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女唱歌曲<編修大葉>주제의 해금3중주

        유혜정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haegeum trio, <Flower's Song> with the theme of 女唱歌曲(Yeochanggagok) 編數大葉(Pyeonsudaeyeop) was commissioned to the composer, Kim Sung-kyung for the performance of the 19th regular concert, and premiered on August 9, 2015 at the Umyeon-dang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This paper, as a subject, took the created music modernistically reinterpreted utilizing traditional music as composing elements. The created music with traditional music as composing elements is considered essential and very important work in view of creative succession of traditional music.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be utilized by the performers i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music as well as the ones who study the composition by organiz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estern musical elements on the stave and the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systematically, and analyzing and presenting how the form and melody are compos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lody of <Flower's Song>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 of <Flower's Song> with the singing melody of '編數大葉(Pyeonsudaeyeop)' as a theme consisted of a total of 281 words and 9 paragraphs. While this song follows the traditional song form, 大餘音(Daeyeoeum)-1-2-3 chapters and 中餘音(Jungyeoeum)-4-5 chapters, chapter 3 was organized dividing into halves. the first paragraph of each chapter composited the main sound that makes up the singing melody of 編數大葉(Pyeonsudaeyeop) and presented it as the theme melody, and after the presentation of the theme melody, it leads to the playing a variation in one paragraph. The format of the overall song is as follows. It is divided into [�� chapter(大餘音, Daeyeoeum), theme melody-paragraph of the playing a variation], [�� chapter, borrowed melody theme paragraph-paragraph of the playing a variation-same melody connecting phrase], [�� chapter, borrowed melody theme paragraph-paragraph of the playing a variation-same melody connecting phrase], [��chapter, borrowed melody theme paragraph-paragraph of the playing a variation], [��chapter, borrowed melody theme paragraph-paragraph of the playing a variation], [�� chapter (中餘音, Jungyeoeum), theme melody-paragraph of the playing a variation], [�� chapter, borrowed melody theme paragraph-same melody connecting phrase], [�� chapter, borrowed melody theme paragraph-paragraph of the playing a variation-change connecting phrase], and [�� chapter, same melody connecting phrase (fine phrase)]. Among these, at the part where the theme of one clause ends, such as ��, ��, ��, and �� chapters, the connecting phrase of the same melody is placed, and this is the melodic form of �� chapter placed after �� chapter. As long as the lyrics are placed over 2 chapters of �� and ��, the melody of the same format as �� should be placed, but it immediately proceeds to �� chapter-(中餘音, Jungyeoeum), which can be seen to follow the format of 正歌(Jeongga). Second, <Flower's Song> composed the song developing into the playing a variation after placing the theme melody borrowing 編數大葉(Pyeonsudaeyeop) at the first paragraph of each chapter.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method of the playing a variation are as follows. (a) Method to extend the beat (b) Playing a variation with extension and reduction of a word by repetition of the scale sequence (c) Playing a variation by repeatedly placing the scale sequence that is less than the particular beat of a word and changing a part of it without restriction of a word (d) Playing a variation with a changing sound method by replacing the position of the sound when repeating the same melody (e) Playing a variation with changing a part of major of the melody of rhythm such as complete 4 degree or complete 5 degree and developing it into the transformation of the theme melody. It could be known that, through the 5 methods as above, the theme was developed and transformed, and the melody became in progress. Third, ��-1 chapter is 5/4 beat, and the tempo was presented as ♩=110, and it is the b♭ center sound minor. ��-2 chapter is 10/8 beat, and the tempo was presented as ♩=110. The composition of the sound is E♭ center sound major of d♭, e♭, f, a♭, b♭ ��-1 is 6/4 beat and tempo is ♩=60, and b♭ minor of d♭, e♭, a♭, b♭, c, d♭ In the connecting phrase, d♮sound appears, and makes up a chromatic scale melody. ��-2 is 10/8 beat, and tempo is ♪=250, and makes up a chromatic scale melody as b♭minor and proceeds. ��-1 chapter is 3/4 beat, and tempo is ♩=55, and minor of c, e♭, f, a♭, b♭ ��-2 chapter is 3/4 beat, and tempo is ♩=65, and it is b♭minor. ��-X is 10/8 beat, and tempo is ♪=250, makes up a chromatic scale melody as b♭minor, and proceeds. ��-1 chapter is 3/4 beat, and tempo is ♩=110, and it is b♭ minor of c, e♭, f, a♭, b♭ ��-2 chapter is 4/4 beat, and tempo is ♩=110, and it is b♭minor. ��-1 chapter is 3/4 beat, and tempo is ♩=110, and it is b♭ minor of c, e♭, f, a♭, b♭ ��-2 chapter is 4/4 beat, and tempo is ♩=110, and it is b♭ minor. ��-1 chapter is 5/4 beat, and tempo is ♩=110, and it is b♭ minor of d♭, e♭, f, a♭, b♭ ��-2 chapter is 10/8 beat, and tempo is ♩=120, and it is the same scale as ��-1. ��-1 chapter is 6/4 beat, and tempo is ♩=35, and proceeds like b♭ minor like and then becomes b♭ minor by the appearance of a chromatic scale melody. ��-X is 10/8 beat, and tempo is ♪=250, and it is b♭minor made up of a chromatic scale melody. ��-1 chapter is 3/4 beat, and tempo is ♩=110, and it is b♭ minor. �� chapter is 10/8 beat, and tempo is ♪=250, and it makes up a chromatic scale melody as b♭ minor and proceeds. This work is a thesis on the borrowing of the traditional composing elements and reinterpretation. The composers who majored in Korean classical music tried to create the work based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traditional music without relying on the Western music style. However, in front of the problems of the real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 gets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Western music first and the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music that staff notation has, in reality, there are few methodologies about the Korean classical composing techniques. This researcher, as a performer of the Haegeum (奚琴), felt inconvenience in playing the created music in accordance with the Western musical expression. Therefore, it was tried to get a them with borrowing the elements and forms of traditional music, and to analyze the music that is modernistically reinterpreted by mixing the composing technique and form of the Western music theory system with traditional music. <Flower's Song> is considered a work that was completed by maximally widening the limit of the unity and tonality of formality through the technique of expression in which traditional music and the Western musical elements are fused in the method of playing a varia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utilization as a basic material for the ones who try to study composition as well as for the performers'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the music. ‘여창가곡(女唱歌曲) 편수대엽(編數大葉) 주제의 해금3중주<꽃의 노래>’는 해금연구회의 열아홉 번째 정기연주회의 공연을 위하여 작곡가 김성경에게 위촉하여 2015년 8월 9일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초연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시대의 창작활동에 있어 전통음악을 작곡용재로 활용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창작곡을 주제로 하였다. 전통음악을 작곡용재로 한 창작곡은 전통음악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반드시 필요하고 매우 중요한 일이라 생각한다. 또한 오선보 위의 서양 음악적 요소와 전통 음악적 요소의 상호작용을 체계적 정리하고 어떠한 방법으로 형식과 선율을 구성하였는지 분석 제시하여 작곡을 공부하는 이들은 물론 연주자의 곡 해석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본고의 목적을 둔다. <꽃의 노래>의 선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수대엽’의 노래선율을 주제로 한 <꽃의 노래>의 형식은 총281마디 아홉 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었다. 이 곡은 전통가곡의 형식인 대여음(大餘音)-1장-2장-3장-중여음(中餘音)-4장-5장의 전통 가곡형식을 따르고 있으나 3장의 가사를 반으로 나누어 편성하였다. 각 장의 첫 단락에는 편수대엽의 노래선율을 이루는 주요음만 구성하여 주제선율로 제시하였고 주제선율의 제시 뒤에는 한 단락에서 두 단락의 변주로 이어진다. 전체적인 곡의 형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대여음), 주제선율 - 변주단락], [��장, 차용선율주제단락 – 변주단락 - 동일한 선율연결구], [��장, 차용선율주제단락 – 변주단락 -동일한 선율연결구] [��장, 차용선율주제단락 - 변주단락], [��장, 차용선율주제단락 - 변주단락], [��장(중여음), 주제선율 - 변주단락], [��장, 차용선율 주제단락 - 동일한 선율연결구], [��장, 차용선율주제단락 – 변주단락 – 전환연결구], [��장, 동일한 선율연결구 (종지구)]로 구분된다. 이중 ��장, ��장, ��장, ��장과 같이 해당 장에 한 절의 주제가 끝나는 부분은 동일한 선율의 연결구가 배치되는데 이는 ��장 뒤에 배치되는 ��장의 선율형태이다. ��장과 ��장은 두 장에 걸쳐 가사가 배치되는 만큼 ��장과 같은 형태의 선율이 배치되어야 하지만 바로 ��장 – 중여음(中餘音)으로 진행하여 정가(正歌)의 형식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꽃의 노래>는 편수대엽을 차용한 주제선율을 각장의 첫 단락에 배치한 후 변주로 발전시켜 곡을 구성하였다. 변주의 방법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박자를 확장하는 방법 ㉡동형진행 선율의 반복에 의한 마디의 확장, 축소로 변주 ㉢마디에 제한을 두지 않고 특정한 한 마디의 박에 못 미치는 동형선율을 반복 배치하여 부분전위 시켜 변주 ㉣동일한 선율을 반복할 때 음의 위치를 바꿔 배치하며 환음법으로 변주 ㉤완전4도 혹은 완전5도 등 같은 리듬의 선율을 부분 전조하여 주제선율의 변형으로 발전시키는 변주. 위와 같이 다섯 가지 방법을 통하여 주제를 발전시키고 변형을 이루며 선율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각 단락의 첫 장은 ��-1장은 5/4박자로 빠르기는 ♩=110로 제시되어있으며 b♭본청 계면조이다. ��-2장은 10/8박자로 빠르기는♩=110로 제시되었다. 음의 구성은 d♭, e♭, f, a♭, b♭의 E♭본청 평조이다. ��-1은 6/4박자로 빠르기는♩=60이며 d♭, e♭, a♭, b♭, c, d♭의 b♭계면조이다. 연결구는 d♮음이 출현하며 반음계적 선율을 이룬다. ��-2는 10/8박자로 빠르기는 ♪=150이며 b♭minor이다. ��-X는 10/8박자로 빠르기는 ♪=250이며 b♭minor로 반음계적 선율을 이루며 진행한다. ��-1장은 3/4박자로 빠르기는♩=55이며 c, e♭, f, a♭, b♭의 계면이다. ��-2장은 3/4박자로 빠르기는♩=65이며 b♭minor이다. ��-X는 10/8박자로 빠르기는 ♪=250이며 b♭minor로 반음계적 선율을 이루며 진행한다. ��-1장은 3/4박자로 빠르기는♩=110이며 c, e♭, f, a♭, b♭의 b♭계면조이다. ��-2장은 4/4박자로 빠르기는♩=110이며 b♭minor이다. ��-1장은 3/4박자로 빠르기는♩=110이며 c, e♭, f, a♭, b♭의 b♭계면조이다. ��-2장은 4/4박자로 빠르기는♩=110이며 b♭계면조이다. ��-1장은 5/4박자로 빠르기는♩=110이며 d♭, e♭, f, a♭, b♭의 b♭계면조이다. ��-2장은 10/8박자로 빠르기는♩=120이며 ��-1장과 같은 조이다. ��-1장은 6/4박자로 빠르기는♩=35이며 b♭계면조로 진행하다가 반음계적 선율의 등장으로 b♭minor이다. ��-X는 10/8박자로 빠르기는 ♪=250이며 반음계적 선율로 이루어진 b♭minor이다. ��-1장은 3/4박자로 빠르기는 ♩=110이며 c, e♭, f, a♭, b♭의 b♭계면조이다. ��-2장은 4/4박자로 빠르기는 ♩=110이며 b♭minor이다. ��장은 10/8박자로 빠르기는 ♪=250이며 b♭minor로 반음계적 선율을 이루며 진행한다. 이 작품은 국악창작곡들이 갖는 여러 가지 문제점 중 하나인 전통적 작곡용재의 차용과 재해석에 관한 논문이다. 수많은 국악창작곡들이 서양음악 양식에 기대지 않고 전통적 이론체계를 바탕으로 서양음악적 요소와 융합한 전통음악의 요소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그 활용에 대한 방안과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체형식과 주제의 제시는 전통 성악곡을 용재로 하였지만 변주의 방법에 있어서 서양음악적 요소와 융합한 표현의 기법과 형식의 통일성, 조성이 갖는 한계를 최대한 넓혀 작품을 완성하였다.

      • 화상환자의 입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극복력의 관계

        유혜정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Burn patients experience severe stress during therapy process while hospitalized as well as undergoing anxiety and severe pain immediately after the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escriptive correlations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hospital stres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undergoing severe stress, and to create preliminary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This study selected 143 burn patients receiving hospitalized treatment at one of burn hospital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fter receiving approval of IRB from 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 on 1st of July 2015, I collected data from 22nd of July till 10th of September. The researcher personally received written consent from the participants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to fill out the survey. Study tool for hospital stress was HSRS (Hospital Stress Rating Sclae) developed by Volicer & Bohannon(1975), social supports tool developed by Kim Ok Sue(1993) and 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Wagnild and Young(1993) Data analysis was used SPSS/WIN 18.0 program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t appears the average of burn patient’s hospital stress degree was 86.6±20.30, the average of social support degree was 95.8±13.49, and the average of resilience degree was 133.5±19.90. Second, there has been a difference in hospital stress according to medical guarantee and difference in nursing and treatment area due to pain degree. Also, social support showed difference in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and medical guarantee, and resilience showed difference in monthly income. Third, hospital stress and social support, hospital stress and resili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lored that the hospital stress of burn patients ha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nd adap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reinforce th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to reduce the hospitalization stress

      • 전래동화 그림책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 연구

        유혜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raditional fairy tales are reconstructed stories for children amongst the tal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by tradition that people enjoyed long ago.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a strong educational aspect while at the same time are interesting and fun to listen to through satire and humor. In particular, as the diverse lives and cultures of our ancestors are dissolved in the tales, they serve as an important source of medium for Korean children to learn various ways of life as Koreans and to develop Korean values. Nevertheless, because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 picture books have a particular educational purpose of preserving tradition, compared to other creative picture books, the expressions are limited to Korean expressions, and there are not much experimental attempts or changes. However, it is not only traditional expression techniques that convey national identity. The inheritance of traditional beauty is not bringing the past itself to the present, but it has a true meaning when it is reproduced in contemporary through modern interpretation while having its roots from the past. Therefor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felt the need to reconstruct the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in a new, diverse and modern way. Modern expression reflects the current period that we live in and shows well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based on uncertainty, and are focused on the expressive features of postmodernism that has settled as the way of thinking in the present period. Among the many expressive features of postmodernism, 10 types of picture books with expressive featu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visual images that can be applied for the discussion.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Multi-layer expression through collage’, ‘Non-sequential layout of text and pictures’, ‘Imaged texts and of dismantling of lines’ were applied to the traditional fairy tale ‘The Radish and the Calf’ and produced into a picture book. While expressing the traditional material in a modern yet experimental manner, it was expressed in an easy way that could rouse popular interes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2-7 year olds. Likewise, when traditional fairy tales are freshly expressed in a modern manner, it is expected that aesthetic experiences are added to the existing lessons of the stories, making it widely available for many more young children. In addition, although this study limits traditional fairy tales to picture book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t is hoped that traditional fairy tales are collaborated with other media contents and reproduced in a richer and more enjoyable way, so that it is expanded into various cultural contents. 전래동화란 예로부터 민중들이 즐겨 듣고 구연하던 구전설화 중에서 아동에게 적합한 내용으로 재구성된 이야기이다. 우리나라의 전래동화는 교육적인 요소가 강하면서도 풍자와 해학을 통해 흥미와 즐거움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우리 조상들이 겪어온 다양한 삶과 문화가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한국인다운 삶의 여러 가지 방식을 배우고 한국적 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전래동화 그림책은 전통성 수호라는 교육 목적의 특성 때문에 다른 창작 그림책에 비하여 한국적인 표현에 제한된 경우가 많으며, 실험적 시도와 변화가 적다. 그러나 전통적인 표현 기법만이 민족 정체성을 전하는 것은 아니다. 전통미의 계승은 과거에 존재했던 그대로를 현대 속에 옮겨 놓은 것이 아니라 과거에 뿌리를 두되 현대적 해석을 통해 현재(contemporary)에 재생시킬 때에 진정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 전래동화 그림책을 새롭고 다양하게 현대적으로 재구성해야 하는 필요를 인식하였다. 현대적 표현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기인 현재가 반영된 것으로, 불확정성을 바탕으로 현대사회의 특성을 잘 나타내며, 오늘을 살고 있는 지금의 사고방식으로 자리 잡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표현 특성을 중심으로 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표현 특성 중 그림책의 시각 이미지에서 논의가 가능한 것을 기준으로, 그 특성이 두드러지는 그림책 10종을 선정하여 조형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위의 분석에 대한 결과로 ‘콜라주를 통한 다층적 표현’, ‘글과 그림의 비연속적 레이아웃’, ‘텍스트의 이미지화와 글줄의 해체’를 적용하여 전래동화 『송아지와 바꾼 무』를 그림책으로 제작하였다. 우리의 전통 소재를 현대적이면서 실험적으로 표현하되 2-7세의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난해하지 않으면서 대중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이렇게 전래동화라는 우리의 이야기가 현대적으로 새롭게 표현되었을 때, 교훈적인 내용뿐 아니라 미학적 체험도 더해져 더 많은 유아, 어린이들에게 전해질 것이라 전망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전래동화를 그림책에 한정하였지만,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전래동화와 다른 미디어가 결합하여 더욱 재미있고 풍부하게 재생산됨으로써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확장되기를 바란다.

      • 재개발사업을 통해 공급된 공원의 공공성 인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유혜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택재개발사업을 통해 정비기반시설로 공급된 공원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공공성 인식을 확인하고 공공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특성과 공공성 인식이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 것이다. 주택재개발사업은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정비사업이다. 1970년대에 처음 도입된 이후 오늘날까지 신규 주택 공급 및 정비기반시설 확충을 통해 기성 시가지의 주거환경을 향상시키는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사업 도입 초기에는 주민이 스스로 주택을 개량하고 공공이 기반시설을 정비하는 자력재개발방식으로 추진되었으나 정부의 재원확보 등의 문제로 민간부문이 시행주체가 되어 추진하는 합동재개발방식이 도입된 이후 사업의 공공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재개발사업과정에서 기부채납 형태로 공급되는 정비기반시설은 공공성 논란의 주요 대상이다. 정비기반시설은 주민의 생활에 필요한 공공시설로서 주택 재개발사업의 공공적 가치를 구현하는 대표적인 수단이자 지역사회 환경 개선을 위해 중요한 공공재이다. 따라서 정비기반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그 효용을 누릴 수 있으며 특정인에게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일부 정비기반시설이 특정 집단에 의해 사유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측면에서 주택 재개발사업을 통해 공급된 정비기반시설이 공공재로서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모두 고르게 공공적 기여가 분배되는가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정비기반시설 유형 중 공원을 중심으로 사업구역 내·외 주거 여부에 따라 공원에 대한 공공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두 집단 별로 공공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특성과 공공성 인식이 이용시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재개발사업의 공공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내 준공된 주택재개발사업 구역 중 8개 구역이며 설문조사 방식을 통해 이용자들의 공공성 인식 및 공원이용행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공공성은 개방성, 접근성, 편의성, 쾌적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원주변의 환경특성은 정비기반시설로 공급된 공원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공원과 인접한 단지계획의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지역에 따라 공원에 대한 공공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공공성 항목 중 개방성과 접근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역 내 주민이 구역 외 주민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 개방성은 8개 연구대상지 중 2개 구역, 접근성은 3개 구역에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 중 2개 구역은 개방성과 접근성 인식에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특성은 구역 내 주민의 경우, 공원과 인접한 주동배치방식이 개방성과 접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역 외 주민은 인접주동배치방식과 함께 단지와 공원 간 연결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역 내 주민은 인접주동이 측면으로 배치될수록 개방성과 접근성을 높게 인식하였고 구역 외 주민은 인접주동이 측면으로 배치되고 단지와 공원이 구분되어 있을수록 개방성과 접근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공성 인식이 공원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역 내 주민의 경우 편의성이 공원이용시간과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역 외 주민의 공원이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성 요소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용만족도에 한하여 개방성과 쾌적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각 집단이 거주하는 주거환경의 특성으로 인해 도시공원의 필요성이 달라짐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단지 내 공원이나 녹지시설 등 다른 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 해당 공원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구역 내 아파트 주민은 편의성을 기준으로 공원을 이용하고 만족도 또한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반면, 도시공원에 대한 대체제가 없는 구역 외 주민의 경우, 공공성과 상관없이 필요에 의해 해당 공원을 이용하지만 만족도는 공공성의 영향을 받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공원이용자들의 거주지역에 따라서 공공성 인식이 다르게 나타나며 공공성 요소 중 개방성 항목이 구역 외 주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비기반시설로 공급된 공원의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두 집단 중 사회·경제적으로 취약계층인 구역 외 주민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택재개발단지 계획 시 공원의 개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접주동 측면배치 및 단지와 공원과의 영역 분리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공원 이용만족도를 높이고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ublicness of public parks supplied as infrastructure through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and to find ou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hich effect on publicness and it’s effect on park use. Housing redevelopment is a improvement project for the areas where dilapidated and substandard structures are concentrated. Since the 1970s, it has been used as a major means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by supplying new housing and infrastructure in existing urban areas. In the early stage, residents repaired their houses by themselves and the public enhanced fundamental infrastructure. However, controversy over the publicness of redevelopment projects has been arisen as the private sector became the main enforcement entity of the projects. In particular, fundamental infrastructure supplied by donation is a major issue of the controversy. As a public facility necessary for residents, fundamental infrastructure is a significant means to realize the public value of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and a important public good for improving the community environment. Therefore, anyone who want to use the fundamental infrastructure is able to use its utility and do not need to compete with other users. However, there has recently been a problem that individuals or specific groups privately use such faciliti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fundamental infrastructure supplied through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is distributed evenly among all community members as public goods. Specifically, focused on public, one of fundamental infrastructure types, it explores the difference in cognition of publicness of public parks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In addition, it analyzes th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features which effect on publicness awareness and in the impact of the publicness awareness on visit time and satisfaction. Eight sites among the complete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in Seoul are selected as research sites and the data on publicness awareness of park and park use patterns a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e publicness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factors: openness,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comfor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ound the park are focused on the features of adjacent redeveloped apartment complex considering the special conditions of the park supplied as fundamental infrastructu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ublicness of parks depending on residential areas. Among the four factors of publicness, there a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nness and accessibility, and residents in the project zone perceive higher than those outside the zone. Openness differences are checked in two of the eight sites and accessibility were identified in three sites. Two of these sites have differences in both openness and accessibility. Second, for residents in the project zone,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adjacent to the park is affecting the awareness of openness and accessibility. For residents outside, openness and accessibility is affected by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adjacent to the park and connectivity between the park and the apartments complex. In the other words, residents in the zone perceive openness and accessibility as buildings adjacent to the park are placed sideways and residents outside cognize openness and accessibility as the buildings are placed sideways and the park and apartment complex are directly connected. Lastly, convenience significantly affects the use time and satisfaction of the park for residents in the area. For residents outside, on the other hand, any publicness factors have no effect on the use time and satisfaction, openness and comfort have an impact only on satisfaction. This difference can be caused by the feature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which each group resides. In other words, apartment residents in the district where the need for the park is relatively low due to the availability of other facilities such as park and green areas in the complex visit the public park based on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is also affected by the same factors. However, residents outside who not have a replacement for public parks visit the park regardless of its publicness, but satisfaction is affected by publicness. Therefore, when supplying a park as fundamental infrastructure through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park and apartment complex in consideration of openness and convenience first so that outside residents with relatively high needs of public park can use parks satisfactorily and improve quality of their life.

      • 한 양극성장애 환자의 문학상담 경험에 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유혜정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문학상담 전공 대학원생이자 양극성장애 환자인 연구자가 개인적인 글쓰기 작업과 문학상담 참여를 통해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기술하고, 그 의미를 성찰적으로 분석하고자 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이다. 정신질환을 진단받는 일은 그 누구에게도 쉽지 않겠으나 상담가가 되기를 목표하며 상담대학원에 입학한 연구자에게 이는 커다란 전환점으로 작용하였다. 양극성장애 환자로 진단받은 이후로 연구자는 양극성장애 환자라는 당사자성을 주홍글씨로 남기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에서 다시 삶을 재건해나가는 방식을 기록하고 성찰하며 병과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정신질환을 진단받고서 사회적 낙인을 그대로 내재화하는 것이 아니라 양극성장애 환자라는 당사자성을 인정하고 이를 사회문화적으로 검토해볼 수 있는 자문화기술지를 연구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진단 이후 계속해온 다양한 시와 에세이 등의 글쓰기 작업물의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내며 분석하고 재현해볼 수 있는 예술기반연구의 방식으로 접근하여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진단 이후 7년간의 시간을 연구기간으로 설정하고, 이 기간 동안 작성한 글쓰기 작업물을 자료로 수집하여 이를 크게 “혼자 하는 글쓰기”와 “함께 모여 글을 쓰고 나누는 활동”의 두 범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양극성장애 환자에게 “혼자 하는 글쓰기”의 의의와 한계, “함께 모여 글을 쓰고 나누는 활동”이 주는 새로운 가능성을 성찰하였다. 이때 후자의 활동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문학상담 참여자 경험이 양극성장애 환자인 연구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여 기술하였다. 개인적 글쓰기 작업물과 문학상담 참여경험에서의 글쓰기 작업물 등을 인 비보(in vivo) 코딩, 감정코딩으로 분석하여 연구자는 〈수영을 배우는 방법〉,〈나는 이름을 부르지 않고서는 쓸 수 없나봐〉,〈나를 자전으로 묶어줘요〉,〈시간도 자신의 의지와 싸우고 있다면〉,〈우린 스스로가 죽길 바라면서도 서로가 살아있길 기도하잖아요〉의 다섯 가지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 각각의 범주를 예술을 통해 경험의 형태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공하는 예술기반 연구의 방법론을 따라 분석하고 연구결과로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시 〈수영을 배우는 방법 2〉를 통해 연구 결과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재현하고, 이를 포함한 연구 전반의 성찰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n arts-based autoethnography that aims to describe the sort of experiences through personal writings and participation in literary counseling reflectively by a researcher who is a bipolar disorder-diagnosed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literary counseling. It would not be easy for anyone to be diagnosed with mental illness, but this was a great turning point for me when entered counseling graduate school to become a counselor. Since being diagnosed as a bipolar disorder patient, I have attempted to record, reflect on, and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with the disease, rather than leaving the social stigma of a bipolar disorder patient in scarlet letters. To achieve such goals an autoethnography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gives a social and cultural review leading to accepting the identity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rather than internalizing social stigma after being diagnosed with mental illness. Further, the researcher conducted an arts-based autoethnography study by approaching it as an arts-based research method that can analyze and reproduce the nature of various writing works as poems and essays that have continued since diagnosis. Seven years after diagnosis was set as a research period, and writing works prepared during this period were collected as data, and these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riting alone" and “writing and sharing as a gathered group activity” Through this, I reflected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writing alone" and the new possibilities of “writing and sharing as a gathered group activity” for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Regarding how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literary counselling, which allowed these latter activities to be carried out safely, affected the researcher as with bipolar disorder was considered. By analyzing personal writing works and writing works from participating in literary counseling through in-vivo coding and emotional coding, I categorized them as following five items: “How to learn swimming”, “I can't write without calling someone’s name”, “Tie me in an earthly rotation” "If time strives for its own will" and "We wish to die, but we pray for others to live." This category has been analyzed and written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arts-based research that provides a new approach to the form of experience through art. Finally, through the poem “How to learn swimming 2”, the research results were organically connected and represented, and the overall reflection of the study, including this, was presented as a conclusion.

      • 북한 공개처형의 사회통제기능 연구

        유혜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how public execution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DPRK) functions as a means for the DPRK authorities to procure the stability of the regime and social contro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lications about the chang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PRK state and the society, which will be achieved by confirming the facts about public executions within the DPRK and analyzing how implementation of public executions affects the emotion, perception and future decision-making of North Korean people.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a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The literature research consists of a review of primary sources published by the DPRK authorities as well as secondary sources that include relevant dissert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books, and press reports including newspaper articles. Moreover, based on testimonies on North Korean defectors from existing literatu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21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d witnessed public executions. Based on the Social Control Theory, this study considers the concept of social control and specifically applies it to the social control system in the DPRK. For this study, the concept of social control proposes that a society controls deviant behaviors from its established norms by using internal and external methods of control. Based on this definition, the system of social control within the DPRK is a comprehensive system of policies that controls deviant behaviors of its people by using educational and penal method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order to maintain the DPRK regime. When examining the social control function of public executions in the DPRK, both social control function using fear and dysfunction arising from defiance can be seen. First, the social control function of public execution in the DPRK is the instigation of fear among people that they may also die in the same way. Public executions in North Korea evoke fear among its people, giving them the thought that they may be executed as well. It is with such fear that the DPRK authorities exercise control over the people and maintain the regime. Second, it is social control achieved through the spread of fear by carrying out executions at public places that can accommodate hundreds or thousands of people from the town. The fear instigated from the public execution is expanded in public place, through which the authorities educate the North Korean people in accordance to their intentions. Third, it is instigating fear through the brutality of the public execution method. Witnesses are likely to experience fear, whether short-term or long-term, and such fear controls prohibited actions set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e dysfunction of social control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defiance against executing convicts of livelihood-related crimes and sympathy for these people. North Korean people have a tendency to believe that it is inevitable to use illegal means for the sake of their sustenance. This notion further leads them to accept and understand the illegal actions committed by their neighbors, friends or relatives. Second, it is defiance to the unfair decision of the court and weakening credibility toward authorities. Even for convicts facing public executions, unfair punishments have continuously been imposed, which often arise from exempting particular people for their high social class and bribery. This has consequently spread discontent and resentment among the North Korean people. Third, it is defiance to the brutality of executions that induces people’s desire to break away. Public executions evoked doubt about the necessity of using such cruel methods to kill people and this led to a tendency among people to perceive the authorities negatively, further inducing their desire to escape the North Korean reg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rests in the confirmation of both the functions and dysfunctions of social control in the case of public executions in the DPRK. The DPRK authorities have been maintaining social control through fear instigated from public executions but this, on the other hand, aroused defiance among the North Korean people. As a result, this caused a contrasting effect from the social control and regime maintenance that the DPRK authorities had initially intended. 본 연구는 공개처형이 북한 당국의 정권 안정성 확보와 사회 장악을 위한 통제체제 내의 한 수단으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개처형 실태 관련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공개처형의 시행이 북한 주민의 감정과 인식 및 향후 행위의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북한 내 국가-사회 관계 변화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조사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택하였다. 문헌연구는 북한당국이 발간한 1차 자료와 관련 자료에 대한 국내외 연구자들 논문, 단행본, 언론보도 및 기사와 같은 2차 자료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심층면접조사는 공개처형을 목격한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 21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사회통제이론을 바탕으로 사회통제체제 개념을 정의하고 이에 적용하여 북한 사회통제체제 개념을 고찰하였다. ‘북한 사회통제체제’의 경우 북한당국이 체제유지를 위해 북한 주민의 일탈행동을 내적인 부분에서 외적인 부분까지 교육적․처벌적 수단과 방법으로 통제하는 제도의 포괄적 체계를 뜻한다. 북한 공개처형의 사회통제기능은 공포심을 통한 사회통제 기능과 반발심을 통한 사회통제 역기능으로 살펴볼 수 있다. 사회통제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나도 저렇게 죽을 수 있다’ 하는 공포심 유발과 사회통제이다. 북한주민은 공개처형을 통해 ‘나도 저렇게 죽을 수 있다’ 하는 무서움과 두려움을 갖게 되며 이러한 공포심을 통하여 북한 당국은 주민통제를 통해 체제유지를 할 수 있다. 둘째, ‘수백, 수천 명이 모인 공공장소’와 같이 동네 사람들이 모두 들어갈 수 있는 공공장소에서 처형을 통한 공포심 확산과 사회통제이다. 이는 공포처형이 주는 공포심을 ‘공공장소’라는 공간에서 극대화하여 최대의 많은 수의 북한 주민들을 북한 당국의 의도대로 교양시키기 위한 것이다. 셋째, ‘너무 끔찍해서 못 보겠다’ 하는 잔인한 처형 방법을 통한 공포심 강화와 사회통제이다. 공개처형을 목격한 사람의 경우 잔인한 처형 방법을 보고 나서 단기적이든 장기적이든 공포심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공포심은 북한 당국이 금지하는 행위를 하지 않게 통제하는 역할을 하였다. 사회통제 역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계형범죄 처형에 대한 반발심과 피해자 동정의식 유발이다. 북한 주민은 생계유지를 위한 일이라면 그게 잘못된 방법임을 알면서도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며 친인척과 이웃의 비법행위 역시 마찬가지로 용인할 수 있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둘째, 불공정한 처형 판결에 대한 반발심과 당국에 대한 신뢰 약화이다. 공개처형 대상자의 경우에도 계층 지위와 뇌물을 통해 처형에서 제외되는 식의 불공정한 처벌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북한 주민의 불만과 반발심이 확산되어 있다. 셋째, 잔인한 처형 방법에 대한 반발심과 그로 인한 이탈동기 유발이다. ‘사람을 꼭 저렇게 잔인한 방법으로 죽여야 하느냐’라는 식의 반발심은 북한 당국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생각하게끔 하며, 결국은 북한 체제 이탈 동기의 유발 요인이 되고 있다. 북한 공개처형의 사회통제기능 연구에서 중요한 점은 기능과 역기능이 동시에 작동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북한 당국은 공개처형이 가져다주는 공포심을 통해 사회통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공개처형 이후 주민 사이에 반발심이 생겨나 북한당국이 의도하는 사회통제 및 체제유지와 상반되는 영향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 작업에 나타난 형식주의 모더니즘 비판 : 1960-1970년대 작업을 중심으로

        유혜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 미국의 사회 및 미술계의 상황과 궤를 함께한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 1931~ )의 작업을 형식주의 모더니즘 비판이라는 축으로 조명한 연구이다. 모리스가 활발 하게 활동했던 미국 미술계의 1960년대는 복잡하고 변화가 많았던 사회 상황만큼이나 격변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었다. 형식주의 모더니즘과 그것을 벗어나고자 했던 다양한 경향들이 잇달아 등장했던 것인데, 이는 당대의 정치, 사회적인 맥락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모리스도 이러한 극적인 변혁의 시기에 부응하면서, 여러 미술 경향을 넘나들고 다양한 예술 장르의 속성이 혼재된 작업을 제안하거나, 때로는 직접 무대 위에서 무용공연을 시연하는 등 다양한 매체와 방법으로 기존 양식들과의 단절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그간 이 시기 모리스 작업에 대한 논의는 미니멀리즘 조각의 지형도 내에서 이루어져오거나, 특정 작업과 형식에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논문은 모리스 작업 전반에 흐르고 있는 형식주의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 초점을 맞추고, 이에 근거하여 그의 작업을 해석해보고자 했다. 특히 형식주의 모더니즘 비판의 모든 양상이 거의 동시에 드러나는 1960-1970년대로 기간을 한정하여, 그의 비판적 의도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1960년대 초 모리스는 평범한 사물을 활용하고 반복과 순환의 방식을 사용하여 모더니즘의 독창성의 신화를 해체하고자 했다. 작품의 물성을 강조한 오브제 작업을 통해 그는 미술가 주체의 선험적 의도가 담긴 순수한 미학적 대상이라는 기존 작품 개념을 넘어서고자 한 것이다. 또한 그는 기하학적 형태의 미니멀리즘 조각을 전시공간 전체를 점유하도록 설치하여, 관람자가 실제 시·공간 속에서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며 작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작품에 대한 경험을 오로지 '시각'이라는 하나의 감각에만 집중시켰던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시각중심주의를 비판하고자 한 것이다. 나아가, 시간적 '과정'과 우연성을 작품에 수용한 소위 '반형태 (anti-form)' 조각을 통해 모리스는 모더니즘 조각의 고정된 입체 개념을 해체하고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새로운 조각의 가능성을 열고자 하였다. 한편, 모리스는 당대 미국의 사회적 맥락을 반영한 작업을 실천하였다. 그는 일련의 정치색을 띠는 퍼포먼스를 수행하거나 후기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의 미술제도를 비판하고 사회 전체의 억압구조를 노출시키는 작업을 진행 한 것이다.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모리스는 삶과 예술을 철저하게 분리시키고 당대의 사회, 역사적 맥락에 대해 침묵하였던 형식주의 미학논리를 벗어 나고자 한 것이다. 이렇듯, 형식주의 모더니즘에 대한 의문과 반성의 시기에 작가로서 등장한 모리스는 여러 측면에서 분석적으로 형식주의 모더니즘에의 비판을 실천 하였다. 이러한 그의 다양하고도 지속적인 시도는 이후 전개될 많은 미술 경향에 밑거름을 제공하였고, 이로 인해 그는 권위적이고 폐쇄적인 형식주의 모더니즘을 극복하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연 대표적인 작가로 꼽힌다. 기존 체제에 대한 그의 근본적이고도 지속적인 비판의식과 작업을 통한 실천에 의하여 또 다른 미술의 역사가 시작된 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60-1970년대 모리스의 작업에 나타난 형식주의 모더니즘 비판의 측면을 보다 총체적인 시각으로 고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hed light on Robert Morris(1931~ ) who had been in sync with society of American and conditions of art world from 1960s to 1970s and his works in the aspect of criticism of Formalist modernism. In 1960s of America's art world, when Morris actively worked, as it had been very complex with diverse changes in the society, it was at the time of turbulent times. Formalist modernism and other tendencies that wanted to escape from it consequently appear and those are closely related to politics and social contexts on the times. In order to meet expectation of the period with dramatic changes, Morris stated the severance from original forms through many media and manners especially by crossing between several art tendencies and suggest to work that is mixed with diverse art genres' qualities and sometimes demonstrate dance performance on the stage in person. However, at that time, the studies on his works have mainly concentrated on minimalism sculpture and it was composed with studies on particular works and forms.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the criticism of Modernist formalism which can be felt throughout his works. Especially, limiting the periods from 1960s to 1970s, in which all aspects of criticism of Formalist Modernism appears concurrently and review his critical intentions in various points of view. First of all, in 1960s, Morris tried to dismantle Modernism's myth of originality by utilizing common object and using the methods of repetition and circulation. He tried to overcome existing works' concept which is pure aesthetic objects that reflect subject's transcendental intention through objet works that emphasized property of material. He also installed minimalism sculpture in geometrical shapes which occupy whole exhibition space and let audience experience the work by moving their body in real time and space. This was to criticize Modernist formalism's emphasis on vision that concentrated experience on the work exclusively to one sense of 'vision'. Furthermore, Morris wanted to dismantle Modernism sculpture's stereotype of static solid notion and open opportunities for new concept of sculpture that cover diverse areas through the so-called 'anti-form' sculpture that applied time progress with contingency. Meanwhile, Morris worked on piece that applied social contexts of America at that time. He performed that shows politicalization or criticize art system in post-capitalism and worked on to expose repression structure of the whole society. By these works, Morris tried to break away from aesthetic logic of Formalism that completely separated life and art and remained silent from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period. As an artist who had been questioned and remorse against the Formalist Modernism, Morris criticized it analytically in every aspect. With his diverse and continuous attempts, these provided foundation for tendencies in art and he was regarded as an representative artist who have opened Postmodernism by overcoming Formalist Modernism which was authoritative and closed. Through fundamental and continuous criticism on his work of existing system, another era of art history has been begun. Thu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that have considered entire aspects of Formalist Modernism in Morris' work between 1960s and 197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