계속 보고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2010. 3. 25). 북한의 인권침해는 어제 오늘 시작된 것이 아니다. 1945년 남북분단 이래 지금까지 60여 년 동안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북한의 인권상황이 이처럼 열악해진 원인은 시민사회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강행된 사회주의&#8228;주체 혁명논리를 앞세운 1인 수령독재체제&#8228;3대 세습수령체제 구축과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북한은 자신들도 가입되어 있는 4개 주요 국제인권협약상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전 주민을 3개 계층 51개(혹은 그 이상) 부류로 구분해서 차별대우하고 있으며, 특히 정치범 수용소를 운용하고 연좌제도 적용하고 있다. 북한 당국은 정치범 수용소의 존재를 부정함은 물론, 심지어 “북한에는 인권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까지 주장한다. 또 2003년 이래 도합 13회나 거듭된 유엔 각급회의의 ‘북한인권결의(안)’, 즉 개선 촉구와 권고를 거부하거나 외면하고 있다. 그러한 북한의 인권상황을 평화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대북한 인권지도(指導) 강화가 요망된다. 국제인권레짐의 인권지도가 현실적인 방안으로 될 수 있는 것은 북한도 가입되어 있는 국제 인권 조약상의 의무이행을 촉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는 인권 인식을 더욱 고조시키는 동시에 ‘인권 지도의 틀과 역량’을 강화하여 북한을 비롯한 인권침해국들이 국제인권레짐의 ‘인권 지도’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논문은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조명하고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인권제도를 살펴 본 다음 오늘날 인권유린국가의 대표적 사례인 북한의 인권실태를 검토&#8228;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국제사회 및 한국의 대북한 인권지도와 정책 방향을 찾고자 한 것이다.

      • 홀센서 집게형 맥진기의 무선 네트워킹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윤우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지금 세계는 스마트시대를 맞이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스마트시대란 전 산업분야 더 나아가 사회전반에 IT(정보기술)가 활용, 재생산되어 인류 삶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시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기존의 생산방식과 노동방식에 보다 지능화된 IT를 적용하여,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생산성을 제고하거나 노동의 유연성과 작업방식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더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및 신 산업군을 생산해냄으로써 사회전반의 발전을 견인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몇 년 전부터 스마트 폰을 선두로 이 IT 융합 기술력이 각종 전기, 전자 제품에까지 실현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 특히 무선 랜(Wireless Lan) 표준 기술 인증의 Wi-Fi(근거리 무선망)를 접목시킨 다양한 기기들이 제조되고 있다. 요즘 원격 의료진단서비스인 U-헬스케어(Ubiquitous Healthcare)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는 이유도 그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은 홀센서 집게형 맥진기의 기존 USB 연결방식을 USB to Ethernet 방식과 Ethernet to Wireless Lan (Wi-Fi) 방식을 접목시켜, 맥파 Data를 무선 랜 통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킹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근거리에서도 안정된 자세로 맥진을 하게 되어 환자의 정확한 맥파 Data를 전달받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다면적 인성검사를 이용한 중심성 망막증 환자의 객관화된 인격특성에 대한 연구

        윤우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1823

        A clinical study was done on 41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R) to investigate the objec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using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which consists of 4 validity scales and 10 clinical scales. Additional 41 healthy subjects were used as a control group. Through the research, the mean T-scores on each scale were within normal range in both CSR group and control group camparing CSR group with normal control control group, scale of hypochondriasis, depression, Hysteri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SR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st of them are usually nervous, emotional, selfish and oversensitive to their physical change, and that CSR group also show some tendency to be dependent on others or to be critical about themselves. The auther conclude that increased choriocapillary permeability may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under emotional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