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여성의 뷰티코스메틱푸드에 대한 인식과 만족에 관한 연구

        윤나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동안 및 안티에이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외모가 그 사람을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이 되면서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기능성 화장품이 대거 출시되고 있으며 동안피부가 식습관과 연관 있다고 알려지면서 ‘식이’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신체의 건강함이 피부의 아름다움으로 표출된다.”라는 의미로서 ‘이너 뷰티(Inner Beauty)’ 라는 새로운 단어가 생겨났으며 신체의 건강유지와 질병,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는 건강 지향적 식품에 대한 소비자 요구 또한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스쿠알렌, 콜라겐, 스피루리나, 유산균, 비타민 등의 뷰티코스메틱푸드가 피부에 미치는 다양한 미용적인 측면을 바탕으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뷰티코스메틱푸드에 대한 인식과 만족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 구성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는 총 254부를 회수하여 최종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피부고민 원인으로는 뷰티코스메틱푸드 미섭취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면역 기능저하, 과도한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손상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뷰티코스메틱푸드 섭취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였다. 피부고민 해결방법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뷰티코스메틱푸드 섭취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능성화장품 사용, 운동, 피부관리실 이용, 피부과 치료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뷰티코스메틱푸드 섭취를 통해 해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뷰티코스메틱푸드 인식에 관한 것으로 인지경로는 잡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방문판매, 인터넷, TV광고, 신문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잡지나 방문판매를 통해서 알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섭취 시 기대하는 피부미용 효과에 대한 인식으로는 피부재생이 가장 높았다. 적당한 가격대에 관한 인식으로는 5-10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입기준에 대한 인식으로는 효능이 가장 높았고 가격, 상표, 권유, 제형 순으로 구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구입장소에 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쇼핑몰이 가장 높았으며, 구입장소 선택기준을 분석한 결과 신뢰할 수 있음이 가장 높았다. 또한 분석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40-50대의 경우 60대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섭취 후 효과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고졸이하, 2년제 졸업에 비해 4년제 졸업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뷰티코스메틱푸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코스메틱푸드 만족에 관한 것으로 섭취 후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피부재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름개선, 탄력강화, 트러블개선, 미백개선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피부재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바르는 화장품과 뷰티코스메틱푸드를 병행하는 이유를 분석한 결과 건강한 인체가 피부도 건강하게 해주는 거 같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라서 성분을 흡수하는 것보다 먹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 같아서가 다음으로 높았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에 관심이 많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인식 및 만족 조사를 통해 식품으로 섭취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하고 피부미용에 효과적인 뷰티코스메틱푸드의 중요성을 알리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충실한 진행과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주제어 : 뷰티코스메틱푸드, 인식, 만족

      • TESOL 자격증 과정에 대한 수강생의 인식 실태조사

        윤나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students' perception on TESOL Certificate Program such as their basic personal information, motivation, general perception on TESOL Certificate program, and satisfaction on their present learning process in TESOL Certificate program. For this study, 120 students of six TESOL educational institute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asking their perception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frequency of English use in their teaching area is not high and they feel the using English is not comfortable. They also experienced the needs of learning methodology in teaching English, especially, speaking and pronunciation skill. Relating to this, another result shows they think their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will be most improved through TESOL program. Therefore, it reveals that TESOL Certificate program will be able to meet their needs by completing their lack. Second, higher ranks of their motivations are getting a certificate of international English teacher and getting credits, learning linguistic knowledge including English education theories, general developing 4 skills of English language, and getting evaluation and correction about their teaching style. They also distinct TESOL Certificate program with other education program in that 'learning practical teaching methodology of English' and 'English lecture by English native speaker professors with relevant academic degree. These show the learners want to learn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English education. Third, many learners usually didn't have any experience on program for English teachers as well as opportunity to be evaluated by English education experts before TESOL Certificate program. But, they regard 'reflecting teaching style' and 'having lots of teaching methodology knowledge' as the most essential property of English teacher. It means that they think learning English educational theories and applying them into real situation as important qualifications. Relating to this, another result shows that the learners think the TESOL Certificate program will be effective in real teaching situation by helping them to design and perform their class with various teaching methodologies, to perform all-English class through Microteaching and English lecture in TESOL Certificate program(22.5%). Therefore, the Microteaching experience in TESOL Certificate program is appropriate to their needs. Forth, the satisfaction of six TESOL Program institutes averagely resulted 3.72 point. It means they satisfy present TESOL program. However, 50% of students think the period of TESOL Certificate program is short. And 45.8% of learners have somewhat psychological pressure on an amount of assignment. 14.2% feel uncomfortable in doing much groupwork. Even though the groupwork is a famous and effective educational principle to increase personal utterance, some learners want to do tasks individually. Therefore, it suggests that TESOL educational institutes should make their processing components improved by considering students' needs and uncomfortable factors. 본 연구는 국제 영어교사 양성 과정인 TESOL 자격증 과정에 대하여 현재 그 과정에서 체험하고 있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TESOL 과정에 대한 기대 및 동기, TESOL 과정에 대한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인식, 과정이 진행되며 학습하고 있는 TESOL 자격증 과정의 교육 구성요소와 학습 목표의 성취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그 과정의 진행 속에 있는 수강 수요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영어교육을 담당할 영어교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그들의 교육관에도 영향을 주어 미래의 영어교육의 교수 현장에서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그것에 대한 조사는 유의미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6개의 TESOL 자격증 과정 교육기관에서 학습 중인 수강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TESOL 자격증 과정에 대한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결과 및 관련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자신의 영어교수 상황에서 영어의 사용빈도가 높지 않으며, 사용하는 자신의 영어능력에 대해서도 대체로 부담스럽게 인식하거나 약간의 자신감을 갖고 있었다. 그들은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지도 영역에 대하여 ‘말하기 및 발음’ 영역을 가장 많이 답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TESOL 자격증 과정을 통해 가장 많이 향상될 것으로 여겨지는 본인의 언어기능에 대하여 ‘말하기’와 ‘듣기’가 높게 나타나, TESOL 자격증 과정이 활발한 구어 의사소통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어 그들의 부족함과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둘째, 응답자들은 수강 동기로서 ‘국제 영어교사 자격증 및 학점 취득’을 가장 많이 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영어교육학 이론을 포함한 언어학적 지식’, ‘전반적인 영어의 4기능 발달’, ‘영어교수에 대한 평가 및 교정’순으로 상위 답변 비율을 보였다. 이것은 그들이 TESOL 자격증 과정을 다른 교육 프로그램과 차별되는 점으로 인식하는 점으로써 ‘실용적인 영어교수법 획득’과 ‘관련학위의 원어민 교수에 의한 100% 원어강의’가 높은 비율을 보인 것과 함께 연관하여 응답자들이 TESOL 자격증 과정을 통해 영어교육의 보다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학습하는 것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어교육에 종사하고 있는 응답자들은 영어 교사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이 적으며, 또한 자신의 교수 스타일을 평가받는 경험은 더욱 적고, 그 종류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영어교사가 갖추어야 할 우선의 자질에 대해 그들은 ‘자신의 교수 스타일을 파악하고 점검하는 것’과 ’풍부한 교수법 지식‘으로 답하여 교수법에 관한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TESOL 자격증 과정을 통해 실제 교수 현장에서 가장 큰 효과를 받을 것으로 여겨지는 수강생 본인의 영어교수 영역에 대해서 그들은 ‘다양한 영어교수법의 지식을 토대로 수업을 다양하게 설계하고 진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티칭 발표와 원어수업을 토대로 자신의 원어 수업을 익숙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제2언어 습득이론 및 언어학적 지식을 통해 학습자의 발달단계를 이해할 수 있다.’등의 항목에 높은 비율의 응답을 보여 TESOL 자격증 과정에서 실제 적용해 볼 수 있는 교과 학습의 경험이 효과를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TESOL 자격증 과정이 그들의 요구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관별 TESOL 자격증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 정도는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TESOL 자격증 과정의 기간에 대해서 응답자의 긍.부정의 대답은 절반씩 나타났으며, 부적절하다고 느끼는 경우의 거의 대다수가 6개월 이상의 교육기간을 원하여 현재 프로그램의 교육기간이 ‘짧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중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서 ‘과제의 양’이 가장 높아 과제에 대하여 심리적 부담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집단 위주의 활동’을 어려움의 요인으로 생각하는 응답자들도 존재하였다. 특히, 그들은 개인의 계획을 자유롭게 발휘하는데 제한을 주는 소집단 활동의 면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TESOL 자격증 과정의 효과 및 요구 충족 정도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 TESOL 자격증 과정 교육기관의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 백제문화권의 문화생태탐방로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윤나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interests in travel, culture, and health increases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experience activities regarding historical cultural ruins and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s are increasing. There are also some changes in transporting methods for the travels which is specially focused on historical cultural ruins and th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s. As the result, traveling surrounding sceneries are performed through moving by bicycles or on foot, not by riding cars. The walking travel which helps exhausted people to have relaxations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terms of leisure activities, self-reflection, contact with nature, and health care. And also it became a good way to experience local culture and history. Though a lot of excellent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and natural culture resources are distributed in the Baekje cultural area which i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however its value was not evaluated properly from visiting tourists by the reason of insufficient utilizations and developments.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ourists’ desire, activate stagnated local economy, and guarantee the competitiveness of tourism industry, first, the strengths and weakness of Baekje cultural area shall be investigated through in-depth evaluations regarding the value of Baekje cultural area’s tourism resources in the position of actual demander, tourists. And then, some strategic implications to attract tourists in the future shall be groped. Therefore, this paper consists of several contents; cultural resources distributed in Baekje cultural area, developments and preserv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with holding the value of tourism resources, and the developing plans for walking travel and accordingly sight-seeing trails in Baekje cultural area with the purpose of effective developments of tourism resources.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look forward to activating stagnated local economy and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ourism industry in Baekje cultural area, through developing ‘Cultural Ecology Trail’ which utilized excellent local cultural resources in Baekje cultural area and satisfying tourists’ demand with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stable management.

      •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나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측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길이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 향은 어떠한가? 2-2.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무게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 향은 어떠한가? 2-3.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면적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 향은 어떠한가? 2-4.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부피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 향은 어떠한가? 2-5.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시간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 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36명(남: 18명, 여: 18명)으로서 실험집단 18명(남: 9명, 여: 9명), 통제집단 18명(남: 9명, 여: 9명)이다. 실험처치는 2013년 6월 24일부터 2013년 8월 23일까지 8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수학적 태도 검사도구’와 ‘측정능력 검사도구’이다. 수학적 태도 검사 도구는 Harter와 Pike(1984)의 유아용 자기 존중감 척도를 Ward(1993)가 수정․보완하고 황정숙(1996)이 번안하여 재수정한 도구이다. 측정능력 검사 도구는 홍혜경, 이정욱과 정정희(2006)가 개발한 유아수학능력검사도구 중 측정영역에 대한 부분이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사후검사 점수에서 사전검사 점수를 뺀 증가분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수학적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둘째,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측정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길이 측정능력(p< .05), 무게 측정능력(p< .05), 면적 측정능력(p< .05), 부피 측정능력(p< .05), 시간 측정능력(p< .0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측정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측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 A. Schumann Fantasy piece op.73에 관한 분석 및 연구

        윤나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회에서 연주했던 프로그램 중에서 Robert Alexander Schumann의 Fantasy Pieces op.73을 연구한 것이다. <Fantasy Pieces Op.73>은 모두 세 악장으로 이루어져있지만 전체가 마치 한 곡처럼 느껴지는 통일성과 연결성이 특징이다. 또한, 이 작품은 기교적이기보다는 서정적 정서가 부각되는 선율진행이 돋보이는 슈만의 독창적인 낭만주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19세기 시대적 배경, 낭만주의 음악의 특성을 살펴보고 각 악장들의 형식구조, 선율구조, 화성, 리듬 등 음악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슈만 음악의 특성을 연구하여 보다 좋은 연주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태양광 모듈의 구조디자인과 설치각도에 따른 출력예측

        윤나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모듈의 설치각도 및 구조디자인 요소 중 태양전지간의 간격에 따른 출력을 예측하고 실제 모듈을 제작하여 제시한 모델을 검증하였다. 태양전지에 도달하는 빛의 강도는 태양광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재료의 물성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본 논문에서는 유리와 EVA, 태양전지, Backsheet의 굴절률과 두께 및 흡수계수를 이론적 출력 예측 식에 사용하였다. 또한 모듈의 입사하는 빛의 각도(0~90도)와 태양전지간의 간격(5, 10, 15[mm])을 변수로 두어 출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태양전지에 바로 도달하는 빛과 Backsheet에 반사되어 도달하는 빛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유리와 EVA를 통해 태양전지로 바로 들어오는 빛은 초기 값 대비 82.5[%]의 비율로 들어온다는 이론적 결과는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하여 실험한 이론값과 2.26[%]의 오차율을 가진다. 또한 Backsheet에 반사되어 도달하는 빛은 초기 값 1 대비 0.255~4.715[%]가 되는 것을 보였고, 태양전지간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Backsheet에 반사되어 추가되는 빛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 태양광 모듈을 제작하여 이론적 예측과 비교하였고 빛의 입사각도 변화에 따른 흡수계수의 변화를 고려한 결과 평균 6.214[%]의 오차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 태양광 모듈이 외부에 설치될 때 모듈의 구성 재료와 설치각도 및 구조디자인을 고려한 출력을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향토민요 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윤나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향토민요는 민중의 소리와 정서를 대변하는 대표적 음악의 갈래로 문화적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이자 음악적 모국어이다. 이러한 음악적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성과 지역적 전통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의 향토민요 교육은 우리 음악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하는 중요한 바탕이 될 것이다.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국악과 관련한 세부적인 내용이 축소되었고 보다 일반적이고 보편화된 국악 내용을 다루려는 경향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에 수록된 향토민요의 비중과 교과서에 수록된 향토민요 제재곡을 지역별, 장단별, 기능별, 학습 활동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4종 음악 교과서의 향토민요 수록 비율은 16.5%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교과서가 향토민요에 비해 통속민요를 더 많이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토민요 제재곡의 지역별과 장단별 비중을 살펴보면 각각 남도민요와 자진모리장단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기능별 비중에서는 유희요와 노동요가 비슷하게 수록된 것에 비하여 의식요의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 분석결과에서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가창중심의 학습활동이 두드러져 향토민요 학습활동의 다양한 접근과 시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위 연구를 바탕으로 교과서에서 수록된 향토민요 가운데 노동요 <치기나칭칭>을 제재곡으로 선정하여 3차시의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장단의 변화와 형식이 뚜렷하고, 단순하고 반복적인 가락으로 학습의 부담이 적어 향토민요의 쉬운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차시에서는 민요의 개념과 특징 등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향토민요와 함께 통속민요 <쾌지나 칭칭 나네>를 활용하였다. 2차시에서는 장단과 민요를 불러본 후 메기는 형식 부분의 가사를 바꾸어 불러보는 활동을 통해 민요의 형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3차시에서는 1, 2차시에 배운 내용을 토대로 메나리토리를 활용하여 가락 짓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09·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음악 교과서의 다양한 향토민요 제재곡 수록과 학습활동 및 지도안 개발을 통해 향토민요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고 우리 음악을 보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공학설계 강의에서 활용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측정

        윤나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의 산업현장은 공과대학 졸업생들에게는 단순히 공학 전문지식을 넘어 새롭게 발생하는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부가적인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공과대학 졸업생들이 현장업무에서 이러한 문제해결력의 부족함으로 인해 많은 질타를 받고 있으므로 대학의 공학교육은 변화의 필요성을 깊이 인지하고 그 해결방안을 찾고 있다(송동주, 2003; 정동명, 2008). 이에 전국의 공과대학은 한국교육공학인증원에서 시행하는 공학인증을 도입하여 공학교육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공학 분야의 모든 수업에서도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공학교육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공학설계’ 교과는 주어진 상황에서 의뢰인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지식과 능력을 활용하여 최선의 해결책을 고안하는 교과이므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활용이 한 가지 방안으로 권장되고 있다(신민희, 2009; 장용철, 2010; ABET, 2008).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으로 복잡하고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문제해결력을 습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의되고 있다(조연순, 2006; Tan, 2007). 이에 학습자가 자신의 사고과정을 인식하여 스스로 학습을 계획, 수행, 점검, 평가하는 메타인지와 학습자가 성공적인 학습 성취를 이루어낼 수 있다고 믿는 자기 신념인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습에 대한 몰입은 비구조적인 문제해결에 필수요소로 문제해결학습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인이라 할 수 있다(한지영, 이은화, 2009; Anderson & Nashon, 2007). 본 연구에서는 공학설계 강의에서 활용된 문제중심학습은 효과가 있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상정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공학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결정과 만약 활용한다면 어떠한 변인에 중점을 두고 강의를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지침을 얻고자 한다. 연구문제 1. 문제중심학습으로 진행된 강의에서 학습자의 사전, 사후 문제해결력은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 문제중심학습으로 진행된 강의에서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문제해결력에 대한 예측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문제중심학습으로 진행된 강의에서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력을 예측할 때에 학습몰입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H 대학교에서 문제중심학습 기반 공학설계 강의인 ‘창의적 공학설계’를 수강하는 112명이었으며 과제는 2011년 9월 1일에서 10월 5일까지 5주 동안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는 문제중심학습 과제,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메타인지 검사도구, 자기효능감 검사도구, 학습몰입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종속표본 t 검정,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 기반 공학설계 강의는 학습자의 사전, 사후 문제해결력에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사전 문제해결력의 평균은 3.34, 표준편차는 .31(M= 3.34, SD= .31)이며, 사후 문제해결력의 평균은 3.45, 표준편차는 .33(M= 3.45, SD= .33)으로 학생들의 사전 문제해결력과 사후 문제해결력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 =3.46, p < .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사전 문제해결력보다 사후 문제해결력의 평균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문제중심학습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은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며, 이 세 변인들이 문제해결력 변화량의 37.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 = 21.427, R²= .373, p < .05). 또한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메타인지(β = .348, p < .05), 자기효능감(β =.286, p < .05), 학습몰입(β = .213, p < .05) 순으로 문제해결력을 설명하는 정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문제중심학습 기반 공학설계 강의에서 메타인지가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몰입은 매개역할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메타인지는 문제해결력을 유의하게 예측하고(β = .451, p < .05), 학습몰입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β = .253, p < .05). 또한 메타인지와 학습몰입이 모두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매개변인인 학습몰입이 문제해결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β = .333, p < .05), 메타인지가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몰입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습몰입이 추가적으로 투입되었을 때 문제해결력에 관한 설명력은 30.7%(R² = .307)로, 메타인지만 투입되었을 때의 문제해결력에 관한 설명력보다 10.4% 증가하였다. 즉, 메타인지가 높을 때 학습자는 더욱 학습에 몰입하게 되며 이것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경향성을 강하게 하므로, 문제해결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한편, 문제중심학습 기반 공학설계 강의에서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는 데 있어 학습몰입은 매개역할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문제해결력을 유의하게 예측하고(β = .439, p < .05), 학습몰입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β = .436, p < .05). 또한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이 모두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매개변인인 학습몰입이 문제해결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β = .289, p < .05),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몰입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습몰입이 추가적으로 투입되었을 때 문제해결력에 관한 설명력은 26%로(R² = .26), 자기효능감만 투입되었을 때의 문제해결력에 관한 설명력보다 6.7% 증가하였다. 즉 메타인지와 마찬가지로 자기효능감이 높을 때 학습자의 몰입이 심화되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경향성을 강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제해결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습몰입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으로 진행된 공학설계 강의가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이라 판단하고 이때 학습자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순으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력을 예측하였다. 또한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문제해결력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는 데 있어 학습몰입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문제중심학습 기반 공학설계 강의에서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함양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스스로의 지식을 활용하고, 문제를 끈기 있게 지속하여 학습몰입을 할 수 있게끔 하는 전략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제한점과 이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공학설계 강의에서 문제중심학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므로, 이를 다양한 대상과 설계교과에서 활용하여 교육교육의 혁신에 문제중심학습이라는 학습방법을 사용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문제중심학습 기반 공학설계 강의를 운영할 때에는 학습자들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여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력 함양을 도울 수 있는 수업을 운영전략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문제중심학습 기반 공학설계 강의의 세부적인 학습효과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활용하였던 양적연구와 더불어 관찰, 면담을 활용한 질적연구의 병행을 제안한다. In the industrial sites of the diversified,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are expected to be equipped not only with engineering knowledge, but also with additional skills for handling newly occurring problematic situations. However,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are still being criticized for the lack of problem solving ability in managing duties at the site, thus deepening the perceived necessity for making changes in 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and activating the search for a solution to the relevant problem. Hereupon, engineering colleges nationwide have introduced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implemented by the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to make changes in engineering education. Also,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being researched to foster problem solving ability in all courses in the engineering field. In particular, the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which i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course in the field of engineering education, is a course for devising optimal solutions by using the knowledge and abilities of learners in order to fulfill the requirements of clients in given situations. The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s recommended as a method that can be used in this curriculum.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defined as a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by which the learner can acquire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process of solving actual, complex problems(Cho, 2006; Tan, 2007). Thus, the cor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esults of problem solving learning are as follows: meta-cognition, a concept in which the learner perceives one's thinking process to independently plan, carry out, inspect, and evaluate learning, self-efficacy, the self-belief of the learner in accomplishing successful learning achievements, and learning flow, the essential element in non-structural problem solving (Han, , Lee, 2009; Anderson & Nashon, 2007). This study presumed the following 3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in engineering design course. Also, this study used the analysis results to decide whether to apply PBL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to gain guidelines on which variables must be emphasized in the course during application of PBL.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answ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learner before and after taking a PBL course? 2. What is the prediction for problem solving ability by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in PBL course? 3. Does learning flow take the mediating role during the prediction of problem solving ability by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in PBL cour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12 students taking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 PBL engineering design course at H Universit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5 weeks from September 1 to October 5, 2011. PBL task,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tool, meta-cognition test tool, self-efficacy test-tool, learning flow test tool were used as research tools. Dependent sample t -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collected data.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PBL engineering design course presented difference i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learner before and after taking the relevant course.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learners before taking the course presented a mean of 3.34 and a standard deviation of .31(M= 3.34, SD= .31), whereas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learners after taking the course presented a mean of 3.45 and a standard deviation of .33(M= 3.45, SD= .33), thus presenting difference i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learner before and after taking the relevant course(t =3.46, p < .05).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learners had increased in average after taking the course. These results imply the positiv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Second, this study presented that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predict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at these 3 variables explain 37.3% of changes in problem solving ability (F = 21.427, R²= .373, p < .05). Furthermore, in predicting problem solving ability, these 3 variables explaine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following order: meta-cognition (β = .348, p < .05), self-efficacy (β =.286, p < .05), and learning flow (β = .213, p < .05). Third, learning flow took the mediating role in the prediction of problem solving ability by meta-cognition in PBL engineering design course.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meta-cognition significantly predicted problem solving ability (β = .451, p < .05) as well as learning flow (β = .253, p < .05). Furthermore, when meta-cognition and learning flow were both insert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presented that learning flow significantly predicted problem solving ability as the mediating variable (β = .333, p < .05), thus analyzing learning flow to possess mediating effect in the prediction of problem solving ability by meta-cognition. Therefore, both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must be considered to enhance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other hand, learning flow took the mediating role in the prediction of problem solving ability by self-efficacy in PBL engineering design course.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problem solving ability (β = .439, p < .05) as well as learning flow (β = .436, p < .05). Furthermore, when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were both insert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presented that learning flow significantly predicted problem solving ability as the mediating variable (β = .289, p < .05), thus analyzing learning flow to possess mediating effect in the prediction of problem solving ability by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to enhance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can be made: First, as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BL in engineering design cours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learning method of PBL in achieving educational innovation by applying PBL in various subjects and design courses. Second,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urse operation strategies that can boost the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of learners based on strategies for promoting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of learners in PBL engineering design courses. Third, to find detailed learning effects of PBL engineering design courses, this study proposes the combination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uses observation and interviews,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