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合成培地를 利用한 팽나무 버섯의 子實體 形成에 關한 硏究

        윤숙 全北大學校 大學院 1981 국내석사

        RANK : 247631

        버섯은 독특한 香氣와 맛을 지닌 嗜好性食品으로 널리 애용되어 왔을뿐만 아니라 一部 버섯은 옛부터 茶用으로 이용해 온 것도 있다. 최근에는 세계 각국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버섯의 소비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즐겨 식용하고 있는 버섯으로는 표고버섯, 송이버섯, 느타리 버섯, 목이 버섯등이 주를 이루고 있고 이 밖에도 많은 버섯들이 식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팽나무 버섯은 느타리 버섯과 같이 저온 계절의 짧은 기간에 많은 양의 子實體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營養的으로도 다른 버섯에 비해 풍부한 蛋白質과 脂方을 함유하고 있지만 이 버섯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팽나무 버섯은 느릅나무, 버드나무, 뽕나무, 포푸라나무, 감나무, 오리나무, 너도 밤나무, 아가시 나무, 무화과나무, 팽나무 등에 死物寄生하고 있으며 드물게는 樹木의 生體에 기생하기도 한다. 팽나무 버섯菌과 그의 類似菌에 대한 연구보고를 살펴보면 1953年 Plunkett는 Collybia velutipes에 대한 합성배지 실험에서 子實體가 잘 형성된다고 보고한 바 있고, Kinugawa와 Furugawa는 이 菌株가 저온에서 單期間에 子實體를 형성한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杉森 등은 Flammulina velutipes의 실험에서 室素源을 酵母汁으로 사용할 때는 數種의 alcohol類를 유효하게 이용한다고 보고하였다. ■田는 炭索源과 室素源에 Collybia celutipes 의 菌絲와 子實體形成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고하였고, 尹은 人工톱밥배지에 Collybia velulipes 를 여러가지 조건에서 배양한 바 이다. 그러나 합성배지를 이용한 단(■)子菌類의 子實體形成 실험은 최근 합성배지상의 느타리 버섯 子實體形成에 대한 洪의 연구보고를 비롯하여 비교적 子實體形成이 용이한 몇개의 버섯菌株가 연구되어 있을뿐 합성배지를 이용한 Flammuline velutipes의 子實體形成에 대한 상세한 연구는 별로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팽나무 버서의 營養的 特性에 대한 基礎資料를 얻을 목적으로 합성배지에 각종 炭素源과 室素원5, 비비타민과 무기염류를 첨가하여 菌絲生育과 子實體 형성에 대한 약간의 결과를 얻었으므로 여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材料 및 方法 가) 供試菌株 供試菌株는 본 실험실에서 분리.보관중인 Flammulina velutipes 를 사용하였다. 나) 合成培地의 調製 maltose 1.0g, peptone 0.2g, KH_2PO_4 0.1g, MgSO_4 7H_2O 0.02g, thiamine 50㎍, Agar 1g, D.W 100㎖, PH 6.0의 기본배지를 250㎖용 삼각 flask에 각각 50㎖를 넣어 1㎘/㎠에서 15분간 살균하였다. (1) 炭素源 : 기본 배지에서 maltose대신 Table 1,2,3과 같은 종류의 炭素源을, 糖類와 有機酸類는 1%, 알코올類의 경우에는 2%를 각각 가하여 조제하였다. (2) 室素源 : 기본배지에 炭素源으로서 mannitol 1%를 가하고 peptone 대신 Table,4,5와 같은 室素源을 室素量이 각각 0.026%되도록 가하여 조제하였다. (3) C/N 率 : 기본 배지에서 mannitol의 농도를 0.5,1,2,3,%로 가하고, peptone의 농도를 0.1,0.2,0.4,0.8%가 되도록 가하여 각각 조제하였다. (4) Vitamin: 기본배지의 maltose대신 생육이 양호한 mannitol 3%, peptone 0.8%를 가하여 배지가 固化되기전에 Table 6,7과 같은 Vitamin을 가하여 조제하고 이중에서 우수한 thiamine은 5 ∼1,000 ㎍되도록 가하여 조제하였다. (5) 無基鹽類 : (4)의 배지에 thiamine을 50 ㎍ %로 가한 다음 KH_2PO_4를 Table 9와 같이 가하고, MgSO_4.7H_2O는 KH_2PO_4 0.2%로 하고 Table 10과 같이 조제하였으며 기타 無基鹽類에 관한 실험은 KH_2PO_4 0.2%, MgSO_4.7H_2O 0.02%로 하고 Table 11,12,13의 농도로 조제하였다. 다) 菌絲培養 供試菌株를 먼저 기본배지의 샤레 평면에 미리 25℃에서 9일간 前培養한 배양물을 직경 7 ㎜의 살균 콜크보로러로 한천배지상의 菌絲를 punching하여 이들 disk를 前記培地에 옮겨 25℃의 암소에서 有機酸類와 알콜類는 13일 동안을, 나머지는 7일간 배양한 후 균사밀도를 관찰하고 colony 직경을 측정하였다. 라) 子實體 培養 다)에서와 같이 菌絲培養이 끝난 flask에서 면전을 빼내고 처음에 접종한 노쇄한 菌絲片을 제거한 후 관수하고 배양물의 건조와 오염을 막기위해 flask입구를 종이로 가볍게 덮은 후 10∼15℃에서 알콜類, 有機酸類는 60일, 그 나머지는 50일 동안 배양하면서 原基形成程度와 子實體의 평균形成 所要日을 관찰하였다. 마)菌絲와 子實體의 定量 라)에서와 같이 原基形成후 일정시간 배양, 생육한 自實體를 채취하여 70℃에서 3시간 건조후 평량하였다. 한천배지의 菌絲는 子實體를 제거한 flask에 증류수 150㎖를 가하여 5시간 방치하였다가 40분간 끓인 후 gooch도가니로 여과하여 더운물로 수회 세척한 다음 70℃에서 7시간 건조평량하여 菌絲量을 정량하였다. 結果 및 考察 炭素源의 影響 합성배지의 炭素源으로서 糖質, 有機酸類 및 알콜類를 사용하였을 때 팽나무 버섯菌의 菌絲生育과 自實體形成을 검토하였다. 가) 糖質 각종 糖類가 팽나무 버섯菌의 菌絲生育과 自實體形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able 1과 같이 팽나무 버섯菌은 糖類에 대한 광범위한 適應性을 나타내었다. 菌絲와 自實體生育에 대한 糖類間의 차이는 주로 그 기질 이용의 難易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糖類의 이용정도는 실험조건에 따라 다소 다르겠으나 본 실험에서는 mannitol이 菌絲生育도 빠르고 自實體도 23일에 풍부하게 형성되었으므로 自實體形成에 우수한 炭素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soluble starch, sorbito arabinose alc dextrin도 自實體의 수량은 mannitol보다는 다소 떨어지나 비교적 적당한 炭素源이라 할 수 있고 xylose, glucose fructose, mannose, sucrose, melibiese는 菌絲生育은 양호하나 自實體의 수량은 적었으며, CMC는 菌絲生育이 불량하였을 뿐 아니라 自實體도 아주 늦게 극미량 형성되었다. 또한 대조구는 菌絲가 배지 표면에 아주 빈약하게 생육하였고 lactose는 거의 이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洪의 합성배지를 이용한 Pleurotus ostreatus의 실험결과와 같이 팽나무 버섯菌도 lactose를 glucose 와 galactose로 분해할 수 있는 효소의 결여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北本와 葛西는 Favolus arcularius 의 炭素源실험에서 maltose, sucrose, cellulose 및 starch 는 영양생장과 自實體形成에 적당하나 lactose는 부적당하다고 한 것과 본 실험결과와 starch, lactose는 유사점이 있으나 그밖의 黨類와는 큰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洪은 Pleurotus ostreatus 에 대한 실험에서 菌絲生育과 自實體形成에 mannitol이 제일 우수하였고 glucose, fructose, galactose 및 maltose도 비교적 적당한 炭素源이라 하였는데 이는 mannitol을 제외하고는 본 실험결과와 큰 차이가 있었으며 기본 배지에서 생육한 自實體는 Fig 1과 같다. ◁그림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나)有機酸類 기본재지의 糖質炭素源대신 각종 有機酸類를 첨가했을때 팽나무 버섯菌의 菌絲生育과 自實體形成을 검토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able 2와 같이 acetic acid, citric acid, axalic acid 에서는 菌絲가 생육하지 못하였고, formic acid, fumaric acid, tartaric acid 도 거의 이용하지 않았으며 lactic acid와 maleic acid는 菌絲는 빈약하게 생육하나 自實體는 형성되지 않았다. 그리고 succinic acid 배지에서는 子實體形成이 매우 늦고 빈약하였다. 杉森 등은 Flammulina velutipes 의 非炭水化物 실험에서 lactic acid와 malic acid에 子實體를 형성한다는 보고와 본 실험결과와는 큰 차이가 있는데 이는 酵母汁을 이용하는등 배양조건이 크게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洪은 Pleurotus ostreatus 에 대한 炭素源의 연구에서 citric acid 와 succinic acid에서만 빈약하게 子實體를 형성하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 다) 알콜類 炭素源으로서 알콜類의 이용여부를 알기 위하여 각종 알콜類를 첨가했을때의 팽나무 버섯 菌의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을 검토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able 3과 같이 ethyl alcohol과 glycerol배지에서는 mannitol 배지에서와 같이 菌絲의 생육상태, 子實體의 크기와 수량면에서도 거의 대등하나 子實體形成 期間만이 다소 늦었다. n-butyl alcohol, iso-butyl alcohol 및 n-propyl alcohol에서는 菌絲가 생육하지 못하였으며 알콜類는 菌絲生育이 빈약하고 子實體도 형성되지 않았다. 洪의 Pleutotus ostreatus에서는 ethyl alcohol과 glycerol 배지에서 菌絲生育은 비교적 양호하나 子實體形成은 빈약하고 n-butyl alcohol, iso-butyl alcohol 및 n-propylina velutipes 에서는 methyl alcohol, n-propyl alcohol 및 ethylene glycol은 菌絲가 번식하지 못하였으며 杉森의 Flammulina velutipes 에서는 methyl alcohol, n-propyl alcohol 및 ethylene glycol 은 菌絲는 생육하나, 子實體는 형성하지 않았으며, ethyl alcohol, iso-propyl alcohol과 propylene glyclo 및 glycerol등에서는 子實體가 형성되었다고 하였는데 본 실험에서는 n-propyl alcohol에서 菌絲가 생육하지 않았고 iso-propyl alcohol에서는 菌絲는 생육하나 子實體는 형성도지 않았는데 이런점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유사하였다. 室素源의 影響 팽나무 버섯 菌의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에 대한 有機態室素, 無機態室素 및 아미노산의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가) 有機 및 無機態室素 有機 및 無機態室素가 팽나무 버섯菌의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Table 4 와 같다.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有機態 室素인 peptone 배지에서는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이 우수하였으나 casamino acid는 菌絲生育은 양호하나 子實體 收率은 다소 떨어지는 傾向이 있었다. 無機態 室素중에서 亞室酸態 室素는 菌絲도 生育하지 않았고 NH_4CI배지에서는 菌絲는 貧弱하게 生育하였으나 子實體는 형성되지 않았다. (NH_4)_2HPO_4와 urea는 菌絲는 비교적 양호하나 子實體 의 收率은 낮았으며, 나머지 암모니아 態 室素, 室酸態 室素는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이 늦고 매우 불량하였다. 이들 질소원간의 차이는 질소의 흡수이용 과정에서 생기는 배지의 PH變化를 생각할 수도 있으나 豫試結果에 의하면 배지에 添加한 KH_2PO_4의 완충작용때문에 PH의 變化를 다소 抑制하는 것 같다. 그리고 이상 實驗에서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에 대한 최적 PH의 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Yusef 와 Allam은 NaNo_3가 Pleurotus astreatus에 有效하지 않았으나 다른 菌은 잘 生育한다고 하였고, NaNO_2는 다른 木材腐朽菌에서와 같이 매우 阻害的이라고 하였다. 또한 洪의 Plaurotue ostreatus 에 대한 합성배지 실험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有機態 室素가 無機態 室素보다 양호하나 亞室酸態 室素는 阻害的이라고 보고한 바 있는데 이들 阻害는 버섯 菌株에 따라 다르겠으나 대부분의 菌株가 이용하지 못하는 것 같다. 나) 아미노산 팽나무 버섯 菌의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에 대한 아미노산의 影響을 검토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able 5와 같이 glycine 배지에서는 子實體形成은 다소 늦으나 菌絲와 子實體의 수량이 peptone배지 다음으로 양호하였고 alanine, asparag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도 비교적 양호하였다. 그리고 histidine, phenylalanine, tryptophan 에서는 菌絲는 貧弱하게 生育하나 子實體는 형성되지 않았으며 lysine과 methionine은 菌絲조차 번식하지 않았다. Niederpruem 등은 Schicophylium communo에서 L-lysine은 매우 阻害되었으나 alanine 과 aspartic acid에서는 生育이 양호하다고 하였고 北本과 葛西는 Favolus arcularius 의 적합한 室素源은 alanine, aspartic acid, glycine이라 보고한 바 있으며 洪은 Pleurotus ostreatus에 대한 실험에서 alanine asparagine, aspartic acid, glycine 및 serine을 함유한 배지에서만 子實體가 형성된다고 보고한 바 있는데 본 실험菌株는 이들 菌株보다 아미노산의 이용도가 다소 넓었다. C/N 率의 影響 팽나무 버섯菌의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에 대한 C/N 率의 影響을 검토한 결과는 Fig 2와 같다.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子實體 形成은 본 실험 범위에서는 peptone과 mannitol의 농도가 낮을수록 빠르나 子實體의 수량은 적었으며 炭素源과 室素源의 농도가 높을수록 子實體形成은 늦으나 子實體의 수량은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洪의 Pleurotus astreatys C/N 率 실험결과와 잘 일치되었다. Mannitol 3%에서는 peptone의 농도증가에 따라 子實體의 수량이 증가되었으나 2%이하에서는 이와같은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菌絲量은 mannitol 0.5 ∼ 3% 에서 peptone 농도증가에 따라 菌絲量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炭素源의 농도가 낮을 때 室素源의 농도를 높이면 子實體의 수량이 감소되고 개개의 子實體 생육이 阻害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 阻害는 炭素源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다. 北本과 葛西는 Favolus arcularius에서 maltose 농도가 일정한 배지에서는 casamino acid의 농도가 낮으면 子實體의 수량이 감소되나 높히면 수량이 증가된다고 한 것은 본 실험 결과와 유사하였다. Vitamin 의 影響 각종 Vitamin을 첨가하여 팽나무 버섯菌의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able 6과 같이 thiamine은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이 빠르고 그 수량이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follic acid가 子實體의 수율이 높았다. 그밖의 Vitamin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子實體가 형성되었으며 Vitamin 무첨가 배지도 菌絲는 생육하나 子實體는 형성되지 않았다. 北本과 葛西는 Favolus arcularius 의 菌絲生育에 thiamine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inositol 과 pantothenate 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 하였고 植原과 ■岡은 Armillaria matoutkake에서 biotin과 ascorbic acid가 菌絲生育이 제일 좋았고 thiamine과 folic acid도 우수하였다고 보고한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실험에서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이 제일 우수한 thiamine을 다른 Vitamin과 혼용했을때 영향을 검토해 결과는 Table 7과 같다.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Vitamin에 thiamine을 혼용한 결과folic acid의 균사량을 제외하고는 모두 子實體와 菌絲의 수율이 오히려 감소되었다. 이중에서도 Vitamin을 두개이상 혼용하였을때가 더 감소하였으며 Vitamin 단용시 보다는 혼용시가 子實體形成 期間이 높았다. Thiamine 濃度의 影響 Vitamin 중에서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이 양호한 thiamine의 농도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able 8과 같이 thiamine 5 ㎍ 에서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이 가장 늦고 불량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농도의 증가에 따라 菌絲와 子實體의 수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500㎍ 농도에서 최고 수율을 나타냈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의 추세를 나타냈으며 北本과 葛西는 Favolus arcularius의 thiamine 농도별 실험에서 균사량은 thiamine 30㎍까지는 점점 증가하지만 그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었다고 하였고 Madlin 은 Coprinus lagopus의 영향 실험에서 thiamine 농도 10㎍ 이하에서는 子實體가 형성되지 않았고 그 이상에서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菌絲와 子實體의 전량이 증가한다고 보고한 바 있는데 이와는 달리 본 실험에서는 thiamine 5 ㎍ 에서도 늦게 子實體가 形成되었다. KH_2PO_4 濃度의 影響 KH_2PO_4의 농도에 대한 영향을 검토해 본 결과는 Table 9와 같다. Table 9와 같이 KH_2PO_4의 증가에 따라 菌絲와 子實體의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수량이 증가되어 0.2%에서 제일 많았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子實體의 形成기간이 늦고 수율도 減少되는 傾向을 보였다. 北本과 葛西는 Favolus arcularius의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은 KH_2PO_4의 농도 0.03 ∼ 0.3% 까지는 농도증가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洪은 Pleuratus ostreatus의 KH_2PO_4 에 대한 합성 배지 실험에서 농도 증가에 따라 菌絲와 子實體 수량이 증가되어 0.2%에서 최고에 도달하였고 0.3%이상의 농도에서는 저하된다고 보고한 것은 본 實驗과 잘 일치되었다. MgSO_4 濃度의 影響 MgSO_4 를 농도별로 검토해 본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Table 10. Effect of magnesium sulfate concentratins on the growth and fruting of Flanmmulina velutipes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팽나무 버섯菌의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은 MgSO_4 의 농도증가에 따라 수량이 증가하여 0.02%에서 子實體形成이 빨랐고 菌絲와 子實體의 수율도 높았으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감소되는 추세를 보였다. 北本과 葛西는 Favolus arcularius의 實驗에서 MgSO_4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菌絲와 子實體 수율이 감소한다고 하였고 洪은 Pleuratus ostreatus의 합성배지실험에서 MgSO_4 가 0.04%이상의 농도에서 감소되는 傾向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Mg의 고농도에서 子實體의 수량이 감소되는 것은 본 實驗結果와 일치되었다. 그 밖의 無機鹽類의 影響 각종 無機鹽類를 각 농도별로 添加하여 검토한 결과는 Table 11,12,13 과 같다. Table 11. Effect of various minerals on the growth and fruting of Flanmmulina velutipes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able 12. Effect of minerals mixtures on the growth and fruting of Flanmmulina velutipes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able 13. Effect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minerals on the growth and fruting of Flanmmulina velutipes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able 11과 같이 8개의 無機鹽類를 농도별로 비교 검토해 본 결과 일반적으로 子實體形成은 늦고 菌絲와 子實體의 수율도 감소의 추세를 보였는데 이 중에서도 Mo, Co,B가 감소율이 심했다. 洪은 Pleuratus ostreatus에서 단독 무기염류를 합성배지에 添加한 결과 별 效果가 없었으나 Fe, Zn, Mn을 혼용하였을 때는 生育促進에 上昇效果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에 비교적 저해가 적은 무기염류를 저농도로 혼용하여 검토한 결과 Table 12와 같이 2원소 또는 3원소 혼용시 菌絲와 子實體의 수율이 無添加 보다도 모두 감소의 추세를 보였다. Table 13과 같이 3원소가 저농도로 共存할 때도 洪의 보고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감소의 傾向을 보였는데 이들 감소는 3원소가 共存할 때 보다도 어느 한 원소가 ■乏되어있을 때가 감소율이 더 심했다. 要約 합성배지를 이용한 팽나무버섯菌의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에 대한 영양적 특성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糖質중에서는 mannitol이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이 빠르고 子實體의 수량이 제일 많았으며, 有機態 중에서는 succinic acid 에서만 子實體가 貧弱하게 形成되었고 ethyl alcohol과 glycerol에서는 비교적 子實體形成도 빠르고 그 收率도 높았다. 2. 室素源중에서도 peptone이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이 빠르고 子實體의 수량도 많았으며, 아미노산 중에서도 glycine이 菌絲生育과 子實體形成도 빠르고 그 收率도 높았다. 亞室酸態 室素와 lysine, methionine은 菌絲도 生育하지 않았다. 3. peptone과 mannitol의 농도가 낮을수록 子實體形成은 빠르나 收率은 적었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子實體形成은 늦으나 그 收率은 증가되는 傾向을 보였다. 4. Vitamin 중에서는 thiamine이 제일 우수하였고 그의 최적 농도는 50㎍%이었으며 무기염류중에서 KH_2PO_4의 최적농도는 0.2%, MgSO_4 의 최적농도는 0.02%이었으며 그밖의 무기염류를 단용 또는 혼용시에 菌絲와 子實體의 收率에 效果가 없었다. 參考文獻 1) Barnett,H.L. and Lilly,V.G.:Factor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Zygospores by Choanephora cucurbitorum, Mycologia,48,617-627(1956) 2) Block,S.S.,Tsao,G. and Han, L.:Experiments in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Mushroom Sci.,4,309-325(1958) 3) Casselton,L.A. and Casselton,P.J.:control of fruiting of Coprinus lagopus on certain synthetic media,Trans. Brit.Mycol.Soc.,49(4),579-581(1966) 4) Gibson,I.A.S. and Trapne11,J.:Sporophore production by Ployporus arcularius Batsch Ex Fr. in culture,Trans.Brit.Mycol.Soc.,40,213-220(1957) 5) 廣江勇, 生田治郞:シイタケの 生理學的 竝 に 生態學的硏究( 第 3 報 )營養生理學的硏究(1), Trans.Tottori Soc.Agr.Sci.,12,7-12(1960) 6) 洪裁植: 느타리버섯의 生理化學的 性質및 栽培에 관한 硏究, 韓國農化學會誌, 21,150-184(1978) 7) 石川春産, 志賀陽日, 藏原 喬:シイタケの增殖 に 開する硏究, Ⅰ. 子實體發生に ぉょぼす光の影響, 農電硏究所所報,5,87-93(1964) 8) 정환채, 김영배, 박용환 : 느타리버섯 재배에 관한 시험, 1973년도 시험연구보고서(농업기술연구소), 양송이편, 211-238(1974) 9) Kitamoto, Y.,Takahashi,M.and Kasai,Z.:Light-induced formation of fruit-bodies in a Basidiomycete,Favolus arculrius(FR.)Amer.,Plant&Cell Pnysiol.,9,797-805(1968) 10) Kinugawa,K.and Furukawa,H.:The fruit-body formatiion in Collybia velutipes induced by the lower temperature treatment of one short duration, Bot.Mag.Tokyo,78,240-244(1965) 11) Kostandinov,I.,Torev,A.and Rantcheva,Tz.:Some aspects of the production of Pleurotus ostreatus Fr., Mush.Sci.8,253-256(1972) 12) 北本豊, 葛西善三郞:合成培地 にぉけるろミスギタケの子實體形成,日本農藝化學會誌,42,255-259(1968) 13) 京都大學 農學部 農藝化學敎室:農藝化學 實驗書 2卷, P.515,産業圖書, 東京(1957) 14) 京都大學 農學部 農藝化學敎室:農藝化學 實驗書 3卷, P.1132,産業圖書, 東京(1950) 15) 北本豊, 掘越孝雄, 鈴本彰:단(■)子菌の子實體形成の生理化學,蜜白質,核酸, 酵素, 16,267-278(1971) 16) 京都大學 農學部 食品工學敎室:食品工學 實驗書 上卷, P.547,養賢堂, 東京(1970) 17) 北本豊, 葛西善三郞:ろミスギタケの子實體形成に對 する 堂養環境の 影響, 日本農藝化學會誌,42,260-266(1968) 18) 北島君蔘:Ⅰリキケ 裁培試驗, 林業試驗■報,第19호■ 67-74(1926) 19) Lu,B.C.:The role of light in fructification of the Basidiomycete, Cyathus stercoreas,Amer.J.Bot., 52(5),432-437(1965) 20) Madelin,M.F.:Stduies on the nutrition of Coprinus lagopus Fr., especially as affecting fruiting, ibid.,20,307-330(1956) 21) Niederpruem,D.J.,Hobbs,J.and Henry,L.:Nutritional studies of development in Schizophyllum commune,J.Bact., ii, 1721-1729(1964) 22) 尾田義治:マイニケロ-ム 系, 菌類の形態形成に開互する 光制御系, 自然, 25,56-64(1970) 23) Plunkett,B.E.:Nutritional and other aspects of fruit-body production in pure culture of Collybia velutipes (Curt.)Fr.,Ann.Botany,N.S.,17,193(1953) 24) Styer,J.F.:Preliminary study of the cultivated mushroom Am.J.Bot., 15,246-250(1928) 25) 植原一雄, ■岡保夫:マシタケ菌の生育に及ぼすゼタミン 及びマシタケォ-ルの影響にのいて, 廣島農短大 硏九報告,1,6-9(1958) 26) 杉森恒武, 大山義郞, 大道妙子:단(■)子菌に開する硏究(第1報), 단(■)子菌に おける非炭水化物より菌絲體および子實體の生産,酸酵工學雜誌, 49,435-446(1971) 27) Tsusue, Y.M.and Yanagita,T.:Induction of Pleiomorphism by low temperature in the fruit-body formation in a Basidiomycetes,J.Gen.Appl.Microbiol.,14,213-216(1968) 28) Yusef,H.M.and Allam,M.E.:The carbon and nitrogen nutrition of certain fungi,Can.J.Microbiol.,13,1097-1106(1967) 29) 尹貞求:Collybia velutipes 菌의 人工培地 培養에 관한 硏九 忠北大學論文集, 5, 143-167(1971) 30) 尹貞求 : 톱밥培地의 PH가 Collybia velutipes菌의 菌絲發育과 子實體形成에 미치는 影響, 忠北大學論文集, 7,35-41(1973) 31) 尹貞求 : 팽나무 버섯의 人工培地 培養에 관한 연구, 忠北大學論文集, 3,161-171(1969) 32) 普田正二 : 之■きたけの 生理化學的硏究(第2報)培地の Sucross/NaNO_3 ratio が 菌絲體の生育及び發芽に及 ぼす影響, 日本農化學會誌, 28,577(1954)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mycelial growth and fruit-body formation of Flammulina velutipes in synthetic media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sugar substnaces, mannitol gave rapid mycelial growth and formation of fruit-body with higher yield, and among organic acids only succinic acid showed the fruit-body but poorly. Ethyl alcohol and glycerol comparatively promoted formation of fruit-body with higher yield. 2. Among nitrogen sources, peptone resulted rapid mycelial growth and fruit-body formation with higher yield, and among amino acids glycine gave fast fruit-body formation with higher yield. However, nitrite nitrogen, lysine and methionine showed no mycelial growth at all. 3. The concetration of substances tended to affect the fruit-body formation and yield. Lower concentration of mannitol and peptone prompted fruit-body formation but with low yields, and higher concentration delayed the fruit-body formation with increased yields. 4. Among vitamins, thiamine gave excellent effect on mycelial growth and fruit-body formation, being optimum concentration of 50 ㎍%. Among inorganic salts,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KH_2PO_4 and MgSO_4 were 0.2% and 0.02% respectively, but other inoganic salts were ineffective for mycelial growth and fruit-body formation.

      •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감상영역 분석연구

        윤숙 상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 교육은 감상으로부터"라는 말과 같이 감상영역이 다른영역을 포함 할 뿐 아니라 어느영역도 감상 활동이 아닌 것이 없다 라는 말에 동감하며 가창 중심의 수업 형태 보다는 체계적이며 유기적인 감상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병행하여 수업을 하면 음악교 육이 보다 효과적이 될 것이라 생각되어 진다. 그리하여 제6차 교육과정 으로 바뀐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를 비교 분석해 봄 으로써 변화 및 발전을 알아보고 감상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 이다. 중학교 제5차 교육과정에 의한 5종 교과서 감상 영역과 6차 교육과 정에 의한 8종교과서 감상영역을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 별로 제5차 감 상비중과 비슷하며,곡의 수록 기준이 무엇인지 모호했다.또 우리전통 음 악과 외국 음악 비율도 각교과서 별로 차이가 많았으나 제5차에 비해 우리나라 전통 음악을 여러 장르로 수록 하였다.감상고명도 제 5차와 비교해 뚜렷한 차이는 없고 8종 교과서 중 6종(교학사,음악춘추,지학사, 삼호,현대,장원)교과서가 공통으로 수록한 곡이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과 비발디의 <사계>를 수록 하였고 8종에서 전부 수록한 곡은 우리나라 각도의 민요였다. 나머지 곡들은 각 교과서 별로 차이가 많았 는데 이점은 곡의 선정기준이 모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학년이라 서 수록곡의 선택폭이 좁다는 느낌을 받았다.가창에서는 중심곡이 있고 필수 가창곡이 있어 1학년이라면 알아야할 곡이 있는 것처럼 다른 영역 에서도 가창 영역 처럼 필수 곡이 있었으면 좋겠다. 감상내용 중 제5차 교육과정과 제6차 교육과정을 비교해 보니까 제6 차 교육과정에 새로이 수록된 내용이"악곡을 선택하여 감상하고 음악 회에 참여하기"와 음악회 청중으로서의 바른 태도 기르기"로 올바른 감 상교육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 하는데 8종 교과서중 이내용을 수록한 교과서는 3종(교학사,지학사,장원)뿐 이다.이점은 교과서가 교육내용을 수록해야 하는점에 위배 되는 사항이라 여겨진다. 일선에 계신 교사분들께 설문지를 통해 조사해 본 결과 제5차 교육과 정과 제6차 교육과정을 비교해 보면 내용의 별 차이가 없고,제6차 교육 과정에 새로이 수록된 내용에 대해 학교 여건과 학생들의 생활 여건 때 문에설문의 절반이 음악회 참여와 태도 기르기를 못하고 있다고 대답했 는데 본인의 생각으로는 감상영역에서 중요한 내용이라여겨지므로 교사 가 관심을 갖고 학생들을 이끌어야한다고 사려되어 진다. Considering the words that the appreciative area includes other area like "music education starts with appreciation" and there is no music education without appreciative activity, it is thought that the music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when it is taught with the appreciation of music because the systematic and organic appreciation has more effect on the formation of personality than the song-centered class. Thu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and helping the appreciative cla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irst grade music textbook changed in the 6th educational proc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reciative areas of 5 textbooks according to the 5th educational process and that of 8 textbooks according to the 6th educational process, the standard of recording the melodies was obscure. Also as for the rate of our traditional music and foreign music, there was much difference between textbooks, but many genres of our traditional musics were record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5th. As for the names of appreciated melodie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5th, and the commonly recorded melodies in 6 ones of 8 textbooks(Kyo Hak Sa, Music. Choon Chu, Ji Hak Sa, Sam Ho, Hyun Dai, Jang Won) were Beethoven's 9th Symphony <Chorus> and Vivaldi's <Four seasons>, the recorded melodies in all 8 textbooks were then provincial folk songs in our country. The rest of melodies were different in each textbook, which is found that the standard of selecting the melodies is obscure, felt that the width of selecting the melodies is narrow because it is limited to the first grade. It is desirable that other areas have such central and essential melodies as the first-graders should know. When comparing the contents about appreciation in the 5th and 6th educational processes, the 6th educational process records the contents of "Selecting and appreciating the melodies and participating in the concert" and "cultivating the right attitude as audience of concert", which are necessary for right appreciative education, but they are recorded in only 3 textbooks(Kyo Hak Sa, Ji Hak Sa, Jang Won). This aspect is considered to be violation of the point that textbooks should record the educational contents. As a result of executing the questionnaire survey to the teachers engaged in teaching, they answered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of contents as compared with the 5th and 6th educational process, half of them answered that students are not cultivating the attitude of participating the concert because of school and students living condition to the newly recorded contents in the 6th educational process, thus this writer think that teachers should lead the students as they are important contents in the appreciative area.

      •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기르기 영역에 관한 인식

        윤숙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기르기 영역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 기르기 영역 지도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초등학교에서의 기르기 영역 지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과 교과서의 기르기 영역 학습내용을 분석하고, 3, 4, 5, 6학년 담임 경험이 있는 교사 173명을 대상으로 현장 교사들의 기르기 영역에 관한 인식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기르기 영역 실습의 중요성 및 목표에 대한 인식 정도는 평균 3.8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실습 중심의 수업전개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기르기 영역 실습의 설계 및 수행에 관한 인식정도는 평균 3.49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실습의 설계 및 수행에 있어서 단계적 지도 및 적절한 과제의 부여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기르기 영역 실습의 행·재정 및 장학에 관한 인식 정도는 평균 3.5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실습에 관한 행·재정적 인식에서 교육행정당국의 이해와 관심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기르기 영역 실습의 현황 및 장애 요인에 관한 인식 정도는 평균 3.22로 나타났으며 실습 시 배당된 시간 부족을 실습의 장애 요인으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기르기 영역 실습 태도에 관한 인식 정도는 평균 3.41로 높은 편이었으며, 지역 여건을 고려한 실습내용의 재구성 적용 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과 내용에 관한 지식이 가장 낮게 나타나 실과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갖추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기르기 영역 실습에 관한 인식 정도는 남교사는 평균 3.55, 여교사는 3.49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각 하위범주별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학교 소재지에 따른 기르기 영역 실습에 관한 전체적인 인식 정도는 아파트 밀집지역은 3.49, 주택가는 3.51로 나타나 두 집단 간의 평균차이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른 기르기 영역 실습에 관한 인식 정도는 6~10년이 평균 3.58로 가장 높았으며 5년 이하가 평균 3.42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교직경력에 따른 집단 간의 평균차이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교직 경력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기르기 영역의 실습에 대한 인식이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학급 수에 따른 기르기 영역 실습에 관한 인식 정도는 평균값 비교에서 7~12학급이 평균 3.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3~24학급이 3.38, 25학급 이상이 3.52로 학급 수의 다소에 관계없이 인식정도가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실과 기르기 영역에 관한 인식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기르기 영역의 실습지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실습 시 배당시간의 부족은 학교 재량시간이나 현장체험학습의 날을 이용하여 실과 기르기 영역 단원의 수업시간을 블록화 하여 단위 시간(40분)내에 지도하기 힘든 부분을 해결하여야 한다. 둘째, 기르기 영역 실습 지도 교사들은 기르기 영역 실습지도에 필요한 수업자료와 매체를 마련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예산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야한다. 셋째, 기르기 영역의 실습에 관한 행·재정적 지원 및 장학진의 적극적인 지도가 있어야 한다. 넷째, 기르기 영역 실습 지도를 위한 현직 연수 및 교사 교육 관련기관의 다양한 연수 과정 개설이 시급하므로 교육행정 당국 및 학교 관리자의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촉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seek for the improvement of the plan which is able to realiz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reeding effectively 173 teachers who have an experience to teach grade 3, 4, 5, 6 by surveying, analyzing the perception on the Breeding and deriving the problem on the instruction of the Breeding. The stage of perception on the important and subject of it comparatively represented high as an average 3.88. The development of study focusing on practice was recognized the highest. The stage of overall perception on the project and action of it represented sort of high as an average 3.49. Gradual instruction and bestowing appropriate assignment was recognized high. The perception degree on administration, financing, encouragement of learning was somewhat high with an average 3.5.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uthority was identified the highest.. The perception degree on the situation and obstacles of the Breeding Practice represented on average 3.22. Time shortage alloted on training was identified high as the fact of obstacles. The perception degree on the attitude of Breeding Practice was sort of high with an average 3.41. Reconstruction will considering the local situation was widely applied. The knowledge on curriculum content was the least. It meant teachers didn't have enough knowledge on curriculum content. According to gender the stage of overall perception on Breeding Practice was somewhat high with an average 3.55 for male teachers and 3.49 for female teacher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chool stage of whole perception on Breeding Practice was 3.49 in the apartment complex and 3.51 in the housing complex.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made no sense.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the stage of entire perception on Breeding Practice was the highest as an average3.58 for teachers with 6 to110 year teaching careers and teachers with under 5 year teaching careers marked on average 3.42 the least. The average difference among groups by teaching career made no sense. The perception on Breeding Practice was very similar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he teaching care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assrooms the overall perception degree on Breeding Practice was the highest in the 7 to 12 classrooms with an average 3.55. It was on average 3.38 in the 13 to 24 classrooms and an average 3.52 in the over 25 classroom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he classrooms the perception degree was similar.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ways of improvement to teach breeding practice effec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surveying . First, time shortage alloted on training in breeding practice should be solved by using school discretion time or school field trip day merging times in breeding practice which is difficult to dealt within a unit(40min). Second, the teacher who teach breeding practice training should try to confirm enough budge and have interests to prepare materials and medias. Third, the support and encouragement in both administration and finance should be followed in breeding practice training. Fourth, the need for training of teachers and opening various training courses at education centers for teaching breeding practice is urgent, so Education administrations and school supervisors should have interests and active supports in teaching breeding practice.

      • 전후 시에 나타난‘주체’와‘사랑’의 양상 : 1950~60년대 김수영, 전봉건, 박봉우의 작품을 중심으로

        윤숙 한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김수영, 전봉건, 박봉우 세 시인은 모두 전후 시인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세 시인이 전후 시인으로서 함께 논의되었던 경우는 극히 드물다. 세 시인이 동시에 다뤄지지 못한 것은 세 시인들만의 뚜렷한 개성으로 인해 전후 문학이 갖는 공통된 특수성 안에서 함께 논의되기에는 큰 어려움이 다르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연구는 세 시인을 전후 문학이 갖는 공통된 특수성 안에서 살피는 첫 시도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처음 시도되는 것인 이 연구의 목적은 김수영, 전봉건, 박봉우를 중심으로 문학사적으로 배제되어 있던 전후 시인들의 글쓰기 양상이 갖는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1950~60년대 세 시인들의 시와 시론을 통해 시인들의 ‘시 쓰기’가 갖는 의미를 살피고자 시도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시인들의 시 쓰기를 통해 드러나고 있는 다양한 양상들은 ‘시인’이라는 분명한 주체가 되기 위한 것이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동시에 전쟁으로 인해 굴절을 겪으면서 더욱 격렬히 분열할 수밖에 없었던 주체들의 ‘다시 주체되기’를 위한 것이기도 했다. 세 시인들은 전쟁-원체험을 내재하게 되면서 자기 인식이 굴절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굴절은 포로, 군인, 수난민이라는 개별적인 전쟁 체험의 영역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세 시인이 전쟁 당시 생존해 있던 스스로의 육체를 포로, 군인, 수난민으로 인식하게 되는 과정은 사후적으로 그들이 써 내려간 것들을 통해 드러나게 된다. 또한 세 시인들이 써내려 간 것들에는 전쟁을 기점으로 극명하게 달라지는 시인들의 현실 인식과 이로부터 주체 인식이 전환되는 양상 역시 함께 드러나 있었다. 세 시인은 각각 현실화적 쓰기, 추상화적 쓰기, 상징화적 쓰기를 통해 치열하게 자신들이 인식하게 된 현실과 시적 현실을 넘나들며 주체되기를 시도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주체되기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세 시인은 ‘사랑’이라는 중요한 개념어를 그들의 쓰기에 반복적으로 소환하게 된다. 김수영의 사랑은 그가 시 쓰기를 통해 재구성해 낸 시적 현실에서 혁명과 동일화되고 있었다. 전봉건의 사랑은 손에 남은 지워지지 않는 상흔처럼 자신에게서 지워낼 수 없는 전쟁-원체험에 대한 감각을 덮기 위한 수단이 되어 주고 있었다. 박봉우의 사랑은 시인의 시를 통해 여백이라는 공간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시인은 스스로 그곳에 외로이 남아 새로운 시작을 기약하고 있었다. 세 시인의 치열한 쓰기 곳곳에는 자신들만의 ‘사랑’을 통해 주체가 되기 위한 시도를 무수히 반복했던 흔적들이 선명히 남아 있었다. 그러나 그들이 시 쓰기를 멈추지 않는 한 시인들의 욕망이었던 주체되기는 매 순간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인들에게 내재된 전쟁-원체험은 평생 동안 그들에게 시를 쓸 수밖에 없도록 만든 중요한 원동력으로서 기능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three poets, Kim Su-Yeong, Jeon Bong-Geon, and Park Bong-Woo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re all classified into postwar poets. However, it is extremely rare to find a case of discussing those three poets together as postwar poets. It must be difficult to handle or discuss the three poets at the same time within the common specificity of postwar literature because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poet. For this reason, this study might be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those three poets within the common specificity of postwar litera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s the first attempt like this is to examine the meanings shown in the writing aspect of postwar poets that have been exclu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focusing on Kim Su-Yeong, Jeon Bong-Geon, and Park Bong-Woo.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anings of ‘writing poems’ of the poets through the poetry and poetics of those three poets in the 1950s-1960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verified that such various aspects the poets revealed by writing poems were to become a clear subject called ‘poet’. And at the same time, they were also to ‘become a subject again’ of subjects who were more intensely divided by going through the distortion by the war. The three poets who embedded the war-original experience, experienced the distorted self-awareness. This distortion was originated from the area of individual war experience such as prisoner, soldier, and disaster refugee.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three poets started perceiving their living bodies as prisoner, soldier, and disaster refugee during the war, was revealed through their writings afterwards. Also, the writings written by the three poets showed their perception of reality which was obviously changed on the basis of war, and the consequential aspect of changing the perception of subject. The three poets attempted to become a subject by crossing the reality and poetic reality they fiercely started perceiving through the actualized writing, abstracted writing, and symbolized writing. And in this process of attempting to become a subject, the three poets repetitively recalled an important concept word ‘love’ in their writings. Kim Su-Yeong’s love was identified with the revolution in the poetic reality restructured through his writing of poems. Jeon Bong-Geon’s love became a means for covering the sense of indelible war-original experience just as an indelible scar on a hand. Park Bong-Woo’s love was changed to a blank space through his poetry. And the poet who decided to be remained alone there was promising a new beginning. Every part of those three poets’ fierce writings clearly showed the traces of their endless and repetitive attempts to become a subject through their own ‘love’. However, it was unavoidable for them to fail in becoming a subject which was their desire every moment until they would stop writing poems. Nevertheless, the war-original experience inherent in the poets was working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that makes them write poems for the rest of their lifetime.

      • 육상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엘리트선수의 운동만족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윤숙 동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육상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엘리트선수의 운동만족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윤 숙 동신대학교 :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안 민 주 본 연구는 육상 지도자의 지도유형을 알아보고 지도유형에 따라 선수들의 운동만족과 경기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분석함으로서 지도자들의 지도방법 개선과 육상을 지도하는 지도자들에게 조금 더 적절하고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8년도 대한육상연맹에 등록되어 있는 중·고등학교 육상 선수 중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500명을 선정하였고, 비확률 표본추출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였다. 총348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이 중 누락 및 일관성 없는 응답 등 연구에 적절치 않는 58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290명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엘리트선수의 운동만족과 경기력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선수경력, 입상경력에 따른 육상 지도자 지도유형 하위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급별(소속)에 따른 지도유형 에서는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는 긍정적 보상 요인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모두 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심리적만족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과제수행만족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로 고둥부가 중등부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력과 입상경력이 늘어날수록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선수경력과 입상경험은 운동만족에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육상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엘리트선수의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선수집단에 대한 운동만족과 수행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 하였고, 과제수행만족과, 심리적만족 요인에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육상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엘리트선수의 경기력(입상경력)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지도유형이 경기력에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약39%정도의 예측 결과가 나왔다. 운동수행이 있어서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세부적으로 훈련 및 지시와 사회적지지 요인이 유의한 관계가 있고, 정(+)적 방향으로 예측하였으며, 반면에 전제적 행동 요인은 부(-)적인 방향으로 예측을 나타났다.

      • 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육실태인식 및 교육방향성에 대한 제고

        윤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등음악교육의 실태와 향후 중등음악교육의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중등음악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중등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음악교육의 목적, 학교음악교육의 역할, 학생들의 음악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음악교육의 학생 삶에 대한 기여도, 음악과 교과과정 및 음악교육활동, 교사의 소양, 향후 학교음악교육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도입방안 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제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는 현재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중등음악교사 총 61명이 참여하였으며, 설문항은 객관식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의 결과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단순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교사들이 생각하는 음악교육의 목적에 대한 질문에서는 현재 중등음악교사로 재직하며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의 대부분이 학교현장에서 음악교육이 필요한 이유와 실제 교수활동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및 현재 음악교육에서 학생들에게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교육목표로 각각 정서적 지원(67.2%), 정서함양(54.1%), 정서표현능력의 향상(50.8%)이라고 답하였다. 음악교사들은 현재 학교음악교육의 실태에 관련한 질문에서 학교교육이 학생들에게 하고 있는 역할로 정서적 안정(54.1%)이라는 대답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음악교육이 학생들의 삶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사들은 음악과 교육과정 및 음악교육활동에 대하여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요구와 수준을 반영하는 음악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개별화된 음악교육의 시행가능성에 대하여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교사들이 음악교육에서 학생들의 음악적 목표달성보다 음악을 하는 과정에서의 즐거움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교육과정의 이해영역과 활동영역 중에서 활동영역을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교사가 많았으며, 실제 수업에서도 활동영역에 보다 더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교사로서의 소양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본인의 교사로서의 소양에서 부족함을 느끼고 있는 경우에는 학생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51.9%)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음악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의 심리정서이해력(47.5%)이 필요하다는 대답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학교음악교육에서의 필요한 변화를 묻는 질문에서 수업시수의 증가(43.35%), 학교의 시설 확충 및 지원(35.0%), 교육과정(13.3%)의 순으로 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교사들은 앞으로 학교음악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학생들의 심리정서함양(60.7%)이라고 답하였으며, 앞으로 음악교육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도입으로는 학생의 음악적 소양을 위한 프로그램(47.5%)과 학생의 정서적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42.6%)이라고 대답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중등음악교사들은 음악교육에서 학생들의 정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정서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동시에 음악교육이 정서교육을 담당하면서 학생들의 건강한 정서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임을 다시 한 번 증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학교음악교육에서 교육의 대상인 청소년들의 정서를 적극적으로 다루어야 할 필요가 요구되고 부각됨에 따라 앞으로의 음악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정서적 발달과 정서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적극적이고 전문가적인 개입으로서 청소년의 정서에 유용한 음악치료의 교육적 적용과 도입을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secondary-school teachers' awarenes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secondary-school music education and its future directions. The subjects consisted of a total of 61 secondary school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the educational levels. 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was loaded with 26 multiple-choice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subjected to simple frequency and percentage with the help of SPSS win 17.0 program. The subjects we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of such factors as the end of music education that they consider, the role of school music educati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its contribution to students' lives, music curriculum and music-education activities, teachers' knowledge, and measures for the introduction of better schoo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music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part of teaching music in practice, and the fundamental educational objectives of music education for students are ascribed to affective support(67.2%), emotional cultivation(54.1%) and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express one's emotion(50.8%),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research, 54.1 percent of the music teachers responded that school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motional stability(54.1%), thinking that music education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ir students' lives. As for music curriculum and music educational activities, the subjects acknowledged a need for the music education that reflects the demand and the levels of the students. Also, they turned out to take a positive stance toward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ized music education. Many subjects thought that pleasure taken from students' music activities is more important than the achievement of music purpose, and that the activity area of the curriculum is more important than its comprehension area. Also, this study shows that the subjects give more weight to the former in actual class. The respondents realized that there is a need for changes in the music teachers' knowledg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music curriculum. Many of them(51.9%) thought that lack of their knowledge is attributable to lack of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 The music teachers (47.5%) said that measures for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should be related to an increase in students' emotional comprehension, responding that changes needed in school music education includ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essions(43.5%), the expansion and support of school facilities(35.0%) and the curriculum(13.3%). The subjects said that the future directions of school music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cultivation of students' emotion, noting that programs for the students' knowledge of music(47.5%) and programs for their emotional support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focused on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warenes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music educ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music education. In conclusion, the subjects paid more attention to students' emotions as far as music education is concerned, which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hat adolescent students should be given emotional support through music education and that music education is the best way to prevent and solve their emotional problems.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music exerts a very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emotion and that music therapy can play a usefully and meaningfully mediative role in students' emotion.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highly useful and appropriate music therapy for secondary-school students should be educationally applied and introduced with the help of emotional support based on music.

      • (1-x)[(Mg_(0.93)Ca_(0.07))TiO_(3)]-x[0.3(CaTiO_(3))-0.7(Li_(0.2)Sm_(0.6)TiO_(3)]계의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

        윤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1-x)[(Mg_(0.93)Ca_(0.07))TiO_(3)]-x[0.3(CaTiO_(3))-0.7(Li_(0.2)Sm_(0.6)TiO_(3))] 계 (0.2≤x≤0.8) 세라믹스를 1250∼1400℃에서 3시간 소결하여 마이크로파 유전특성을 고찰하였다. 소결 시편의 존재상은 [(Mg_(0.93)Ca_(0.07))TiO_3] (MCT)와 [O.3(CaTiO_(3))-0.7(Li_(0.2)Sm_(0.6)TiO_(3))](CLST)의 주상 이외에 제2상으로 MgTi_(2)O_(5)와 Sm_(2)Ti_(2)O_(7)이 존재하였고, 소결 온도 1350℃ 이상에서는 제2상으로 MgTi_(2)O_(5)만 존재하였다. 유전 상수는 상대밀도와 CLST의 혼합 몰분률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1350℃에서 3시간 소결한 시편의 경우, 조성변화에 따른 유전 상수는 유전체 혼합 법칙에 가까운 값을 보였다. Qf 값은 전체적으로 CLST의 혼합 몰분률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x=0.75 조성에서는 Qf 값이 증가하였다. 1350℃의 경우 이는 결정립 성장에 의한 입계 산란효과의 감소와, 제2상의 감소 때문이다. 공진 주파수의 온도계수는 전 조성범위에 대하여 10ppm/℃ 이내의 안정된 값을 나타내었다. 1350℃에서 3시간 소결한 경우, x=0.5 조성에서 유전 상수 43.27, Qf 11298, TCF 6.8ppm/℃의 우수한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을 얻었으며, CLST의 혼합 몰분률 x를 조절하여 고 유전율과 저 유전손실을 갖는 마이크로파 유전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1-x)[(Mg_(0.93)Ca_(0.07)) TiO_(3)]-x[0.3(CaTiO_(3))-0.7(Li_(0.2)Sm_(0.6)TiO_(3))] (0.2≤x≤0.8) ceramics sintered at 1250∼1400℃ for 3h were investigated. The secondary phases, MgTi_(2)O_(5) and Sm_(2)Ti_(2)O_(7), as well as main phases of [(Mg_(0.93)Ca_(0.07))TiO_(3)] (MCT) and [0.3(CaTiO_(3))-0.7(Li_(0.2)Sm_(0.6)TiO_(3))] (CLST) were detected in the sintered specimens. For the specimens sintered above 1350℃, MgTi_(2)O_(5) was only detected as a secondary phase.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pecimens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relative density and mol fraction of CLST in the (1-x)[(Mg_(0.93)Ca_(0.07))TiO_(3)]-x[0.3(CaTiO_(3))-0.7(Li_(0.2)Sm_(0.6)TiO_(3))] ceramics. For the specimens sintered at 1350℃ for 3h, the dielectric constant as a function of the amount of CLST was in agreement with that calculated by the dielectric mixing rules of the phases. The Qf value of the specimens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CLST content. However, Qf value of x=0.75 in the (1-x)[Mg_(0.93)Ca_(0.07))TiO_(3)]-x[0.3CaTiO_(3)-0.7Li_(0.2)Sm_(0.6)TiO_(3)] ceramics increased. For the specimens sintered at 1350℃ for 3h, this result was due to the decrease of secondary phase and grain boundary scattering by the grain growth. Th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onant frequency of the specimens showed the stable value lower than 10ppm/℃ for all compositions. k of 43.27, Qf of 11298 and TCF of 6.8ppm/℃ were obtained for the specimen of x=0.5 sintered at 1350℃ for 3h. The microwave dielectric material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and low dielectric loss could be prepare by the control of CLST content in (1-x)[(Mg_(0.93)Ca_(0.07))TiO_(3)]-x[O.3CaTiO_(3)-0.7Li_(0.2)Sm_(0.6)TiO_(3)] ceramics.

      • 『우라키』에 나타난 북미 유학생들의 조선에 관한 인식

        윤숙 한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라키는 1920-30년대에 간행된 북미유학생 기관지이며, 당시 북미유학생들의 인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북미유학생들의 인식이 ‘미국’에 국한되어 있다고 보았다. 말하자면 유학생들이 미국 생활을 경험하면서 미국적인 것에 집중하고 수용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북미유학생들이 미국적인 것과 조선적인것 사이에서 갈등했으며, 미국적인 것을 수용함과 동시에 조선적인 것을 유지하기 위해서 노력했다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우라키 잡지에 실린 글에서 미국과 조선 사이에서 갈등하는 유학생들의 인식이 직접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우라키는 북미 유학생들의 이러한 이중적 인식을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한 텍스트이며,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식을 텍스트 속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그것이 어떤 방향으로 귀결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우라키는 아직 학계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자료이며, 섣부른 방법론에 의지하여 해석하기보다는 세밀한 독해를 통해서 기초적인 근거 자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우라키 잡지의 발간 주체와 배경, 구체적인 발간 내용을 정확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먼저 우라키 잡지의 발간 주체인 북미유학생회의 활동사항을 정리하고, 우라키의 전권을 면밀히 검토하여 발간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이 논문에서는 북미 유학생들이 미국이라는 현재의 공간과 조선이라는 과거의 공간을 동시적으로 인식하면서, ‘미국인으로서의 자기’와 ‘조선인으로서의 자기’를 동시에 형성하고자 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가장 문제적인 지점은 ‘과학’과 ‘도덕’의 개념이다. 다시 말하면 ‘과학’과 ‘도덕’이라는 두 가지 개념의 충돌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충돌은 유학생들이 ‘과학’과 ‘도덕’이라는 개념을 한꺼번에 수용하면서 나타나게 되는데, ‘과학’은 미국적인 것의 수용에 가까운 개념이며, ‘도덕’은 조선적인 것의 유지에 가까운 개념이다. 그러나 유학생들은 이러한 충돌과 대면한 후 한쪽으로 자신들의 인식을 귀속 시키지 않고 자신들 나름대로 재해석하여 개념 자체를 재정립하고자 했다. 이러한 충돌과 모순은 북미유학생들의 이중적 장소인식을 낳는다. 그들이 조선과 미국을 동시적으로 인식하면서 기인된 ‘현재’라는 장소에 대한 문제다. 북미유학생들은 기본적으로 ‘조선의 계몽’을 지향하고 있었다. 그것이 그들이 꿈꾸는 이상적인 ‘미래’라면 이러한 미래는 ‘현재’를 비판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계몽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그들이 현재 살고 있는 공간인 미국을 잣대로 하여 조선의 현재를 비판했다. 그러나 사실상 그들이 비판한 것은 조선의 과거였다. 그들에게 비판적으로 검토된 ‘현재’는 오히려 ‘미국’에 있었다. 말하자면 유학생들의 ‘인식적 현재’가 ‘실제 현재’와는 다른 것이다. 인식과 실제가 어긋나고 있음에도, 유학생들은 이 불분명한 현재를 통해 미래를 꿈꿨다. 그들은 조선의 현재를 비판하는 대신, 미국의 현재를 비판하며 이는 조선의 미래가 미국의 현재를 바탕으로 하여 설계될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적인 면으로 인해 궁극적으로 유학생들이 실현하고자 했던 조선의 계몽은 애초의 목적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그리고 가장 조선적이었어야 할 ‘계몽된 조선의 모습’은 ‘비조선’, 즉 ‘미국화 된 조선’으로 변하게 된다. 유학생들 스스로 인식하고 꿈꾼 ‘미국화 된 조선’이라는 결과적인 모습은 유학생들의 인식 범위를 ‘미국적인 것의 수용’에만 국한했을 때는 표상될 수 없었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이 선진문명의 요람인 미국에 매료되어 미국적인 것을 수용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수용과 더불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코 ‘조선적인 것의 유지’라는 분명한 목적의식의 끈을 놓지 않았다는 것을 『우라키』는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