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테스』연구 : -응시론적 접근-

        유길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While the Victorians would have considered Tess immoral and decidedly unchaste, Hardy paints her as a pure and innocent victim of selfish men and snobbish society. Throughout the novel, Tess never loses the reader's sympathy or even admiration. This thesis analyzes Thomas Hardy's novel, Tess of the d'Urbervilles, through the male-dominated 'gaze theory.' For this analysis, the concept of the "gaze" as a useful tool is first discussed, and then how the male character sees Tess and interprets her image and, ultimately, confounds her is studied. Also examined is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s' social backgrounds and the consequent double-standard. The observer sees the object, possesses the image, interprets and mutates the image to fit or adapt to the observer's mindset. They can gaze and at the same time grant a significance of gaze. The male characters go over every inch of Tess's body with a careful and conscious appreciation of her appearance. The powerful and correct meaning is given only by the narrator in this novel, as he sees her as a "Pure Woman." The narrator's comment on Tess is always right, but Alec and Angel can not realize that their gazes are incorrect or wrong. Thus Tess is seen as a Madonna or a whore depending on who is interpreting or looking at her. Even at the first meeting Alec fails to see her as an innocent young woman, but as an object of sexual beauty, so he concentrates on her attractive face and appealing body. He always holds the visual image of radiant beauty as sensual and erotic. Naturally Alec sees Tess as an object of sexuality in contrast to Angel who thinks of Tess as a fresh and virginal daughter of nature. Angel gives the name of Artemis and Demeter to Tess as the essence of womanhood. Against the male dominated gaze, the “return gaze” makes the male characters confuse their gazing acts and eventually realize their embarrassment. When the observer is confronted with the return gaze of the observed, the observer is thrown off-bala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and the observed. This return gaze is illustrated by the myth of Medusa. Through the novel, Tess never gives the return gaze to the male characters. One of the important causes for failing to return the male gaze comes from the social background of double-standard that prevailed at the time when females of a certain standing were not allowed to return a male gaze. In conclusi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ragic ending is strongly implicated in the absence of Tess's return gaze and its social origins larger than Tess herself.

      • 强磁性,Ni薄膜의 磁氣抵抗 特性에 關한 硏究

        유길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論文은 强磁性 Ni薄膜의 磁氣特性과 磁氣센서로서의 應用可能性에 대하여 연구 검토한 것이다. 薄膜은 眞空蒸着法으로 제작 했으며 이 薄膜을 다시 400℃에서 30분간 熱處理 한 것을 試料로 하였다. 實驗은 0~340 〔Mx〕의 水平 및 垂直 磁界中에서 행하였으며, 磁界에 대한 薄膜試料의 抵抗特性을 측정하여 磁氣센서로서의 이용 可能性을 확인 하였다.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ferro magnetic nickel thin-film and its applicability as magnetic sensor. Thin-film is made by the vacuum evaporation technique and the sample is used after the heat-treatment in 400℃ for 30 minutes. The experiment is held with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agnetic field of 0 to 340 maxwell, then the resistivity of thin-film to magnetic field is measured. From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e applicability as the magnetic sensor.

      •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의 협업에 관한 경험 연구

        유길현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의 협업에 관한 경험 연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의 협업 공연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연구대상은 총 5개의 공연을 선정하여 협업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들을 선정할 때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들의 협업 공연에 참여한 사람들 중 연출가 및 무대 스텝과 공연 스텝들을 제외한 공연예술가 12명, 스트릿 댄서 8명, 총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업 전 인식과 동기를 분석한 결과로 공연예술가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는 협업 전 스트릿 댄스에 대한 인식을 자유로운 이미지, 배워보고 싶은 장르로서 하고 있음이 분석되었고, 같이 작품을 하려고 했던 이유로는 작품의 다양화, 선배의 권유로 분석되었다. 스트릿 댄서를 대상으로 공연예술에 대한 인식은 상관관계가 없는 분야, 호기심으로 분석되었고, 같이 작품을 하려고 했던 이유로는 예술의 확장, 스트릿 댄스의 전파로 분석되었다. 둘째, 협업 과정을 통해 느끼는 생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 공연예술가를 대상으로 연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르적 특성에 따른 불편함에 대해 장르적 특성의 차이, 연습시간 조율로 분석할 수 있었고, 스트릿 댄서를 대상으로 질문했을 때는 장르적 특성에 차이로 분석할 수 있었다. 셋째, 협업 경험을 통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로 공연예술가를 대상으로 같이 작품을 하고 나서 느꼈던 장점에 대해 움직임의 시너지, 표현의 다양성으로 분석했고, 같이 작품을 하고 나서 느꼈던 단점에 대해 장르적 조화를 이루기 힘듦, 연습시간 부족으로 분석되었으며, 협업 후 스트릿 댄스의 인식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의 지속, 확장 가능성으로서의 인식으로 분석할 수 있었고, 마지막으로 향후 스트릿 댄서와 작업 할 상황이 다시 생긴다면 할 의사가 있는가에 대해 상황과 여건이 맞을 때, 협업을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시너지로 분석할 수 있었다. 스트릿 댄서를 대상으로 같이 작품을 하고 나서 느꼈던 장점에 대해 예술의 확장으로 분석할 수 있었고, 공연예술가들과 같이 작품을 하고 나서 느꼈던 단점에 대해 장르적 조화를 이루기 힘듦으로 분석하였으며, 협업 후 공연예술의 인식에 대해 확장 가능성으로서의 인식으로 분석했고, 끝으로 향후 공연예술가와 작업 할 상황이 다시 생긴다면 할 의사가 있는가에 대해 협업을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시너지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의 협업에 관해서 어떤 경험을 했고, 어떻게 인식을 했으며, 또 그 인식들이 협업 경험 이후에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이제는 대표적인 공연예술 장르로 인식되고 있는 스트릿 댄스의 협업과 관련한 기초자료와 그에 관한 근거들로 제시할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스트릿 댄스가 공연예술 안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르로서 발돋움하며,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의 협업에 관한 후속 연구의 기반으로 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llaboration experience between street dancers and performing artists. To accomplish such purpose, collaborative performances of street dancers and performing artists in the past two years in 2018 to 2019 have been studied. Four performances have been selected as research target and intensiv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on collaboration participants. When selecting interviewees for the intensive interview, total 21 participants including 13 performing artists and 8 street dancers were selected from collaboration participants except producers and stage and performance staff. The responses of research participa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awareness and motivation before collaboration, interviews of performing artists revealed that they recognize street dance as liberal and genre that they wish to learn. The reasons that they want to collaborate are diversified works and recommendation of seniors. Awareness of street dancers to performing arts include curiosity about a field without correlation, and the reasons that they want to collaborate are due to expansion of arts and dissemination of street dance. Second, when the gaps in ideas from collaboration process were analyzed, performing artists felt difficulty from characteristics of genres from practice because of gaps in characteristics of genres and scheduling for practice while street dancers felt gaps in characteristics of genres. Third, when the awareness from collaboration experience was analyzed, performing artists discovered advantages such as synergy in movements and diversified expressions, and disadvantages such as difficulty in creating harmony in genres and lack of time to practice. After collaboration, they recognized continued positive image and expandability of street dance. Lastly, when asked about intentions to collaborate again with street dancers, they pointed out proper situation and conditions, and diverse synergy from collaboration. The advantages felt from collaborating with street dancers could be analyzed into expansion of arts, and disadvantage from collaborating with performing artists was difficulty to reach harmony in genres. After collaboration, they recognized performing arts as expandability. Lastly, when asked about intentions to collaborate again with performing artists, they pointed out diverse synergy from collaboration.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collaboration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street dancers and performing artists and how such awareness changed after the collaboration experience. Moreover, these may prove collaboration with street dance, which is now recogniz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erforming arts genres, along with basic materials. This study expects to provide basis for follow-up researches on collaboration between street dancers and performing artists and that street dance steps up as a genre that creates positive effects in performing arts field based on the findings.

      • 금융기관의 기업건전성평가와 내부회계관리제도에 관한 실증 연구 : 내부통제 취약점보고가 금융기관의 건전성평가에 미치는 영향 : 금융기관의 건전성평가에 기반 한 내부통제 취약기업 예측모형

        유길현 동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divided two parts. First study analyzes impact of vulnerability report of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on company credit rating and asset soundness rating, using auditor's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review comments of listed/unlisted company from 2008 to 2013 which is related to "K bank". Analysis result is that the more vulnerable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is reported, the lower corporate soundness assessment selected by financial institution is reported. Internal control deficiencies degrades relia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and coporate credit score is low. therefore, it implies that interest cost can be increased when company get a loan from financial institution. Regression analysis result between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deficiencies report and asset soundness rating is that the more vulnerability exists, the relatively lower asset soundness exists. It means that financial institutions accumulate allowance for bad debts and require more financial charge to company as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vulnerability exists, asset soundness exacerbates. Second study predicts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deficient company based on company's soundness assessment by financial institu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are used as they are used for predicting insolvency and bankruptcy in general. And internal control system deficient company forecasting model is established by dividing whole/listed/unlisted company which report review comments about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vulnerability from 2008 to 2012. At first for selecting variables which will be include in model, study us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whole company for 5 years. As a result, company credit rating, overdue, assets size, business cash flow, debt ratio, growth rate of sales, and return on equity(ROE) see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sset soundness rating, external auditor, and return on net sales do not see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t comes to discriminant analysis, company credit rating, asset soundness rating, overdue, external auditor, assets size, business cash flow, debt ratio, return on net sales see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growth rate of sales and ROE do not see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alysis result about predictability of sample data is that though predictability of logistic model is superior to discriminant model for accuracy point, Type 1 error that the possibility of misleading internal control weak company to strong company of logistic model is inferior of discriminant model.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influence which affect investor and financial institution where they provide loans to company using financial statements, it seems that discriminant model is superior. Analysis result about verifiability of each model inserting 2013 data is that though AUROC statistic of discriminant model is superior and accuracy of logistic model is superior,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influence which affects investor and financial institution where they provide loans to company, it seems that discriminant model is superior to logistic model as discriminant model has low Type 1 error. This study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First, in addition to advanced study analyzing impact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deficienencies on quality of profits, this study verifies that not only vulnerability of internal control affects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CEO but also increases information risks of external information user, which makes investor and creditors burden high interest cost to debtor using credit rating by investigating impact of listed/unlisted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deficienencies on credit rating and asset soundness rating regulated by bank regulation. There is no special difference between listed/unlisted company, though listed company have to report vulnerable substance to Korea Exchange, which makes listed company control internally better for maintaining value of the company. Therefore, deficienencies report ratio of list company is less than that of unlist company. Second, considering that the rate of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deficienencies report company of Korea is 2.2% and that of US is 14.0%, the rate of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deficienencies report of Korea is noticably low. Though US is "audit"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and Korea is "review"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still,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of Korea is doubtful because US is believed to have better financial soundness than that of Korea. This study has big significance of helping investor and financial institution which treats loans to decide themselves to find out internal control system deficient company. When internal control deficienencies isn't reported by external auditor for the audit contract extension and commisions including audit fee, it will damage investor and financial institution. Therefore, financial institution which treat loans can use prediction model to decide themselves whether the company has decifient internal control system and CEO of the company can use prediction model to check problem of internal control system of the company previously. Finally, financial authorities can use prediction model to take measures for company which has vulnerable internal control system such as financial structure improvement and to take measures for financial institutes to use corporate credit risk assessment and choose workout, receivership, and bankruptcy company. Third, this study analyzes six years accumulated data after 2008 when companies execute more stable and systematic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exemplary standards, compared to existing study which research listed company this study include unlisted company, and instead of using KIS credit rating this study use financial institution's credit rating for company soundness assessment.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연구하였는데, 첫 번째 연구는 K은행과 관련된 우리나라 상장 및 비상장기업의 2008∼2013년까지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인의 검토의견을 바탕으로 내부통제의 질이 부실한 기업, 즉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공시가 기업신용평점과 자산건전성평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부회계관리제도 취약점이 보고되는 기업일수록 금융기관이 산정하는 기업에 대한 건전성 평가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취약한 내부통제가 재무보고의 신뢰성을 저하시켜 기업신용평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금융기관 대출금 차입시 차입이자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보고와 자산건전성평점간의 회귀분석 결과, 취약점이 존재하는 기업일수록 자산건전성이 상대적으로 더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이 존재 할수록 자산건전성이 낮아짐에 따라 은행들은 충당금을 더 적립하게 되고 기업들에게 보다 높은 금융비용을 요구한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는 금융기관이 작성하고 있는 기업에 대한 건전성평가를 바탕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 취약점 보고기업을 예측하였다. 통계분석기법은 일반적으로 부실·도산을 예측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로지스틱회귀분석과 판별분석을 이용하였으며, 2008∼2012년도에 내부회계관리제도 취약점에 대한 검토의견을 표명한 전체기업, 상장 및 비상장 기업별로 구분하여 내부통제 취약기업 예측모형을 설정하였다. 우선 모형에 포함될 변수를 선정하기 위해서 5년간의 전체기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기업신용평점, 연체여부, 자산규모, 영업현금흐름, 부채비율, 매출액증가율, 자기자본이익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자산건전성평점, 외부감사인, 매출액영업이익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판별분석결과는 기업신용평점, 자산건전성평점, 연체여부, 외부감사인, 자산규모, 영업현금흐름, 부채비율, 매출액영업이익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매출액증가율과 자기자본이익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표본기업에 대한 각 모형의 예측력에 대한 분석결과 로짓모형의 예측력이 판별모형보다 정확도면에서 우월하지만 내부통제가 취약한 기업을 양호한 기업으로 잘못 분류할 확률인 제1종오류는 판별모형이 로짓모형보다 낮기 때문에 투자자 및 재무제표를 근거로 대출을 취급하는 금융기관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판별모형이 더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검증대상기업으로 2013년도 데이터를 입력하여 각 모형의 검증력에 대한 분석결과 AUROC통계량은 전체적으로 판별모형이 더 우수하고 정확도는 로짓모형이 우월하지만 예측력 분석결과처럼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에 대한 검토의견이 투자자와 대출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금융기관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제1종오류가 낮은 판별모형의 검증력이 로짓모형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본 연구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이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에 추가하여 상장 및 비상장기업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이 기업신용평점과 은행업감독규정에서 규제하는 자산건전성평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내부통제의 취약점이 경영자가 산출하는 회계정보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회계정보의 질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외부정보이용자의 정보위험을 증가시켜 투자자와 채권금융기관은 채무자에게 기업신용평가와 연계하여 높은 금융비용을 부담시킨다는 것을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으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특별한 차이는 없으며, 다만 상장기업의 경우 한국거래소에 취약점내용을 공시하게 되어 있어 기업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비상장기업보다 평소에 내부통제를 잘하고 있어 취약점보고기업이 비상장기업보다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취약점보고 기업은 2.2%수준이고 미국의 경우 14.0%가 취약점 보고기업으로 보고되는 사례와 비교할 때 취약점보고기업이 현저히 낮다. 금융건전성이 높다는 미국의 경우보다 우리나라의 취약점보고 비율이 낮다는 것은 미국이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감사(Audit)를 하고 우리나라는 검토(Review)를 한다는 차이도 있지만 여전히 내부회계관리제도에 의문점을 제기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는 투자자와 대출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금융기관들이 내부통제에 취약점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기업을 스스로 판단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내부통제에 문제점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외부감사인이 감사보수 등 수수료 때문에 감사유지 연장을 위해서 내부통제 취약점이 보고되지 않을 경우 그 피해는 투자자와 채권금융기관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대출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금융기관 입장에서 대상기업의 내부통제가 취약한 기업인지를 스스로 판단하여 대출 취급을 보다 심도 있게 결정하고, 기업 입장에서는 경영자가 회사의 내부통제에 문제가 있는지 사전에 점검하는 경보장치로서 예측모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금융 감독당국은 내부통제가 취약한 기업에 대해서는 재무구조 개선조치와 주채권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기업신용위험평가를 통해 워크아웃·법정관리·파산기업 선정 등의 근거자료로써 활용토록 본 연구의 예측모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2005년 6월 제정된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에 따라 기업들이 좀 더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시행하게 된 2008년 이후 약 6년간의 누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기존 연구들이 주로 상장기업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비상장기업까지 포함하여 연구를 하였고, 기업건전성평가를 KIS_신용평점 대신 금융기관의 신용평점을 사용하여 금융기관중심으로 연구를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