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택ㆍ당진항의 경쟁력 분석 및 특화방안에 관한 연구

        윤상열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Pyeongtaek-Dangjin Port is the central port in the central region, ranked fourth in domestic container cargo volume with an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8.3% and seventh in bulk cargo volume with an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10.7% over the past 15 years, marking the highest growth rate in the country. However, as the proportion of air transportation in terms of amount of import and export goods has gone beyond 30% and the securing rate of port facilities port nationwide has exceeded 100%, competition for attracting harbor volume from each port in Korea is fiercer. 88.38% of the container cargo volume at Pyeongtaek-Dangjin Port is related to the trade with China, higher than 73.95% at Incheon Port, 91.59% at Gunsan Port and 68.17% at Daesan Port. Under the circumstances, competition is inevitable because each port has the same markets. In this context, in order for Pyeongtaek-Dangjin Port to have a comparative advantage in competition with neighboring ports in the rapidly changing shipping environment, the study analyzed port concentration with H-H Index based on import and export statistics for 15 years at Incheon Port, Pyeongtaek-Dangjin Port, Gunsan Port, and Daesan Port, the four ports on the west coast. BCG Analysis identified competitive location between ports while specialized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Location Quotient Analysis and Competitiveness/Complementarity Analysi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pecialized strategy of Pyeongtaek-Dangjin Port experts through SWOT-AHP Analysis. As a result, the specialized strategy plan was presented.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H-H Index of four ports that can measure the port concentration of cargo processing between ports, the port concentration of container cargo decreased from 0.702 in 2006 to 0.626 in 2020, indicating that the ports have been gradually decentralized. The oligopolization of container import and export volume at Incheon Port continues, but it appears that the distribution is underway to Pyeongtaek-Dangjin Port because the container import and export volume using car ferries is rapidly increasing. The port concentration of f bulk cargo slightly lowered form 0.345 in 2006 to 0.303 in 2020. The result of decrease in port concentration shows that cars and grains processed at Incheon Port were transferred to Pyeongtaek-Dangjin Port.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positioning of import and export container cargo at the four ports by BCG Analysis, Incheon Port was located in the 1st quadrant “Star”with a high market share and a stable growth rate. While Pyeongtaek-Dangjin Port had a lower market share than that of Incheon Port, it showed high growth, being located in the 2nd quadrant “Question Mark.”Gunsan Port was located in the 4th quadrant “Dog”with a low market share and a growth rate going up and down positive and negative while Daesan Port was located in the 2nd quadrant “Question Mark”with a low market share and a high growth rate. In the analysis of the positioning of import and export cargo in bulk at the four ports, Incheon Port was located in the 3rd quadrant “Cash Cow”due to its low growth rate despite its stable market share when Pyeongtaek-Dangjin Port was located in the 1st quadrant “Star”due to its steady market share and high growth. Gunsan Port was located in the 4th quadrant “Dog”due to a continuously decreasing market share and a negative growth. Daesan Port was located in the 3rd quadrant “Cash Cow”due to its stable market share and a decreasing market share. Third, in the Location Quotient Analysis of export showing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of import and export goods at each por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export items in the four ports as of 2020 indicated that Pyeongtaek-Dangjin Port overlaps with Incheon Port in 3 items(Chapter 28, 85, 90), Gunsan Port in 2 items(Chapter 87, 90). When it comes to Chapter 90, it turned out that Incheon Port competed with the three ports in Gunsan while competing with Daesan Port for no item. The result of LQ Analysis of imported goods in the four ports showed that Pyeongtaek-Dangjin Port overlaps with Incheon Port in 3 items(Chapter 10, 68, 72), Gunsan Port in 3 items(Chapter 10, 23, 72). As to Chapter 10, 72, it appeared that Incheon Port competed with the three ports while competing with Daesan Port for no item.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Competitiveness/Complementarity Analysis through cargo processing contribution rates for 10 major import and export items in three ports, Chapter 39, which was one of the 10 major export items in the first period(2006~2010) and the second period(2011~2015), was excluded. Over Chapter 72, which had been complementary to each other, Pyeongtaek-Dangjin Port and Incheon Port competed with each other while for Chapter 84 Pyeongtaek-Dangjin Port and Incheon Port complemented each other after competition between the ports in the second period. As to Chapter 85 for which ports used to complemented each other in the second period, Pyeongtaek-Dangjin Port and Incheon Port competed with each other while Incheon Port and Gunsan Port did so as well. Chapter 87, over which Pyeongtaek-Dangjin Port and Gunsan Port had competed turned into the one that has made the two ports complement eacth other. In the Chapter 90, each port has consistently competed with each other. Regarding imports, as Chapter 10 was excluded from the top 10 major import items while Chapter 27 was included, each port has complemented each other. Over Chapter 72 that ports had complemented each other Pyeongtaek-Dangjin Port competed with Incheon Port and Incheon Port with Gunsan Port. For Chapter 85, which Pyeongtaek-Dangjin Port and Incheon Port complented each other over, the two ports competed with each other. Fifth, the SWOT-AHP Analysis of Pyeongtaek-Dangjin Port showed that the order of relative importance was strength(0.355), opportunity(0.259), threat(0.219), weakness(0.167) within the SWOT group. The strength and opportunity categories were turned out to be relatively important. Pyeongtaek-Dangjin Port has excellent internal competence as a more important factor in the strength category than the weaknesses while the external environment is favorable as a more important factor in the opportunity category than threats. That can lead to a conclustion that Pyeongtaek-Dangjin Port is advantageous in creating harbor volume in the mid to long term. Important factors that were identified in each category are as follows: geographical advantages adjacent to the capital area and Chungcheong region(0.334) in the strength category; the lack of port logistics infrastructure(0.313) in weaknesses; the creation of a large-scale port background complex(0.373) in opportunities; and the expansion of Songdo New Port in Incheon(0.322) in the threat category. And, based on this empirical analysis, I sought a specialized strategic plan for Pyeongtaek-Dangjin Port to gain a comparative advantage in port competition, and I would like to present S/O strategy, S/T strategy, W/O strategy, W/T strategy for each priority as follows. S/O strategy is to create an automobile cluster project promoted by Pyeongtaek City as the No.1 port regarding automobile volume, an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cold chain logistics as the volume of frozen and refrigerated food increases. S/T strategy requires early construction of maritime express cargo warehouse to establish itself as the nation’s No. l maritime express cargo handling port, and since classifying Dangjin Port separately as a national trade port for independence does not help port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governance system for Pyeongtaek-Dangjin Port. W/O strategy is to attract the U.S military – related cargo transport carriers to Pyeongtaek-Dangjin using geographical advantages adjacent to Camp Humphreys, a U.S military camp located near Pyeongtaek-Dangjin Port and to contribute to maximizing the cargo volume of car ferry that is on the rise with the completion of the new international passenger by the deadline. W/T strategy is to change some PNCT(Pyeongtaek port New Container Terminal) docks with low facility utilization rate of container docks into multi-purpose docks that can handle containers and bulk cargo simultaneously while effective port sales at Pyeongtaek port should be carried out for further opening container routes. 평택․당진항은 국내 컨테이너화물 물동량 4위, BULK화물 물동량 7위의 중부권 중심항만으로 지난 15년 동안 컨테이너화물 물동량의 연평균성장률은 8.3%, BULK화물 물동량의 연평균 성장률은 10.7%로 항만의 성장세는 전국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수출입물품금액에서 항공운송 비중이 30%를 넘었고 전국 항만의 항만시설 확보율이 100%를 넘긴 상황에서 국내 각 항만들의 물동량 유치를 위한 경쟁은 더욱 치열하다. 평택․당진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중 88.35%가 대중국 무역에서 이루어져 다른 서해안 항만인 인천항의 73.95%, 군산항의 91.59%, 대산항의 68.17%에 비해 높고 동일한 배후시장을 가지고 있어 경쟁이 불가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해운환경에서 평택․당진항이 주변 항만과의 경쟁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기 위해 서해안 4개 항만인 인천항, 평택․당진항, 군산항, 대산항의 15년간 수출입통계자료에 의한 H-H지수로 항만집중도 분석, BCG분석으로 항만 간 경쟁적 입지를 파악하고 입지계수분석과 경합성 및 보완성 분석으로 특화품목 추출을 하였고 평택․당진항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평택․당진항의 특화전략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SWOT-AHP분석하여 그 결과로 특화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항만들 간에 상대적으로 화물처리의 항만집중도를 측정할 수 있는 4개 항만의 H-H지수 분석결과 컨테이너화물의 항만집중도는 2006년 0.702에서 2020년 0.626으로 낮아져 점차 분산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처리 과점화는 지속되고 있으나 카페리 물동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평택․당진항으로 분산이 진행되고 있다. BULK화물의 항만집중도는 2006년 0.345에서 2020년 0.303으로 조금 낮아졌고 집중도가 낮아진 결과는 인천항에서 처리되던 자동차와 양곡 등이 평택․당진항으로 분산되었다. 둘째, BCG분석에 의한 4개 항만의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포지셔닝 분석에서 인천항은 높은 시장점유율과 안정적인 성장률로 1사분면인“Star”에 위치하고 평택․당진항은 시장점유율은 인천항 보다 낮지만 높은 성장세를 보여 2사분면인 “Question Mark”에 위치했다. 군산항은 낮은 시장점유율과 소폭의 등락을 보이는 성장률로 인하여 타 항만과의 경쟁에서 열세로 4사분면인“Dog”에 위치하고 대산항은 시장점유율은 낮지만 높은 성장률을 보여 2사분면인 “Question Mark”에 위치했다. 4개 항만의 수출입 BULK화물 포지셔닝 분석에서 인천항은 안정적인 시장점유율에도 불구하고 성장률이 낮아 3사분면인 “Cash Cow”에 위치하고 평택․당진항은 시장점유율이 꾸준히 높아지고 높은 성장세를 보여 1사분면인“Star”에 위치했다. 군산항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시장점유율과 마이너스(-)성장으로 4사분면인“Dog”에 위치하고 대산항은 안정적인 시장점유율과 낮아지는 성장률을 보여 3사분면인“Cash Cow”에 위치했다. 셋째, 각 항만의 수출입물품의 특화정도를 나타내는 4개 항만의 입지계수분석에서 2020년 기준 수출물품 LQ지수 분석결과 평택․당진항은 인천항과 3개 품목(28류, 85류, 90류), 군산항과 2개 품목(87류, 90류)에서 특화품목이 겹치고 90류는 인천항과 군산항 3개 항만이 겹쳐 경쟁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고 대산항과는 겹치는 품목이 없다. 2020년 기준 수입물품 LQ지수 분석결과 평택․당진항은 인천항과 3개 품목(10류, 68류 72류), 군산항과 3개 품목(10류,23류,72류)에서 특화품목이 겹치고 10류와 72류의 2개 품목은 3개 항만이 겹쳐 경쟁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고 대산항과는 겹치는 품목이 없다. 넷째, 10대 수출입품목에 대한 화물처리 기여율을 통한 경합성과 보완성 분석결과 수출품목에서 1차 시기(2006 ~ 2010년), 2차 시기(2011 ~ 2015년)에 10대 수출품목이던 39류가 제외되고 그동안 보완성을 가졌던 72류는 평택․당진항과 인천항이 경합성을 갖게 되었고, 2차 시기에 항만 간 경합성을 가졌던 84류는 평택․당진항과 인천항이 보완성을 가졌다. 2차 시기에 항만 간 보완성을 가졌던 85류는 평택․당진항과 인천항, 인천항과 군산항이 경합성을 갖게 되었고 평택․당진항과 군산항이 경합성을 가졌던 87류는 보완성을 가지는 것으로 변하였다. 90류는 지속적으로 각 항만이 경합성을 가지고 있다. 수입에서는 10대 수입품목에 10류가 제외되고 27류가 진입하여 각 항만이 보완성을 가지고 있고 그동안 보완성을 가졌던 72류는 평택․당진항과 인천항, 인천항과 군산항이 경합성을 갖게 되었고 85류는 보완성을 가졌던 평택․당진항과 인천항이 경합성을 갖게 되었다. 다섯째, 평택․당진항의 SWOT-AHP분석 결과 SWOT그룹의 상대적 중요도는 강점(0.355), 기회(0.259), 위협(0.219), 약점(0.167)요인 순으로 나타나 강점과 기회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평택․당진항은 강점요인이 약점요인에 비해 높은 중요도를 보여 내부역량이 우수하고 위협요인보다 기회요인이 높은 중요도를 보여 외부환경이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나 중장기적으로 물동량 창출에 유리하다고 분석할 수 있다. 강점요인에서 수도권과 충청권에 인접한 지리적 이점(0.334), 약점요인에서 항만물류 인프라 부족(0.313), 기회요인에서 대규모 항만배후단지 조성(0.373), 위협요인에서 인천 송도 신항 확장(0.322)에 각각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평택․당진항이 항만경쟁에서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는 특화전략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우선순위별로 S/O전략, S/T전략, W/O전략, W/T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S/O전략은 자동차 물동량 1위 항만으로 평택시가 추진하고 있는 자동차 클러스터 사업이 조기에 조성되어야 하고 냉장․냉동식품의 물동량 증가에 따른 콜드체인 물류 활성화가 필요하다. S/T전략은 전국 1위의 해상특송화물 처리항만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해상특송장의 조기 건립이 필요하고 당진항의 국가무역항으로 분리․독립을 추진은 항만경쟁력에 도움이 되질 못하기 때문에 평택․당진항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W/O전략은 평택․당진항과 근거리에 위치한 평택 주둔 미군 캠프 험프리스와의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미군관련 화물수송선 등을 평택․당진항으로 유인을 추진하고, 신 국제여객부두 공기 내 완공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카페리 물동량 극대화에 일조해야 한다. W/T전략은 컨테이너 부두시설 활용률이 저조한 평택항 신 컨테이너터미널(PNCT)의 일부 선석을 컨테이너와 BULK화물을 동시에 취급할 수 있는 다목적 부두로의 전환과 컨테이너 항로의 추가 개설을 위한 실효성 있는 평택항 포트세일을 진행하여야 한다.

      •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용인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윤상열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on successful aging. In this study,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data collected for "A Study on Strategic Development of Specialized Industry in Yongin City: With a Focus on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Yongin Senior Park" The respondents included in this research were over 50 years old. 207 cas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SPSS Statistics 18.0 PC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show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and the degree of successful aging depending on the socio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Yongin residents. Moreover,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as fou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uccessful aging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In terms of successful aging, Yongin residents show the mean score of 3.41 (sd=1.10) in 5-point scale. The highest score appears on ‘children's health’(3.95 (sd=0.97)) and the lowest score appears on ‘able to do what I need to do before death’ (2.94 (sd=1.14)). Further analysis shows that among the dimensions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health, finance and emotional well-being all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success of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 that individuals need to prepare for old age in advance, and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might be of help for them.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for retirement and successful aging need further investigation for generalization.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고령사회로의 진입과 더불어 노후를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성공적인 노후생활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용인 특화산업의 전략적 육성에 관한 연구: 용인 시니어 파크 건립 타당성을 중심으로」의 일환으로 수집한 “용인시 중·고령자의 노후준비 및 노후생활 실태 조사” 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50대 이상 총 207명의 남성과 여성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 PC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용인시 중·고령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후 준비도, 성공적 노후생활에 대한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검사,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의 방법을 통해 통계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용인시 중·고령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운데 연령, 학력, 취업상태, 건강상태, 생활수준에 따라 노후 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생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중·고령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이 있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생활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인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생활 변수는 p<.01 수준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중·고령자의 노후 준비도는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후생활척도는 자기통제를 잘하는 삶, 자녀성공을 통해 만족하는 삶, 자기 효능감을 느끼는 삶, 부부간의 동반자적 삶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평균값 3.41(1.10)점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은 ‘자녀들이 건강하다’ 3.95(.97)점이고, 가장 낮은 것은 ‘죽기 전에 해야 할 일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다’ 2.94(1.14)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고령자들의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은퇴 이전과 이후에 노후 준비를 잘 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인프라를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첫째, 고령자의 취업, 건강관리, 생활수준에 대한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복지로 이들의 노후가 성공적인 노후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노인이 되어 성공적인 노후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노인이 되기 전 노후준비가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60대는 노인 복지관등을 통하여 건강, 일자리, 여가 등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얻는 반면, 40대, 50대 중장년층은 상대적으로 정보를 얻을 곳과 시간이 마땅치 않다. 따라서, 예비고령자들이 스스로 성공적인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재테크, 건강, 복지 서비스, 여가생활, 가족관계 등에 대하여 종합적인 교육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결론에서 3가지 한계점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은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진 압축적 고령화를 겪고 있기 때문에 노인복지에 관한 연구는 아직 질적, 양적으로 부족하다. 특히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연구는 본문에서 밝힌 것과 같이 다른 노인 분야 연구에 비하여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의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회전원판의 속도변동에 따른 횡진동 거동 분석

        윤상열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directed for the optimum design of steelThis thesis intend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lateral vibration of a rotating disk with speed fluctuation and to perform experimental validation. The discretized equations of motion has been derived based on the Kirchhoff’s plate theory and the assumed mode method and then the perturbation method has been appli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speed fluctuation on the whirling stability. Also, experimental works have been performed for verification purpose. Results shows that parametric excitation due to speed fluctuation causes instability by the single mode resonance and combination mode resonance. The single mode instability is observed both in subharmonic and superharmonic conditions but the combination mode resonance is found only in superharmonic conditions. In addition, the speed fluctuation by periodic loadings is found to have little effects on the lateral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otating disk in stable conditions but it has significant effects on vibration behaviors in unstable conditions, which leads to increase in the vibration amplitude. Finally, the analytical estimation on stability is found to be in well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Vibration responses experimentally measured under unstable conditions exhibit the large amplitude vibration even in case of small speed fluctuation.

      • 高句麗 天下觀의 형성배경 연구 : 지배구조와 대외관계를 중심으로

        윤상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天下觀에 대한 연구가 4~5세기에 주로 집중된 결과, 이 시기가 독자적인 천하관이 처음 나타난 것처럼 이해되고, 오랜 발전과정을 통해 전성기의 국력과 대외관계를 바탕으로 생겨날 수 있었던 관념처럼 인식되는 것에 의문을 가지는 것을 문제의식으로 삼았다. 고구려의 천하관은 단순히 관념 자체가 오래 기간 형성되었다기보다는, 그 관념을 뒷받침하는 현실의 지배구조 속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산물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4~5세기에 확인되는 천하관의 역사적 배경을 고구려 초기부터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하였다.고조선 당대의 인식을 내포하고 있는 단군신화에는 天孫族 의식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데, 이러한 고조선의 자존의식은 국가체제에도 일정 부분 반영되어 있다. 고조선은 기본적으로 중심국인 ‘朝鮮’이 주변의 복속된 세력들을 느슨하게 아우르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고조선은 중앙정부적 지배구조를 내포하고 있었고, 후기의 지방편제방식은 ‘朝鮮貢蕃’이나 ‘朝鮮藩屛’에서 보이듯이 ‘중심국가’ 의식을 바탕으로 貢納관계를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 부여의 國都 역시 고조선의 ‘조선’ 경우처럼 ‘부여’로 불린 ‘濊城’으로, 예성의 주변 지역들은 고조선처럼 半독립적인 상태의 小國들이 존재해 누층적인 국가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부여는 강력한 王權과 제가세력이 권력을 두고 미묘한 균형을 이룬 형국이었다고 추정된다.서기전 2세기 중엽 졸본 지역에는 중국 사서에 ‘族’이라고 적은 ‘那’라는 小國 단위의 정치체가 출현했고, 현도군 축출을 전후해 ‘연나’(연노, 소노) 세력이 서기전 2세기 경 (원)고구려의 지배세력으로 국가형태를 갖추고 졸본의 다른 세력들을 규합해 聯盟을 결성했다. 원고구려의 지배구조는 맹주국이 여러 群小勢力들과 느슨하게 연합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이어나갔을 가능성이 크다. 부여에서 南下한 유이민세력이었던 주몽집단의 桂婁部는 당시 쇠락한 송양집단(연나)을 접수하고 송양의 근거지인 沸流國을 ‘多勿都’로 편제했는데, 이는 송양에게 원래 땅을 되돌려주고 대신 계루부 왕권에 복속하는 半독립적인 세력으로 삼았음을 의미한다. 이는 곧 주몽이 고구려의 왕실교체를 이룬 이후 첫 번째로 시행한 편제정책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구려의 새로운 왕실세력이 된 桂婁部는 국내성 천도를 계기로 기존의 ‘나’ 세력을 五部로 편제함으로써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된다. 고구려는 여러 小國들을 정복해 다양한 방법으로 편제를 했는데 그 대표적인 형태가 ??三國史記??에 나오는 ‘城邑’과 ‘郡縣’으로, 이들은 일반적으로 고구려와 동류의식을 가지고 있던 半獨立的 복속세력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제사체계에서도 고구려는 大王과 大加들의 차별성을 바탕으로 중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세칭 ‘제가회의’라 일컬어지는 행사도 기실 中國의 天子-諸侯 관계를 연상하게 하는 會盟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고구려왕의 순수의 대상지는 다름 아닌 일찍이 복속시킨 자치세력들의 근거지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삼국지?? 고구려전의 관등을 분석한 결과, 고구려 초기국가의 지배구조는 계루부 왕권을 頂點으로 하여 기본적으로 半자치적인 大加들이 국왕 밑에 결집한 형태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4세기 이후에도 고구려의 일부 관등에는 여전히 4세기 이전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결국 고구려 中期에 접어들어서도 일부 관등과 관직은 단지 이러한 전통적 지배방식을 합리화시켜주는 公的인 수단이었던 것이다. 미천왕대에 고구려는 낙랑?대방지역을 점령한 다음 中國的 전통이 강하게 남아있던 이 지역이 동시에 百濟와의 접경지대였다는 점에서 고구려의 입장에서는 고도의 통치술을 요하게 되었다. 그 결과, 고구려는 國初 이래 하나의 전통이던 고유의 半自治的 복속방식을 중국식 郡縣制와 결합해 새로운 지배방식을 창출해냈음을 알 수 있었다. 고구려가 중국의 ‘幕府制’를 2군 지역의 통치방식에 적극적으로 도입했음은 막부제가 기존 고구려 지배체제에 융화되기가 쉬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건국 초기부터 고구려의 王은 사실상 ‘大王’적인 위치에 있었다. 고구려 中期에 접어들어서는 ‘太王’이라는 용어가 보이는데, 아마도 미천왕 때 처음 생겨서 고구려 말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太王’으로의 칭호 格上은 고구려 영토팽창사에 있어서 하나의 획을 그은 美川王代를 기념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능비 등에서 보이는 고구려의 5세기 대외정책의 골자는 크게 ‘屬民’과 ‘異種族’으로 분류할 수 있다. ‘속민’에 해당하는 백제, 신라, 동부여 등은 기본적으로 고구려와 동질성을 공유하고 있었지만 천하관의 적용양상은 세부적으로 많이 달랐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고구려에 朝貢을 바치는 屬國들이었다. 중국의 역대 왕조 중 하나인 北燕 역시 고구려의 세계질서 아래의 속국으로 취급되었다. 이는 5세기 이전 고구려인의 의식의 연장에서 비롯된 것으로, 고구려는 중국의 왕조들을 대할 때 능비에 나타난 주변세력들에 대한 인식과 큰 차이점이 없었을 가능성이 있다. 異種族들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경제적인 實利의 대상이 되었다. 고구려의 이들 세력에 대한 복속의 의지나 강도는 일정한 동질성을 가지는 다른 세력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했다. 그러나 일단 屬國으로 만든 다음에는 그들이 고구려의 세력권, 즉 天下에 소속되었음을 闡明했는데, 이것이 ‘屬國’과 ‘附庸’의 개념이었던 것이다.5세기 고구려 金石文에 나타나는 천하관의 내용은 크게 신성관념, 복속관념, 주변 세계에 대한 인식 등으로 大別할 수 있다. ‘신성관념’은 역대 고구려왕이 모두 단순히 하늘의 代理者가 아닌 하늘 그 자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이는 ‘천손의식’과 ‘화이관’으로 표출되었다. ‘복속관념’은 ‘守天’, ‘奴客’, ‘朝貢’ 등의 개념들이 있는데, 모두 그 유래를 고구려 전기 지배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주변 세계에 대한 인식으로는 당대의 ‘皇天’, ‘四海’, ‘天下’, ‘四方’ 등이 있는데, 모두 같은 의미로 ‘지상의 모든 공간’을 뜻한다.이렇듯 능비의 천하관의 골격은 이미 고구려 초기부터 존재했다. 결과적으로 고구려의 국가적 성장과정에서 주변 小國이나 종족들을 복속시켜 우두머리를 온존시키거나 국왕과 가까운 자에게 위임하는 범주가 ‘半독립적 복속세력’들이었고, 이런 형태의 지방세력들이 다수 존재하는 지배구조가 나중에 오랫동안 고구려 國王을 황제와 같은 위상으로 여러 半독립적 세력을 거느린 것처럼 스스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경향은 집권화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4세기 이후 다양한 형태로 명맥을 유지했다. 이 오랜 축적된 경험이 기초가 되어 5세기 중국의 황제적 위상에 도달한 ‘王客秩序’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들이 곧 5세기 고구려 金石文에 보이는 천하관의 주요 형성배경이었던 것이다.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의 발전방안

        윤상열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자치단체조합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자치단체조합은 둘 이상의 지방자치단체의 관할구역에 걸쳐 서 공동적 내지 통일적으로 수행되는 광역행정의 한 유형이며, 급변 하는 세계경제의 흐름 속에 오늘날 지방행정수요는 기존의 고정된 자 치구역을 넘어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기존의 좁은 구역을 관할하 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상호 협력하여 수요에 대응하기 때문에 발생한 다. 이러한 광역행정의 한 유형인 자치단체조합형식으로 운영되는 부 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은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에 의하여 지정되는 일정한 지역으로서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영환경 과 외국인 생활여건 개선을 위해 예외적인 조치를 허용하는 경제특별 구역이다. 90년대 이후 중국 경제의 급속한 부상, 일본경제의 기술적 우위 사이에서 한국경제의 새로운 활력을 찾기 위하여 마련된 정부의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방안’의 핵심 프로젝트로 출발하였다.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공항․항만, 지리적 이점을 갖춘 이 지역에 물류 인프라 확충, 첨단산업단지 조성, 외국인 비즈니스 환경 개선 등 을 추진함으로써 국가경쟁력 강화와 지역 간의 균형발전을 목표로 하 고 있다. 이러한 시대변화에 따라 개청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은 지방자 치단체의 하나 또는 이상의 사무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관계 지방자치단체인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합의로 설립된 지방자치단체조합의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범위 규정이 모호한 실정이며, 경제자유구역과 광역행정에 대한 상관 관계적 의미 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진 경제자유구 역의 광역행정 범위에 대한 개념과 범위규정은 물론, 부산․진해경제자 유구역의 광역행정에 대한 역할에 관한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특히,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실태로서 참여정부 시절 ‘지방자치 법’ 과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법률안 입법예고를 통해 논의된 경제자유구역의 특별지방자치단체로의 전환 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활성화 방안이 될 수 있는 지를 논의 해 보아야 하며,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특별지방자치단체로의 전환 반대논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이 급변하는 세계경제의 흐름 속에서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가 요구하고 갈망하는 바람직한 광역행정의 역 할에 대해 알아보고, 대한민국의 2대 경제축에 해당하는 동남권에 새 로운 신성장 동력 및 신산업거점지역을 확보 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현 부산․진해경자유구역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바람직한 광역행정 의 한 예로 도출될 수 있는지의 행정적 함의를 구해보고 그 발전방안 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 Comprehensive methods of concentration and 3D flow field measurement for single/two phase micro total analysis system

        윤상열 부산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마이크로통합분석시스템(Micro Total Analysis System) 내부의 유동현상측정을 위한 기술 개발이 목적이며 다음과 같이 크게 세가지 기술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마이크로 레이저형광여기법(Micro-LIF)에 의한 농도장 측정기술, 둘째 마이크로채널 내부의 섞이지 않는 두 액체, 즉 2상 유체 내/외부 유동장 동시측정 기술, 세째 미세유체소자 내부의 3차원 입자의 위치추적 및 속도장 측정기술로 분류된다. 이러한 측정기법들은 미세유체소자 내부 유동의 측정에 있어 중요한 과제이며 현재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으나 명확한 해법이 나오지 않고 있었다. 최근 마이크로통합분석시스템은 경제적인 파급효과, 인간 삶의 개선 등의 이유로 바이오, 화학 분야의 응용에 집중되고 있으며, 대부분 유체유동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로의 집중으로 인해 마이크로 통합분석시스템들은 분석대상(혈액, 세포 등)의 이송, 혼합, 화학반응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미세유체소자들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마이크로통합분석시스템의 개발과 개선 등을 위해 미세유체유동의 측정 및 분석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어왔다. 이러한 측정의 내용은 크게 스칼라(농도, 온도 등) 장의 측정, 벡터장의 측정으로 나뉠 수 있으며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측정 대상의 미세한 크기에 의한 접근성의 한계, 고배율의 미세광학계의 특징인 낮은 광량의 한계에 의해 미세유체 내부의 스칼라량의 측정을 위한 계측기법은 아직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았으며, 미세 입자영상유속계(Micro-PIV)에 의한 벡터장의 측정은 2차원 속도장의 측정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앞서 기술한 측정기법들을 개발하고자 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마이크로 레이저형광여기법의 개발을 위해 레이저를 기존의 채널 전체에 조사하는 방식과는 달리 미세유체소자 내부에 약 5마이크로미터 두께를 가지는 레이저평면빔을 조사하여 고정밀의 농도장 측정이 가능한 레이저형광여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용매특성(Solvent Effect)을 이용한 혼합용매의 이용으로 현미경의 측정에 나타나는 상대적으로 낮은 형광특성을 개선하였다. 비선형 필터링의 적용과 경계면의 추적, 측정영역의 분할을 이용한 2상유체유동 측정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로부터 많은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섞이지 않는 두 용액을 이용한 마이크로 Droplet의 형성과 이동과정 동안의 두 유체의 속도장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두 용액의 경계면과 각각의 내부에서의 운동량전달, 혼합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측정기법의 개발을 위해 비선형 필터링을 통한 경계면 추적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두 유체의 영역을 분할하여 독립적인 속도장 추출과 분석이 가능토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3차원 입자의 추적과 속도장 추출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마이크로 Backward facing step 채널내부의 3차원 속도장 측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3차원 입자추적과 속도장 측정은 Defocusing 개념의 도입에 의해 가능했으며, 본 연구에서는 Calibration에 기반한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기술에 의해 현재까지 확인되지 못하고,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3차원성을 가진 마이크로 유동의 현상과 분석 등을 위한 기반기술이 확보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세가지 측정기술, 즉 바이오/화학분야와 관련한 미세분석시스템 내부의 농도측정을 위한 미세 레이저형광여기법, 2상 유동 측정기술, 마이크로 유동의 3차원 측정기법에 관해 서술하고 있다.

      • 피하진균증에 대한 임상 및 원인균주 분석

        윤상열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sporotrichosis in Korean dermatological literature. However, a few studies have reported on subcutaneous mycoses except sporotrichosis.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etiological analysis of subcutaneous mycoses. Methods : In the 20-year-period 1996-2015, we reviewed seventeen patients with subcutaneous mycoses were evaluated in regard to the age, gender, occupation, trauma history and associated diseases. The patients with subcutaneous mycoses were further assessed concerning the clinical manifestations, histopathology, culture of organisms and treatment. Results : Age distribution was most prevalent in sixties(35.2%).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8. Most patients were agricultural workers(52.8%), although preceding trauma was noted in seven patients(41.2%). The most common skin lesion was erythematous plaque(58.7%), followed by abscess, ulcer, papule and nodule.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area was upper extremities(58.8%), followed by face, lower extremities. Hyalohyphomycosis was the most common infection in 6 cases (35.2%), followed by sporotrichosis 5 cases(29.4%), chromoblastomycosis 4 cases(23.5%), phaeohyphomycosis 2 cases(11.8%). Sporothrix species was most common etiological agent(29.4%), followed by Fonsecaea species(23.5%), Scedosporium species(17.6%), Exophiala species(11.8%), Fusarium species, Paecilomyces species, and Cephalotheca species(5.9%, respectively). The most of patients responed well to therapy. Conclusion : Because of the increase in subcutaneous mycoses except sporotrichosis, we suggest the need of a careful mycological examination in patients with subcutaneous mycoses.

      • 비철금속 산업의 공급사슬관리(SCM) 성공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윤상열 建國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영문초록 : Recently,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enterprise is getting more important resulting from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Many enterprises are getting more efficient by integrating their interior infra. To integrate their interior infra, they accepted the new technology that is called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so they could form the foundation to utilize their interior infra efficiently. After implementing the ERP, many enterprises perceive the importance of connecting with subcontractors and customer. It means that their interest is broadened from the interior to the exterior. So new concept has been introduced, like the Supply Chain Management (SCM). The SCM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trade press and academic attention by practitioners and academics alike for over two decades. The SCM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es and techniques involved in managing the flow of supplies through the network of organizations involved in getting goods and services from original raw material producers to end consumers and, thus, individual members of a supply chain help each other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upply chain, which should improve competitiveness for all supply chain members. The SCM offers an integrated philosophy for managing organizations' purchasing and distribution processes based on a marketing perspectives.The previous research indicated that the supply chains must evolve according to dependent industri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s the key success factors for a successful implementation. A decision process is a multi-criteria problem which involves the determination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actors so as to decide successful factors for the SCM of Nonferrous Metal Industries (NMI). In order to decide the successful factors it is necessary to make a trade off between these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some of which may conflict.Discoveries from the research were derived by applying appropriate survey methods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n order to open the myth on what essentials are critical for the SCM implementation of NMI, a large-scal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gether with expert interviews in 2006. The AHP is a decision-making method for ranking alternatives courses of action when multiple criteria must be considered. Owing to subjective human judgement in determin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ose decision factors, a method called the chain of interac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dynamic nature of the supply chain management. Focusing on the goodwill of the AHP, an interactive decision model is suggested to systemize the earlier steps, such as the formation of determination of categories and criteria,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AHP with the help of multi-criterion decision making software called the Expert Choi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cide what factors influence on implementing the successful SCM of NMI.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modified methods for strategic executions of the SCM are illustrated from the analysis of examples of prevailing implementations of the SCM in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The analysis of the SCM successes indicates four categories and criteria: organizational character (top management sponsorship,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trategy and education & training), strategic alliances (trust, partnership, win-win relationship and development of an index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nformation management (communic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planning & control (collaborative planning, integration of demand and supply planning, supply stability and integration solution).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In implementing the successful SCM of NMI,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a win-win relationship. Ideally, all members of a supply chain should share the benefits equally but members with monopoly power may obtain most of the benefits. Under intense competitions, savings may flow through to customers. Thus companies who gain most benefits give their trading partners incentives in various forms such as lower wholesale prices, flexible payment terms, etc. The second factor is a trust. A successful supply chain performance is based on a high level of trust among supply chain partners. An effective supply chain planning based on shared information and trust among partners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the successful supply chain management. If information is available but cannot be shared by the partners, its value degrades exponentially. The biggest stumbling block to success of strategic alliance formation is the lack of trust and subsequently trust is perceived as a cornerstone of the strategic partnership. One study reported that one-third of strategic alliances failed due to a lack of trust among trading partners.A collaborative planning is the third factor. Intensified competition is no longer between individual companies, but between supply chains, Companies must broaden their area of analysis and decision marking to encompass not single business units but whole supply chains. Managing the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of three flows (material, information and finance) within and across companies is essential to achieving effective supply chain management.The last factor is a partnership. Within a supply chain partnership, traditional competitive barriers between supply chain members are mitigated to create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thus leading to increased information flows, reduced uncertainty, and a more profitable supply chain.Key words : Supply Chain Management, Analytic Hierarchy Process, Nonferrous Metal Industries, Successful Factor, Win-Win Relationship, Trust, Collaborative Planning, Partn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