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인기도가 사회적 능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유희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또래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 또래관계 안에서 사회적 측정지위로 고립아, 인기아로 구분된 인기도에 따라 유아의 개인 환경변인과 사회적 능력,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또래에게서 선택받지 못하는 고립유아의 바람직한 사회적 발달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개인 환경변인(연령 및 성별, 형제·자매 수 및 출생순위, 동거 가족, 부모의 직업, 가정종교, 부모학력)들은 인기도에 따라 차이가 있 는가? 2. 유아의 사회적 능력(활동성, 예민성, 안정성, 비협조성, 협조성, 개인적 성향, 사회적 기술, 또래관계)들은 인기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자아개념은 인기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파주시 교하 신도시에 소재한 4개 어린이집 만 4, 5세 학급의 유아 109명 중 인기도에 따라 나타난 고립아 21명, 인기아 20명과 해당유아의 어머니와 교사였다. 연구는 유아들의 인기도 측정도구로 또래지명법을 사용하여 인기도를 측정하였고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부모평정 질문지를 기관을 통해 각 가정에 배부하고 회수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교사평정 질문지는 각 반의 교사들이 작성하였다. 그리고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개인면접은 자아개념 검사였다. 수집된 자료는 고립아와 인기아의 개인 환경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통해 x² 검증을 실시하였고 부모와 교사평정 사회적 능력 검사와 자아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비교 t-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2.0으로 전산처리하였으며 유의수준 .05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개인 환경변인으로는 만 4세의 유아들이 만 5세 유아들에 비해 고립되는 경우가 많았고 성별로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고립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립유아로 둘째가 많았고, 인기유아는 첫째가 가장 많았다. 또한 고립유아의 경우 종교가 없거나 기독교인 경우가 많았고 인기아의 경우는 기독교가 과반수로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으로는 인기유아의 아버지의 학력이 고립유아보다 높게 나타났고 4년제 대졸자가 많았다. 반면 고립유아의 경우는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인 경우가 많았다. 그 외에 부모의 직업, 조부모와 부모의 동거 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부모평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활동성, 안정성, 협조성의 긍정적 부분에서 고립유아가 인기유아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예민성과 비협조성의 부정적 부분에서는 고립아나 인기아 간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부모평정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는 없었다(t=-1.078, p>.05).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교사평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유아의 개인적 성향(t=­2.407, p<.05)과 사회적 기술(t=­2.173, p<.05), 또래관계(t=­2.597, p<.05)에 있어서 고립유아가 인기유아에 비해 현저히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교사가 유아에 대해 긍정적이고 유아의 반응이 좋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높은 교사평정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의 자아개념은 인기유아가 고립유아에 비해 좀 더 높은 점수를 보이기는 했으나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t=.480, p>.05).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s children form peer relationships with others, classifying children into the isolated and the popular as social status measurement in peer relationships makes difference in children's individual environmental variables, social abilities, and concept of self,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help the isolated children, who aren't chosen by their peers, in their proper social development. With such research goals, the paper formulate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Do children's individual environmental variables (age and sex, number of siblings and one's order in birth,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parents' occupation, religion of the house, and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differ according to their popularity 2. Do children's social abilities (activeness, sensitivity, stableness, non-cooperativeness, cooperativeness, personal disposition, social skills, and peer relationships) differ according to their popularity? 3. Does children's concept of self differ according to their popularit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21 isolated, 20 popular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as popularity survey pointed them among 109 children, aged 4~5 years old in 4 nursery schools located in Gyoha new town, Paju city. As a popularity survey tool, the paper used peer naming method to measure popularity; and the paper distributed and retrieved parents' evaluation questionnaires through institutions to measure children's social abilities, and each class teacher filled out teachers' evaluation questionnaires on children's social abilities. Consequently, individual interview performed on children was an effort to examine their concept of self. Collected data were executed with x² verification through crosstabulat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in individual environmental variables between the isolated and the popular, and the paper performed independent comparison t-verification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evaluations of social abilities and the concept of self. Processing of all data was computerized with SPSS WIN 12.0, and they were verified with significance level of .05.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or children's individual environmental variables, there were more instances of isolation in children aged 4 than those aged 5, and more frequent in female than in male. There were many isolated children who were also a second child, and there were most number of popular children who were also the first child. Further, for isolated children, many didn't have religion or were Christians, and for popular children, majority of them were Christians. For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educational attainments of popular children's father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isolated children's fathers, and there were many graduates of 4-year College. On contrast, for isolated children, there were many who had mothers whose educational attainments were high school graduates. Moreover, though there was slight difference as to parents' occupations and whether the children lived with their grandpar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Second, on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parents' evaluations of their children's social abilities, though isolated children showed lower scores on positive aspects of activeness, stableness and cooperativeness than popular children, on negative aspects of sensitivity and non-cooperativeness,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isolated children and popular children. On parents' evaluation of their children's social abilities, there was no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t=-1.078, p>.05). Variables that meaningfully influence teachers' evaluations of children's social abilities were lower in isolated children in terms of individual disposition(t=­2.407, p<.05), social skills(t=­2.173, p<.05), and peer relationships(t=­2.597, p<.05) than popular children. This means that teachers gave higher evaluations on children's social skills to children who were positive and gave better responses. Third. For children's concept of self, popular children showed slightly higher scores as opposed to isolated children,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overall(t=.480, p>.05).

      • 또래집단 미술치료를 활용한 학급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유희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lass counseling program using PGAT affects th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elementary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Research 1> Does the class counseling program using PGAT increase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children? <Research 2> Does the class counseling program using PGAT increas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elementary children?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above questions, 50 fourth grade students were measured based on th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Then 26 studen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24 children were placed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1 sessions of the class counseling program using PGAT for 5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quantitative analysis using i-STATistics(Kim & Baker, 2009), opinion documents for each term, opinion documents of children after the program, and counselor's observations were used. As a result of an independent t-test, the control group’s quality was the same as the experimental group. Independent t-tests were also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post-inspection.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the class counseling program using PGA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self-esteem and its sub-factors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school-academic self-estee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the class counseling program using PGAT was significant in improv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ts sub-factors(satisfac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intimacy, sensibility, openness, inter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sults from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 children have increased positive awareness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xperienced growth in the areas of positive self-concept and edification of self-confidence, strengthening identity of life, and development of positive personal relations. 본 연구는 또래집단 미술치료 학급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또래집단 미술치료 학급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또래집단 미술치료 학급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M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척도와 대인관계감 척도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5주 동안 총 11회기의 또래집단 미술치료 학급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검사 도구를 이용한 성취도 평가와 연구자의 관찰과 소감문을 통한 반응 평가가 이루어졌다. 먼저 집단 간 사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은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집단 미술치료 학급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서 자아존중감과 그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둘째, 또래집단 미술치료 학급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서 대인관계와 그 하위요인인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이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소감문 및 관찰 내용 분석 결과, 또래집단 미술치료 학급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자기인식 및 자신감 함양,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에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에게 실시한 또래집단 미술치료 학급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를 증가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는 또래집단 미술치료 학급상담 프로그램 활동을 학년에 맞게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장기적으로 검증하는 일이 필요하다.

      •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이 내담아동 부모에 대한 역전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

        유희숙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이 내담아동 부모에 대한 역전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아동상담소, 소아정신과 내 놀이치료실, 복지관 내 상담실, 연구소, 대학부설 놀이치료실 등에서 현재 놀이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CFI(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를 장세미(1999)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내담아동 부모에 대한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감정을 측정하기 위해 FC(Feeling Checklist)를 이소연(2001)이 번안, 수정&#8228;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과 내담아동 부모에 대한 역전이 감정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과 역전이 감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역전이 관리 능력의 하위요인들이 역전이 감정의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에 따라 내담아동 부모에 대한 역전이 감정에서 차이를 보였다. 첫째, 자기통찰 수준이 높을수록 가까운 역전이 감정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합과 공감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자율적인 역전이 감정의 정도가 높았다. 셋째, 불안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따뜻한, 자율적인 역전이 감정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정적 역전이 감정은 낮은 것을 보여주었다. 넷째, 개념화기술 수준이 높을수록 자율적인 역전이 감정과 거리를 둔 역전이 감정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역전이 관리 능력의 하위요인들이 역전이 감정의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긍정적인 역전이 감정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불안관리가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인 역전이 감정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불안관리의 설명력이 가장 컸으며, 자기통찰이 그 다음이었다. 셋째, 따듯한 역전이 감정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불안관리가 나타났다. 넷째, 자율적인 역전이 감정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불안관리가 나타났다. 다섯째, 거리를 둔 역전이 감정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공감능력의 설명력이 가장 컸으며, 개념화기술이 그 다음이었다. 여섯째, 가까운 역전이 감정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자기통찰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lay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bout countertransference feeling by client children's parent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109 play therapists who are working at child counseling centers, play therapy department of child psychiatry hospitals, counseling part in the social welfare centers, play therapy center for training in the universities, and play therapy research institutes. The CFI(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 that was translated by Semi Chang(1999) was used for measuring the play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The FC(Feeling Checklist) that was translated, modified, and completed by Soyeon Lee(2001) was used for measuring the play therapist's counteretransference feeling by client children's parents. The collt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rogram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bout countertransference feeling by client children's parents. For the examin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countertransference feeling, Pearson's correlation was carried out. Also stepwise regression was conducted for survey the effect of sub-factors of countertransferece management ability about sub-factors of countertransferece fe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lay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ffects countertransference feeling by client children's parents. First, the higher self-insight ability makes the closer countertransference feeling. Second, the higher play therapists have self-integration and empathy ability, the better they feel autonomous countertransference feeling. Third, subjects who have higher anxiety-management ability feel more positive, warm and autonomous. But they have less negative countertransference feeling. Fourth, the higher conceptualizing skills ability allows the more autonomous and distant countertransference feeling. 2)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bout sub-factors of countertransference feeling is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that the anxiety-management ability affects to the positive countertransference feeling. Second, it was showed that the anxiety-management ability affects mostly to the negative countertransference feeling, and then the self-insight ability affects secondly. Third, it was showed that the anxiety-management ability affects to the warm countertransference feeling. Fourth, it was showed that the anxiety-management ability affects to the autonomous countertransference feeling. Fifth, it was showed that the empathy ability affects mostly to the distant countertransference feeling, and then the conceptualizing skills ability affects secondly. Sixth, it was showed that the self insight ability affects the close countertransference feeling.

      • CAE 해석을 이용한 벽걸이 에어컨 포장낙하충격 고장모드 예측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predicting failure mode of wall-mounted air conditioner drop impact by using CAE simulation.

        유희숙 부산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벽걸이 에어컨 제품이 낙하충격을 받을 때, 각 부품에 전달되는 내부에너지와 부품의 변형에 대한 CAE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부품에 나타날 수 있는 고장모드를 예측하는 연구이다. CAE 해석 방법은 낙하높이 1 m 조건에서, 벽걸이 에어컨 제품의 주요 부품과 EPS 포장물에 전달되는 내부에너지에 대하여 각 낙하, 모서리 낙하, 면 낙하 방향에 따라 7가지로 구분하여 LS-DYNA 해석 코드로 수행하였다. 낙하 방향에 따라 EPS 포장물은 총 에너지의 38 % ~ 85 %를 흡수하고, 특히 면 낙하충격에서는 EPS 포장물은 최대 61.7 J의 에너지를 흡수하였다. 제품에 전달되는 낙하충격 에너지는 EPS 포장의 밀도와 에어컨 제품과 EPS 포장물의 접촉 면적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EPS 재질의 밀도를 20 ㎏/㎥과 18 ㎏/㎥을 비교한 결과, 밀도가 작고, 제품과 포장물의 접촉 면적을 줄일수록 제품에 전달되는 내부에너지가 줄어들었다. 제품에 전달되는 내부에너지를 흡수한 절점(node)에서의 최대 유효 소성 변형률이 10 %이상일 때 부품에 파손이 예측되었고, 현물 검증 시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낙하충격 방향에 따라 부품의 파손 위험도에 대한 표준화 지표 도출하였다.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결혼만족도 및 완벽성향 간의 관계

        유희숙 가천대학교 ← 경원대학교 (X)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결혼만족도 및 완벽성향 간의 관계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완벽성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변인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결혼만족도 및 완벽성향 의 수준은 어떠한가? 2.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결혼만족도 및 완벽성향 간 관계는 어떠한가? 3.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대한 결혼만족도와 완벽 성향의 설명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의 국공립, 민간 보육 기관에 다니는 영유아의 어머니 280명이다.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측정하기 위해서 Van Egeren (2000)이 개발하고 Schoppe-Sullivan과 동료들(2015)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기초로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로 개발 한 조윤진, 임인혜(2016)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Snyder(1979)가 개발한 MSI(Marital Satisfaction Inven tory)에 기초하여 권정혜와 채규만(1998)과 임희수(2012)가 변환한(K-MSI)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완벽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Forst등(1990)의 다차원적 완벽성향 측정도구(MPS)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한 조복희 외(2000)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편 상관관계분석, 일원변량분석(ANOVA),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을 통해 산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문열기 역할이 문닫기 역할 보다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인 중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문닫기 역할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하위요인 중 전반적인 결혼만족이 가장 높고 문제해결 의사소통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완벽성향 하위요인 중 높은 기준 설정이 가장 높고 사회적 기대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문닫기 역할과 부적 상관관계로, 문열기 역할과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완벽성향은 문닫기 역할과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문열기 역할과는 부분적으로만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완벽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문닫기 역할과 문열기 역할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문닫기 역할에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투입하였을 때 3%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완벽성향을 추가하였더니 19%의 설명력을 보였고,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추가하였을 때 52%의 설명력을 보였다. 완벽성향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기대와 실수에 대한 두려움이 어머니의 문닫기 역할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녀양육 갈등해결과 문제해결 의사소통이 어머니의 문닫기 역할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에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투입하였을 때 3%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완벽성향을 추가하였더니 19%의 설명력을 보였고,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추가하였을 때 58%의 설명력을 보였다. 완벽성향의 하위요인 중 실수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기대는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양육성향 중 높은 기준 설정과 원 가족 경험은 문열기 역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 하위요인 중 자녀양육 갈등해결과 문제해결 의사소통이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녀양육 갈등해결을 통해 높아진 부부 간 결혼만족도가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유의미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부모교육의 내용과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제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결혼만족도, 완벽성향 (6개 이내)

      • 대중매체를 활용한 음악학습 동기유발 및 학습전개 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유희숙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Study on Method of Learning Development and Motivation of Music Learning By Using Mass Media -Around the Junior High School Course- Yu, Hee Suk Major in Music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In current society, the transition of meaning for music as well as the education of music in school in the direction of accepting the change and demand of society is need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echnology. This transition is being reflected through the method in which the music activity inside the school can be the meaningful activity even in the actual lives of students outside the school in the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in 2007 Thus, from the observation of such a necessit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n adolescent period and the influence of vidual media often contacted by them, and investigates the method of efficient learning development by using the visual media. The contents of study are as follow: First, TV is the most accessible visual media for juveniles in these days, and the visual media has much effect on them, which is found from the tendency that they are likely to imitate all features of stars shown on visual media. Since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class using the visual media, materials are extracted from the subjects which students have interests in, it may draw the student's concern. And it also has the meaning in the practical aspect of music due to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lives. Second, in the revised music and education course of 2007, the fields of 'activiting', 'understanding', 'practicising', 'teaching/guiding method' suggest the possible application of visual media, specially teaching/learning method has the item : 'make the best use of various materials of digital media and traditional media such as photograph, film.', so it seems to directly encourage the use of visual media in music class. Third, In order to apply visual media in music instruction, visual records used in class and music materials used in movies, TV dramas, TV advertisements were divided into Korean classical music and western music. Fourth, By abstracting some items used in junior high school from the contents system of education course and revised music of 2007, in the music instruction focused on these items, application of visual media was suggested in the aspects of motivation, appreciation, concept guidance, creation. n the music instruction, visual media can be applied in several methods according to the learning subjects, and the influence of application can be extended to not only music field, but also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art. And also it can motivate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and effects to stimulate the creativity can be expected too. 국 문 요 약 영상매체를 활용한 음악 학습 동기 유발 및 학습전개 방안에 관한 연구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유 희 숙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 지도교수 정 진 원 ) 현대사회는 산업과 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음악에 대한 의미의 변화와 더불어 학교에서의 음악교육도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수용하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학교에서의 음악 활동을 학교 밖의 실제 학생들의 생활과 삶의 과정에서 의미 있는 활동이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착안하여, 청소년기의 특성과 그들이 자주 접하는 영상매체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 영상매체를 활용한 효과적인 수업전개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영상매체는 TV이며, 영상매체 속에 나오는 스타의 모든 것을 따라하려는 성향으로 드러나는 것처럼 청소년에게 있어서 영상매체는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영상매체를 활용한 수업의 교육적 가치는 학생들이 관심 있어 하는 것으로부터 소재를 가지고 온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고, 자신들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생활 속에서의 음악이라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에서는 ‘활동’, ‘이해’, ‘생활화’, ‘교수·지도 방법’영역에서 영상매체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특히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사진, 영상과 같은 전통적 매체와 디지털 미디어 등의 다양한 자료를 최대한 활용 한다 ’의 항목을 두어 직접적으로 음악 수업에서 영상매체를 사용 할 것을 장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악지도에서의 영상매체 활용을 위해 수업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물 영화, TV 드라마, TV 광고에서 사용된 음악소재를 국악과 서양 음악으로 나누어 분류 하였다. 넷째,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에서 중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항목들을 추출하였고, 그에 초점을 맞추어 음악지도에서 영상매체 활용을 동기부여, 감상, 개념지도, 창작하기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음악학습에서 영상매체의 활용은 학습목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단지 음악 영역 뿐 아니라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로 확장 될 수 있다. 또한 적극적인 학생의 수업참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창의력을 자극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