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회 성장을 위한 목회 리더십 : 물가에 심기운 교회 중심

        윤성호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교회 성장을 위한 목회 리더십 (물가에 심기운 교회 중심) 윤성호 지도교수 김희백 본 논문은, 논자 본인의 부족한 리더십을 이전보다 더 향상 발전시키기 위해 작성되어졌다. 본 논문의 연구 질문은 ‘1) 성경적 리더십은 무엇인가? 2) 교회 개척과 성장의 한계는 무엇이었으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3) 향후 교회 성장을 위한 목회 리더십 계발과 미래적 전망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본 논문은 리더와 리더십의 정의,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원칙적 리더십, 카리스마 리더십에 대해 다루었다. 원칙적 리더십에서는 스티븐 코비가 그의 저서에서 다루었던 리더십에 대한 가르침들 중 ‘주도성, 분명한 목표 설정, 소중한 것들을 먼저 행할 것, 위임, 상호 이익, 경청, 신뢰’ 일곱 가지를 선별하여 다루었다. 우리나라 대표적 목회자들의 리더십에 대해서는 한경직, 조용기, 곽선희, 옥한흠, 김삼환 다섯 분에 대해 다루었다. 성경의 인물들 중에는 모세와 다윗과 바울 세 분과 예수님께서 세상 계셨을 때 행하셨던 리더십에 대해 다루었다. 물가에 심기운 교회에 대한 중심 사례들에 대한 연구로는 교회 개척과 성장의 한계에 대한 전망으로 개척 준비와 과정, 서초동에서의 개척 시작, 논현동과 죽전으로 이전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다루었다. 본 논문에서 논자가 가장 노력을 많이 기울였던 부분은 목회 리더십 계발과 적용 부분이었다. 이 부분은 논자가 향후 반드시 실천하고자 하는 일곱 가지 리더십에 대한 향상의 간절한 바람이 다루어졌다. 그것들은 분명한 목표 설정, 성경적인 가치관, 간절한 기도,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믿음, 겸손, 열정 그리고 하나님 경외에 대한 것이었다. 본 논문은 논자가 교회 개척 이후 여러 방법으로 교회성장을 위해 노력한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하여 스스로 결론 내리기를 교회가 개척 이후 현재 만큼밖에 성장이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은 논자 본인의 리더십 약화가 결정적 원인이라 진단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논자는 이 논문 연구를 통하여 부족한 리더십을 향상 시키는 계기로 삼고자 이 논문의 제목과 부제에 합당한 내용들을 작성하게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 자료들은 모두 236가지를 참고 하였다. 국내 도서 70권, 번역서 130권, 국내 논문 30권, 국외서적 5권, 인터넷 자료 13, 테잎 1개 등 모두 249가지를 참고 하였다. 발취 인용된 리더십에 대한 내용들로는 가능한 기독교 서적들에서 자주 인용되어지는 내용들을 피하였다. 일반 리더십 저서들을 참고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논문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논자는 이 논문을 이론만 전개한 후 잊으려고 기록하지 않았다. 반드시 목회 현장에 적용을 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작성하였다. 그러한 고로 본 논문은 향후 본 논자의 리더십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논자 본인은 이 논문에서 다루어진 그대로 실천할 의욕과 의지가 분명하다는 사실을 밝혀 둔다. 본 논문의 논자 본인은 본 논문을 작성한 이후 계속적으로 현재 담임하는 교회의 상황이 어떠한 지를 직시하게 되었다. 현재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그 어떤 다른 리더십이 아닌 성경적 리더십으로 현재의 당면된 문제들을 해결하기로 결심하였다. 특별히 논자 본인의 취약적인 부분들을 극복하기 위한 집중적으로 공부를 하여 남은 사역 기간 동안을 성공적으로 마무리를 지어야 하겠다는 강력한 결심을 하게 되었다.

      • Progetto per il Restauro:La Riqualificazione ed il Consolidamento Statico(Castello Savelli di Palombara Sabima) : 윤성호

        윤성호 Universita Degli Studi di Roma la Sapienza 1993 해외박사

        RANK : 247647

        제 1장 팔롬바라 사비나의 도시학적 연구 -지형조건 이탈리아의 로마 북동쪽 40㎞ 지점에 위치. 동쪽의 1271m 높이의 젠나로 산 의 줄기인 372m 높이의 산 정상에 있는 성을 중심으로 타원형태의 도시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정주형태 팔롬바라는 "반지형" 도시형태의 대표적인 케이스. 높은 탑은 지닌 성채는 그리이스의 아크로 폴리스의 성격으로 출발. 중세의 장원제도를 잘 살펴볼 수 있는 도시형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도시의 확장단계 제 1단계: 성채의 형성 (11세기-12세기) 제 2단계: 성채외곽의 주거지 형성 (13세기-16세기) 제 3단계: 도로에 따른 하부 주거지 형성 (17세기-19세기 초) 제 4단계: 자유로운 전개 (19세기-) 제 2장 사벨리성의 건축학적 연구 - 성의 기원 및 발전과정 11세기 "Palatium(팔라티움)"에서 출발. 1276년 40m 높이의 탑 건설. 16세기 길이 83m의 비상담 건설 1556년 화재로 거의 손실. 1637년 원상태로 복구 -현 상태의 가치분석및 건축적 분석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고 재사용 가능 상태의 구조이므로 보수이론에 적합한 보수계획을 세울 필요성 인정. 제 3장 보수계획 및 설계. -철저한 측량을 통한 도면작업. -역사성과 예술성을 포함한 개념설정 -구조적 보강을 통한 생명성 부여

      • 아동 돌봄의 사회적 분담 : 여성의 노동시장 지위와 계층 간 차이를 중심으로

        윤성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sharing of childcare on women's status in labor market and differences among classes. Social sharing of childcare is a response to ‘deficit of care’ caused by changes of labor market and family in post-industrial society, and is being understood as a factor deciding characters and details of restructuring toward welfare stat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what influences de-familization/familization programs that are being enforced for social sharing of childcare have on women’s status in labor market, and how these programs are being used according to classes of individual family. This study looked into social meanings of care and social sharing of childcare that has been in charge of women in family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on social sharing of childcare, and analyzed how de-familization/familization programs improve women’s status in labor market and how differently they are being used according to classes. Reducing burden of care comprises de-familization that help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for economical support and familization that helps returning to family for care. In this thesis, the scope of de-familization/familization programs that divide care socially were chosen as child-care service, parental leave, and child home care allowance, which are programs for caring preschool children. The analysis was made by following order. First, in order to analyze how de-familization/familization programs improve women’s status in labor market, data were composed mainly from members of OECD and TSCSREG(pooled time series cross sectional regression) was conducte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de-familization/familization program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relative wage level, and full-time employment, and through the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social sharing of childcare will have a positive result on improving women’s status in labor market. Next, in order to analyze how differently de-familization/familization programs are being used according to different classes, with data of LIS(Luxembourg Income Study), influences of individual family’s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on parental leave and child home care allowance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use behavior differed according to income level or educational level. This shows that familization/familization programs bring different outcomes according to individual family’s income or educational level, and through the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ffect of childcare’s social sharing differs according to classes within women’s groups. What these result imply are as follow: First of all, when we look into theoretical implication, first, de-familization and familization, ways of social sharing of childcare are complementary as they reduce burden of care, which is parents’ care and economical support. Second, de-familization and familization that share childcare socially should include not only a perspective of gender, but also a perspective of class as well. Third, analyzing results of de-familization and familization programs that share childcare socially requires not only analysis in national level, but also analysis in individual family level as well. It means that de-familization and familization should be understood by including not only care, but economical support, and be expanded to the concept including not only gender, but also class as well. Next, looking into policy implication, first, de-familization and familization programs such as parent leave and public childcare that have positive influences on improving women’s status in labor market have to be expanded and carried out. Second, since use behavior of de-familization and familization programs that share childcare socially differ according to different classes, they should be planned with considerations for the low-income class. Third, since burden of care and economical support are concentrated in one person in a household with female householder, services with considerations on traits of households with female householders have to be expanded. In short, to improve women’s status in labor market, social sharing of childcare has to be extended, and its direction has to solve gender discrimination and discrepancy between classes. This thesis has limitation due to a restriction of data. First of all, as time-series data from year 2000 on could not be secured, the recent change and its influences on women’s status in labor market could not be analyzed. Second, even for the data of LIS, as data of year 2000 were mainly used, the recent change on family was not reflected, and since class was simplified with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this thesis did not grasp traits of each class. Third, public childcare service was not included in analyzing what influences social sharing of care has according to classes. The significance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 First, this thesis deliberated quality aspect of employment by including not only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relative wage, but also full-time employment in analyzing relations between social sharing of childcare and women’s status in labor market, and reflected a trait of time use of women, who have to perform paid labor and childcare at the same time. Second, by carrying out a macroscopic analysis in national level and a microscopic analysis in individual family level simultaneously, it grasped how social sharing of childcare in welfare state is achieved in detail. Third, it could inquire into relations between de-familization/familization programs and discrepancy of classes, which haven’t been dealt with until now, and particularly, it could clarify what influences a direction called free choice,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of welfare state’s reorganization had on classes. Lastly, as it included not only care but also economical support in de-familization/familization’s concept, this thesis could provide a insight in establishing a new social welfare policy that responses to demands of increasing dual-earner families’ care and focuses on investment on children.

      • 地方公務員 敎育訓練의 實態 및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淸州市를 中心으로

        윤성호 淸州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nforcement of local self - government, the development of localism, the enlargement of open system, and the spread of the trend of a self - control caused a nation and local administration to change greatly, and with respect to that change, the relative administration policy will be demanded.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civil servant's abilities say, the progress of a professional knowledge, and the training to change attifudes, and values will be demanded more increas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training wich is operating now to improve a training of a civil servantgualitatively, and divde it into institutional side and operational side. The results of Chapler Three show that First, as the results of chapler three indicates, the status of a civil servants training facilities anly a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organization in a local self - autonomous body. Second, as was seen in the (Table 3 - 20) an instructors have trouble in teaching them. Third, as with the curriculum which are being operated now, the contents of a curriculum centers on theory, while ignoring practice. Fourth, the coudition of facilities of a training institution, as was seen in the ( Table 3 - 10), is not satisfactory, especially, is in the condition of not preparing the minimum standards of equipments, and the last, as was seen in the ( Table 3 - 25 ), the validity of the method of evaluation is low, so is the relavancy of an instrument.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must adjust the status of instructors with proportion to the increasement of an importauce in an educational function of a localism and a local autonomy Second, we must secure the competent instructors to improve a quality of instructors. Third, we must make an operation of an existing training facilities better. That is, we must invest an educational budget resoluteiy to improv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xpand traimimg equipments. Fourth, we must enlarge the method of participatory instruction as far as an existing conditior permits. Fifth, we must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instruction-learning in measuring and evaluating the performance which was achieved by means of a training of a civil servants. The improvement plan mentioned above is a several propositions to solve the problemin a training which a local civil - servant institutions are operating.

      • Signaling mechanism of CM1-mediated apoptosis in human ovarian cancer cells

        윤성호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s: Advanced epithelial ovarian cancer remains the most lethal gynecological malignancy. For overcome advanced ovarian cancer, the exploitation of new agents targeting ovarian cancer specific molecules is urgently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Caov3 human ovarian cancer cells express the CM1 molecule,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a pro-apoptotic molecule in other cancer cells, to verify the role of the CM1 molecule, and to clarify the signaling mechanism induced by the cross-linking of CM1. Materials and Methods: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confocal microscopy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surface molecules in Caov3 ovarian cancer cells. To assess the function of CM1, cross-linking of CM1 was done using anti-CM1 mAb coated 96-well plates, and then performing a cell proliferation assay. Next, to evaluate apoptosis, disruption of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fter cross-linking of CM1, flow cytometric analyses using annexin V, 2', 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H-DA), and 3,3'- dihexyloacarbo- cyanine iodide (DiOC6)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signaling mechanism induced by cross-linking of CM1 in ovarian cancer cells, assays using various inhibitors, th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confocal microscopy, and western blotting were conducted. Results: Flow cytometry and confocal microscopic data showed that CM1 molecules not only existed in the cytoplasm of Caov3 cells, but were also expressed on the cell surface. Stimulation of CM1 using monoclonal antibod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as well as induced apoptosis, Δψm disruption, ROS generation, and the release of apoptosis inducing factor from the mitochondria to the nucleus. CM1-mediated apoptosis occurred through the Fas-Fas ligand pathway, with changes of Bcl-2 family gene expression, activation of caspase8, and phosphorylation of the ERK1/2 signaling cascade. Conclusions: Taken together, cross-linking of CM1 induced apoptosis of Caov3 ovarian cancer cells through Fas-Fas ligand dependent and mitochondria dependent pathways, evoked by ROS generation and ERK1/2 activation. These outcomes of the present stud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s of the CM1 molecule. Treatment using anti-CM1 mAb can be developed as a new therapeutic strate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stablished chemotherapy in human ovarian cancer.

      •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윤성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자살생각 관련하여 자아존중감의 변인으로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주는 영향을 밝힘으로서 10대 사망원인 중에서 1위인 교통사고 다음을 차지하는 2위의 사망원인(한국자살예방협회 2008년,9월)이 되고 있는 청소년 자살을 다루고자 하였다. 본 연구 데이터는 SPSS WIN 12.0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워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 검정, 단순 상관관계분석, 중다선형 회귀분석 등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7.04)가 남자(5.51)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성별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박병금, 2007) ; 하연희, 2001 ;조현진, 1991). 둘째, 고등학생(6.60)이 중학생(5.60)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선행연구(서혜석, 2006 : 박병금, 2007)에서는 확인 되었으나, 본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셋째. 소득이 낮(300만원이하)은 가정 청소년이 소득이 높(300만원이상)은 가정 청소년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소득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박병금, 2007 : 이한나, 2006 : 하연희, 2001). 넷째, 종교있는(6.82) 청소년이 종교없는(5.62) 청소년보다 자살생각이 유의미한 차이는 있었지만, 종교별로 본 자살생각의 차이는 불교를 믿는 사람이 자살생각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 김현준(2007), 정철순 외(2001), 홍진아(2004)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종교 중 불교를 믿는 청소년이 종교 없는 청소년과 다른 종교를 가진 청소년보다 자살 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 때문이다. 그 이유는 각 종교(특히 불교)의 생명관 교육의 결여와 내세론의 도피 가능성이 없기 때문일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이러한 결과는 예상치 못한 결과였다. 추후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 할 것 같다. 다섯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자아존중감 요인인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자살생각에 상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가 자아존중감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박병금, 2007 ; 서혜석, 2006 ; 홍진아, 2004 ; 강영자, 2000 ; 홍나미, 1998).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시기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임을 볼 때, 가족의 지지, 수용, 칭찬, 양육태도 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의 영향에 매우 높았다. 가족의 전폭적인 정서적지지, 수용, 칭찬과, 특히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관심은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을 낮아지게 할 것이다. 둘째,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배경이 되고 있다. 학교생활의 낮은 애착과 고등학생의 대학 수능고사의 높은 목표라는 학업 스트레스, 또래들과의 관계 등이 자살생각에 가장 영향을 주었다. 현재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입시제도의 개선과 선생님들의 따뜻한 관심과 지지, 즐거운 학교생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나 사회 전체가 청소년들에게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갖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 자살하고 싶은 가장 높은 순위가 또래와 친구들로부터 따돌림과 학교폭력 등을 미리 잘 파악하여 자살생각을 낮추게 할뿐만 아니라 예방도 더불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가정환경적 측면에서 가족지지, 특히 가족의 해체 등으로 가족의 지지를 받기 어려운 취약가정, 위기가정 등의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복지 차원의 가족지지 서비스 강화는 물론 전문사회복지기관이 적극적 개입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면 청소년 가정을 둔 부모님들의 계속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가족의 기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생활측면에서는 남자와 여자에 따라 자살생각의 차이 때문에 다르게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볼 때, 여자는 또래 상담가나 학부모 상담가를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남자는 건전한 놀이문화와 더불어 특기와 취미활동을 파악하여 동아리 모임을 활성화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청소년의 또래집단도 친구들간에 긍정적인 지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남여 함께는 집단활동이나 캠프활동 등의 활성화도 필요하다. 또 다른 나라에 비해 과도한 입시경쟁 스트레스는 자살 위험 요인임을 고려할 때, 개개인에 대한 자살인지교육과 자아존중감 훈련, 적극적인 선생님의 지지가 필요하다. 이처럼 청소년의 대학 수능고사의 높은 목표라는 학업 스트레스, 학교별 학업성취, 교육환경 개선 및 또래지지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 즐거운 학교생활이 되도록 해야 것이다. 이와 같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은 가정, 학교제도 및 지역사회전체가 정보를 수집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제공과 스트레스를 체계적으로 줄일 수 있는 교육환경개선, 이에 따른 개별 상담, 집단상담과 같은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