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만금 개발에 따른 저어새 등 멸종 위기종의 환경영향 대책

        유인수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1년부터 시작된 새만금 개발사업은 토지이용계획 및 사업계획이 여건 변화에 따라 변경되고 있으며 새만금지구 산업단지는 2008년부터 시작되어 2018년 현재 새만금산업단지가 조성공사가 시행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에서 시행하고 있는 새만금 산업단지는 당초 갯벌인 저지대를 매립하도록 계획되어 새만금호와 군장항로의 준설토를 산업단지 부지에 매립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중이다. 정부는 새만금지구 개발사업의 성공을 위해 새만금호 수질관리에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는 등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환경보전 대책이 추진중인 상황이다. 새만금 산업단지 조성이 진행됨에 따라 환경여건이 변화하여 야생 조류가 활용하기 적당한 수위가 유지되어 저어새, 검은머리갈매기 등 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이 번식, 휴식하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본 보고서는 저어새 모니터링을 통하여 새만금 산업단지 사업시행으로 환경이 변화하여 출현하는 저어새 등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면서 합리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환경영향 대책을 검토하였다.

      • 華嚴의 十地 思想 硏究

        유인수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Buddhism is the teaching of Buddha on enlightenment. Buddhism believes that all men are capable of discovering the absolute truth. Thus Buddhism is not simply a philosophy of life, but a religion of enlightenment and practice through which we practice the teachings of Buddha to become one with my neighbors and coexist in harmony. The practice and self discipline pursued by Buddhism is not for one's own good, but for the good of others, aimed at the welfare of 'you' and 'us'. This is definitely of some value to the modern society suffering from the ills of reckless development, the tendencies of belittling the values of life, and the competition for survival. In Mahayana Buddhism, the Bodhisattva is spoken of as the ideal ascetic for the practice for the good of others. As such, this manuscript is a study of the practices aimed at becoming the guide for all beings, the dependable being always striving for the salvation of beings, with the main focus on the ideal of the ten articles(十地思想) out of the various contents of the 「Avatamska Sutra」. Before beginning to analyze the generals and specifics of the [Avatamska Sutra], this article studies the basis of the ideal of the ten articles by studying the ideal of the ten articles before the [Avatamska Sutra] through the Bonsaengsipji, Banyasipji, Bonupsipji, and ten articles of the Avatamska Sutra. Then I attempt to organize my ideas on the ideal of the ten articles of the [Avatamska Sutra] through the ten articles and Bodhisattva of the [Avatamska Sutra]. In terms of the methodology applied to this article, I referred to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the 『80 Avatamska Sutra』 as translated by Siksānanda and then referred to the original text. However, I admit that there exist certain limitations with regards to presenting accurate evidential foundations as I often quoted the 『80 Avatamska Sutra』 as translated by Siksānanda rather than comparing the text with the 大正藏. In addition, I referred to dissertations on the ten articles, independent volumes on the [Avatamska Sutra], and other academic publications.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over the course of the philosophy of Mahayana Buddhism of being developed by yoga ascetics, the ideal of the ten articles went from the ten articles of <Mahavastu>, to the ten articles of the <Daepumbanyagyeong>, to those of the <Bosalbonupgyeong>, and completed as the ten articles of the <Sipjigyeong>, finally being practiced by yoga ascetics as the practice of Bodhisattvas. In the ideal of the ten articles of the [Avatamska Sutra], the path to practical Bodhisattva-ness is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proposed as guidelines for ascetics, from the stage of conception(發心) to achievement(成道). The ten articles identify-in ten steps-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practices of a Mahayana Bodhisattva trying to realize the knowledge of Buddhism for the sake of others and themselves, and these ten articles express the progress of a Bodhisattva, from the stages of conception to achievement. 1. Stage of joy(歡喜地,pramudita) - establishing 10 earnest prayers 2. Stage of departure(離垢地,vimala) - practicing the 10 paths of virtue 3. Stage of radiation(發光地,prabhakari) - the stage of uncertainty・pain・selflesness 4. Stage of wisdom(焰慧地,arcismati) - training in the 37 methods of practice 5. Stage of overcoming difficulty(難勝地,sudurjaya) --practice of the four absolute truths(四諦) 6. Stage of pre-enlightenment(現前地,abhimukhi) - stage of the 12 cycles 7. Stage of the long journey(遠行地,duraagama) - practice of the 10 trainings 8. Stage of stability(不動地,acala) - the acquisition of Musaengbeopbyeon(無生法邊) 9. The stage of goodness and wisdom(善慧地,sadhumati) - acquisition of the four unfaltering truths(四無碍智) 10. The stage of enlightenment(法雲地,dharmamegha) - the dispersement of the true Buddhist teachings(大法雨) Since a Bodhisattva is said to become a Buddha after passing through these ten stages, the total number of steps is 41(the 「Yeongnakbonupgyeong」 adds the ten steps of faith(十信位) to the ten requirements of a Bodhisattva and splits the stage of Buddha into two stages to make a total of 52steps). The ascetics of the ten articles include all of the doctrines from the teachings of Aham to those of the Mahayana Sutras forming a single path to becoming a Bodhisattva. All stages of the ten articles require that one practice the ten trainings and the four methods of teaching, which signifies that a Bodhisattva does not only pursue their own enlightenment but guides others to realizing that they are all Buddhas themselves. Such unselfish practices is based on the one teaching(一乘) that one should practice under the awareness that 'they are the son of Buddha(佛子)'. The one teaching is the teaching that 'all people can become a Buddha'. The ideal of the ten articles show that the practice of Buddhism cannot be truly for the good of others without the recognition that all human beings are fundamentally equal. It therefore matures and enhances the actions and thinking of men infinitely, and deepens and widens the selfish and passiv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불교는 깨달음을 얻는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인간은 누구나 절대적 진리를 깨달을 수 있다는 것이 불교에 있어서의 믿음이다. 때문에 불교는 단순한 삶의 철학을 넘어 부처님의 가르침을 직접 실천수행 함으로써 나와 이웃을 하나로 보고 서로 상생하고자 하는 깨달음의 종교이자, 실천종교인 것이다. 불교가 지향하는 수행과 실천은 自利行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너와 우리에게 廻向하는 利他行이다. 이는 분명 오늘날 무분별한 개발과 생명경시풍조, 또 경쟁과 생존의 굴레 속에서 병들어 가는 현대사회에 있어 가장 필요한 덕목일 것이다. 대승불교에서는 이같은 이타행을 위한 이상적인 수행자의 모습으로 ‘보살’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에 本稿에서는「화엄경」의 다양한 내용 중에서 十地思想을 중심으로 일체 중생의 길잡이가 되며 의지자가 되어 중생 구제의 서원을 끝없이 실현해 나가고자 하는 실천행을 고찰하고자 한다. 우선 本稿에서는 화엄경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와 종취를 살펴보기 이전에 화엄 이전의 십지 사상을 본생십지, 반야십지, 본업십지, 화엄십지를 중심으로 십지사상의 근저를 알아보고, 화엄의 십지행과 보살도를 통해 화엄경의 십지사상에 대한 나름의 소고를 정리하고자 한다.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으로는 實叉難陀가 번역한 『80화엄경』에 대한 한글 해석본을 먼저 참고하고 다음에 그 원문을 찾는 방법을 취하였다. 하지만 원문을 찾는데 있어서 大正藏과 직접 대조해야 하지만 많은 부분에 있어서 실차난타가 번역한 「80화엄경」을 주로 인용하여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그 외 십지품에 대한 논문을 비롯해 화엄경과 관련된 단행본, 학술지 발표문 등을 참고하였다. 인도불교 사상사에서 瑜伽行者들에 의하여 이른바 중관・ 유식의 대승불교 철학사상이 결실되도록 전개되는 과정에서 십지사상은 <마하바스투>의 십지에서 <대품반야경>의 십지로, 이것이 다시<보살본업경>의 십지를 거쳐 <십지경>의 십지로 완성되며, 그것이 유가행자에 의해 보살행으로 실천되어 전개되어 왔다. 화엄경의 십지사상에는 發心에서부터 成道에 이르기까지의 실천적 보살의 길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수행의 이정표로써 제시되어 있다. 十地는 대승보살이 自利利他로 佛智를 개현하려고 할 때의 실천 과정과 그 내용을 10단계로 명시하고 있는데 이 十地行은 보살의 발심으로부터 성도하기까지의 진전을 표현한 것이다. 1. 환희지(歡喜地,pramudita) --- 10 대원을 세움 2. 이구지(離垢地,vimala) --- 십선도(十善道)를 행함 3. 발광지(發光地,prabhakari) --- 무상・고・무아 등을 관함 4. 염혜지(焰慧地,arcismati) --- 三十七助道品을 닦음 5. 난승지(難勝地,sudurjaya) --- 사제(四諦)를 닦음 6. 현전지(現前地,abhimukhi) --- 십이연기를 관함 7. 원행지(遠行地,duraagama) --- 십바라밀을 닦음 8. 부동지(不動地,acala) --- 무생법변(無生法邊)을 얻음 9. 선혜지(善慧地,sadhumati) --- 사무애지(四無碍智)를 얻음 10.법운지(法雲地,dharmamegha) --- 대법우(大法雨)를 뿌림 이런 십지를 거친 뒤에 보살은 부처가 된다는 것이니, 계위의 수는 41위가 되는 셈이다(「영락본업경」은 십주 앞에 십신위(十信位)를 보태고, 불지(佛地)를 등각위(等覺位)와 묘각위(妙覺位)의 둘로 갈라 52위를 설하고 있음). 십지에서 닦는 행법을 볼 때 아함의 교설로부터 대승경의 반야・법화 교설에 이르는 모든 교법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줄기 보살도를 조직하고 있다. 십지의 수행덕목에서 각 지위마다 공통적으로 십바라밀과 사섭법을 행해야 함을 보여 주는데, 보살은 본인의 깨달음만 추구하는 자리행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중생들이 스스로가 부처임을 깨닫도록 이끌어주는 이타행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이 같은 이타행의 실천수행은 '자신도 부처의 아들(佛子)'임을 자각하여 수행하라는 일승을 설한 가르침의 바탕에서 실천된다. 일승은 '모든 사람은 성불할 수 있다'는 가르침이다. 화엄의 십지사상은 一佛乘設에서처럼 인간의 본질은 평등하다는 인식이 없고서야 진정한 이타행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곧 인간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무한히 성숙시키고 향상시키며, 이기적이고 소극적인 인간의 인격을 더 높고 더 깊고, 더 크게 길러줄 수 있다는 것이 화엄십지의 가르침인 것이다.

      • 타원관 열교환기와 공기살균을 적용한 팬코일 유닛 개발 및 성능평가

        유인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생활 및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른 사회구조와 인식의 변화로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적화된 생활환경을 만들기 위해 냉방 및 난방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고 고효율 열교환기와 공기정화기능이 적용된 지능형 팬코일 유닛을 위한 연구도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팬코일 유닛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사용자 조작 측면에서의 한계로 공급온도와 공급시간을 일률적으로 제어해야만 하고 일과시간 이후에 재실자의 체감온도 차이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풍량의 단순 강약조절로 실내온도 조절이 어렵고 중앙난방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보조난방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건강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 공기정화기능이 없어 냉방 및 난방 시에 실내공기가 악화되어 사용자가 항상 질병 감염 가능성에 노출되게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가 박리되지 않고 공기저항이 작은 타원관 형태의 열교환기를 채택하여 고효율화를 도모하고 보조 및 개별난방기능을 갖는 PTC히터모듈을 개발한다. 또한 냉방 및 난방 시에 공기 질 개선을 위한 나노 광촉매모듈 또한 개발하여 최종적으로 개별난방겸용 에너지 절약형 공기살균 지능형 팬코일 유닛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실험을 통해 원형관과 타원관 열교환기 성능 차이를 직접 확인하고 열교환기의 구조와 형상, 풍향각도를 변화시켜 그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여러 종류의 팬코일 유닛의 표준난방능력시험과 부유세균 제거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Fin 형상을 갖는 원형관 열교환기와 타원관 열교환기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타원관 열교환기의 압력손실은 원형관 열교환기보다 15% 감소하거나 같지만 열전달량은 23~50%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타원관 열교환기의 경우 풍속이 증가할수록 열전달량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동일 풍속의 경우 난방수의 유량이 증가하면 열전달량도 증가하였다. 열전달량의 증가율은 유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열교환기에서 Fin-Tube의 구조 및 형상, 풍향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풍향 각도가 증가하면 열교환 성능이 증가하고 타원관 열교환기는 원형관 열교환기보다 높은 열교환 성능을 보였다. 또한 One-pass type의 열교환기가 Two-pass type보다 체적당 열량이 우수하였고 4단6열 구조보다 2단8열 구조의 열교환기가 체적당 열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교환기의 종류에 따른 성능 실험에서는 바닥상치형 팬코일 유닛의 경우 타원관 열교환기, BLDC 송풍팬을 적용한 모델이 난방열량, 대온도차, 풍량이 증가하였다. 스탠드형 팬코일 유닛의 경우 타원관 열교환기 BLDC 송풍팬을 적용한 모델이 소비전력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난방열량, 대온도차가 각각 증가하였다. 다만 풍량은 감소하였다. 부유세균 제거 실험에서는 튜브형광촉매, 나노미디움MEDIA광촉매, 활성탄을 사용한 제품이 99.9%의 제거율로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Lately, due to the increasing of life and income level, the number of people who pursue a healthy life is increasing. Because of these reasons, concern of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to make the best life environment is increased, and a number of development for intelligent fan coil units which heat exchanger and air cleaning systems are adapted have been performed. This study selects an oval-type heat exchanger which has little air resistance for high efficiency, and develops a PTC heater module which has functions of support and unit heating. A nano photo catalysis is developed for intelligent fan coil unit to enhance air level during cooling and heating. The present study compares the heat performance between round-type and oval-type heat exchang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ssure loss of oval-type heating exchanger is decreased 15% or the same but the heat transfer is increased from 23% to 50%. Heat transfer of oval-type heating exchanger is increased linearly as wind speed is increased. In the same wind speed condition, heat transfer is increased when flow rate is increased, but the increasing rate of heat transfer is decreased. When the structure and wind angle of fin-tube is changed,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enhanced with the wind angle. The oval-type heat exchange has th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ircular-type one. Calory per volumes of one-pass type exchanger is better than that of two-pass type heat exchanger. The calory of 4-column×6-row structure heat exchanger is higher than that of 2-column×8-row structure. The performance test for the developed fan coil units show that for the floor-type fan coil unit, the amount of heating calory, temperature difference and air flow rate are all increased when oval-type heat exchanger and BLDC air blast fan are adopted. For the standing-type fan coil units, the amount of heating calory, and temperature difference are increased when oval-type heat exchanger and BLDC air blast fan are adopted. In this case, however, the amount of air flow rate is decreased although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power decreased. In the test of removing floating virus, the air sterilization unit which has tube-type photo catalysis, nano medium media catalysis, and activated carbon shows the best performance.

      • 高等學校 佛語敎育에 있어서의 단어놀이에 關한 硏究

        유인수 公州師範大學校 敎育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Nous avons e'tudie' dans ce me'moire le jeu de mots comme une me'thode d'enseignement du francais qui puisse inte'resser les e'le`ves a` l'e'tude du frangais. Dans l'introduction, nous avons pre'sente' les deux dbjets de cette re-cherche : l'um est l'e'laboration des mate'riaux d'enseignement et d'e'tude pour le jeu de mots, l'autre en est le mode d'emploi efficace susceptible de susciter l'inte'ret des e'le`ves. Nous avons indique', comme le fond the'orique de cette me'thode, les quatre points suivants : valeur e'ducative u jeu de mots, concept de l'inte'ret, me'thodes traditionnelle et audio-visuelle et prineipe de l'e'laboration de chaque mode`le de jeu de mots. Pour la recherche, on a choisi dedx groupes : groupe expe'rimental et groupe de comparaison. On a fabrique' dix mode`les de jeu de mots selon le degre' de difficulte'. Puis pour constater l'hornoge'ne'ite' de ces deux groupes au de'part, on a fait l'enquete suivante : deux fois de test de connaissance de mots, une fois de test mental collectif et une fois de lenque^te sur l'inte're_t des eleves pour l'e'tude du francais : entre les deux groupes, il n'y avait pas eu de diffe'rence. On n'a utilise' dans la pratique difecte que les premiers einq mode`les du jeu de mots 1-5 pour le groupe expe'rimental pendant les premiers cinq mois. Apre`s, pour constater la diffe'rence du re'sultat scolaire entre les deux groupes, on a fait l'enque^te suivante : trois fois de test de connaissance de mots et une fois de l'enque^te sur l'inte're^t des e'le`ves pour le'tude du francais : entre les deux groupes, on a remarque' qu'il y avait une grande diffe'rence. Dans lappendice, on a donne' des exemples des dixmode`les mentionne's plus haut avec le mode d'emploi et les directives pe'dagogiques pour chaque e'tape. Voici les re'sultats acquis de la prtique de chaque mode`le chez le groupe expe'rimental. 1) L'inte're^t des e'le`ves du groupe expe'rimental pour le francais a e'te' beaucoup plus incite que celui du grouupe de comparaison. 2) les e'le`vesdu groupe expe'rimental ont conside'rablement enrichi leur vo-cavulaire. 3) La capacite' d'expression des e'le`ves a augmente et leur clsse a e'te' plus active. Comme nous lavons montre' plus haut, mous croyons que le jeu de mots peut e^tre conside're' comme un nouveau mode`le de me'thode d'enseignement qui puisse susciter l'intere^t des lyce'ens. En conclusion, on a constate que ce jeu de mots a pu non aeulement susciter l'inte're^t des e'le`ves pour le francais, mais aussi qe laccroissement e l'inte're^t a contribue' a` ame'liorer leurs re'sultats scolaires. c'est ainsi que les professeurs doivent inventer les meteriaux d'enselgnement convenants a` la situation contemporine pour susciter linte're^t des e'le`ves, car le succe's de l'enseignement depend de leur ardeur et leur esprit d'initi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