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titumor effect of Astragalin from Paeonia lactiflora in melanoma skin cancer cells

        유옥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ough astragalin (kaempferol-3-glucoside) contained from Paeonia lactiflora and other plants was known to hav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 activity in breast cancer and leukemia, the antitumor mechanism of astragalin has not fully understood in melanoma cells so far. Thus, in the present study, the underlying apoptotic mechanism of astragalin was elucidated in A375P and SK-MEL-2 cells. Astragalin exerted cytotoxicity against A375P and SK-MEL-2 melanoma cell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lso, astragal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TUNEL positive cells and sub G1 population and as a feature of apoptosis in A375P and SK-MEL-2 melanoma cell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Consistently,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astragalin activated caspase 9/3, cleaved PARP, attenuated the expression of cyclin D1, Bcl-2, Mcl-1 in A375P and SK-MEL-2 melanoma cells. Of note, silencing of Mcl-1 enhanced the antitumor ability of astragalin to inhibit proliferation, cleave PARP and increase sub G1 population in A375P and SK-MEL-2 melanoma cells.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astragalin induces apoptosis in A375P and SK-MEL-2 melanoma cells via inhibition of Mcl-1 signaling. 백작약에서 분리된 astragalin은 A375P과 SK-MEL-2 흑색종에 대해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보였다. 또한 astragalin은 세포사멸의 특성 중 하나인 TUNEL 양성 세포 수와 sub G1 형상의 세포 수를 A375P과 SK-MEL-2 흑색종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일관되게 astragalin은 caspase 9/3을 활성화시키고, PAPR 분절을 유도하며, 성장과 관련된 cyclin D1, Bcl-2, Mcl-1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역으로 siRNA transfection을 통한 Mcl-1 발현억제는 astragalin의 A375P과 SK-MEL-2 흑색종에서 sub G1 세포군 증가의 자사멸을 통한 항암효과를 증진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astragalin이 A375P과 SK-MEL-2 흑색종에서 Mcl-1 발현 저해를 통해 자사멸을 유도하는 증거를 제공하고 있다.

      • 俳諧における季節觀の硏究 : 芭焦を中心として

        유옥희 お茶の水女子大學 1990 해외박사

        RANK : 247631

        일본의 전통적인 정형시인 하이까이( 俳 , 현대는 하이꾸)에 나타난 계절에대한 인식을 일본 의 대표적인 하이까이 詩人 마쯔오 바쇼(松 芭蕉)를 중심으로분석했다. 하이까이는 그 중심으로계어(季語)라는 형식이 사사하듯이일본의 계절변화양상에 바탕을 둔 문학형태로, 말하자면 일본의냑岳痼瞿뼈括�자연관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면서순환하는 계윽セ�無常)」이라는 관념으로 파악하는가, 아니면「조화(造化)」의 기쁨으로 파악하는가 하는 것의 계절관의 차이라 볼수있는데, 본고에서는 바쇼가 하이까이의 모태가 되는 전통시가인 와까(和가(連歌)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도 어떻게 자신의 독자적인 계절관을구축했나 하는 것을 분석했눴紫��「제1부, 계어의 美와 本意」「제2부,시구레(時雨)의 계절관」, 「제3부, 사루미노(猿 )까이적 계절관」의3부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하이까이의 가장 주요한 형식이면서愍�恍�현상은 대변하는 계어를 분석했다. 이 계어는 와까와 렌가의영향으로 종래 인간의 心境의로 나타나는 경향이 강했으나, 바쇼는「소나무에 대한 것은 소나무에게 배워라」하는 그의 하이�처럼 계어의본연의 美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음을 논했다. 제2부에서는 바쇼의 가장 중심계어이맛�詩想을 대변하는 시구레(초겨울비)에 나타난 계절관을 통하여종래 인간세상의 메타포오로 인같沽【�탈피하여 차츰 시구레 본연의한적고담(閑寂枯淡)한 美에 충실하여, 「사비」의 세계를 구을 밝혔다. 제3부에서는 작품집 『사루미노(猿 )』를 통하여 바쇼가 이 『사루미노』에서앞서 바운 계절관을 실천하여 현실감에 충실한 자연미를 강조하여하이까이를 명실공히 일본의 자연풍토옳�서민시로 뿌리내리게 했음을밝혔다. 즉, 바쇼는 주관적인 관념을 배제하고 계절현상 그 자체같ː▷峠求징모審品뮌�美를 순간순간 예리하게 포착하는 것이 하이까이 詩作의기본자세라고 주장는 것이다. The glob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the NPT regime), based on the NPT, the IAEA, the UN, and the NSG, tends to rely on the supply-side strategic options such as export controls, diversion controls, and punitive sanctions. However, in spite of its remarkable achievements, the NPT regime reveals its limitations in halting nuclear proliferation. In this situation, the demand-side strategy, based on the strategic bargaining for reducing the aspirations of a proliferator for nuclear weapons,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nuclear nonproliferation, The North Korean case of nuclear proliferation (from mid 199 1 to December 1995) is an exemplary one which showed the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y. As the NPT regime failed to fully dissuade North Korea from going nuclear, the U.S. and South Korea stroke several bargaining deals with North Korea in order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tried to protect or promote its national interests by using its nuclear proliferation option as bargaining leverage. Meanwhile, the U.S. and South Korea adopted diverse strategic options which could affect the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of North Korea for nuclear weapons.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S. as bargaining parties faced a variety of uncertainties which they had to cope with in order to enhance the procedural or substantive rationality of their strategic choices. In the strategic bargaining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dispute,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uncertainty ignoring, uncertainty reduction, uncertainty accommodation, and uncertainty overlooking) influenced the strategic choices of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 S.(conceding strategy, demanding strategy, and compromising strategy). Moreover,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also affected the bargaining outputs (conflict, cooperation, and capitulation) by influencing the combination of strategic choices of bargaining parties. Uncertainty as a critical variabl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ynamicity of the strategic nuclear bargaining.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ree dimensions. In theoretical term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managerial approach to uncertainty which is newly emerging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analytic approach to uncertainty. In practical terms, this research helps the understanding of the nuclear incentives, bargaining strategies, and bargaining tactics of North Korea as a nuclear proliferator. In policy terms, this research shows the weaknesses of the supply-side options of the NPT regime, especially the IAEA nuclear inspections and the UN sanctions. Meanwhile, this research reveals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ic options which can be selected within or beyond the NPT regime. Index Words: Analytic approach, Conflict, Cooperation, Diversion controls, Export controls, IAEA, Managerial approach, NPT, NPT regime, North Korea, Nuclear Incentives, Nuclear nonproliferation, Nuclear proliferation, Punitive sanctions, Strategic choice, Supply-side strategy, UN, UN Sanctions, Uncertainty, Uncertainty management,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물질 단원의 STS 교육 내용 분석

        유옥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0학년 과학 교과서 7종의 화학 영역(Ⅲ. 물질)에 반영된 STS(Science-Technology-Society) 교육 내용을 분석 하였다. Yager의 'STS 교육과정의 필수 구성 요소'와 Fensham의 23개 주제 영역, SATIS(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에 반영된 활동 영역을 분석 기준으로 선택하여 연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7차 10학년 과학 교과서 'Ⅲ. 물질' 단원에서의 STS 교육 내용의 분량은 평균 101줄이었고, 물질 단원의 총 분량에 대한 STS 내용의 비율이 최고 15.7%(150줄)에서 최하 10.5%(96줄)로 평균 12.9%를 차지하고 있다. 2. STS 교육 내용을 Yager의 'STS 교육과정의 필수 구성 요소'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화학의 응용성(54.8%)'과 과학의 '다차원성에 관한 인식(23.9%)' 항목만 두드러지게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지역사회와의 관련성(0.3%)', '실제문제에 대한 협동작업(3.5%)', '의사 결정 능력 함양을 위한 연습(1.3%)' 등의 내용은 매우 미약하였다. 3. STS 교육내용의 주제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사회에서의 기술(47.8%)' 항목이 가장 많은 비중으로 여러 교과서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 반면, '도구와 측정(2.7%)', '산업화와 관련된 오염의 종류와 제한(9,9%)', '인간의 삶에 공헌하는 화학(3.6%)' 등의 항목은 게재 횟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출판사에 따라 그 내용을 담고 있지 않는 교과서도 있었다. 4. SATIS의 활동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에 평균적으로 게재된 16.3회의 STS 내용 중에서 평균 5.6회(38.3%)만이 활동 영역에 속하고 있었다. 이것으로 STS적 교육 내용을 게재하기 위한 노력은 있었으나, 활동 영역면의 적용은 부족한 점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5. STS 내용을 활동 영역의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9개의 항목 중 주로 '조사 활동(30.8%)'과 '사례 연구(33.2%)'에 집중되어 있고, 중요하게 받아들여지는 '역할 놀이(2.6%)', '구조화된 토론(0%)' '모의 실험(0%)' 등의 항목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진정한 의미의 활동 영역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6차 교육과정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STS 교육은 제7차 과학 교과서 화학 영역에서 내용, 형식상의 적용에 문제점이 많이 발견되었다. STS 교육의 긍정적인 효과와 과학 교육의 목표, 우리나라의 실제 수업 현장에서 교과서의 비중을 생각해 볼 때, STS 교육 내용의 교과서 반영에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Science-Technology-Society(STS) have been analyzed for the parts of Material, Ⅲ included in the seven kinds of chemistry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using the high schools in the present. The activity areas were analyzed by the standards of the 'indispensable component of STS contents' suggested by Yager and the twenty three ares suggested by Fensh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line and the percentag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show as the highest numbers of line of 150 as the ratio of 15.7% and the lowest numbers of line of 96 as the ratio of 10.5% in the unit of'Ⅲ. Material'. This amount corresponds to be occupied as th average value of 12.9%. 2. The two kinds of item are shown remarkably high as 54.8% for 'application of science' and as 23.9% for 'understanding of the multiple dimensions of science' by the analyzed result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Yager's 'indispxensable component items'. However the contents are shown to be very low as 0.3% for 'local and community relevance' and as 3.5% for 'cooperative work on real problem' and as 1.3% for 'practice with decision making strategies'. 3. The item of 'technology in society' was highly occupied in all textbook sin this research as 47.8% from the analyzed result by the subject areas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 of STS. On the other hand the some items are shown to be very low as 2.7% for 'devices and measurements' and as 9.9% for 'the kinds of pollution and the limitation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as 3.6% for 'the chemistry contributing to the living of human being'. It was found there are some textbooks to be not included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mpanies. 4.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ntent of activity area is only occupied as 5.6 times average and it corresponds 38.3% after analysing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activity area showing SATIS, for the contents of STS which are published in each textbook with the amount of 16.3 times. This result means that there is an insufficient for the effort to publish the content of STS. 5. The two items are highly crowded for 'the investigation study' and 'the case study' as 30.8% and 33.2% respectively in the nine items analyzed by the standard of the activity area of STS. While, it is not included or a little parts are only included as a few cases as 2.6% for 'the role play' and as 0% for 'a structured discussion' and as 0% for 'the simulation'. It means that theses textbooks are not reflected the activity area in the real education. The points to be improved area found many for the applications to the contents and types of the chemistry area based on the 7^(th) scientific educational system of STS through in this research. It is need a much efforts to apply to the real educational STS content to the textbooks for increasing the effect of the standard of STS and for achievement of the purpose the science education, and finally the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in the class to follow faithfully the standard of the educational STS system.

      •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유옥희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수준과 그들이 행하는 문제행동의 수준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수준과 문제행동 간에는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아 일선에서 학생들을 지도하시는 선생님들께 참고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문제행동 수준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문제행동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문제행동은 학교의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4년 7월10일부터 7월 20일 사이에 파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총 223명을 표집하여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수집된 검사지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스트레스척도 검사지와 문제행동척도 검사지 2가지이며, 스트레스척도 검사지는 백경애(1997)의 스트레스척도 검사지를 기초로 4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문제행동 검사지는 권오균(1996)이 작성한 검사지를 참고로 4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거쳐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며, 문제행동 지각 수준도 성별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부분적으로 '무력증'의 영역에서 남학생이 M=8.90(표준편차=3.23)으로 여학생의 M=8.10(표준편차=2.27)보다 t=2.13(p<.05)의 더 높은 문제행동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의 영역에서도 남학생이 M=10.97(표준편차=3.38)로 여학생의 M=10.20(표준편차=3.03)보다 t=1.79(p<.05) 의 더 높은 문제행동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수준 총합과 문제행동 수준 총합 간에는 r=.60(P<.01)의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위영역별로도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최고 '열등감' r=.53(P<.01)부터 최저 '무력증' r=.18(P<.01)에 이르기까지 모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학교의 규모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의 총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하위영역별로 교사·학교영역에서는 소규모학교 학생이 대규모나 중규모학교 학생보다 높았고(F=6.46 p<.05), 부모영역에서는 중규모와 대규모학교 학생이 소규모학교 학생보다 높았으며(F=3.20 p<.05), 친구영역에서는 중규모학교 학생이 대규모학교 학생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F=3.23 p<.05)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수준과 문제행동 수준은 성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스트레스 수준과 문제행동 수준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고, 학교 규모별로는 스트레스수준이나 문제행동 수준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ss level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blem behavior level an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level and problem behavior level, so that we can provide teachers who undertake to guide students with reference material. The concrete subject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do the stress level and problem behavior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sex? Second, is there the meaningful relation between the stress level and problem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hird, do the stress level and problem behavior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school size? For verifying the subjects, we selected 223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Paju city a s subjects from July. 10. 2004 to July. 20, 2004. The test sheets collected are analyzed by SPSS Win statistics program. In terms of test tool, two kinds of test sheet such as stress scale and problem behavior scale are used. The test sheet of stress scale consists of forty questions, based on the test sheet of stress scale by Baek Kgyeongae(l997) and the test sheet of problem behavior scale consists of forty eight questions in the reference to test sheet by Gwon Ogyun(1996). The results from this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doesn'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sex.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 doesn'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sex either. However, subcategories of 'helplessness' and 'attack' show meaningful differences. subcategory of 'helplessness' shows difference(t=2.13, P<.05). The boy students(M=8.90) a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at of girl students(M=8.10). And also subcategory of 'attack' shows meaningful difference(t=l.80,P<.05). The level of boy students(M=l0.97) is meaningfully higher than that of girl students(M= 10.20). Second, the meaningful relation between total stress level and total problem behavior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ear in r=.60 (p<.0l). With somewhat variation in accordance with subcategories ranges between from 'inferiority'(r=.53,p<.01) to 'helplessness'(r=.18, p<.01) Every subcategory shows static correlation. Third, as for the stress level in accordance with school size, the total sum does no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However, in the subcategory of 'teacher and school', the students in small-size school show higher level of stress(F=6.46, p<.05) than large-size school or mid-size school. In the subcategory of 'parents', the students of mid-size and large-size school show higher level of stress(F=3.20, p<.05) than those of small-size. And in the subcategory of 'friend', those of mid-size school show higher level of stress(F=3.23, p<.05) than those of small-size or large-size . As for the problem behavior level with accordance with school size, small-size, mid-size and large-size school do no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ly, the stress level and problem behavior level partially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sex. And there is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level and problem behavior level. As for the stress level and problem behavior level in accordance with school size, they partially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s.

      • 중등 화학 교육에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한 탐구 수업의 적용과 효과

        유옥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교육에서 탐구 중심의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제한된 수업시수에서 교과 내용의 과다, 입시 위주의 교육 환경과 교육 과정에 대한 자율권 부족 등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는 경험을 중시하는 실험 위주의 과학 탐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수집한 자료가 이론에 합당한지를 토의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아 실질적 탐구와 거리가 있다.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플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탐구 수업 방식은 학습자들에게 더 많은 탐구 학습을 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한 탐구 수업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 화학 교육에서 플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탐구 수업 환경과 전통적 수업 환경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에서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및 과학적 탐구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플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탐구 수업 환경에서 학생의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자연과정 2학년 4개 학급의 142명을 대상으로, 이 중 2개 학급은 플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탐구 수업을 적용하는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2개 학급은 전통적 강의 중심의 수업과 확인실험을 적용하는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수업은 총 10차시에 걸쳐 이루어졌다. 측정 도구로 화학 과목의 학업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 과학 탐구 능력 검사지,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에서 수업 후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환경에 따른 화학과목의 학업 성취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에서 수업 중에 과정중심탐구학습 활동지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개념을 적용하고 응용해봄으로써 수업 내용을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학습 환경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는 실험집단에서 학생 스스로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과학적 태도들을 적용하면서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고, 모둠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를 공유하면서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가 향상되었다고 본다. 셋째, 학습 환경에 따른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는 인터넷 동영상 강의 시청을 통해 개념을 학습하거나 수업 시간 중에 활동을 실행함에 있어 학습자의 주도적인 참여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넷째, 플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탐구 수업이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에서 살펴보면 기초적 탐구 능력에서는 관찰과 측정, 통합적 탐구 능력에서 가설설정과 일반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는 실험집단에서 금속의 반응성이나 중화반응 탐구 실험을 통해 관찰과 측정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과정중심탐구학습 활동지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면서 가설설정이나 일반화 능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섯째, 플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탐구수업에 대한 인식을 확인한 결과 97.2%의 학생들이 ‘이전의 강의식 수업에 비해 더 많은 질문과 답변을 한다.‘에 ‘보통이다’ 이상으로 답하였다. 또한 97.2%의 학생들이 플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탐구수업이 화학개념 및 실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94.4%의 학생들은 다시 플립드 러닝 수업에 참여하고 싶다고 답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플립드 러닝을 활용한 탐구 수업이 화학 학습에 있어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새로운 전략으로서 탐구 수업 방식의 변화가 화학 수업에 흥미롭게 참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플립드 러닝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quiry-based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science education, but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such as redundant contents of curriculum in education field, college entrance-focus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 lack of autonomy in school curriculum. Experiment and experience-based scientific inquiries are being conducted, but they are still far from practical inquiries because there has been no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at the collected data is reasonable ground for the theory. Flipped learning-based inquiry lessons can be an alternative to solve these problems. With the flipped learning-based inquiry lessons, learners are provided more time and opportunities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inquiry learning in chemistry lessons of high school. In addition, the flipped learning is focused on increas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contents of lessons through related activities, but not through videos. Therefore, the flipped learning needs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teaching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on cognitive abilitie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on affective aspects in secondary chemistry education by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and traditional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tudents about lessons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Study subjects were 142 students in science major from four second-year classes of college preparatory high school which is located in Gyeonggi-do.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students from two clas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to which flipped learning-based inquiry learning was applied and students from the other two classes were assigned to comparative group to which traditional learning-based lessons and inquiry experiments were applie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ver 10 times, and the results of pre and post experiments were analyzed using academic performance of chemistry, 50 questions drawn from TOSRA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TSPS (Test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SDLRS-K-96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bout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academic performance of chemistry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quiry lessons based on flipped learning have an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Second, students' attitudes for science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and ANCOVA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flipped learning-based inquiry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scientific attitudes. Third, ANCOVA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erefore, flipped learning-based lessons can improve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Fourth, inquiry lesson based on flipp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and in the subordinate level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servation and measurement regarding basic inquiry skills and in hypothesis construct and generalization regarding integrated inquiry skills. Fifth, survey of perception on flipped learning-based inquiry lessons was conducted. Most students answered that they ask questions and answer more in flipped learning-based inquiry lessons than in previous instructor-led teaching and the flipped learning-based inquiry lesson helped them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experiments of chemistry. Most said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flipped learning-based lessons again. Based on the study results mentioned above, it has confirmed that flipped learning-based inquiry lessons a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attitudes for scienc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than traditional instructor-led lessons.

      • 우리나라 不動産仲介業의 定着化 方案에 관한 硏究

        柳玉熙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increasing transactions of real estate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population. Subject to these phenomena activities of the real estate brokers are being revitalized and preference of the nation to real estate have been greatly advanc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or and the wealthy which has remarkably exposed as a result of economic growth commenced from 1960s in Korea has furthered speculative psychology of the people on the real estate and thereby they become to prefer the real estate as a means of increasing wealth which is of great economic value and eventually they are driven into the speculative practices, and the orders in dealing real estate have been confused and which have brought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as well. Since therefore, the Act of the Real Estate Broking Business was enacted for enforcement which has introduced the certified public broker system "that is to contribute to enhance the public confidence of the real estate brokers and to establish the order in trading the real estates to protect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by guidance and upbringing the broking business in sound manner and by properly controlling the said business practices" as of December 30, 1983. Today, the social and the public natures of real estate activity is being intensively identified, and the real estate broking business highly requires the professionality and ethics in nature. However, the qualifying examination of the certified public broker has been taken place twice to date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Act, but on the other hand, licenses of the real estate broker have been issued random to those whom have not passed the examination and therefore, the said business practices were not yet settled down. It is, therefore, this article has provided what is a solution for settlement of the real estate broking business in Korea. As a settlement solution of the said business by institutional device will be; 1. The ordinary licence for the previous real estate brokers shall only be recognized until such time as which reach to the next renewal and the new licence shall be issued to the certified public broker only taking into account of the current law of real estate broking business as well as those statutory regulations of relevant laws which require highly professional expertise and competent qualifications as to the unification of the said brokers. 2. As for the alleviation of restriction to the business offices, according to a statistics have researched for the range of broking activity area, those offices which have the entire area of the country as its business range were 17% only. This result, under the current law a broker shall not have two or more offices and who is considered to have restricted to do his business in the range of countrywide, and therefore, this restriction must be alleviated for those corporation and the C.P.B. only to allow their business to be enterprised and be professionalized. 3. It is considered that the ways to protect requester of broking and enhance the public confidence and reliability for the brokers by setting forth the scope of broking objects in classes under the existing law which has recognized qualification of brokers by classes as to the difference of broking objects. 4. Since the current brokers in operational have revealed strong complaints against the brokerage by 65.1%, reasonable upward adjustment of which must be made. 5. Act of prohibition must be alleviated.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if a broker who fails to proceed entering the sales/purchase contract successfully he may not be entitled to receive the brokerage out of it and the penalty clause thereto is excessive, and which may retard positive activity, and pride to enhance his business practices as a professional. As for the settlement solution on operation of the real estate broking; 1. Legislation and codification of the contract requested for monoplized broking is required: In Korea, the contract under request for broking has the unilateral nature of ordinary request for broking contract and majority of which are made by verbal convenants, and thereby, there are such probleus as occurrence of dispute between the requester and the broker, and uneasiness in transactions and so forth are prevail. Since therefore, if it is legislated and the side of brokers, even utilyzing the form of joint request for broking contract, may effectuate their business practices in positive manner. 2. Compulsory use of Government recognized contract form A contract (in writing) may be provided for evidence to any possible dispute or taxation in later date and a means of very useful for establishment of orders in dealing the real estates to prevent speculation and other illicit practices as in the practical aspect, the generally recognized contract form must be compulsory used even by complementing the current law.

      • 연속적경관 평가기법에 의한 고속도로 주요 시설물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유옥희 전남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속도로는 효율적인 지역간의 연결 및 경제적 타당성을 우선으로 노선 선정이 이루어지고, 설계속도에 따라 표준적인 계획·설계 기준이 적용되며, 기본적으로 주행에 있어 신속성과 안전성 확보라는 목적이 위주이기 때문에 경관적 측면의 배려는 특히 시감각에 의해 시점과 고속도로 경관의 변화를 확보해 줄 수 있는 측면에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있는 고속도로가 경관계획에 있어 중요하게 여겨진다. 따라서 연속적인 경관 평가의 방법으로 고속도로내의 경관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주행에 의한 경관의 쾌적성과 합리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고 일정한 연속경관에 따른 빠른 주행 특성으로 일정한 거리대에서 보여지는 시지각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인 접근을 하므로서 고속도로내의 주요 시설물의 경관 계획 및 설계 방향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배경으로 인지 심리적 측면에서 파악하여 이미지를 요인화 한 다음, 지각 생리적 측면에서 경관 지각시 안구운동 패턴을 분석하여 관련성을 얻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을 수 있었다. 1. 경관의 이미지평가 실험자료를 요인분석하여, 「경관적 조화성」, 「연속적 경관으로서의 전개성」, 「시설물의 시각적 수렴성」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2. 어의평가 척도에 의한 요인 점수를 산출하였고, 군집분석과 다차원분석에 의하여 3개의 유사성 있는 경관을 구분할 수 있었다. 이때 Sequence_2, Sequence_5와 Sequence_1, Sequence_3 그리고 Sequence_4로 구분되어 연속적 경관별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안구운동에의한 주시운동의 패턴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ㆍ주시 빈도가 많은 경관은 Sequence_2 > Sequence_4 > Sequence_1 > Sequence_3 > Sequence_5로 경관의 주변경관의 양 절토의 형상 및 경관내의 독특한 형태에 의하여 빈도가 잦았음을 알 수 있었다. 주시이동거리는 Sequence_3 > Sequence_5 > Sequence_1 > Sequence_4 > Sequence_2 순으로 경관내의 횡단육교의 상부구조형식과 하부구조형식의 주시탐색 및 인지의 영향으로 주시 정류시간이 길어졌다. 즉 주변의 경관에서 육교의 형태와 구조, 질감의 탐색이 육교로부터 100m이후에서 주시가 길게 나타났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ㆍ주시이동의 방향은 주행중에 주행자의 시야 움직임이 결과적으로 먼 시거리대에서 횡단육교와 양 절토, 연도시설 등 모든 요소들을 고르게 주시하므로서 횡단육교의 수평적인 면을 우세하였고, 횡단육교에 근접하게 되는 거리대는 100-120m 전후로 방향성의 변화를 보였다. 주변경관보다 횡단육교 자체의 재질, 모양, 간판에 쓰여진 내용의 인지 그리고 도로상에 놓여진 교각 등의 탐색을 주로 하였으며, 이때는 수직적인 방향에 주시정류점이 많이 분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ㆍ주시정류점 분포는 도로부분, 육교부분, 주변경관부분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을 때 모든 경관이 육교부분에서 가장 많은 주시분포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주변경관부분, 도로부분의 순으로 나타났다. 육교부분이 가장 많은 주시정류점을 보였다는 것은 주행에 있어 시야에 많은 영향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시거리대가 횡단육교로부터 먼 곳에서는 경관부분에 주시가 이루어지다가 횡단육교의 가까운 거리대 20-40m에서는 육교 부분에 집중이 되었다. 어의 구별척도에 의하여 주시정류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있어 Sequence_1 Sequence_3 Sequence_2와 Sequence_5 그리고 Sequence_4로 구분되어졌던 부분이 주시운동에 의하여 어느부분에 구체적인 관련이 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Sequence_2와 Sequence_5는 어의 척도에 의한 1요인의 경관적 조화성 측면에 주시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Sequence_1과 Sequence_3은 2요인으로 연속적 경관으로서의 전개성, Sequence_4는 시설물의 시각적 수렴성과 연관되어 주시 분포 및 밀도가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ㆍ구성요소에 따른 횡단육교의 시거리대 주시정류점의 세부구성요소는 경관별 가장 주시가 많았던 부분은 육교였는데 구조의 디테일 측면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소로 하부경관 > 상부구조 > 하부구조의 순으로 주시빈도가 나타났다. 주행중의 본선의 상공에 위치하는 횡단육교를 통과하는데 시야분포가 육교의 틀 속에 내제되어 있는 경관에 많은 주시가 머물렀고, 다음으로 상부구조에 해당하는 상판, 그리고 하부경관에 해당하는 교각의 형태나 질감, 모양, 높이와 교대의 형태와 교대와 절토면과의 접선부위에 주시운동에 변화를 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4. 연속적 경관 평가에 대한 영향을 검토할 때 반영되어야할 사항은 주요 시점의 시거리대를 고려하여야 하며, 경관내의 시설물이 시거리에 따라서 주시 빈도 및 분포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시거리와 경관내의 시설물과의 조화를 통하여 연속성 확보와 시설물의 형태와 규모, 그리고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some visual factors for designing landscape facilities in highway roadscape with dynamic simulation of sequential landscape. Sequential roadscapes as simulation media were taken through Honnam Express Highway from Chung-Eup to Sunchon with video camera equipped on vehicle at the speed of real driving condition, and five interval landscapes including overpass structure were adopted. By factor analysis with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 overall visual images in roadscape including overpass structures were assessed, and the charcteristics in visual detecting behavior were analysed statistically with eye movement recordin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ree factors were proved to represent overall image for roadscape of overpass structures with semantic differential scale of 15 bypolar adjectives. Extacted factor may be called as 「Landscape Harmony Factor」, 「Sequential Landscape Structure Factor」, and 「Visual Concentration Factor」. 2) Overpass structures could be classified to 3 types by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analysis with factor scores. 3) Some characterics were clarified from the analysis of saccadic movement of eye fixation and these patterns of visual perception behavior were proved to be representing the establishing procedure of sequential landscape image. With closing up to overpass structure as a sequential landscape element, distance from structure was most important affecting factor in perceiving the sequential roadscape and landscape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